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20Y1 - 자동차의 리어글라스 성에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글라스 성에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20Y1
KR0126420Y1 KR2019960012963U KR19960012963U KR0126420Y1 KR 0126420 Y1 KR0126420 Y1 KR 0126420Y1 KR 2019960012963 U KR2019960012963 U KR 2019960012963U KR 19960012963 U KR19960012963 U KR 19960012963U KR 0126420 Y1 KR0126420 Y1 KR 0126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rear heating
heating
glass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927U (ko
Inventor
표인종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2019960012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420Y1/ko
Publication of KR970061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글래스 성에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주행시에 발생하는 뒷시야의 범위를 확대하고, 안전운행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보다 빠른 시간에 성에를 제거하는 데 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인스트르먼트 패널에 내장된 히터의 하측에 연통되게 결합된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와, 상기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에서부터 좌우 리어 히팅 덕트를 갖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는 분기된 좌우 리어 히팅 덕트이외에 중앙 리어 히팅 덕트를 가지고, 상기 중앙 리어 히팅 덕트는 여러개의 덕트로 구성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적어도 한 개이상으로 분기되며, 상기 분기된 중앙 리어 히팅 덕트는 앞뒤좌석 시트 하측을 지나 리어 글라스의 직전에 설치된 리어 패널상까지 연장되어 히터에서 송출된 온풍이 상기 중앙 리어 히팅 덕트를 통과하여 리어 글래스의 성에를 제거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의 성에제거장치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글라스 성에제거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의 리어 히팅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의 리어 히팅 덕트를 설치한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히터장치의 리어 히팅 덕트가 리어판넬까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글라스에 발생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히터장치의 리어 히팅 덕트가 리어 패널까지 연장된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b,1c : 중앙 리어 히팅 덕트 2 : 에어 벤트 그릴
10 :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 11,12 : 좌우측 리어 히팅 덕트
30 : 프런트 글래스 40 : 리어 글래스
50 : 인스트르먼트 패널 60 : 리어 패널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인스트르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에 내장된 난방장치(heater)에 연통된 리어 히팅 덕트(rear heating duct)를 리어 패널(rear pannel)까지 연장하여 동계시에 난방공기를 리어글래스(rear glass)에 송출하여 적용함으로서 성에를 제거하는 성에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능력은 주위의 환경(온도, 습도, 소음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는 개인에 따라 또는 계절이 따라 또는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적정범위내에서 한정된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다.
특히, 제한된 실내공간을 갖는 자동차의 경우에서는 계절과 기상조건 및 모든 주행조건하에서도 실내는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승차인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되는 추세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승차인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도록 공기조화장치를 장착하는 바,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공간을 가열하거나 냉각, 또는 가습하거나 감습, 또는 공기를 여과하거나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서 주위의 변화에 따라서 적절하게 공기의 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통상적인 공기조화장치는 냉방장치와 난방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냉방장치는 하절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고, 상기 난방장치는 동절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실내늬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방장치(에어콘)와 난방장치(히터)는 일반적으로 인스트르먼트 패널내부에 설치되며, 풍향은 앞좌석승객의 상반신에 향하도록 인스트르먼트 패널의 좌우 또는 중앙부에 에어 디퓨저(air diffuser)가 설치된다.
즉, 공기조화장치의 통풍경로에서 동절기에 사용하는 온풍을 뿜어낼 목적의 에어 디퓨저중 앞과 뒷좌석 승객의 발밑을 겨냥하여 좌우에 각각 리어 히팅 덕트(rear heating duct)가 난방장치와 연통된다.
더욱이, 뒷좌석의 승차감을 중시하는 고급승용차의 일부분에는 뒷자석의 승객을 위한 리어 벤트(rear vent)를 설치한 것도있다.
종래에는 인스트르먼트 패널에 내장된 난방장치(heater)의 경우, 난방장치의 상부에는 덕트 어셈블리(duct assembly)를 결합하고, 인스트르먼트 패널의 좌우에 히터에서 뿜어낸 온풍이 송출가능하도록 에어 덕트를 조우방향으로 신장한다. 또한, 프런트 글라스(front glass)에 히터에서 뿜어낸 온풍이 성에를 제거하도록 좌우로 연장된 디프로스터 노즐 어셈블리(defroster nozzle assembly)가 연통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난방장치의 하측으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난방장치에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10 : rear heating joint duct)가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덕트(10)에는 좌우 리어 히팅 덕트(11,12 : rear heating duct)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상기 덕트(11,12)의 단부(11a,12a)는 그릴(grille)형상의 커버가 조립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히터에서 내뿜은 온풍은 디프로스터 노즐 어셈블리를 경유하여 프런트 글라스(30)에 성에를 제거하는 방향(A방향)으로 송출되고, 또한 에어덕트를 경우하여 인스트르먼트 판넬(50)의 좌우방향(B방향)으로 송출되고, 또한,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10)를 통과하고, 좌우측 리어 히팅 덕트(11,12)를 경유하여 운전자나 앞좌석승객의 발밑에서 상방(C방향)으로 송출된다. 따라서, 차내의 온도가 상승하고, 프런트 글래스(30)에서 형성된 성에가 제거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난방장치의 작동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동절기에 자주 프런트 글래스(30), 리어 글래스(40) 및 사이드 도어 글래스에 형성되는 성에중 프런트 글래스(30)의 성에는 히트의 온풍으로 인하여 짧은 시간에 제거되고, 리어 글래스(40)에 형성된 성에는 공지의 열선이 형성되어 상기 열선의 열에 의해 성에를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난방장치는 통풍구를 통한 차실내의 환기, 냉방 또는 난방시 통풍구가 인스트르먼트 패널과 앞좌석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동절기때 외부기온의 강하고 인하여 글래스에 성에가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열선으로 리어 글래스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때문에 주행시에 열선에 의해 운전자의 뒷시야의 확보에 장애가 발생되어 안전운행에 방해가 된다. 심한경우에는 자동차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스트르먼트 패널에 내장된 히터의 에어 덕트를 리어 글래스까지 연장함으로서 동절기에 자동차의 리어 글래스에 형성된 성에를 히터에서 발생한 온풍을 내뿜음으로서 성에를 제거하여 주행시에 발생하는 운전자의 뒷시야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사절기에 자동차의 리어 글래스에 설치된 열선을 제거되어짐으로서 운전자의 관점에서 주행시에 안전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동절기에 리어 글래스의 성에제거시 보다 빠른시간에 성에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인스트르먼트 패널에 내장된 히터의 하측에 연통되게 결합된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와, 상기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에서부터 좌우 리어 히팅 덕트를 갖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는 분기된 좌우 리어 히팅 덕트이외에 중앙 리어 히팅 덕트를 가지고, 상기 중앙 리어 히팅 덕트는 여러개의 덕트로 구성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적어도 한 개이상으로 분기되며, 상기 분기된 중앙 리어 히팅 덕트는 앞뒤좌석 시트 하측을 지나 리어 글라스의 직전에 설치된 리어 패널상까지 연장되어 히터에서 송출된 온풍이 상기 중앙 리어 히팅 덕트를 통과하여 리어 글래스의 성에를 제거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진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할 때,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인스트르먼트 패널(50)에 내장된 히터에서 송출된 온풍이 리어 글래스(40)의 성에를 제거가능하도록 히터의 하측에 결합된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10)에서 분기된 좌우 리어 히팅 덕트(11,12)사이에 중앙 리어 히팅 덕트(1)를 추가로 분기한다.
즉, 기존에는 좌우측 리어 히팅 덕트(11,12)가 양방향으로 분리되고, 상기 좌우측 리어 히팅 덕트(11,12)의 단부(11a,11b)에 에어 벤트 그릴(air vent grille)을 조립하여 자동차의 앞좌석 바닥면에서 온풍이 송출되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좌우 리어 히팅 덕트(11,12)사이에 중앙 리어 덕트(1)를 추가로 분기하여 상기 리어 히팅 덕트(1)내에도 온풍이 통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10)에서 분기된 중앙 리어 히팅 덕트(1)는 앞뒤좌석 시트(72,74)의 하측을 지나는 리어 히팅 덕트(1a,1b)가 마련되고, 상기 리어 히팅 덕트는 리어 패널(60)에 거의 이르렀을 때, 상기 리어 히팅 덕트(1b)가 분기되며, 상기 분기되는 지점(P)을 중심으로하여 적어도 두 개이상 분기된다.
상기 중앙 리어 히팅 덕트(1)는 앞뒤좌석 시트(72,74)의 하측을 지나게 설치되고, 뒷좌석의 시트백의 후방에서 상방쪽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상기 연장된 리어 히팅 덕트(1b)는 뒷좌석 후방에 설치된 리어 패널(60)까지 연장된다. 상기 연장되어 문기된 리어 히팅 덕트(1c)의 단부에 에어 벤트 그릴(2)을 설치하여 온풍이 상기 에어 벤트 그릴(2)을 통과하여 D방향으로 송출되어 리어 글래스(40)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난방장치를 작동시키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거리상으로 가장가까운 인스트르먼트 패널(50)에서 온충이 송출되어 프런트 글래스(30)의 성에를 제거하는 방향(A방향)과 동시에 상부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향(A방향)으로 송출되고, 운전자의 정면방향(B방향)으로 온풍이 송출된다. 또한, 운전자나 그의 옆좌석의 바닥에서 온풍이 상방(C방향)으로 송출되어 차내의 공기온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난방장치에서 내뿜은 온풍이 중앙 리어 덕트(1,1a,1b)를 지나 리어 패널(60)까지 연장된 리어 덕트(1c)를 계속해서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에어 벤트 그릴(2:air vent grill)을 통과하여 리어 글래스(40:rear glass)에 송출(D방향)된다. 상기 송출된 온풍은 리어 글래스(40)의 성에를 제거하고, 계속적으로 이동하여 사이드 글래스까지 이동함으로서 사이드 글래스의 성에제거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동절기에 기존보다 하나 더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가 시트의 하측을 지나 리어 패널상까지 연장되게하여 히터에서 내뿜은 온풍이 리어 글래스까지 도달하게 함으로서 리어 글래스의 성에 제거시에 운전자의 뒷시야가 확대되고, 사절기에도 열선이 제거되어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제공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자동차의 인스트르먼트 패널에 내장된 히터의 하측에 연통되게 결합된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와, 상기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에서부터 좌우 리어 히팅 덕트를 갖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 히팅 조인트 덕트는 분기된 좌우 리어 히팅 덕트이외에 중앙 리어 히팅 덕트를 가지고, 상기 중앙 리어 히팅 덕트는 여러개의 덕트로 구성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적어도 한 개이상으로 분기되며, 상기 분기된 중앙 리어 히팅 덕트는 앞뒤좌석 시트 하측을 지나 리어 글라스의 직전에 설치된 리어 패널상까지 연장되어 히터에서 송출된 온풍이 상기 중앙 리어 히팅 덕트를 통과하여 리어 글래스의 성에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글래스 성에제거장치.
KR2019960012963U 1996-05-22 1996-05-22 자동차의 리어글라스 성에 제거장치 KR0126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963U KR0126420Y1 (ko) 1996-05-22 1996-05-22 자동차의 리어글라스 성에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963U KR0126420Y1 (ko) 1996-05-22 1996-05-22 자동차의 리어글라스 성에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927U KR970061927U (ko) 1997-12-10
KR0126420Y1 true KR0126420Y1 (ko) 1998-10-15

Family

ID=1945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963U KR0126420Y1 (ko) 1996-05-22 1996-05-22 자동차의 리어글라스 성에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4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927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6041B2 (ko)
EP2500192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0126420Y1 (ko) 자동차의 리어글라스 성에 제거장치
JPS5923610Y2 (ja) 自動車の車室内空調機構
KR100211376B1 (ko) 자동차용 냉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160432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面冷房構造
JP449668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43758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JP2001080344A (ja) 車両用空調装置
RU2111131C1 (ru) Отопительно-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ло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54376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KR200147899Y1 (ko) 리어 시트의 푸트 레스트
KR10055061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트 덕트 구조
JP4342236B2 (ja) 車両用風向調節装置
JP200206766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8928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201690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653223U (ja) 建設車両用空調装置
KR202201690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81248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CN113085486A (zh) 车辆用集成式气帘系统及车辆
JPS6152009B2 (ko)
JP2557414Y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00050024A (ko) 자동차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JP2006290221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