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288Y1 - 주화 송출 장치 - Google Patents

주화 송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288Y1
KR0115288Y1 KR2019940002051U KR19940002051U KR0115288Y1 KR 0115288 Y1 KR0115288 Y1 KR 0115288Y1 KR 2019940002051 U KR2019940002051 U KR 2019940002051U KR 19940002051 U KR19940002051 U KR 19940002051U KR 0115288 Y1 KR0115288 Y1 KR 0115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ubstrate
rotating plate
recovery 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170U (ko
Inventor
요리오 스즈가와
Original Assignee
아베 히로시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베 히로시,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아베 히로시
Publication of KR940021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1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2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에스컬레이터내에 잔존한 주화를 신속확실하게 회수하는 주화 송출 장치로서, 주화 송출 원판(4)을 가역회전 가능한 전동기(5)의 모터축(7)에 접속되어 있으며, 반대로 회전하며, 주화 송출 원판(4)에는 주화(A)를 기판(2)위에 인도하는 주화 안내구멍(8)이 권설되어 있으며, 주화 송출아암(9)이 기판(2)과 주화 송출 원판(4)사이에 위치하고, 주화 송출 원판(4)에 접속되어 전역회전하고, 주화안내구멍(8)으로부터 낙하하여 기판(2)으로 인도된 주화(A)를 기판(2)위에서 회전궤도를 따라서 접동하며, 주화 송출 원판(4)이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주화 송출 아암(9)은 주화(A)를 회수구(40)로 향하여 송출하며, 기판(2)과 주희 송출 원판(4)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출구 구멍(10)과 회수구(40)사이에는 정역 안내 부재(50)가 설치되어 회수구(40)로 향하여 송출전 주화(A)에 맞닿아서 회수구(40)로 인도된다.

Description

주화 송출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를 부착한 주화 송출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화 송출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를 부착한 주화 송출 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를 부착한 주화 송출 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를 부착한 주화 송출 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퍼 2: 기판
3 : 원통형 케이스 4 : 주화 이송 원판(coin transferring disc)
5 : 전동기 6 : 감속 장치
7 : 전동기축 9 : 주화 송출 아암
10 : 출구 구멍 13 : 스크레이퍼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라고 일반적으로 칭하고 있는 코인 반송 덕트를 구비한 주화 송출 장치(coin dispens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컬레이터내에 잔존하는, 예를들어 자판기, 게이기등에 사용되는 주화 또는 메달, 토큰 등의 주화를 회수하거나, 장치 구성을 부품내에 잔존하는 주화를 추출하는 주화 송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런 종류의 주화 송출 장치는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한 특개소 61-28138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고, 복수의 주화등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호퍼(1)의 하단에 설치된 원통형 케이스(3)와, 원통형 케이스(3)의 상방 주변벽의 하단부를 개구하여 이루어진 출구 구멍(10)과, 원통형 케이스(3)의 저부를 형성하는 경사지는 기판(2)과, 이 기판(2)상에 배치되어 전동기(5)의 전동기축(7)의 정회전(이하, 반시계 방향을 의미)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주화 이송 원판(4)과, 주화 이송 원판(4)를 관통하고 주화(A)를 기판(2)상에 낙하시켜 인도하는 5개의 주화 안내 구멍(8)과, 기판(2)과 주화 이송 원판(4)과의 사이에서 주화 안내 구멍(8)의 대략 중앙을 연결하는 원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주화 이송판(4)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고, 주화 안내 구멍(8)에서 떨어져 기판(2)으로 인도된 주화를 기판(2)상에서 소정의 회전 궤도를 따라 미끄러져 출구구멍(10)의 방향으로 송출하는 주화 이송 이암(9)과, 이 주화 이송 아암(9)에 의해 송출된 주화에 당접하여 회전 궤도로부터 밖으로, 출구 구멍(10)측으로 안내하는 출구 안내핀(30)과, 기판(2)과 주화 이송판(4)과의 사이에서 출구 구멍(1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축구 안내 부품(30)에 의해 회전궤도로부터 밖으로 나온 주화(A)를 출구 구멍(10)으로 인도하는 출구 안내 부재(11)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주화 송출 장치에는 스크레이퍼(13)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레이퍼(13)는 주화 이송 원판(4)의 주화 안내 구멍(8)과 동수(5개)의 이송 부재(12)를 방사상으로 가지고 있다. 스크레이퍼(13)는 감속 장치(6)에 의해 주화 이송 원판(4)과 동기하여 기판(2)상을 회전한다. 이송 부재(12)는 출구 안내 부재(11) 및 출구 안내핀(30)에 의해 송출되는 주화를 출구 구멍(10)의 개구(10a)를 지나서 출구 구멍(10)의 외측으로 긁어올려 송출한다.
또한, 종래의 주화 송출 장치에서는 기판(2)의 상방측에 에스컬레이터(17)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열을 이루는 좌우한쌍의 안내 롤러(19)와 스크레이퍼(13)의 이송 부재(12)가 함께 작동함에 의해 주화를 에스컬레이터(17)의 하단 입구(16)를 향하여 밀고나아간다.
좌우 한쌍의 안내 롤러(19)는 아래를 향해 테이퍼진면 (도시없음)을 가지며 상호 결합되도록 가압되고 있다. 스크레이퍼(13)의 이송 부재(12)는 출구 안내 부재(11)와 함께 작동하여 출구 구멍(10)으로부터 긁어올린 주화를 순서대로 좌우 1쌍의 안래 롤러(19) 사이로 밀고들어간다. 이때, 주화는 안내 롤러(19)의 아래를 향해 테이퍼진면에 의해 주화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되고 에스컬레이터(17)의 하단 입구(16)를 향해 들어간다.
또한, 종래의 주화 송출 장치에서는 전동기(5)의 정회전에 의해 주화 이송원판(4)의 정회전에 의해 나온 주화가 스크레이퍼(13)에 의해 안내 롤러(19)로 인도되어 에스컬레이터(17) 내부로 들어가고 후속하는 주화에 의해 아래로부터 밀려 줄줄이 연결된 상태로 위로 올라간다.
또, 에스컬레이터를 구비한 다른 주화 송출 장치로서는 본출원에 의한 특개평 4-220790호 공보가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형태의 주화 송출 장치에서는 기판과 대향하여 있는 가역 회전 가능한 회전판(4)과, 회전판(4) 중앙에 배치된 중앙원반(41)과, 회전판(4)의 외주에 배치되어 중앙원반(41)의 외주모서리 사이에서 주화를 수납하여 회전 궤도를 따라 송출하는 송출핀(42)과, 중앙원반(41)을 거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출구안내 나이프(43)를 가지고 있다. 출구안내 나이프(43)는 후단이 기판의 출구 부측에 고정되고 선단은 중앙원반(41)의 외부 모서리에 연재하고 있고, 회전판(4)이 정회전하는 경우에 회전 궤도를 따라 송출된 주화를 출구부로 안내한다.
[고안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주화 송출 장치에서는 주화 송출의 운전 종료전에 에스컬레이터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주화를 회수하는 경우, 전동기는 일정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주화를 수용할 수 있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에스컬레이터 본체 또는 그 덮개판을 하나하나 떼어내어 잔존하는 주화를 회수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떼어낸 경우 주화를 회수한 후 원래대로 조립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호퍼의 하방측에 잔존하는 주화나 주화안내 구멍으로부터 기판으로 인도되어 잔존하는 주화를 외부로 배출 또는 회수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장치구성 부품을 분해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 1 기술적 과제는 상기 결점을 감안하여 에스컬레이터내에 잔존한 주화를 신속정확하게 회수하는 주화 송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 기술적 과제는 호퍼의 하방측에 잔존한 주화나 주화 안내 구멍으로부터 기판으로 인도되어 잔존하는 주화를 신속확실하게 외부로 배출 또는 회수하는 주화 송출 장치를 가진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에 의하면 출구부를 배치한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위치와 상이한 제 2 위치를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대해서 가역 회전 자유롭게 배치되며, 정회전시에 주화를 상기 출구부를 향하여 송출하는 송출 기구를 포함하는 주화 송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에스컬레이터내에 잔존한 주화를 신속정확하게 회수하는 주화 송출 장치와 호퍼의 하방측에 잔존한 주화나 주화 안내 구멍으로부터 기판으로 인도되어 잔존하는 주화를 신속확실하게 외부로 배출 또는 회수하는 주화 송출 장치를 가진다.
상기 송출 기구는 역회전시에 상기 출구로부터 이송된 주화를 상기 제 2 위치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주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출구부를 거쳐 송출된 주화를 소정 방향으로 취출하는 에스컬레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주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 2 위치에, 상기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상기 출구부를 거쳐 되돌아온 주화를 회수하는 회수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주화 송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기구는 주화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 이격 거리를 가지고 상기 기판과 대향하고 있는 가역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개구되어 주화를 상기 기판상에 안내하는 안내 구멍과, 상기 기판과 상기 회전판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주화를 상기 기판상의 소정 회전 궤도를 따라 송출하는 송출 아암부와 상기 기판과 상기 회전판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정회전한 경우에 상기 송출 아암부에 의해 송출된 주화에 당접하여 상기 주화를 회전 궤도로부터 상기 출구부로 안내하는 출구 안내부재를 가지며, 상기 송출 아암부는 상기 회전판의 역회전에 따라 역회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로부터 되돌아온 주화를 상기 출구부로 거쳐 접수하고, 상기 회전궤도를 따라 회수구부를 향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주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회전판과의 사이에 배치되며, 역회전한 송출 아암부에 의해 송출된 주화에 당접하여 상기 주화를 회전 궤도로부터 회수구부로 안내하는 회수구안내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주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구안내부재는 송출 아암부에 의해 송출된 주화에 당접하는 당접면을 가지고, 상기 당접면은 회전 궤도에 대하여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주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구 안내부재와 회수구안내부재는 정역 안내 부재로서 각각의 한측면과 다른측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주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기구는 기판과 대항하여 있는 가역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앙에 배치된 중앙원반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원반의 오주 모서리 사이에서 주화를 접수하여 상기 회전 궤도를 따라 송출하는 송출핀과, 상기 중앙원반을 거쳐 상호 대항하여 배치된 출구 안내 나이프와 회수구 안내 나이프를 가지고, 상기 출구 안내 나이프는 일단을 상기 기판의 출구부측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중앙원반의 외주 모서리에 연재하며, 상기 회전판이 정회전한 경우에 상기 회전 궤도를 따라 송출된 주화를 상기 출구부로 안내하고, 상기 회수구안내 나이프는 일단을 상기기판의 회수구부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중앙원반의 외주 모서리에 연재하여 상기 회전판이 역회전한 경우에 상기 회전 궤도를 따라 송출된 주화를 상기 회수구부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주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구안내 나이프와 상기 회수구안내 나이프는 상기 중앙원반에 대하여 근접하여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출구안내 나이프는 상기 회전판이 역회전한 경우에 적어도 주화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 거리를 가지고 상기 중앙원반으로부터 대향하고, 상기 회수구안내 나이프는 상기 회전판이 정회전한 경우에 적어도 주화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 거리를 가지고 상기 중앙원반으로부터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알리 장치가 얻어진다.
[작용]
가역 회전 가능한 회전판이 역회전하고, 송출 아암부는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주화를 출구 안내 부재를 거쳐 접수하여 기판의 하방의 제 2 위치로 송출하고, 에스컬레이터 내의 잔존 주화를 회수가능하게 한다.
또한, 송출 아암부에 의해 송출된 주화는 회수구안내 부재에 당접하여 제 2 위치에 설치된 회수구로 안내되어, 주화가 외부로 배출 또는 회수된다.
[실시예]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먼저 설명한 동일한 도면 부호의 부품에 있어서는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제1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다른 주화 공출 장치에서는 경사 기판(2)의 상반부에 스크레이퍼(13)가 설치되고, 이 상단부에는 에스컬레이터(17)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경사기판(2)의 하반부는 원통형 케이스(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원통형 케이스(3)의 제 1 위치에 당접하는 상방측에는 출구 구멍(10)이 개구되고, 한편, 원통형 케이스(3)의 제 2 위치에 당접하는 좌측방향측에는 회수구(40)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레이퍼(13)의 이송 부재(12)는 출구 구멍(10)으로부터 긁어올려진 주화(A)를 순차 좌우 한쌍의 안내 롤러(19) 사이로 밀고, 이때 주화는 안내 롤러(19)의 하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에 의해 주화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고, 에스컬레이터(17)의 하단 입구(16)를 항하여 진행한다.
또한, 주화 이송 원판(4)은 가역 회전 가능한 전동기(5)의 전동기축(7)에 접속되어 있고, 전회전 뿐만 아니라 역회전(이하 시계 방향을 의미한다)한다. 또 전동기(5)의 정, 역회전의 절환의 정, 역절환 스위치(도시 없음)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행해진다. 주화 송출 원판(4)에는 주화(A)를 기판(2)위로 낙하시켜 이끄는 4개의 주화 안내 구멍(8)이 설치되어 있다. 주화 송출 아암(9)이 기판(2)과 주화 송출 원판(4) 사이에 위치하고, 주화 안내 구멍(8)의 거의 중앙을 연결하는 원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주화 이송 아암(9)은 주화 송출원판(4)에 접속되어 정역 회전하고, 주화 안내 구멍(8)으로부터 낙하하여 기판(2)으로 인도된 주화(A)를 기판(2)위에서 미끄러지게 한다.
주화 송출 원판(4)이 정회전 하는 경우, 주화 송출 아암(9)은 주화(A)를 출구 구멍(10)을 향하여 송출하고, 주화 송출 원판(4)이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주화 송출 아암(9)은 주화(A)를 회수구(40)로 향하여 송출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2)과 주화 송출 원판(4)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출구 구멍(10)과 회수구(40)사이에 정역 안내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정역 안내 부재(50)는 출구 구멍측으로 출구 안내면(51)과 회수구측으로 회수 안내면(52)을 가지고 있다. 출구 안내면(51) 및 회수구 안내면(52)은 테이퍼 형상을 나타내어 주화의 원활한 송출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기판(2)과 주화 송출 원판(4)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정역 안내 부재(50)의 근방에는 정역 안내핀(53)이 설치되어 있다.
주화 송출 원판(4)이 정회전하는 경우, 주화 송출 아암(9)에 의해 출구 구멍(10)을 향하여 송출된 주화(A)는 정역 안내핀(53)에 맞닿아서 회전 헤드로부터 벗어나 출구 안내면(51)에 맞닿아 출구 구멍(10)으로 인도된다. 한편 주화 송출 원판(4)이 역회전 하는 경우, 주화 송출 아암(9)에 의해 회수구(40)로 향하여 송출된 주화(A)는 정역 안내핀(53)에 맞닿아서 회수 궤도로부터 벗어나 회수구 안내면(52)에 맞닿아서 회수구(40)로 인도된다. 회수구(40)로 인도된 주화는 그 근방에 배치된 회수 슈트(41)로 배출되어 회수된다.
주화 송출 아암부(9)에는 정역 안내핀(53)위를 통과하는 절결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역 안내부재(50)는 한쪽 지지 스프링등에 의해 기판(2)에 대하여 충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어떤 원인으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기판(2)내에 매설하여 부하를 풀어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동일하게 정역 안내핀(53)도 기판(2)에 대하여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과부하를 풀어주는 구조로 되어있다.
주화 송출 역회전 종료후에, 에스컬레이터(17)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주화를 회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정역절환 스위치에 의해 전동기(5)의 절환이 행해져 전동기(5)가 역회전(시계 방향)한다. 전동기(5)의 역회전에 의해 주화 송출 원판(4)이 역회전하며, 동시에, 스크레이퍼(13)는 감속 장치(6)에 의해 주화 송출 원판(4)과 동기하여 기판(2)위를 역회전한다. 그결과 에스컬레이터(17)내의 잔존 주화는, 열을 이루는 좌우 한쌍을 안내롤러(19)을 거쳐서 에스컬레이터(17)의 하단입구(16)로부터 자기 무게에 의해서 되돌아간다.
스크레이퍼(13)의 이송부재(12)의 역회전에 맞추어서 에스컬레이터(17)의 하단 입구(16)로부터 주화를 받아서 출구 구멍(10)을 향하여 송출하고, 정역 안내부재(50) 및 정역 안내핀(53)을 거쳐서 주화 송출 아암(9)으로 낙화된다.
다음에 주화 송출 아암(9)에 의해 이송되는 주화는 기판(2)위를 미끄러지며 정역 안내 부재(50)의 회수구 안내면(52)에 맞닿고, 정역 안내핀(53)과 동시에 움직여서 회수구(40)로 인도되어 회수 슈트로 배출되어 회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에스컬레이터(17)내의 잔존 주화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호퍼(1)내의 잔존 주화에 대해서도 주화 안내 구멍(8)을 거쳐서 순차로 주화 송출 아암(9)으로 안내되어 회수구(40)로 인도되어 회수 슈트(41)로 배출되어 회수된다.
또한 회수구(40)에 계수기(도시 않음)을 배치하여 잔존 주화의 지출 매수를 계수해도 좋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로서 제2도를 참조하여 중앙원반(41)을 끼워진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출구 안내 나이프(43)와 회수구 안내 나이프(44)을 설치하였다. 출구 안내 나이프(43)는 후단을 기판(3)의 회수구(도면의 좌측)측에 고정하고, 선단을 중앙원반(41)의 외부 모서리에 연장하여 회전판(4)이 역회전한 경우에 회전헤드를 따라서 송출된 주화를 회수구부(도시 없음)로 안내한다.
여기에서 출구 안내 나이프(43)와 회수 안내 나이프(44)는 중앙원반(41)에 대하여 근접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출구안내 나이프(43)는 회전판(4)이 역회전한 경우에 적어도 주화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 거리를 위해 중앙원반(41)으로부터 대향하고, 회수구안내 나이프(44)는 회전판(4)이 정회전한 경우에 적어도 주화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 거리를 취해 중앙원반(41)으로부터 대향 하도록 한쪽이 지지되어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의 설명을 통해, 본 고안에 의하면, 가역회전 가능한 회전판이 역회전하고, 송출 아암부는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주화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거쳐서 받아, 기판 하방측의 제 2 위치로 송출하여 제 2 위치에 설치된 회수구로 안내하고, 외부로 주화를 배출함으로 에스컬레이터내에 잔존한 주화 및 호퍼의 하방측에 잔존한 주화를 신속확실하게 외부로 배출 및 회수할 수 있다.

Claims (9)

  1. 출구부(10)가 위치한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와 다른 제 2 위치(40)를 포함하는 기판(2)과, 상기 기판(2)에 대하여 가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정회전시에 주화(A)를 상기 출구부(10)를 향하여 송출하는 송출 기구(4, 8, 9)를 갖는 주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기구는 역회전시에 상기 출구부(10)로부터 되돌아온 주화(A)를 상기 제 2 위치(40)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은 상기 출구부(10)를 거쳐 송출된 주화를 소정 방향으로 반출하는 에스컬레이터(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은 상기 제 2 위치에 상기 에스컬레이터(17)로부터 상기 출구부(10)를 거쳐 되돌아온 주화(A)를 회수하는 회수구(40)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기구는, 주화의 두떼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이격 거리를 가지고 상기 기판(2)과 대향하여 있는 가격 회전 가능한 회전판(4)과, 상기 회전판에 개구되고, 주화를 상기 기판상을 위한 안내하는 안내 구멍과, 상기 기판과 회전판(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4)에 따라 주화를 상기 기판상의 소정 회전 궤도를 따라 송출하는 송출 아암부(9)와, 상기 기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정회전한 경우에 상기 송출아암부에 의해 송출된 주화에 당접하여 상기 주화를 회전 궤도로부터 상기 출구부로 안내하는 출구 안내부재(50)을 가지며, 상기 송출아암(9)는 상기 회전판의 역회전에 따라 역회전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로부터 되돌아온 주화를 상기 출구부(10)를 거쳐 접속하고, 상기 회전 궤도를 따라 상기 회수구부(40)를 향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과 상기 회전판(4)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역회전한 상기 송출 아암부에 의해 송출된 주화에 당접하여 상기 주화를 상기 회전 궤도로부터 상기 회수구부로 안내하는 회수구 안내부재(5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구 안내부재(50)는 상기 송출 아암부에 의해 송출된 주화에 당접하는 당접면(52)을 가지고, 상기 당접면은 상기 회전 궤도에 대하여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안내부재와 상기 회수구안내부재는 정, 역 회전부재로서 각각 한측면과 다른 측면에 일체(50)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기구는, 상기 기판(2)과 대항하여 있는 가역 회전 가능한 회전판(4)과, 상기 회전판(4)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원반(41)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원반의 외주 모서리 사이에서 주화를 접수하여, 상기 회전궤도를 따라 송출 하는 송출핀과, 상기 중앙 원반을 거쳐 상호 대항하여 배치된 출구안내 나이프(43)와 휘수구 안내 나이프(44)를 가지고, 상기 출구안내 나이프는 일단을 상기 기판의 출구부측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중앙원반의 외부 모서리에 연재하며, 상기 회전판이 정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궤도를 따라 송출된 주화를 상기 출구부로 안내하고, 상기 회수구안내 나이프는 일단을 상기 기판의 회수구부측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중앙원반의 외주모서리에 연재하여, 상기 회전판이 역회전 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궤도를 따라 송출된 주화를 상기 회수구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안내 나이프와 상기 회수안내 나이프는 상기 중앙원반(41)에 대하여 근접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출구안내 나이프는 상기 회전판이 역회전하는 경우에 적어도 주화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거리를 가지고 상기 중앙원반으로부터 대향하고, 상기 회수구안내 나이프는 상기 회전판이 정회전하는 경우에 적어도 주화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거리를 가지고 상기 중앙 원반으로부터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송출 장치.
KR2019940002051U 1993-02-05 1994-02-03 주화 송출 장치 KR01152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1925 1993-02-05
JP1993011925U JP2573634Y2 (ja) 1993-02-05 1993-02-05 硬貨送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70U KR940021170U (ko) 1994-09-24
KR0115288Y1 true KR0115288Y1 (ko) 1998-10-01

Family

ID=1179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051U KR0115288Y1 (ko) 1993-02-05 1994-02-03 주화 송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462480A (ko)
EP (1) EP0612041B1 (ko)
JP (1) JP2573634Y2 (ko)
KR (1) KR0115288Y1 (ko)
AU (1) AU664664B2 (ko)
DE (1) DE69401223T2 (ko)
ES (1) ES2095715T3 (ko)
FI (1) FI940529A (ko)
MY (1) MY1105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4657A (en) * 1996-01-22 1999-10-12 Asahi Seiko Co., Ltd. Coin process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s
US6555894B2 (en) * 1998-04-20 2003-04-29 Intersil Americas Inc. Device with patterned well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6193599B1 (en) * 1998-10-20 2001-02-27 Asahi Seiko Co., Ltd. Coin hopper device
US6709324B1 (en) * 2000-04-27 2004-03-23 Igt Size adjustable coin escalator for use in gaming apparatus
NL1019510C2 (nl) * 2001-12-06 2003-06-10 Suzo Internat Nl B V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schijfvormige voorwerpen zoals munten.
NL1019509C2 (nl) * 2001-12-06 2003-06-10 Suzo Internat Nl B V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schijfvormige voorwerpen zoals munten.
JP4411383B2 (ja) * 2003-11-11 2010-02-10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送り出し装置のコイン逆行防止装置
US8465349B2 (en) * 2004-12-28 2013-06-18 Glory Ltd.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DE602006012392D1 (de) * 2005-04-28 2010-04-08 Asahi Seiko Co Ltd Münzausgabeverfahren für eine Münzausgabevorrichtung, Münzausgabevorrichtung und Münzrecyclingmaschine mit der Münzausgabe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3126A (en) * 1980-04-08 1981-10-14 Laurel Bank Machine Co Coin packaging machine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irregularly stacked coins
ES261942U (es) * 1981-11-18 1982-05-16 Alvarez Gonzalez Pedro Pagador rotativo para maquinas recreativas .
JPS61281385A (ja) * 1985-06-07 1986-12-11 旭精工株式会社 硬貨投出装置
JP2560695B2 (ja) * 1986-07-29 1996-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減速制御装置
JPS6446894A (en) * 1987-08-17 1989-02-21 Ace Denken Kk Coin feeder
US5000718A (en) * 1988-06-04 1991-03-19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dispensing apparatus
JPH02193286A (ja) * 1988-10-19 1990-07-30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処理機の硬貨除去装置
US5066262A (en) * 1989-10-03 1991-11-19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dispensing apparatus
JPH03196388A (ja) * 1989-12-26 1991-08-27 Sayama Seimitsu Kogyo Kk 両替機に於ける硬貨類回収機構
JP2557270B2 (ja) * 1990-03-14 1996-11-27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硬貨導入装置
US5170874A (en) * 1990-08-02 1992-12-15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conveyor for successively transporting coins
JP2538531Y2 (ja) * 1991-06-26 1997-06-18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投出装置
JP2514877B2 (ja) * 1991-10-01 1996-07-10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エスカレ―タ付コイン送出装置
ES2102468T3 (es) * 1992-10-27 1997-08-01 Asahi Seiko Co Ltd Dispositivo de avance de monedas con un escalad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10538A (en) 1998-07-31
EP0612041B1 (en) 1996-12-27
JPH0665968U (ja) 1994-09-16
FI940529A (fi) 1994-08-06
EP0612041A1 (en) 1994-08-24
DE69401223T2 (de) 1997-08-07
KR940021170U (ko) 1994-09-24
DE69401223D1 (de) 1997-02-06
AU5492294A (en) 1994-08-11
FI940529A0 (fi) 1994-02-04
AU664664B2 (en) 1995-11-23
US5462480A (en) 1995-10-31
JP2573634Y2 (ja) 1998-06-04
ES2095715T3 (es) 199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8001A (en) Coin handling apparatus
US4752274A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having coin transporting arms synchronized on common surface with coin scrapping arms
EP0266021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US4167949A (en) Coin jamming detecting device in coin sorting machine
KR0115288Y1 (ko) 주화 송출 장치
EP0596612A2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US4261377A (en) Apparatus for assorting and counting coins
JP3206699B2 (ja) 硬貨送出装置
GB2060970A (en) Coin sorting device
WO1990002389A1 (en) Coin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US4350239A (en) Coin assorting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KR950002956Y1 (ko) 코인 투출 장치
JP3266436B2 (ja) 硬貨入出金機
EP0442696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JPH0594575A (ja) エスカレーター付コイン送出装置
JP3006474U (ja) メダル払出機
JPH04220790A (ja) コイン搬送ダクト
JPH0525022Y2 (ko)
JPH054064Y2 (ko)
JP2019008523A (ja) 円板状体払出装置
JP4126688B2 (ja) コイン投出装置
KR950002401Y1 (ko) 코인 송출 장치
JPH0844929A (ja) コイン揚送装置
JPH0388093A (ja) 硬貨選別装置
EP0927407A1 (en) Coin dispens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