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093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093A
KR20220169093A KR1020210079086A KR20210079086A KR20220169093A KR 20220169093 A KR20220169093 A KR 20220169093A KR 1020210079086 A KR1020210079086 A KR 1020210079086A KR 20210079086 A KR20210079086 A KR 20210079086A KR 20220169093 A KR20220169093 A KR 20220169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roof
discharge port
hv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수
석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21007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093A/ko
Publication of KR20220169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07Nozzles; Air-diffusers providing an air stream in a fixed direction, e.g. using a grid or porous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전열 및 후열시트가 배치되고, 상측에 루프부가 형성된 차량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열시트 전방에 설치되며, 제1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전방HVAC; 상기 전열시트와 전방HVAC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HVAC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토출구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토출구; 상기 후열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HVAC; 상기 루프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HVAC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하측으로 토출되는 루프토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토출구 및 루프토출구는, 각각 차량의 좌우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토출구 및 루프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복수개의 홀을 통해 공기가 분산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그릴부 및 루프그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전방그릴부 및 루프그릴부의 복수개의 홀을 통해 공기가 분산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공기가 토출되며,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넓은 토출 면적을 확보하여 집중토출 시 필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vehic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전방에 HVAC(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가 설치되어 차량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또는 우천 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 송풍기를 통해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전석의 전면 중앙부 및 후석의 전면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공조장치의 공기 분출구에서 공기를 분출하는데 차창 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디프로스트 벤트와 앞좌석 탑승객 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페이스 벤트 및 앞좌석 바닥 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플로어 벤트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최근 고급 차량 및 레저 차량 등에는 뒷좌석 탑승객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콘솔 벤트(Console Vent)나 필러벤트(Pillar Vent)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향후 개발될 미래차량의 경우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과 탑승 시 정숙함 유지 및 후석 탑승자의 실내 거주성 및 수납성 증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차량에는 후석의 공조를 위해 보조 공조장치 적용이 필요하며, 공조장치 적용 시 차량 실내공간을 침범하지 않아야 한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를 토출하여 좁은 덕트를 통해 좁은 그릴로 통과시키며, 저항이 증가하여 전체적인 소음이 증가하며, 토출된 공기가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집중적으로 토출하게 되어 필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27757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공조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그릴부를 적용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공기가 분산되게 토출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전열 및 후열시트가 배치되고, 상측에 루프부가 형성된 차량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열시트 전방에 설치되며, 제1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전방HVAC; 상기 전열시트와 전방HVAC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HVAC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토출구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토출구; 상기 후열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HVAC; 상기 루프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HVAC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하측으로 토출되는 루프토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토출구 및 루프토출구는, 각각 차량의 좌우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토출구 및 루프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복수개의 홀을 통해 공기가 분산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그릴부 및 루프그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방HVAC는, 상부에 상기 제1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토출구와 인접하며 차량의 앞유리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차량의 바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3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전방공조케이스와, 상기 제1 내지 제3공기토출구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HVAC 및 후방HVAC는, 동일한 사양의 HVAC 또는 다른 사양의 HVAC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전방토출구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그릴부는, 일체형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전방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전방토출구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프레임은, 내벽에 전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그릴부는, 상기 전방돌기의 내측에 체결되는 전방그릴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루프토출구를 형성하는 루프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루프그릴부는, 상기 루프프레임의 중앙 또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루프그릴돌기와, 상기 제1루프그릴돌기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루프프레임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루프그릴돌기와 함께 상기 루프프레임을 감싸는 제2루프그릴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토출구는, 차량의 운전석 측 문으로부터 차량의 조수석 측 문까지 일체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루프토출구는, 상기 루프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전방그릴부 및 루프그릴부의 복수개의 홀을 통해 공기가 분산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공기가 토출되며,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넓은 토출 면적을 확보하여 집중토출 시 필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 중 전방HVAC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전방토출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의 평면에서 바라 본 전방토출구와 전면그릴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 중 후방HVAC의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루프토출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의 저면에서 바라 본 루프토출구와 루프그릴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배부에 전열시트(100a) 및 후열시트(100b)가 배치되고, 상측에 루프부(100c)가 형성되고, 차량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며, 전방HVAC(Front 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110), 후방HVAC(Rear 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115), 전방프레임(120), 덕트부(130) 및 루프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HVAC(110)는 상기 전열시트(100a) 전방에 설치되며, 전방공조케이스(110a)와 제1 내지 제3공기토출구(111 내지 113) 및 제 1 내지 제3도어(111a 내지 113a)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공조케이스(110a)는 상부에 상기 제1공기토출구(1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토출구(111)와 인접하며 차량의 앞유리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공기토출구(112)가 형성되고, 차량의 바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3공기토출구(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도어(111a 내지 111c)는 상기 제1 내지 제3공기토출구(111 내지 114)의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후방HVAC(115)는 상기 후열시트(100b)의 좌측 또는 우측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전방HVAC(110) 및 후방HVAC(115)는 동일한 사양의 공조장치 또는 다른 사양의 HVAC를 사용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20)은 전방토출구(121)와 전방그릴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토출구(121)는 상기 전열시트(100a)와 전방HVAC(11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HVAC(110)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토출구(111)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된다.
또한, 상기 전방토출구(121)는 차량의 운전석 측 문으로부터 차량의 조수석 측 문까지 일체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그릴부(122)는 상기 전방토출구(121)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홀을 통해 공기가 분산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공기가 토출된다.
또한, 상기 전방그릴부(122)는 일체형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전방프레임(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전방프레임(120) 내벽에 전방돌기(120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방그릴부(122)는 별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돌기(120a)의 내측에 체결되는 전방그릴돌기(122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20)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덕트부(130)는 상기 후방HVAC(115)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루프프레임(140)는 루프토출구(141)와 루프그릴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루프토출구(141)는 상기 루프부(110c)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덕트부(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하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루프그릴부(142)는 상기 루프토출구(141)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홀을 통해 공기가 분산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공기가 토출된다.
또한, 상기 루프그릴부(142)는 상기 루프프레임(140)의 중앙 또는 측면에 배치되고, 제1루프그릴돌기(142a)와 제2루프그릴돌기(14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루프그릴돌기(142a)는 상기 루프프레임(14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루프그릴돌기(142b)는 상기 제1루프그릴돌기(142a)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루프프레임(14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루프그릴돌기(142a)와 함께 상기 루프프레임(140)를 감싼다.
상기 전방토출구(121) 및 루프토출구(141)는 각각 차량의 좌우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00a : 전열시트
100b : 후열시트 100c : 루프부
110 : 전방HVAC 110a : 전방공조케이스
111 : 제1공기토출구 111a : 제1도어
112 : 제2공기토출구 112a : 제2도어
113 : 제3공기토출구 113a : 제3도어
115 : 후방HVAC 120 : 전방프레임
120a : 전방돌기 121 : 전방토출구
122 : 전방그릴부 122a : 전방그릴돌기
130 : 덕트부 140 : 루프프레임
141 : 루프토출구 142 : 루프그릴부
142a : 제1루프그릴돌기 142b : 제2루프그릴돌기

Claims (8)

  1. 내부에 전열 및 후열시트가 배치되고, 상측에 루프부가 형성된 차량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열시트 전방에 설치되며, 제1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전방HVAC;
    상기 전열시트와 전방HVAC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HVAC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토출구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토출구;
    상기 후열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HVAC;
    상기 루프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HVAC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하측으로 토출되는 루프토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토출구 및 루프토출구는, 각각 차량의 좌우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토출구 및 루프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복수개의 홀을 통해 공기가 분산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공기가 토출되는 전방그릴부 및 루프그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HVAC는,
    상부에 상기 제1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토출구와 인접하며 차량의 앞유리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차량의 바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3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전방공조케이스와,
    상기 제1 내지 제3공기토출구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HVAC 및 후방HVAC는, 동일한 사양의 HVAC 또는 다른 사양의 HVAC를 사용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토출구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그릴부는, 일체형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전방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토출구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프레임은, 내벽에 전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방그릴부는, 상기 전방돌기의 내측에 체결되는 전방그릴돌기가 돌출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토출구를 형성하는 루프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루프그릴부는, 상기 루프프레임의 중앙 또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루프그릴돌기와, 상기 제1루프그릴돌기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루프프레임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루프그릴돌기와 함께 상기 루프프레임을 감싸는 제2루프그릴돌기가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토출구는, 차량의 운전석 측 문으로부터 차량의 조수석 측 문까지 일체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토출구는, 상기 루프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10079086A 2021-06-18 2021-06-18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169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86A KR20220169093A (ko) 2021-06-18 2021-06-18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86A KR20220169093A (ko) 2021-06-18 2021-06-18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093A true KR20220169093A (ko) 2022-12-27

Family

ID=8456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086A KR20220169093A (ko) 2021-06-18 2021-06-18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0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57A (ko) 2019-09-03 2021-03-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57A (ko) 2019-09-03 2021-03-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6955B2 (en) Air-handl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3622483B2 (ja) 車両の空調装置
US4258555A (en) Air-conditioned passenger motor vehicle
US3289564A (en) Air-conditioning devices for automobile vehicles
US20180065601A1 (en) Windshield defroster with secondary ducted outlet
US6651453B2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2201690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1690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66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5622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03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345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645294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3651237B2 (ja) 車両の空調装置
JP3629938B2 (ja) 車両の空調装置
KR10263512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230264539A1 (en) Overhead Climate Control Unit for Delivery Vehicle
JP3646505B2 (ja) 車両の空調装置
KR10041094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H0880726A (ja) バス用空調装置
JP200334135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622482B2 (ja) 車両の空調装置
KR2016013503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109787A (ko) 차량용 공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