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639A -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 Google Patents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639A
KR20220068639A KR1020200155631A KR20200155631A KR20220068639A KR 20220068639 A KR20220068639 A KR 20220068639A KR 1020200155631 A KR1020200155631 A KR 1020200155631A KR 20200155631 A KR20200155631 A KR 20200155631A KR 20220068639 A KR20220068639 A KR 2022006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block
image
command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265B1 (ko
Inventor
이인규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코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코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코웨어
Priority to KR102020015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65B1/ko
Priority to PCT/KR2020/016480 priority patent/WO2022107930A1/ko
Publication of KR2022006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6Software re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y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게임이미지(132)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POLYOMINO}
본 발명은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판에 폴리오미노 형태의 블럭부를 조립해가면서 퍼즐학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베이스판에 장착된 블럭부를 스마트기기로 인식하여 코딩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여 코딩학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딩(Coding)이 초등교과과정에 포함되면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와 게임진행 방식을 갖는 코딩교구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코딩교구에 대한 기술의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7611호는 명령문에 대한 단위명령문이 내장된 명령스틱과, 명령스틱이 배열되는 베이스보드와, 단위명령문이 명령스틱으로부터 베이스보드로 전송되도록 베이스보드에 구비되는 보드접속부와, 명령스틱에 구비되어 보드접속부와 접속되는 스틱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지지유닛과, 자력에 의해 베이스보드에서 명령스틱을 탈부착 가능하게 하고 고정시키는 탈착지지유닛을 포함하고, 베이스보드에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명령스틱의 배열 순서에 따라 단위명령문을 작동체에 전송하는 명령전송부가 포함되는 것을 코딩 학습용 교구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유아나 소아는 넓은 블럭판에 여러 블럭을 끼워 넣어 다양하 형태의 블럭집합을 만들수 있는 조립식 교구를 통해 소근육 발달 및 두뇌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조립식 교구에 대한 기술의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736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며 상부면에는 다수의 조립돌기가 상향 돌출된 메인블럭판(5) 및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벽돌모양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상기 조립돌기에 끼움결합되는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메인블럭판(5)에 조립되는 다수의 기본블럭(7)을 포함하였다.
여기서, 기본블럭(7)의 상부에는 메인블럭판(5)의 조립돌기와 동일한 형태의 돌기가 상향 돌출형성되어 각 기본블럭(7) 간에도 상하로 조립될 수 있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기본블럭(7) 외에 발사대(10), 유도관(11), 스위치박스(12), 서치라이트(13), 로우터(14), 스피커(15), 관제탑(17), 컨트롤박스(18), 전원공급박스(19) 및 자동차(21) 등의 구조물이 더 구비되어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코딩교구나 조립식교구는 고유의 교육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각각 이루어졌기 때문에 종래의 코딩교구는 코딩학습만을 제공할 수 있고 종래의 조립식교구는 조립학습만을 제공할 수 있었다. 즉, 코딩학습과 조립식학습을 병행하기 위해서는 코딩교구와 조립식교구를 각각 구입해야기 때문에 금전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코딩교구는 하나의 교구내에 단일의 게임만을 진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아동이 쉽게 흥미를 잃을 수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게임내용의 코딩교구를 각각 구매해야 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금전적인 부담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7611호(2017.09.26), 코딩 학습용 교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736호(2002.09.30), 창의력 증진을 위한 블록완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교구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시키는 코딩학습과 여러 블럭들을 블럭판에 결합시키는 조립학습을 병행할 수 있어 교구의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교구구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판 위에 안착되는 블럭판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코딩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코딩학습에 대한 다양한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저렴한 교구비용을 구현할 수 있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게임이미지(132)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딩용 도안시트(115)는, 상기 베이스판(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일부 제1결합부(113)들을 노출시켜 블럭부(120)가 장착될 수 있는 불럭체결영역(112)을 형성하거나, 상기 베이스판(110)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일정영역에는 베이스판(110)의 제1결합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개구된 개구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부(120)의 제2결합부(124)가 개구공(117)을 관통하면서 제1결합부(1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 또는 개구공(117)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앱기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는 복수의 코딩게임 중 하나의 특정 코딩게임을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는 복수의 코딩명령어 중 하나의 특정 코딩명령어를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기능부(130)는,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가 추출되면 상기 스마트기기(10)의 화면창(12)에 추출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를 정렬시키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코드실행신호가 입력되면 정렬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의 각 코딩명령어를 실행하면서 코딩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즐이미지(127)는 단일의 색상면을 갖거나 큰 사물이미지가 폴리오미노 형태를 따라 복수 개로 절개된 부분이미지들 중 하나의 부분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증강현실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 및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블럭부(120)의 형상을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앱기능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에 의하면,
첫째, 베이스판(110)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불럭체결영역(112)이 마련되며 상부면의 타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며, 복수의 블럭부(120)는 단일의 정사각판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되어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면에는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되고, 앱기능부(130)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교구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시키는 코딩학습과 여러 블럭부(120)들을 베이스판(110)에 결합시키는 조립학습을 병행할 수 있어 교구의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교구구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블럭부(120)는, 폴리오미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안착가이드(122)가 형성되면서 내부에 안착홈(123)이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과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임의로 블럭본체(121)에 배치되는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변경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블럭판(125)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넷째,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에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복수의 색 중 특정 색을 갖는 색상면(127)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블럭부(120)는 측부가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블럭집합을 이루는 것과 같이, 코딩학습시에는 블럭본체(121)에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조립학습시에는 블럭본체(121)에 색상면(127)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통상의 조립교구와 같이 다채로운 색상이미지를 제공하여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베이스판(1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 전체에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이 배치된 베이스판(110)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일 위치에는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된 게임마커판(115)을 포함함으로써, 베이스판(110) 위에 안착되는 블럭판(125)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코딩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코딩학습에 대한 다양한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저렴한 교구비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교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를 이용하여 코딩게임을 진행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판의 양 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가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판의 양 측면에 명령인식용 마커와 색상면이 각각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판에 블럭부가 장착되면서 조립학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마커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하나의 교구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시키는 코딩학습과 여러 블럭들을 블럭판에 결합시키는 조립학습을 병행할 수 있어 교구의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교구구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교구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 복수의 블럭부(120) 및 앱기능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10)은 코딩학습과 조립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판부재로서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베이스판(11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판부재(미도시)가 측방으로 조립되면서 일정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수준이나 취사선택에 따라 베이스판(110)의 형상이나 면적 크기를 정할 수 있다.
상기 블럭부(120)는 코딩학습과 조립학습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도구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정사각판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13)는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십자형상으로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124)는 각 정사각형판의 저면 중앙에 일정길이로 하향 연장된 십자기둥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합부(113)에 삽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조립된 상태에서 블럭부(120)가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13)는 도시된 제2결합부(124)와 같이 함몰된 십자 홈으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124)는 도시된 제1결합부(113)와 같이 돌출된 십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동일한 조립기능을 구현할 수 있드며, 이 밖에 레고와 같은 원기둥 형상의 돌기와 원형홈의 조합, 사각홈과 사각기둥의 조합 및 일자판 형상의 돌기와 일자홈의 조합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돌기와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4)는 돌출된 돌기와 홈의 조합된 구성 이외에 +극성을 갖는 자석과 - 극성을 갖는 자석의 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자기장에 의한 흡착력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으며, 이 밖에 제1결합부(113)는 베이스판(110) 상에 라인 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돌기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124)는 각 돌기선에 변부가 지지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체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는 복수의 코딩게임 중 하나의 특정 코딩게임을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는 복수의 코딩명령어 중 하나의 특정 코딩명령어를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는 도면에서와 같이 게임내용에 부합되는 대상(예를 들면, 건물이나 캐릭터) 자체의 형상이미지를 가질 수 있으며 숫자, 영어 또는 기호와 같이 다양한 이미지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는 도면에서와 같이 인식되는 코딩명령어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는 형상이미지(예를 들면, 화살표 등)를 가질 수 있으며 숫자, 영어 또는 기호와 같이 다양한 아미지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코딩용 도안시트(115)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증강현실이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다.
상기 앱기능부(130)는 각 마커(116,126)를 인식하고 화면창(12)에 코딩게임 이미지를 제공하여 코딩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코딩학습을 위한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한다.
여기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앱기능부(130)는,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가 추출되면 상기 스마트기기(10)의 화면창(12)에 추출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을 정렬시키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코드실행신호가 입력되면 정렬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의 각 코딩명령어를 실행하면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기능부(130)는 스마트기기(10)의 화면창(12) 내에 코드실행버튼(134)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조작하면 코드실행신호를 생성시켜 코딩된 명령어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며, 판독된 코딩명령어의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을 정렬위치에 추가하거나 정령위치에 추가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을 삭제하기 위한 선택버튼(135)을 화면창(12)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교구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시키는 코딩학습과 여러 블럭부(120)들을 베이스판(110)에 결합시키는 조립학습을 병행할 수 있어 교구의 활용성이 극대화되고 교구구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20)는, 폴리오미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안착가이드(122)가 형성되면서 내부에 안착홈(123)이 마련되며 저면에 상기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과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임의로 블럭본체(121)에 배치되는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안착가이드(122)의 일측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탈거공(128)이 형성되어 안착홈(123)에 안착된 블럭판(125)의 측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손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20)는 단일의 정사각판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다양한 구조의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코딩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블럭판(125)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에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복수의 색 중 특정 색을 갖는 색상면(127)이 배치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블럭부(120)는 측부가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블럭집합을 이루는 것과 같이, 코딩학습시에는 블럭본체(121)에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조립학습시에는 블럭본체(121)에 색상면(127)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통상의 조립교구와 같이 다채로운 색상이미지를 제공하여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 전체에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이 배치된 베이스판(110)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일 위치에는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된 게임마커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110) 위에 안착되는 블럭판(125)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코딩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코딩학습에 대한 다양한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저렴한 교구비용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임마커판(115)은 베이스판(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일부 불럭체결영역(112)을 노출시켜 블럭부(1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임마커판(115)은 베이스판(110)와 대응되는 면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일정영역에는 베이스판(110)의 제1결합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개구된 개구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부(120)의 제2결합부(124)가 개구공(117)을 관통하면서 제1결합부(1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는 블럭부(120)의 상부에 배치된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인식하는 방식 이외에 다양한 폴리오미노 형상을 갖는 블럭부(120)의 외부형상 자체를 인식하는 방식으로도 각 블럭부(120)의 외부형상별로 매칭되게 설정된 코딩명령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앱기능부(130)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형상을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코딩학습시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코딩용 도안시트(115)을 안착시켜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퍼즐학습시 특정 사물의 이미지가 폴리오미노의 형태로 이루어진 퍼즐이미지가 도안되고 개구공(117)과 같이 하부의 베이스판(110)에 형성된 제1결합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개구된 개구공이 형성된 퍼즐용 도안시트를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도안된 퍼즐이미지대로 블럭부(120)를 조립하면서 퍼즐학습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스마트기기 11...카메라
12...화면창 110...베이스판
111...판본체 112...불럭체결영역
113...제1결합부 115...코딩용 도안시트
116...게임인식용 마커 117...개구공
120...블럭부 121...블럭본체
124...제2결합부 125...블럭판
126...명령인식용 마커 127...색상면
130...앱기능부 133..코딩명령어 아이콘

Claims (8)

  1.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게임이미지(132)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를 포함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딩용 도안시트(115)는,
    상기 베이스판(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일부 제1결합부(113)들을 노출시켜 블럭부(120)가 장착될 수 있는 불럭체결영역(112)을 형성하거나,
    상기 베이스판(110)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일정영역에는 베이스판(110)의 제1결합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개구된 개구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부(120)의 제2결합부(124)가 개구공(117)을 관통하면서 제1결합부(1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불럭체결영역(112) 또는 개구공(117)에 장착된 블럭부(120)의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앱기능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는 복수의 코딩게임 중 하나의 특정 코딩게임을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인식용 마커(126)는 복수의 코딩명령어 중 하나의 특정 코딩명령어를 상기 앱기능부(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앱기능부(130)는,
    상기 불럭체결영역(112)에 장착된 명령인식용 마커(126)를 판독하여 코딩명령어가 추출되면 상기 스마트기기(10)의 화면창(12)에 추출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를 정렬시키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코드실행신호가 입력되면 정렬된 순서대로 코딩명령어 아이콘(133)의 각 코딩명령어를 실행하면서 코딩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럭판(125)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서로 다른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즐이미지(127)는 단일의 색상면을 갖거나 큰 사물이미지가 폴리오미노 형태를 따라 복수 개로 절개된 부분이미지들 중 하나의 부분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8. 일정면적을 갖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제1결합부(113)가 오와 열을 이루도록 정렬배치된 베이스판(110);
    단일의 정사각형 형상 또는 복수의 정사각판이 측방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 폴리오미노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13)와 체결되는 제2결합부(124)가 형성된 블럭본체(121) 및, 상기 안착홈(123)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일부는 표면에 퍼즐학습을 위한 퍼즐이미지(127)가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표면에 코딩학습을 위한 명령인식용 마커(126)가 배치된 복수의 블럭판(125)을 포함하는 블럭부(120);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게임인식용 마커(116)가 배치되고 상부면의 타측에는 증강현실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여백공간(118))이 마련된 코딩용 도안시트(115); 및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의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판(110)을 촬영한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블럭부(120)의 형상을 판독하여 코딩명령어를 추출하며, 상기 베이스영상(131) 내에서 상기 게임인식용 마커(116)를 판독하여 소정의 게임이미지(132)가 베이스영상(131)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추출된 코딩명령어에 따라 게임이미지(132)를 변형해가며 게임을 진행하는 앱기능부(130);를 포함하는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KR1020200155631A 2020-11-19 2020-11-19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KR10240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31A KR102409265B1 (ko) 2020-11-19 2020-11-19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PCT/KR2020/016480 WO2022107930A1 (ko) 2020-11-19 2020-11-20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31A KR102409265B1 (ko) 2020-11-19 2020-11-19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39A true KR20220068639A (ko) 2022-05-26
KR102409265B1 KR102409265B1 (ko) 2022-06-15

Family

ID=8170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631A KR102409265B1 (ko) 2020-11-19 2020-11-19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9265B1 (ko)
WO (1) WO202210793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736Y1 (ko) 2002-05-06 2002-10-11 (주)에스디 로보테크 창의력 증진을 위한 블록완구
KR20170107611A (ko) 2016-03-15 2017-09-26 주식회사 휴인텍 코딩 학습용 교구
JP2018149221A (ja) * 2017-03-15 2018-09-27 株式会社Icon 学習用玩具及びこれに使用するパネル
KR20190062181A (ko) * 2018-11-05 2019-06-05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014650A (ko) * 2018-08-01 2020-02-11 (주)미래융합정보기술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KR102069878B1 (ko) * 2019-01-31 2020-02-11 (주)이이알에스소프트 블록형 스마트토이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 저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356B1 (ko) * 2016-10-04 2018-08-28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97016B1 (ko) * 2017-11-22 2019-10-01 주혜정 증강현실을 이용한 격자 맵의 미션 기반 퍼즐 조립 시스템 및 방법
KR102081680B1 (ko) * 2018-07-18 2020-02-26 주식회사 파코웨어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조립식 교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736Y1 (ko) 2002-05-06 2002-10-11 (주)에스디 로보테크 창의력 증진을 위한 블록완구
KR20170107611A (ko) 2016-03-15 2017-09-26 주식회사 휴인텍 코딩 학습용 교구
JP2018149221A (ja) * 2017-03-15 2018-09-27 株式会社Icon 学習用玩具及びこれに使用するパネル
KR20200014650A (ko) * 2018-08-01 2020-02-11 (주)미래융합정보기술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KR20190062181A (ko) * 2018-11-05 2019-06-05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69878B1 (ko) * 2019-01-31 2020-02-11 (주)이이알에스소프트 블록형 스마트토이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 저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265B1 (ko) 2022-06-15
WO2022107930A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521B1 (ko)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KR102081680B1 (ko)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조립식 교구
KR20150093584A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09265B1 (ko)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WO2019138951A1 (ja) 玩具
KR200423325Y1 (ko) 퍼즐형 학습교구
KR20190120052A (ko) 교육용 완구
KR101502270B1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02589B1 (ko) 블록완구
CN108635823B (zh) 九宫格架构互联谜题拼图
US20050067780A1 (en) Interchangeable surface system for toy blocks
KR20060070963A (ko) 블록완구
KR102239147B1 (ko) 코딩 원리 학습용 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CN206404289U (zh) 一种儿童用图案可更换拼图玩具
KR101302538B1 (ko) 언어 학습 퍼즐
CN211044574U (zh) 一种积木式早教装置
CN106492484A (zh) 一种多功能益智积木拼盘
CN202549091U (zh) 互动问答装置
CN217880567U (zh) 针对儿童图形认知以及语言训练的交互式故事盒
US7125255B2 (en) Puzzle
KR200313919Y1 (ko) 시각장애인용 장기 겸용 바둑판
KR102446087B1 (ko)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CN215474031U (zh) 一种带有玩偶的儿童益智板纸书
KR102026835B1 (ko) 매쓰 큐브 교구
US20160379503A1 (en) Puzzle Tea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