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162B1 -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 Google Patents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162B1
KR102322162B1 KR1020200061992A KR20200061992A KR102322162B1 KR 102322162 B1 KR102322162 B1 KR 102322162B1 KR 1020200061992 A KR1020200061992 A KR 1020200061992A KR 20200061992 A KR20200061992 A KR 20200061992A KR 102322162 B1 KR102322162 B1 KR 10232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arning
cubes
seating
c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숙
Original Assignee
김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숙 filed Critical 김인숙
Priority to KR102020006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숫자 학습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놀이를 통해 유아와 아이들의 지능개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숫자 각각의 모양을 놀이를 통해 학습하고, 숫자들 간의 연계성과 간단한 4칙 연산을 놀이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유아 또는 아이들이 숫자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Numeric learning toys using numeric cubes}
본 발명은 숫자 학습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놀이를 통해 유아와 아이들의 지능개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숫자 각각의 모양을 놀이를 통해 학습하고, 숫자들 간의 연계성과 간단한 4칙 연산을 놀이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유아 또는 아이들이 숫자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은 다양한 놀이를 통하여 사물과 숫자, 글자 등을 습득하는 것과 더불어 놀이과정을 통해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이큐(IQ), 이큐(EQ) 발달 등의 두뇌개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난감(완구)은 어린이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어린이의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창작성이나 감성과 같은 교육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장난감은 유아나 어린이들로 하여금 다양한 놀이를 통한 흥미 유발과 더불어 학습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놀이를 유도하게 된다.
최근 장난감의 제조 기술이 점차 발달함에 따라 유아나 어린이들의 지능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난감이 등장하고 있다.
블록 완구는 다양한 형태로 쌓거나 조립할 수 있는 놀이기구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의 논리적인 사고와 상상력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뽀로로와 같이 아이들에게 인기 있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미리 입력되어 있는 이야기, 동화 또는 간단한 노래 등을 들려주는 완구 또는 장난감이 개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캐릭터 장난감들은 그 내부 메모리에 이야기, 동화, 간단한 숫자, 단어, 노래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아이가 캐릭터 장난감에 장착된 특정 버튼을 누르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야기, 동화, 숫자, 단어, 또는 노래 등이 캐릭터의 육성을 통해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처럼 유아나 어린이들의 지능 개발을 위한 장난감과 관련된 것으로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입체공간 채우기 교육용 완구로서, 일면에 복수 개의 결합 홈이 포함되는 지형판과,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된 결합부가 포함되는 복수 개의 지형 블록과, 복수 개의 다면체 단위블록이 서로 면 결합되어 서로 다른 모양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모양 블록과, 내부 공간에 상기 지형판과 지형 블록, 복수 개의 모양 블록이 쌓이도록 개구부를 갖는 베이스 상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국민들의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유아와 아이들의 성장과 발육 속도 또한 점차 빨라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아와 아이들의 지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완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5092호(2015.10.2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숫자놀이를 통해 유아와 아이들의 지능개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완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숫자큐브(200)가 숫자보드(100)의 평면에 안착 가능하도록 다수의 셀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셀을 구분하기 위한 숫자가 오름차순으로 지정되며, 지정된 숫자를 표시 또는 숨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안착부(110)와,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에 안착된 다수의 숫자큐브(200)가 다수의 행과 열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행과 열을 구획하고, 안착된 숫자큐브(200)가 정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구획부(120)와,
상기 안착부(110)마다 각각 지정된 숫자를 표시 또는 숨김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1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숫자보드(100)와;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와 1:1 대응하여 안착 가능하도록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마다 지정된 숫자와 같은 숫자가 외부면의 어느 한 면 이상에 표기되어 구성된 다수의 숫자큐브(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숫자놀이를 통해 유아와 아이들의 지능개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완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숫자 각각의 모양을 놀이를 통해 학습하고, 숫자들의 연계성과 간단한 4칙 연산을 놀이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유아 또는 아이들이 숫자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의 숫자학습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의 숫자학습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컨트롤러(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숫자큐브(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다수의 숫자큐브(200)가 숫자보드(100)의 평면에 안착 가능하도록 다수의 셀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셀을 구분하기 위한 숫자가 오름차순으로 지정되며, 지정된 숫자를 표시 또는 숨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안착부(110)와,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에 안착된 다수의 숫자큐브(200)가 다수의 행과 열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행과 열을 구획하고, 안착된 숫자큐브(200)가 정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구획부(120)와,
상기 안착부(110)마다 각각 지정된 숫자를 표시 또는 숨김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1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숫자보드(100)와,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와 1:1 대응하여 안착 가능하도록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마다 지정된 숫자와 같은 숫자가 외부면의 어느 한 면 이상에 표기되어 구성된 다수의 숫자큐브(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때, 상기 숫자보드(100)는, 연산기호를 표시하는 연산기호표시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산기호표시부(140)는, 정답 또는 오답 판별 결과를 더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때, 상기 숫자큐브(200)는, 외부면에 표기된 숫자가 고유ID정보화되어 저장된 ID정보저장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숫자큐브(200)는, 상기 ID정보저장부(210)에 저장된 고유ID정보를 상기 컨트롤러(130)로 송출하는 ID정보송출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때,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다수의 숫자큐브(200)의 상기 ID정보송출부(220)로부터 송출되는 각각의 고유ID정보를 수신받는 ID정보수신부(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안착부(110) 상에 오름차순으로 지정된 숫자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랜덤으로 선택하는 랜덤정보생성부(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연산기호표시부(140)가 +, -, ×, ÷ 중 어느 하나의 기호를 랜덤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연산기호표시부(140)를 제어하는 연산정보생성부(1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랜덤정보생성부(132)에 의해 랜덤 선택된 안착부(110)에 지정된 숫자에서 1을 가감한 숫자를 산출하는 연속숫자매칭부(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랜덤정보생성부(132)에 의해 랜덤 선택된 숫자가 상기 연산기호표시부(140)에 표시된 연산기호에 의해 계산된 연산결과를 산출하는 연산결과산출부(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30)는, 사용자가 정답에 해당하는 숫자큐브(200)를 안착부(110) 상에 안착시키면, 상기 숫자큐브(200)의 고유ID정보와 상기 안착부(110)에 지정된 숫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정안착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숫자큐브(200)가 상기 안착부(110)에 정안착되면, 상기 연속숫자매칭부(134)에 의해 산출된 숫자 또는 상기 연산결과산출부(135)에 의해 산출된 숫자와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정답과 오답을 판별하는 정답정보매칭부(1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랜덤정보생성부(132), 연속숫자매칭부(134), 연산결과산출부(135), 정답정보매칭부(1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선택되거나 산출된 숫자를 안착부(110) 상에 표시하거나 숨김 처리하도록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를 제어하는 DP제어부(13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정답정보매칭부(136)에 의해 상기 숫자큐브(200)의 고유ID정보와 상기 안착부(110)에 지정된 숫자가 일치하지 않아 정안착 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거나, 상기 연속숫자매칭부(134)에 의해 산출된 숫자 또는 상기 연산결과산출부(135)에 의해 산출된 숫자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어 오답이 판별되면, 오답으로 판별된 숫자를 오답정보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오답정보저장부(1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랜덤정보생성부(132)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되는 숫자가 상기 오답정보저장부(138)에 저장된 오답정보 기반의 숫자 위주로 선택되도록 상기 랜덤정보생성부(132)를 제어하는 오답정보복기부(13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숫자학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랜덤정보생성부(132)에 의해 '6, 29, 44' 라는 임의의 3개의 숫자가 선택되고, 상기 DP제어부(137)에 의해 상기 안착부(110)에 표시된다.
이후, 연속숫자매칭부(134)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숫자에 1씩 더해진 '7, 30, 45' 라는 숫자가 산출된다. 이때 연속숫자매칭부(134)에 의해 산출된 숫자는 안착부(110)에 표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유추를 유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큐브(200)를 찾아 상기 안착부(110)의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정답정보매칭부(136)에 의해 사용자가 안착시킨 숫자큐브(200)가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상기 연산기호표시부(140)에 표시한다.
만약, 판별 결과가 오답으로 나오면, 오답으로 판별된 숫자는 오답정보로 지정되어 오답정보저장부(138)에 저장되고, 이후에 진행되는 숫자학습 시, 상기 오답정보복기부(139)에 의해 상기 랜덤정보생성부(132)에 의해 선택되는 숫자가 오답정보 기반의 숫자 위주로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오답이 발생된 숫자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학습효과 향상을 도모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숫자학습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랜덤정보생성부(132)에 의해 '8, 15' 라는 임의의 2개의 숫자가 선택되고, 상기 DP제어부(137)에 의해 상기 안착부(110)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연산정보생성부(133)에 의해 선택된 연산기호 '+' 가 상기 연산기호표시부(140)에 표시된다.
이후, 상기 연산결과산출부(135)에 의해 '8 + 15 = 23' 이라는 연산결과가 산출된다. 이때의 연산결과 '23'은 안착부(110)에 표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유추를 유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큐브(200)를 찾아 상기 안착부(110)의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정답정보매칭부(136)에 의해 사용자가 안착시킨 숫자큐브(200)가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상기 연산기호표시부(140)에 표시한다.
만약, 판별 결과가 오답으로 나오면, 오답으로 판별된 숫자는 오답정보로 지정되어 오답정보저장부(138)에 저장되고, 이후에 진행되는 숫자학습 시, 상기 오답정보복기부(139)에 의해 상기 랜덤정보생성부(132)에 의해 선택되는 숫자가 오답정보 기반의 숫자 위주로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오답이 발생된 숫자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학습효과 향상을 도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숫자놀이를 통해 유아와 아이들의 지능개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숫자 각각의 모양을 놀이를 통해 학습하고, 숫자들의 연계성과 간단한 4칙 연산을 놀이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유아 또는 아이들이 숫자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숫자보드
110 : 안착부
120 : 구획부
130 : 컨트롤러
200 : 숫자큐브

Claims (1)

  1. 다수의 숫자큐브(200)가 숫자보드(100)의 평면에 안착 가능하도록 다수의 셀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셀을 구분하기 위한 숫자가 오름차순으로 지정되며, 지정된 숫자를 표시 또는 숨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안착부(110)와,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에 안착된 다수의 숫자큐브(200)가 다수의 행과 열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행과 열을 구획하고, 안착된 숫자큐브(200)가 정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구획부(120)와,
    상기 안착부(110)마다 각각 지정된 숫자를 표시 또는 숨김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1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숫자보드(100)와;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와 1:1 대응하여 안착 가능하도록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안착부(110)마다 지정된 숫자와 같은 숫자가 외부면의 어느 한 면 이상에 표기되어 구성된 다수의 숫자큐브(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KR1020200061992A 2020-05-24 2020-05-24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KR10232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92A KR102322162B1 (ko) 2020-05-24 2020-05-24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92A KR102322162B1 (ko) 2020-05-24 2020-05-24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162B1 true KR102322162B1 (ko) 2021-11-03

Family

ID=7850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992A KR102322162B1 (ko) 2020-05-24 2020-05-24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1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78B1 (ko) * 2013-10-11 2014-10-30 주식회사 리더스앤스토리 영어단어 및 구구단 학습 교구
KR101565092B1 (ko) 2014-03-27 2015-11-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공간 채우기 교육용 완구
KR101958670B1 (ko) * 2017-06-15 2019-03-15 이동은 멀티태스킹 훈련용 두 자리 수 연산표시장치
KR20190062181A (ko) * 2018-11-05 2019-06-05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78B1 (ko) * 2013-10-11 2014-10-30 주식회사 리더스앤스토리 영어단어 및 구구단 학습 교구
KR101565092B1 (ko) 2014-03-27 2015-11-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공간 채우기 교육용 완구
KR101958670B1 (ko) * 2017-06-15 2019-03-15 이동은 멀티태스킹 훈련용 두 자리 수 연산표시장치
KR20190062181A (ko) * 2018-11-05 2019-06-05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83444A (ja) 複数のゲームアクティビティーを有するゲーム
Chorianopoulos et al. Design principles for serious video games in mathematics education: from theory to practice
Lindberg et al. Formative evaluation of an adaptive game for engaging learners of programming concepts in K-12
Agustini et al. Applying gamification technique and virtual reality for prehistoric learning toward the metaverse
Sternig et al. Learning in a virtual environ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VR math-game
Sylla et al. Digital manipulatives as scaffolds for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JP2001228963A (ja) パネル認識装置
WO2008063044A1 (en) A board game
KR102322162B1 (ko) 숫자큐브를 이용한 숫자 학습 완구
KR20200128768A (ko) 공간지각력 학습이 가능한 무선통신 방식의 3차원 큐브 적층식 교육 완구
US6609712B1 (en) Math manipulative educational learning game
Papadopoulos Using tasks to bring challenge in mathematics classroom
US20180221755A1 (en) Game system for playing games based on information on individual states
Tally Jr The Way of the Wizarding World: Harry Potter and the Magical Bildungsroman
Fanetti The effect of problem-solving video games on the science reasoning skills of college students
Gee et al. Passionate affinity groups: A new form of community that works to make people smarter
Moshirnia The impact of procedural generation and modding on the participatory design of educational video games
KR102378881B1 (ko) 자음구슬을 이용한 한글놀이 완구
KR102625738B1 (ko) 알고리즘 보드게임
Insulander et al. Sites for learning and knowledge representations—the Middle Ages
Moulana Synergy: Game Design+ Qur'an Memorization
JP3124609U (ja) 知育玩具
JPH06343756A (ja) パズル玩具
Babcock Developing a Help Desk Board Game
Marsh Sounding Children’s (Inter-) Cultural Practices Through Musical 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