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181A -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181A
KR20190062181A KR1020180134484A KR20180134484A KR20190062181A KR 20190062181 A KR20190062181 A KR 20190062181A KR 1020180134484 A KR1020180134484 A KR 1020180134484A KR 20180134484 A KR20180134484 A KR 20180134484A KR 20190062181 A KR20190062181 A KR 2019006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de
module
seated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030B1 (ko
Inventor
김길중
황순호
윤지숙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Priority to KR102018013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0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교육 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 시스템은, 교육 모드별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복수의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센싱 보드; 상기 센싱 보드에 베이스판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판을 인식하는 인식 모듈; 상기 인식한 베이스판의 식별코드와 대응되는 교육 모드를 상기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교육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한 교육 모드에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를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학습 데이터 포함된 블록별 안착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안착 영역에 블록이 안착되는 것이 인식되면 블록 인식에 따른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교육 진행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Block system for learning and method providing learning contents}
본 발명은 학습용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교육 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 세트의 사용자는 블록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블록들을 서로 조합하거나 끼워 맞추는 과정을 통해 공간 지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알파벳이나 한글 자모를 형상화한 블록 세트인 경우, 블록들을 서로 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기초적인 문자, 단어 또는 문장을 습득할 수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은 블록완구에 대해서 개시한다.
그런데 종래의 블록 세트를 이용한 학습용 교구는, 한글 교육, 숫자 교육 또는 영어 교육과 같이 하나의 학습에만 적용되어, 이에 따라 보호자들은 유아에게 또 다른 교육을 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교구를 재구매야한다.
또한, 종래의 블록 세트는 교육 과정에서, 학습에만 초점을 맞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저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5-0013548호 (공개일 1995. 06. 15.)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교육 모드로 확장이 가능하고, 더불어 유아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학습용 블록 시스템은, 교육 모드별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복수의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센싱 보드; 상기 센싱 보드에 베이스판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판을 인식하는 인식 모듈; 상기 인식한 베이스판의 식별코드와 대응되는 교육 모드를 상기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교육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한 교육 모드에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를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학습 데이터 포함된 블록별 안착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안착 영역에 블록이 안착되는 것이 인식되면 블록 인식에 따른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교육 진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에는 베이스판의 식별코드가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식 모듈은, 상기 베이스판의 식별코드를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서 인식한다.
백색 마크와 흑색 마크의 조합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판의 식별코드가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교육 진행 모듈은, 상기 안착된 블록의 식별코드와 상기 블록이 안착된 좌표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좌표 영역에 안착된 블록이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판정한 후, 이 판정 결과에 따른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복수의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센싱 보드를 포함하는 학습용 블록 시스템에서, 학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센싱 보드에 안착된 베이스판의 식별코드를 상기 센서를 통해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베이스판의 식별코드와 대응되는 교육 모드를 확인하여, 이 교육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교육 모드에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를 확인하여, 학습 데이터 포함된 블록 안착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안착 영역에 블록이 안착되는 것이 인식되면, 블록 인식에 따른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을 인식을 통해서, 동물 퍼즐 모드, 영어 문장 말하기 모드, 숫자 놀이 모드, 수연산 모드, 코딩 모드 등으로 교육 모드를 설정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서 교육 콘텐츠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을 맞추는 놀이 형태로 유아에게 학습용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교육 성취도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보드를 구비한 학습용 블록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식별코드가 포함된 베이스판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퍼즐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문장 말하기 학습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숫자 놀이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연산 게임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 시스템에서 학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보드를 구비한 학습용 블록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 시스템(100)은 센싱 보드(110), 출력 모듈(120), 저장 모듈(130), 입력 모듈(140), 통신 모듈(150) 및 제어 모듈(160)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학습용 블록 시스템은 이러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복수의 베이스판 및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며, 더불어 무선 자동차도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학습용 블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인식 모듈(161), 모드 설정 모듈(162), 교육 진행 모듈(163)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상기 메모리에 탑재될 수도 있다.
출력 모듈(120)은 스피커를 포함하고, 음성, 효과음 등과 같은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출력 결과물로서 그래픽, 텍스트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입력 모듈(140)은 사운드 조절 버튼(141) 및 재생 버튼(142)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신호를 제어 모듈(160)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조절 버튼(141)은 사운드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수단이고, 재생 버튼(142)은 학습 결과물 또는 학습 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베이스판 또는 블록이 센싱 보드(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재생 버튼(142)이 클릭되면, 콘텐츠를 설명하는 메시지가 출력 모듈(120)에서 출력되거나 학습 콘텐츠의 결과(예컨대, 정답 또는 오답)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출력 모듈(120)에 출력될 수 있다.
통신 모듈(150)은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회로로서, 외부의 원격 무선 자동차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센싱 보드(110)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111)가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 보드로서, 베이스판, 블록 각각의 안착 여부를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판은 학습용 콘텐츠 기본이 되며 교육 모드를 전환하는데 이용되고, 블록은 베이스판에서 비워진 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센싱 보드(110)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111)가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보드(110)에 형성된 적외선 센서(111)에는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가 포함되고, 발광 센서는 적외선을 조사하고, 수광 센서는 센싱 보드에 안착된 블록 또는 베이스판을 통해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적외선)의 양을 센싱한다.
상기 센싱 보드(110)의 프레임에는 안착된 블록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돌출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싱 보드(110)에는 적외선 센서(111)가 이용되었지만, 다양한 적외선 센서 대신에 다른 형태의 센서(예컨대, 근접 센서, 자기장 센서)가 이용되어 매트릭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 보드(110)에 형성된 복수의 적외선 센서(111)는 2차원 좌표를 형성하고, 이 좌표를 통해서 센싱 보드에 물체(즉, 베이스판 또는 블록)가 안착되면, 이 물체가 안착된 좌표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식별코드가 포함된 베이스판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0)의 하면의 일정 영역에는 식별코드(31)가 바코드 형태로 인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 식별코드(31)는 베이스판별로 서로 상이하게 인쇄된다. 상기 베이스판(30)의 하면이 센싱 보드(110)에 안착되면, 센싱 보드(110)의 적외선 센서를 통해서 조사된 적외선은, 식별코드의 흑색 마크에서는 흡수되고 식별코드의 백색 마크에서는 반사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센싱 보드(110)에 베이스판(30)이 안착되면, 센싱 보드(110)는 베이스판(30)의 백색 마크와 흑색 마크에서 반사되어 수신되는 빛에 따라, 베이스판(30)의 식별코드를 센싱하고, 이 센싱 데이터가 제어 모듈(160)로 전달되어 베이스판(30)의 식별코드가 인식된다.
한편, 베이스판 이외에 블록에도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원리도 베이스판(30)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블록의 하면에도 백색 마크와 흑색 마크가 조합된 블록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고, 이러한 블록이 센싱 보드(110)에 안착되면, 센싱 보드(110)에 구비된 적외선 센서는 반사되는 빛에 따라 블록을 센싱한다.
한편, 베이스판 식별코드(31)와 대응되는 베이스판 인식 영역(112)이 별도로 센싱 보드에 설정될 수도 있다. 부연하면, 도 3과 같은 베이스판 식별코드(31)가 안착되는 위치 영역과 대응되어, 센싱 보드(110)에 베이스판 인식 영역(112)이 설정될 수 있다.
저장 모듈(130)은 메모리, 디스크 장치 등과 같은 저장 수단으로서, 교육 모드별 학습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 모듈(130)은 베이스판 식별코드, 각 블록의 안착 영역(즉, 좌표 영역), 복수의 출력 메시지(예컨대, 사운드), 정답 정보 및 블록별 식별코드가 매핑된 학습 데이터를 교육 모드별로 저장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교육 모드는 동물 퍼즐 모드, 영여 문장 말하기 모드, 숫자 놀이 모드, 수연산 모드, 코딩 모드 등을 포함한다. 부연하면, 교육 모드가 새로 설정되면, 이 교육 모드에 대응하는 학습 데이터가 적용되어, 블록의 안착 영역도 재설정되고, 출력 메시지도 변경된다.
제어 모듈(160)은 학습용 블록 시스템(10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모듈(160)은 블록 및 베이스판을 식별하고, 베이스판에 따른 교육 모드를 설정하고, 블록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에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모듈(160)은 사운드 크기를 설정하기도 한다.
상기 제어 모듈(160)은 인식 모듈(161), 모드 설정 모듈(162) 및 교육 진행 모듈(163)을 포함한다.
인식 모듈(161)은 센싱 보드(110)를 이용하여, 센싱 보드(110)에 안착된 블록 또는 베이스판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센싱 보드(110)에 베이스판이 안착되면 센싱 보드(110)은 상기 식별코드의 센싱값을 획득하여 인식 모듈(161)로 전달하고, 인식 모듈(161)은 상기 센싱값을 분석하여 상기 베이스판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베이스판 식별코드를 모드 설정 모듈(162)로 전달한다. 또한, 인식 모듈(161)은 센싱 보드(110)를 이용하여 블록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블록 식별코드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한다. 한편, 인식 모듈(161)은 현재의 설정된 교육 모드를 확인하고, 이 교육 모드의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블록별 안착 영역을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한 후, 각 안착 영역에 지정된 블록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드 설정 모듈(162)은 교육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드 설정 모듈(162)은 인식 모듈(161)로부터 전달받은 베이스판 식별코드와 저장 모듈(130)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베이스판 식별코드와 대응되는 교육 모드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이 교육 모드로 현재 모드로 설정한다. 한편, 인식 모듈(161)에서 새로운 베이스판을 인식하면, 모드 설정 모듈(162)은 새로운 베이스판의 식별코드와 대응되는 교육 모드를 확인하고, 이 교육 모드로 현재 모드를 변경한다. 상기 모드 설정 모듈(162)에서 설정된 교육 모드와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가 인식 모듈(161)과 교육 진행 모듈(163)에서 의해서 참조된다.
교육 진행 모듈(163)은 현재의 교육 모드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이 학습 데이터에 근거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교육 과정에서의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교육 진행 모듈(163)은 현재 설정된 교육 모드에 따른 학습 데이터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이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정답, 출력 메시지 등을 확인하고, 현재 모드에서 설정된 블록별 안착 영역에, 해당 블록이 정확하게 안착되는지를 인식 모듈(161)을 통해서 확인하여, 안착 영역에 정답 블록이 안착되면 이에 따른 학습 결과(예컨대, 정답 사운드)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한다. 또한, 교육 진행 모듈(163)은 안착 영역에 오답 블록이 안착되면, 이에 따른 학습 결과(예컨대, 오답 사운드)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학습용 블록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퍼즐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인식 모듈(161)은 센싱 보드(110)에 동물 퍼즐 베이스판(40)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110)을 통해 동물 퍼즐 베이스판(40)의 하면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모드 설정 모듈(162)로 전달한다. 그러면, 모드 설정 모듈(162)은 상기 전달받은 동물 퍼즐 베이스판(40)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동물 퍼즐 모드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상기 동물 퍼즐 모드를 현재의 교육 모드로서 설정한다. 이렇게 교육 모드가 동물 퍼즐 모드로서 설정되면, 인식 모듈(161)은 상기 설정된 동물 퍼즐 모드와 대응되어 블록 안착 영역(41~44)을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또한 교육 진행 모듈(163)은 상기 교육 모드와 대응되는 출력 메시지(예컨대, 정답 사운드 등)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한다. 도 4a에 따르면, 동물 퍼즐 모드에서는 총 4개의 블록 안착 영역(41~44)이 설정되고, 이 중에서 제1영역(41)은 원숭이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이고, 제2영역(42)은 코끼리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이며, 제3영역(43)은 기린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이고, 제4영역(44)은 사자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으로 사전에 설정되어 있다.
교육 진행 모듈(163)은 베이스판(40)이 안착되어 동물 퍼즐 모드가 설정되면, 동물 퍼즐 게임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교육 진행 모듈(163)은 "그림과 맞는 블록을 찾아서 맞춰 보아요"와 같은 사운드 메시지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모듈(161)은 각 블록 안착 영역(41~44)에 동물 블록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인식 모듈(161)은 안착 영역에 완전하게 동물 블록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센싱 보드(110)를 이용하여 확인하여 동물 블록이 안착되면, 이 동물 블록이 안착된 좌표 영역이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각 동물 블록의 하면에는 블록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고, 이 경우 인식 모듈(161)은 블록 안착 영역(41~44)에 안착된 동물 블록 식별코드를 센싱 보드(110)를 통해 획득하고, 이 획득된 동물 블록 식별코드와 이 동물 블록이 안착된 좌표 영역이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제공하고, 교육 진행 모듈(163)은 제공받은 동물 블록 식별코드와 좌표 영역을 토대로, 정확한 위치에 동물 블록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제1영역(41)에 원숭이 블록이 정확하게 안착되면, 인식 모듈(161)은 제1영역(41)에 대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하고, 교육 진행 모듈(163)은 "Monkey"와 같은 정답 사운드를 피드백 메시지로서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c와 같이 제2영역(42)에 코끼리 블록이 완전하게 안착되면, 인식 모듈(161)은 제2영역(42)의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하고, 교육 진행 모듈(163)은 "Elephant"와 같은 정답 사운드를 피드백 메시지로서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d와 같이 제4영역(44)에 사자 블록이 완전하게 안착되면, 인식 모듈(161)은 제4역역(44)의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하고, 교육 진행 모듈(163)은 "Lion"와 같은 정답 사운드를 피드백 메시지로서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e와 같이 제3영역(43)에 기린 블록이 완전하게 안착되면, 인식 모듈(161)은 제3영역(43)의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하고, 교육 진행 모듈(163)은 "Giraffe"와 같은 사운드를 피드백 메시지로서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동물 퍼즐 교육 모드에 따라 동물 퍼즐 게임이 진행되면, 유아는 자연스럽게 동물 이름을 습득하게 되고, 더불어 퍼즐을 맞추는 과정에서 지각력이 향상되고 흥미성이 유발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문장 말하기 학습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인식 모듈(161)은 센싱 보드(110)에 영어 문장 말하기 베이스판(50)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110)를 통해서 영어 문장 말하기 베이스판(50)의 하면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모드 설정 모듈(162)로 전달한다. 그러면, 모드 설정 모듈(162)은 상기 전달받은 영어 문장 말하기 베이스판(50)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영어 문장 말하기 모드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상기 영어 문장 말하기 모드를 현재의 교육 모드로서 설정한다. 이렇게 영어 문장 말하기 모드가 설정되면, 교육 진행 모듈(163)은 상기 설정된 영어 문장 말하기 모드와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한다.
도 5a에 따르면, 영어 문장 말하기 모드에서는 총 4의 블록 안착 영역(51~54)이 설정되고, 이 중에서 제1영역(51)은 테두리가 노란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이고, 제2영역(52)은 테두리가 파란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이며, 제3영역(53)은 테두리가 하늘색인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이고, 제4영역(54)은 테두리가 분홍색인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으로 사전에 설정되어 있다.
교육 진행 모듈(163)은 베이스 블록이 안착되어 모드가 설정되면, 영어 말하기 게임을 설명하는 정보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교육 진행 모듈(163)은 "영어 블록을 연결하여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와 같은 사운드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모듈(161)은 각 블록 안착 영역(51~54)에 영어 블록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부연하면, 영어 블록의 하면에는 블록 식별코드가 인쇄되고, 인식 모듈(161)은 블록 안착 영역에 안착된 영어 블록 식별코드를 센싱 보드(110)를 통해 획득하고, 이 획득된 영어 블록 식별코드와 이 영어 블록이 안착된 좌표 영역이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제공한다. 그러면, 교육 진행 모듈(163)은 상기 블록 인식 정보에 포함된 영어 블록 식별코드와 좌표 정보를 분석하여, 정확한 위치에 올바른 영어 블록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때, 교육 진행 모듈(163)은 상기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각 블록의 안착 영역과 상기 블록 인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에 올바른 영어 블록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제1영역(51) 내지 제4영역(54)에 영어 블록이 올바르게 안착되면, 교육 진행 모듈(163)은 "I want to play the piano with friends this weekend."와 같은 영어 문장 사운드를 학습 결과물로서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교육 진행 모듈(163)은 영어 블록이 올바르게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다시 한번 생각해봐"와 같은 오답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영어 문장 말하기 모드에 따라 영어 문장 말하기 게임이 진행되면, 유아는 자연스럽게 영어 문장 구조를 습득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숫자 놀이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인식 모듈(161)은 센싱 보드(110)에 숫자 놀이 베이스판(60)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110)를 통해서 숫자 놀이 베이스판(60)의 하면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모드 설정 모듈(162)로 전달한다. 그러면, 모드 설정 모듈(162)은 상기 전달받은 숫자 놀이 베이스판(60)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숫자 놀이 모드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상기 숫자 놀이 모드를 현재의 교육 모드로서 설정한다. 이렇게 교육 모드가 설정되면, 교육 진행 모듈(163)은 상기 설정된 숫자 놀이 모드와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한다.
도 6a에 따르면, 숫자 놀이 모드에서는 총 11개의 블록 안착 영역(61-1 ~ 61-10, 62)이 설정되고, 이 중에서 제1영역(61-1) 내지 제10영역(61-10)은 병아리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이고, 제11영역(62)은 센싱 보드(110)에 안착된 병아리의 총 개수와 대응되는 숫자가 안착되는 영역으로 설정된다.
교육 진행 모듈(163)은 베이스 블록이 안착되어 모드가 설정되면, 숫자 놀이를 설명하는 메시지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교육 진행 모듈(163)은 "빈 칸에 병아리를 넣으면서 숫자를 세어보아요"와 같은 사운드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모듈(161)은 각 블록 안착 영역(61-1~61-10, 62)에 블록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인식 모듈(161)은 병아리 안착 영역에 완전하게 병아리 블록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센싱 보드(110)를 이용하여 확인하여 병아리 블록이 안착 영역에 안착되면, 병아리가 안착된 좌표 영역이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한다. 한편, 숫자 블록 하면에는 블록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고, 이 경우 인식 모듈(161)은 블록 안착 영역에 안착된 블록 식별코드를 센싱 보드(110)를 통해 획득하고, 이 획득된 블록 식별코드와 이 블록이 안착된 좌표 정보가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제공할 수 있다.
교육 진행 모듈(163)은 제공받은 블록 인식 정보를 토대로, 몇 개의 병아리 블록이 안착되었는지 확인한 후, 이 병아리 개수를 나타내는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제1영역(61-1), 제2영역(61-2) 및 제3영역(61-3)에 병아리 블록이 안착되면, 인식 모듈(161)은 제1영역(61-1), 제2영역(61-2) 및 제3영역(61-3)에 대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교육 진행 모듈(163)은 총 3개의 병아리 블록이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병아리 세마리가 놀고 있네요"와 같은 메시지를 학습 결과물로서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교육 진행 모듈(163)은 "병아리 숫자에 맞는 숫자 블록을 어미닭에 넣어 보세요"와 같은 요구 메시지를 출력 모듈(120)을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6c와 같이, 병아리 블록 개수와 대응되는 숫자 블록을 제11영역(62)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인식 모듈(161)은 숫자 블록 하면에 인쇄된 숫자 블록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이 숫자 블록 식별코드와 인식된 좌표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제공한다. 이어서, 교육 진행 모듈(163)은 상기 숫자 블록 식별코드를 토대로 숫자 블록에 인쇄된 숫자를 인식한 후, 병아리 개수와 대응하는 숫자 블록이 어미닭 영역(62)에 안착되어 있는지 판정할 수 있다. 도 6c와 같은 숫자 블록이 어미닭 영역(62)에 안착된 경우, 교육 진행 모듈(163)은 "딩동댕~ 삼! 셋!"이라는 정답 사운드를 출력 모듈(120)을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숫자 놀이 모드에 따라 숫자 게임이 진행되면, 유아는 자연스럽게 숫자를 습득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연산 게임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인식 모듈(161)은 센싱 보드(110)에 수연산 게임 베이스판(70)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110)를 통해서 수연산 게임 베이스판(70)의 하면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모드 설정 모듈(162)로 전달한다. 그러면, 모드 설정 모듈(162)은 상기 전달받은 수연산 게임 베이스판(70)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수연산 모드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상기 수연산 모드를 현재의 교육 모드로서 설정한다. 이렇게 수연산 모드가 설정되면, 교육 진행 모듈(163)은 상기 설정된 수연산 모드와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즉, 메시지, 안착 영역 등)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한다.
도 7a에 따르면, 수연산 모드에서는 총 1의 블록 안착 영역(71)이 설정되나, 첫번째 행과 첫번째 열은 피연산자에 해당하는 노란색 테두리의 숫자 블록이 안착되는 영역이고, 첫번째 행과 첫번째 열이 교차되는 지점은 연산자(예컨대, 더하기)가 안착되는 영역으로 설정된다.
교육 진행 모듈(163)은 베이스 블록이 안착되어 모드가 설정되면, 수연산 게임을 설명하는 정보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교육 진행 모듈(163)은 "먼저 더하기 블록과 노랑색 문제블록을 올려보아요"와 같은 사운드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모듈(161)은 각 블록 안착 영역(71)에 피연산자 블록(즉, 노랑색 문제블록)과 연산자 블록(즉, 더하기 블록)이 올바른 위치에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부연하면, 피연산자 블록과 연산자 블록 하면에는 블록 식별코드가 인쇄되고, 인식 모듈(161)은 블록 안착 영역에 안착된 블록 식별코드를 센싱 보드(110)를 통해 획득하고, 이 획득된 블록 식별코드와 이 블록이 안착된 좌표 정보가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제공한다. 그러면, 교육 진행 모듈(163)은 제공받은 블록 식별코드와 좌표 정보를 토대로, 약속된 위치에 연산자 블록과 피연산자 블록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연산자 블록과 피연산자 블록이 올바르게 안착되면, 교육 진행 모듈(163)은 문제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교육 진행 모듈(163)은 피연산자 행에 첫 번째로 안착된 숫자 블록이 '1'임을 확인하고, 피연산자 열에 첫 번째로 안착된 숫자 블록이 '3'임을 확인한 후, "1 더하기 3은 얼마일까요? 알맞은 파랑색 숫자 블록을 올려보아요"와 같은 더하기 문제를 출력 모듈(12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인식 모듈(161)은 연산 결과값이 안착되어야 하는 영역에 숫자 블록이 안착되면, 이 숫자 블록의 식별코드와 인식 좌표 영역이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하고, 교육 진행 모듈(163)은 전달받은 블록 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정답에 해당하는 숫자 블록이 지정된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연산 결과값이 안착되는 참조 부호 73 영역에 숫자 4를 가지는 블록이 안착되면, 교육 진행 모듈(163)은 "우와~ 정답이예요"와 같은 정답 메시지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고, 반면에 참조부호 73 영역에 숫자 4 이외의 블록이 안착되면, "다시 한번 생각해 보세요. 1 더하기 3은 얼마일까요?"와 같은 오답 메시지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c는 숫자 블록이 정확하게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육 진행 모듈(163)은 숫자 블록의 식별코드 및 식별코드가 인식된 좌표 영역이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인식 모듈(161)로부터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식별코드와 좌표영역을 분석하여 연산 결과가 정답인지 여부를 판정한 후, 판정에 대한 결과를 사운드 형태로서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수연산 모드에 따라 덧셈이 진행되면, 유아는 재밌게 덧셈을 익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더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뺄셈, 곱셈, 나눗셈 등과 같은 또 다른 형태의 연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코딩 콘텐츠에는 원격으로 조정 가능하는 무선 자동차, 게임 보드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코딩 베이스판 및 코딩 블록이 포함된다. 상기 무선 자동차는 게임 보드판 위에 위치하고, 원격 제어에 따라 보드판에서 이동한다. 상기 보드판에는 출발점과 도착점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무선 자동차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용 블록 시스템(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인식 모듈(161)은 센싱 보드(110)에 코딩 베이스판(80)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110)를 통해서 코딩 베이스판(80)의 하면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모드 설정 모듈(162)로 전달한다. 그러면, 모드 설정 모듈(162)은 상기 전달받은 코딩 베이스판(80)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코딩 모드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상기 코딩 모드를 현재의 교육 모드로서 설정한다. 이렇게 교육 모드가 설정되면, 교육 진행 모듈(130)은 상기 설정된 코딩 모드와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즉, 블록 안착 영역, 메시지 등)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한다. 도 8a에 따르면, 코딩 모드에서는 총 21개의 블록 안착 영역(81-n)이 설정된다.
교육 진행 모듈(163)은 코딩 베이스판(81)이 안착되어 모드가 설정되면, 코딩 게임을 설명하는 정보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인식 모듈(161)은 각 블록 안착 영역(81-n)에 블록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부연하면, 코딩 블록의 하면에는 블록 식별코드가 인쇄되고, 인식 모듈(161)은 블록 안착 영역(81-n)에 안착된 코딩 블록 식별코드를 센싱 보드(110)를 통해 획득하고, 이 획득된 코딩 블록 식별코드와 이 코딩 블록이 안착된 좌표 영역이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제공한다. 상기 코딩 블록은, 전진 블록, 후진 블록, 우회전 블록, 좌회전 블록, for문 블록, if문 블록 등일 수 있다.
교육 진행 모듈(163)은 인식 모듈(161)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블록 인식 정보를 토대로, 코딩 순서와 코딩문(예컨대, 전진, 후진, 우회전, 좌회전, if문, for문 등)을 인식하고, 이 인식된 전체 코딩을 토대로 무선 자동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이때, 교육 진행 모듈(163)은 재생 버튼(142)이 클릭되는 경우, 인식된 전체 코딩을 토대로 통신 모듈(150)을 이용하여 무선 자동차를 원격 조정한다.
도 8b와 같이 제1영역(81-1) 내지 제7영역(81-7)에 코딩 블록이 안착되면, 교육 진행 모듈(163)은 무선 자동차가 순차적으로 1칸 전진, 1칸 전진, 1칸 전진, 1칸 전진, 우회전, 한 칸 전진되도록, 무선 자동차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 이외에, 다양한 교육 모드에 따른 학습 콘텐츠가 제공될 수도 있다. 부연하면, 상술한 베이스판 이외에 베이스판(예컨대, 한글 자음 베이스판, 한글 모음 베이스판, 곤충 베이스판, 과학 베이프판 등)과 이 베이스판 내에 삽입되는 블록(예컨대, 한글 블록, 곤충 블록, 과학 블록 등)이 제작되고, 이 콘텐츠에 지원하는 학습 데이터가 저장 모듈(13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블록 시스템(100)은 앞서 설명한 콘텐츠 이외에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지원할 수 있도록 확장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블록 시스템에서 학습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식 모듈(161)은 센싱 보드(110)에서 베이스판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베이스판이 안착되면, 센싱 보드(110)에 안착된 베이스판의 식별코드를 인식한다(S901).
이어서, 인식 모듈(161)은 상기 인식한 베이스판 식별코드를 모드 설정 모듈(162)로 전달하고, 모드 설정 모듈(162)은 상기 베이스판 식별코드와 대응되는 교육 모드를 저장 모듈(130)에서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한 교육 모드를 현재의 교육 모드로서 설정한다(S903).
이렇게 교육 모드가 설정된 교육 진행 모듈(163)은 현재 설정된 교육 모드에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를 저장 모듈(905)에서 확인한다(S903).
다음으로, 인식 모듈(161)은 블록이 센싱 보드(110)에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센싱 보드(110)에 안착되는 블록이 감지되면, 이 블록이 안착된 영역(즉, 좌표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블록이 안착된 좌표 영역이 포함된 블록 인식 정보를 교육 진행 모듈(163)로 전달한다(S907. S909). 상기 블록의 하면에는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식 모듈(161)는 센싱 보드(110)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상기 블록 식별코드를 상기 블록 인식 정보에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 진행 모듈(163)은 상기 블록 인식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의 교육 모드에서의 학습 과정을 파악한 후, 이 파악된 학습 과정에 따른 피드백 메시지(즉, 정답, 오답, 과정 설명 등)를 출력 모듈(120)에 출력한다(S911).
이때, 교육 진행 모듈(163)는 S905 단계에서 확인한 학습 데이터와 상기 블록 인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에 지정된 블록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판정 결과를 메시지로서 출력 모듈(120)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학습용 블록 시스템 110 : 센싱 보드
120 : 출력 모듈 130 : 저장 모듈
140 : 입력 모듈 150 : 통신 모듈
160 : 제어 모듈 161 : 인식 모듈
162 : 모드 설정 모듈 163 : 교육 진행 모듈

Claims (3)

  1. 교육 모드별 서로 다른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복수의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센싱 보드;
    상기 센싱 보드에 안착 영역이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판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판을 인식하는 인식 모듈;
    상기 인식한 베이스판의 식별코드와 대응되는 교육 모드를 상기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교육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한 교육 모드에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안착 영역 정보 및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야 하는 블록 조합들의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안착 영역 정보 및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야 하는 블록 조합들의 식별코드를 토대로 상기 안착 영역에 상기 설정한 교육 모드에서 이용되는 블록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블록이 해당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것이 인식되면 블록 인식에 따른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교육 진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영역 정보 및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야 하는 블록 조합들의 식별코드는, 교육 모드별로 서로 상이하고 해당하는 교육 모드에만 사용되고,
    상기 모드 설정 모듈은, 교육 모드로서 수 연산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인식 모듈은, 피연산자 블록, 숫자 블록 각각이 안착되는 영역과 각 블록별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교육 진행 모듈은, 상기 피연산자 블록, 상기 숫자 블록 각각이 안착되는 영역과 블록별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수 연산 문제에 대한 정답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해당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시스템.
  2. 원격으로 조정 가능한 무선 자동차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교육 모드별 서로 다른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복수의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센싱 보드;
    상기 센싱 보드에 안착 영역이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판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판을 인식하는 인식 모듈;
    상기 인식한 베이스판의 식별코드와 대응되는 교육 모드를 상기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교육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한 교육 모드에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안착 영역 정보 및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야 하는 블록 조합들의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안착 영역 정보 및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야 하는 블록 조합들의 식별코드를 토대로 상기 안착 영역에 상기 설정한 교육 모드에서 이용되는 블록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교육 진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영역 정보 및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야 하는 블록 조합들의 식별코드는, 교육 모드별로 서로 상이하고 해당하는 교육 모드에만 사용되고,
    상기 모드 설정 모듈은, 상기 교육 모드로서 코딩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교육 진행 모듈은, 코딩 블럭들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 영역을 식별한 후, 각각의 안착 영역에 코딩 블록이 안착된 경우 안착된 코딩블록들을 식별하고, 이렇게 식별한 하나 이상의 코딩 블록을 토대로 코딩 순서와 코딩문을 인식하고, 이 인식한 코딩 순서와 코딩문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자동차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시스템.
  3. 교육 모드별 서로 다른 학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복수의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센싱 보드;
    상기 센싱 보드에 안착 영역이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판이 안착되면 상기 센싱 보드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판을 인식하는 인식 모듈;
    상기 인식한 베이스판의 식별코드와 대응되는 교육 모드를 상기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교육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한 교육 모드에 대응되는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여 이 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안착 영역 정보 및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야 하는 블록 조합들의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안착 영역 정보 및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야 하는 블록 조합들의 식별코드를 토대로 상기 안착 영역에 상기 설정한 교육 모드에서 이용되는 블록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블록이 해당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것이 인식되면 블록 인식에 따른 피드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교육 진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영역 정보 및 안착 영역에 안착되어야 하는 블록 조합들의 식별코드는, 교육 모드별로 서로 상이하고 해당하는 교육 모드에만 사용되고,
    상기 모드 설정 모듈은, 상기 교육 모드로서 그림 퍼즐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교육 진행 모듈은, 그림 블럭들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 영역을 식별한 후, 상기 안착 영역에 해당 그림 블록이 정확하게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상기 피드백 메시지로서 출력하고,
    안착 영역 주변에 인쇄된 상기 베이스판의 그림과 안착된 그림 블록이 하나의 연속된 그림으로써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메시지로서 정답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시스템.
KR1020180134484A 2018-11-05 2018-11-05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49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484A KR102049030B1 (ko) 2018-11-05 2018-11-05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484A KR102049030B1 (ko) 2018-11-05 2018-11-05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629A Division KR101917830B1 (ko) 2017-11-27 2017-11-27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81A true KR20190062181A (ko) 2019-06-05
KR102049030B1 KR102049030B1 (ko) 2019-11-26

Family

ID=6684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484A KR102049030B1 (ko) 2018-11-05 2018-11-05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0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757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큐브 블록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102322162B1 (ko) * 2020-05-24 2021-11-03 김인숙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KR20220068639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파코웨어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JP2023011299A (ja) * 2021-07-12 2023-01-24 ダイコク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ミング学習用教材、及びプログラミング学習用システム
KR20230149164A (ko) * 2022-04-19 2023-10-26 최효진 수 연산용 교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548A (ko) 1993-11-03 1995-06-15 오오카와 다케시 블록완구
KR20010078529A (ko) * 2000-01-13 2001-08-21 김옥평 어린이 지능 계발용 전자 학습기
JP2002244539A (ja) * 2001-02-16 2002-08-30 Sharp Corp 入力装置および学習用電子機器
KR20050021897A (ko) * 2003-08-29 2005-03-07 호-신 리아오 학습 카드를 이용한 교육-학습 컨트롤러
KR2015001023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548A (ko) 1993-11-03 1995-06-15 오오카와 다케시 블록완구
KR20010078529A (ko) * 2000-01-13 2001-08-21 김옥평 어린이 지능 계발용 전자 학습기
JP2002244539A (ja) * 2001-02-16 2002-08-30 Sharp Corp 入力装置および学習用電子機器
KR20050021897A (ko) * 2003-08-29 2005-03-07 호-신 리아오 학습 카드를 이용한 교육-학습 컨트롤러
KR2015001023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757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큐브 블록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102322162B1 (ko) * 2020-05-24 2021-11-03 김인숙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KR20220068639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파코웨어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WO2022107930A1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파코웨어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JP2023011299A (ja) * 2021-07-12 2023-01-24 ダイコク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ミング学習用教材、及びプログラミング学習用システム
KR20230149164A (ko) * 2022-04-19 2023-10-26 최효진 수 연산용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030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0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526508B1 (ko)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퍼즐 시스템
US10737187B2 (en) Coding toy, block, stage, figure body toy and coding method
JP5154399B2 (ja) 操作可能なインタラクティブ装置
US6755655B2 (en) Electronic educational toy appliance and a portable memory device therefor
KR101376482B1 (ko) 수동조작이 가능한 상호작동 장치
KR100940299B1 (ko)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JP2009011838A (ja) 知育ゲーム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170011291A (ko) 컬러코드 기반의 인터랙티브 교육시스템
KR1019178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497847B1 (ko) 전자블록에 기반한 학습교구 시스템
KR102218012B1 (ko) 큐브 블록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200425379Y1 (ko) 유아 교육용 학습기
KR101380315B1 (ko) 개선된 광센서 배치 구조를 가진 퍼즐 완구
KR101246919B1 (ko) 오아이디 코드가 인쇄된 매트를 매개로 한 음성출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727819B2 (en) Interactive system for teaching sequencing and programming
KR20160000681U (ko) 패턴 스캐닝 기능을 가지는 차량 형상의 아동 학습 장치
KR101317555B1 (ko) 교육용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의 콘텐츠 제공 방법
KR19990079730A (ko) 대화식 음성 교습구
KR102488893B1 (ko)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ES2397880B1 (es) Sistema electromecánico multimodal para enseñanza básica del braille.
WO2002035499A2 (en) Alphanumeric education and learning disorder detection system
JPH08123311A (ja) 印刷物および学習装置
KR20160000682U (ko) 패턴 스캐닝 기능을 가지는 비행기 형상의 아동 학습 장치
JP2006301558A (ja) 自立型実演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