KR19980017004U -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004U
KR19980017004U KR2019960030355U KR19960030355U KR19980017004U KR 19980017004 U KR19980017004 U KR 19980017004U KR 2019960030355 U KR2019960030355 U KR 2019960030355U KR 19960030355 U KR19960030355 U KR 19960030355U KR 19980017004 U KR19980017004 U KR 199800170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bracket
guider
transfer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우명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0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004U/ko
Publication of KR19980017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00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1)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2)에 장착브라켓(3)이 설치되고, 이 장착브라켓(3)에 암레스트(4)가 안내,이동되는 이송브라켓(5)이 장착되면서, 이 이송브라켓(5)에 이송조절부(6)를 매개로 암레스트(4)가 결합되고, 상기 이송브라켓(5)은 전면부(5a)의 길이방향으로 장공(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브라켓(5)의 내부에 상기 장공(7)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더(8)가 내장되되, 이 가이더(8)는 상기 전면부(5a)의 장공(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거나 자체 회전할 수 없도록 가이더(8)의 선단 외주면에 걸림턱(8a)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조절부(6)는 선단에 나사산부(9)가 형성된 지지바(10)에 손잡이(11)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10)가 암레스트(4)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공(4a)을 관통해 상기 이송브라켓(5) 내측의 가이더(8)와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사용자가 간단히 조작하여 암레스트의 높이뿐아니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운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암레스트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의 다양한 신체에 맞추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암레스트는 탑승객이 팔을 편히 얹어 놓을 수 있도록 도어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시트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자동차의 보조설비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시트 측면에 설치된 종래의 자동차의 암레스트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01) 측면에 암레스트(102)를 고정수단(103)을 매개로하여 고정시켜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사용자는 각자의 신체조건이 다르고 습관과 취향이 다르므로,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표준 높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암레스트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무용지물이 되거나 오히려 불편을 초래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암레스트가 시트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암레스트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트백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에 장착브라켓이 설치되고, 이 장착브라켓에 암레스트가 안내,이동되는 이송브라켓이 장착되면서, 이 이송브라켓에 이송조절부를 매개로 암레스트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브라켓은 외측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더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조절부는 선단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지지바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가 암레스트의 선단부를 관통해 상기 이송브라켓 내측의 가이더와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는 이송조절부를 매개로 이송브라켓에 연결되어 있어서, 손잡이를 돌려 상기 암레스트의 구속을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암레스트가 이송브라켓의 장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바, 탑승객의 취향에 따라 자유로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암레스트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의 고정형 암레스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백 2 : 삽입홈
3 : 장착브라켓 4 : 암레스트
4a: 관통공 5 : 이송브라켓
5a: 전면부 6 : 이송조절부
7 : 장공 8 : 가이더
8a: 걸림턱 9 : 나사산부
10: 지지바 11: 손잡이
12: 부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암레스트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인 바, 즉 시트백(1)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2)에 장착브라켓(3)이 설치되고, 이 장착브라켓(3)에 암레스트(4)가 안내,이동되는 이송브라켓(5)이 장착되면서, 이 이송브라켓(5)에 이송조절부(6)를 매개로 암레스트(4)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브라켓(5)은 전면부(5a)의 길이방향으로 장공(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브라켓(5)의 내부에 상기 장공(7)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더(8)가 내장되되, 이 가이더(8)는 상기 전면부(5a)의 장공(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거나 자체 회전할 수 없도록 가이더(8)의 선단 외주면에 걸림턱(8a)이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조절부(6)는 선단에 나사산부(9)가 형성된 지지바(10)에 손잡이(11)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10)가 암레스트(4)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공(4a)을 관통해 상기 이송브라켓(5) 내측의 가이더(8)와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조절부(6)의 지지바(10)는 암레스트(4)의 관통공(4a)을 관통하여 이송브라켓(5) 내측에 삽입된 가이더(8)와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더(8)와 이송조절부(6) 및 암레스트(4)는 상기 이송브라켓(5)의 장공(7)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암레스트(4)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손잡이(11)와 연결된 지지바(10)가 상기 암레스트(4)의 관통공(4a)을 지나 이송브라켓(5)의 가이더(8)와 체결되어 조여있음으로써, 상기 암레스트(4)는 손잡이(11)와 이송브라켓(5)의 전면부(5a) 사이에 꽉 끼워진 체로 고정되어 있는 데, 이와같이 고정되어 있는 암레스트(4)를 이동가능하게 구속을 해제시켜줘야 하는 바, 상기 손잡이(11)를 돌려서 이송브라켓(5) 내측의 가이더(8)로부터 풀어주게 되면 상기 암레스트(4)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자신의 취향이나 팔길이 등의 신체조건에 맞춰 상기 암레스트(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암레스트(4)를 관통한 지지바(10)가 체결되어 있는 가이더(8)는 상기 이송브라켓(5)의 내측에서 위아래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고정 해제된 상기 암레스트(4)를 탑승자가 위아래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더(8)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바(10)가 이송브라켓(5)의 장공(7)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지지바(10)에 연결되어 있는 암레스트(4)가 위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암레스트(4)는 지지바(10)에 관통되어 이 지지바(10)를 회전축으로하여 자체 회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암레스트(4)가 고정해제된 상태에서는 탑승자는 상기 암레스트(4)를 지지바(10)에 대해 회동시킴으로써, 자신에 맞는 암레스트(4) 각도를 얻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바(10)가 관통하고 있는 암레스트(4)의 관통공(4a)에는 부시(12)를 삽입함으로써, 암레스트(4)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여 조작의 편리를 도모함이 바람직하다.
언급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취향에 맞게 암레스트(4)의 높이 및 각도를 맞춘 후에는 상기 손잡이(11)를 돌려서 지지바(10)를 가이더(8)에 조여주게 되면 상기 지지바(10)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11)와 이송브라켓(5)의 전면부(5a) 사이가 조여지면서 이 사이에 껴져 있는 암레스트(4)가 고정되게 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브라켓(5)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더(8)는 가이더(8) 선단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8a)에 의해 이송브라켓(5)의 내부에서 장공(7)을 따라 슬라이딩되기는 하나 장공(7)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8a)은 장공(7)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가이더(8)가 이송브라켓(5) 내부에서 자체 회전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더(8)에 체결되는 지지바(10)를 돌렸을 때 지지바(10)가 조여지거나 풀려지지 않고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단히 조작하여 암레스트의 높이뿐아니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운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시트백(1)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2)에 장착브라켓(3)이 설치되고, 이 장착브라켓(3)에 암레스트(4)가 안내,이동되는 이송브라켓(5)이 장착되며, 이 이송브라켓(5)에 이송조절부(6)를 매개로 암레스트(4)가 결합되는 구조로 된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브라켓(5)이 전면부(5a)의 길이방향으로 장공(7)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브라켓(5)의 내부에 상기 장공(7)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더(8)가 내장되되, 이 가이더(8)는 상기 전면부(5a)의 장공(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거나 자체 회전할 수 없도록 가이더(8)의 선단 외주면에 걸림턱(8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조절부(6)가 선단에 나사산부(9)가 형성된 지지바(10)에 손잡이(11)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10)가 암레스트(4)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공(4a)을 관통해 상기 이송브라켓(5) 내측의 가이더(8)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
KR2019960030355U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99800170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355U KR19980017004U (ko)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355U KR19980017004U (ko)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004U true KR19980017004U (ko) 1998-07-06

Family

ID=5397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355U KR19980017004U (ko)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00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87B1 (ko) * 2007-06-05 2008-09-29 대원강업주식회사 전동차용 운전실 시트
KR20160050231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암레스트를 가지는 자동차용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87B1 (ko) * 2007-06-05 2008-09-29 대원강업주식회사 전동차용 운전실 시트
KR20160050231A (ko) *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암레스트를 가지는 자동차용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70099A (en) Armrest device for an automotive seat
KR19980017004U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200189969Y1 (ko) 럼버 서포트 방향 조절장치
KR200156943Y1 (ko)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KR0115886Y1 (ko) 차량용 아암레스트의 구조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0127707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0131144Y1 (ko) 암레스트 각도 조정장치
KR200149825Y1 (ko)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 구조
KR970000216Y1 (ko) 시트 쿠션
KR0148656B1 (ko) 자동차 시트백 볼스터 조절 장치
KR19980012163U (ko) 암레스트가 장착된 운전석
KR0122576Y1 (ko) 길이 조절식 자동차 틸트 레버
KR970005897Y1 (ko) 차량 시이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용 레버
KR0127710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142290Y1 (ko) 시트쿠션 사이드 써포트성 자동조절장치
KR200147842Y1 (ko) 풋레스트 장치가 장착된 시트
KR10019503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위치조절장치
KR100506026B1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JPH0141613Y2 (ko)
KR97001110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요추 지지장치
KR0127545B1 (ko) 자동차의 아암레스트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KR19980050838A (ko) 헤드 레스트 틸트 어셈블리
KR0129281Y1 (ko) 뒷자석 안전띠의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