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947Y1 -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947Y1
KR0122947Y1 KR2019950000321U KR19950000321U KR0122947Y1 KR 0122947 Y1 KR0122947 Y1 KR 0122947Y1 KR 2019950000321 U KR2019950000321 U KR 2019950000321U KR 19950000321 U KR19950000321 U KR 19950000321U KR 0122947 Y1 KR0122947 Y1 KR 0122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eflection
wide
current
coi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907U (ko
Inventor
백관승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00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947Y1/ko
Priority to DE19600818A priority patent/DE19600818C2/de
Priority to US08/584,745 priority patent/US5777697A/en
Publication of KR960027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9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7Circuits special to multi-standar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드 티브이(TV)수상기의 직선성을 보정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4:3 표준화면과 16:9의 와이드(또는 줌)화면의 화면비를 서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편향 전류의 크기변화에 따라 왜곡되는 직선성을 보정해 줄 수 있도록 한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에서는, 수평 편향 전류의 크기를 가감하여 화면비에 대응하기 때문에 화면비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수평편향 전류의 변경으로 인한 좌우 비대칭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평편향 코일과 직렬로 인덕턴스값이 가변되는 가변 직선성 코일(8a)을 연결하고, 수평 편향 전류검출부(12)와 버퍼(13), 마이컴(15) 및 증폭부(14)에 의해 주사구간과 4:3, 16:9의 화면 모드에 따라 상기 가변 직선성 코일의 인덕턴스값을 변화시켜 줌으로써 4:3 표준화면과, 16:9의 와이드 화면 모두에 대해 화성의 좌우 직선성을 균일하게 보정해 줄 수 있도록 한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를 제공 한다.

Description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본 고안은 와이드 티브이(TV)수상기의 직선성을 보정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4:3표준화면과 16:9의 와이드(또는 줌)화면의 화면비를 서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편향 전류의 크기변화에 따라 왜곡되는 직선성을 보정해 줄 수 있도록 한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로:세로 화면비 16:9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는 기본적으로 화면비를 16:9와 4:3의 두가지 모드로 표시하고 있으며, 4:3 화면은 전 화상이 표시되는 표준 모드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33%씩 확장한 와이드 줌 모드로 구분되고 있는데, 4:3 표준 모드와 16:9 와이드 모드, 4:3 표준모드와 16:9 줌모드로 변화시킬 때 수평 편향 전류의 크기를 가감하여 줌으로써 화면비를 변화시켜 주고 있다.
제1도는 이러한 종래의 화면비 변환과 그에 따른 직선성 보정회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고, 제2도는 그 상세 회로를 나타낸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종래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구성을 살펴보면, 수평 구동부(1)와, 수평 구동부(1) 출력에 의해 스위칭되는 수평 출력부(2)와, 수평 출력부(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서 수평 편향 톱니파 전류를 흘려주는 댐퍼부(3) 및 튜닝부(4)와, 상기 수평 편향 톱니파 전류가 흐르는 수평 편향 코일부(5)와, 상기 수평 편향 코일부(5)에 의해 수평 편향이 이루어지는 브라운관(6)과, 고압 발생을 위한 플라이백 트랜스(7)와, 상기 수평 편향 코일부(5)의 직선성 보정을 수행하는 직선성 코일부(8)와, 상기 수평 편향 코일부(5)에 S자 보정 전류를 흘려주는 S자 보정부(9)와, 상기 편향시 사이드 핀쿠션 보정을 수행하는 사이드 핀쿠션 출력부(10)와, 사이드 핀쿠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부(10)에 입력해주는 사이드 핀쿠션 증폭부(11)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출력부(2)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고, 상기 댐퍼부(3)는 댐퍼 다이오드(D1)(D2)로 구성되고, 상기 튜닝부(4)는 튜닝 콘덴서(Ct1)(Ct2)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편향 코일부(5)는 편향 코일(Ldy)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성 코일부(8)는 직선성 보정 코일(Llin)로 구성되며, 사이드 핀큐션 출력부(10)는 핀쿠션 출력 코일(Lm)과 콘덴서(Cm)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 구동 펄스가 수평 구동부(1)에 입력되면 구동부(1)는 입력된 수평 구동 펄스로 수평 출력부(2)의 트랜지스터(Q1)를 온, 오프시킨다.
트랜지스터(Q1)가 스위칭 온, 오프됨에 따라 댐퍼부(3)의 댐퍼 다이오드(D1)(D2)의 스위칭과, 튜닝부(4)의 튜닝 콘덴서(Ct1)(Ct2)의 공진 동작에 의해 톱니파 전류를 수평 편향 코일부(5)는 편향 코일(Ldy)에 흘려주게 된다.
즉, 수평 주사 전반부에는 전원(+B)전압이 플라이백 트랜스(7)를 거쳐 수평 편향 코일(Ldy), 직선성 코일부(8)의 보정 코일(Llin), S자 보정부(9)의 보정 콘덴서(Cs), 사이드 핀쿠션 코일(Lm) 및 콘덴서(Cm)의 경로로 충전이 이루어져 수평 편향 코일(Ldy)에 톱니파 전류를 흘려주고, 수평 주사 후반부에는 S자 보정 콘덴서(Cs)에 충전된 전압이 직선성 코일(Llin), 수평 편향 코일(Ldy), 트랜지스터(Q1), 접지, 사이드 핀쿠션 출력 콘덴서(Cm), 사이드 핀쿠션 출력 코일(Lm)의 경로로 방전되어 수평 편향 코일(Ldy)에 톱니파 전류를 흘려주며, 이 기간중에 댐퍼 다이오드(D1)(D2)와 튜닝 콘덴서(Ct1)(Ct2)는 오프되어 있게 된다.
수평귀선 기간에는 주사 후반기의 트랜지스터(Q1) 온시의 편향 코일(Ldy)로 부터의 역기전력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서 튜닝 콘덴서(Ct1)로 흘러 코일(Ldy)과 콘덴서(Ct1)가 병렬 공진되고, 이때 튜닝 콘덴서(Ct1)와 플라이백 트랜스(7)의 1차권선 접속점에 플라이백 펄스가 발생되며, 또한 사이드 핀쿠션 출력 코일(Lm)로부터의 역기전력이 튜닝 콘덴서(Ct2)로 흘러 병렬 공진되고, 콘덴서(Ct2)와 코일(Lm)의 접속점에서 플라이백 펄스가 발생하여 상기 튜닝 콘덴서(Ct1)에 의한 플라이백 펄스와 함께 플라이백 트랜스(7)에 공급됨으로써, 트랜스(7) 2차측에서 고압을 공급해주게 된다.
다시, 주사 전반에는 튜닝 콘덴서(Ct1)-수평편향코일(Ldy), 튜닝 콘덴서(Ct2)-사이드 핀쿠션 출력 코일(Lm)로 방전하면서 이 두 코일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이 S자 보정 콘덴서(Cs) 및 사이드 핀쿠션 출력 콘덴서(Cm)에 충전된 전압보다 커질 때 댐퍼 다이오드(D1)(D2)가 온되고, 이에 따라 주사 전반부의 수평 편향 톱니파 전류가 수평 편향 코일(Ldy)로 흐르게 된다.
한편, 수직 주파수 주기의 파라볼라파로 입력되는 사이드 핀쿠션 신호는 증폭부(11)에서 증폭된 후 출력부(10)에서 출력되어 사이드 핀쿠션 출력 콘덴서(Cm) 및 코일(Lm)로 출력됨으로써, 수평 출력회로에 수평 편향 전류를 수직 주기로 변조시켜 사이드 핀쿠션 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 화면비를 변화시키려면 화면비 변화에 따라 사이드 핀쿠션 출력 콘덴서(Cm)의 직류(DC) 레벨을 가감시킨다.
즉, 사이드 핀쿠션 출력 콘덴서(Cm)의 직류 바이어스 레벨을 높이면 S자 보정 콘덴서(Cs) 양단 전압이 줄어들어 수평 편향 코일(Ldy)에 흐르는 전류가 줄어들게 되어 화면 사이즈는 줄어들고[4:3 화면비], 사이드 핀쿠션 출력 콘덴서(Cm)의 직류 바이어스 레벨을 감소시키면 S자 보정 콘덴서(Cs) 양단 전압이 높아져서 수평 편향 코일(Ldy)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 화면 사이즈는 커지게 되는 것이다.[16:9 화면비]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에서는, 수평 편향 전류의 크기를 가감하여 화면비 변화에 대응하기 때문에 화면비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수평 편향 전류의 변경으로 인한 좌우 비대칭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4:3 표준화면에서는 화면 크기는 제3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La=Lb 이고, 16:9 와이드 화면에서의 화면 크기는 제3도의 (b)에 나타낸 바와같이 La'=Lb'이 되어야 왜곡이 없는 화상 표현이 가능한데, 수평 편향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면 이러한 관계식 성립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에는 고정된 인덕턴스값을 갖는 고정 직선성 코일(Llin)을 이용해서 부분적으로나마 왜곡 보정을 행하고 있다.
제4도는 고정 직선성 코일(Llin)이 개입되었을 때 상기 수평 출력회로의 등가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며, (a)도는 주사 전반부, (b)도는 주사 후반부에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고 있는바,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코일(Llin)에 의한 화면 직선성 보정 동작을 설명한다.
이 등가회로에서 보는 바와같이, 수평 편향 코일(Ldy)은 인덕턴스값(Ly)과 DC저항값(ry)으로 표현되는데, 이 DC저항값(ry)으로 인하여 화면의 우측이 다소 압축된 형태로 된다.
즉, 주사 전반부에서는 제4도의 (a)와 같이, 수평 편향 코일 양단전압(Vy)은, Vy=B+ryIy(pk)+Vd, 주사 후반부에서는 (b)도와 같이, Vy=B+-ryIy(pk)-VCE(sat)이 된다.
따라서 이 두값의 차이를 보상해 주기 위하여 직선성 코일(Llin)을 수평 편향코일(Ldy)에 직렬 접속하며, 이 코일은 편향 전류가 화면 우측부분(주사 후반부)에 흐를때는 포화되어 매우 작은 인덕터로 동작하고, 왼쪽 부분(주사 전반부)에 흐를 때는 전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인덕턴스를 증가시켜 편향 전류를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오게 됨으로써, 화면 좌측부분의 사이즈를 줄이고, 기하학적으로 좌우측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하여 직선성을 보정해 주는 것이다[La=Lb].
그런데, 이 직선성 코일은 제5도의 특성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고정된 인덕턴스값을 갖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은 직선성 보정을 4:3 화면비에 맞추는 경우에는 16:9 화면비에서는 편향 전류 증가로 반영되어 La'Lb'으로 왜곡된 형태로 나타나고, 16:9 화면비에 맞추는 경우는 4:3 화면비에서는 편향 전류 감소로 반영되어 LaLb로 왜곡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4:3 화면비나 16:9 화면비 중에서 하나에 대한 직선성 보정만이 보장될 뿐이며, 두 화면의 중간 경우를 택하게 되면 두 화면 모두 직선성이 약간씩 악화된 상태를 감수해야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평 편향 코일과 직렬로 인덕턴스값이 가변되는 가변 직선성 코일을 연결하고, 주사구간과 4:3, 16:9의 화면 모드에 따라 상기 가변 직선성 코일의 인덕턴스값을 변화시켜 줌으로써 4:3 표준 화면과, 16:9의 와이드 화면 모두에 대해 화상의 좌우 직선성을 균일하게 보정해 줄 수 있도록 한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직선성 보정회로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직선성 보정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3도의 (a)는 4:3 표준화면의 구성비를 나타낸 도표.
(b)는 16:9 와이드 화면의 구성비를 나타낸 도면.
제4도의 (a),(b)는 수평출력 회로의 등가 회로도
제5도는 직선성 코일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고안의 직선성 보정회로의 블록 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직선성 보정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8도는 가변 직선성 코일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제9도는 가변 직선성 코일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구성을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평 구동부(1)와, 수평 구동부(1) 출력에 의해 스위칭되는 수평 출력부(2)와, 수평 출력부(2)이 스위칭 동작에 따라서 수평 편향 톱니파 전류를 흘려주는 댐퍼부(3) 및 튜닝부(4)와, 상기 수평 편향 톱니파 전류가 흐르는 수평 편향 코일부(5)와 상기 수평 편향 코일부(5)에 의해 수평 편향이 이루어지는 브라운관(6)과 고압 발생을 위한 플라이백 트랜스(7)와, 상기 수평 편향 코일부(5)와 접속되어 화면비 변환 및 수평 전류 크기 변화에 따라 그 인덕턴스값이 가변되는 가변 직선성 코일부(8a)와 상기 수평 편향 코일부(5)에 S자 보정 전류를 흘려주는 S자 보정부(9)와 상기 편향시 사이드 핀쿠션 보정을 수행하는 사이드 핀쿠션 출력부(10)와, 사이드 핀쿠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부(10)에 입력해주는 사이드 핀쿠션 증폭부(11)와, 상기 수평 출력부(2)에서 편향 전류 레벨을 검출하는 수평 편향전류 검출부(12)와, 상기 검출부(12)에서 검출된 편향 전류를 반전시키는 버퍼(13)와, 상기 버퍼(13)에서 반전된 전류와 마이컴(15)의 제어를 받아 인덕턴스 제어 전류를 증폭하여 가변 직선성 코일부(8a)에 공급하는 증폭부(14)와, 화면 모드에 따라 상기 증폭부(14)의 증폭 레벨을 제어하는 마이컴(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출력부(2)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고, 상기 댐퍼부(3)는 댐퍼 다이오드(D1)(D2)로 구성되고, 상기 튜닝부(4)는 튜닝 콘덴서(Ct1)(Ct2)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편향 코일부(5)는 편향 코일(Ldy)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 직선성 코일부(8a)는 1차측 권선에 흐르는 제어 전류에 따라 2차측 인덕턴스가 가변되는 가변 인덕턴스 트랜스로 구성되며, 사이드 핀쿠션 출력부(10)는 핀쿠션 출력 코일(Lm)과 콘덴서(Cm)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 편향 전류 검출부(12)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전류를 검출하는 저항(Ra)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퍼(13)는 트랜지스터(Q4) 및 바이어스 저항(R7)(R8), 콘덴서(C1)로 구성되며, 상기 증폭부(14)는 마이컴(15)에 의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버퍼(13)의 출력 및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온,오프에 따라 증폭도가 가변되어 상기 가변 인덕턴스 코일 1차측에 제어전류를 흘려주는 트랜지스터(Q2) 및 저항(R3)(R4)(R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 인덕턴스 트랜스-가변 직선성 코일부(8a)-의 구성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측 권선(Ti)과 2차측 권선(To)이 직류 자계의 폐회로를 이루고[Mg; 마그네트],1차측 권선(Ti)에 흘려주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그 인덕턴스값이 제9도에서와 같이 변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한 각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R1,R2.R6.R7.R8은 저항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에서는 상기 제1도 및 제2도의 종래 회로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다.
이미 상세한 설명한 바와같이 수평 편향을 위한 톱니파 전류가 수평 편향 코일(Ldy)에 흐르게 되는데, 분 고안에서는 화면비 변화에 대응하여, 그리고 주사 전반부와 후반부에 대응하여 가변 직선성 코일부(8a)의 가변 인덕턴스 트랜스의 인덕턴스값이 직선성을 보장하는 값으로 자동 변화된다.
즉, 4:3 화면비에서 마이컴(15)은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이 로우 신호에 의해서 증폭부(14)의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되며,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면 저항(R5)은 증폭도를 결정하는 정수에서 제외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랜지스터(Q2)는 저항(R1)(R2)에 의해 바이어스된 전류에 따라 콜렉터 전류가 전원(Vcc)-가변 인덕턴스 트랜스의 1차측 권선(Ti)-저항(R3)-트랜지스터(Q2)-저항(R4)-접지로 인덕턴스 제어 전류를 흘려주게 된다.
한편, 이때 흐르는 전류는 수평 출력부(2)에 의해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따라 주사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어 변화되는데, 이는 수평 편향 전류 검출부(12)의 저항(Ra)에 의해 검출되는 편향 전류가 버퍼(13)의 트랜지스터(Q4)에서 반전된후-반전된 수평 편향 톱니파 전류가 증폭부(14)의 트랜지스터(Q2) 베이스에 저항(R1)(R2)에 의한 DC바이어스에 중첩되므로서 가변 직선성 코일부(8a)의 1차측 권선(Ti)에 흐르는 전류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면비 4:3 모드에서는 주사 전반부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인덕턴스 트랜스의 1차측 권선(Ti)에 I2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에 의해 인덕턴스값은 L2로 결정되며, 주사 후반부에서는 I1의 전류가 흘러 인덕턴스값을 L1으로 결정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제3도의 (a)가 나타낸 바와 같이 La=Lb로 직선성을 유지해 준다.
한편, 화면비 16:9모드에서 마이컴(15)은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이 하이 신호에 의해서 증폭부(14)의 트랜지스터(Q3)는 온되며, 트랜지스터(Q3)가 온되면 저항(R5)은 증폭도를 결정하는 정수에 기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랜지스터(Q2)는 저항(R1)(R2)에 의해 바이어스된 전류에 따라 콜렉터 전류가 전원(Vcc)-가변 인덕턴스 트랜스의 1차측 권선(Ti)-저항(R3)-트랜지스터(Q2)-저항(R4//R5)-접지로 인덕턴스 제어 전류를 흘려주게 된다.
한편, 이때 흐르는 전류는 수평 출력부(2)에 의해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따라 주사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어 변화되는데, 이는 수평 편향 전류 검출부(12)의 저항(Ra)에 의해 검출되는 편향 전류가 버퍼(13)의 트랜지스터(Q4)에서 반전된 후-반전된 수평 편향 톱니파 전류가 증폭부(14)의 트랜지스터(Q2) 베이스에 저항(R1)(R2)에 의한 DC바이어스에 중첩되므로서 가변 직선성 코일부(8a)의 1차측 권선(Ti)에 흐르는 전류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면비 16:9 모드에서는 주사 전반부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변 인덕턴스 트랜스의 1차측 권선(Ti)에 I2'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에 의해 인덕턴스값은 L2'로 결정되며, 주사 후반부에서는 I1'의 전류가 흘러 인덕턴스값을 L1으로 결정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제3도의 (b)에 나타낸 바와같이 La'=Lb'로 직선성을 유지해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에서는 가변 직선성 코일의 인덕턴스값을 주사 구간과, 화면비(4:3, 16:9)에 따라 제어하여 변화시켜 주기 때문에 어떠한 화면비로의 변환이 이루어지더라도 화상의 좌우 직선성을 보장해 줄 수 있고, 따라서 고화질의 영상 시청을 가능하게 하며, 티브이 수상기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티브이 수상기의 수평 편향 전류를 흘려주는 수평 편향 코일(Ldy)에 인덕턴스값이 가변되는 가변 직선성 코일부를 접속하고, 화면비 변환에 따라 상기 가변 직선성 코일부의 인덕턴스값을 적절하게 가변시켜 주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직선성보정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평 편향 전류 레벨을 검출하는 수평 편향전류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편향 전류를 반전시키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서 반전된 전류와 마이컴의 제어를 받아 인덕턴스 제어 전류를 증폭되어 가변 직선성 코일부에 공급하는 증폭부와, 화면 모드에 따라 상기 증폭부의 증폭 레벨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된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화면 모드에 따라 출력되는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의해 온, 오프되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버퍼의 출력 및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온, 오프에 따라 증폭도가 가변되어 상기 가변 인덕턴스 코일부 1차측에 인덕턴스값을 가변시키는 제어전류를 흘려주는 트랜지스터(Q2) 및 저항(R3)(R4)(R5)으로 구성된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KR2019950000321U 1995-01-11 1995-01-11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KR0122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321U KR0122947Y1 (ko) 1995-01-11 1995-01-11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DE19600818A DE19600818C2 (de) 1995-01-11 1996-01-11 Linearitätskompensations-Schaltung für Breitbild-Fernsehempfänger
US08/584,745 US5777697A (en) 1995-01-11 1996-01-11 Linearity compensation circuit for wide-screen television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321U KR0122947Y1 (ko) 1995-01-11 1995-01-11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907U KR960027907U (ko) 1996-08-17
KR0122947Y1 true KR0122947Y1 (ko) 1998-10-15

Family

ID=1940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321U KR0122947Y1 (ko) 1995-01-11 1995-01-11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77697A (ko)
KR (1) KR0122947Y1 (ko)
DE (1) DE1960081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579B1 (en) * 1995-11-07 1999-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wide tv
US6013989A (en) * 1996-05-20 2000-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de-band horizontal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KR19980052743A (ko) * 1996-12-24 1998-09-25 김광호 수평편향 회로의 직선성 코일
EP0993623A2 (en) 1998-04-29 2000-04-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variable size projection screen apparatus with a projection screen that is physically resizable in a lateral direction on at least two distinct levels, and a screen arrangement for use in such apparatus
TW445484B (en) 1998-07-14 2001-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nearity correction coil device and video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6071A (ja) * 1987-05-18 1988-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Crt表示器の画面補正装置
US4795946A (en) * 1988-01-11 1989-01-03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and circuit for correcting linearity of horizontal deflection system
JPH04172771A (ja) * 1990-11-06 1992-06-19 Sony Corp 水平偏向回路の直線性補正回路
JPH05297815A (ja) * 1992-02-17 1993-11-12 Hitachi Ltd Crtディスプレイ装置
JPH06133178A (ja) * 1992-10-19 1994-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水平リニアリティ補正回路
JPH06133324A (ja) * 1992-10-21 199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JPH06350863A (ja) * 1993-06-08 1994-12-22 Pioneer Electron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表示装置
JPH077630A (ja) * 1993-06-15 1995-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ド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偏向回路
JPH07131672A (ja) * 1993-10-28 1995-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ドアスペクトテレビジョン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77697A (en) 1998-07-07
DE19600818A1 (de) 1996-07-18
KR960027907U (ko) 1996-08-17
DE19600818C2 (de)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947Y1 (ko) 와이드 티브이 수상기의 직선성 보정회로
US5113122A (en) Horizontal deflector apparatus
KR970009847B1 (ko) 다이내믹 포커스 회로
US4587465A (en) Dynamic focus circuit
US5955848A (en) Horizontal deflection S-shaped correction signal circuit with variable capacitance
US6013989A (en) Wide-band horizontal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US4965495A (en) Parabolic voltage generating circuit
KR100326994B1 (ko) 샘플홀드커패시터용의전압변화보상장치
US5945791A (en) High voltage system
RU97120548A (ru) Схема стабилиза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приемника с экраном половинной ширины
KR100266585B1 (ko) 수평에스자보정회로
US6060845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and deflection circuit arrangement
EP0950314B1 (en) Electron beam focus voltage circuit
JP2606295Y2 (ja) 水平偏向回路
KR970003432B1 (ko) 와이드 스크린 티브이(tv)의 화상 수평 직선성 보상 장치
JPH11341298A (ja) 水平偏向回路
KR0137275B1 (ko) 텔레비젼 편향 장치
EP1003331A1 (en) Dynamic focus voltage amplitude controller and high frequency compensation
JP3231216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77081B1 (ko) 컨버젼스 보정장치
KR0178903B1 (ko) 모니터의 핀쿠션 변동 방지회로
KR200158594Y1 (ko)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JPH08172543A (ja) 往復偏向式crtディスプレイ装置
JPH07283959A (ja) 水平振幅補正回路
JP283503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