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50776A2 - 조립식 적층 퍼즐 - Google Patents

조립식 적층 퍼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50776A2
WO2012150776A2 PCT/KR2012/002945 KR2012002945W WO2012150776A2 WO 2012150776 A2 WO2012150776 A2 WO 2012150776A2 KR 2012002945 W KR2012002945 W KR 2012002945W WO 2012150776 A2 WO2012150776 A2 WO 201215077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unit block
puzzle
prefabricated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29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50776A3 (ko
Inventor
김주안
Original Assignee
Kim Joo A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Joo An filed Critical Kim Joo An
Publication of WO201215077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50776A2/ko
Publication of WO201215077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5077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88Sculpture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08Connections between puzzle elements
    • A63F2009/1216Connections between puzzle elements using locking or bind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88Sculpture puzzles
    • A63F2009/1292Sculpture puzzles formed by stackable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and more particularly, to divide the stacking puzzle of the Hanoi Tower type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to induce fun and interest by allowing the user to assemble each piece to complete the product. It's about a prefab stack puzzle that makes it easy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Tower of Hanoi game.
  • the person who first created the Tower of Hanoi was named Prof. Prof. N. Claus in 1883.
  • the Tower of Hanoi has three wooden bars on its pedestals, one of which has eight disks of different radii. Beginning in a stacked sequence, the goal of this puzzle is to move the entire tower to another bar by moving only one disk at a time, with the constraint that you can't place a large disk on a small disk.
  • the rules of the game of the Tower of Hanoi are: "1) Move all the discs of the tower on the column to the last column, but only in the smallest number of times. 2) Only one disc can be moved at a time. 3) A small disc. You cannot place large discs on top. 4) You can only move discs that have no discs on them. " It can be arranged in such a way.
  •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Tower of Hanoi is to develop thinking by moving discs of different sizes while thinking, to discover rules, to improv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to develop macro and micro thinking skills, and to improve mathematical skills by improving logic. Children can develop their tactile and cognitive skills through finger repeti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by dividing the stacking puzzle of the Hanoi Tower method into a number of parts, each part is assembled to complete the product, causing fun and interest, Hanoi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stacked puzzle that makes it eas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principles of the top game.
  • 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blocks are stacked, the uppermost unit block of the unit block is formed with projections on one surface, the lowermost unit block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the uppermost unit block and the lowest unit block In at least one intermediate unit block interpos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s and projections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urface, respectively, wherein the unit blocks are mutually coupled by the projections and the receiving groove in the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wherein the unit blocks are at least two It is divided into two unit members, it is achieved by a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rojection and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unit members.
  • the receiving grooves of the intermediate unit block and the lowermost unit block are extended by one unit area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rojection from the upper to the lower by a combination of unit members, and the protrusions of the uppermost unit block and the intermediate unit block
  • the combination of the unit member is preferably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one unit region extending from the upper to the lower of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intermediate unit block and the lowermost unit block.
  • the unit block preferably includes a cover for clos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 guide line for guid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unit member.
  • a pattern or a phras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 the base for guiding the vertical stacking of the unit blocks preferably further includes.
  • the base preferably includes a pedestal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three or more pillar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ceiving space.
  • the pedestal is preferably formed of a lower plate and an upper plat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the interspace.
  • the unit block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llar penetrates in a vertical direction by a combination of unit members.
  • each part is assembled to complete the product to induce fun and interest, prefabricated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principles of the Hanoi Tower game In providing a lamination puzzle.
  •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 stacking puzzl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unit block to the seventh unit block of the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uni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lamination puzzle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uni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stacked puzzles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venth uni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lamination puzzle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lamination puzzle
  • FIG. 7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2;
  •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positions of receiving grooves and protrusions of the first to seventh unit blocks shown in FIG. 7, respectively.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second unit block of the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lamination puzzle
  • 11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unit block to a seventh unit block of the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 FIG. 3 is a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unit block of the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venth unit block of the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compris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are provided and stacked, and the base 200 for guiding the stacking of the unit blocks 100 and maintaining the stacked state at the same time do.
  • the projection 13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most unit block 100 of the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 the lowermost unit block 100 has a receiving groove 131 formed on an upper side
  • the intermediate unit block 100 interposed between the uppermost unit block 100 and the lowermost unit block 100 has a receiving groove on an upper side thereof.
  • 131 is formed and a protrusion 13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unit blocks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protrusion 132 and the receiving groove 131.
  • the receiving grooves 131 of the intermediate unit block 100 and the lowermost unit block 100 are extended by one unit area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area of the protrusion 132 from the upper to the lower, and the uppermost unit block ( 100 and the projection 132 of the intermediate unit block 100 is the accommodation groove of the one unit area extending from the upper to the lower of the receiving groove 131 formed in the intermediate unit block 100 and the lowest unit block 10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131), the upper unit block 100 is to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unit block 100, the lower unit block 100 is no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unit block 100. do.
  • the unit block 100 has a through hole 133 through which the pillar 220 of the base 200 is inserted in the center thereof to be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be stack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s described above, and each unit block 1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covers 120 an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132 and the receiving grooves 131 and the through hole 133 ar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in combination between the pair of covers 120 according to the level. To be able to constitute a plurality of unit members 110.
  • the unit block 100 is composed of the first unit block (100a) to the seventh unit block (100g) stacked in seven layers, the unit member 110 in three unit areas A first unit member 110a having a corresponding size, a second unit member 110b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wo unit regions, and a third unit member 110c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one unit region. It demonstrates as an example comprised.
  • the cover 120 has a pattern or a phras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ensure that the pattern or phrase correctly aligned in the correct stacking state, the guide line 121 for guid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unit member 110 on the inner surface It is formed, and is spaced apart to close the front and rear of the unit block 100.
  • the cover 120 is made of the width of the unit are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acked units of the unit block 100,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wice the unit area, the guide line 121 is formed of each unit area Marked to separate boundaries.
  • one unit area as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the projecting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 132 of the unit block 100.
  • the base 200 guides the vertical stacking of the unit block 100.
  • the base 200 includes a pedestal 210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213 formed thereon and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213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mposed of three or more pillars 220 are installed.
  • the pedestal 210 is composed of a lower plate 211 and a pair of upper plates 212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211 to form the receiving space 213 in the interspace.
  • the pillar 220 is formed of a length member having a smaller cross section than the through hole 133 so that the pillar 220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33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unit block 100.
  • the stacking number of the unit block 100, the size and number of the unit member 110, and the number of pillars 220 of the base 200 can be eff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difficulty and assembly difficulty of the game. There will be.
  • FIG. 7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first unit blocks to the seventh unit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stacked puzzles are separated
  • Figure 8 is a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unit blocks to seven unit blocks shown in FIG.
  • Fig. 9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projections, respectively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second uni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unit block 100a disposed at the top thereof includes two first unit members 110a and one second unit member 110b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vers 120.
  • the through hole 133 is formed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ombination and the protrusions 13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ttom are formed.
  • the pillar 220 should be inserted into the center, Two first unit members 110a are dispose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upper region, respecti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so that the through holes 133 are formed in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s 133 are formed. Ends.
  • the protrusion 13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unit block 100a,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econd unit member 110b in the vertical position is disposed outside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ver 120. Placed in the stage so that the lower end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120.
  • the first unit member 110a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ree unit regions
  • the second unit member 110b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wo unit regions. Since the guide line 121 for dividing is display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the position of the first unit member 110a and the second unit member 110b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fixed, and the unit member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ing position of the shifting groove 131 and the projection 132 is not coupled, or the through-hole 133 and the pillar 220 is not coupled.
  • the other cover 12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nit member (110).
  • the unit member 110 and the cover 120 can be fixed by applying an adhesive or the like on the contact surface, or using a separate fixing means.
  • the second unit block 100b disposed below the first unit block 100a includes one first unit member 110a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vers 120 and two second units.
  • the projection of the first unit block (100a) on the upper sid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132, and is arranged in combination so as to form the protrusion 132 protruding downwardly spaced by one unit area from the lower side.
  • the second unit block 100b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32 of the first unit block 100a on one side so that only the first unit block 100a, which is the upper unit block 100, can be stacked and assembled in the upper region. Since the pillars 220 are to be inserted into the center while forming the receiving grooves 131, the first unit member 110a and the second unit member 110b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20 located on the rear side. The receiving grooves 13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region while the through holes 133 are forme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upper region.
  • the third unit member 110c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area.
  • the upper end portion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third unit member 110c among the lower regions of the cover 120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120. do.
  • the front cover 12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nit member (110).
  •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31 toward the lower unit block 100 toward the other side 1 unit area It is formed by expansion, and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132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groove formed in the lower unit block 100 131, the through hole 133 is formed in comm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as
  • the first unit member 110a, the second unit member 110b, and the third unit member 110c are formed by adjusting the number and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above-mentioned second unit block 100b and the unit member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combination and position of 110, the assembly principle is the sam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eventh unit block 100g disposed below the sixth unit block 100f is center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wo first unit members 110a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vers 120.
  • the through holes 13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and the first to sixth unit blocks 100a, 100b, 100c, 100d, 100e, and 100f, which are upper unit blocks 100 in all upper regions, are formed.
  • the protrusions 132 are arranged in combination to form a receiving groove 131 into which the protrusions 132 can be inserted.
  • the seventh unit block 100g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is the first to sixth unit blocks 100a, 100b, 100c, 100d, 100e, and 100f that are upper unit blocks 100 upward. Since the pillars 220 are to be inserted into the center while being stacked, the first unit member 110a is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lower region divided by the guide line 121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cover 120 positioned on the rear side.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133 are closed while the two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through hole 133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 the front cover 12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nit member (110).
  • Figure 10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se 200 of the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plate 212 is fixed to the upper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211, a The upper plate 212 is fix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eceiving space 213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upper plates 212.
  • the upper plate 212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12 and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211, and then the outer end of the upper plate 212 coincides with the outer end of the lower plate 211 To fix it.
  • the width of the lower plate 211 is the width of the pair of the upper plate 212 and the receiving space 213. Is set to the sum of the widths.
  •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illar 220 is positioned above the accommodation space 213 of the pedestal 210, and then the pole is as shown in (b).
  •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220 is assemb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3 by moving the 220 in the downward direction.
  • the lower end of the pillar 220 is assemb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3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212, bu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2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late 211. It is also desirable that the ball is formed to guid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column 220.
  • 11 to 1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fabricated laminated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unit blocks to the seventh unit blocks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and 100g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column 220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initial base 200.
  • the game is started.
  • the pillar 2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33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each unit block 100 to maintain the stacked state, and the first unit block.
  • Receiving groove 13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unit block to the seventh unit block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is formed in the projection (132) formed below the (100a) to the sixth unit block (100f) Are inserted into the
  • the first unit block 100a is moved to the central pillar 220
  • the second unit block 100b is moved to the pillar 220 on the right side
  • the first unit block 100a is moved to the right side.
  • the third unit block 100c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unit block 100b of the pillar 220 and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left pillar 220 is moved to the central pillar 220, and the left pillar 220 is disposed. If the second unit block (100b)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third unit block (100c) located in the central column 220, the state as shown in FIG.
  • the stack deviating from the rule without the protrusion 132 of the lower block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1 of the upper block Visually, it's easy to learn the rules of the game.
  • the first to seventh unit blocks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and 100g which are located on the first left column 220, are all right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 Prefabricated stacking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Tower of Hanoi game rules, and by constructing each component in a prefabricated,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understand the game principle, while causing fun and interest.
  • each part is assembled to complete the product to induce fun and interest, prefabricated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principles of the Hanoi Tower game
  • a lamination puzzle is prov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적층 퍼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적층 퍼즐은 다수의 단위블록으로 적층 구성되며, 상기 단위블록 중 최상단 단위블록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최하단 단위블록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최상단 단위블록과 최하단 단위블록의 사이에 개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단위블록은 수용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들이 상기 돌기와 상기 수용홈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조립식 적층 퍼즐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적어도 두 개의 단위부재로 분할 형성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기 돌기와 수용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적층 퍼즐
본 발명은 조립식 적층 퍼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노이탑 방식의 적층 퍼즐을 여러 개의 부품으로 분할하고, 사용자가 각 부품들을 직접 조립하여 제품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과 함께, 하노이탑 게임의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적층 퍼즐에 관한 것이다.
하노이 탑이라는 퍼즐을 처음 만든 사람은 1883년 클라우스 교수(professeur N. Claus)라는 이름의 인물로서, 하노이탑 퍼즐은 받침대에 나무 막대 3개가 박혀 있고, 이 중 하나에 반지름이 서로 다른 원반 8개가 크기 순서대로 쌓여있는 상태로 시작하는 것으로서, 이 퍼즐의 목표는 큰 원반을 작은 원반 위에 놓을 수 없다는 제약 아래 한 번에 맨 위에 있는 원반 1개씩만 움직여서 탑 전체를 다른 막대로 이동하는 것이다.
하노이탑의 게임 규칙은, "1) 기둥에 놓인 탑의 원판을 모두 마지막 기둥으로 옮겨야 한다. 단, 가장 적은 횟수 만에 옮겨야 한다. 2) 한번에 하나의 원판만이 이동할 수 있다. 3) 작은 원판 위에 큰 원판을 올려놓을 수 없다. 4) 위에 아무 원판도 없는 원판만 이동시킬 수 있다."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하노이탑의 교육적 효과는 생각을 하면서 크기가 다른 원반을 옮김으로써 창의력이 발달하고, 규칙을 발견하게 되어 수학적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며, 거시적 및 미시적 사고능력을 키울 수 있고, 논리력 향상으로 수학적 감각을 향상시켜 주며, 어린이의 경우 손가락 반복 동작을 통해 촉각 및 인지 능력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하노이탑은 모두 완성된 형태의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대부분이 완제품으로 생산되어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데에만 한정되어 있으므로, 하노이탑의 세부구조 및 각 부위에 대한 형상 및 조립 원리를 이해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여 교육자료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노이탑 방식의 적층 퍼즐을 여러 개의 부품으로 분할하고, 각 부품이 조립되어 제품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고, 하노이탑 게임의 구조와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적층 퍼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단위블록을 구성하는 단위부재의 조립위치가 커버의 내측면에 단위영역별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조립위치를 정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조립식 적층 퍼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단위블록으로 적층 구성되며, 상기 단위블록 중 최상단 단위블록에는 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최하단 단위블록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최상단 단위블록과 최하단 단위블록의 사이에 개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단위블록은 일면과 타면에 수용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들이 상기 돌기와 상기 수용홈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조립식 적층 퍼즐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적어도 두 개의 단위부재로 분할 형성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기 돌기와 수용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 단위블록 및 최하단 단위블록의 수용홈은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위에서 하위로 갈수록 돌기의 폭에 해당하는 1단위영역씩 확장 형성되고, 상기 최상단 단위블록 및 중간 단위블록의 돌기는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기 중간 단위블록 및 최하단 단위블록에 형성된 수용홈 중 상위에서 하위로 갈수록 확장 형성된 1단위영역의 수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은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마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단위부재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선이 형성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는 문양 또는 문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의 수직방향 적층을 안내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세 개 이상의 기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에 이격 배치되어 사이공간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은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기 기둥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노이탑 방식의 적층 퍼즐을 여러 개의 부품으로 분할하고, 각 부품이 조립되어 제품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고, 하노이탑 게임의 구조와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적층 퍼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단위블록을 구성하는 단위부재의 조립위치가 커버의 내측면에 단위영역별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조립위치를 정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조립식 적층 퍼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1단위블록 내지 제7단위블록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1단위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2단위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7단위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베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제1단위블록 내지 제7단위블록들의 수용홈과 돌기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2단위블록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베이스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층 퍼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1단위블록 내지 제7단위블록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1단위블록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2단위블록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7단위블록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베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은 다수 마련되어 적층되는 단위블록(100)과, 상기 단위블록(100)의 적층을 안내하는 것과 동시에 적층 상태를 유지하는 베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단위블록(100)의 적층되는 규칙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단위블록(100) 중 최상단 단위블록(100)에는 하측면에 돌기(132)가 형성되고, 최하단 단위블록(100)에는 상측면에 수용홈(131)이 형성되며, 최상단 단위블록(100)과 최하단 단위블록(100)의 사이에 개입되는 중간 단위블록(100)은 상측면에 수용홈(131)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돌기(132)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100)들이 상기 돌기(132)와 상기 수용홈(131)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중간 단위블록(100) 및 최하단 단위블록(100)의 수용홈(131)은 상위에서 하위로 갈수록 돌기(132)의 돌출 면적에 해당하는 1단위영역씩 확장 형성되고, 상기 최상단 단위블록(100) 및 중간 단위블록(100)의 돌기(132)는 상기 중간 단위블록(100) 및 최하단 단위블록(100)에 형성된 수용홈(131) 중 상위에서 하위로 갈수록 확장 형성된 1단위영역의 수용홈(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위 단위블록(100)이 하위 단위블록(100)의 상부에는 결합하면서 하위 단위블록(100)이 상위 단위블록(100)의 상부에는 결합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100)은 중앙에 베이스(200)의 기둥(220)이 삽입되는 관통홀(133)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1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적층되도록 다수 마련되며, 각각의 단위블록(100)은 한 쌍의 커버(120)와,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마련되는 다수의 단위블록(100)들을 레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커버(120) 사이에 조합 배치하여 조립하는 것에 의해 돌기(132)와 수용홈(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통홀(133)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부재(110)로 구성할 수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블록(100)이 제1단위블록(100a) 내지 제7단위블록(100g)으로 구성되어 7개의 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단위부재(110)가 3개의 단위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제1단위부재(110a)와, 2개의 단위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제2단위부재(110b)와, 1개의 단위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제3단위부재(110c)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커버(120)는 외측면에는 문양 또는 문구가 형성되어 올바른 적층상태에서 올바르게 정렬된 문양 또는 문구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고, 내측면에는 단위부재(110)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선(121)이 형성되며, 단위블록(100)의 전면과 후면을 마감하도록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커버(120)는 단위블록(100)의 적층 수에 대응하는 단위영역의 폭으로 이루어지고, 단위영역의 2배수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선(121)은 각각의 단위영역의 경계를 구분하도록 표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하나의 단위영역은 단위블록(100)의 돌기(132)의 돌출 단면적에 해당한다.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단위블록(100)의 수직방향 적층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면에 수용공간(213)이 형성된 받침대(210)와, 하단부가 상기 수용공간(213)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세 개 이상의 기둥(2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210)는 하판(211)과, 상기 하판(211)의 상부 양측에 이격 배치되어 사이공간에 수용공간(213)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판(2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220)은 상기 단위블록(10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1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133)보다 작은 단면의 길이부재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단위블록(100)의 적층 수나, 단위부재(110)의 크기 및 수, 그리고 베이스(200)의 기둥(220) 수는 게임의 난이도 및 조립 난이도에 따라 유효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1단위블록 내지 제7단위블록들이 분리된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제1단위블록 내지 제7단위블록들의 수용홈과 돌기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제2단위블록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1단위블록(100a)은 한 쌍의 커버(120)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단위부재(110a)와, 하나의 제2단위부재(110b)의 구성을 통해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관통홀(133)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하부 일측에서 돌출되는 돌기(132)를 형성되도록 조합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단위블록(100a)의 조립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단위블록(100)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1단위블록(100a)은 상측으로 다른 단위블록(100)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중앙으로는 기둥(220)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배면측에 위치하는 커버(120)의 내측면에 제1단위부재(110a) 2개를 상부영역의 중앙 양측에 각각 가로로 배치하여 중앙에 관통홀(133)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관통홀(133)의 양측부분은 마감한다.
또한, 제1단위블록(100a)의 하부 일측에는 돌기(132)가 돌출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2단위부재(110b) 1개를 세로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커버(120)의 하부영역 중 외측단에 배치하여 하단부가 커버(12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단위부재(110a)는 3개의 단위영역에 해당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2단위부재(110b)는 2개의 단위영역에 해당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인데, 이러한 각각의 단위영역을 구획하는 안내선(121)이 커버(120)의 내측면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제1단위부재(110a)와 제2단위부재(110b)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고 고정할 수 있으며, 단위부재(110)의 고정위치가 어긋나 수용홈(131)과 돌기(132)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관통홀(133)과 기둥(220)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어느 하나의 커버(120)의 내측면에 단위부재(110)의 배치가 완료되면, 다른 하나의 커버(120)를 단위부재(110)의 전면측에 배치한다.
한편, 상기 단위부재(110)와 커버(120)는 밀착면에 접착제 등을 도포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단위블록(100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단위블록(100b)은, 한 쌍의 커버(120)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의 제1단위부재(110a)와, 두 개의 제2단위부재(110b)와, 하나의 제3단위부재(110c)의 구성을 통해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관통홀(133)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부 일측에 상기 제1단위블록(100a)의 돌기(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홈(131)을 형성하고, 하부 일측에서 1단위영역만큼 이격되어 하향 돌출되는 돌기(132)를 형성하도록 조합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2단위블록(100b)의 조립과정을 도 9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단위블록(100b)은 상부영역에 상위 단위블록(100)인 제1단위블록(100a)만 적층 조립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제1단위블록(100a)의 돌기(132)에 대응하는 크기의 수용홈(131)을 형성하면서 중앙으로는 기둥(220)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배면측에 위치하는 커버(120)의 내측면에 제1단위부재(110a)와 제2단위부재(110b)를 상부영역의 중앙 양측에 배치하여 중앙에 관통홀(133)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부 일측에 수용홈(131)을 형성한다.
아울러, 또한, 제2단위블록(100b)의 하부 일측에서 제1단위영역만큼 이격된 위치에 돌기(132)가 돌출 형성되어야 하므로, 하부영역의 일측에 제3단위부재(110c)를 배치하고, 제2단위부재(110b) 1개를 세로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커버(120)의 하부영역 중 제3단위부재(110c)의 내측에 밀착 배치하여 하단부가 커버(12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배면 커버(120)의 내측면에 단위부재(110)의 배치가 완료되면, 전면 커버(120)를 단위부재(110)의 전면측에 배치한다.
즉, 도 9의 (a)와 같이 배면 커버(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선(121)이 노출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b)와 같이 상기 제1단위부재(110a)와 제2단위부재(110b) 및 제3단위부재(110c)가 고정될 해당 단위영역에 접착제(B)를 도포하고, (c)와 같이 제1단위부재(110a)와 제2단위부재(110b) 및 제3단위부재(110c)들을 앞서 언급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여 배면 커버(120)에 고정한 다음, (d)와 같이 전면 커버(120)가 고정되어야 하는 단위부재(110)들의 전면에 다시 접착제(B)를 도포하되, 돌기(132)부분은 커버(120)가 접착되지 않는 부분이므로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다. 이어서 (e)와 같이 전면 커버(120)를 단위부재(110)의 전면에 고정한다. 이때,
한편, 제3단위블록 내지 제6단위블록(100c,100d,100e,100f)은, 도 7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위 단위블록(100)으로 갈수록 수용홈(131)의 위치가 타측을 향해 1단위영역씩 확장형성되고, 돌기(132)의 위치가 하위 단위블록(100)의 확장 형성된 수용홈(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관통홀(133)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단위부재(110a)와 제2단위부재(110b) 및 제3단위부재(110c)의 수와 배치위치 등을 조절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2단위블록(100b)과는 단위부재(110)의 조합과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조립원리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6단위블록(100f)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7단위블록(100g)은, 한 쌍의 커버(120)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단위부재(110a)의 구성을 통해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관통홀(133)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부 전 영역에 상위 단위블록(100)인 상기 제1단위블록 내지 제6단위블록(100a,100b,100c,100d,100e,100f)의 돌기(132)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131)을 형성하도록 조합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7단위블록(100g)의 조립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단위블록(100) 중 최하단에 배치되는 제7단위블록(100g)은 상측으로 상위 단위블록(100)인 제1단위블록 내지 제6단위블록(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이 적층되면서 중앙으로는 기둥(220)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배면측에 위치하는 커버(120)의 내측면 중 안내선(121)에 의해 구분된 하부영역의 중앙 양측에 제1단위부재(110a) 2개를 각각 가로방향으로 배치하여 중앙에 관통홀(133)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관통홀(133)의 양측부분은 마감한다.
상기와 같이 배면 커버(120)의 내측면에 단위부재(110)의 배치가 완료되면, 전면 커버(120)를 단위부재(110)의 전면측에 배치한다.
첨부도면 중 도 10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베이스(200)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베이스(20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대(210)를 구성하는 하판(211)을 배치한 다음, 하판(211)의 상부 양측에 상판(212)을 고정하는데, 한 쌍의 상판(212)의 사이영역에 수용공간(213)이 형성되도록 이격 배치하여 상판(212)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212)은 상판(212)의 저면과 하판(211)의 상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판(212)의 외측 단부를 하판(211)의 외측 단부에 일치시켜 고정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상판(212)과 하판(211)으로 구성되는 받침대(210)의 조립의 편의를 위해, 하판(211)의 폭은 한 쌍의 상판(212)의 폭과 수용공간(213)의 폭을 합한 것으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210)가 조립된 다음으로, 도 10의 (a)와 같이 기둥(220)의 하단부를 받침대(210)의 수용공간(213) 상측에 위치시킨 다음, (b)와 같이 기둥(220)을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둥(220)의 하단부가 수용공간(213)에 조립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상판(2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13)에 기둥(220)의 하단부가 조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판(211)에 기둥(22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기둥(220)의 삽입위치를 안내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첨부도면 중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최초 베이스(200)의 좌측에 위치하는 기둥(220)에 제1단위블록 내지 제7단위블록(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게임을 시작하는데, 이때, 각 단위블록(10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133)로 기둥(220)이 삽입되어 적층상태를 유지하고, 제1단위블록(100a) 내지 제6단위블록(100f)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132)가 제2단위블록 내지 제7단위블록(100b, 100c, 100d, 100e, 100f, 100g)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홈(131)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단위블록(100a)을 중앙의 기둥(220)으로 옮기고, 제2단위블록(100b)을 우측의 기둥(220)으로 옮긴 다음, 중앙의 제1단위블록(100a)을 우측 기둥(220)의 제2단위블록(100b)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좌측 기둥(220)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제3단위블록(100c)을 중앙의 기둥(220)으로 옮기고, 좌측 기둥(220)의 상측에 위치한 제2단위블록(100b)을 중앙 기둥(220)에 위치한 제3단위블록(100c)의 상측으로 옮기면,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단위블록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위블록이 상위블록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경우, 하위블록의 돌기(132)가 상위블록의 수용홈(131)에 삽입되지 않으면서 규칙에 어긋난 적층이 시각적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게임의 규칙을 쉽게 익힐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최초 좌측 기둥(220)에 위치하고 있던 제1단위블록 내지 제7단위블록(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을 모두 도 11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우측 기둥(220)으로 규칙에 맞게 이동하면 게임이 종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조립식 적층 퍼즐은 하노이탑 방식의 게임규칙을 적용한 것으로서, 각 부품들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과 함께, 게임 원리를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단위블록(100)을 구성하는 단위부재(110)의 조립위치가 커버(120)의 내측면에 단위영역별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조립위치를 정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노이탑 방식의 적층 퍼즐을 여러 개의 부품으로 분할하고, 각 부품이 조립되어 제품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고, 하노이탑 게임의 구조와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적층 퍼즐이 제공된다.

Claims (16)

  1. 다수의 단위블록으로 적층 구성되며, 상기 단위블록 중 최상단 단위블록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최하단 단위블록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최상단 단위블록과 최하단 단위블록의 사이에 개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단위블록은 수용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들이 상기 돌기와 상기 수용홈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조립식 적층 퍼즐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적어도 두 개의 단위부재로 분할 형성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기 돌기와 수용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단위블록 및 최하단 단위블록의 수용홈은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위에서 하위로 갈수록 돌기의 폭에 해당하는 1단위 영역씩 확장 형성되고,
    상기 최상단 단위블록 및 중간 단위블록의 돌기는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기 중간 단위블록 및 최하단 단위블록에 형성된 수용홈 중 상위에서 하위로 갈수록 확장 형성된 1단위 영역의 수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마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단위부재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선이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는 문양 또는 문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수직방향 적층을 안내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수용홈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세 개 이상의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에 이격 배치되어 사이공간에 수용홈을 형성하는 상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기 기둥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마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단위부재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선이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는 문양 또는 문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수직방향 적층을 안내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수용홈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세 개 이상의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에 이격 배치되어 사이공간에 수용홈을 형성하는 상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단위부재의 조합에 의해 상기 기둥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층 퍼즐.
PCT/KR2012/002945 2011-05-04 2012-04-18 조립식 적층 퍼즐 WO201215077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609 2011-05-04
KR1020110042609A KR101241801B1 (ko) 2011-05-04 2011-05-04 조립식 적층 퍼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0776A2 true WO2012150776A2 (ko) 2012-11-08
WO2012150776A3 WO2012150776A3 (ko) 2013-03-21

Family

ID=4710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2945 WO2012150776A2 (ko) 2011-05-04 2012-04-18 조립식 적층 퍼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1801B1 (ko)
WO (1) WO201215077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449A (zh) * 2014-05-09 2014-09-24 浙江理工大学 一种幼儿拼图
CN104117213A (zh) * 2014-06-24 2014-10-29 苏州威尔德工贸有限公司 一种俄罗斯方块积木架组合
JP7038347B2 (ja) 2018-03-28 2022-03-18 美恵 大西 組み立て式パズ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330A (en) * 1972-05-31 1975-11-25 Hieronimus Robert Drieze Framed rods with blocks forming a mosaic toy
WO1999039790A1 (fr) * 1998-02-03 1999-08-12 Serge Meier Dispositif de jeu
JP2003305283A (ja) * 2002-03-29 2003-10-28 Meiken Tei 知的積木及びこれを用いるゲーム装置
US7566057B2 (en) * 2007-02-01 2009-07-28 Victor Mascolo Stacking puzzle and method for play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330A (en) * 1972-05-31 1975-11-25 Hieronimus Robert Drieze Framed rods with blocks forming a mosaic toy
WO1999039790A1 (fr) * 1998-02-03 1999-08-12 Serge Meier Dispositif de jeu
JP2003305283A (ja) * 2002-03-29 2003-10-28 Meiken Tei 知的積木及びこれを用いるゲーム装置
US7566057B2 (en) * 2007-02-01 2009-07-28 Victor Mascolo Stacking puzzle and method for play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449A (zh) * 2014-05-09 2014-09-24 浙江理工大学 一种幼儿拼图
CN104117213A (zh) * 2014-06-24 2014-10-29 苏州威尔德工贸有限公司 一种俄罗斯方块积木架组合
JP7038347B2 (ja) 2018-03-28 2022-03-18 美恵 大西 組み立て式パ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768A (ko) 2012-11-14
KR101241801B1 (ko) 2013-03-14
WO2012150776A3 (ko)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9943A (en) Three-dimensional word game
WO2012150776A2 (ko) 조립식 적층 퍼즐
US10453357B2 (en) Intelligence toy used with graph cards
CN100586520C (zh) 组合式滑梯与爬梯
WO2017007073A1 (ko) 블록 놀이학습교구
US3695616A (en) Game structure employing markers and links
US6739875B1 (en) Teach-aiding weight set
US5738524A (en) Multi-function teaching game box
US6533277B1 (en) Composite cubical maze puzzle
JP6647501B1 (ja) 算数教育用器具
US5820125A (en) Board game
WO2018147536A1 (ko) 게임 장치
JPS6068882A (ja) 改良されたボ−ドゲ−ム
KR102239147B1 (ko) 코딩 원리 학습용 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GB2091112A (en) Word forming card game
US7338045B2 (en) Three dimensional maze game
WO2011010766A1 (ko) 정육면체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SU1703150A1 (ru) Шахматна игра
CN219848150U (zh) 益智玩具
WO2022250177A1 (ko)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KR200314562Y1 (ko) 퍼즐게임용구
US1432062A (en) Arithmetical puzzle blocks
WO2016178464A1 (ko) 창의적 도형 보드게임 놀이학습교구, 시스템 및 방법
TWM566609U (zh) 益智拼塊
CN209543667U (zh) 一种多功能蜂巢教具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793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793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