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521B1 -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521B1
KR102126521B1 KR1020180090082A KR20180090082A KR102126521B1 KR 102126521 B1 KR102126521 B1 KR 102126521B1 KR 1020180090082 A KR1020180090082 A KR 1020180090082A KR 20180090082 A KR20180090082 A KR 20180090082A KR 102126521 B1 KR102126521 B1 KR 10212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ding
blocks
tangibl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650A (ko
Inventor
김원태
백정열
김명석
김진엽
임휘준
최덕규
장창환
황학선
Original Assignee
(주)미래융합정보기술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융합정보기술,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미래융합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8009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5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이 개시된다.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은 5~9세까지의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에게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게임을 하듯이 코딩 교육 도구를 제공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디지털 방식의 코딩 교육보다는 자석 UI와 Honeycomb 디자인으로 각각의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의 상판 아크릴 픽토그램이 표시되고 LED를 통해 현재 진행되는 블록이 표시되며, 자석의 인력을 통해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코딩 블록을 조립하며, 어린 자녀에게 물리적 교육 방식을 제공하며, 스마트 토이 블록 제품과는 달리 무대 배경과 캐릭터를 선택하여 스토리텔링 게임을 제공하는 에듀 테크도구로써 자녀에게 맞는 최적의 맞춤형 코딩 학습 가이드와 가정 코딩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코딩(coding)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며,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은 텐저블 코딩 블록을 사용하여 퍼즐,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을 사용하여 이 코딩 교육을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의 원리를 배우게 된다.

Description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Tangible coding blocks system for physical programming in child of kindergarten and the lower grades elementary school}
본 발명은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듀테크 도구로써 5~9세까지의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이 실제 손에 잡히는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된 블록들을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결착하여 텐저블 코딩 블럭들(tangible coding blocks)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을 보면서 직관적 코딩학습이 가능한 코딩 학습 교육 도구를 제공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디지털 방식의 코딩 교육보다는 자석 UI와 Honeycomb 디자인으로 각각의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의 상판 아크릴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되고 LED를 통해 현재 진행되는 블록(block)을 표시하며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블록들이 결착되며,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코딩 블록이 조립되며, 스마트 토이 블록 제품과는 달리 무대 배경과 캐릭터를 선택하여 스토리텔링 게임 방식의 단계별 코딩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텐저블 코딩 블록은 다양한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저연령 어린이들에게 직관적 코딩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코딩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유치원생들과 및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에게 컴퓨팅적 사고 발달을 유도할 수 있고, 가정에서 게임을 하듯이 코딩 학습이 가능한 학습 교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1로써, 특허 등록번호 10-1843831에서는 "쪼물락 코딩 블록"이 공개되고 등록되어 있다.
쪼물락 코딩 블록은, 고유아이디를 내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구비하며, 실제 코드의 생성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얼코딩블록; 고유아이디를 내장하고 상기 리얼 코딩 블록과 접속되며, 숫자값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넘버링 블록; 고유 아이디를 내장하고, 상기 리얼 코딩 블록과 접속되며, 변수값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 블록; 상기 리얼코딩블록과 접속되어 상기 리얼코딩블록에서 수신되는 아이디에 대응되는 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메인 블록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는 실제 코딩문(제어문, 변수, 이벤트, 디버깅 등)과 유사한 구조의 블록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부터 흥미 유발과 코딩 개념의 학습뿐만 아니라 실제 코딩문과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2로써, 특허 공개번호 10-2018-0037631에서는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기존의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고유 좌표를 갖는 복수의 블록 배치부; 상기 복수의 블록 배치부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코딩 블록을 인식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의 코딩 블록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화면상에 출력된 코딩 미션 정보에 상응하게, 상기 복수의 코딩 블록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블록 배치부 각각은 함수 정의 영역, 반복 횟수 정의 영역, 명령어 정의 영역 및 입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속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록 배치부는 nㅧn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수 정의 영역, 반복 횟수 정의 영역, 명령어 정의 영역 및 입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축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정의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각 코딩 블록의 실행 순서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함수 정의 영역에 복수의 코딩 블록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배치한 후, 제1 형상의 제1 함수 블록을 최상단에 배치하면 제1 함수가 정의되며, 상기 명령어 정의 영역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1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함수 블록이 배치되는 경우, 해당 실행 순서에서 상기 제1 함수가 호출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정의 영역에 배치된 제1 코딩 블록 또는 함수의 반복 횟수는 상기 제1 코딩 블록 또는 함수를 정의하는 소정 형상의 함수 블록에 인접한 반복 횟수 정의 영역에 배치된 숫자 블록 또는 숫자 태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정의 영역에 완료 블록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코딩 미션 정보에 상응하게 복수의 코딩 블록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역은 퀴즈를 풀기 위한 NFC 태그가 올려지는 NFC 블록 및 소정 조건이 제시된 경우 복수의 조건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터치 블록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함수 정의 영역은 k번째 행의 n 열 영역으로 설정되며, 상기 반복 횟수 정의 영역은 k+l번째 행의 n열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명령어 정의 영역은 k+l+m번째 행의 n열 영역으로 설정되며, 여기서 상기 k, l, m은 1 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명령어 정의 영역에서, 상기 k+l+1번째 행의 n열 영역의 최상단 블록 배치부가 첫 번째 실행 순서로 정의되며, 상기 최상단 블록 배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딩 블록 순서로 실행 순서가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3로써, 특허 공개번호 10-2018-0058030에서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이 공개되어 있으며, 어린이 등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제품화된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으로 블록 조립 놀이를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기존의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을 보인 도면이다.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은 복수개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 연산의 프로그래밍이 이뤄지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으로서,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입력단자부(101); 출력단자부(103); 및 스크립트명령문이 저장된 저장부(105);를 포함하며, 서로 결합된 어느 한쪽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의 출력단자부(103)가 다른 한쪽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의 입력단자부(101)와 접촉되며 연결된다.
상기 스크립트명령문은 시작명령문, 종료명령문, 입력명령문, 처리명령문, 출력명령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물리적인 형상을 갖는 제품화된 블록으로, 어린이들이 블록 조립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복수개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 연산의 프로그래밍이 이뤄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그래밍 코딩용 블록(100)은, 입력단자부(101); 출력단자부(103) 그리고 저장부(105)를 포함한다.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물리적인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에서, 일예로 입력단자부(101)는 볼록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출력단자부(103)는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가 돌기/홈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어린아이 등 사용자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을 블록 조립 놀이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가 반드시 돌기/홈 구조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가 서로 접촉하며 연결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어떤 방식이라도 가능하다.
저장부(105)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의 기능을 한다.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은, 시작명령문, 종료명령문, 입력명령문, 처리명령문, 출력명령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에 따라, 그 기능이 바뀌게 된다.
일예로,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시작명령문이라면, 이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시작 블록(100-1)이 된다.
또한,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종료명령문이라면, 이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종료 블록(100-5)이 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에 따라 블록의 외관 색깔이 상이하다.
일예로,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시작명령문인 소위 시작 블록([0036] 100-1)은, 그 외관 색깔이 노란색이고,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종료명령문인 소위 종료 블록(100-5)은, 그 외관 색깔이 빨간색일 수 있다. 이처럼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에 따라 블록의 외관 색깔이 상이하게 구분됨으로써,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을 가지고 블록 조립 놀이를 하는 어린아이들이 색깔별로 쉽게 블록의 기능을 구분하며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여러 명령문 중 출력명령문이 포함된 저장부(105)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 소위 출력 블록(100-4))은, 출력명령문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외부장치(4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부(10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장치(400)는 출력값(출력 데이터, output data)을 전송받아 그 출력값에 따른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외부장치(400)와 통신모듈부(107) 사이의 통신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별도의 전원부를 가질 수 있다.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와, 스크립트명령문이 저장된 저장부(105)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이 복수개 서로 결합되어,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 연산의 프로그래밍이 이뤄지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어셈블리(401); 및 상기 출력값을 전송받아 상기 스크립트명령문에 따른 작업이 수행되는 외부장치(400);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을 이용한 프로그램 코딩 교육 시스템(403)이 제공된다.
도 9의 KOTRA 2017 에듀테크 관련 학습별 해외 시장 성장 전망을 참조하면, 과거 3년간 시장 규모는, 시장 전문 조사기관인 'Ambient Insight' 자료에 따르면, 2016~2021년 에듀테크와 관련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게임 기반 학습, 인지학습, 모바일 학습은 각 각 연평균 17.0%, 22.4%, 11.0%, 7.5% 성장해 오고 있다.
미국의 에듀테크 시장 규모는 2014년 360.9억 달러로, 연평균 9.07%씩 성장하여 2019년 557.1 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의 에듀테크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175억 파운드(한화 30조원)에 이르며 2020년까지 300억 파운드(약50조원) 규모로 육성 계획이다.
중국 시장은 2015년 기준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의 10%에 해당하며, 에듀테크 분야의 집중투 자 위해 지속적 투자와 원자재 공급을 늘리는 중이다.
국내 시장규모는 2011년 24,513억원에서 2015년 34,851억원으로 5년간 연평균 9.2% 성장중 이며, 기존 이러닝 시장과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AR/VR과 융합한 에듀테크 총 시장 규모는 10조원으로 예상된다.
에듀테크에 대한 투자도 급증하고 있으며 에드테크글로벌에 따르면 에듀테크 시장은 매년 17%씩 성장해 오는 2020년이면 2,520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에듀테크 관련 창업이 급증하는 영국은 에듀테크 분야에서 앞서 나가고 있고 영국 학교들이 에듀케이션 관련 기술에 매년 쓰는 예산만 9억파운드에 달하고 에듀테크 시장 규모 는 29조원, 관련 기업만 1,000여개에 달한다고 한다.
반면 뜨거운 교육열과 정보기술(IT) 강국이라는 조건을 갖춘 한국은 교육 혁명 열풍에서 아직 비켜나 있으며, 아직은 해외 기술들을 기반으로 한 응용 서비스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코딩교육 관련 에듀테크 시장은 최근에 붐이 일기 시작하여 당분간 지속적 으로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시장에 크게 자리를 굳힌 기업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5~9세까지의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코딩 교육 도구는 없으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디지털 방식의 코딩 교육보다는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물리적 교육 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유치원생들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자녀들을 대상으로 보호자(부모)들에게 최적의 맞춤형 학습가이드를 지원함으로써 가정학습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코딩 학습 교구가 필요하며, 효과적으로 저연령의 자녀들에게 코딩교육이 가능하도록 부모님들이 자녀들의 논리적 지능 발달상황을 수시로 확인되도록 하며, 직관적·물리적 코딩 교육을 위한 블록 하드웨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게임 하듯이 코딩 학습 각 단계별로 자녀들에게 맞는 콘텐츠를 추천하고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교육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교육이 아닌 가정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한 코딩 교구가 필요하다.
특허 등록번호 10-1843831 (공개일자 2018년 03월 26일), "쪼물락 코딩 블록", 주식회사 씨앤알테크 특허 공개번호 10-2018-0037631 (공개일자 2018년 4월 13일),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주)모션블루 특허 공개번호 10-2018-0058030 (공개일자 2018년 05월 31일),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손승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듀테크 도구로써 5~9세까지의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이 실제 손에 잡히는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된 블록들을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결착하여 텐저블 코딩 블럭들(tangible coding blocks)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을 보면서 직관적 코딩학습이 가능한 코딩 학습 교육 도구를 제공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디지털 방식의 코딩 교육보다는 자석 UI와 Honeycomb 디자인으로 각각의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의 상판 아크릴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되고 LED를 통해 현재 진행되는 블록(block)을 표시하며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블록들이 결착되며,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코딩 블록이 조립되며, 스마트 토이 블록 제품과는 달리 무대 배경과 캐릭터를 선택하여 스토리텔링 게임 방식의 단계별 코딩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텐저블 코딩 블록은 다양한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저연령 어린이들에게 직관적 코딩 학습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은, 주문 요청과 결제 처리 후 주문자에게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판매하며, 저연령 어린이의 스토리텔링 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게임과 관련 앱과 Open API SDK를 배포/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스마트 기기로 텐저블 코딩 블록 서비스 앱(App)을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텐저블 코딩 블록 서비스 앱(App)을 다운로드 받아 저연령 어린이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며 시나리오에 따른 텍스트, 그래픽, 삽화, 소리, 음악,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 기기; 및 다양한 모양의 픽토그램의 블록들을 원하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코딩 학습이 가능한 하드웨어로써,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이 퍼즐, 블록 맞추기의 게임 방식을 사용하여 시작 블록으로 결착되는 블록의 픽토그램의 순서에 따라 코딩 블록의 프로그램의 기능이 동작되어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의 두 블록의 결착 부분은 자석과 철이 결착되며,
상기 시작 블록은 PCB 하드웨어와, 배터리부 또는 전원 연결부, 제어부, 저장부, LED와 Bluetooth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연동되는 결착 블록들은 배터리부와 제어부, 저장부, LED와, Bluetooth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을 기준으로 블록들의 결착시에, 상기 시작 블록은 순차적으로 결착 블록의 픽토그램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아 타겟 디바이스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접속되는 순서로 결착 블록들의 타겟 디바이스를 동작 코딩 순서가 생성되어 실행되며,
상기 시작 블록에 결착되어 동작되는 블록은 LED ON 상태로 출력되며, 결착되지 않는 블록은 LED OFF 상태가 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연동된 결착 블록이 이격되면, 이격된 블록의 동작이 정지된다.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은 각 블록이 큐브모양의 정육면체 또는 Honeycom 형태의 8면체 폴리곤으로 제작되며, 각 블록의 상면에는 픽토그램이 표시되며, 측면에서는 1면 자석, 2면 철, 3면 자석, 4면 철, 5면 자석, 6면 철, 7면, 자석, 8면 철로 구성되며, 두 블록의 결착 부분은 자석과 철이 결착된다.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은, 블록의 측면의 각 면에서 자석과 철이 번갈아 구비되며 상면에 픽토그램이 표시된 블록들로 구성되며, 상기 시작 블록을 중심으로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결착되는 결착 블록들을 포함하며, 결착시에 상기 시작 블록은 순차적으로 결착 블록의 픽토그램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는다.
상기 시작 블록은 PCB 하드웨어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배터리부 또는 전원 연결부, 제어부, 저장부, LED와 Bluetooth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연동되는 결착 블록들은 PCB 하드웨어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배터리부, 제어부, 저장부와 LED, Bluetooth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을 기준으로 블록들의 결착 시에, 상기 시작 블록은 순차적으로 결착 블록의 픽토그램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아 타겟 디바이스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접속되는 순서로 결착 블록들의 타겟 디바이스를 동작 코딩 순서가 생성되어 실행되며,
상기 시작 블록에 결착되어 동작되는 블록은 LED ON 상태로 출력되며, 결착되지 않는 블록은 LED OFF 상태가 되며,
시작 블록에 연동된 결착 블록이 이격되면, 이격된 블록의 동작이 정지된다.
상기 픽토그램은 각 블록의 상면에 디자인 이미지로 표시되며, 시작 로고, 전진, 후진, 좌우 이동키(↑,↓,←,→), 점프(jump), 시계방향 회전(clockwise), 반시계 반향 회전(counter clockwise), 정지 키가 구비된다.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은 제어부, 저장부,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결착되는 각각의 블록들의 결착 순서에 따라 코딩 학습 동작 명령이 구동되어 제어 신호가 생성되며 근거리 통신(BLE, Wi-Fi)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작동되며, 상기 시작 블록의 통신부(BLE, Wi-Fi)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과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타겟 디바이스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제어부, 저장부, 통신부,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와 구동대상을 구비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app), 태블릿 PC(app), 스마트 패드(app),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주문자의 주분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처리후,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판매하는 블록 제품 판매부; 저연령 어린이를 위한 스토리텔링 콘텐츠와 코딩 학습 콘텐츠와 스마트 토이나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본 플랫폼과 연동하여 코딩학습교구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Open API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SDK와 코딩 학습 가이드를 제공하는 코딩 학습 콘텐츠 제공부; 저연령 어린이를 위한 스토리텔링 게임을 제공하는 학습 게임 제공부; 및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로부터 저연령 어린이의 학습행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서버로 수집하며, 해당 스마트 기기로 아이들의 발달상황을 분석 정보를 제공하며 비쥬얼하게 가시화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학습 발달 상황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 또는 자체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되는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을 보면서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사용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저연령 아이들의 학습행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 자체 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서버로 수집하며, 아이들의 발달상황을 분석 정보를 제공하며 비쥬얼하게 가시화한다.
본 발명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은 에듀테크 도구로써 5~9세까지의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이 실제 손에 잡히는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된 블록들을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결착하여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과 연동하여 직관적 코딩학습이 가능한 코딩 학습 교육 도구를 제공한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디지털 방식의 코딩 교육보다는 자석 UI와 Honeycomb 디자인으로 각각의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의 상판 아크릴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되고 LED를 통해 현재 진행되는 블록(block)을 표시하며 블록 측면의 내부의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블록들이 결착되며,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코딩 블록이 조립되며, 스마트 토이(Smart Toy) 블록 제품과는 다르게 무대 배경과 캐릭터를 선택하여 스토리텔링 게임 방식의 단계별 코딩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텐저블 코딩 블록은 다양한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저연령 어린이들에게 게임 하듯이 흥미롭게 직관적 코딩 학습이 가능하게 되었다.
코딩(coding)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며,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은 텐저블 코딩 블록을 사용하여 퍼즐,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을 사용하여 이 코딩 교육을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의 원리를 배우게 된다.
스마트 토이(Smart Toy) 블록 제품과는 다르게, 코딩 교육 관련 에듀 테크 시장에서 본 제품은 에듀 테크 도구로써 저연령 어린 자녀에게 맞는 최적의 맞춤형 코딩 학습 가이드와 가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은 에듀 테크 도구로써 5~9세까지의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에게 실제 손에 잡히는 물리적 블록들을 자석의 인력에 의해 결착하여 사용됨으로써 직관적 코딩학습이 가능하며, 에듀테크 시장에 텐저블 코딩 블록 판매와 B2C, B2B 유통, 저연령 어린이의 스토리텔링 콘텐츠와 게임의 유통과 배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향후 국내 및 해외 시장을 개척할 예정이다.
도 1은 기존의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기존의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을 보인 도면이다.
도 3a 내지 3p는 본 발명에 따른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저연령 어린이들의 집중력과 재미를 유도하는 텐저블 코딩 블록의 개념도이다.
도 6은 i)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문제 인지, ⅱ)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되는 블록들(blocks)을 통한 논리적 사고, ⅲ) 스토리텔링 게임 콘텐츠 연동을 통한 목표 달성의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의 동작 시나리오의 예를 보인 그림이다.
도 7은 스토리텔링 게임과 연동된 텐저블 코딩 블록의 파일럿 제품 모양을 보인 그림이다.
도 8은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의 하나의 블록의 파일럿 제품 컨셉 디자인이다.
도 9는 KOTRA 2017 에듀테크 관련 학습별 해외 시장 성장 전망을 보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3p는 본 발명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은, 에듀테크 도구로써 5~9세까지의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에게 실제 손에 잡히는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된 물리적 블록들을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결착하여 사용됨으로써 직관적 코딩학습이 가능하도록 텐저블 코딩 블록들(tangible coding blocks)이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을 보면서 코딩 학습 교육 도구를 제공한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디지털 방식의 코딩 교육보다는 자석 UI와 Honeycomb 디자인으로 각각의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의 상판 아크릴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되고 LED를 통해 현재 진행되는 블록(block)을 표시하며, 각 블록 측면 내부의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블록들이 결착되며,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코딩 블록이 조립되며, 스마트 토이(smart toy) 블록 제품과는 다르게 무대 배경과 캐릭터를 선택하여 스토리텔링 게임 방식의 단계별 코딩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텐저블 코딩 블록은 다양한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저연령 어린이들에게 게임 하듯이 흥미롭게 직관적 코딩 학습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코딩(coding)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며,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은 텐저블 코딩 블록을 사용하여 퍼즐,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을 사용하여 이 코딩 교육을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의 원리를 배우게 된다.
유치원생들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들을 주 사용자로 하는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은, 에듀테크 도구로써 5~9세까지의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에게 실제 손에 잡히는 물리적 블록들(텐저블 코딩 블록)을 블곡 측면 내부의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결착하여 사용됨으로써 텐저블 코딩 블록들이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와 연동하여 직관적·물리적 코딩학습이 가능한 블록 하드웨어 플랫폼을 제공한다.
텐저블 코딩 블록들은 각 블록별 PCB 설계 및 제작, 제품의 Mockup 제작, 각 블록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제작하였다.
주문 요청과 결제 처리 후 주문자에게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판매하며, 저연령 어린이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배포와/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되며, 서버는 스마트 기기로 앱(App)을 제공하여 다운로드 받게 한다.
각각의 텐저블 코딩 블록은 그 상면에 동작 기능을 표시하는 픽토그램이 표시되며, 큐브모양의 정육면체 모양 또는 Honeycomb 형태의 폴리곤으로 제작되며, Honeycomb 형태의 폴리곤의 각 면마다 자석과 철을 번갈아 설치하고, 센서들을 부착하여 쉽게 조립되도록 하였으며, 스마트폰의 저연령 어린이 학습 콘텐츠 또는 연도오디어 사용된다. 픽토그램은 시작, 상하좌우 이동 방향키,
예를들면, 각 블록이 큐브모양의 정육면체 또는 Honeycomb 형태의 폴리곤으로 구성된 8면체의 경우 블록의 상면에는 픽토그램이 표시되며, 블록의 측면에서는 1면 자석, 2면 철, 3면 자석, 4면 철, 5면 자석, 6면 철, 7면 자석, 8면 철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두 블록의 측면의 결착 부분은 자석과 철이 결착된다.
참고로, 자석의 자력은 두 블록의 자석과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 자석이 구비된 두 블록이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면 자력의 영향을 받으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지면 자력의 영향이 적어진다.
자력의 종류는 페리자성, 강사성, 반강자성, 페로자성으로 구분되며, 자성재료는 철, 산화철, 비철, 철합금, 비철합금, 세라믹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작 블록은 PCB 하드웨어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배터리부 또는 전원 연결부와 제어부와 저장부와 LED와 Bluetooth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연동되는 결착 블록들은 PCB 하드웨어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배터리부와 제어부와 저장부와 LED, Bluetooth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을 기준으로 블록들의 결착시에, 상기 시작 블록은 순차적으로 결착 블록의 픽토그램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아 타겟 디바이스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접속되는 순서로 결착 블록들의 타겟 디바이스를 동작 코딩 순서가 생성되어 실행되며,
상기 시작 블록에 결착되어 동작되는 블록은 LED ON 상태로 출력되며, 결착되지 않는 블록은 LED OFF 상태가 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연동된 결착 블록이 이격되면, 이격된 블록의 동작이 정지된다.
블록들의 결착시에, 상기 시작 블록(701)은 순차적으로 결착 블록의 픽토그램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아 타겟 디바이스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들면, 픽토그램(pictogram)은 각 블록의 상면에 디자인 이미지로 표시되며, 픽토그램 정보는 시작, 전진, 후진, 좌우 이동키(↑,↓,←,→), 점프(jump), 시계방향 회전(clockwise), 반시계 반향 회전(counter clockwise), 정지 등의 동작 명령이 포함된다.
텐저블 코딩 블록들(700)은 Honeycomb 형태의 8면체의 폴리곤, 정육면체 폴리곤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 폴리곤으로 제작될 수 있다.
* 코딩 블록의 동작
1. 각 접촉된 블록간은 근거리 통신(Bluetooth, Wi-Fi)으로 지속적으로 통신한다.
2. 접촉된 블록들에 시작 블록(Starting Block)이 접촉되면, 시작 블록은 접촉된 블록들의 논리를 수집한다.
3. 시작 블록을 터치함으로써 실행하면, 수집된 논리들을 블루투스로 스마트 기기 또는 타겟 디바이스(예, 스마트 토이)로 전송한다.
4. 그러면 스마트 기기와 타겟 디바이스(예, 스마트 토이)는 텐저블 코딩 블록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 또는 논리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 콘텐츠나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실행한다.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은 (1) PCB 하드웨어와 배터리부 또는 전원 연결부와 제어부와 저장부와 LED와 통신부를 구비하는 텐저블 코딩 블록을 제작하고, (2) 다양한 타겟 디바이스 및 스토리텔링 콘텐츠 연동 SDK 개발하며, (3) 연동 콘텐츠 유통을 위한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를 개발하고, (4) 학습발달상황 분석을 위한 딥러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서버 또는 자체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되는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을 보면서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사용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저연령 아이들의 학습행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서버로 수집하며, 서버를 통해 해당 스마트 기기로 아이들의 발달상황을 분석 및 가시화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하였다.
(1) 하드웨어 블록 제작
구분1 하드웨어 블록을 제작
기획 기술의
최종 목표
* 다양한 센서 및 반도체들을 탑재한 여러 개의 PCB 모듈 및 Mockup
개발
세부 목표1 * 블록의 PCB 설계 및 제작
- 각 블록들(blocks)은 각각 하나의 칩을 보유하게 되며 블록별 용도는 LED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
- 블록의 각 면들은 자석들을 배치하여 블록간 접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설계.
- 자석들이 완전히 접합되지 않으면 블록간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
세부 목표2 * 제품의 Mockup 제작
- 설계/개발된 PCB를 탑재할 다양한 모양의 모형을 디자인, Mockup 개발
- 제품의 다양한 모양으로 디자인하고 이를 3D 프린팅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예정.
세부 목표3 * 각 블록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 제작된 블록 내 탑재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2) 다양한 타겟 디바이스 및 콘텐츠 연동 SDK 개발
구분2 다양한 타겟 디바이스 및 콘텐츠 연동 SDK 개발
기획 기술의
최종 목표
* 스마트 토이(Smart Toy)나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본 플랫폼과 연동하여 코딩학습교구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Open API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 내의 콘텐츠와 연동할 수 있도록 API 개발
세부 목표1 공통 Open API 설계 및 개발
세부 목표2 안드로이드 / IOS / MS Windows 운영체제 특화 지원 API 개발
세부 목표3 시범 서비스용 스마트 폰 앱 및 콘텐츠 개발
(3) 연동 콘텐츠 유통을 위한 CMS 개발
구분3 연동 콘텐츠 유통을 위한 CMS 개발
기획 기술의
최종 목표
* 제작된 연동 콘텐츠들을 보다 쉽게 유통하고 자연스럽게 콘텐츠를 다운 로드하여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CMS 개발
세부 목표1 시스템 기획 및 설계
세부 목표2 CMS 서버 시스템 개발
세부 목표3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REST API 설계 및 개발
(4) 학습발달상황 분석을 위한 딥러닝 시스템 개발
구분4 학습발달상황 분석을 위한 딥러닝 시스템 개발
기획 기술의
최종 목표
* 블록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아이들의 학습행태 데이터를 수집 하고 아이들의 발달상황을 분석 및 가시화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세부 목표1 빅데이터 수집 및 분산 저장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세부 목표2 딥러닝 모듈 개발 및 하이퍼 파라미터 설계
세부 목표3 분석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 개발
* 게임요소들을 융합한 콘텐츠 배포/유통 서비스 지원 (도 3p)
- 본 블록 교구들에 대한 아이들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스마트디바이스 상의 게임요소들을 가미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지원
* 딥러닝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아이들의 학습효과를 배가
- 사용하는 아이들의 학습행동과 태도들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이를 딥러닝 기술을 통하여 아이들의 발달 상태를 부모님들에게 제공
- 학습자의 학습행위에 적절히 반응함으로써 학습의 흥미를 장기간 유지할뿐 아니라 올바른 학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은
주문 요청과 결제 처리 후 주문자에게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판매하며, 저연령 어린이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과 관련 앱(App)과 Open API SDK의 배포/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스마트 기기로 텐저블 코딩 블록 서비스 앱(App)을 제공하며, 저연령 어린이의 학습 행태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누적 분석하여 학습 발달 상황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730);
상기 서버(730)로부터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 서비스 앱(App)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저연령 어린이의 상기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상기 스토리텔링 게임, SDK를 디스플레이하며 시나리오에 따른 텍스트, 그래픽, 삽화, 소리, 음악 데이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 기기(720); 및
다양한 모양의 픽토그램의 블록들을 원하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코딩 학습이 가능한 하드웨어로써,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이 퍼즐, 블록 맞추기의 게임 방식을 사용되도록 블록의 측면의 각 면에서 자석과 철이 구비되며 상면에 픽토그램이 표시된 블록들로 구성되며, 시작 블록(701)과, 상기 시작 블록(701)을 중심으로 블록의 측면의 자석과 철의 인력(당기는 힘)에 의해 결착되는 결합 블록들(702, 703)을 포함하며, 시작 블록으로 결착되는 블록의 픽토그램의 순서에 따라 코딩 블록의 프로그램의 기능이 동작되어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텐저블 코딩 블록들(700)을 포함한다.
텐저블 코딩 블록들(700)은 각 블록의 자석 UI에 의해 인접 블록과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며, 상판 아크릴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된 블록들(blocks)로 구성된다.
텐저블 코딩 블록들(700)은, 블록의 측면의 각 면에서 자석과 철이 번갈아 구비되며 상면에 픽토그램이 표시된 블록들로 구성되며, 시작 블록(701)을 중심으로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결착되는 결착 블록들(702,703,..)을 포함한다.
서버(730)로부터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게임, Open API SDK를 다운로드 받은 스마트 기기는, 예를들면, 이솝 우화의 어느 하나의 스토리 또는 "토끼와 거북이" 경주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이 실행되며, 저연령 어린이는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이나 게임을 보면서 실제 블록들을 만지며 시작 블록에 결착하는 순서대로 텐저블 코딩 블록들(701,702,703)을 결착하면, 스마트 기기(720)로 코딩 프로그램이 화면에 표시되며, 동시에 타겟 디바이스(7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타겟 디바이스(710)를 구동한다.
예를들면, 픽토그램(pictogram)은 각 블록의 상면에 디자인 이미지로 표시되며, 시작 로고, 전진, 후진, 좌우 이동키(↑,↓,←,→), 점프(jump), 시계방향 회전(clockwise), 반시계 반향 회전(counter clockwise), 정지 키, 다양한 동작 키가 구비된다.
텐저블 코딩 블록들(700)은 Honeycomb 형태의 8면체의 폴리곤, 정육면체 폴리곤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다면체 폴리곤(polygon)으로 제작될 수 있다.
텐저블 코딩 블록들(700)은 제어부, 저장부, 통신부를 구부하며, 시작 불록(701)에 결착되는 각각의 블록들의 결착 순서에 따라 코딩 학습 동작 명령이 구동되어 제어 신호가 생성되며 근거리 통신(BLE, Wi-Fi)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710)와 연동되어 작동되며, 시작 블록(701)의 통신부(BLE, Wi-Fi)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7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타겟 디바이스(710)의 동작과 구동을 제어한다.
타겟 디바이스(7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제어부, 저장부, 통신부, 구동부와 바퀴 등이 구비된다.
텐저블 코딩 블록들(700)은 블루투스, 또는 Wi-Fi 통해 타겟 디바이스(7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타겟 디바이스(7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동작된다. 텐저블 코딩 블록들(700)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마스터 기기로 동작되며, 타겟 디바이스(710)와 블루투스 페어링되어 사용된다. 타겟 디바이스(710)는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된다.
타겟 디바이스(710)는 스마트 토이(Smart Toy)와 비즈니스를 제휴 및 연계하여 제공되는 탈 것(Vehicle) 형태 뿐만아니라 스피커, LED 조명등(전등), 풍차 등 다양한 형태를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 토이(Smart Toy)나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본 플랫폼과 연동하여 코딩학습교구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Open API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스마트 기기(720) 내의 콘텐츠와 연동할 수 있도록 API 개발할 예정이다.
스마트 기기(720)는 스마트폰(app), 태블릿 PC(app), 스마트 패드(app),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한다.
서버(730)는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주문자의 주분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처리후,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판매하는 블록 제품 판매부;
저연령 어린이를 위한 스토리텔링 콘텐츠와 코딩 학습 콘텐츠와 스마트 토이(Smart Toy)나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본 플랫폼과 연동하여 코딩학습교구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Open API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SDK와 코딩 학습 가이드를 제공하는 코딩 학습 콘텐츠 제공부;
저연령 어린이를 위한 스토리텔링 게임을 제공하는 학습 게임 제공부; 및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로부터 저연령 어린이의 학습행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서버로 수집하며, 해당 스마트 기기로 아이들의 발달상황을 분석 정보를 제공하며 비쥬얼하게 가시화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학습 발달 상황 분석부를 포함한다.
서버는 스마트 토이(Smart Toy)나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본 플랫폼과 연동하여 코딩학습교구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Open API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SDK와 코딩 학습 가이드를 제공한다.
도 5는 저연령 어린이들의 집중력과 재미를 유도하는 텐저블 코딩 블록의 개념도이다.
Figure 112018076375124-pat00001
Tangible coding blocks (HW)
- 직관적으로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코딩 블록들
- 다양한 모양의 블록들을 원하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타겟(목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코딩 학습이 가능한 하드웨어
- PCB와 제어부, 저장부, 통신부(BLE, Wi-Fi)
Figure 112018076375124-pat00002
다양한 타겟 디바이스 및 콘텐츠 연동을 위한 SDK (SW)
- 장난 등의 스마트 토이(Smart Toy)나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들(LED 조명등, 스피커, 등)을 본 플랫폼과 연동하여 코딩학습교구로 활용하기 위한 Open API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스마트 기기 내의 콘텐츠와 연동되는 API 개발
Figure 112018076375124-pat00003
게임요소들을 융합한 콘텐츠 배포/유통 위한 CMS (SW 시스템)
- 제작된 연동 콘텐츠들을 보다 쉽게 유통하고 자연스럽게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학습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한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Figure 112018076375124-pat00004
학습발달상황 분석을 위한 딥러닝 시스템(SW 시스템)
- 저연령 어린이가 블록들(blocks)을 사용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아이들의 학습행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와 서버로 수집하고, 스마트 기기 자체 또는 서버에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이들의 발달상황을 분석 및 가시화하기 위한 시스템
도 6은 i)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문제 인지, ⅱ) 픽토그램(pictogram)이 표시되는 블록들(blocks)을 통한 논리적 사고, ⅲ) 스토리텔링 게임 또는 스토리텔링 콘텐츠 연동을 통해 목표 달성의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의 동작 시나리오의 예를 보인 그림이다.
도 7은 스토리텔링 게임과 연동된 텐저블 코딩 블록의 파일럿 제품 모양을 보인 그림이다.
도 8은 텐저블 코딩 블록(tangible coding blocks)의 하나의 블록의 파일럿 제품 컨셉 디자인이다.
당사는 기획기술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파일럿 형태로 블록교구를 제작해 보았으며, 스마트 디바이스 상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스토리텔링 콘텐츠 및 스토리텔링 게임과의 연동기능들을 확인하였다.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은 시나리오에 따라 배경화면과 캐릭터가 포함되는 삽화 그림과 이야기 텍스트와 음성 데이터 출력 포함되는 스토리텔링 콘텐츠 및 스토리텔링 게임이 제공되며, 예를들면, 저학년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이솝우화의 스토리텔링 콘텐츠로써 "토끼와 거북이", "교통 신호등 게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스토리와 게임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된다.
파일럿 블록의 형태는 빠른 검증을 위해 큐브모양의 정육면체 모양 또는 Honeycomb 형태의 폴리곤으로 제작되었으며, Honeycomb 형태의 폴리곤의 각 면마다 자석과 철을 번갈아 설치하고 센서들을 부착하여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마트폰의 저연령 어린이 학습 콘텐츠와 연동을 시험해 보았다.
예를들면, 각 블록이 큐브모양의 정육면체 또는 Honeycom 형태의 폴리곤으로 구성된 8면체의 경우 블록의 상면에는 픽토그램이 표시되며, 측면에서는 1면 자석, 2면 철, 3면 자석, 4면 철, 5면 자석, 6면 철, 7면 자석, 8면 철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시작 블록을 기준으로 결착되는 블록들의 순서대로 코딩 함수가 작동되어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이 구동되며, 두 블록의 결착 부분은 블록의 측면의 자석과 철이 결착된다.
당사의 기획 기술 제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제품명 설명 사업화 방법 목표 시장

코드블록스
(CodBlox)
유치원생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3학년 이하)아이들이 직접 손으로 만지면서 코딩학습이 가능한 코딩 블록
1.블록 제품 판매(B2B, B2C)
2.콘텐츠 제공/유통 서비스
초등 교육 기관,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형 교육 콘텐츠 제조사, 스마트 토이
제조사
코딩(coding)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며,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은 텐저블 코딩 블록을 사용하여 퍼즐,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을 사용하여 이 코딩 교육을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의 원리를 배우게 된다.
스마트 토이(Smart Toy) 블록 제품과는 다르게, 코딩 교육 관련 에듀 테크 시장에서, 본 제품은 에듀 테크 도구로써 저연령 어린 자녀에게 맞는 최적의 맞춤형 코딩 학습 가이드와 가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은 에듀 테크 도구로써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와 연동하여 5~9세까지의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저학년 어린이들에게 실제 손에 잡히는 물리적 블록들(blocks)을 블록의 측면의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결착하여 사용됨으로써 직관적 코딩학습이 가능하며, 에듀 테크 시장에 텐저블 코딩 블록 판매와 B2C, B2B 유통, 저연령 어린이의 스토리텔링 콘텐츠와 게임의 유통과 배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향후 국내 및 해외 시장을 개척할 예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700: 텐저블 코딩 블록들 701,702,703: 블록
710: 타겟 디바이스 720: 스마트 기기
730: 서버

Claims (9)

  1. 주문 요청과 결제 처리 후 주문자에게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판매하며, 저연령 어린이의 스토리텔링 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게임과 관련 앱과 Open API SDK를 배포/유통하며, 스마트 기기로 텐저블 코딩 블록 서비스 앱(App)을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텐저블 코딩 블록 서비스 앱(App)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저연령 어린이의 상기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상기 스토리텔링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며 시나리오에 따른 텍스트, 그래픽, 삽화, 소리, 음악,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 기기; 및
    다양한 모양의 픽토그램의 블록들을 원하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코딩 학습이 가능한 하드웨어로써,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이 퍼즐, 블록 맞추기의 게임 방식을 사용하여 시작 블록으로 결착되는 블록의 픽토그램의 순서에 따라 코딩 블록의 프로그램의 기능이 동작되어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의 두 블록의 결착 부분은 자석과 철이 결착되며,
    상기 시작 블록은 PCB 하드웨어와, 배터리부 또는 전원 연결부, 제어부, 저장부, LED와 Bluetooth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연동되는 결착 블록들은 배터리부와 제어부, 저장부, LED와, Bluetooth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을 기준으로 블록들의 결착시에, 상기 시작 블록은 순차적으로 결착 블록의 픽토그램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아 타겟 디바이스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접속되는 순서로 결착 블록들의 타겟 디바이스를 동작 코딩 순서가 생성되어 실행되며,
    상기 시작 블록에 결착되어 동작되는 블록은 LED ON 상태로 출력되며, 결착되지 않는 블록은 LED OFF 상태가 되며, 상기 시작 블록에 연동된 결착 블록이 이격되면, 이격된 블록의 동작이 정지되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은 각 블록이 큐브모양의 정육면체 또는 Honeycom 형태의 8면체 폴리곤으로 제작되며, 각 블록의 상면에는 픽토그램이 표시되며, 측면에서는 1면 자석, 2면 철, 3면 자석, 4면 철, 5면 자석, 6면 철, 7면, 자석, 8면 철로 구성되며, 두 블록의 결착 부분은 자석과 철이 결착되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은, 블록의 측면의 각 면에서 자석과 철이 번갈아 구비되며 상면에 픽토그램이 표시된 블록들로 구성되며, 상기 시작 블록을 중심으로 자석과 철의 인력에 의해 결착되는 결착 블록들을 포함하며, 결착시에 상기 시작 블록은 순차적으로 결착 블록의 픽토그램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토그램은 각 블록의 상면에 디자인 이미지로 표시되며, 시작 로고, 전진, 후진, 좌우 이동키(↑,↓,←,→), 점프(jump), 시계방향 회전(clockwise), 반시계 반향 회전(counter clockwise), 정지 키가 구비되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은 제어부, 저장부,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작 블록에 결착되는 각각의 블록들의 결착 순서에 따라 코딩 학습 동작 명령이 구동되어 제어 신호가 생성되며 근거리 통신(BLE, Wi-Fi)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작동되며, 상기 시작 블록의 통신부(BLE, Wi-Fi)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과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타겟 디바이스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제어부, 저장부, 통신부,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와 구동대상을 구비하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app), 태블릿 PC(app), 스마트 패드(app),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주문자의 주분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처리후,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판매하는 블록 제품 판매부;
    저연령 어린이를 위한 스토리텔링 콘텐츠와 코딩 학습 콘텐츠와 스마트 토이나 임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본 플랫폼과 연동하여 코딩학습교구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Open API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SDK와 코딩 학습 가이드를 제공하는 코딩 학습 콘텐츠 제공부;
    저연령 어린이를 위한 스토리텔링 게임을 제공하는 학습 게임 제공부; 및
    상기 텐저블 코딩 블록들로부터 저연령 어린이의 학습행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서버로 수집하며, 해당 스마트 기기로 아이들의 발달상황을 분석 정보를 제공하며 비쥬얼하게 가시화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학습 발달 상황 분석부;
    를 포함하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자체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되는 스마트 기기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 게임을 보면서 텐저블 코딩 블록들을 사용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 저연령 아이들의 학습행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 자체 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서버로 수집하며, 아이들의 발달상황을 분석 정보를 제공하며 비쥬얼하게 가시화하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KR1020180090082A 2018-08-01 2018-08-01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KR10212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082A KR102126521B1 (ko) 2018-08-01 2018-08-01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082A KR102126521B1 (ko) 2018-08-01 2018-08-01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650A KR20200014650A (ko) 2020-02-11
KR102126521B1 true KR102126521B1 (ko) 2020-06-24

Family

ID=6956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082A KR102126521B1 (ko) 2018-08-01 2018-08-01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400B1 (ko) 2022-03-03 2022-08-22 주식회사 에이아이컨트롤 블록 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코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1255B (zh) * 2020-08-19 2020-11-13 北京理工大学 一种通用大型表演动态舞台视频显示方法
KR102416989B1 (ko) * 2020-09-08 2022-07-05 김대영 코딩 교육용 아두이노 전자블록 어셈블리
KR102409265B1 (ko) * 2020-11-19 2022-06-15 주식회사 파코웨어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코딩교구
CN112466187B (zh) * 2020-12-08 2023-04-18 杭州优必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手势的实物编程控制方法
WO2022149635A1 (ko) * 2021-01-08 2022-07-14 주식회사 럭스로보 Ar을 통한 모듈 조립이 가능한 코딩 교육용 시스템
KR102584040B1 (ko) * 2021-08-31 2023-10-04 강혜민 코딩 원리 학습용 코딩 교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21B1 (ko) * 2015-10-14 2017-03-27 (주)비즈맘 프로그래밍 교육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07749224A (zh) * 2017-11-03 2018-03-02 深圳天行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积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772A (ko) * 2011-03-16 2012-09-26 김명준 컴퓨터그래픽 스크립트로 구현한 효율적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학습기법
KR101913833B1 (ko) * 2016-11-16 2018-12-06 전석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KR101892356B1 (ko) 2016-10-04 2018-08-28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58030A (ko) 2016-11-23 2018-05-31 손승희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KR101843831B1 (ko) 2017-02-10 2018-03-30 주식회사 씨앤알테크 쪼물락 코딩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21B1 (ko) * 2015-10-14 2017-03-27 (주)비즈맘 프로그래밍 교육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07749224A (zh) * 2017-11-03 2018-03-02 深圳天行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积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400B1 (ko) 2022-03-03 2022-08-22 주식회사 에이아이컨트롤 블록 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코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650A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521B1 (ko)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Papadakis Robots and robotics kits for early childhood and first school age
Kim et al. Introduction for freshmen to embedded systems using LEGO Mindstorms
García-Peñalvo et al. Evaluation of existing resources (study/analysis)
Yamamori Classroom practices of low-cost STEM education using scratch
US20210201693A1 (en) Unplugged coding blocks
Sapounidis et al. Tangible user interfaces for programming and education: A new field for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de Albuquerque Wheler et al. Toy user interface design—tools for child–computer interaction
Kounlaxay et al. Design of Learning Media in Mixed Reality for Lao Education.
Sharma et al. Game-theme based instructional module for teaching object oriented programming
KR20150093584A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Han et al. Virtual reality‐facilitated engineering education: A case study on sustainable systems knowledge
Louka Programming environments for the development of CT in preschool educ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101502270B1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28745B1 (ko)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101505598B1 (ko) 로봇 교육 장치
CN107122040A (zh) 一种人工智能机器人与智能显示终端间的交互系统
Hyksová Robotic toys and kits in primary school education
Chernbumroong et al. Thai dance training game-based model
Lyon Encouraging innovation by engineering the learning curve
Shackelford et al. A formative evaluation on a virtual reality game-based learning system for teaching introductory archaeology
Jin et al. Isea: An interesting application of chemistry education based on AR
US11727819B2 (en) Interactive system for teaching sequencing and programming
Analytis et al. Paper robot: A design activity to increase beginner’s prototyping confidence with microcontrollers
CN109165979A (zh) 基于有形编程指令积木的编程教育系统及其营销策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