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8011B1 -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011B1
KR100218011B1 KR1019960046551A KR19960046551A KR100218011B1 KR 100218011 B1 KR100218011 B1 KR 100218011B1 KR 1019960046551 A KR1019960046551 A KR 1019960046551A KR 19960046551 A KR19960046551 A KR 19960046551A KR 100218011 B1 KR100218011 B1 KR 10021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horizontal
output
retra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703A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011B1/ko
Priority to US08/953,556 priority patent/US5894203A/en
Publication of KR1998002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하나의 라인에 수평주사를 한 후 다음 라인을 주사하기 위해 주사 포인트를 이동하는 귀선 시간에 발생한 영상 신호의 영향으로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귀선 시간에 발생한 영상신호를 제거하고 귀선 시간을 조정하는 펄스를 발생하는 회로로서, 마이컴의 D/A 출력을 OP 앰프로 전압을 조정하여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로 발진 튜티를 조정하고, 수평 출력회로로부터 플라이 백 펄스 출력을 검출하여 그 신호와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발진 튜티 조정된 펄스를 신호결합부의 AND 게이트에서 비교하여 플라이백 펄스의 중앙에 위치하는 귀선 시간 조정용 펄스를 발생시킬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용 펄스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귀선 시간 조정을 위한 펄스를 플라이백 펄스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평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부터 제공되는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20)과, 수형 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편향요크(Deflection Yoke : DY)를 이용하요 CRT(80)의 전자총에서 발생되는 전자빔을 CRT(80)의 좌상부부터 우하부까지 차례대로 편향시켜 화상을 형성하는 수직편향회로(30) 및 수평출력 회로(40)와, 스위칭 회로의 원리와 고전압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출력 회로(400로부터 발생하는 귀선 펄스를 이용하여 상기 CRT(80)의 애노드(Anode)단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장치인 고압회로(50)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낮은 레벨의 비데오신호를 증폭시켜 일정한 전압 수준을 유지하는 비디오 프리앰프(60)와,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60)을 통해 증폭된 신호를 40~60Vpp의 전압 레벨을 갖는 신호로 증폭하여 각 화소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비디오 메인앰프(7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음극선관내의 전자총에서 빔을 주사하는데, 이 때 가로 방향으로 빔을 주사하는 수평 주사와 세로 방향으로 빔을 주사하는 수직 주사가 동시에 일어난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하나의 라인에 수평주사를 한 후 다음 라인을 주사하기 위해 주사 포인트를 이동하는 순간이 있다. 이 순간을 귀선 시간(Retrace time)이라 하는데, 이 귀선 시간에도 영상신호는 발생한다. 따라서, 귀선 시간에 발생한 영상 신호의 영향으로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다 선명한 화질을 얻기 위하여 귀선 시간에 발생한 영상 신호를 제거하고 순수한 영상만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귀선 시간을 줄이게 되면 전압 피크치가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어느 정도 귀선 시간이하에서는 전압 피크치 때문에 수평 편향 트랜지스터의 출력 조건에 만족하는 것이 없다.
또한, 매 라인의 수평주사가 끝난 뒤, 다음 라인으로 귀선할 발생되는 귀선 신호를 소거하기 위하여 귀선소거 회로가 제공된다. 귀선소거 신호는 블랭킹(Blanking : 이하 BLK 라 칭함)신호라 한다. 높은 수평 주파수에서 귀선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수평 주파수에서는 블랭킹 타임이 넓어져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 및 수평 편향 전류가 증가하고, 수평 트랜지스터에서 과전류에 의한 과열이 발생하므로 상기 블랭킹 타임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모니터의 수평 귀선 시간은 수평 한 주기의 17-20%를 차지하며, 비디오 카드의 블랭킹 타임은 수평 한 주기의 20-25%를 갖도록 디자인된다. 그러나 수평 주파수가 월등히 높아지는 고해상도 모니터의 경우는 수평평향 트랜지스터의 특성 제약 때문에 수평 귀선 시간 비율을 여기에 맞추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만약에 수평 주파수 사용범위가 넓은 모니터라면, 귀선 시간은 가장 높은 수평 주파수 사용조건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낮은 주파수 모드에서는 실제 비디오 상 사이즈를 갖기 위해 편향 전류를 늘려야 하는 낭비 요소가 발생되며 출력 트랜지스터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
따라서, 귀선 시간에 발생한 영상 신호의 영향으로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고, 보다 선명헌 화질을 얻기 위해서는 귀선 시간에 발생한 영상 신호를 제거하고 순수한 영상만을 검출해야 한다. 종래의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 출력신호는 자체 발진과 외부 에러앰프의 DC 전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플라이백 펄스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조정하기가 힘들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귀선 시간 조정을 위한 조정용 펄스를 정확하게 플라이백 펄스의 중앙위치에 동작하도록 하는 귀선 시간조정용 펄스 발생회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수평동기 주파수에 따라 아나로그 전압 신호 및 수평플라이백펄스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 상기 마이컴의 아나로그 전압에 따라 듀티폭 조절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듀티조절부와 ; 상기 마이컴의 수평플라이백신호와 상기 발진듀티조절부의 듀티조절신호에 따라 구형파를 출력하는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와 ; 수평출력회로로부터 플라이백펄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는 궤환신호검출부와 ; 상기 단안정멀티 바이브레이터의 출력 구형파와 상기 궤환신호검출부의 출력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신호의 결과를 수평귀선 조정필스로 출력하는 신호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수평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
제5도는 제4도의 각 노드에 나타난 신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디오 카드 20, 20' : 마이컴
30 : 수직 편향 회로 40, 40' : 수형 출력 회로
50 : 고압 회로 60 : 비디오 프리 엠프
70 : 비디오 메인 앰프 90 :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100 : 귀선 시간 제어 회로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나는데, 마이컴(2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귀선시간 제어회로(10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90)가 나타나 있음를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귀선시간 제어회로(100)에 관한 발명은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1995년 1월 22일 국내 출원되었으며(특허 출원 제95-02179호) 그 발명의 요지는 입력되는 주파수를 마이컴을 이용하여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펄스 폭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컴의 출력 전압과 삼각파를 비교하여 귀선 시간 조정용 펄스의 폭을 조절하므로써 수평 사이즈 조정시 발생하는 귀선 시간을 보상할 수 있는 점에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90)를 좀더 세분하여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내장된 D/A 변환기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수평 동기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화시키는 마이컴(20')의 출력 신호에 따른 전압을 인가받아 발진듀티를 조정하는 발진듀티조절부(91)와, 상기 발진듀티조절부(91)의 출력신호를 구형파로 변형시켜 출력가는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92)와, 수평 드라이브 신호를 증폭하는 수평출력회로(40')와, 상기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92)의 출력 구형파와 상기 궤환신호검출부(93)의 출력신호를 결합하여 증폭하여 귀선시간제어회로(100)로 출력하는 신호결합부(94)로 구성된다.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난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90)를 좀 더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기 발진듀티조절부(91)는 마이컴(2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검출하는 저항(R1)과, 비반전단자에 제너다이오드(D5)을 통해 기준전압(Vref)을 인가받고, 반전단자에 연결된 분압용 저항(R2) 및 캐패시터(C1)가 연결된 증폭기(U1)와, 상기 증폭기(U1)의 출력전압을 제한하는 저항(R3)과, Vcc 전압을 전달하는 저항(R4)의 연결점에 접속되어 전류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보호용 다이오드(D4)로 구성된다.
수평 출력회로(40')는 콜렉터단을 통해 귀선시간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수평출력트랜지스터(Q1)와, 그 콜렉터단에 병렬로 연결된 댐핑용 다이오드(D3) 및 캐패시터(C3)를 구비한다. 또한 편향 요크(DY)와 S 보정용 캐패시터(C4)의 사이에는 트랜스포머(TT1)가 구비된다.
궤환신호 검출부(93)는 상기 트랜스포머(TT1)의 2차측에서 유기되는 전압을 분압하는 저항 (R6, R7)과 정류 및 기준점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다.
신호 결합부(94)는 베이스단에 상기 궤환신호 검출부(93)의 검출신호를 제이스단을 통해 인가받고 컬렉터단에 부하저항(R8)을 통해 Vcc 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 동작되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에 연결되어 입력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인버터(U2)와,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92)의 출력단(Q)의 출력신호(c)와 상기 인버터(U2)의 출력신호(f)를 동시에 인가받는 엔드게이트(U3)와, 그 출력단에 연결된 증폭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 및 그 드레인단에 연결된 부하저항(R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은 각 단자의 신호파형이 도시된 제5도를 참조로하여 설명한다. 마이컴(20')의 출력이 발진 듀티 조절부(91)의 증폭기(U1)에 인가되어 발진듀티가 가변된다. 이 때 증폭기 (U1)의 출력전압(b)은 발진 캐패시터(C2)의 충. 방전에 따라 가변되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92)에 전달된다.
제5(a)도는 마이컴(20')으로부터 출력되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92)제공되는 수평플라이백펄스(HFB)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 마이컴(20')의 D/A 출력신호는 발진듀티조절부(91)의 증폭기(U1)의 반전단자에 제고된다. 따라서, 만약 증폭기(U1)의 입력전압이 하이(High)인 경우 출력전압은 제5(b)도와 같이 로우(Low)로 변경되고 b점의 로우(Low) 출력은 제5(c)도와 같이 c점에서 출력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92)의 출력의 듀티싸이클을 증가시킨다.
한편 수평출력 플라이백펄스는 트랜스포머(TT1)를 통해 그 전류가 d점에서 검출되au 그 파형은 제5(d)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타난다. 분압용 저항(R6 및 R7)을 거쳐 정류용 다이오드(D1)에 인가된 파형은 네가티브 펄스 성분이 제거되어 다이오드(D2)를 기준점으로 잡아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인가된 신호는 증폭되어 컬렉터단의 e점에서 나타나며 그 파형은 제5(f)도에서 나타내고 있다. 앤드게이트(U3)에 인가되는 두 파형 즉,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92)의 출력 파형(c)과 인버터(U2)에 의해 반전된 출력파형(f)은 제5(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된다.
이 출력신호는 증폭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에 의해 증폭되어 그 드레인단 h점에서 제5(h)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타난다. 즉, h점의 출력 파형은 제5(i)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확하게 플라이백 펄스의 중앙에 위치하여 원하는 귀선 시간 조정용 펄스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귀선시간 조정펄스를 플라이백 펄스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입력되는 수평동기 주파수에 따라 아나로그 전압 신호 및 수평플라이백펄스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아나로그 전압에 따라 듀티폭 조절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듀티조절부와; 상기 마이컴의 수평플라이백신호와 상기 발진듀티조절부의 듀티조절신호에 따라 구형파를 출력하는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와; 수평 출력회로부터 플라이백 펄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는 궤환신호검출부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 구형파와 상기 궤환신호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신호의 결과를 수평귀선 조정펄스로 출력하는 신호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듀티조절부는 상기 마이컴의 출력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결합부는 상기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파형과 상기 궤환신호검출부로부터 제공되는 플라이백 펄스를 합성하는 앤드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시간 조정펄스 발생회로.
KR1019960046551A 1996-10-17 1996-10-17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KR10021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551A KR100218011B1 (ko) 1996-10-17 1996-10-17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US08/953,556 US5894203A (en) 1996-10-17 1997-10-17 Horizontal retrace time adjustment pulse generating circuit for 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551A KR100218011B1 (ko) 1996-10-17 1996-10-17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03A KR19980027703A (ko) 1998-07-15
KR100218011B1 true KR100218011B1 (ko) 1999-09-01

Family

ID=1947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551A KR100218011B1 (ko) 1996-10-17 1996-10-17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894203A (ko)
KR (1) KR100218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852A (ko) * 1997-06-26 1999-01-15 배순훈 모니터에 있어서 직류-직류 컨버터의 안정화 회로
US6429894B1 (en) 1999-11-29 2002-08-06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CRT phosphor aging method
US6359398B1 (en) 1999-11-29 2002-03-19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Method to control CRT phosphor aging
KR100338782B1 (ko) * 2000-10-16 2002-06-01 윤종용 원칩화된 영상 처리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플라이백 펄스폭 조정 회로 및 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251A (en) * 1979-05-24 1980-09-16 Rca Corporation Deflection circuit with retrace control
US4547710A (en) * 1983-01-26 1985-10-15 International Busines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display horizontal deflection system with delay compensation
JPH0813094B2 (ja) * 1985-04-19 1996-02-0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水平偏向回路
JPH04324763A (ja) * 1991-04-24 1992-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オートスキャン水平偏向装置
KR930011416A (ko) * 1991-11-30 1993-06-24 강진구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
US5216336A (en) * 1992-03-02 1993-06-0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Generator for sawtooth signal with selectable retrace slope for a deflection apparatus
TW370664B (en) * 1995-06-26 1999-09-21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controlling a horizontal raster display width
KR0164547B1 (ko) * 1996-01-22 1999-03-20 김광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및 펄스 피크 제한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03A (ko) 1998-07-15
US5894203A (en) 199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80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US5714849A (en) Circuit and method for adjusting horizontal retrace time and limiting pulse peak in display device
KR100236034B1 (ko) 모니터에 있어서 다이나믹 포커스회로
KR100190165B1 (ko) 광대역 고압 안정화 회로
US6124686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JP3858435B2 (ja) 水平偏向回路
KR100190534B1 (ko) 수평 편향 출력 회로(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JPH0795432A (ja) 切換モード垂直偏向装置
KR200164490Y1 (ko)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KR20020020361A (ko) 영상표시기기의 광대역 스위칭 드라이브 보상회로
KR200145472Y1 (ko) 모니터에 있어서 모드변경시 다이나믹 포커스 뮤트회로
KR930001430Y1 (ko) 라스터 수평 위치 조정회로
KR200290047Y1 (ko) 모니터의 백-라스터 밝기 보상장치
US6396171B1 (en) Circuit for stabilizing a high voltage
KR100233949B1 (ko) 멀티싱크 모니터의 다이나믹 포커스회로
KR100673924B1 (ko) 비디오 디스플레이 편향 장치
KR1002608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포지션 조절회로
JP2522293Y2 (ja) 垂直偏向回路
KR200158594Y1 (ko)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KR100228391B1 (ko) 다이나믹 휘도 보상장치
KR200150478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pwm 듀티를 제어하는 수평출력 보호회로
KR19990037259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편향 회로
KR20030079532A (ko) 모니터 시스템의 전원 회로
KR19980047491U (ko) 모니터의 다이나믹 포커스회로
JPH11154849A (ja) ノコギリ波形発生器、水平偏向制御回路及び高電圧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