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07930A1 -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 Google Patents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07930A1
WO2022107930A1 PCT/KR2020/016480 KR2020016480W WO2022107930A1 WO 2022107930 A1 WO2022107930 A1 WO 2022107930A1 KR 2020016480 W KR2020016480 W KR 2020016480W WO 2022107930 A1 WO2022107930 A1 WO 20221079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ding
block
image
command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4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인규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코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코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코웨어
Publication of WO20221079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079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6Software re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ding teaching tool using polyomino,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provide a puzzle learning effect while assembling a polyomino-type block part on a base plate, and recognizes and codes the block part mounted on the base plate as a smart device. It relates to a coding teaching tool using polyomino that can provide coding learning effect by playing a game by inputting a command.
  •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7611 discloses a command stick with a built-in unit command for the command, a base board on which the command stick is arranged, and a unit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command stick to the base board It includes a connection support unit including a board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baseboard and a stick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command stick to be connected to the board connection part, and a detachable support unit for enabling and fixing the command stick from the baseboard by magnetic force.
  • the baseboard includes a command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unit commands to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command stick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1736 As an example of the technology for this prefabricated teaching ai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1736, as shown in FIG. 1, consists of a plate shape having a certain area and is horizontally arranged, and a main block with a number of assembly projections protruding upward on the upper surface.
  • the plate 5 and a plurality of basic blocks 7 that were assembled to the main block plate 5 wer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5 and a non-standardized brick shape, and a protrusion insertion groove to be fitted to the assembly protrusion was formed at the bottom. .
  • the protrusion of the same shape as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main block plate 5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ic block 7 to protrude upward, so that it can be assembled vertically between each basic block 7 as well.
  • the launch pad 10 , the guide tube 11 , the switch box 12 , the search light 13 , the rotor 14 , the speaker 15 , and the control tower 17 ), a control box 18, a power supply box 19, and a vehicle 21 were further provide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 the conventional coding teaching aids and prefabricated teaching aids are each made of a configuration that can implement a unique educational purpose, so the conventional coding teaching aids can only provide coding learning, and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teaching aids can only provide assembly learning.
  • the financial burden was aggravated because it was necessary to purchase the coding teaching aids and the prefabricated teaching aids in order to perform coding learning and prefab learning at the same time.
  • the conventional coding teaching aids have a structure in which only a single game can be played in one teaching aid, so children can easily lose interes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human burden was further aggravated.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combine coding learning to input and execute coding commands as one teaching tool and assembly learning to combine several blocks to a block board, so that It is to provide a coding teaching aid using polyomino that maximizes usability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cost of purchasing teaching material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ding teaching tool using polyomino that can realize various interest in coding learning and realize low teaching cost while being able to perform various coding games just by replacing the block plate that is seated on the base plate. is to provide.
  • the coding teaching aid using polyomin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plate shape having a certain area and is horizontally arranged,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to form a five-row base.
  • plate 110 It is made of polyomino having a single square shape or a shap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quare plates laterally, a seating groove 1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coupling part 124 fasten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on the bottom surface.
  • the block body 121 in which is formed and is detachably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seating groove 123, some of which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puzzle image 127 for puzzle learning, and the other part is for command recognition for coding learning on the surface.
  • a block unit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 plates 125 on which markers 126 are disposed; And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 marker 116 for game recognitio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blank space 118 for displaying a game image 13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It includes a design sheet 115 for coding.
  • the coding design sheet 115 has a relatively smaller area than the base plate 110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to expose some of the first coupling parts 113 to form the block part.
  • An opening hole 117 opened up and dow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3 , so that the second coupling part 124 of the block part 120 passes through the opening hole 117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7 is formed. It can be fastened to the part 113 .
  • the base plate 110 is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11 of the smart device 10 in the base image 131 which is block fastened.
  • the coding command is extracted by reading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of the block unit 120 mounted in the region 112 or the opening hole 117, and the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n the base image 131. ) to read the predetermined game image 132 to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base image 131, and to transform the game image 132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ding command, the app function unit 130 to progress the game; may include
  • the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ncludes an image that allows the app function unit 130 to recognize one specific coding game among a plurality of coding games
  •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includes a plurality of It may include an image that enables the app function unit 130 to recognize one specific coding command among the coding commands.
  • the app function unit 130 reads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mounted in the block fastening area 112 and extracts the coding command to the screen window 12 of the smart device 10 when the coding command is extracted.
  • the coding command icons 133 are arranged in the given order, and when a code execution signal is input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the coding game can be performed while executing each coding command of the coding command icon 133 in the sorted order.
  • block plate 125 may have different markers 126 for command recogni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 the puzzle image 127 may have a single color plane or may be one partial image among partial images in which a large object image is cut into a plurality of pieces along a polyomino shape.
  • the coding teaching aid using polyomino is made of a plate shape having a certain area and is horizontally arranged, and on the upper surface,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a base plate arranged to form five rows. (110); It is made of polyomino having a single square shape or a shap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quare plates laterally, a seating groove 1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coupling part 124 fasten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on the bottom surface.
  • the block body 121 in which is formed and is detachably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seating groove 123, some of which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puzzle image 127 for puzzle learning, and the other part is for command recognition for coding learning on the surface.
  • a block unit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 plates 125 on which markers 126 are disposed;
  • a coding design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blank space 118) for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 the block unit ( 120) reads the shape to extract a coding command, and reads the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n the base image 131 so that a predetermined game image 132 is displayed together on the base image 131, and an app function unit 130 that transforms the game image 132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ding command and proceeds with the game.
  • the base plate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is horizontally arranged, and a block fastening area 11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113 are arranged to form five rows. and a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block units 120 are made of polyomino having a shape of a single square plate or a shap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quare plates laterally,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 second coupling part 124 fasten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formed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block fastening area 112.
  • a marker 126 for command recogni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an app function part ( 13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n the smart device 10 carried by the user and is block fastened within the base image 131 in which the base plate 110 is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11 of the smart device 10
  • the coding command is extracted by reading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of the block unit 120 mounted on the area 112, and the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s read in the base image 131 to play a predetermined game. Coding learning in which the image 132 is displayed together on the base image 131 and the game image 132 is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ding command to enter and execute the coding command with one teaching aid. It is possible to concurrently learn assembling and combining the block parts 120 with the base plate 110 to maximize the utility of the teaching tool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the teaching tool.
  • the block part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polyomino and has a seating guide 122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dge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ating groove 123 is provided therein,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on the bottom surface.
  • the block body 121 having a 124 formed thereon and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123 are removably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seating groove 123 and at least one side has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Consists of a structure including a block plate 125 is arranged, the user can arbitrarily change the marker 126 for command recognition disposed on the block body 121.
  • the block plate 125 has different markers 126 for command recogni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so that the number of block plates 125 that must be provided to input various coding commands can be reduced. .
  • the block plate 125 is provided with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on one side and a color surface 127 having a specific color among a plurality of colors on the other side, and the plurality of block units 120 ) is mounted on the block fastening area 112 in a form where the sid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et of various types of blocks, so that the marker 126 for command recognition on the block body 121 faces upwards during coding learning.
  • the color surface 127 on the block body 121 so that it faces upwa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lorful image like a general assembly teaching aid to arouse interest and interest and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 the base plate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base plate 110 in which the block fastening region 112 is dispos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 And by including the game marker plate 115 on which the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s disposed at one position, various coding games can be performed only by replacing the block plate 125 seated on the base plate 110. It can induce various interest in coding learning and realize low cost of teaching material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parish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ding teaching aid using polyomin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proceeding with a coding game using a coding aid using polyomin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ck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shapes of a block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different command recognition marker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a block 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arker for command recognition and a color surface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both sides of a block 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ssembling learning is made while a block part is mounted on a block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0 and 1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me marker 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ding teaching tool using polyomino maximizes the utility of the teaching tool because it is possible to combine coding learning to input and execute coding commands as a single teaching tool and assembly learning to combine several blocks to a block board.
  • a teaching aid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a teaching aid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 it includes a base plate 110 , a plurality of block units 120 and an app function unit 130 .
  • the base plate 110 is a plate member that provides a space for coding learning and assembling learning,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is horizontally arranged,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arranged in a row on the upper surface. are sorted
  •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the base plate 110 is integrally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unit plate members (not shown) having a square or rectangular plate shape are assembled to the side and have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can be assembled, and thus the shape or area size of the base plate 11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learning level or cooking selection.
  • the block unit 120 is a tool used to perform coding learning and assembly learning.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lock unit 120 is made of polyomino having a shape of a single square plate or a shap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quare plates laterally.
  • a block body 121 having a second coupling part 124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3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detachably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seating groove 123, some of which are on the surface for puzzle learning.
  • the puzzle image 127 is arranged and the other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 plates 125 on which a marker 126 for command recognition for coding learning is arranged on the surface.
  •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made of a cross-shaped downwardly recessed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4 i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each square plate. It is composed of a cross column extending downward and can be fasten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art 113 , so that it is easy to assemble and minimizes the flow of the block part 120 in the assembled state.
  • first coupling part 113 is made of a recessed cross groove like the second coupling part 124 shown,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4 protrudes like the shown first coupling part 113 .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cross column, so the same assembly function can be realized.
  • various shapes such as a combination of a cylindrical protrusion and a circular groove like Lego, a combination of a square groove and a square column, and a combination of a straight plate-shaped protrusion and a straight groove It may be made in the shape of projections and grooves.
  •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4 consist of a combined configuration of a magnet having a + polarity and a magnet having a - polarity in addition to the combined configuration of protruding protrusions and grooves.
  • first coupling part 113 is formed of a protrusion line protruding upward in a line shape on the base plate 110
  • second coupling part 124 has an edge supported by each protrusion line. It may be made in a form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 the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ncludes an image that allows the app function unit 130 to recognize one specific coding game among a plurality of coding games
  •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includes a plurality of It includes an image that allows the app function unit 130 to recognize one specific coding command among the coding commands.
  • the game recognition marker 116 may have a shape image of an object (eg, a building or a character) itself matching the game content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have various image shapes such as numbers, English, or symbols.
  • the marker 126 for command recognition may have a shape image (eg, arrow, etc.) that can infer the contents of the recognized coding command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include various It may have an image shape.
  • the coding design sheet 115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blank for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 a space 118 is provided.
  • the app function unit 130 is a configuration that recognizes each marker 116, 126 and provides a coding game image to the screen window 12 so that coding learning can be made,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ser
  • the image 132 is displayed together on the base image 131, and the game is played while the game image 132 is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ding command.
  • the app function unit 130 reads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mounted on the block fastening area 112 and extracts the coding command, the screen window of the smart device 10 .
  • the coding command icons 133 are arranged in the order extracted in (12), and when a code execution signal is input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the game can be played while executing each coding command of the coding command icon 133 in the sorted order.
  • the app function unit 130 displays the code execution button 134 in the screen window 12 of the smart device 10 and generates a code execution signal when the user manipulates it so that the coded command can be executed.
  • a selection button 135 for adding the coding command icon 133 of the read coding command to the alignment position or deleting the coding command icon 133 added to the command posi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12 together. .
  • the block part 120 is formed in a polyomino shape and a seating guide 122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dg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ating groove 123 is provided therein.
  • the block body 121 having the second coupling part 12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123 are removably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seating groove 123 and at least one side has the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 block plate 125 on which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is disposed, and the user can arbitrarily change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disposed on the block body 121 .
  • a side removal hole 128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guide 122 , and it can be easily removed by hand by opening the side of the block plate 125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23 .
  • the block unit 120 may be formed of polyomino having various structures having a shape of a single square plate or a shape of a plurality of square plates connected laterally.
  • the block plate 125 has different command recognition markers 126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so that the block plate 125 to be provided in order to input various coding commands. ) can be reduced.
  • the block plate 125 is provided with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on one side and a color surface 127 having a specific color among a plurality of colors on the other side.
  • the plurality of block units 120 are mounted on the block fastening area 112 in a form in which the side portions are mesh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et of various types of blocks, so that when learning coding, the block body 121 ), the marker 126 for command recognition is arranged so that it faces upward, and when assembling learning, the color surface 127 is arranged on the block body 121 so that it faces upward, providing a colorful image like a general assembly teaching aid. It can arouse interest and interest and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 the base plate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base plate 110 in which the block fastening region 112 is dispos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late shape.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nd may include a game marker plate 115 on which the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s disposed.
  • the game marker plate 115 has a plate shape having a relatively smaller area than that of the base plate 110 ,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while partially blocking the fastening area 112 . ) may be exposed so that the block unit 120 can be mounted.
  • the game marker plate 115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110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 and in a certain area, the base plate ( An opening hole 117 opened up and dow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3 of 110 , so that the second coupling part 124 of the block part 120 passes through the opening hole 117 . It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3 .
  • the coding teaching aid using polyomino is a block unit 120 having various polyomino shapes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command recognition marker 126 disposed on the block unit 120. It is also possible to extract a coding command set to match for each external shape of each block unit 120 in a way of recognizing the external shape itself.
  • the app function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n the smart device 10 carried by the user, and the base plate 110 is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11 of the smart device 10 .
  • a coding command is extracted by reading the shape of the block unit 120 mounted on the block fastening area 112 in the base image 131, and the game recognition marker 116 is read in the base image 131.
  • a predetermined game image 132 is displayed together on the base image 131, and the game is played while transforming the game image 132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ding command.
  • a puzzle image in the form of polyomino is designed and the image of a specific object is designed and opened
  • a puzzle design sheet having an upper and lower ope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3 formed on the lower base plate 11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so that the user can While assembling the block unit 120 according to the designed puzzle image, puzzle learning may be performe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게임이미지(132)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본 발명은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판에 폴리오미노 형태의 블럭부를 조립해가면서 퍼즐학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베이스판에 장착된 블럭부를 스마트기기로 인식하여 코딩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여 코딩학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딩(Coding)이 초등교과과정에 포함되면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와 게임진행 방식을 갖는 코딩교구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코딩교구에 대한 기술의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7611호는 명령문에 대한 단위명령문이 내장된 명령스틱과, 명령스틱이 배열되는 베이스보드와, 단위명령문이 명령스틱으로부터 베이스보드로 전송되도록 베이스보드에 구비되는 보드접속부와, 명령스틱에 구비되어 보드접속부와 접속되는 스틱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지지유닛과, 자력에 의해 베이스보드에서 명령스틱을 탈부착 가능하게 하고 고정시키는 탈착지지유닛을 포함하고, 베이스보드에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명령스틱의 배열 순서에 따라 단위명령문을 작동체에 전송하는 명령전송부가 포함되는 것을 코딩 학습용 교구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유아나 소아는 넓은 블럭판에 여러 블럭을 끼워 넣어 다양하 형태의 블럭집합을 만들수 있는 조립식 교구를 통해 소근육 발달 및 두뇌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조립식 교구에 대한 기술의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736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며 상부면에는 다수의 조립돌기가 상향 돌출된 메인블럭판(5) 및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벽돌모양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상기 조립돌기에 끼움결합되는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메인블럭판(5)에 조립되는 다수의 기본블럭(7)을 포함하였다.
여기서, 기본블럭(7)의 상부에는 메인블럭판(5)의 조립돌기와 동일한 형태의 돌기가 상향 돌출형성되어 각 기본블럭(7) 간에도 상하로 조립될 수 있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기본블럭(7) 외에 발사대(10), 유도관(11), 스위치박스(12), 서치라이트(13), 로우터(14), 스피커(15), 관제탑(17), 컨트롤박스(18), 전원공급박스(19) 및 자동차(21) 등의 구조물이 더 구비되어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코딩교구나 조립식교구는 고유의 교육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각각 이루어졌기 때문에 종래의 코딩교구는 코딩학습만을 제공할 수 있고 종래의 조립식교구는 조립학습만을 제공할 수 있었다. 즉, 코딩학습과 조립식학습을 병행하기 위해서는 코딩교구와 조립식교구를 각각 구입해야기 때문에 금전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코딩교구는 하나의 교구내에 단일의 게임만을 진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아동이 쉽게 흥미를 잃을 수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게임내용의 코딩교구를 각각 구매해야 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금전적인 부담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교구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시키는 코딩학습과 여러 블럭들을 블럭판에 결합시키는 조립학습을 병행할 수 있어 교구의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교구구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판 위에 안착되는 블럭판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코딩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코딩학습에 대한 다양한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저렴한 교구비용을 구현할 수 있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게임이미지(132)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딩용 도안시트(115)는, 상기 베이스판(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일부 제1결합부(113)들을 노출시켜 블럭부(120)가 장착될 수 있는 불럭체결영역(112)을 형성하거나, 상기 베이스판(110)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일정영역에는 베이스판(110)의 제1결합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개구된 개구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부(120)의 제2결합부(124)가 개구공(117)을 관통하면서 제1결합부(1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 또는 개구공(117)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앱기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는 복수의 코딩게임 중 하나의 특정 코딩게임을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는 복수의 코딩명령어 중 하나의 특정 코딩명령어를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기능부(130)는,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가 추출되면 상기 스마트기기(10)의 화면창(12)에 추출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를 정렬시키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코드실행신호가 입력되면 정렬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의 각 코딩명령어를 실행하면서 코딩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즐이미지(127)는 단일의 색상면을 갖거나 큰 사물이미지가 폴리오미노 형태를 따라 복수 개로 절개된 부분이미지들 중 하나의 부분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증강현실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 및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블럭부(120)의 형상을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앱기능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에 의하면,
첫째, 베이스판(110)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불럭체결영역(112)이 마련되며 상부면의 타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며, 복수의 블럭부(120)는 단일의 정사각판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되어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면에는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되고, 앱기능부(130)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교구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시키는 코딩학습과 여러 블럭부(120)들을 베이스판(110)에 결합시키는 조립학습을 병행할 수 있어 교구의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교구구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블럭부(120)는, 폴리오미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안착가이드(122)가 형성되면서 내부에 안착홈(123)이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과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임의로 블럭본체(121)에 배치되는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변경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블럭판(125)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넷째,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에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복수의 색 중 특정 색을 갖는 색상면(127)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블럭부(120)는 측부가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블럭집합을 이루는 것과 같이, 코딩학습시에는 블럭본체(121)에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조립학습시에는 블럭본체(121)에 색상면(127)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통상의 조립교구와 같이 다채로운 색상이미지를 제공하여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베이스판(1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 전체에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이 배치된 베이스판(110)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일 위치에는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된 게임마커판(115)을 포함함으로써, 베이스판(110) 위에 안착되는 블럭판(125)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코딩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코딩학습에 대한 다양한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저렴한 교구비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교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를 이용하여 코딩게임을 진행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판의 양 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가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판의 양 측면에 명령인식용 마커와 색상면이 각각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판에 블럭부가 장착되면서 조립학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마커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하나의 교구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시키는 코딩학습과 여러 블럭들을 블럭판에 결합시키는 조립학습을 병행할 수 있어 교구의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교구구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교구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 복수의 블럭부(120) 및 앱기능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10)은 코딩학습과 조립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판부재로서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베이스판(11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판부재(미도시)가 측방으로 조립되면서 일정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수준이나 취사선택에 따라 베이스판(110)의 형상이나 면적 크기를 정할 수 있다.
상기 블럭부(120)는 코딩학습과 조립학습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도구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정사각판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13)는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십자형상으로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124)는 각 정사각형판의 저면 중앙에 일정길이로 하향 연장된 십자기둥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합부(113)에 삽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조립된 상태에서 블럭부(120)가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13)는 도시된 제2결합부(124)와 같이 함몰된 십자 홈으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124)는 도시된 제1결합부(113)와 같이 돌출된 십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동일한 조립기능을 구현할 수 있드며, 이 밖에 레고와 같은 원기둥 형상의 돌기와 원형홈의 조합, 사각홈과 사각기둥의 조합 및 일자판 형상의 돌기와 일자홈의 조합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돌기와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4)는 돌출된 돌기와 홈의 조합된 구성 이외에 +극성을 갖는 자석과 - 극성을 갖는 자석의 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자기장에 의한 흡착력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으며, 이 밖에 제1결합부(113)는 베이스판(110) 상에 라인 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돌기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124)는 각 돌기선에 변부가 지지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체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는 복수의 코딩게임 중 하나의 특정 코딩게임을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는 복수의 코딩명령어 중 하나의 특정 코딩명령어를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는 도면에서와 같이 게임내용에 부합되는 대상(예를 들면, 건물이나 캐릭터) 자체의 형상이미지를 가질 수 있으며 숫자, 영어 또는 기호와 같이 다양한 이미지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는 도면에서와 같이 인식되는 코딩명령어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는 형상이미지(예를 들면, 화살표 등)를 가질 수 있으며 숫자, 영어 또는 기호와 같이 다양한 아미지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코딩용 도안시트(115)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증강현실이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다.
상기 앱기능부(130)는 각 마커(116,126)를 인식하고 화면창(12)에 코딩게임 이미지를 제공하여 코딩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코딩학습을 위한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한다.
여기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앱기능부(130)는,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가 추출되면 상기 스마트기기(10)의 화면창(12)에 추출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을 정렬시키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코드실행신호가 입력되면 정렬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의 각 코딩명령어를 실행하면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기능부(130)는 스마트기기(10)의 화면창(12) 내에 코드실행버튼(134)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조작하면 코드실행신호를 생성시켜 코딩된 명령어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며, 판독된 코딩명령어의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을 정렬위치에 추가하거나 정령위치에 추가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을 삭제하기 위한 선택버튼(135)을 화면창(12)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교구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시키는 코딩학습과 여러 블럭부(120)들을 베이스판(110)에 결합시키는 조립학습을 병행할 수 있어 교구의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교구구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20)는, 폴리오미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안착가이드(122)가 형성되면서 내부에 안착홈(123)이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과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임의로 블럭본체(121)에 배치되는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안착가이드(122)의 일측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탈거공(128)이 형성되어 안착홈(123)에 안착된 블럭판(125)의 측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손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20)는 단일의 정사각판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다양한 구조의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블럭판(125)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에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복수의 색 중 특정 색을 갖는 색상면(127)이 배치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블럭부(120)는 측부가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블럭집합을 이루는 것과 같이, 코딩학습시에는 블럭본체(121)에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조립학습시에는 블럭본체(121)에 색상면(127)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통상의 조립교구와 같이 다채로운 색상이미지를 제공하여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 전체에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이 배치된 베이스판(110)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일 위치에는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된 게임마커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110) 위에 안착되는 블럭판(125)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코딩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코딩학습에 대한 다양한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저렴한 교구비용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임마커판(115)은 베이스판(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일부 불럭체결영역(112)을 노출시켜 블럭부(1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임마커판(115)은 베이스판(110)와 대응되는 면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일정영역에는 베이스판(110)의 제1결합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개구된 개구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부(120)의 제2결합부(124)가 개구공(117)을 관통하면서 제1결합부(1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블럭부(120)의 상부에 배치된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인식하는 방식 이외에 다양한 폴리오미노 형상을 갖는 블럭부(120)의 외부형상 자체를 인식하는 방식으로도 각 블럭부(120)의 외부형상별로 매칭되게 설정된 코딩명령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앱기능부(130)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형상을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코딩학습시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코딩용 도안시트(115)을 안착시켜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퍼즐학습시 특정 사물의 이미지가 폴리오미노의 형태로 이루어진 퍼즐이미지가 도안되고 개구공(117)과 같이 하부의 베이스판(110)에 형성된 제1결합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개구된 개구공이 형성된 퍼즐용 도안시트를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도안된 퍼즐이미지대로 블럭부(120)를 조립하면서 퍼즐학습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게임이미지(132)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를 포함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딩용 도안시트(115)는,
    상기 베이스판(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일부 제1결합부(113)들을 노출시켜 블럭부(120)가 장착될 수 있는 불럭체결영역(112)을 형성하거나,
    상기 베이스판(110)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일정영역에는 베이스판(110)의 제1결합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개구된 개구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부(120)의 제2결합부(124)가 개구공(117)을 관통하면서 제1결합부(1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 또는 개구공(117)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앱기능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는 복수의 코딩게임 중 하나의 특정 코딩게임을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는 복수의 코딩명령어 중 하나의 특정 코딩명령어를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앱기능부(130)는,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가 추출되면 상기 스마트기기(10)의 화면창(12)에 추출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를 정렬시키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코드실행신호가 입력되면 정렬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의 각 코딩명령어를 실행하면서 코딩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즐이미지(127)는 단일의 색상면을 갖거나 큰 사물이미지가 폴리오미노 형태를 따라 복수 개로 절개된 부분이미지들 중 하나의 부분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8.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증강현실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 및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블럭부(120)의 형상을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앱기능부(130);를 포함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PCT/KR2020/016480 2020-11-19 2020-11-20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WO202210793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31A KR102409265B1 (ko) 2020-11-19 2020-11-19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KR10-2020-0155631 2020-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7930A1 true WO2022107930A1 (ko) 2022-05-27

Family

ID=8170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480 WO2022107930A1 (ko) 2020-11-19 2020-11-20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9265B1 (ko)
WO (1) WO202210793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95732A1 (en) * 2016-10-04 2018-04-05 Motionblue Inc.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coding education service using a block
KR20190059068A (ko) * 2017-11-22 2019-05-30 주혜정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자 맵의 미션 기반 퍼즐 조립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2181A (ko) * 2018-11-05 2019-06-05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009198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파코웨어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조립식 교구
KR102069878B1 (ko) * 2019-01-31 2020-02-11 (주)이이알에스소프트 블록형 스마트토이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 저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736Y1 (ko) 2002-05-06 2002-10-11 (주)에스디 로보테크 창의력 증진을 위한 블록완구
KR101831334B1 (ko) 2016-03-15 2018-02-23 주식회사 휴인텍 코딩 학습용 교구
JP7138314B2 (ja) * 2017-03-15 2022-09-16 株式会社Icon 学習用玩具
KR102126521B1 (ko) * 2018-08-01 2020-06-24 (주)미래융합정보기술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95732A1 (en) * 2016-10-04 2018-04-05 Motionblue Inc.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coding education service using a block
KR20190059068A (ko) * 2017-11-22 2019-05-30 주혜정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자 맵의 미션 기반 퍼즐 조립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198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파코웨어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조립식 교구
KR20190062181A (ko) * 2018-11-05 2019-06-05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69878B1 (ko) * 2019-01-31 2020-02-11 (주)이이알에스소프트 블록형 스마트토이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 저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39A (ko) 2022-05-26
KR102409265B1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085B1 (ko) 스마트 블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시스템
Gardeli et al. ARQuest: A tangible augmented reality approach to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WO2016089098A1 (ko)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퍼즐 시스템
WO2020017683A1 (ko)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조립식 교구
WO2018097502A1 (ko)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WO2016148461A2 (ko) 증강현실 마커가 인쇄된 바닥 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WO2022107930A1 (ko)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US4422642A (en) Novelty educational puzzle apparatus
CN202802793U (zh) 框架式可拆卸智慧迷宫
KR20150093584A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US5653594A (en) Educational toy for learning multiplication
KR102239147B1 (ko) 코딩 원리 학습용 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100602589B1 (ko) 블록완구
CN211044574U (zh) 一种积木式早教装置
WO2012150776A2 (ko) 조립식 적층 퍼즐
CN111341161A (zh) 一种数学思维训练的数学教具
WO2018124342A1 (ko) 스마트 블록 기반 체감형 컨텐츠 구현시스템
KR20130101226A (ko)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KR101952647B1 (ko) 아동용 ict 활용 스토리 과학실험교재
CN202549091U (zh) 互动问答装置
CN217880567U (zh) 针对儿童图形认知以及语言训练的交互式故事盒
WO2024080456A1 (ko) 마이크로 비트를 활용한 미디어 아트 컨텐츠 기반의 코딩 교육 장치
WO2021162213A1 (ko) 종합 사고력 학습도구
KR20150089169A (ko) 쌍방향 특성의 학습교구
Gay Tactile Turtle: explorations in space with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a floor Tur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625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4/09/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625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