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594Y1 -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8594Y1 KR200158594Y1 KR2019960015451U KR19960015451U KR200158594Y1 KR 200158594 Y1 KR200158594 Y1 KR 200158594Y1 KR 2019960015451 U KR2019960015451 U KR 2019960015451U KR 19960015451 U KR19960015451 U KR 19960015451U KR 200158594 Y1 KR200158594 Y1 KR 2001585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ection
- output
- voltage
- local distortion
- microcompu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면의 국부만이 왜곡되어 나타나는 경우에, 수직 출력 회로로부터 수직 플라이백 펄스를 인가 받고, 마이컴으로부터 국부 왜곡 보정 DC 출력 전압을 인가 받아 보정 파형을 생성하여 수평 사이즈 조절 회로에 전달하므로써 국부적으로 화면이 왜곡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는 사이드-핀 쿠션으로 보정하지 못하는 화면 상부 국부적 왜곡을 마이컴의 국부 조정 전압과 수직 플라이백 펄스를 이용하여 보정 파형을 생성하고, 수평 사이즈 조정 전압에 합성시켜 수평 사이즈 조절부로 인가하므로써 화면의 국부 왜곡되는 것을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왜곡 화상 보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도는 제1도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 이다.
제5(a)도는 수직 플라이백 펄스파형도이고, 제5(b)도는 ⓐ지점에서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보정신호 이득조절부 22 : 보정파형 생성부
22' : 합성부 23 : 수평사이즈 조절부
본 고안은 모니터의 화면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의 국부만이 왜곡되어 나타나는 경우에, 수직 출력 회로로부터 수직 플라이백 펄스를 인가 받고, 마이컴으로부터 국부 왜곡 보정 DC 출력 전압을 인가 받아 보정파형을 생성하여 수평 사이즈 조절 회로에 전달하므로써 국부적으로 화면이 왜곡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수상관은 스크린에 주사되는 전자빔을 발산하는 전자총을 구비하고 있으며, 발산되는 전자빔은 스크린에 횡으로 편향 주사되고, 주사되는 전자빔의 농도에 따라 화상이 형성된다. 전자빔은 편향 코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장에 의하여 편향되기 때문에 외란으로 인하여 전자장이 영향을 받을 경우 전자빔의 편향 각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수상관에서는 외부 자기장에 의한 화상 회전 현상 이외에 수상관 자체의 저항값에 의하여 전자빔의 주사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되어 화상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비대칭 되도록 형성되거나,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경우에 화상이 장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상ㆍ하, 좌ㆍ우 비평형성을 가짐으로써 비장방형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화상이 비대칭형으로 디스플레이 되거나 비장방형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종래에는 이를 보정하기 위한 회로로서 사이드-핀쿠션회로를 이용하여 왜곡된 화상을 보정할 수 있었다.
제1도는 종래의 사이드 핀-쿠션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플라이백 펄스를 받아서 수직 톱니파를 생성하는 수직 톱니파 생성부(11)와, 수직 파라볼라 파형 생성부(12)와, 상기 수직 파라볼라 파형 생성부(12)의 출력파형과 마이컴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사이즈 조절 전압을 합성하는 합성부(15)와, 합성부(1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수평 사이즈를 조절하는 수평 사이즈 조절 회로(13)와, 상기 수평 사이즈 조절 회로(13)에 연결된 수평 편향 출력부(14)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일반 정전압 회로(1)의 출력 전압이 달링톤 접속의 트랜지스터(Q1,Q2)와 제어용 트랜지스터(Q3), 저항(R1,R2,R3) 및 입력 트랜스(L1)로 구성된 제어부(4)에 의해 제어된 후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인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캐패시터(C3,C4)와 저항(R10) 및 다이오드(D1,D2)로 구성된 평 전압 검출부(7)에 연결하고, 이 출력단을 수평폭이 조정되는 수평 전압 조정부(8)를 통해, OP-AMP(OP1)와 저항(R4,R5,R6,R7)과 캐패시터(C1) 및 제너다이오드(ZD1)로 구성된 비교부(5)내의 OP-AMP(OP1)에 연결하여 출력 전압이 OP-AMP(OP1)의 기준 설정 전압과 비교되어 차동 증폭되도록 하고, OP-AMP(OP1)의 출력이 상기 제어부(4)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전압 회로(1)의 출력 전압이 제어부(4)로 입력된 후, 달링톤 접속의 트랜지스터(Q1,Q2)에 의해 구동된 후 입력 트랜스(L1)를 통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인가된다.
수평 구동부(6)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 구동 펄스가 트랜스(L3)를 통해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4)가 스위칭을 하므로써 수평 출력 전압이 발생되어, 코일(L2)과 편향 요크(HㆍDY) 및 캐패시터(C5)를 통해서 편향 전류가 흐르게 되어 수평 편향이 이루어진다.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발생된 스위칭 전압은 수평 전압 검출부(7)에도 인가되어 캐패시터(C3) 및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수평 전압 조정부(8)로 입력되는데, 캐패시터(C4)와 저항(R10)이 충방전 스위칭 동작으로 인하여 급격히 상승하는 펄스 전압이 다이오드(D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다이오드(D1)는 다이오드(D2)에 역전압이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평전압 조절부(8)는 상기 수평 전압 검출부(7)의 다이오드(D2)에서 출력되는 수평출력전압의 수평 편향 폭을 가변키 위한 것으로, 상기 수평전압 조절부(8)는 수평출력전압을 가변저항(VR1), 저항(R8,R9) 및 캐패시터(C2)에 의하여 적절히 조절하여 비교부(5)내의 OP-AMP(OP1)의 반전 단자(-)에 인가되어 저항(R4) 및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하여 설정된 비반전 단자(+)의 기준 전압과 비교되어 차동 증폭하게 된다. 여기서 캐패시터(C1)는 교류 성분이 증폭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저항 (R7)은 초기 상태에 OP-AMP(OP1)의 반전 단자(-)에 영전위가 발생하여 출력이 급격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동 증폭된 OP-AMP(OP1)의 출력은 저항(R5)를 통해서 상기 제어용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제어 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달링톤 접속의 트랜지스터(Q1,Q2)의 출력이 적정 상태로 가변되므로써 결국 코일(L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로 공급되는 전압이 적절하게 조정되어 편향 회로의 동작 상태가 안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 편향조정부(8)의 가변 저항(VR1)으로 수평 폭을 조정할 때, OP-AMP(OP1)에서 제어되는 안정된 출력으로 수평 폭을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고, 수평 폭 가변에도 고압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수평 편향의 안정은 물론 미세하고도 용이한 수평폭 조정이 가능하다.
수직 편향의 톱니파 파형을 저항(R23~R27) 및 캐패시터(C21-C23)와 OP-AMP(OP2), 가변저항(VR2)에 의하여 적분하고, OP-AMP(OP2)는 적분과 아울러 저항(R21,R22)과 캐패시터(C22)에 의한 증폭 작용을 한다.
OP-AMP(OP2)에서 출력되는 적분 파형은 OP-AMP(OP3)에 전달되어 핀-쿠션 현상이 나타났을 때 가변저항(VR2)을 가변해서 편향 코일의 핀-쿠션 현상을 조정한다.
저항(R28,R29)은 수평 사이즈가 너무 줄어들어 수평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파괴됨을 막기 위함이며, 트랜지스터(Q1)는 트랜지스터(Q2)를 제어하여 수평 편향의 스위칭 파형을 변화시켜 핀-쿠션을 제어하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이드 핀-쿠션 회로는 화면의 상부만이 왜곡, 즉 국부적으로 왜곡된 화상의 보정을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화면의 상부가 국부적으로 왜곡된 경우 사용자는 화상을 스크롤 하여 국부적 왜곡 현상이 나타난 부분을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제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면에 국부적으로 왜곡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보정할 수 있는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출력단에서 생성되는 수직 플라이백 펄스 및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왜곡 보정 DC 전압을 인가 받아 국부 왜곡 조정 신호의 출력 값을 조절하는 보정신호 이득 조절부와, 상기 보정신호 이득 조절부의 출력 값을 적분하여 왜곡 보정용 파형으로 생성시키는 보정 파형 생성부와, 상기 보정 파형 생성부의 출력 파형과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사이즈 조정 DC 전압 출력을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부에서 출력되는 합성신호를 받아서 수평 사이즈를 조절하는 수평 사이즈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세부적인 특징은 상기 보정 신호 이득 조절부는 마이컴으로부터 전달되는 국부 왜곡 보정 DC 전압을 비반전 단자에 인가 받고, 반전 단자에는 수직 출력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플라이백 펄스 검출 전압을 인가 받아 두 전압을 비교하는 OP-AMP와, 상기 OP-AMP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에는 상기 수직 출력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플라이백 펄스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이 연결되고, 콜렉터 단에는 보정 파형 이득 설정용 저항이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점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신호 이득 조절부(21)와 보정 파형 생성부(22), 합성부(22') 및 수평 사이즈 조절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보정 신호 이득 조절부(21)에는 수직 출력단(2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플라이백 펄스와 도시하지 않은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왜곡 보정 DC 전압을 인가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사이즈 조절부(23)에는 상기 보정 파형 생성부(22)와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사이즈 조정 DC 출력 전압을 합성부(22')에서 합성한 출력신호가 인가된다.
제4도는 제3도의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먼저, 보정 신호 이득 조절부(21)는 마이컴의 국부 왜곡 보정 DC 전압을 검출하는 커플링 저항(R41) 및 조절 전압 설정용 저항(R42)과 필터용 캐패시터(C41)가 비반전 단자에 연결된 OP-AMP(OP4)와, 상기 OP-AMP(OP4)의 반전 단자에 수직 플라이백 펄스를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저항(R43)과, 상기 OP-AMP(OP4)의 출력단에 트랜지스터(Q41)의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에는 상기 커플링 저항(R43)을 통해 수직 플라이백 펄스가 인가되며, 콜렉터단에는 보정 파형 이득 설정용 저항(R44)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보정 파형 생성부(42)는 상기 트랜지스터(Q41)의 에미터단에 연결된 보정 파형 생성용 캐패시터(C42)와 커플링 저항(R45)으로 구성된다. 제4도에서, 미설명 부호 R46은 출력저항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마이컴의 국부 왜곡 보정 DC 전압이 저항(R41,R42) 및 캐패시터(C41)를 통해 OP-AMP(OP4)의 비반전 단자(+)에 입력되고, 입력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OP-AMP(OP4)의 출력 전압이 가변된다. 상기 OP-AMP(OP4)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트랜지스터(Q41)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41)의 선형 동작 영역에서 동작되게 하여, 콜렉터와 에미터간의 임피던스가 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직 출력단에서 생성된 수직 플라이백 펄스 파형은 제5(a)도에서와 같이 나타나며 저항(R43)을 통해 입력되므로써 저항(R44) 및 마이컴 조정 전압에 따라 변하는 트랜지스터(Q41)의 콜렉터와 에미터사이의 임피던스에 따라 그 피크 전압이 조절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플라이 백 펄스는 보정 파형 생성용 캐패시터(C42)의 값과 저항(R45)에 의하여 적분되며, 이 적분된 파형은 제5(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타난다. 이러한 적분 파형은 커플링 저항(R45)을 통해 수평 사이즈 조절 회로(23)에 입력된다. 이 수직 주기의 보정 파형은 화면의 상부 양쪽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보정 파형 생성용 캐패시터(C42)와 커플링 저항(R45)은 적분기를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이드-핀 쿠션으로 보정하지 못하는 화면 상부 국부적 왜곡을 마이컴의 국부 조정 전압과 수직 플라이백 펄스를 이용하여 보정 파형을 생성하고, 수평 사이즈 조정 전압에 합성시켜 수평 사이즈 조절부로 인가하므로써 화면이 국부적으로 왜곡되는 것을 보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수직출력단(20)에서 생성되는 수직 플라이백 펄스 및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왜곡 보정 DC 전압을 인가 받아 국부 왜곡 조정 신호의 출력 값을 조절하는 보정신호 이득 조절부(21)와, 상기 보정신호 이득 조절부(21)의 출력 값을 적분하여 왜곡 보정용 파형으로 생성시키는 보정 파형 생성부(22)와, 상기 보정 파형 생성부(22)의 출력 파형과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사이즈 조정 DC 전압 출력을 합성하는 합성부(22')와, 상기 합성부(22')에서 출력되는 합성신호를 받아서 수평 사이즈를 조절하는 수평 사이즈 조절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신호 이득 조절부는 마이컴으로부터 전달되는 국부 왜곡 보정 DC전압을 비반전 단자에 인가 받고, 반전 단자에는 수직 출력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플라이백 펄스 검출 전압을 인가 받아 두 전압을 비교하는 OP-AMP(OP4)와, 상기 OP-AMP(OP4)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에는 상기 수직 출력단(2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플라이백 펄스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R43)이 연결되고, 콜렉터단에는 보정 파형 이득 설정용 저항(R43)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파형 생성부(22)는 보정 파형 생성용 캐패시터(C42)와, 커플링 저항(R45)으로 이루어진 적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5451U KR200158594Y1 (ko) | 1996-06-11 | 1996-06-11 |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15451U KR200158594Y1 (ko) | 1996-06-11 | 1996-06-11 |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4822U KR980004822U (ko) | 1998-03-30 |
KR200158594Y1 true KR200158594Y1 (ko) | 1999-10-15 |
Family
ID=1945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15451U KR200158594Y1 (ko) | 1996-06-11 | 1996-06-11 |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8594Y1 (ko) |
-
1996
- 1996-06-11 KR KR2019960015451U patent/KR20015859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4822U (ko) | 199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823844B2 (ja) | 電圧調整装置 | |
US6020694A (en) | Horizontal size regulation circuit of display device | |
KR200158594Y1 (ko) |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 |
US5198731A (en) | Linearization of vertical reference ramp | |
JPS63308477A (ja) | 水平偏向・高圧回路 | |
KR10021801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 |
KR100190534B1 (ko) | 수평 편향 출력 회로(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 |
KR20020032319A (ko) | 표시 장치 | |
US6060845A (en) |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and deflection circuit arrangement | |
KR940009478B1 (ko) | 화면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 |
KR100239078B1 (ko) | 수직 기준 램프의 선형화 장치 | |
JP3201476B2 (ja) |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 |
KR200172693Y1 (ko) | 래스터의 수평 위치 조절회로 | |
KR100208992B1 (ko) |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 |
KR100228387B1 (ko) | 톱니파를 이용한 틸트 보정 회로 | |
KR0137063Y1 (ko) | 영상표시기기의 코너 핀쿠션 왜곡보정 제어회로 | |
KR200330773Y1 (ko) | Crt 디스플레이장치 | |
KR200143628Y1 (ko) |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 |
KR100232921B1 (ko) | 모니터의 화면 일그러짐 보정 회로 | |
JP3139530B2 (ja) | 水平偏向高圧発生回路 | |
US6555976B2 (en) | East-west distortion correction | |
KR19990037259U (ko) |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편향 회로 | |
KR970003432B1 (ko) | 와이드 스크린 티브이(tv)의 화상 수평 직선성 보상 장치 | |
KR100351863B1 (ko) |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제어장치 | |
KR19990037258U (ko) |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편향 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