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90698A1 -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90698A1
WO2024090698A1 PCT/KR2023/007359 KR2023007359W WO2024090698A1 WO 2024090698 A1 WO2024090698 A1 WO 2024090698A1 KR 2023007359 W KR2023007359 W KR 2023007359W WO 2024090698 A1 WO2024090698 A1 WO 20240906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pine
parts
dumpling skin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73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기홍
Original Assignee
효성식품 영농조합법인
강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식품 영농조합법인, 강기홍 filed Critical 효성식품 영농조합법인
Publication of WO20240906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906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4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 A21D13/047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from cereals other than rye or wheat,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not wheat flour, as the main ingredient.
  • dumplings which Korean people have enjoyed eating on holidays or as snacks since ancient times, are made by putting dumpling filling made of pork, kimchi, tofu, etc. inside the dumpling skin.
  • the dumplings produced in this way are easy to make and cook, so they are widely used by students who are busy studying and office workers who do not have time.
  • dumpling skin dough is very diverse, but it is usually based on wheat flour. Since the main ingredient of such conventional dumpling skin is wheat flour, it is not easily digested when ingested, and the dumpling skin harden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making the dumpling skin hard. In the process of making dumplings by putting the dumpling filling i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umpling skin burst and the part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ere not easily adhered, causing the dumpling shape to be deformed during cooking.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47416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nutritionally excellent dumpling skin using rice as the main ingredient.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dumpling skin with improved taste and functionality by manufacturing dumpling skin by adding dried mushroom powder with pine flavor to the dumpling skin.
  •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preparing a mixture by mixing rice flour, refined salt, and purified water; A second step of kneading the mixture to prepare dough; A third step of forming the dough into a thin dumpling skin shape.
  •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weetened oil, pine needle extract, and pine 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when preparing the mixture in the first step, and 0.01 to 0.02 parts by weight of refined salt per 1 part by weight of rice flour. , 0.01 to 0.02 parts by weight of sweetened oil, 0.5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0.08 parts by weight of pine needle extract, and 0.05 to 0.10 parts by weight of pine 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dumpling skin with excellent nutritional components by producing dumpling skin using rice.
  •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aste and functionality of the dumpling skin by adding dried mushroom powder with a pine scent to the dumpling skin.
  • Figure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pine-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includ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ixture is prepared. Specifically, the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the main ingredients, rice flour, refined salt, and purified water.
  • the mixture is based on rice flour, refined salt, and purified water and can be prepared in various embodiments.
  • the mixture of the first example is prepared based on rice flour, refined salt, and purified water.
  • the rice flour may be based on brown rice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barley, rice bran, and corn.
  • mixture may further include sweetener oil (sweetener oil-S: soybean oil).
  • sweetener oil-S soybean oil
  • the mixture of the first example is preferably mixed with 0.01 to 0.02 parts by weight of refined salt, 0.01 to 0.02 parts by weight of sweetened oil, and 0.50 to 0.6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per 1 part by weight of rice flour, considering the taste and viscosity for kneading.
  • the basic mixture may further include sweetener oil and pine needle extract.
  • the pine needle extract is prepared by mixing washed pine needles with purified water and then performing hot water extraction.
  • the mixing ratio of the pine needles and purified water is preferably 3 to 5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per 1 part by weight of pine needles. If less than 3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is mixed with 1 part by weight of pine needles, it may not provide a sufficient amount of solvent for extraction. If i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 concentration of the scent and functionality of the pine needles in the extract may be excessively lowered. There may be a problem.
  • the heating time during hot water extraction is preferably 1 to 2 hours. If the heating time is less than 1 hour, the flavor and functional ingredients of the pine needles may not be sufficiently extracted, and if it exceeds 2 hours, the extraction may already be comple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may be reduced or a bitter taste may occur.
  • the mixture of the second example is a mixture of 0.01 to 0.02 parts by weight of refined salt, 0.01 to 0.02 parts by weight of sweetened oil, 0.40 to 0.5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and 0.10 parts by weight of pine needle extrac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rice flour, considering the taste and viscosity for kneading. It is desirable to do so.
  • pine needle extract If less than 0.10 parts by weight of pine needle extract is mixed with 1 part by weight of the rice powder, the scent and functional ingredients of the pine needles may not be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dumpling skin, and if it exceeds 0.10 parts by weight, excessive taste and aroma may cause rejection. You can.
  • the basic mixture may further include sweetener oil, pine needle extract, and pine 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 the pine-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is used as an auxiliary ingredient to enrich the taste, aroma, and nutrients of dumpling skin.
  • step C-1 (SC1) of producing pine needle extract
  • step C- of mixing the pine needle extract with pine cones, pine needles, and sugars and then maturing.
  • step 2 (SC2)
  • step C-3 (SC3) of filtering and drying the aged pine cones
  • step C-4 (SC4) of producing pine cone chips by cutting the dried pine cones, placing mushrooms on the pine cone chips. It includes step C-5 (SC5) of drying the mushrooms after raising them, and step C-6 (SC6) of powdering the dried mushrooms.
  • step C-1 pine needle extract is prepared. Specifically, pine needle extra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ine needle extract in the second example.
  • step C-2 the pine needle extract, pine cones, pine needles, and sugars are mixed and then aged. Specifically, washed and trimmed pine cones and pine needles are mixed with sugars and the pine needle extract prepared above and then aged.
  • pine cones, pine needles, and pine needle extract are all used.
  • Pine cones contain terpenes, which are effective in preventing vascular diseases by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pine needles contain a lot of vitamin A, which is effective in purifying the blood and preventing high blood pressure.
  • the pine cones are green, undried pine cones that have been washed several times to remove rosin powder.
  • the scent and function of the pine needles may not be sufficiently expressed. If it exceeds 1 part by weight, the scent of the pine needles may be too strong and spoil the taste of the dumplings.
  • the sugars are mixed in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y tend to become rancid during ripening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weet taste that neutralizes some of the bitter taste of the sol. If the sugars are mixed in excess of 1 part by weight, the sugars may be mixed excessively, resulting in the mixing of unnecessary sugars. there is.
  • the pine needle extract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ripening process may be difficult because the pine cones are not sufficiently immersed, and if it exceeds 7 parts by weight, the sufficient amount may be exceeded and efficiency may be reduced.
  • the aging is preferably performed for 3 to 5 days. If the ripening proceeds for less than 3 days, sufficient pine needle scent may not be delivered to the pine cones, and if it exceeds 5 days, it may become rancid or the ripening may already be completed,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 step C-3 the aged pine cones are filtered and dried. Specifically, only the aged pine cones are separated through filtration and then the moisture is removed through natural drying.
  • the drying is preferably performed for 2 to 5 days. If the drying is carried out for less than 2 days, complete drying is not achieved and there is a risk of cutting the pine cone chips when manufacturing pine cone chips, which will be explained below, or there is a risk that the mushrooms will become rancid when drying the mushrooms, which will be explained below. In this case, drying has already been completed, which may harm the efficiency of the work.
  • step C-4 the dried pine cones are cut into pieces to produce pine cone chips. Specifically, the dried pine cones are cut into pieces of a certain size (0.5 to 1 cm) to produce pine cone chips.
  • step C-5 mushrooms are placed on the pine cone chips and then dried. Specifically, the pine cone chips prepared above are spread out and then placed on mushrooms and dried.
  • the drying is carried out with hot air to ensure that the scent of the pine cone chips is well conveyed, and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60 to 70°C for 10 to 15 hours.
  • step C-6 the dried mushrooms are powdered. Specifically, the dried mushrooms are pulverized to facilitate mixing to prepare pine-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 the mixture of the third example contains 0.01 to 0.02 parts by weight of refined salt, 0.01 to 0.02 parts by weight of sweetened oil, 0.5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0.08 parts by weight of pine needle extract, and dried pine scent per 1 part by weight of rice flour. It is preferable to mix 0.05 to 0.10 parts by weight of mushroom powder.
  • the pine needle extract preferably contains 0.8 parts by weight because it also includes the scent of pine-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 the mixture is kneaded to prepare dough. Specifically, the mixture is kneaded using a kneader or the like to prepare a dough.
  • the kneading is carried out step by step at low and high speeds to facilitate mixing and to have excellent viscosity.
  • the dough is thinly molded into a dumpling skin shape.
  • the prepared dough is molded into a thin dumpling skin shape to suit the desired dumpling shape.
  • Comparative Example 1 is a dumpling made using a typical dumpling skin.
  • Example 1 is a dumpling skin prepared based on the first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ducing rice-containing dumpling skin of the present invention (mixing 0.01 part by weight of refined salt, 0.01 part by weight of sweet oil, and 0.50 part by weight of purified water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rice flour). These are dumplings (the dumpling filling is the same).
  • Example 2 was prepared based on the second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0.01 part by weight of refined salt, 0.01 part by weight of sweetened oil, 0.40 part by weight of purified water, 0.10 part by weight of pine needle extract per 1 part by weight of rice flour) These are dumplings made with dumpling skin (the dumpling filling is the same).
  • Example 3-1 was prepared based on the third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0.01 part by weight of refined salt, 0.01 part by weight of sweetened oil, 0.50 part by weight of purified water, pine needle extract per 1 part by weight of rice flour) These are dumplings made with dumpling skin (0.08 parts by weight, 0.03 parts by weight of pine-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the dumpling filling is the same).
  • Example 3-2 was prepared based on the third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0.01 part by weight of refined salt, 0.01 part by weight of sweetened oil, 0.50 part by weight of purified water, pine needle extract per 1 part by weight of rice flour) These are dumplings made with dumpling skin (0.08 parts by weight, 0.07 parts by weight of pine-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the dumpling filling is the same).
  • Example 3-3 was prepared based on the third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0.01 part by weight of refined salt, 0.01 part by weight of sweetened oil, 0.50 part by weight of purified water, pine needle extract per 1 part by weight of rice flour) It is a dumpling made with dumpling skin (0.08 parts by weight, 0.12 parts by weight of pine-scented dried mushroom powder) (the dumpling filling is the same).
  • Example 1 3.9 3.2 3.5
  • Example 1 4.5 4.4
  • Example 2 5.7 6.1 5.9
  • Example 3-1 6.1 6.5 6.3
  • Example 3-2 7.3 7.5 7.4
  • Example 3-3 7.0 7.4 7.2
  • Example 3-2 the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the highest, showing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mixture of Example 3 is preferable,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dumpling skin containing r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main ingredients of dumpling skin. It can be seen that using rice flour and adding dried mushroom powder with a pine scen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aste and functionality of the dumpling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가루가 아닌 쌀을 주재료로 함유하는 만두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은 쌀가루, 정제염,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물을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반죽물을 얇게 빚어 만두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은 상기 제 1단계의 혼합물 제조 시 감미유, 솔잎 추출물 및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 내지 0.02중량부, 감미유 0.01 내지 0.02중량부, 정제수 0.50중량부, 솔잎 추출물 0.08중량부, 솔향 건조 버섯 분말 0.05 내지 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본 발명은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가루가 아닌 쌀을 주재료로 함유하는 만두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예로부터 명절 또는 간식으로 즐겨먹는 만두는 만두피의 내부에 돼지고기, 김치, 두부, 등의 내용물로 이루어지는 만두소를 넣어 만들어진다.
이렇게 제조되는 만두는 제조와 조리법이 간편하여 학업에 바쁜 학생과 시간이 없는 직장인들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다.
만두피 반죽의 배합은 매우 다양하나, 통상적으로 밀가루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이와 같은 종래의 만두피는 그 주재료가 밀가루인 관계로 섭취시 소화가 잘 되지 않고, 또 만두피가 비교적 단시간 내에 굳어지게 됨으로 상기 만두피에 만두속을 넣어 만두를 만드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터지게 됨은 물론 서로 접하는 부위가 용이하게 접착되지 않아 요리시 만두모양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만두피에 다양한 첨가물을 포함하여 맛과 모양을 다양하게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쌀을 주재료로 하여 만두의 맛과 영양성분을 향상시킨 만두피에 대한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47416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쌀을 주재료로 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만두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만두피에 솔 향을 품은 건조 버섯 분말을 첨가하여 만두피를 제조함으로써 맛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만두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은 쌀가루, 정제염,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물을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반죽물을 얇게 빚어 만두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은 상기 제 1단계의 혼합물 제조 시 감미유, 솔잎 추출물 및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 내지 0.02중량부, 감미유 0.01 내지 0.02중량부, 정제수 0.50중량부, 솔잎 추출물 0.08중량부, 솔향 건조 버섯 분말 0.05 내지 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은 쌀을 이용하여 만두피를 제조함으로써 영양성분이 우수한 만두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은 만두피에 솔 향을 품은 건조 버섯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만두피의 맛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을 도면과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1단계(S10)에서는 혼합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주재료가 되는 쌀가루, 정제염,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은 기본으로, 쌀가루, 정제염, 정제수를 베이스로 하며 다양한 실시예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실시예)
상기 제 1실시예의 혼합물은 기본으로, 쌀가루, 정제염, 정제수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쌀가루는 현미를 베이스로, 보리, 미강, 옥수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감미유(감미유-S : 콩기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실시예의 혼합물은 맛과 반죽을 위한 점성을 고려하여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 내지 0.02중량부, 감미유 0.01 내지 0.02중량부, 정제수 0.50 내지 0.6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실시예)
상기 제 2실시예에서는 기본 혼합물에 감미유, 솔잎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잎 추출물은 세척한 솔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열수추출하여 제조한다.
상기 솔잎과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솔잎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3 내지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솔잎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가 3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추출하기에 충분한 양의 용매가 되지 않을 수 있으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추출물 내에 솔잎의 향과 기능성에 대한 농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수추출 시 가열시간은 1 내지 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 솔잎의 향과 기능성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2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미 추출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쓴 맛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2실시예의 혼합물은 맛과 반죽을 위한 점성을 고려하여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 내지 0.02중량부, 감미유 0.01 내지 0.02중량부, 정제수 0.40 내지 0.50중량부, 솔잎 추출물 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솔잎 추출물이 0.1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솔잎의 향과 기능성 성분이 만두피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0.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맛과 향으로 인해 오히려 거부감을 줄 수 있다.
(제 3실시예)
상기 제 3실시예에서는 기본 혼합물에 감미유, 솔잎 추출물 및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은 만두피에 맛과 향, 영양성분을 풍부하게 하는 부재료로 사용된다.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의 제조방법을 도 2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솔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C-1단계(SC1), 상기 솔잎 추출물과 솔방울, 솔잎, 당류를 혼합한 후 숙성하는 제 C-2단계(SC2), 상기 숙성한 솔방울을 여과 및 건조하는 제 C-3단계(SC3), 상기 건조한 솔방울을 세절하여 솔방울 칩을 제조하는 제 C-4단계(SC4), 상기 솔방울 칩 위에 버섯을 올린 후 건조시키는 제 C-5단계(SC5), 상기 건조시킨 버섯을 분말화하는 제 C-6단계(SC6)를 포함한다.
상기 제 C-1단계(SC1)에서는 솔잎 추출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실시예의 솔잎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솔잎 추출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C-2단계(SC2)단계에서는 상기 솔잎 추출물과 솔방울, 솔잎, 당류를 혼합한 후 숙성한다. 구체적으로, 수세 및 손질한 솔방울과 솔잎을 당류 및 상기 제조한 솔잎 추출물과 혼합한 후 숙성한다.
솔 향과 기능성 성분을 전체적으로 담기 위하여, 솔방울, 솔잎, 솔잎 추출물을 모두 사용한다.
솔방울은 테르펜이 함유되어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솔잎은 비타민A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혈액을 깨끗하게 하고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솔방울은 마르지 않은 초록 솔방울로, 송진가루의 제거를 위하여 수차례 수세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혼합 시에는 솔방울 1중량부에 대하여 솔잎 1중량부, 당류 1중량부, 솔잎 추출물 5 내지 7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방울 1중량부에 대하여 솔잎이 1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솔잎의 향과 기능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솔잎의 향이 너무 강하여 만두의 맛을 해칠 수 있다.
또한, 당류가 1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숙성 시 산패되기 쉽고 솔의 일부 쓴 맛을 중화하는 단맛을 제공하기 어려우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당류가 과도하게 혼합되어 불필요한 당류의 혼합이 될 수 있다.
또한, 솔잎 추출물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솔방울의 충분한 침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숙성 작업이 어려울 수 있으며, 7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충분한 양을 초과하여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숙성은 3 내지 5일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이 3일 미만으로 진행될 경우 솔방울에 충분한 솔잎 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5일을 초과할 경우 산패되거나 이미 숙성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C-3단계(SC3)에서는 상기 숙성한 솔방울을 여과 및 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숙성한 솔방울만을 여과를 통해 따로 분리한 후 자연 건조를 통해 물기를 제거한다.
상기 건조는 2 내지 5일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가 2일 미만으로 진행될 경우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하기에서 설명할 솔방울 칩의 제조 시 세절의 어려움이 있거나, 하기에서 설명할 버섯 건조 시 버섯이 산패될 우려가 있으며, 5일을 초과할 경우 이미 건조가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해칠 수 있다.
솔방울의 향을 보다 유지하기 위하여 자연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C-4단계(SC4)에서는 상기 건조한 솔방울을 세절하여 솔방울 칩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한 솔방울을 일정 크기(0.5 내지 1cm)로 세절하여 솔방울 칩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C-5단계(SC5)에서는 상기 솔방울 칩 위에 버섯을 올린 후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한 솔방울 칩을 넓게 펼친 후 버섯을 올려 건조시킨다.
상기 버섯은 향이 과도하지 않은 새송이 버섯, 표고 버섯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솔방울 칩의 향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열풍 건조를 실시하며, 60 내지 70℃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C-6단계(SC6)에서는 상기 건조시킨 버섯을 분말화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시킨 버섯을 혼합에 용이하도록 분쇄하여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제 3실시예의 혼합물은 맛과 반죽을 위한 점성을 고려하여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 내지 0.02중량부, 감미유 0.01 내지 0.02중량부, 정제수 0.50중량부, 솔잎 추출물 0.08중량부, 솔향 건조 버섯 분말 0.05 내지 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이 0.05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버섯과 솔의 향과 기능성 성분이 만두피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0.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맛과 향으로 인해 오히려 거부감을 줄 수 있다.
이 때, 상기 솔잎 추출물은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의 향 또한 포함되므로 0.8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단계(S10)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을 반죽기 등으로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한다.
상기 반죽은 저속, 고속으로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혼합을 용이하게 하고, 우수한 점성을 갖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에서는 상기 반죽물을 얇게 빚어 만두피 형상으로 성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한 반죽물을 원하는 만두 모양에 적합하도록 만두피 형상으로 얇게 빚어 성형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한 만두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실험결과를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험은 만두피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선발하여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일반적인 만두피를 이용하여 만든 만두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의 제 1실시예를 바탕으로 제조(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중량부, 감미유 0.01중량부, 정제수 0.50중량부를 혼합)한 만두피로 만든 만두(만두소는 동일)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의 제 2실시예를 바탕으로 제조(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중량부, 감미유 0.01중량부, 정제수 0.40중량부, 솔잎 추출물 0.10중량부를 혼합)한 만두피로 만든 만두(만두소는 동일)이다.
[실시예 3-1]
실시예 3-1은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의 제 3실시예를 바탕으로 제조(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중량부, 감미유 0.01중량부, 정제수 0.50중량부, 솔잎 추출물 0.08중량부, 솔향 건조 버섯 분말 0.03중량부)한 만두피로 만든 만두(만두소는 동일)이다.
[실시예 3-2]
실시예 3-2는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의 제 3실시예를 바탕으로 제조(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중량부, 감미유 0.01중량부, 정제수 0.50중량부, 솔잎 추출물 0.08중량부, 솔향 건조 버섯 분말 0.07중량부)한 만두피로 만든 만두(만두소는 동일)이다.
[실시예 3-3]
실시예 3-3은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의 제 3실시예를 바탕으로 제조(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중량부, 감미유 0.01중량부, 정제수 0.50중량부, 솔잎 추출물 0.08중량부, 솔향 건조 버섯 분말 0.12중량부)한 만두피로 만든 만두(만두소는 동일)이다.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비교예 1 3.9 3.2 3.5
실시예 1 4.5 4.3 4.4
실시예 2 5.7 6.1 5.9
실시예 3-1 6.1 6.5 6.3
실시예 3-2 7.3 7.5 7.4
실시예 3-3 7.0 7.4 7.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하여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만두인 실시예 1 내지 3의 전반적으로 우수한 관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3-2의 경우 맛,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제 3실시예의 혼합물의 혼합비율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은 만두피의 주재료를 쌀가루로 하고, 솔 향을 품은 건조 버섯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만두피의 맛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쌀가루, 정제염,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S20. 상기 혼합물을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반죽물을 얇게 빚어 만두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3단계
SC1. 솔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C-1단계
SC2. 상기 솔잎 추출물과 솔방울, 솔잎, 당류를 혼합한 후 숙성하는 제 C-2단계
SC3. 상기 숙성한 솔방울을 여과 및 건조하는 제 C-3단계
SC4. 상기 건조한 솔방울을 세절하여 솔방울 칩을 제조하는 제 C-4단계
SC5. 상기 솔방울 칩 위에 버섯을 올린 후 건조시키는 제 C-5단계
SC6. 상기 건조시킨 버섯을 분말화하는 제 C-6단계

Claims (5)

  1. 쌀가루, 정제염,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혼합물을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반죽물을 얇게 빚어 만두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의 혼합물 제조 시 감미유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 내지 0.02중량부, 감미유 0.01 내지 0.02중량부, 정제수 0.50 내지 0.6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의 혼합물 제조 시 감미유 및 솔잎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 내지 0.02중량부, 감미유 0.01 내지 0.02중량부, 정제수 0.40 내지 0.50중량부, 솔잎 추출물 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의 혼합물 제조 시 감미유, 솔잎 추출물 및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쌀가루 1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염 0.01 내지 0.02중량부, 감미유 0.01 내지 0.02중량부, 정제수 0.50중량부, 솔잎 추출물 0.08중량부, 솔향 건조 버섯 분말 0.05 내지 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솔향 건조 버섯 분말의 제조는,
    솔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C-1단계;
    상기 솔잎 추출물과 솔방울, 솔잎, 당류를 혼합한 후 숙성하는 제 C-2단계;
    상기 숙성한 솔방울을 여과 및 건조하는 제 C-3단계;
    상기 건조한 솔방울을 세절하여 솔방울 칩을 제조하는 제 C-4단계;
    상기 솔방울 칩 위에 버섯을 올린 후 건조시키는 제 C-5단계;
    상기 건조시킨 버섯을 분말화하는 제 C-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PCT/KR2023/007359 2022-10-28 2023-05-30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WO20240906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032 2022-10-28
KR1020220141032A KR102538136B1 (ko) 2022-10-28 2022-10-28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698A1 true WO2024090698A1 (ko) 2024-05-02

Family

ID=8654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7359 WO2024090698A1 (ko) 2022-10-28 2023-05-30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8136B1 (ko)
WO (1) WO202409069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747A (ko) * 2008-02-19 2009-08-24 전병권 유연성과 보존성을 유지하는 떡의 제조방법
KR20170090677A (ko) * 2016-01-29 2017-08-08 박유환 솔잎 발효액을 이용한 솔잎 성분 함유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1928713B1 (ko) * 2018-10-17 2018-12-12 마영모 솔잎 추출물이 첨가된 만두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1009A (ko) * 2017-12-28 2019-07-09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만두피용 반죽, 만두피 제조방법, 만두피, 만두 제조방법 및 만두
KR20190112964A (ko) * 2018-03-27 2019-10-08 주식회사 영진식품 멥쌀가루와 증점제를 주재로 하는 신규한 만두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416A (ko) 2020-10-08 2022-04-18 홍진용 발효 만두피를 이용한 냉동 만두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만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747A (ko) * 2008-02-19 2009-08-24 전병권 유연성과 보존성을 유지하는 떡의 제조방법
KR20170090677A (ko) * 2016-01-29 2017-08-08 박유환 솔잎 발효액을 이용한 솔잎 성분 함유 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1009A (ko) * 2017-12-28 2019-07-09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만두피용 반죽, 만두피 제조방법, 만두피, 만두 제조방법 및 만두
KR20190112964A (ko) * 2018-03-27 2019-10-08 주식회사 영진식품 멥쌀가루와 증점제를 주재로 하는 신규한 만두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8713B1 (ko) * 2018-10-17 2018-12-12 마영모 솔잎 추출물이 첨가된 만두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136B1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786B1 (ko) 메밀 또는 흑미를 이용한 기정떡의 제조방법
KR102086488B1 (ko) 쇼좌빙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131454A1 (ko) 앙금빵용 휴면 생지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앙금크림 빵의 제조방법
KR20210075345A (ko) 곡물효모와 발효과실액을 이용한 천연 발효반죽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발효 빵
KR102034780B1 (ko) 사과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KR100709381B1 (ko) 쓴메밀 단독, 또는 쓴메밀과 현미를 동시에 함유하는혼합녹차 조성물
WO2024090698A1 (ko) 쌀을 함유한 만두피 제조방법
WO2010077034A2 (ko) 복원력이 우수한 즉석건조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20200145141A (ko) 빵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빵
WO2021096176A1 (ko) 미네랄 함량이 증가된 탈지호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WO2019177349A1 (ko) 해마식초 제조방법
WO2017209361A1 (ko) 삼채 추출물 및 흑미 호분층 추출물을 함유한 저염 핫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37970A (ko) 백련이 함유된 도너츠 반죽물과 백련이 함유된 도너츠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백련 도너츠
KR100927544B1 (ko) 청삼씨를 함유하는 빵의 제조방법
WO2021080084A1 (ko) 강릉 커피 선식의 제조방법
CN1251272A (zh) 一种绿豆方便面的制备方法
WO2024090699A1 (ko) 비건만두 제조방법
KR20180057916A (ko) 매실 페이스트 제조 및 이를 활용한 푸딩, 빵, 떡 및 과자의 제조방법
CN108684790A (zh) 一种山茶油糕点及其制备方法
KR20200097404A (ko) 목이버섯 쌀국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목이버섯 쌀국수
WO2018097358A1 (ko) 매실 식초 푸딩 제조방법
KR102662209B1 (ko) 찹쌀떡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KR100748578B1 (ko) 상황버섯 균사체를 발효제로서 사용하여 발효시킨 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58421B1 (ko) 청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가루차 제조방법
CN107960645A (zh) 一种莲藕粉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