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33435A1 -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33435A1
WO2023033435A1 PCT/KR2022/012574 KR2022012574W WO2023033435A1 WO 2023033435 A1 WO2023033435 A1 WO 2023033435A1 KR 2022012574 W KR2022012574 W KR 2022012574W WO 2023033435 A1 WO2023033435 A1 WO 20230334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mulsion polymer
polymer particles
compound
polymerizable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25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하두한
김수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나노텍
Publication of WO20230334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33435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2Gloss-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C08F25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on to polymers of styrene or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mer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radical per molecule
    • C08F283/1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mer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radical per molecule on to unsaturated polymer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radical per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23/00 - C09D153/00
    • C09D1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26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anioni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ting agent containing emulsified polymer particles, a matting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resin can be injected into a mold on the corroded surface, but this does not produce a sufficient matting effect, or an inorganic filler can be added, but an excessive amount must be used to achieve a sufficient matting effect. Because of its inadequacies, its use is very limi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tting agent containing new emulsion polymer particl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tting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pecific matting agent, and by extruding or injection processing the composition to provide a molded product having excellent matting effect, mechanical properties and excellent quality appearance.
  •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emulsion polymer particles from a 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a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by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that has not been attempted before.
  •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can relatively easily control the degree of crosslinking, and in the case of a matting agent and a matting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m, surprisingly, an excellent matting effect can be exhibit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addition without deterior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xisting thermoplastic polymer,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mulsion polymer particles prepared from a 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a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wherein the epoxy group of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is ring-opened.
  •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may have two or more epoxy groups, and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is 3,4-epoxycyclohexylmethyl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including 20 to 45 parts by weight of an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and 3 to 25 parts by weight of an alicyclic epoxy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y one or two or more acid compoun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 1 COOH, R 2 SO 3 H and salt compounds thereof, wherein the R 1 and R 2 can independently be C 6-30 alkyl, C 6-30 aryl or C 6-30 arC 6-30 alkyl.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include 0.05 to 1 part by weight of the acid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be mixed with water to form a dispersed phase, and the acid compound may be located at an interface between the dispersed phase and the aqueous phase to polymerize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 the surface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 may be negatively charged.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be 90 to 250 nm.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atting agent comprising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asterbatch chip containing the quencher.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quenching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quenching agent and a thermoplastic polymer.
  •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polypropylene (PP), polyacry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 polycarbonate (PC), polyamide (polyamide),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acrylonitrile-styrene-acrylate (ASA) and their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olded article prepared by extruding or injecting the quenchable polymer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core layer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a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includ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and preparing a shell layer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a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includ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a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in the presence of the core layer. .
  •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includes 1 to 20 parts by weight of an alicyclic epoxy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 the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comprises the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n unsaturated
  •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 to 1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nitrile compound.
  •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core layer is performed by:
  • the acid compound is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 1 COOH, R 2 SO 3 H and salt compounds thereof, wherein R 1 and R 2 are independently C 6-30 alkyl, C 6-30 aryl or C 6-30 arC 6-30 alkyl.
  • the step of preparing the shell layer may include preparing an emulsion polymer particle dispersion by adding the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dropwise and emul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the core layer.
  •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include a core layer of 5 to 60 wt% and a shell layer of 40 to 95 wt%.
  • the solid content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 dispersion may be 20 to 45 wt%.
  •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through a simple process of emulsion polymerization,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easy to control the degree of crosslinking.
  • the quenching polymer composition is prepared using the quenching agent containing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it is good to effectively exhibit quenching properties without deteriorating other physical properties.
  • the quenchable polymer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olded product having an excellent quenching effect while having a beautiful appearance without deterioratin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existing thermoplastic polymers. It is very good because it can express excellent matting effect even in extrusion processing, which was difficult to achieve.
  • the matt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tting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an be used for various product groups such as interior/exterior materials for automobiles, interiors, and home appliances.
  • the term "matting property” refers to a property of lowering gloss due to a diffuse reflection effect through a difference in shrinkage and refractive index between polymers or between polymers and additives in an incompatible polymer composition or through surface processing.
  • dispersed phase refers to a discontinuous phas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dispersion medium, and may specifically mean a discontinuous phase in which a polymerizable composition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droplets using water as a medium.
  • pre-emulsion means a composition in a stable state in which a polymerizable composition, an emulsifier and a solvent (deionized water) are homogeneously mixed.
  • emulsion refers to a dispersion in which one of two liquids insoluble in each other is dispersed in the form of small particles on the other si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mulsion polymer particles prepared from a 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a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wherein the epoxy group of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is ring-opened.
  • the epoxy group of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included in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 may be in a ring-opened state, and specifically, the ring-opened epoxy group may be ring-opened by reacting with other compounds included in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may be chemically bonded to the polymer and included in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aromatic vinyl compoun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tyrene, ⁇ -methyl styrene, o-methyl styrene, ⁇ -methyl styrene, m-methyl styrene, ethyl styrene, isobutyl styrene, and t-butyl.
  • styrene o-bromo styrene, ⁇ -bromo styrene, m-bromo styrene, o-chloro styrene, ⁇ -chloro styrene, m-chloro styrene, vinyltoluene, vinylxylene, fluorostyrene, and vinylnaphthalen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and preferably styrene may be used.
  • the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ethacrylonitrile, phenylacrylonitrile, ⁇ -chloroacrylonitrile, etc., and preferably acrylonitrile. can be used.
  •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may have two or more epoxy groups, and specifically,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is 3,4-epoxycyclohexylmethyl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diethylene glycol bis(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2-ethyl-1,3-hexanediol bis(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diethylene glycol bis(3,4-epoxy-6 -methylcyclohexane-carboxylate), 3-methyl-1,5-pentanediol bis(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1,5-pentanediol bis(3,4-epoxycyclohexane -carboxylate), ethylene glycol bis(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ethylene glycol bis(3,4-epoxy-6-methylcycl
  • CEL-2021, CEL-3000 and CEL-2081 can be used a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comprises 1 to 9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7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45 parts by weight of an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0.1 to 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to 4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3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 the reaction stability can be maintained, and it is good to be able to prepare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having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quenching effect can be effectively exhibited even when a small amount of the quenching agent containing the same is added. Even better.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r two or more acid compoun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 1 COOH, R 2 SO 3 H and salt compounds thereof, wherein the R 1 And R 2 may independently be C 6-30 alkyl, C 6-30 aryl or C 6-30 arC 6-30 alkyl, and the salt compound of the acid compound is R 1 COOM and R 2 SO 3 M It may be represented by, wherein R 1 and R 2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M may be a cation.
  • the M may be an alkali metal cation or an ammonium cation, and as a non-limiting example, M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ion, potassium ion, and lithium 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cid compound is R 2 SO 3 H
  • R 2 may be C 6-12 ArC 6-18 alkyl,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butylbenzenesulfonic acid, octylbenzenesulfonic acid, dodecylbenzenesulfonic acid and pentadecylbenzenesulfonic acid. It may be selected from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cid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5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5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in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be mixed with water (medium) to form a dispersed phase, and the acid compound or salt compound thereof may be positioned at an interface between the dispersed phase and the aqueous phase to polymerize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 the detailed description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method for preparing emulsion polymer particles below.
  •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include a divalent -SO 3 - or -CO 3 - substituent,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 -SO 3 - substituent.
  • the divalent substituent may be formed by reacting an acid compound a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included in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the divalent substituent may be bonded to a hydrocarbyl group, respectively.
  • the divalent substituent may be included by being bonded to a polymer chain.
  • the divalent substituent is mainly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 and may have a concentration gradient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the divalent substituent decreases from the surface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 to the inside of the particle.
  • the concentration gradient may be derived from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chanism. Specifically, as the acid compound is located at the interface of the dispersed phase, the divalent substituent may be present at a high concentration on the surface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 through a reaction between the acid compound and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located at the interface at the interface.
  • Emulsion polymer particles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 have a uniform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can exhibit an excellent matting effect, which is more preferable.
  • the surface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 may be negatively charged.
  •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are prepar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and by using an emulsifier, dispersibility of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particles present in a medium and stability of emulsion polymerization may be improved.
  • the emulsifier may be an anionic emulsifier, which negatively charges the surface of the prepared emulsion polymer.
  • the dispersion stability of micelles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mean D50, and the D50 is a particle when the cumulative volume is 50% from a small particle diameter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 by the laser scattering method. means diameter.
  •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an be measured using Malvern's Mastersizer 3000 by collecting particles according to KS A ISO 13320-1 standard for emulsion polymer particles. Specifically, after using water as a dispersion medium and dispersing using an ultrasonic disperser if necessary, the volume density can be measu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ommonly used or known method can be used to measur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can
  • Emulsion polymer 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par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and after completion of the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on, the emulsion phase emulsion polymer particles in which th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medium (water) are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s, and agglomeration after the aggregation step.
  • the particles in this state are defined as the second emulsion polymer particles.
  •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mean the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s, and may include both the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s and the second emulsion polymer particles in some cases.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be 50 to 1,000 nm, preferably 70 to 500 nm, and more preferably 90 to 250 nm. In the case of emulsified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good that an excellent matting effect can be expressed without deteriorating other physical properties with only a small amount of addition.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econd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be 1 to 3000 ⁇ m, 10 to 2500 ⁇ m, or 50 to 2000 ⁇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be 1 to 5, specifically 1 to 3, but is not limited thereto. Emulsion polymer particles satisfying the above range may have a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which may improve matting effect and appearance quality.
  •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PAN) was measured using an optical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 (Malvern's Mastersizer 3000), and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SPAN) value represented by Equation 1 was derived.
  • Equation 1 Dv50 indicates that the particle size is medium among polymers produced through polymerization, and Dv90 is the particle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90% of polymers produced through polymerization (90% of small particle size to large particle size). , and Dv10 represents the particle size corresponding to the top 10% of polymers produced through polymerization (10% from small particle size to large particle siz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atting agent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emulsion polymer particles.
  • the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s prepar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may be subjected to aggregation, dehydration, and drying steps to obtain powdery second emulsion polymer particles, which may be used as a matting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aster batch chip containing the quencher.
  • the master batch chip may include a thermoplastic polymer and a matting agent, and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r two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UV absorbers, UV stabilizers, lubricants, and mixtures thereof. there is. As long as the above additives are generally used or known ones, they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 the matting agent may be included in 0.1 to 50 wt%, preferably 5 to 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asterbatch chip. When using the master batch chip in the above range, the dispersibility and uniformity of content of the matting agent and additives are improved, so that high-quality products (molded products) can be manufactured.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quenching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quenching agent and a thermoplastic polymer.
  • the matting agent can effectively express matting properties without deterior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existing thermoplastic polymers with only a small amount of addition, and has excellent dispersibility with the thermoplastic polymers due to dense crosslinking and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ow-gloss or matte product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by extruding and injection-processing the matting polymer composition.
  •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polypropylene (PP), polyacry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 polycarbonate (PC), polyamide (polyamide),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acrylonitrile-styrene-acrylate (ASA) and their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and specifically, a mixture of PC and SAN, a mixture of PC and ABS, or a mixture of PC and ASA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P polypropylene
  • PA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PC polycarbonate
  • PC polyamide
  • SAN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 ABS
  • the matting polymer composition may include 0.1 to 30 wt% of the matting agent and 70 to 99.9 wt%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rface gloss of the product to be manufactured Depending on the degree, the amount of the quencher input may be adjusted.
  • the light-quenching polymer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 an antioxidant for example, an antioxidant, a UV absorber, a UV stabilizer, a lubricant,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additives may be included in an appropriate amoun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physical properties intended by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tting agent may be mixed with the thermoplastic polymer again after being prepared as a masterbatch chip including a thermoplastic polymer, and the masterbatch chip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 the master batch chip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50 wt%, preferably 1 to 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quenchable polymer composition, and the quenching in a product finally manufactured by adjusting the input amount of the master batch chip. content can be determined.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olded article prepared by extruding or injecting the quenchable polymer composition.
  • it was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a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matting effect during extrusion processing but in the case of the matting polymer composition to which the matting agent containing the emulsified polymer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particular, the phenomenon of appearance defects due to particle protrusion during extrusion process is effectively suppressed.
  • it is very good that a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matting properties and excellent quality appearance can be manufactured without compromis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xisting polymer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core layer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a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includ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and emulsion-polymerizing a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includ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a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in the presence of the core layer to prepare a shell lay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emulsion polymer particles comprising a.
  •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s 1 to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to 2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20 parts by weight of an alicyclic epoxy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can be included as part.
  •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7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 an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is further included in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matting effect and impact strength or tensile strength can be improved during extrusion processing.
  • the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is 5 to 8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7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unsaturated nitrile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 a crosslinking agent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the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 the crosslinking agent has two or mor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s, it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and non-limiting examples include 1,2-ethanedioldi(meth)acrylate, 1,3-propanedioldi(meth)acrylate, 1 ,3-butanedioldi(meth)acrylate, 1,4-butanedioldi(meth)acrylate, 1,5-pentanedioldi(meth)acrylate, 1,6-hexanediol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 (meth)acrylate, polybutylene glycol di(meth)
  •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the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to control molecular weight.
  •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may be n-dodecylmercaptan, n-amyl mercaptan, t-butyl mercaptan, t-dodecyl mercaptan, n-hexyl mercaptan, n-octyl mercaptan, n-nonyl mercaptan, and the like.
  • 0.0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reparing the core layer may include (a) preparing a pre-emulsion by adding and stirring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deionized water, an emulsifier, and an acid compound in a reactor; and (b) adding a water-soluble initiator to initiate the reaction and emulsion polymerization.
  • the step (a) is a step of preparing a pre-emulsion by stirring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deionized water, an emulsifier, and an acid compound at room temperature, and can be emulsified at a sufficient time and stirring speed, and the pre-emulsion is emulsified.
  • the time and stirring speed are not significantly limited, but,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a 2L reactor is 200 rpm or more, it is good to leave a stirring time of 10 minutes or more. At this time,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only used or known auxiliary emulsifier, a buffer (pH adjusting agent) and a molecular weight adjusting agent.
  •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ms a dispersed phase using deionized water (aqueous phase) as a medium, and it is preferable to sufficiently stir the dispersed phase droplets to spread evenly in a small size.
  • the emulsifier and the acid compound may be loc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queous phase and the dispersed phase, and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be performed at the interface.
  • Step (b) is a step of rai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to 50 to 70 ° C and then initiating the reaction by introducing a water-soluble initiator. It is preferable to keep it constant at 65 to 75 ° C.
  • the reaction time may be 10 to 200 minutes, and step (b)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polymerization step, which may be to perform additional polymerization at a temperature of 60 ° C to 75 ° C for 30 to 120 minutes,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re layer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be prepared, and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may be 70 to 99%.
  • the shell layer may be prepared by slowly adding the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dropwise in the presence of the core layer and performing emulsion polymerization to prepare an emulsion polymer particle dispersion.
  • the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be added dropwise to the core layer at a constant flow rate for 30 minutes to 5 hours, and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reaction temperature constant at 60 to 80°C.
  • the second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emulsifier, a buffer (pH adjusting agent) and a molecular weight adjusting agent.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cooling to 40° C. or lower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 may include a core layer of 5 to 60 wt% and a shell layer of 40 to 95 wt%.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pared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dispersion containing the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y additionally undergo an aggregation step.
  • the first emulsion polymer particles are agglomerated using an acid solution or a salt solution, separated from the medium (water), heated to solidify (solidify)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and then dehydrated and dried to reduce the water content to 0.5 wt. % or less of the white powdery second emulsion polymer particles can be obtained.
  • the coagulant a known or commonly used coagulant may be used, and for example, sulfuric acid, phosphoric acid, magnesium sulfate, and the like may be used.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pared second emulsion polymer particle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emulsifier lowers the interfacial energy between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which is the dispersed phase, and the aqueous phase, which is deionized water, so that a more uniform dispersed phase can be maintained, and thus stable emulsion polymerization can proceed.
  • the emulsifi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cationic, anionic, and nonionic surfactants, and non-limiting examples include octyl trimethyl ammonium hydroxide, dodecyl trimethyl ammonium hydroxide, hexadecyl trimethyl ammonium hydroxide, octyl dimethyl benzyl ammonium hydroxide, and decyl hydroxide.
  • cationic surfactants such as dimethyl dimethyl benzyl ammonium, didodecyl dimethyl ammonium hydroxide, and dioctadecyl dimethyl ammonium hydroxide; Alkali metal soaps of high fatty acids, alkylaryl sulfonates such as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 potassium rosinate, potassium fatty acid, potassium alkenyl dicarboxyl, sodium lauryl sulfate, sodium dodecyl sulfate,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odium anionic surfactants such as dodecyl benzene sulfate, alkyl sulfate, alkyl ether sulfate, alkyl phenyl ether sulfate, alkyl benzene sulfonate, alkyl sulfonate and dialkyl sulfosuccinate; and condensates of ethylene oxide with
  • potassium rosinate and dodecylbenzenesulfonic acid may be used, a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cid compound is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 1 COOH, R 2 SO 3 H and salt compounds thereof, wherein R 1 and R 2 are independently C It may be 6-30 alkyl, C 6-30 aryl or C 6-30 arC 6-30 alkyl, and descriptions of the acid compound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compound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weight ratio of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and the acid compound in the first polymerizable composition may be 1:0.005 to 0.5, preferably 1:0.01 to 0.2.
  • the reaction stability can be maintained, and the particle diameter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can be prepared uniformly, and when the matting agent containing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is used, a small amount without deterioration in mechanical properties.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olded article with improved matting effect and appearance quality only by adding.
  • the water-soluble initiator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n initiator generally used in emulsion polymerization or a known compound, and non-limiting examples include potassium persulfate, sodium persulfate and ammonium persulfate. Peroxide etc. can be used. 0.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verage particle diameter measured using a particle size analyzer (Malvern Mastersizer 3000).
  • IZOD impact strength (Noched IZOD Impact strength): Impact strength was measured at 1/4" and 1/8" according to ASTM D256.
  •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 Yellow Index (YI) An injection-molded product having a thickness of 3.2 mm was manufactured and the yellow index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925.
  • Styrene 23g acrylonitrile 9g,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yl carboxylate (CEL-2021, Daicel Chem) 3g and dodecylbenzenesulfonic acid (95 wt%, Samchun Chemical) 0.35g was added to the reactor and stirred. Thereafter, 200 g of deionized water and 2.0 g of potassium rosinate were additionally added, followed by stirring at a stirring speed of 200 rpm or more for 30 minutes or more. After confirming that the composition in the reactor became a milky pre-emulsion state,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60°C.
  • the reaction was initiated by adding 0.15 g of potassium persulfate to the reactor, and then emulsio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for 2 hours while controlling the exothermic reaction and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at 70 ° C. Through this, a core layer of emulsion polymer particles was prepared. .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97%)
  • step (A) a composition obtained by mixing 43 g of styrene, 16 g of acrylonitrile, and 6 g of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yl carboxylate was added to a reactor at an internal temperature of 70 ° C for 2 hours. After continuous dropwise addition, emulsion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for 2 hour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70 °C while controlling the exothermic reaction.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cooled to 40° C. or less to obtain a dispersion (emulsion) containing emulsion polymer particles.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98%, solid content 33%)
  • the emulsion was agglomerated using magnesium sulfate, and then washed, dehydrated, and dried to finally obtain emulsion polymer particles according to Example 1 in the form of white powder.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was measured to be 195 nm.
  • step (A) of Example 1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except that 32 g of styrene was added without adding acrylonitrile.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was measured to be 160 nm.
  • step (A) of Example 1 24 g of styrene and 2 g of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yl carboxylate were added, and in step (B), 44 g of styrene, 17 g of acrylonitrile and 3
  • step (B) 44 g of styrene, 17 g of acrylonitrile and 3
  • 4 g of ,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yl carboxylate was added.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was measured to be 180 nm.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was measured to be 215 nm.
  • Example 2 Same as Example 1 except for adding 0.1 g of divinylbenzene together with styrene in step (A) of Example 1 and adding 0.3 g of divinylbenzene together with styrene in step (B). proceeded accordingly.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was measured to be 140 nm.
  • step (A) of Example 1 dodecylbenzenesulfonic acid was not added and 3 g of divinylbenzene was added instead of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yl carboxylate
  • step (B)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6 g of divinylbenzene was added instead of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yl carboxylate, and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the obtained emulsion was 97% or more. , the solid content was 36%. Subsequent processes were also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was measured to be 118 nm.
  • pellets of the quenchable polymer composition are obtained through an extruder, and the pellets are dried to obtain a specimen having a width, length, and thickness of 70 mm x 75 mm x 3.0 mm with an extruder and a specimen having a width, length, and thickness of 100 mm x 75 mm x 2.0 mm with a single sheet extruder.
  • a specimen in the form of a sheet of mm was prepar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nufactured injection molded article and the extruded sheet were measur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 Example 6 the procedure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the same amount of SAN Gel-1 according to US Patent Publication No. 5,580,924 A was added instead of the emulsion polymer particles.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nufactured injection molded article and the extruded sheet were measured and are shown in Table 1 below.
  • Example 6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6 was performed except that the same amount of ASA (XC-500A) was added instead of ABS (IM-601) in Example 6.
  • ASA XC-500A
  • ABS IM-601
  • Example 1 8.0 7.3 16.1 22.1 56.4 565 15.1
  • Example 7 Example 2 9.5 10.2 20.3 18.0 51.2 559 13.8
  • Example 8 Example 3 9.5 8.7 16.8 20.5 57.0 561 15.8
  • Example 9 Example 4 8.0 8.5 16.3 25.5 57.1 566 15.4
  • Example 10 Example 5 9.6 9.0 17.1 26.5 54.5 563 14.6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1 43.5 77.8 91.1 21.5 48.2 551 16.5 Comparative Example 3 BLENDEX BMAT 11.4 34.9 48.6 15.6 47.1 567 21.2 Comparative Example 4 XPHERE-NGR 18.5 46.5 68.1 20.3 42.2 569 22.6 Comparative Example 5 SAN Gel-1 18.2 51.7 71.2 20.9 51.2 589 25.1
  • Example 1 24.1 15.6 20.1 19.1 50.2 588
  • Example 12 Example 2 28.4 19.4 25.6 17.8 45.9 582
  • Example 13 Example 3 25.2 25.4 21.6 16.9 44.9 589
  • Example 14 Example 4 24.1 15.5 19.3 18.7 46.2 591
  • Example 15 Example 5 29.5 23.5 25.3 13.3 38.1 595 Comparative Example 6 Comparative Example 1 65.5 73.5 89.3 12.8 36.8 599 Comparative Example 7 BLENDEX BMAT 14.4 36.5 42.1 10.6 18.6 587 Comparative Example 8 XPHERE-NGR 18.8 58.7 66.8 18.5 38.4 591
  • the surface glossiness at 85 ° of Comparative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8 was all 40 or more, while Examples 6 to 15 were all 30 or less, so the matting agent (emulsion polymer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tting agent emulsion polymer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유화중합법의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가교도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사용하여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기존 열가소성 고분자의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을 저하하지 않고, 수려한 외관을 가지면서, 우수한 소광효과를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에 달성하기 어려웠던 압출가공에서도 우수한 소광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가 보편화되면서 자동차 산업에서는 경량화 이슈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차체의 금속 소재를 가볍고 고강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거나, 기존 볼트 너트의 조합으로 접합되던 부분을 접착제로 고정하는 등 금속 소재를 제거하려는 시도들이다.
또한, 자동차 내/외장재를 도장하여 다양한 색감 및 질감을 표현하던 것에서, 경량화 이슈, 환경적 이슈, 도장면의 빛 반사로 인한 운전자 운행 문제 및 인테리어의 고급화 등으로 인하여 저광택 또는 무광택의 질감을 갖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광택을 저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수지를 부식면 금형에 사출할 수 있지만 이는 충분한 소광효과를 내지 못하고, 또는 무기필러를 첨가할 수 있지만 과량을 사용해야 충분한 소광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과량 사용시 기계적 강도가 미흡해지기 때문에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 공개특허 US 5580924 A에서는 PC의 광택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를 3,4-에폭시사이클헥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와 블랜드하여 반응압출기를 통해 가교화된 SAN을 제조하였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반응 압출시에 흑점 등과 같은 표면이물이 발생하고, 색상 개선이 어려우며, 가교점 조절이 어려워 가공시 용해되지 못하고 외관불량이 발생하는 등 우수한 품질의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광효과가 우수하며,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으며, 우수한 품질의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소광성 첨가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새로운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상기 소광제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가공하여, 우수한 소광효과, 기계적 물성 및 우수한 품질의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시도되지 못했던 유화중합법으로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비교적 용이하게 가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소광제 및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의 경우, 놀랍게도 기존 열가소성 고분자의 물성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우수한 소광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우수한 외관품질을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는 개환된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에틸-1,3-헥산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메틸-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옥살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숙시네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및 1,2,8,9-디에폭시리모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20 내지 45 중량부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3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산 화합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 화합물을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물과 혼합되어 분산상을 형성하되, 상기 산 화합물은 분산상과 수상의 계면에 위치하여 상기 중합성 조성물이 중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은 음으로 하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입경은 90 내지 250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제 및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AS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1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의 총합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2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a) 반응기에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탈이온수,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을 첨가 및 교반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수용성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유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산 화합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고,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적하하고 유화중합하여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코어층이 5 내지 60wt% 및 셸층이 40 내지 95wt%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solid content)이 20 내지 45 w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는 유화중합법의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가교도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사용하여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다른 물성저하 없이 효과적으로 소광성을 발휘할 수 있어 좋다.
또한,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의 경우, 기존 열가소성 고분자의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을 저하하지 않고, 수려한 외관을 가지면서, 우수한 소광효과를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에 달성하기 어려웠던 압출가공에서도 우수한 소광효과를 발현할 수 있어 매우 좋다.
본 발명의 소광제 및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외장재용, 인테리어용 및 가전제품용 등의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소광성"은 비상용성 고분자 조성물에서 고분자간 및 고분자와 첨가제간의 수축률 및 굴절률 차이 또는 표면 가공을 통하여 난반사 효과에 의해 광택을 낮추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분산상"은 분산매질 전체에 걸쳐 분포된 불연속상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물을 매질로 하여 중합성 조성물이 액적(droplet)형태로 분포된 불연속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프리에멀젼(pre-emulsion)"은 중합성 조성물, 유화제 및 용매(탈이온수)가 균질하게 혼합된 안정한 상태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에멀젼(emulsion)"은 서로 녹지 않는 두 가지 액체의 한편이 다른 쪽에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된 상태의 분산액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물성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는 개환된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공한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에 포함되는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는 개환된 상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개환된 에폭시기는 상기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른 화합물들과 반응하여 개환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중합체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유화중합체 입자 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비제한적인 예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o-메틸 스티렌, ρ-메틸 스티렌, m-메틸 스티렌, 에틸 스티렌, 이소부틸 스티렌, t-부틸 스티렌, o-브로보 스티렌, ρ-브로모 스티렌, m-브로모 스티렌, o-클로로 스티렌, ρ-클로로 스티렌, m-클로로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크실렌, 플루오로스티렌 및 비닐나프탈렌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좋게는 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은 비제한적인 예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좋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에틸-1,3-헥산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메틸-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옥살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숙시네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및 1,2,8,9-디에폭시리모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좋게는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품으로는 다이셀켐의 CEL-2021, CEL-3000 및 CEL-208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1 내지 90 중량부, 좋게는 10 내지 70 중량부, 더 좋게는 20 내지 4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부, 좋게는 1 내지 40 중량부, 더 좋게는 3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반응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물성을 갖는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조할 수 있어 좋으며, 이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소량 첨가하여도 소광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산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산 화합물의 염 화합물은 R1COOM 및 R2SO3M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R1 및 R2은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하고, M은 양이온일 수 있다. 상기 M은 알칼리금속 양이온 또는 암모늄 양이온일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로 M은 소듐이온, 포타슘이온 및 리튬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 화합물은 R2SO3H 이고, 상기 R2는 C6-12아르C6-18알킬일 수 있으며, 일예로 부틸벤젠술폰산, 옥틸벤젠술폰산, 도데실벤젠술폰산 및 펜타데실벤젠술폰산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산 화합물은 상기 중합성 조성물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물(매질)과 혼합되어 분산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산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합물은 분산상과 수상의 계면에 위치하여 상기 중합성 조성물이 중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에 상기 산 화합물을 더 첨가하여 유화중합하는 경우, 반응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견고한 가교네트워크를 형성한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조할 수 있어 매우 좋다.
또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2가의 -SO3- 또는 -CO3-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SO3-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가의 치환기는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된 산 화합물과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2가의 치환기는 하이드로카빌기에 각각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2가의 치환기는 고분자 사슬에 결합되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가의 치환기는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에 주로 존재하여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에서 입자 내부 방향으로 2가의 치환기의 농도가 감소하는 농도구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농도구배는 유화중합 메커니즘에 의해 유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 화합물이 분산상의 계면에 위치함에 따라 계면에 위치하는 산 화합물과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이 계면에서 반응을 통해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에 상기 2가의 치환기가 고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유화중합체 입자는 평균입경이 균일할 수 있고 우수한 소광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은 음으로 하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유화중합을 통해 제조되며,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매질상에 존재하는 중합성 조성물 및 입자의 분산성과 유화중합 반응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 유화제일 수 있고, 이는 제조된 유화중합체 표면을 음으로 하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자의 표면전하가 음전하인 경우, 마이셸의 분산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D5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D50은 레이저 산란법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에서 작은 입경부터 누적 체적이 50%가 될 때의 입자 직경을 의미한다. 여기서 D50은 유화중합체 입자에 대해 KS A ISO 13320-1 규격에 따라 입자를 채취하여 Malvern사의 Mastersizer 3000을 이용하여 입도 분포가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을 분산매로 하고 필요한 경우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하여 분산시킨 뒤, Volume density를 측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균 입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거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는 유화중합을 통해 제조되며, 유화중합 반응 종결 후 입자가 매질(물)에 분산되어 있는 에멀젼상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 1 유화중합체 입자, 응집단계 후 응집된 상태의 입자를 제 2 유화중합체 입자라고 정의한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화중합체 입자는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의미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제 1 유화중합체 입자 및 제 2 유화중합체 입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입경은 50 내지 1,000㎚, 좋게는 70 내지 500㎚, 더 좋게는 90 내지 25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평균입경을 갖는 유화중합체 입자의 경우, 소량의 첨가만으로 다른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우수한 소광효과를 발현할 수 있어 좋다. 또한, 제 2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입경은 1 내지 3000 ㎛, 10 내지 2500 ㎛ 또는 50 내지 2000 ㎛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의 입도분포는 1 내지 5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유화중합체 입자는 입도분포가 균일할 수 있으며, 이는 소광효과 및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좋다. 상기 입도분포(SPAN)는 광회절 입도분석장치 (Malvern사 Mastersizer 3000)를 이용하여 측정된 것으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입도분포(SPAN) 값을 도출하였다.
[식 1] 입도분포(SPAN) = (Dv90 - Dv10) / Dv50
식 1에서, Dv50은 중합을 통해 생성된 폴리머 중 입도가 중간값(medium)인 것을 나타내고, Dv90은 중합을 통해 생성된 폴리머 중 상위 90%에 해당하는 입도(소입도에서 대입도로의 90%)를 나타내고, Dv10은 중합을 통해 생성된 폴리머 중 상위 10%에 해당하는 입도 (소입도에서 대입도로의 10%)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술한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제공할 수 있다. 유화중합을 통해 제조된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응집, 탈수 및 건조 단계를 거쳐 분말형태의 제 2 유화중합체 입자를 수득할 수 있고, 이를 포함하여 소광제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칩(Master Batch Chip)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배치 칩은 열가소성 고분자 및 소광제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UV 안정제, 활제 및 이들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마스터배치 칩 전체 중량에서 0.1 내지 50 wt%, 좋게는 5 내지 30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마스터 배치 칩을 사용할 경우, 소광제 및 첨가제의 분산성 및 함량의 균일성이 향상되어 고품질의 제품(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제 및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소량의 첨가만으로 기존 열가소성 고분자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소광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조밀한 가교도 및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져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와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이를 통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및 사출가공하여 기계적강도가 우수한 저광택 또는 무광택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AS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PC와 SAN의 혼합물, PC와 ABS의 혼합물, 또는 PC와 ASA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은 상기 소광제 0.1 내지 30wt% 및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 70 내지 99.9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표면광택도에 따라 상기 소광제 투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은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UV 안정제, 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첨가제들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광제는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마스터배치 칩으로 제조된 후에 다시 열가소성 고분자와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배치 칩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스터배치 칩은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전체 중량에서 0.1 내지 50 wt%, 좋게는 1 내지 30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배치 칩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품에서의 소광제 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 압출가공시 소광효과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하기 매우 어려웠지만, 본 발명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적용한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의 경우 특히 압출가공에서 입자 돌출로 인한 외관불량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기존 고분자의 기계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소광성 및 우수한 품질의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어 매우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1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1 내지 30 중량부, 좋게는 1 내지 25 중량부, 더 좋게는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은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부, 좋게는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에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더 포함할 경우, 압출가공시 소광효과 및 충격강도나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5 내지 80 중량부, 좋게는 10 내지 70 중량부, 더 좋게는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의 총합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0.5 내지 50 중량부, 좋게는 1 내지 25 중량부, 더 좋게는 2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반응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코어층과 셸층의 내부 및 층간의 조밀한 가교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어 좋다.
또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및 제 2 중합성 조성물에 가교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가교 가능한 관능기가 두 개 이상인 것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로 1,2-에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및 트리알킬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좋게는 0.1 내지 3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및 제 2 중합성 조성물에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분자량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n-도데실메르캅탄, n-아밀 메르캅탄, t-부틸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n-헥실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n-노닐메르캅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 좋게는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a) 반응기에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탈이온수,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을 첨가 및 교반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수용성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유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제 1 중합성 조성물과 탈이온수,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을 상온에서 교반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로, 충분한 시간 및 교반속도로 유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프리에멀젼의 유화상태가 양호할수록 반응안정성이 좋을 수 있다. 이에 시간 및 교반속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일예로 2L 반응기 크기일 때, 200rpm이상의 교반속도로 10분 이상의 교반시간을 두는 것이 좋다.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지된 보조 유화제, 버퍼(pH 조절제) 및 분자량조절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는 탈이온수(수상)를 매질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이 분산상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분산상의 액적이 작고 균일하게 퍼질 수 있도록 충분히 교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상과 분산상의 계면에 상기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이 위치할 수 있으며, 해당 계면에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반응기 내부 온도를 50 내지 70℃로 상승시킨 뒤, 수용성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는 단계로,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냉각기를 이용하여 반응기 온도를 65 내지 75℃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시간은 10 내지 200분일 수 있고, 상기 (b) 단계는 추가중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60℃ 내지 75 ℃의 온도에서 30 내지 120분 동안 추가 중합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 및 (b) 단계를 통해 유화중합체 입자의 코어층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중합전환율은 70 내지 99%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천천히 적하하고 유화중합하여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상기 셸층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상기 코어층에 30분 내지 5 시간 동안 일정유량으로 적하할 수 있고, 반응온도를 60 내지 80℃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은 보조 유화제, 버퍼(pH 조절제) 및 분자량조절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응 완료 후, 40℃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통해 코어층 및 셸층을 포함하는 제 1 유화중합체 입자가 분산된 분산액을 수득할 수 있으며, 최종 중합전환율이 95 내지 99.9%이고, 상기 분산액은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20 내지 45wt%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는 코어층이 5 내지 60 wt% 및 셸층이 40 내지 95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제 1 유화중합체 입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다.
추가로,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은 응집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응집단계는 산 용액 또는 염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응집시켜 매질(물)과 분리하고 승온하여 입자표면을 응고(고화)시킨 뒤, 탈수 및 건조 공정을 거쳐 수분 함유량이 0.5wt% 이하인 백색 분말 상태의 제 2 유화중합체 입자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응집제로는 공지되거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응집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황산, 인산, 황산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제 2 유화중합체 입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제는 상기 분산상인 중합성 조성물과 탈이온수인 수성 사이의 계면에너지를 낮추어 더욱 균일한 분산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며, 따라서 안정적인 유화중합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로는 수산화 옥틸 트리메틸 암모늄, 수산화 도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수산화 헥사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수산화 옥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수산화 데실 디메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수산화 디도데실 디메틸 암모늄, 수산화 디옥타데실 디메틸 암모늄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고지방산의 알칼리금속비누, 소듐 도데실 벤젠 설폰산염 같은 알킬아릴 설폰산염, 로진산 칼륨, 지방산 칼륨, 알케닐 디카르복실 칼륨,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서 설페이트, 소디움 도데실 벤젠 설페이트, 알킬 설페이트, 알킬 이서 설페이트, 알킬 페닐 이서 설페이트,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및 디알킬 설포석시네이트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산화 에틸렌과 장쇄 지방 알코올 또는 C12-16 알코올 같은 지방산과의 축합물, 산화 에틸렌과 아민 또는 아미드와의 축합물, 에틸렌과 산화 프로필렌의 축합 생성물, 글리세롤, 수크로스(sucrose), 솔비톨(sorbitol), 지방산 알키롤(alkylol) 아미드, 수크로스 에스테르, 산화 지방 아민, 폴리옥시알킬렌 솔비탄(sorbitan) 에터,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알킬폴리사카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PVA)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진산칼륨 및 도데실벤젠술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중합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산 화합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고,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일 수 있으며, 상기 산 화합물에 대한 설명 및 구체적인 화합물의 예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에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상기 산 화합물의 중량비는 1 : 0.005 내지 0.5, 좋게는 1: 0.01 내지 0.2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반응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고, 유화중합체 입자의 입경 및 입도분포를 균일하도록 제조할 수 있어 좋고, 상기 유화중합제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사용할 경우, 기계적 물성저하 없이도 소량의 첨가만으로 소광효과 및 외관품질이 향상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용성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유화중합에 사용되는 개시제이거나 공지된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포타슘퍼설페이트, 소디움퍼설페이트 및 암모늄퍼설페이트 등의 과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측정방법]
1) 평균 입경 : 입도분석장치 (Malvern사 Mastersizer 30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표면 광택도(GLOSS) : ASTM D523에 의거하여 60°및 85°에서 측정하였다.
3) IZOD 충격강도(Noched IZOD Impact strength) :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의거하여 1/4" 및 1/8"에서 측정하였다.
4)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 인장강도를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5) 황색도(YI, Yellow Index) : 3.2mm 두께의 사출성형품을 제조하여 황색도를 ASTM D192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유화중합체 입자 제조
(A) 코어층 제조단계
스티렌 23g, 아크릴로니트릴 9g,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CEL-2021, 다이셀켐) 3g 및 도데실벤젠술폰산(95 wt%, 삼전화학) 0.35g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이후 탈이온수 200g 및 로진산칼륨 2.0g을 추가로 투입한 뒤에 200 rpm이상의 교반속도로 30분 이상 교반하였다. 반응기 내 조성물이 우윳빛의 프리에멀젼 상태가 됨을 확인한 후에 60℃로 승온하였다. 반응기에 포타슘퍼설페이트 0.15g을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였으며, 이후 발열반응을 조절하며 반응기 내부온도를 70℃로 유지하며 2시간 동안 유화중합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화중합체 입자의 코어층을 제조하였다. (중합전환율 97%)
(B) 셸층 제조단계
상기 (A) 단계에 이어서, 내부온도 70℃의 반응기에 스티렌 43g, 아크릴로니트릴 16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6g을 혼합한 조성물을 2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적하한 뒤, 발열반응을 조절하며 온도를 70 ℃로 유지하며 2시간 동안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기 내부 온도를 40℃ 이하로 냉각하여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한 분산액(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중합전환율 98%, 고형분 33%)
상기 에멀젼을 황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응집시킨 후 세척, 탈수 및 건조단계를 거쳐 백색 분말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95㎚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을 투입하지 않고 스티렌 32g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60㎚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스티렌 24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2g을 투입하는 것과 (B)단계에서 스티렌 44g, 아크릴로니트릴 17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4g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80㎚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아크릴로니트릴 8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4g을 투입하는 것과 (B)단계에서 스티렌 42g, 아크릴로니트릴 15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8g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215㎚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스티렌과 함께 디비닐벤젠 0.1g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과 (B)단계에서 스티렌과 함께 디비닐벤젠 0.3g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40㎚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도데실벤젠술폰산을 투입하지 않고,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대신 디비닐벤젠 3g을 투입하는 것과 (B) 단계에서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대신 디비닐벤젠 6g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수득한 에멀젼의 중합전환율은 97% 이상이고, 고형분은 36%였다. 이후의 과정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18㎚로 측정되었다.
-사출성형품 및 압출시트 제조
[실시예 6 내지 10 및 비교예 2 내지 4]
PC(3020PJ) 65.5wt%, ABS(IM-601) 11.4wt%, SAN(92HR) 18wt% 및 산화방지제 0.3wt%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 4.7 wt%를 믹싱 후 압출기를 통하여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펠렛을 얻고, 상기 펠렛을 건조하여 사출기로 가로, 세로 및 두께가 70mm x 75mm x 3.0mm의 시편과 단일 시트 압출기로 가로, 세로 및 두께가 100mm x 75mm x 2.0mm의 시트 형태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사출성형품 및 압출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6에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 대신 미국 공개특허 US 5580924 A에 따른 SAN Gel-1을 동량 투입했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한 사출성형품 및 압출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6 내지 8]
상기 실시예 6에서 ABS(IM-601) 대신 ASA(XC-500A)를 동량 투입했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한 사출성형품 및 압출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유화중합체
입자
표면광택도 IZOD 충격강도
[J/m]
인장강도
[MPa]
황색도
60° 85° 1/4" 1/8"
사출성형품 압출시트 압출시트
실시예 6 실시예 1 8.0 7.3 16.1 22.1 56.4 565 15.1
실시예 7 실시예 2 9.5 10.2 20.3 18.0 51.2 559 13.8
실시예 8 실시예 3 9.5 8.7 16.8 20.5 57.0 561 15.8
실시예 9 실시예 4 8.0 8.5 16.3 25.5 57.1 566 15.4
실시예 10 실시예 5 9.6 9.0 17.1 26.5 54.5 563 14.6
비교예 2 비교예 1 43.5 77.8 91.1 21.5 48.2 551 16.5
비교예 3 BLENDEX BMAT 11.4 34.9 48.6 15.6 47.1 567 21.2
비교예 4 XPHERE-NGR 18.5 46.5 68.1 20.3 42.2 569 22.6
비교예 5 SAN Gel-1 18.2 51.7 71.2 20.9 51.2 589 25.1 
사용한
유화중합체
입자
표면광택도 IZOD 충격강도
[J/m]
인장강도
[MPa]
60° 85° 1/4" 1/8"
사출성형품 압출시트 압출시트
실시예 11 실시예 1 24.1 15.6 20.1 19.1 50.2 588
실시예 12 실시예 2 28.4 19.4 25.6 17.8 45.9 582
실시예 13 실시예 3 25.2 25.4 21.6 16.9 44.9 589
실시예 14 실시예 4 24.1 15.5 19.3 18.7 46.2 591
실시예 15 실시예 5 29.5 23.5 25.3 13.3 38.1 595
비교예 6 비교예 1 65.5 73.5 89.3 12.8 36.8 599
비교예 7 BLENDEX BMAT 14.4 36.5 42.1 10.6 18.6 587
비교예 8 XPHERE-NGR 18.8 58.7 66.8 18.5 38.4 591
-BLENDEX BMAT : 스티렌-아크릴니트릴 공중합체
-XPHERE-NGR :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상기 표 1 내지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여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가공하여 제조한 시트(성형품)의 경우, 표면광택도가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PC/ABS에 적용한 실시예 6 내지 10의 경우, 충격강도,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에서는 크게 변화하지 않으면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적용한 비교예 3 및 4 보다 우수한 소광효과 및 낮은 황색도를 나타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2 내지 4 및 비교예 6 내지 8의 85°에서의 표면광택도가 모두 40 이상인 반면, 실시예 6 내지 15는 모두 30 이하인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소광제(유화중합체 입자)를 사용할 경우, 종래에 구현하기 어려웠던 압출가공에서의 소광효과를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6에 따른 시트의 외관은 양호한 반면, 상기 비교예 5의 시트는 표면이 매우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못하고, 다수의 흑점이 발생하여 불량이라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 3 및 4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사용한 실시예 6, 8 및 9를 비교해보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25 중량부를 적용할 경우, 특히, 5 내지 15 중량부로 적용할 경우 더욱 우수한 소광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1)

  1.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는 개환된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에틸-1,3-헥산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메틸-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옥살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숙시네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및 1,2,8,9-디에폭시리모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20 내지 45 중량부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3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하여 제조되는 유화중합체 입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산 화합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인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 화합물을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하는 유화중합체 입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물과 혼합되어 분산상을 형성하되,
    상기 산 화합물은 분산상과 수상의 계면에 위치하여 상기 중합성 조성물이 중합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은 음으로 하전된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입경은 90 내지 250㎚인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10. 제 1항 내지 9항에서 선택되는 한 항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11. 제 10항에 따른 소광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칩.
  12. 제 10항에 따른 소광제 및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AS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
  14. 제 12항에 따른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조한 성형품.
  15.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1 중합성 조성물을 수상에서 유화중합하여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의 총합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2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a) 반응기에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탈이온수,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을 첨가 및 교반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수용성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유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산 화합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고,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적하하고 유화중합하여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코어층이 5 내지 60wt% 및 셸층이 40 내지 95wt%로 포함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solid content)이 20 내지 45 wt%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PCT/KR2022/012574 2021-09-01 2022-08-23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334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62 2021-09-01
KR1020210116562A KR102375476B1 (ko) 2021-09-01 2021-09-01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435A1 true WO2023033435A1 (ko) 2023-03-09

Family

ID=8093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2574 WO2023033435A1 (ko) 2021-09-01 2022-08-23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3380A1 (ko)
JP (2) JP2023036025A (ko)
KR (1) KR102375476B1 (ko)
CN (1) CN115725025A (ko)
WO (1) WO2023033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476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식회사 한나노텍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032A (ko) * 2005-07-08 2008-03-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으로이루어진 제품
KR20080025031A (ko) * 2005-07-08 2008-03-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이것의 제조 방법, 및 상기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제품
KR20090081176A (ko) *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65939A (ko) * 2008-12-09 2010-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택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6556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삼양사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375476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식회사 한나노텍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22660B (ko) * 1992-02-25 1994-04-21 Gen Electric
KR100853432B1 (ko) * 2006-03-24 2008-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032A (ko) * 2005-07-08 2008-03-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으로이루어진 제품
KR20080025031A (ko) * 2005-07-08 2008-03-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이것의 제조 방법, 및 상기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제품
KR20090081176A (ko) *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65939A (ko) * 2008-12-09 2010-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택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6556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삼양사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375476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식회사 한나노텍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476B1 (ko) 2022-03-18
JP2024016081A (ja) 2024-02-06
US20230073380A1 (en) 2023-03-09
CN115725025A (zh) 2023-03-03
JP2023036025A (ja) 202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9471A (en) Composite material and molded articles containing same
WO2023033436A1 (ko)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9506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WO2023033435A1 (ko)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00439A1 (ko)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EP0340580A2 (de) Verwendung von Siliconharzen als Flammschutzmittel
WO2017099409A1 (ko)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40033831A (ko)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CN113150437A (zh) 一种车用高亮黑、耐刮擦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2091295A1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7105007A1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55809B1 (ko) 열가소성수지의착색방법
KR102156186B1 (ko) 이형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33687A (zh) 一种高性能耐磨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923432A (zh) 一种高抗冲消光abs改性塑料及其制备方法
CN114213792B (zh) 一种高耐刮擦性pmma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1033953A1 (ko)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4249953A (zh) 一种pvc色母粒及其生产工艺
WO201808025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18124626A1 (ko)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2457624A (zh) 一种改性再生abs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0645420B1 (de) Polymethacrylat-Formkörper aus gehärteten Giessharzen mit besonderer Mikrodomänenstruktur
CN112480634B (zh) 一种表面硬度可调控聚碳酸酯合金复合材料和其制备方法
JP2006299037A (ja)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を含む積層体
WO2018236024A1 (ko) 유화성 개시제,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49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