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030A -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030A
KR20180058030A KR1020160156637A KR20160156637A KR20180058030A KR 20180058030 A KR20180058030 A KR 20180058030A KR 1020160156637 A KR1020160156637 A KR 1020160156637A KR 20160156637 A KR20160156637 A KR 20160156637A KR 20180058030 A KR20180058030 A KR 2018005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coding
block
statement
terminal por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희
우재규
Original Assignee
손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희 filed Critical 손승희
Priority to KR1020160156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8030A/ko
Priority to PCT/KR2017/012348 priority patent/WO2018097502A1/ko
Publication of KR2018005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building blo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어린이 등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제품화된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으로 블록 조립 놀이를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BLOCK FOR PROGRAM CODING}
본 발명은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로그래밍 교육은 텍스트 위주의 교재를 사용하여 교육자가 학생에게 프로그래밍 언어 구현을 시연 및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이 직접 프로그래밍 언어를 구현함으로써 각종 입력에 대한 출력을 확인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방적이거나 교재 중심의 교육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적 암기에 그치게 되어 실제 프로그램의 논리적 흐름이나 상호 연결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교육이 어렵다.
이로 인해 종래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을 수료하는 교육생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실무 프로그래밍에 투입될 수 있는 개발 인력은 항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C언어 및 비주얼 스튜디어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 및 프로그래밍 입문자들이 쉽게 활용 및 접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고가의 비용을 부담하더라도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대부분 교육용이 아닌 실무용으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들이기 때문에 교육적인 보조 수단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단순히 소스 코드를 입력하고 실행해보는 용도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한편, 컴퓨터상에서 여러 명령어를 조합하여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역시 컴퓨터 화면 내에서 구현될 뿐이므로, 특히 코딩 교육의 입문자들(초중등학생 등)이 물리적으로 제품화된 블록을 이용하는 놀이를 통해 쉽게 코딩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2383호 'VPL을 이용한 프로그램 개발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어린이 등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제품화된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으로 블록 조립 놀이를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개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 연산의 프로그래밍이 이뤄지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은, 입력단자부; 출력단자부; 및 스크립트명령문이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서로 결합된 어느 한쪽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의 출력단자부가 다른 한쪽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의 입력단자부와 접촉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어린이 등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제품화된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으로 블록 조립 놀이를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에서 저장부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이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별로 복수개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을 이용한 프로그램 코딩 교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어셈블리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일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4의 시스템에서 외부장치가 작동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에서 저장부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이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별로 복수개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을 이용한 프로그램 코딩 교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어셈블리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일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4의 시스템에서 외부장치가 작동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 연산의 프로그래밍이 이뤄지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으로서,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입력단자부(101); 출력단자부(103); 및 스크립트명령문이 저장된 저장부(105);를 포함하며, 서로 결합된 어느 한쪽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의 출력단자부(103)가 다른 한쪽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의 입력단자부(101)와 접촉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물리적인 형상을 갖는 제품화된 블록으로, 어린이들이 블록 조립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복수개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 연산의 프로그래밍이 이뤄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코딩용 블록(100)은, 입력단자부(101); 출력단자부(103) 그리고 저장부(105)를 포함한다.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물리적인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에서, 일예로 입력단자부(101)는 볼록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출력단자부(103)는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가 돌기/홈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어린아이 등 사용자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을 블록 조립 놀이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가 반드시 돌기/홈 구조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가 서로 접촉하며 연결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어떤 방식이라도 가능하다.
이어서, 저장부(105)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의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은, 시작명령문, 종료명령문, 입력명령문, 처리명령문, 출력명령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에 따라, 그 기능이 바뀌게 된다.
일예로,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시작명령문이라면, 이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시작 블록(100-1)이 된다.
또한,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종료명령문이라면, 이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종료 블록(100-5)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에 따라 블록의 외관 색깔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시작명령문인 소위 시작 블록(100-1)은, 그 외관 색깔이 노란색이고,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스크립트명령문이 종료명령문인 소위 종료 블록(100-5)은, 그 외관 색깔이 빨간색일 수 있다.
이처럼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에 따라 블록의 외관 색깔이 상이하게 구분됨으로써,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을 가지고 블록 조립 놀이를 하는 어린아이들이 색깔별로 쉽게 블록의 기능을 구분하며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여러 명령문 중 출력명령문이 포함된 저장부(105)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 소위 출력 블록(100-4))은, 출력명령문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외부장치(4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부(10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장치(400)는 출력값(출력 데이터, output data)을 전송받아 그 출력값에 따른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외부장치(400)와 통신모듈부(107) 사이의 통신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은,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별도의 전원부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단자부(101)와, 출력단자부(103)와, 스크립트명령문이 저장된 저장부(105)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100)이 복수개 서로 결합되어,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 연산의 프로그래밍이 이뤄지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어셈블리(401); 및 상기 출력값을 전송받아 상기 스크립트명령문에 따른 작업이 수행되는 외부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을 이용한 프로그램 코딩 교육 시스템(403)이 제공된다.
물론, 상술한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어셈블리(4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05)에 저장된 스크립트명령문이 시작명령문인 소위 시작 블록(100-1)과, 저장부(105)에 저장된 스크립트명령문이 종료명령문인 소위 종료 블록(100-5) 사이에, 저장부(105)에 저장된 스크립트명령문이 입력명령문인 소위 입력 블록(100-2), 처리명령문인 소위 처리 블록(100-3), 출력명령문인 소위 출력 블록(100-4)이 순차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각각의 블록들이 순차 결합된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어셈블리(401)는, 도 5에 도시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어셈블리(401)에서, 처리 블록(100-3)에 저장된 처리명령문에 따라 외부장치(400)는 상이한 작동을 수행하게 되며, 일예로, 도 6과 도 7에서는 외부장치(400, 자동차)가 우회전 또는 좌회전한 후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어린이 등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제품화된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으로 블록 조립 놀이를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101 : 입력단자부
103 : 출력단자부
105 : 저장부
107 : 통신모듈부
400 : 외부장치
401 :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어셈블리
403 : 프로그램 코딩 교육 시스템

Claims (4)

  1. 복수개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 연산의 프로그래밍이 이뤄지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은,
    입력단자부;
    출력단자부; 및
    스크립트명령문이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서로 결합된 어느 한쪽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의 출력단자부가 다른 한쪽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의 입력단자부와 접촉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명령문은,
    시작명령문, 종료명령문, 입력명령문, 처리명령문, 출력명령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명령문의 종류에 따라 블록의 외관 색깔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명령문이 포함된 상기 저장부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은,
    상기 출력명령문에 대응되는 상기 출력값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KR1020160156637A 2016-11-23 2016-11-23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KR20180058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637A KR20180058030A (ko) 2016-11-23 2016-11-23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PCT/KR2017/012348 WO2018097502A1 (ko) 2016-11-23 2017-11-02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637A KR20180058030A (ko) 2016-11-23 2016-11-23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030A true KR20180058030A (ko) 2018-05-31

Family

ID=6219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637A KR20180058030A (ko) 2016-11-23 2016-11-23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58030A (ko)
WO (1) WO201809750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818B1 (ko) 2019-04-11 2019-09-17 주식회사플레이코드 코딩교육용 블록
KR20200014650A (ko) 2018-08-01 2020-02-11 (주)미래융합정보기술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WO2020036273A1 (ko) * 2018-08-17 2020-02-20 조인애 유아용 코딩로봇 세트
KR20220032838A (ko) 2020-09-08 2022-03-15 김대영 코딩 교육용 아두이노 전자블록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0661B (zh) * 2021-04-19 2023-04-18 杭州优必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压驻波比的编程积木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591B1 (ko) * 2004-12-24 2006-07-25 김관석 블록완구
KR101284910B1 (ko) * 2011-05-23 2013-07-12 전윤주 프로그래밍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로봇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래밍 방법
KR101344727B1 (ko) * 2012-03-02 2014-01-16 주식회사 유진로봇 지능형 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107126A (ko) * 2014-03-13 2015-09-23 김연태 완구의 동작 프로그래밍 학습 키트
US10229613B2 (en) * 2014-05-07 2019-03-12 Jin Wook Kim Algorithm teaching apparatus using block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650A (ko) 2018-08-01 2020-02-11 (주)미래융합정보기술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WO2020036273A1 (ko) * 2018-08-17 2020-02-20 조인애 유아용 코딩로봇 세트
KR102021818B1 (ko) 2019-04-11 2019-09-17 주식회사플레이코드 코딩교육용 블록
KR20220032838A (ko) 2020-09-08 2022-03-15 김대영 코딩 교육용 아두이노 전자블록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502A1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8030A (ko) 프로그램 코딩용 블록
KR102069096B1 (ko) 피지컬 디바이스의 직접적 원격 제어 장치
Canagarajah Codemeshing in academic writing: Identifying teachable strategies of translanguaging
KR102126521B1 (ko)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CN108230828B (zh) 一种实物化编程系统和编程方法
Dabney et al. No sensor left behind: enriching computing education with mobile devices
CN109416891A (zh) 不插电的编码块
Nigam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ugmented reality tracing application for kindergarten students
KR20210089872A (ko)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Ferreira et al. Be a simulator developer and go beyond in computing engineering
KR101585647B1 (ko) 단말기 및 이와 연계된 교육용 보드 장치
Allsopp Playful programming products vs. programming concepts matrix
US11727819B2 (en) Interactive system for teaching sequencing and programming
Barredo et al. Flow Paths: A standalone tangible board system to create educational games
KR20210142305A (ko) 인공지능 기반 코딩 코칭 서비스 시스템
Saari et al. Computational thinking–Essential and pervasive toolset
Lin et al. To learn programming through internet of Things
Bose et al. STEM Education Needs STEM Talk
KR102124100B1 (ko) 코딩 교육 시스템
KR102634164B1 (ko)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414065B1 (ko) 아두이노의 코딩 교육 시스템
CN215219934U (zh) 一种基于ar识别教学系统
KR102229422B1 (ko) Led 블록을 통한 코딩 학습 방법 및 시스템
Pérez-Marín Teaching programm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stories
Norris et al. Transforming Education in a Primary School: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