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164B1 -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164B1
KR102634164B1 KR1020200189026A KR20200189026A KR102634164B1 KR 102634164 B1 KR102634164 B1 KR 102634164B1 KR 1020200189026 A KR1020200189026 A KR 1020200189026A KR 20200189026 A KR20200189026 A KR 20200189026A KR 102634164 B1 KR102634164 B1 KR 10263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terminal
pins
user
s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518A (ko
Inventor
양동헌
정미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팀도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팀도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팀도서관
Priority to KR102020018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1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판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보드판의 외형 이미지를 스캔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캔 정보를 수신한 경우, 교육지원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던 상기 메인 보드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상기 메인 보드판을 입력부 블록, 출력부 블록, 전원부 블록 및 통신부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대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대영역 각각을 증강현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PROVIDING IoT SYSTEM-BASED TRAINING ON AUGMENTED REALITY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판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보드판의 외형 이미지를 스캔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캔 정보를 수신한 경우, 교육지원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던 상기 메인 보드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상기 메인 보드판을 입력부 블록, 출력부 블록, 전원부 블록 및 통신부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대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대영역 각각을 증강현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 소프트웨어가 강조되면서 IoT(Internet of Things)에 대한 교육 및 시제품 제작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아두이노(Arduino)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고, 이를 이용하여 IoT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교육 역시 증가하였다.
기존 교육에서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학습하지 않고 지엽적인 구성요소 중심의 교육으로 통합적 교육의 한계를 보였고, 구체적으로 구성요소인 아두이노, 센서, 액추에이터, 통신, 모바일 디바이스 등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인식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두이노를 포함한 IoT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구조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응용능력을 향상시키며, 쉽게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판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보드판의 외형 이미지를 스캔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캔 정보를 수신한 경우, 교육지원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던 상기 메인 보드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상기 메인 보드판을 입력부 블록, 출력부 블록, 전원부 블록 및 통신부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대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대영역 각각을 증강현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판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보드판의 외형 이미지를 스캔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획득한 상기 메인 보드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메인 보드판을 입력부 블록, 출력부 블록, 전원부 블록 및 통신부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대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대영역 각각을 증강현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지원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두이노를 포함한 IoT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구조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용능력을 향상시키며, 쉽게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육지원 서버 및 사용자의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보드판을 복수 개의 대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드용 핀의 용도에 기초하여 아두이노 보드 상에 복수 개의 소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보드판을 중심으로 IoT 시스템이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장치에 매칭하는 보드용 핀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육지원 서버 및 사용자의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교육지원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5G,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또한, 교육지원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30)는 메인 보드판(400)에 대한 정보, 마커에 대응하는 각종 아두이노 보드(300)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프로세서(120)의 동작과 함께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30), 사용자의 단말(200) 등과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며, 사용자의 단말(20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스마트 리모컨, 각종 IOT 메인기기 등과 같이 통신을 수행하면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추고, 카메라를 탑재하여 QR 코드 등의 마커를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200)에 해당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0)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판(400)을 중심으로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메인 보드판(400)은 입력부 블록, 출력부 블록, 전원부 블록 및 통신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300)는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전원 단자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아두이노 보드, 마이크로비트, 할로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전원 단자는 핀 형태에 해당할 수도 있고, 슬롯 형태에 해당할 수도 있다. 형태는 경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보드용 핀을 포함하는 아두이노 보드(300)를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서술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비트 또는 할로코드를 제외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아두이노 보드(300)는 다양한 종류(ex 아두이노 우노(UNO), 아두이노 듀에(DUE), 아두이노 메가(MEGA), 아두이노 나노(Nano), 아두이노 레오나르도(Leonardo) 등)가 존재하며, 본 발명에서는 아두이노 우노(Uno) 보드를 중점적으로 고려하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물론, 상기 아두이노 우노(Uno) 외 다른 아두이노 보드가 고려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보드판을 복수 개의 대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드용 핀의 용도에 기초하여 아두이노 보드 상에 복수 개의 소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보드판을 중심으로 IoT 시스템이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의 단말(200)은 카메라를 통해 메인 보드판(400)의 외형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고, 스캔 정보를 교육지원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보드판(400)의 외형 이미지는 자동차, 드론 등 다양한 형태(2D 또는 3D)의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고,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스캔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달리,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단말(200)은 메인 보드판(400)에 부착된 QR 코드 등을 스캔하여 스캔 정보를 교육지원 서버(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스캔 정보를 수신한 경우,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되어 있던 상기 메인 보드판(400)에 대한 정보를 획득(S21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 정보가 자동차 이미지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메인 보드판(400)이 RC카 제조 용도로 이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RC카를 증강현실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캔 정보가 드론 이미지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메인 보드판(400)이 드론 제조 용도로 이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드론을 증강현실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메인 보드판(400)을 입력부 블록(410), 출력부 블록(420), 전원부 블록(430) 및 통신부 블록(440)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대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대영역 각각을 증강현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표시(S220)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는 증강현실 표시, 외형 이미지 스캔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일 것이다.
상기 표시는 도 4와 같이 메인 보드판(400) 내 박스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아두이노 보드(300)는 복수의 보드용 핀(310, 320, 3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드용 핀(310, 320, 330)은 용도(목적)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아두이노 보드(300)에는 인식용 마커(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단말(200)의 카메라를 통해 스캔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인식용 마커는 QR 코드, 바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인식용 마커를 스캔한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스캔 정보(QR 코드, 바코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되어 있던 상기 스캔 정보에 대응하는 아두이노 보드(300)에 대한 정보(인식용 마커가 부착된 아누이노 보드(300)에 대한 종류 내지 특징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여러 종류의 아두이노 보드(300) 및 이에 대응하는 인식용 마커가 그룹핑되어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연결 장치와 연결되는 보드용 핀의 용도에 기초하여 아두이노 보드(300)에서 복수 개의 소영역(310, 320, 330)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소영역(310, 320, 330) 각각을 증강현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장치는 센서(입력부), 출력부(액추에이터), 전원부, 통신부,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두이노 보드(300)에 점퍼 케이블,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장치이면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상기 연결 장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장치는 메인 보드판(4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대영역 각각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입력부 블록(410), 액추에이터는 출력부 블록(420), 전원장치는 전원부 블록(430) 등에 탑재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복수 개의 영역(310, 320, 330)은 케이블 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보드용 핀에 해당하며, 해당 보드용 핀의 용도에 따라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용 목적의 보드용 핀은 핀번호 A0 ~ A5(310)를 나타내고, 디지털용 목적의 보드용 핀은 pin 0 ~ 13(320)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pin 0, 1은 PC와의 시리얼 통신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도면과 달리 pin 2 ~ 13과도 구분(ex 색깔, 다른 형태의 박스 등으로 구분가능)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파워(건전지 연결부 등) 목적의 보드용 핀은 Vin, GND, 5V, 3.3V, RESET, IOREF(input output reference), ARER(analog reference) 등(330)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복수 개의 소영역(310, 320, 330)을 각각 구분하고, 증강 현실로서 상기 복수 개의 소영역 각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200)로 상기 아두이노 보드(300)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아두이노 보드(300) 상의 복수 개의 소영역(310, 320, 330) 각각에 별도의 표시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별도의 표시는 도 3과 같이 아두이노 보드(300) 내 박스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영역(310, 320, 330) 각각에 포함된 보드용 핀의 각 번호(ex A0, GND 등)의 크기가 확대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별도의 메인 보드판(400)을 제작하여 중앙 블럭에 아두이노 보드(300)를 탑재하면, 주변부에 입력부(센서) 블록(410), 출력부(액추에이터) 블록(420), 전원부 블록(430), 통신부 블록(440) 등으로 블록을 지정하여 증강현실 상에서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IoT 시스템 전체에 대해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 보드판(400)에는 별도의 인식용 마커(ex QR 코드, 바코드 등)가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기 별도의 인식용 마커를 스캔하는 경우,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가 상기 메인 보드판(400)을 중심으로 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단말(200)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용 마커외에 사용자의 단말(200)이 상기 메인 보드판(400)의 외형 이미지(2D 또는 3D)를 스캔하는 경우, 프로세서(120)가 상기 메인 보드판(400)을 중심으로 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의 단말(200)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보드판(400)의 형태에 따라 증강현실 콘텐츠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RC 카 등을 제작하는 시뮬레이션이 동작하는 경우,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RC 카 제작에 필요한 센서, 액추에이터, 전원부, 통신부 관련하여 각각을 블록으로 증강현실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4개의 가상 블록(410 내지 440) 각각을 사용자의 단말(200)을 통해서 네모 박스 또는 색칠된 영역 등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때, 센서, 액추에이터, 전원부, 통신부 중 어느 하나(ex 센서)가 상기 아두이노 보드(300)와 연결되는 경우, 해당 블록(ex 입력부 블록 410)의 네모 박스 또는 색칠된 영역은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입력부 블록(410), 상기 출력부 블록(420), 상기 전원부 블록(430) 및 상기 통신부 블록(440)에 복수의 연결 장치 각각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메인 보드판(400)의 상기 외형 이미지와 매칭하는 특정 시뮬레이션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외형 이미지가 자동차 모양인 경우, 특정 시뮬레이션은 RC카 제조 과정에 대한 시뮬레이션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형 이미지가 자동차 모양인 메인 보드판(400)은 RC카 제조 전용 보드판에 해당할 수 있다.
센서는 입력부 블록(410), 액추에이터는 출력부 블록(420) 등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센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특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센서, 액추에이터 등과 아두이노 보드(300) 사이의 결선과정(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프로세서(120)는 특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연결 장치와 상기 아두이노 보드(300) 사이의 결선 방식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추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센서, 액추에이터 등 IoT 시스템 전반적인 방식에 대해서 실습하도록 하고, 각 연결 장치의 아두이노 보드(300)에의 결선 처리에 대해서는 탑재된 연결 장치(ex 센서, 액추에이터 등)를 기초로 가장 적합한 결선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에 대한 교육을 핀 하나하나를 고려하는 결선 처리가 아니라, IoT 시스템 전반적인 개념에 대해 중심을 두고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프로세서(120)는 가장 적합한 결선 방식을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하기 위해 기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여러 다양한 연결 장치를 메인 보드판(400)에 탑재시키고 각 경우에 따른 결선 처리 방식을 도출하고, 이를 정답용 결선 처리 방식과 비교하여 오차를 줄이는 반복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인풋(ex 센서), 아웃풋(ex 액추에이터)이 정해진 상태에서 가장 적합한 결선 방식(회로도)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결국, 상기 메인 보드판(400)의 외형 이미지와 매칭하는 특정 시뮬레이션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교육지원 서버(100)는, 특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연결 장치와 상기 아두이노 보드(300) 사이의 최적의 결선 방식(회로도)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추천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30)에 메인 보드판(400) 또는 아두이노 보드(300)에 매칭하는 복수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시뮬레이션은 적어도 제1 시뮬레이션, 제2 시뮬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뮬레이션은 제작될 시제품에 대한 것으로서, RC카 조립 후 조작, 초음파센서 이용한 동작 실습, 블루투스 모듈 이용한 통신 실습 등 다양한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제1 시뮬레이션(ex 초음파센서 이용한 동작 실습)에 이용되는 연결 장치를 제1 연결 장치(ex 초음파 센서), 제2 시뮬레이션(ex 블루투스 모듈 이용한 통신 실습)에 이용되는 연결 장치를 제2 연결 장치(ex 블루투스 모듈)라고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장치에 매칭하는 보드용 핀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제1 시뮬레이션(ex 초음파센서 이용한 동작 실습)을 수행하면서 상기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상기 제1 연결 장치의 제1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1 보드용 핀을 증강현실로서 표시할 수 있다.
즉, 아두이노 보드(300)에 포함된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제1 연결 장치(ex 초음파 센서)의 제1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1 보드용 핀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초음파 센서의 경우 제1 장치용 핀으로서 VCC, GND, Trig, Echo을 가질 수 있고, 아두이노 보드(300)와 결선할 때 아두이노 보드(300)의 제1 보드용 핀 중 5V(VCC와 매칭), GND(GND와 매칭), A0(Trig와 매칭), A1(Echo와 매칭)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물론, A0, A1 등 제1 연결장치와 결선되는 제1 보드용 핀은 경우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도 5(a)에서 볼 수 있듯이, 실제 아두이노 보드(300)의 제1 보드용 핀(5V 핀, GND 핀, A0 핀, A1 핀)에 별도의 표시가 사용자의 단말(200)에 증강현실로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제1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뒤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제1 연결 장치의 제1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상기 제1 보드용 핀을 표시하되, 제1-1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1-1 보드용 핀은 제1-1 색, 제1-2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1-2 보드용 핀은 제1-2 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육이 목적이므로 사용자가 스스로 실습할 시간이 먼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제1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소정 시간(ex 10분)이 경과한 뒤에 증강현실을 통해 제1 보드용 핀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1-1 장치용 핀(ex Trig)과 매칭하는 제1-1 보드용 핀(ex A0)은 제1-1 색(ex 빨강), 제1-2 장치용 핀(ex Echo)과 매칭하는 제1-2 보드용 핀(ex A1)은 제1-2 색(ex 파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1-1 장치용 핀과 제1-1 보드용 핀이 서로 결선된 경우 상기 제1-1 색 표시를 사용자의 단말(200) 상에서 제거할 수 있고, 제1-2 장치용 핀과 제1-2 보드용 핀이 서로 결선된 경우 상기 제1-2 색 표시를 사용자의 단말(200) 상에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1 보드용 핀과 제1 연결 장치의 제1 장치용 핀이 서로 연결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제2 시뮬레이션(ex 블루투스 모듈 이용한 통신 실습)을 수행하면서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제2 연결 장치의 제2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2 보드용 핀을 증강현실로서 표시할 수 있다.
즉, 아두이노 보드(300)와 초음파 센서의 결선(연결)이 완료된 이후 아두이노 보드(300)와 블루투스 모듈의 결선을 진행하는 것으로서, 아두이노 보드(300)에 포함된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제2 연결 장치(ex 블루투스 모듈)의 제2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2 보드용 핀을 표시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의 경우 제2 장치용 핀으로서 RX, TX, GND, VCC를 가질 수 있고, 아두이노 보드(300)와 결선할 때 아두이노 보드(300)의 제2 보드용 핀 중 A4(RX와 매칭), A5(TX와 매칭), GND(GND와 매칭), Vin(VCC와 매칭)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물론, A4, A5 등 결선되는 제2 보드용 핀은 경우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도 5(b)에서 볼 수 있듯이, 실제 아두이노 보드(300)의 제2 보드용 핀(A4, A5, GND, Vin)에 별도의 표시가 사용자의 단말(200)에 증강현실로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제2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소정 시간(ex 10분)이 경과한 뒤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제2 연결 장치의 제2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2 보드용 핀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제2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 증강현실을 통해 제2 보드용 핀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2-1 장치용 핀(ex RX)과 매칭하는 제2-1 보드용 핀(ex A4)은 제2-1 색(ex 빨강), 제2-2 장치용 핀(ex TX)과 매칭하는 제2-2 보드용 핀(ex A5)은 제2-2 색(ex 파랑)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2-1 장치용 핀과 제2-1 보드용 핀이 서로 결선된 경우 상기 제2-1 색 표시를 사용자의 단말(200) 상에서 제거할 수 있고, 제2-2 장치용 핀과 제2-2 보드용 핀이 서로 결선된 경우 상기 제2-2 색 표시를 사용자의 단말(200) 상에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시뮬레이션 및 상기 제2 시뮬레이션은 다른 하나의 메인 시뮬레이션 안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종속 시뮬레이션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RC카를 제작하는 시뮬레이션(메인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고 할 때, 초음파 센서 결선 과정(제1 시뮬레이션) 및 블루투스 모듈 결선 과정(제2 시뮬레이션)은 메인 시뮬레이션에 포함되어 순서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시뮬레이션 및 상기 제2 시뮬레이션은 각각 독립적인 과정으로서, 교육 과정에 있어서의 각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0단계의 교육 과정이 있다고 할 때, 사용자는 단말(200)을 통해 전 단계인 제1 시뮬레이션을 먼저 수행 완료하고, 다음 단계인 제2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교육실습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시뮬레이션이 수행 완료된 이후 제3 시뮬레이션이 다음 단계로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전 단계인 제1 시뮬레이션 보다 다음 단계인 제2 시뮬레이션의 실습 과정이 어려울 수 있는 것이며, 아두이노 보드(300) 상의 결선되는 핀의 개수에 따라 난이도의 정도를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용되는 연결 장치(복수의 연결 장치 포함)와 매칭하는 보드용 핀의 개수가 많은 시뮬레이션일수록 난이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 교육실습에서 후반부에 다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육이 목적이므로 사용자가 스스로 실습할 시간이 먼저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전술한 바 있다. 즉, 소정 시간(ex 10분)이 경과한 뒤에 사용자의 단말(200) 상에 보드용 핀 각각을 서로 다른 색깔로서 표시(증강현실로서 표현)한다고 서술하였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제1 시뮬레이션 또는 제2 시뮬레이션 각각에서 특정 색으로 표시될 보드용 핀의 숫자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즉, 연결 장치와 매칭하는 보드용 핀의 개수가 많은 시뮬레이션일수록 난이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고, 상기 색깔로서 표시되는 보드용 핀의 숫자가 많을수록 난이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난이도가 높은 시뮬레이션일수록 사용자가 스스로 실습할 소정 시간이 더 길게 필요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시뮬레이션에서 특정 색깔로서 표시된 보드용 핀의 숫자가 4개이고, 제2 시뮬레이션에서 특정 색깔로서 표시된 보드용 핀의 숫자가 8개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색깔로서 표시되는 보드용 핀의 숫자가 많은 제2 시뮬레이션이 더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제1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10분의 소정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나, 제2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20분의 소정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스로 실습할 수 있도록 제공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미리 사용자에 대한 나이, 아두이노 관련 전문지식 정도 등의 정보를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의 나이가 어리거나, 아두이노 관련 전문지식 정도가 낮을수록 기본 소정 시간(ex 10분)보다 더 긴 소정 시간(ex 20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소정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특정 연결 장치(ex LED 모듈)에 특정 인식용 마커(ex QR 코드, 바코드 등)가 부착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인식용 마커를 스캔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스캔 정보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특정 연결 장치가 소정 시뮬레이션에 이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RC 카 조립 과정 관련된 소정 시뮬레이션이 수행되고 있고, 상기 RC 카 조립 과정에 있어서 특정 연결 장치(ex LED 모듈)가 필요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200)이 LED 모듈에 부착된 인식용 마커를 스캔하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식용 마커가 부착된 특정 연결 장치(ex LED 모듈)가 상기 소정 시뮬레이션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이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인식용 마커를 스캔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상기 스캔 정보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소정 시뮬레이션에 기초하여 특정 연결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소정 연결 장치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추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특정 연결 장치(ex LED 모듈 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소정 연결 장치(ex LED 모듈 B, LED 모듈 C 등)를 검색하고, 검색된 다양한 종류의 소정 연결 장치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추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양한 종류의 소정 연결 장치를 가격, 판매 평점, 판매된 수, 제조년도, 판매 대상 등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다양한 종류의 소정 연결 장치를 우선순위별로 순서대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평점이 가장 높은 연결 장치를 1순위로 추천하고, 다음 순위로 판매 평점이 높은 연결 장치를 2순위로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추천된 다양한 종류의 소정 연결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소정 연결 장치가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선택(입력)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서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소정 연결 장치에 대한 견적을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미리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나이, 성별, 아두이노 관련 전문지식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추천하는 연결 장치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받은 사용자의 나이가 초등학생 나이대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초등학생 나이대를 대상으로 하는 연결 장치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정 시뮬레이션이 수행되고 상기 특정 시뮬레이션에 이용되는 연결 장치로서 제1 연결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1 연결 장치를 제2 연결 장치로 변경가능한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제2 연결 장치로의 변경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2 연결 장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특정 시뮬레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기존에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되어 있던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선택(제2 연결 장치)에 기초하여 새로운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존의 제1 연결 장치로서 220Ω의 저항을 이용하고 있는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470Ω의 저항으로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기존에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되어 있던 220Ω의 저항을 이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470Ω의 저항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특정 시뮬레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센서), 출력부(액추에이터), 통신, 전원부 등을 포함한 IoT 시스템을 직접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아두이노 보드(300)의 보드용 핀(인풋 핀, 아웃푼 핀)이 지정되면, 프로세서(120)는 이를 이용하여 IoT 시스템 회로도, PCB 기판, 전자소자 등을 사용자의 단말(200)에 추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10세 이하의 어린이라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이용되는 보드용 핀의 숫자가 기설정 수치보다 낮은 아두이노 보드 기반 회로도(낮은 난이도의 회로도)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200)에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IoT 시스템에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초소형 전자기계 시스템)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아두이노 보드(300)는 통신모듈과 결선(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두이노 보드(300)는 통신모듈을 통해 교육지원 서버(100)에 실습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교육지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전송받은 실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시뮬레이션과 관련된 실습을 진행함에 있어서 평균 실습 완료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특정 시뮬레이션과 관련 소요시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시뮬레이션 다음 난이도의 시뮬레이션을 실습할 때 상기 사용자에게 평균(ex 10분)보다 많은 소정 시간(ex 20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시뮬레이션과 관련된 실습을 진행함에 있어서 평균 실습 완료 시간보다 적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뮬레이션 다음 난이도의 시뮬레이션을 실습할 때,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연결 장치의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보드용 핀에 대한 색깔 표시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습 능력이 뛰어난 사용자에게는 별도의 색깔 표시 등의 힌트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교육지원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의 단말
300: 마이크로컨트롤러(아두이노 보드)
310, 320, 330; 아두이노 보드 내 영역
400: 메인 보드판
410, 420, 430, 440: 메인 보드판 내 블록

Claims (8)

  1.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탑재되는 메인 보드판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a) 상기 메인 보드판의 외형 이미지를 스캔한 스캔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교육지원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던 상기 메인 보드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상기 메인 보드판을 입력부 블록, 출력부 블록, 전원부 블록 및 통신부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대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대영역 각각을 증강현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복수의 보드용 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보드판의 중앙 블록에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탑재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연결 장치와 연결되는 보드용 핀의 용도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소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대영역 각각은 상기 중앙 블록의 주변부에서 상기 복수 개의 소영역 중 대응되는 소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보드용 핀을 포함하는 아두이노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두이노 보드에 인식용 마커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식용 마커를 스캔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던 상기 아두이노 보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대영역 각각에 탑재되면서 센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 장치와 연결되는 상기 보드용 핀의 용도에 기초하여 상기 아두이노 보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소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소영역 각각을 증강현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메인 보드판에 매칭하는 복수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시뮬레이션은 적어도 제1 시뮬레이션, 제2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시뮬레이션에 이용되는 연결 장치를 제1 연결 장치라 하고, 상기 제2 시뮬레이션에 이용되는 연결 장치를 제2 연결 장치라고 할 때,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i-1)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상기 제1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상기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상기 제1 연결 장치의 제1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1 보드용 핀을 표시하고, i-2) 상기 제1 보드용 핀과 상기 제1 연결 장치의 제1 장치용 핀이 서로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상기 제2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상기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상기 제2 연결 장치의 제2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2 보드용 핀을 표시하고,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ii-1)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상기 제1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상기 제1 연결 장치의 제1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상기 제1 보드용 핀을 표시하되, 제1-1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1-1 보드용 핀은 제1-1 색, 제1-2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1-2 보드용 핀은 제1-2 색으로 표시하며, ii-2)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상기 제2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복수의 보드용 핀 중에서 상기 제2 연결 장치의 제2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상기 제2 보드용 핀을 표시하되, 제2-1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2-1 보드용 핀은 제2-1 색, 제2-2 장치용 핀과 매칭하는 제2-2 보드용 핀은 제2-2 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1 보드용 핀 또는 상기 제2 보드용 핀의 숫자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시간의 길이가 달라지고,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나이, 전문지식 정도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소정 시간의 길이를 결정하며,
    상기 메인 보드판의 외형은 자동차 형태 또는 드론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상기 스캔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형태를 상기 증강현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블록, 상기 출력부 블록, 상기 전원부 블록 및 상기 통신부 블록에 복수의 연결 장치 각각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메인 보드판의 상기 외형 이미지와 매칭하는 특정 시뮬레이션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상기 특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연결 장치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사이의 결선 방식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 소정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특정 연결 장치에 특정 인식용 마커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특정 인식용 마커를 스캔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상기 특정 연결 장치가 상기 소정 시뮬레이션에 이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인식용 마커를 스캔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스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교육지원 서버는,
    상기 소정 시뮬레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연결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소정 연결 장치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소정 연결 장치에 대한 견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KR1020200189026A 2020-12-31 2020-12-31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63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026A KR102634164B1 (ko) 2020-12-31 2020-12-31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026A KR102634164B1 (ko) 2020-12-31 2020-12-31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518A KR20220096518A (ko) 2022-07-07
KR102634164B1 true KR102634164B1 (ko) 2024-02-06

Family

ID=8239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026A KR102634164B1 (ko) 2020-12-31 2020-12-31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1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951B1 (ko) * 2017-12-29 2018-07-27 주식회사테스앤테스 마커 인식과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실습장치
KR102104326B1 (ko) * 2019-06-28 2020-04-2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 정비 교육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130A (ko) * 2018-08-25 2020-03-04 김규현 led를 이용한 아두이노 예제 학습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951B1 (ko) * 2017-12-29 2018-07-27 주식회사테스앤테스 마커 인식과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 실습장치
KR102104326B1 (ko) * 2019-06-28 2020-04-2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 정비 교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518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994B2 (en) Interactive phonics game system and method
KR102446805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US10984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uidance in a virtual environment
CN111640171B (zh) 一种历史场景的讲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3069344U (ja) 教育用模型デ―タ入力装置
Yuen et al. Augmented reality and education: Applications and potentials
KR102126521B1 (ko) 유치원 및 초등학교 저학년기의 물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텐저블 코딩 블록 시스템
CN102169367A (zh) 交互式投影显示
Kounlaxay et al. Design of Learning Media in Mixed Reality for Lao Education.
KR101452359B1 (ko)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KR10101028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에 이용되는 사용자 정의 골프코스 제작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KR101670157B1 (ko) 3d 프린터 지원 서비스 방법 및 서버
KR102634164B1 (ko) 증강현실 상에서 IoT 시스템 기반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N106657286A (zh) 一种数据交互的方法及一种虚拟现实终端、一种无人机
KR20150093584A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933910A (zh) 基于实物图文的视听内容播放方法及儿童早教机
KR101502270B1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8694601A (zh) 媒体文件的投放方法和装置
CN117542240A (zh) 一种多人联机系统
KR102463835B1 (ko) 미션 해결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코딩 교육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85647B1 (ko) 단말기 및 이와 연계된 교육용 보드 장치
KR102477976B1 (ko)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CN103379942A (zh) 允许用户定义高尔夫球的虚拟高尔夫模拟装置及方法
US20190217207A1 (en) Game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thematical principles
KR102479950B1 (ko) Ar을 통한 모듈 조립이 가능한 코딩 교육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3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1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