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476B1 -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476B1
KR102375476B1 KR1020210116562A KR20210116562A KR102375476B1 KR 102375476 B1 KR102375476 B1 KR 102375476B1 KR 1020210116562 A KR1020210116562 A KR 1020210116562A KR 20210116562 A KR20210116562 A KR 20210116562A KR 102375476 B1 KR102375476 B1 KR 10237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polymer
compound
emulsion
polymerizable composition
polymer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두한
김수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나노텍
Priority to KR1020210116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476B1/ko
Priority to PCT/KR2022/012574 priority patent/WO2023033435A1/ko
Priority to JP2022137124A priority patent/JP2023036025A/ja
Priority to CN202211056165.1A priority patent/CN115725025A/zh
Priority to US17/823,881 priority patent/US20230073380A1/en
Priority to JP2023182940A priority patent/JP2024016081A/ja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2Gloss-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C08F25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on to polymers of styrene or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mer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radical per molecule
    • C08F283/1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mer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radical per molecule on to unsaturated polymer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radical per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23/00 - C09D153/00
    • C09D1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26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anio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유화중합법의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가교도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사용하여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기존 열가소성 고분자의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을 저하하지 않고, 수려한 외관을 가지면서, 우수한 소광효과를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에 달성하기 어려웠던 압출가공에서도 우수한 소광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 matting agent comprising emulsion polymer particles, a matting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가 보편화되면서 자동차 산업에서는 경량화 이슈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차체의 금속 소재를 가볍고 고강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거나, 기존 볼트 너트의 조합으로 접합되던 부분을 접착제로 고정하는 등 금속 소재를 제거하려는 시도들이다.
또한, 자동차 내/외장재를 도장하여 다양한 색감 및 질감을 표현하던 것에서, 경량화 이슈, 환경적 이슈, 도장면의 빛 반사로 인한 운전자 운행 문제 및 인테리어의 고급화 등으로 인하여 저광택 또는 무광택의 질감을 갖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광택을 저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수지를 부식면 금형에 사출할 수 있지만 이는 충분한 소광효과를 내지 못하고, 또는 무기필러를 첨가할 수 있지만 과량을 사용해야 충분한 소광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과량 사용시 기계적 강도가 미흡해지기 때문에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 공개특허 US 5580924 A에서는 PC의 광택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를 3,4-에폭시사이클헥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와 블랜드하여 반응압출기를 통해 가교화된 SAN을 제조하였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반응 압출시에 흑점 등과 같은 표면이물이 발생하고, 색상 개선이 어려우며, 가교점 조절이 어려워 가공시 용해되지 못하고 외관불량이 발생하는 등 우수한 품질의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광효과가 우수하며,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으며, 우수한 품질의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소광성 첨가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새로운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상기 소광제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가공하여, 우수한 소광효과, 기계적 물성 및 우수한 품질의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시도되지 못했던 유화중합법으로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비교적 용이하게 가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소광제 및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의 경우, 놀랍게도 기존 열가소성 고분자의 물성은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우수한 소광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우수한 외관품질을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는 개환된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에틸-1,3-헥산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메틸-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옥살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숙시네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및 1,2,8,9-디에폭시리모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20 내지 45 중량부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3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산 화합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 화합물을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물과 혼합되어 분산상을 형성하되, 상기 산 화합물은 분산상과 수상의 계면에 위치하여 상기 중합성 조성물이 중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은 음으로 하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입경은 90 내지 250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제 및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AS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1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의 총합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2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a) 반응기에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탈이온수,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을 첨가 및 교반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수용성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유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산 화합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고,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적하하고 유화중합하여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코어층이 5 내지 60wt% 및 셸층이 40 내지 95wt%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solid content)이 20 내지 45 w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는 유화중합법의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가교도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사용하여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다른 물성저하 없이 효과적으로 소광성을 발휘할 수 있어 좋다.
또한,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의 경우, 기존 열가소성 고분자의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을 저하하지 않고, 수려한 외관을 가지면서, 우수한 소광효과를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에 달성하기 어려웠던 압출가공에서도 우수한 소광효과를 발현할 수 있어 매우 좋다.
본 발명의 소광제 및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외장재용, 인테리어용 및 가전제품용 등의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소광성"은 비상용성 고분자 조성물에서 고분자간 및 고분자와 첨가제간의 수축률 및 굴절률 차이 또는 표면 가공을 통하여 난반사 효과에 의해 광택을 낮추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분산상"은 분산매질 전체에 걸쳐 분포된 불연속상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물을 매질로 하여 중합성 조성물이 액적(droplet)형태로 분포된 불연속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프리에멀젼(pre-emulsion)"은 중합성 조성물, 유화제 및 용매(탈이온수)가 균질하게 혼합된 안정한 상태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에멀젼(emulsion)"은 서로 녹지 않는 두 가지 액체의 한편이 다른 쪽에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된 상태의 분산액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물성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는 개환된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공한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에 포함되는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는 개환된 상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개환된 에폭시기는 상기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른 화합물들과 반응하여 개환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중합체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유화중합체 입자 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비제한적인 예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o-메틸 스티렌, ρ-메틸 스티렌, m-메틸 스티렌, 에틸 스티렌, 이소부틸 스티렌, t-부틸 스티렌, o-브로보 스티렌, ρ-브로모 스티렌, m-브로모 스티렌, o-클로로 스티렌, ρ-클로로 스티렌, m-클로로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크실렌, 플루오로스티렌 및 비닐나프탈렌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좋게는 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은 비제한적인 예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좋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에틸-1,3-헥산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메틸-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옥살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숙시네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및 1,2,8,9-디에폭시리모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좋게는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품으로는 다이셀켐의 CEL-2021, CLE-3000 및 CEL-208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1 내지 90 중량부, 좋게는 10 내지 70 중량부, 더 좋게는 20 내지 4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부, 좋게는 1 내지 40 중량부, 더 좋게는 3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반응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물성을 갖는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조할 수 있어 좋으며, 이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소량 첨가하여도 소광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산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산 화합물의 염 화합물은 R1COOM 및 R2SO3M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R1 및 R2은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하고, M은 양이온일 수 있다. 상기 M은 알칼리금속 양이온 또는 암모늄 양이온일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로 M은 소듐이온, 포타슘이온 및 리튬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 화합물은 R2SO3H 이고, 상기 R2는 C6-12아르C6-18알킬일 수 있으며, 일예로 부틸벤젠술폰산, 옥틸벤젠술폰산, 도데실벤젠술폰산 및 펜타데실벤젠술폰산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산 화합물은 상기 중합성 조성물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물(매질)과 혼합되어 분산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산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화합물은 분산상과 수상의 계면에 위치하여 상기 중합성 조성물이 중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에 상기 산 화합물을 더 첨가하여 유화중합하는 경우, 반응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견고한 가교네트워크를 형성한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조할 수 있어 매우 좋다.
또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2가의 -SO3- 또는 -CO3-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SO3-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가의 치환기는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된 산 화합물과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2가의 치환기는 하이드로카빌기에 각각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2가의 치환기는 고분자 사슬에 결합되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가의 치환기는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에 주로 존재하여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에서 입자 내부 방향으로 2가의 치환기의 농도가 감소하는 농도구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농도구배는 유화중합 메커니즘에 의해 유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 화합물이 분산상의 계면에 위치함에 따라 계면에 위치하는 산 화합물과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이 계면에서 반응을 통해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에 상기 2가의 치환기가 고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유화중합체 입자는 평균입경이 균일할 수 있고 우수한 소광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은 음으로 하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유화중합을 통해 제조되며,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매질상에 존재하는 중합성 조성물 및 입자의 분산성과 유화중합 반응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 유화제일 수 있고, 이는 제조된 유화중합체 표면을 음으로 하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자의 표면전하가 음전하인 경우, 마이셸의 분산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D5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D50은 레이저 산란법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에서 작은 입경부터 누적 체적이 50%가 될 때의 입자 직경을 의미한다. 여기서 D50은 유화중합체 입자에 대해 KS A ISO 13320-1 규격에 따라 입자를 채취하여 Malvern사의 Mastersizer 3000을 이용하여 입도 분포가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을 분산매로 하고 필요한 경우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하여 분산시킨 뒤, Volume density를 측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균 입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거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는 유화중합을 통해 제조되며, 유화중합 반응 종결 후 입자가 매질(물)에 분산되어 있는 에멀젼상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제 1 유화중합체 입자, 응집단계 후 응집된 상태의 입자를 제 2 유화중합체 입자라고 정의한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화중합체 입자는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의미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제 1 유화중합체 입자 및 제 2 유화중합체 입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입경은 50 내지 1,000㎚, 좋게는 70 내지 500㎚, 더 좋게는 90 내지 25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평균입경을 갖는 유화중합체 입자의 경우, 소량의 첨가만으로 다른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우수한 소광효과를 발현할 수 있어 좋다. 또한, 제 2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입경은 1 내지 3000 ㎛, 10 내지 2500 ㎛ 또는 50 내지 2000 ㎛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의 입도분포는 1 내지 5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 내지 3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유화중합체 입자는 입도분포가 균일할 수 있으며, 이는 소광효과 및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좋다. 상기 입도분포(SPAN)는 광회절 입도분석장치 (Malvern사 Mastersizer 3000)를 이용하여 측정된 것으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입도분포(SPAN) 값을 도출하였다.
[식 1] 입도분포(SPAN) = (Dv90 - Dv10) / Dv50
식 1에서, Dv50은 중합을 통해 생성된 폴리머 중 입도가 중간값(medium)인 것을 나타내고, Dv90은 중합을 통해 생성된 폴리머 중 상위 10%에 해당하는 입도(소입도에서 대입도로의 90%)를 나타내고, Dv10은 중합을 통해 생성된 폴리머 중 상위 10%에 해당하는 입도 (소입도에서 대입도로의 10%)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술한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제공할 수 있다. 유화중합을 통해 제조된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응집, 탈수 및 건조 단계를 거쳐 분말형태의 제 2 유화중합체 입자를 수득할 수 있고, 이를 포함하여 소광제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칩(Master Batch Chip)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배치 칩은 열가소성 고분자 및 소광제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UV 안정제, 활제 및 이들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마스터배치 칩 전체 중량에서 0.1 내지 50 wt%, 좋게는 5 내지 30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마스터 배치 칩을 사용할 경우, 소광제 및 첨가제의 분산성 및 함량의 균일성이 향상되어 고품질의 제품(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제 및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소량의 첨가만으로 기존 열가소성 고분자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소광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조밀한 가교도 및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져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와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이를 통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및 사출가공하여 기계적강도가 우수한 저광택 또는 무광택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AS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PC와 SAN의 혼합물, PC와 ABS의 혼합물, 또는 PC와 ASA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은 상기 소광제 0.1 내지 30wt% 및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 70 내지 99.9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표면광택도에 따라 상기 소광제 투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은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UV 안정제, 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첨가제들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광제는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마스터배치 칩으로 제조된 후에 다시 열가소성 고분자와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배치 칩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스터배치 칩은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전체 중량에서 0.1 내지 50 wt%, 좋게는 1 내지 30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배치 칩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품에서의 소광제 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 압출가공시 소광효과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하기 매우 어려웠지만, 본 발명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적용한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의 경우 특히 압출가공에서 입자 돌출로 인한 외관불량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기존 고분자의 기계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소광성 및 우수한 품질의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어 매우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1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1 내지 30 중량부, 좋게는 1 내지 25 중량부, 더 좋게는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은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부, 좋게는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에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더 포함할 경우, 압출가공시 소광효과 및 충격강도나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5 내지 80 중량부, 좋게는 10 내지 70 중량부, 더 좋게는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의 총합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0.5 내지 50 중량부, 좋게는 1 내지 25 중량부, 더 좋게는 2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반응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코어층과 셸층의 내부 및 층간의 조밀한 가교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어 좋다.
또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및 제 2 중합성 조성물에 가교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가교 가능한 관능기가 두 개 이상인 것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로 1,2-에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및 트리알킬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좋게는 0.1 내지 3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및 제 2 중합성 조성물에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분자량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n-도데실메르캅탄, n-아밀 메르캅탄, t-부틸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n-헥실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n-노닐메르캅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 좋게는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a) 반응기에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탈이온수,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을 첨가 및 교반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수용성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유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제 1 중합성 조성물과 탈이온수,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을 상온에서 교반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로, 충분한 시간 및 교반속도로 유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프리에멀젼의 유화상태가 양호할수록 반응안정성이 좋을 수 있다. 이에 시간 및 교반속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일예로 2L 반응기 크기일 때, 200rpm이상의 교반속도로 10분 이상의 교반시간을 두는 것이 좋다.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지된 보조 유화제, 버퍼(pH 조절제) 및 분자량조절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는 탈이온수(수상)를 매질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이 분산상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분산상의 액적이 작고 균일하게 퍼질 수 있도록 충분히 교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상과 분산상의 계면에 상기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이 위치할 수 있으며, 해당 계면에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반응기 내부 온도를 50 내지 70℃로 상승시킨 뒤, 수용성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는 단계로,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냉각기를 이용하여 반응기 온도를 65 내지 75℃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시간은 10 내지 200분일 수 있고, 상기 (b) 단계는 추가중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60℃ 내지 75 ℃의 온도에서 30 내지 120분 동안 추가 중합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 및 (b) 단계를 통해 유화중합체 입자의 코어층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중합전환율은 70 내지 99%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천천히 적하하고 유화중합하여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상기 셸층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상기 코어층에 30분 내지 5 시간 동안 일정유량으로 적하할 수 있고, 반응온도를 60 내지 80℃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은 보조 유화제, 버퍼(pH 조절제) 및 분자량조절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응 완료 후, 40℃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통해 코어층 및 셸층을 포함하는 제 1 유화중합체 입자가 분산된 분산액을 수득할 수 있으며, 최종 중합전환율이 95 내지 99.9%이고, 상기 분산액은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20 내지 45wt%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는 코어층이 5 내지 60 wt% 및 셸층이 40 내지 95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제 1 유화중합체 입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다.
추가로,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은 응집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응집단계는 산 용액 또는 염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유화중합체 입자를 응집시켜 매질(물)과 분리하고 승온하여 입자표면을 응고(고화)시킨 뒤, 탈수 및 건조 공정을 거쳐 수분 함유량이 0.5wt% 이하인 백색 분말 상태의 제 2 유화중합체 입자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응집제로는 공지되거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응집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황산, 인산, 황산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제 2 유화중합체 입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화제는 상기 분산상인 중합성 조성물과 탈이온수인 수성 사이의 계면에너지를 낮추어 더욱 균일한 분산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며, 따라서 안정적인 유화중합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로는 수산화 옥틸 트리메틸 암모늄, 수산화 도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수산화 헥사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수산화 옥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수산화 데실 디메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수산화 디도데실 디메틸 암모늄, 수산화 디옥타데실 디메틸 암모늄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고지방산의 알칼리금속비누, 소듐 도데실 벤젠 설폰산염 같은 알킬아릴 설폰산염, 로진산 칼륨, 지방산 칼륨, 알케닐 디카르복실 칼륨,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서 설페이트, 소디움 도데실 벤젠 설페이트, 알킬 설페이트, 알킬 이서 설페이트, 알킬 페닐 이서 설페이트,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및 디알킬 설포석시네이트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산화 에틸렌과 장쇄 지방 알코올 또는 C12-16 알코올 같은 지방산과의 축합물, 산화 에틸렌과 아민 또는 아미드와의 축합물, 에틸렌과 산화 프로필렌의 축합 생성물, 글리세롤, 수크로스(sucrose), 솔비톨(sorbitol), 지방산 알키롤(alkylol) 아미드, 수크로스 에스테르, 산화 지방 아민, 폴리옥시알킬렌 솔비탄(sorbitan) 에터,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알킬폴리사카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PVA)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로진산칼륨 및 도데실벤젠술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중합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산 화합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고,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일 수 있으며, 상기 산 화합물에 대한 설명 및 구체적인 화합물의 예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에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상기 산 화합물의 중량비는 1 : 0.005 내지 0.5, 좋게는 1: 0.01 내지 0.2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반응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고, 유화중합체 입자의 입경 및 입도분포를 균일하도록 제조할 수 있어 좋고, 상기 유화중합제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를 사용할 경우, 기계적 물성저하 없이도 소량의 첨가만으로 소광효과 및 외관품질이 향상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용성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유화중합에 사용되는 개시제이거나 공지된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포타슘퍼설페이트, 소디움퍼설페이트 및 암모늄퍼설페이트 등의 과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좋게는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측정방법]
1) 평균 입경 : 입도분석장치 (Malvern사 Mastersizer 30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표면 광택도(GLOSS) : ASTM D523에 의거하여 60°및 85°에서 측정하였다.
3) IZOD 충격강도(Noched IZOD Impact strength) :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의거하여 1/4” 및 1/8”에서 측정하였다.
4)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 인장강도를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5) 황색도(YI, Yellow Index) : 3.2mm 두께의 사출성형품을 제조하여 황색도를 ASTM D192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유화중합체 입자 제조
(A) 코어층 제조단계
스티렌 23g, 아크릴로니트릴 9g,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CEL-2021, 다이셀켐) 3g 및 도데실벤젠술폰산(95 wt%, 삼전화학) 0.35g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이후 탈이온수 200g 및 로진산칼륨 2.0g을 추가로 투입한 뒤에 200 rpm이상의 교반속도로 30분 이상 교반하였다. 반응기 내 조성물이 우윳빛의 프리에멀젼 상태가 됨을 확인한 후에 60℃로 승온하였다. 반응기에 포타슘퍼설페이트 0.15g을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였으며, 이후 발열반응을 조절하며 반응기 내부온도를 70℃로 유지하며 2시간 동안 유화중합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화중합체 입자의 코어층을 제조하였다. (중합전환율 97%)
(B) 셸층 제조단계
상기 (A) 단계에 이어서, 내부온도 70℃의 반응기에 스티렌 43g, 아크릴로니트릴 16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6g을 혼합한 조성물을 2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적하한 뒤, 발열반응을 조절하며 온도를 70 ℃로 유지하며 2시간 동안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기 내부 온도를 40℃ 이하로 냉각하여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한 분산액(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중합전환율 98%, 고형분 33%)
상기 에멀젼을 황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응집시킨 후 세척, 탈수 및 건조단계를 거쳐 백색 분말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95㎚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을 투입하지 않고 스티렌 32g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60㎚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스티렌 24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2g을 투입하는 것과 (B)단계에서 스티렌 44g, 아크릴로니트릴 17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4g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80㎚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아크릴로니트릴 8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4g을 투입하는 것과 (B)단계에서 스티렌 42g, 아크릴로니트릴 15g 및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8g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215㎚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스티렌과 함께 디비닐벤젠 0.1g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과 (B)단계에서 스티렌과 함께 디비닐벤젠 0.3g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40㎚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A)단계에서 도데실벤젠술폰산을 투입하지 않고,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대신 디비닐벤젠 3g을 투입하는 것과 (B) 단계에서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사이클로헥실 카복실레이트 대신 디비닐벤젠 6g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수득한 에멀젼의 중합전환율은 97% 이상이고, 고형분은 36%였다. 이후의 과정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은 118㎚로 측정되었다.
-사출성형품 및 압출시트 제조
[실시예 6 내지 10 및 비교예 2 내지 4]
PC(3020PJ) 65.5wt%, ABS(IM-601) 11.4wt%, SAN(92HR) 18wt% 및 산화방지제 0.3wt%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 4.7 wt%를 믹싱 후 압출기를 통하여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펠렛을 얻고, 상기 펠렛을 건조하여 사출기로 가로, 세로 및 두께가 70mm x 75mm x 3.0mm의 시편과 단일 시트 압출기로 가로, 세로 및 두께가 100mm x 75mm x 2.0mm의 시트 형태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사출성형품 및 압출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6에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 대신 미국 공개특허 US 5580924 A에 따른 SAN Gel-1을 동량 투입했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한 사출성형품 및 압출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6 내지 8]
상기 실시예 6에서 ABS(IM-601) 대신 ASA(XC-500A)를 동량 투입했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제조한 사출성형품 및 압출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유화중합체
입자
표면광택도 IZOD 충격강도
[J/m]
인장강도
[MPa]
황색도
60° 85° 1/4” 1/8”
사출성형품 압출시트 압출시트
실시예 6 실시예 1 8.0 7.3 16.1 22.1 56.4 565 15.1
실시예 7 실시예 2 9.5 10.2 20.3 18.0 51.2 559 13.8
실시예 8 실시예 3 9.5 8.7 16.8 20.5 57.0 561 15.8
실시예 9 실시예 4 8.0 8.5 16.3 25.5 57.1 566 15.4
실시예 10 실시예 5 9.6 9.0 17.1 26.5 54.5 563 14.6
비교예 2 비교예 1 43.5 77.8 91.1 21.5 48.2 551 16.5
비교예 3 BLENDEX BMAT 11.4 34.9 48.6 15.6 47.1 567 21.2
비교예 4 XPHERE-NGR 18.5 46.5 68.1 20.3 42.2 569 22.6
비교예 5 SAN Gel-1 18.2 51.7 71.2 20.9 51.2 589 25.1 
사용한
유화중합체
입자
표면광택도 IZOD 충격강도
[J/m]
인장강도
[MPa]
60° 85° 1/4” 1/8”
사출성형품 압출시트 압출시트
실시예 11 실시예 1 24.1 15.6 20.1 19.1 50.2 588
실시예 12 실시예 2 28.4 19.4 25.6 17.8 45.9 582
실시예 13 실시예 3 25.2 25.4 21.6 16.9 44.9 589
실시예 14 실시예 4 24.1 15.5 19.3 18.7 46.2 591
실시예 15 실시예 5 29.5 23.5 25.3 13.3 38.1 595
비교예 6 비교예 1 65.5 73.5 89.3 12.8 36.8 599
비교예 7 BLENDEX BMAT 14.4 36.5 42.1 10.6 18.6 587
비교예 8 XPHERE-NGR 18.8 58.7 66.8 18.5 38.4 591
-BLENDEX BMAT : 스티렌-아크릴니트릴 공중합체
-XPHERE-NGR :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상기 표 1 내지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여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가공하여 제조한 시트(성형품)의 경우, 표면광택도가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PC/ABS에 적용한 실시예 6 내지 10의 경우, 충격강도,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에서는 크게 변화하지 않으면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적용한 비교예 3 및 4 보다 우수한 소광효과 및 낮은 황색도를 나타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2 내지 4 및 비교예 6 내지 8의 85°에서의 표면광택도가 모두 40 이상인 반면, 실시예 6 내지 15는 모두 30 이하인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소광제(유화중합체 입자)를 사용할 경우, 종래에 구현하기 어려웠던 압출가공에서의 소광효과를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6에 따른 시트의 외관은 양호한 반면, 상기 비교예 5의 시트는 표면이 매우 울퉁불퉁하여 고르지 못하고, 다수의 흑점이 발생하여 불량이라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 3 및 4의 유화중합체 입자를 사용한 실시예 6, 8 및 9를 비교해보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25 중량부를 적용할 경우, 특히, 5 내지 15 중량부로 적용할 경우 더욱 우수한 소광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1)

  1.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는 개환된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에틸-1,3-헥산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메틸-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5-펜탄디올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비스(3,4-에폭시-6-메틸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옥살레이트, 비스(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 숙시네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및 1,2,8,9-디에폭시리모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을 20 내지 45 중량부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3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하여 제조되는 유화중합체 입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산 화합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인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 화합물을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하는 유화중합체 입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조성물은 물과 혼합되어 분산상을 형성하되,
    상기 산 화합물은 분산상과 수상의 계면에 위치하여 상기 중합성 조성물이 중합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표면은 음으로 하전된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의 평균입경은 90 내지 250㎚인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
  10.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9항에서 선택되는 한 항에 따른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11. 제 10항에 따른 소광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칩.
  12. 제 10항에 따른 소광제 및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AS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
  14. 제 12항에 따른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조한 성형품.
  15.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1 중합성 조성물을 수상에서 유화중합하여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유화중합하여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의 총합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을 2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a) 반응기에 상기 제 1 중합성 조성물, 탈이온수, 유화제 및 산 화합물을 첨가 및 교반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수용성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유화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산 화합물은 R1COOH, R2SO3H 및 이의 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고,
    상기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6-30 알킬, C6-30 아릴 또는 C6-30아르C6-30알킬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셸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층의 존재 하에 상기 제 2 중합성 조성물을 적하하고 유화중합하여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는 코어층이 5 내지 60wt% 및 셸층이 40 내지 95wt%로 포함되는 것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중합체 입자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solid content)이 20 내지 45 wt%인 유화중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KR1020210116562A 2021-09-01 2021-09-01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62A KR102375476B1 (ko) 2021-09-01 2021-09-01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2/012574 WO2023033435A1 (ko) 2021-09-01 2022-08-23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137124A JP2023036025A (ja) 2021-09-01 2022-08-30 乳化重合体粒子を含む消光剤、これを含む消光性高分子組成物及びこの製造方法
CN202211056165.1A CN115725025A (zh) 2021-09-01 2022-08-31 包含乳液聚合物粒子的消光剂、包含该消光剂的消光性高分子组合物及其制造方法
US17/823,881 US20230073380A1 (en) 2021-09-01 2022-08-31 Matting agent including emulsion polymer particles, matting polymer composition including matting agent, and method of producing emulsion polymer particles
JP2023182940A JP2024016081A (ja) 2021-09-01 2023-10-25 乳化重合体粒子を含む消光剤、これを含む消光性高分子組成物及びこ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62A KR102375476B1 (ko) 2021-09-01 2021-09-01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476B1 true KR102375476B1 (ko) 2022-03-18

Family

ID=8093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62A KR102375476B1 (ko) 2021-09-01 2021-09-01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3380A1 (ko)
JP (2) JP2023036025A (ko)
KR (1) KR102375476B1 (ko)
CN (1) CN115725025A (ko)
WO (1) WO20230334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35A1 (ko) *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한나노텍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954B1 (ko) * 1992-02-25 2000-04-15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96463A (ko) * 2006-03-24 2007-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080025031A (ko) * 2005-07-08 2008-03-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이것의 제조 방법, 및 상기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제품
KR20080025032A (ko) * 2005-07-08 2008-03-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으로이루어진 제품
KR20090081176A (ko) *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65939A (ko) * 2008-12-09 2010-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택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6556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삼양사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1502A (ja) * 1989-03-24 1990-10-09 Kansai Paint Co Ltd 架橋剤含有乳化重合体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US5336701A (en) * 1992-09-28 1994-08-09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improvement for improved color reduced gloss thermoplastic compositions
JPH06299045A (ja) * 1993-04-16 1994-10-2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艶消し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DE19633626A1 (de) * 1996-08-21 1998-02-2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artikelförmigen Polymerisates
JP5333152B2 (ja) * 2009-10-26 2013-11-06 東亞合成株式会社 厚塗り用塗料組成物
KR101810294B1 (ko) * 2015-08-31 2018-01-25 롯데첨단소재(주) 종이 질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375476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식회사 한나노텍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954B1 (ko) * 1992-02-25 2000-04-15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25031A (ko) * 2005-07-08 2008-03-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이것의 제조 방법, 및 상기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제품
KR20080025032A (ko) * 2005-07-08 2008-03-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으로이루어진 제품
KR20070096463A (ko) * 2006-03-24 2007-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090081176A (ko) *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65939A (ko) * 2008-12-09 2010-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택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6556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삼양사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35A1 (ko) *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한나노텍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25025A (zh) 2023-03-03
US20230073380A1 (en) 2023-03-09
JP2023036025A (ja) 2023-03-13
WO2023033435A1 (ko) 2023-03-09
JP2024016081A (ja)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9471A (en) Composite material and molded articles containing same
JP7499812B2 (ja) 重合体粒子を含む消光剤、これを含む消光性高分子組成物及びこの製造方法
CN106103580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US20150376414A1 (en) Talc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9505923B2 (en) Transparen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shock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transparency
KR102375476B1 (ko) 유화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소광제, 이를 포함하는 소광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9801B1 (ko) 충격강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960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E69631856T2 (de) Formbare und pigmentierbare wärmehärtbare Zusammensetzungen zur Vewendung in der Herstellung von geformten Gegenständen ohne Schrumpf oder mit schwacher Dehnung
KR101537843B1 (ko)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2262997B1 (ko) 필름 제조용 도프, 및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4138B1 (ko) 충격보강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156186B1 (ko) 이형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8158B1 (ko) 나노 무기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15698156A (zh) 将热塑性聚合物着色的方法
JP2006299037A (ja)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を含む積層体
KR10118295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0645420B1 (de) Polymethacrylat-Formkörper aus gehärteten Giessharzen mit besonderer Mikrodomänenstruktur
JPS604613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8504033A (zh) 白石墨烯改性聚醚醚酮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382525B1 (ko) 압출및가공안정성이우수한수지조성물의제조방법
JPH1192676A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品
JPS6259612A (ja) 重合体の製造方法
KR20220029323A (ko) 수지분말 및 수지분말 제조방법
KR930008115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