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493B1 -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493B1
KR0127493B1 KR1019930004675A KR930004675A KR0127493B1 KR 0127493 B1 KR0127493 B1 KR 0127493B1 KR 1019930004675 A KR1019930004675 A KR 1019930004675A KR 930004675 A KR930004675 A KR 930004675A KR 0127493 B1 KR0127493 B1 KR 012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witching
low speed
speed
r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996A (ko
Inventor
가즈히고 미야모또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 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 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 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93001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05Deactiv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 F01L1/267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with means for varying the timing or the lift of th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변속기에 설치된 저속단 검출 스위치에 의해, 저속단인가 아닌가 판단하여, 저속단인때에는, 휴통운전 상태와 전통운전 상태와의 절환 포인트를 저부하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절환시의 쇽크를 저감하였다.

Description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2도는 휴통(休筒) 엔진 시스템 전체의 개략도.
제3도는 1, 2속 이외인때의 휴통과 전통(全筒)의 절환 판정도.
제4도는 1, 2속 인때의 휴통과 전통의 절환 판정도.
제5도는 밸브장치의 중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중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로커(locker)축의 축선방향을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유압설정 수단의 블록도.
제9도는 전통과 휴통의 크로스 포인트(cross point)를 도시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밸브장치,2 : 캠축,
3 : 로커 축부,4 : 저속용 캠,
5 : 고속용 캠,6 : 아암부,
7, 8 : 서브 로커아암,21 : 휴통엔진,
22 : 흡기관,23 : 써지탱크,
24 : 에어크리너,25 : 스로틀 밸브,
27 : 압력 센서.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부하상태등에 따라서 소정의 기통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하상태등에 따라서 소정의 기통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휴통 엔진에 있어서, 어떤 회전수에서 스로틀 개도가 작을 때에는 휴통운전이 쪽이 큰 출력축 토크가 얻어지고, 스로틀 개도가 커지게 되면 전통 운전의 쪽이 큰 출력축 토크가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휴통엔진에 있어서 휴통운전과 전통 운전과의 절환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통운전시와 전통운전시의 동일 스로틀 개도로 출력축 토크가 동일한 점(크로스 포인트)에서 행하는 것이 통상적인 예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절환하면, 본래의 토크차이가 없어지고 쇽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휴통운전 상태에서 전통운전 상태로의 이행시, 흡기계(吸氣系)의 용적 때문에, 즉시 전체 기통요구의 흡기관 내압으로 되지 않고, 즉 절환 직후의 흡기관내는 높고 다량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절환되게 되므로, 큰 토크가 발생하여 그것이 엔진 마운트, 구동계, 차륜을 통과해서 차체 쇽크로서 나타난다.
상기 토크 차에 의한 쇽크는 변속기의 변속비가 작은 고속단(3, 4, 5 속등)에서는 그다지 신경쓰이지 않으나, 변속비가 큰 저속단(1, 2속)에서는 작은 토크변화가 차체 쇽크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흡배기 밸브의 구동상태를 변경하므로서 작동 기통수를 절환하는 작동 기통수 절환 수단과, 상기 엔진의 부하상태를 검출하는 부하검출수단과, 상기 부하상태에 따라 상기 작동 기통수 절환수단으로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절환 제어수단과, 변속기의 변속단을 검출하는 변속단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속단 검출 수단이 저속단을 검출할 때에는, 변속단 검출수단은 저속단이 아닌 단수를 검출할 때 보다도 상기 절환 제어수단이 저부하로 상기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이다.
상기 부하 검출수단은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압력센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이며, 상기 부하 검출수단은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이며, 상기 부하 검출수단은 상기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이고, 상기 부하 검출수단은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공기 유량 센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이다.
또한, 저속단은 1속단, 2속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이며, 상기 절환 제어수단은, 저속용 캠과 고속용 캠이 장착되어 있는 캠축과, 상기 캠축에 인접되고, 엔진의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커 축부와, 상기 로커 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흡배기용의 밸브에 맞대이는 아암부로 형성된 레버 부재와, 상기 로커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속용 캠에 의해 요동되는 저속용 로커아암과, 상기 로커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속용 캠에 의해 요동되는 고속용 로커아압과, 상기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을 각 캠에 맞대이도록 가압하는 복수의 아암 스프링 수단과, 상기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과 상기 로커 축부와의 걸어맞춤 또는 이탈을 행하는 절환기구 수단과, 상기 절환기구 수단을 유압에 의해 엔진운전 상태에 따라 작동시키는 유압 공급 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이다.
상기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은 상기 아암부 양측의 상기 로커 축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이며, 상기 저속용 로커 아암과 고속용 로커 아암을 상기 저속용 캠과 고속용 캠에 각각 구동되어, 또한 상기 저속용 로커 아암과 상기 고속용 로커 아암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베어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이며, 상기 절환제어수단은 상기 부하 상태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맵(map)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이며, 상기 맵은 변속기가 저속단인때에 선택되는 맵과, 변속기가 저속단이 아닌때에 선택되는 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이며, 상기 맵은 엔진 회전속도가 커짐에 따라서 상기 절환 신호를 거의 고부하측에서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이며,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흡배기 밸브의 구동을 절환하므로서 작동 기통수를 절환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의 부하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이 부하 검출에 의해 상기 작동 기통수를 절환하는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변속기의 변속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단이 저속단으로 검출할때, 이 변속단이 저속단이 아닌 단수라고 검출하였을 때 보다도 저부하로 상기 작동 기통수를 절환하는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 방법이다.
상기 부하의 검출은 상기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압력센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이며, 상기 부하의 검출은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이며, 상기 부하의 검출은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 방법이며, 상기 부하의 검출은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공기 유량 센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이며, 상기 저속단은 1속단, 2속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방법이며,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절환은, 저속용 캠과 고속용캠이 장착되어 있는 캠축과, 상기 캠축에 인접되고, 엔진의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커 축부와 상기 로커 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흡배기용의 밸브에 맞대이는 아암부로 형성된 레버부재와, 상기 로커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속용 캠에 의해 요동되는 저속용 로커아암과, 상기 로커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속용 캠에 의해 요동되는 고속용 로커 아암과, 상기 저속 및 고속용 아암을 각 캠에 맞대이도록 가압하는 복수의 아암 스프링 수단과, 상기 저속 및 고속용 아암과 상기 로커 및 축부와의 걸어맞춤 또는 이탈을 행하는 절환기구수단과, 상기 절환기구 수단을 유압에 의해 엔진 운전 상태에 따라 작동시키는 유압 공급 수단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절환 제어방법이다.
상기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은 아암부의 양측의 상기 로커 축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이며, 상기 절환신호의 출력은 상기 부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므로서 설정되는 복수의 맵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을 한다. 제 2 도에서는 휴통엔진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부호 21은 휴통엔진이고, 이것의 흡기밸브에 대해서는 저속시에 휴통 상태를 달성하는 밸브장치(1)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밸브장치(1)는 저속, 고속시에서의 밸브의 개폐시기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도 갖고 있다.
도면부호 22는 흡기계를 이루는 흡기관, 23은 이것의 써지 탱크, 24는 흡기관 입구의 에어크리너, 25는 스로틀 밸브로, 스로틀 밸브의 개도는 스로틀 위치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제어장치(ECU)(26)에 입력한다.
도면부호 29는 트랜스미션측에 설치되어 있는 1, 2속단 검출스위치로, 예를들면 1, 2속인때에 온(ON) 신호가 제어장치에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고 있는 밸브장치는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밸브장치(1)는 캠축(2)과 로커 축부(3)를 구비하고, 캠축(2)에는 작은 리프트량을 갖는 저속용 캠(4) 및 큰 리프트량을 갖는 고속용 캠(5)이 고정되어 있다.
그래서, T형 레버(30)는 로커 축부(3)의 중앙부에서 평면이 거의 T자 형상의 아암부(6)의 기단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로커 축부(3)의 양측에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7, 8)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부(6)의 요동끝은 예를 들면, 흡기밸브(9)의 밸브스템 단부에 맞대여져 있다.
한편,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7, 8)은, 각각 기단을 로커 축부(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져 있으며 요동끝에는 롤러 베어링(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7, 8)은, 각각 기단을 로커 축부(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져 있으며 요동끝에는 롤러 베어링(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7, 8)에 있어서 요동끝은 저속용 캠(4)측을 표시하고 있는 제6도에 있어서, 롤러 베어링(10)의 지지부와는 별도로 돌기부(7A, 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7A)는 실린더헤드(11)에 설치되어 있는 아암 스프링(12)의 선단에 위치되는 플런저(13)에 맞대여서 도면중,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롤러 베어링(10)을 캠에 압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7, 8)에는, 중심부를 경계하여 그것의 반경방향의 한편으로 향하여 관통되는 걸어맞춤구멍(7B, 8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걸어맞춤 구멍(7B, 8B)은 후술되는 연결 플런저의 통로를 이루는 것으로 되어있다.
또한, 로커 축부(3)의 내부에는, 축중심부에서 축방향을 따라서 유압통로(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압통로(3A)에서 상기 걸어맞춤구멍(7B, 8B)의 대향되는 위치에서는, 유압통로(3A)와 직교하는 상태로, 캠(4, 5)의 베이스 원이 상기 롤러 베어링(10)에 마주하였을 때에 중심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는 관통구멍(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관통구멍(3B)내에는, 이 관통구멍(3B)과 상술된 걸어맞춤구멍(7B, 8B)과의 사이를 돌출 가능한 연결 플런저(14)가 장착되어 있다. 즉, 연결 플런저(14)는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7, 8)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구멍(7B, 8B)측을 머리부로 하고, 예를들면 상술된 관통구멍(3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머리부와 반대측의 끝부분에 형성된 칼러(Cllar; 14A)와 로커 축부(3)내의 지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15)에 의해, 통상시에는 아래편으로 향해 가압되어서 머리 부분이 걸어맞춤구멍(7B, 8B)으로부터 관통구멍(3B) 안으로 향해 몰입되는 상태로 설정되어져 있다.
한편, 상술된 로커 축부(3)내의 유압통로(3A)에는, 유압설정수단(16)의 출력로(31)가 접속되어 있다. 이 유압 설정수단(16)은 운전상태에 따라 상술된 유압통로(3A)내의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저속 고속용의 전자구동식 방향 절환 밸브(16A, 16B)를 구비하여, 이들의 절환밸브(16A, 16B)가 상기 제어장치(26)에 의해 제어된다.
전자 구동식 방향 절환밸브(16A)는, 본 실시예의 경우, 저속용과 고속용이 2경로로 각각 설치되어져 있으며, 각 절환밸브(16A, 16B)는 오일펌프(17)로부터의 통로와 대기압 개방압이 설정되어 있는 귀환로와 로커축부(3)내의 유압통로(3A)와의 3위치를 갖고, 여자되지 아니한 통상시에는 오일펌프(17)로부터의 오일이 귀환로로 도입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8도에서 고속측에 위치되는 전자 구동식 방향 절환밸브(16A)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통로(3A)내에서의 압력은 낮은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연결 플런저(14)는 압축스프링(15)의 가압에 의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맞춤구멍(7B, 8B)에서 벗어난 상태로 된다.
한편, 제어장치(26)에는 엔진 회전수 센서, 공연비(空燃比)검출용이 O2센서, 액셀 개도 검출용의 스로틀 위치 센서를 비롯하는 운전상태 검출용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며, 이들 각 센서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저속상태 및 고속상태 및 부하상태를 판별하여, 저속, 고속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 구동방식 절환밸브(16A)로의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전자구동식 방향 절환밸브(16A)가 여자되면, 오일펌프(17)로부터의 오일이 유압통로(3A)에 공급되어 그 통로내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제어장치(26)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 공연비 및 액셀 개도의 입력정보에 의해 비교적 저속인 상태인 것을 판별한 경우는, 저속측에 위치되는 전자구동식 방향 절환밸브가 여자되고, 또한 고속측에 위치되는 전자 구동방식 절환밸브는 통상상태로 설정된다.
상술된 저속측의 전자구동식 방향 절환밸브(16A)는 여자되므로서, 오일펌프(17)로부터의 오일을 유압통로(3A)를 향해 압송하는 상태로 절환되고, 또한 고속측에 위치된 전자 구동식 방향 절환밸브는 여자되지 아니함으로써 초기 상태를 유지하여 고속측의 유압통로(3A)내로의 오일의 공급을 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저속측에 위치되는 연결 플런저(14)는, 제7도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15)의 가압에 대항해서 저속용 로커 아암(7)의 걸어맞춤구멍을 향해 돌출하여 로커 축부(3)와 저속용 로커아암(7)을 일체화하고, 저속용 로커 아암(7)과, 로커 축부(3)와의 사이의 구동력을 전달을 접한 상태로 되므로서 저속용 캠(4)에 의한 밸브의 개폐제어가 행해지도록 하고, 또한 고속측에서의 연결 플런저(14)는 제7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로커 축부(3)의 관통구멍(3B)내에 몰입된대로 고속측에 위치되는 고속용 로커 아암(8)과 로커 축부(3)와의 사이의 구동력의 전달을 끊은 상태로 유지하여, 고속용 캠(5)에 의한 밸브의 개폐제어의 작용이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엔진의 회전이 상승하여 고속회전 영역에 이르면, 상술된 저속시에서의 전자구동식 방향 절환밸브(16A, 16B)에 대한 여자설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7도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측에 위치되는 연결 플런저(14)가 고속용 로커 아암(8)의 걸어맞춤구멍(8B)을 향해서 돌출하는 것으로 로커축부(3)와 고속용 로커 아암(8)을 일체화하고, 고속측에 위치하는 고속용 로커 아암(8)과 로커축부(3)와의 사이의 구동력의 전달을 접한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이때 저속측의 연결 플런저(14)는 저속용 로커 아암(7)의 걸어맞춤구멍에서 빠져서 로커 축부(3)의 관통구멍(3B)내에 몰볼입하는 상태로 변환된다.
이 결과, 고속용 캠(5)에 의한 밸브의 개폐제어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상술된 저속시에 있어서, 예를들면, 스로틀 위치 센서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아이들링등의 저부하상태에서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판별한 경우에는, 선택된 기통에 있어서 저속·고속측의 캠에 의한 개폐제어를 하지 아니하도록 된다.
즉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어장치(26)에서, 저속측 및 고속측에 위치하는 전자구동식 방향 절환밸브에 대한 여자설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저속측 및 고속측의 어느것의 전자구동식 방향 절환밸브(16A, 16B)에 의한 오일의 압송상태가 설정되지 아니하므로, 로커 축부(3)의 유압통로(3A)내의 압력은 상승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각측의 연결 플런저(14)가 압축 스프링(15)의 가압에 의해 관통구멍(3B)내에 몰입하는 통상 상태로 설정되어, 저속 및 고속용 서브로커 아암(7, 8)과 로커 축부(3)와의 사이의 구동력의 전달을 끊은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7, 8)을 저속용 및 고속용 캠(4, 5)에 의한 개폐제어가 되지 않는 소위, 밸브정지 상태로 되어 여기에 휴통상태를 설정하게 된다. 그래서, 이 휴통상태는 접하 상태가 해제된 시점에서 엔진 회전수에 의한 연결 플런저(14)의 작동상태의 설정으로 절환된다.
변속기가 1, 2속의 저속단에 있을 때에는, 상기 휴통 상태로부터 전통운전 상태로의 절환은 절환쇽크를 경감하기 때문에 보다 저부하측에서 행해진다. 그로 인하여,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1, 2속단 이외의 때의 절환 판정맵()외에, 절환 포인트를 보다 저부하측으로 시프트시킨 맵()을 미리 작성하여 둔다. 또한, 부하는 상술한 압력 센서(27)로 측정된 부스트 압으로 대표시켜, 가로축으로 회전수, 세로축으로 부스트압을 취하고 있다.
다음은, 휴통/전통 절환제어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엔진 회전수, 부스트압이 검출되고, 이어서 변속기의 1, 2속단 검출 스위치(29)가 온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는, 1, 2속 상태는 아니므로, 맵()에 의거해 휴통운전 상태와 전통운전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진다.
1, 2속단 검출 스위치(29)가 온으로 판단될 경우는, 절환 포인트를 보다 저부하측으로 어긋난 맵()에 의거해 휴통 운전 상태와 전통운전 상태와의 절환이 행해진다. 보다 저부하측에서 절환이 이루어지므로 절환 쇽크는 저감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부하상태를 부스트압으로 보고 있으나, 엔진 회전수에 대한 흡입공기량 등 그밖에 요소에 의해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밸브장치(1)도 일예이며, 휴통 상태가 달성할 수 있는 그밖의 기구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통엔진의 전통/휴통 절환 제어방법에 의하면, 변속기가 저속단에 있을때에는 보다 저부하인 때에 휴통전통을 절환하도록 하였으므로, 과도한 토크의 발생이 방지되고 절환쇼크가 경감된다.

Claims (21)

  1.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흡배기 밸브의 구동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작동기통수를 절환하는 작동 기통수 절환수단과, 상기 엔진의 부하상태를 검출하는 부하검출수단과, 상기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작동 기통수 절환수단으로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절환 제어수단과, 변속기의 변속단을 검출하는 변속단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변속단 검출수단이 저속단을 검출한때에는, 변속단 검출 수단이 저속단이 아닌 단수를 검출한 때보다도 상기 절환 제어수단이 저부하로 상기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수단은 상기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압력센서(27)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수단은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수단은 상기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수단은 상기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공기 유량 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단은 1속단, 2속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제어수단은, 저속용 캠(4)과 고속용 캠(5)이 장착되어 있는 캠축(2)과, 상기 캠축(2)에 인접되고, 엔진의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커 축부(3)와, 상기 로커 축부(3)와 일체로 형성되어 흡배기용의 밸브(9)에 맞대이는 아암부(6)로 형성된 레버 부재와, 상기 로커 축부(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속용 캠(4)에 의해 요동되는 저속용 로커 아암(7)과, 상기 로커 축부(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속용 캠(5)에 의해 요동되는 고속용 로커 아암(8)과, 상기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을 각 캠에 맞대이도록 가압하는 복수의 아암 스프링 수단(12)과, 상기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과 상기 로커 축부와의 걸어맞춤 또는 이탈을 행하는 절환기구 수단과, 상기 절환기구 수단을 유압에 의해 엔진 운전 상태에 따라 작동시키는 유압 공급 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7, 8)은 상기 아암부(6) 양측의 로커 축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용 로커 아암(7)과 고속용 로커 아암(8)을 상기 저속용 캠(4)과 고속용 캠(5)에 각각 구동되어, 또한 상기 저속용 로커 아암(7)과 상기 고속용 로커 아암(8)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베어링(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제어수단은 상기 부하 상태와 엔진의 회전속도에 의해 설정되는 복수의 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맵은 변속기가 저속단인때에 선택되는 맵()과, 변속기가 저속단이 아닌때에 선택되는 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맵은 엔진 회전속도가 커짐에 따라서 상기 절환 신호를 거의 고부하측에서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장치.
  13.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흡배기 밸브의 구동을 절환하므로서 작동 기통수를 절환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의 부하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이 부하 검출에 의해 상기 작동 기통수를 절환하는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변속기의 변속단을 검출하는 단계와, 이 변속단이 저속단으로 검출되었을 때, 상기 변속단이 저속단이 아닌 단수라고 검출하였을 때 보다도 저부하로 상기 작동 기통수를 절환하는 절환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검출은 상기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압력 센서(27)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검출은 상기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검출은 상기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검출은 상기 엔진의 흡기관내에 설치된 공기 유량 센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단은 1속단, 2속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절환은, 저속용 캠(4)과 고속용 캠(5)이 장착되어 있는 캠축(2)과, 상기 캠축(2)에 인접되고, 엔진의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커 축부(3)와 상기 로커 축부(3)와 일체로 형성되고 흡배기용의 밸브(9)에 맞대이는 아암부(6)로 형성된 레버부재와, 상기 로커 축부(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속용 캠(4)에 의해 요동되는 저속용 로커 아암(7)과, 상기 로커 축부(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속용 캠(5)에 의해 요동되는 고속용 로커 아암(8)과, 상기 저속 및 고속용로커 아암을 상기 각 캠에 맞대이도록 가압하는 복수의 아암 스프링(12)과, 상기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과 상기 로커 및 축부와의 걸어맞춤 또는 이탈을 행하는 절환기구 수단과, 상기 절환기구 수단을 유압에 의해 엔진 운전 상태에 따라 작동시키는 유압 공급 수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절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및 고속용 로커 아암은 아암부(6)의 양측의 상기 로커 축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신호의 출력은 상기 부하 상태를 검출하는 것과,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복수의 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방법.
KR1019930004675A 1992-03-26 1993-03-25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27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68238 1992-03-26
JP4068238A JPH05272367A (ja) 1992-03-26 1992-03-26 休筒エンジンの切換え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996A KR930019996A (ko) 1993-10-19
KR0127493B1 true KR0127493B1 (ko) 1997-12-29

Family

ID=1336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675A KR0127493B1 (ko) 1992-03-26 1993-03-25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96229A (ko)
EP (1) EP0562561B1 (ko)
JP (1) JPH05272367A (ko)
KR (1) KR0127493B1 (ko)
DE (1) DE6931118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4627B2 (ja) * 1994-12-28 2005-08-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DE10003944A1 (de) 2000-01-29 2001-08-02 Porsche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variabler Ventilsteuerung
KR100404773B1 (ko) * 2000-03-21 2003-11-07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구동밸브를 가지는 내연기관
US6308670B1 (en) 2000-07-06 2001-10-30 Ford Global 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valve timing
US6390040B1 (en) 2000-07-07 2002-05-21 Ford Global Tech., Inc. Valve timing system for dynamically suppressing cylinder knock within a camless engine
US6386179B1 (en) 2000-07-07 2002-05-14 Ford Global 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cylinder output torqu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05706B1 (en) 2000-08-02 2002-06-18 Ford Global 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mixture preparation contro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31129B1 (en) 2000-08-25 2002-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ient load response in a camless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43422B1 (en) 2001-06-08 2002-09-03 Eat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n actuator on a real-time basis
KR20020095384A (ko) 2001-06-14 2002-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연기관의 휴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3094987A (ja) * 2001-09-20 2003-04-03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および変速機の制御装置
JP3915771B2 (ja) 2003-11-07 2007-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機関出力トルク参照式多気筒内燃機関減筒制御装置
US7128043B2 (en) * 2004-03-19 2006-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valve control based on a vehicle electrical system
US7555896B2 (en) * 2004-03-19 2009-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ylinder deactivat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072758B2 (en) 2004-03-19 2006-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torque control for an engine with valves that may be deactivated
US7559309B2 (en) * 2004-03-19 2009-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to start electromechanical valves o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28687B2 (en) * 2004-03-19 2006-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valve contro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65391B2 (en) * 2004-03-19 2007-01-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to reduce engine emissions for an engine capable of multi-stroke operation and having a catalyst
US7021289B2 (en) * 2004-03-19 2006-04-04 Ford Global Technology, Llc Reducing engine emissions on an engine with electromechanical valves
US7194993B2 (en) * 2004-03-19 2007-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arting an engine with valves that may be deactivated
US7383820B2 (en) * 2004-03-19 2008-06-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mechanical valve timing during a start
FR2883069A1 (fr) * 2005-03-14 2006-09-15 Giat Ind Sa Banc d'essai simulant une boite de vitesses
JP6079798B2 (ja) * 2015-02-18 2017-02-15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4991A (en) * 1976-08-23 1978-08-08 Ford Motor Company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rability of one or more cylinders of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114863A (en) * 1977-03-11 1978-09-19 Patsie Carmen Campana Thermal torch and method
US4227505A (en) * 1977-04-27 1980-10-14 Eaton Corporation Valve selector control system
US4535732A (en) * 1983-06-29 1985-08-2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alve disabl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6050240A (ja) * 1983-08-30 1985-03-19 Mazda Motor Corp 気筒数制御エンジン
KR950005088B1 (ko) * 1990-07-10 1995-05-18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자동차용 동력 밸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55875B2 (en) 1995-01-12
EP0562561B1 (en) 1997-06-04
KR930019996A (ko) 1993-10-19
JPH05272367A (ja) 1993-10-19
DE69311180D1 (de) 1997-07-10
EP0562561A1 (en) 1993-09-29
DE69311180T2 (de) 1998-01-08
US5496229A (en) 1996-03-05
AU3548393A (en) 199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493B1 (ko) 휴통엔진의 절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WO2007037177A1 (ja) 可変動弁装置
JPH0368217B2 (ko)
US5709179A (en) Engine cylinder valve control system
US6915769B2 (en) Variable valv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432205B2 (ko)
JPS61164009A (ja) 低騒音高出力化動弁系システム
JP4123589B2 (ja) 内燃機関の吸排気弁駆動制御装置及びv型内燃機関
JP2637643B2 (ja) 弁作動特性可変制御装置
JPH0515887B2 (ko)
JP2755021B2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4632636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S6193216A (ja) 低騒音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
JPH05306637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522207Y2 (ja)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JPH08105334A (ja) 休筒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663762B2 (ja)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JPH0584805B2 (ko)
JPH07180575A (ja) 休筒エンジンの切替制御装置
JP3316656B2 (ja)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切換制御装置
JP2005282464A (ja) 気筒休止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装置
JP2982099B2 (ja) エンジンの可変バルブ切り換え制御装置
JPH0413381Y2 (ko)
JPH08105332A (ja) エンジンの回転速度制御装置
JP2755020B2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