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087B1 -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 Google Patents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087B1
KR102446087B1 KR1020200185647A KR20200185647A KR102446087B1 KR 102446087 B1 KR102446087 B1 KR 102446087B1 KR 1020200185647 A KR1020200185647 A KR 1020200185647A KR 20200185647 A KR20200185647 A KR 20200185647A KR 102446087 B1 KR102446087 B1 KR 10244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rotrusion
coupling
learning
educ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436A (ko
Inventor
변길희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0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유아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유아들이 지루해 하지 않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부재 삽입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교육부재를 결합하는 부재 돌출부와, 상기 부재 삽입홈과 다른 면에서 부재 결합홈의 외측에 부재 결합공간을 갖는 학습교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는 부재 돌출부에 부재 분리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 삽입홈과 부재 결합홈에 결합되어 숫자와 도형 및 한글을 표기하고 상측 선단에 돌출부를 형성한 교육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재 결합홈이 형성되는 상측에 부재 분리홈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부재 결합공간이 형성하되;
상기 교육부재는 몸체의 하측에 돌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부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Learning aids for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본 발명은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유아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유아들이 지루해 하지 않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학습교구는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도구로, 여러 가지 모양의 교구를 이용하여 토막 쌓기, 퍼즐 맞추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심신의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들의 논리 사고력, 공간 사고력, 수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유아학습교구를 선택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교구를 주로 사용하는 유아들이 이 교구의 사용에 흥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오락적인 기능이 포함된 유아학습교구도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오락적 기능이 포함된 유아학습교구로는 게임학습교구와 과학학습교구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서 어린 유아들의 이해력, 사고력, 공동체 의식, 과학적 탐구와 분석, 관찰력 등을 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아학습교구를 통하여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취학 전에 가정에서 효과적으로 숙지시킬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아학습교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교구를 끼워 맞추거나, 그것을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학습내용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그 형태가 단순하고, 조합할 수 있는 내용이 한정되어 있어 이를 사용하는 유아들이 쉽게 지루해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순 조합에 의한 끼워 맞춤 및 분해 또는 토막 쌓기 등은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유아들이 쉽게 지루해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반감되고 있었으며, 그 조합되어 나타나는 형태도 정확하지 않아 자칫 잘못된 인지발달을 유도할 수 있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락적인 기능이 포함된 유아학습교구를 빈번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자칫 흥미위주로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 유아의 인지발달에 불균형이 발생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사물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유아학습교구를 세워야 하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가정에서 상기 유아학습교구를 세우기가 용이하지 않아 이러한 사물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이 쉽게 향상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결국, 유아들의 인지발달을 고르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유아학습교구를 여러 벌 구입하여야 하나, 이경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될 수 있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2019-0102576호(2019. 09. 04. 공개)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85339호(2017. 12. 19. 등록) [문헌 3]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80462호(2005. 03. 23.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459693호(2014. 11. 03. 등록)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양쪽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교구를 통하여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지루해 하지 않고, 재미있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아학습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유아들의 균등한 인지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재 삽입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교육부재를 결합하는 부재 돌출부와, 상기 부재 삽입홈과 다른 면에서 부재 결합홈의 외측에 부재 결합공간을 갖는 학습교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는 부재 돌출부에 부재 분리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 삽입홈과 부재 결합홈에 결합되어 숫자와 도형 및 한글을 표기하고 상측 선단에 돌출부를 형성한 교육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재 결합홈이 형성되는 상측에 부재 분리홈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부재 결합공간이 형성하되;
상기 교육부재는 몸체의 하측에 돌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부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양쪽에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를 조립할 수 있도록 적용한 하나의 교구를 통하여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한글과 영문 또는 숫자 등을 표기할 수 있으므로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지루해 하지 않고, 재미있게 숙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한글과 영문 또는 숫자 등을 반복해서 표기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아들의 균등한 인지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해 이익창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대한 상태상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교육부재를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교육부재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교육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교육부재에 대한 정면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에 관한 것이다.
유아학습용 학습교구(10)는 양면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한쪽면에는 유아의 학습에 사용되는 교육부재(20)를 결합하여 여러 가지 한글과 숫자 등을 다양한 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는 부재 삽입홈(11)이 표면에서 안쪽으로 파여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 하, 좌, 우로 연속해서 반복되게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되는 것이다.
부재 삽입홈(11)이 형성된 합습교구(10)의 다른 면에는 부재 결합홈(15)이 형성되는 외측으로 부재 결합공간(17)이 설치되어 교육부재(20, 20a, 20b, 20c)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끼워 설치하거나 좌,우 및 전, 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요철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부재 결합공간(17)은 교육부재(20, 20a, 20b, 20c)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헐렁한 상태로 결합되어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거나 힘을 주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학습교구(10)의 한쪽 방향 전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부재 삽입홈(11)은 원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의 중앙에 체결홈(13)이 형성되도록 하고, 부재 돌출부(12)의 한 부분 또는 2곳 이상의 여러 부분에 부재 분리홈(14)을 형성해 조립된 교육부재(20)를 손가락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육부재(20)는 부재 삽입홈(11)과 결합되는 몸체(21)로 이루어지며, 상측 선단부를 따라서 돌출부(22)가 형성되어 부재 분리홈(14)을 통해 손가락으로 쉽게걸려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측의 중앙에는 체결홈(13)과 같은 부재홈(2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몸체(21)의 하측 중앙에는 체결홈(13)에 끼워지는 돌부(2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홈(13)과 부재홈(23) 및 돌부(24)를 필요에 따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부재 삽입홈(11)은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삼각형과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연속 반복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교육부재(20)는 학습교구(10)와 구분되는 색채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색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대한 상태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학습교구(10)의 다른 한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교육부재(20)가 결합하는 부재 결합홈(15)의 외측으로 부재 결합공간(17)을 형성하고, 상기 부재 결합홈(15)의 상측 한 부분 또는 또는 2곳 이상의 여러 부분에 부재 분리홈(14a)을 형성해 손가락으로 교육부재(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육부재(20)는 부재 결합홈(15)과 결합되며, 상측 선단부를 따라서 형성된 부재 분리홈(14a)을 통해 손가락으로 쉽게 걸어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측의 중앙에는 결합홈(16)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교육부재(20a, 20b, 20c)는 길이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원형 및 사각형과 같이 다양한 도형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부재 결합공간(17)에 결합되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홈(16)을 필요에 따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부재 결합홈(15)은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삼각형과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연속 반복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교육부재를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교육부재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교육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교육부재(20)는 몸체(21)의 부재홈(23)과 돌부(24)를 이용해 연속해서 적층시켜 교육부재(20a)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 원하는 길이로 조절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교육부재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교육부재(20a, 20b, 20c)는 일자형태와 원형 및 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부재 결합공간(17)에 다양한 공간도형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학습교구(10)와 구분되는 색채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색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 삽입홈(11)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고 다수의 교육부재(20)를 부재 삽입홈(11)에 삽입하여 숫자와 도형 및 사칙연산 등과 같은 여러가지 모양을 나타내는 놀이를 수행하게 되므로 이러한 놀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주의력, 관찰력, 수 개념, 한글의 자음과 모음 등이 발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나타내고자 하는 숫나와 도형 및 사칙연산에 해당하는 부재 삽입홈(11)에 교육부재(20)를 끼워 정확하게 결합해야 그 형상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주위가 산만한 유아의 경우 이러한 놀이방법을 통하여 주의력과 집중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재 삽입홈(11)에 교육부재(20)가 독립되게 결합되어 전체적인 연결을 통하여 정확한 형상을 나타내므로, 유아는 숫자, 도형, 사직연산, 공간도형 등과 같은 교육부재(20)의 조합을 통하여 익히도록 함으로써 학습내용에 대한 올바른 판단 및 그 이해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아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재 삽입홈(11)에 결합되어 여러가지 모양으로 조합되는 교육부재(20)가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어 복잡한 사물의 형상을 파악하고 사고 추리력 및 구성력 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학습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육부재(20)는 부재 삽입홈(11)에 몸체(21)를 독립적으로 삽입시키는 것을 통하여 다른 색채를 제공해 부재 삽입홈(11)과 구별되는 색채를 통하여 다양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21)가 부재 삽입홈(11)에 일치된 상태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교육부재(20)의 하측에 형성된 돌부(24)를 체결홈(13)과 요철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21)의 상측에는 돌출부(22)를 형성해 교육부재(20)를 다른 상황으로 변경시키거나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 부재 분리홈(14)을 통하여 손가락을 넣어 돌출부(22)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교육부재(20)를 부재 삽입홈(11)에서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학습교구(10)를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 결합홈(15)이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고 교육부재(20, 20a)를 끼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성을 통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며, 교육부재(20a, 20b, 20c)를 부재 결합홈(15) 또는 부재 결합공간(17)에 결합시켜 공간도형을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도형을 이해하고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물의 형상에 대한 이해력 및 그 형상에 따른 움직임의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로 다른 높이의 교육부재(20, 20a, 20b, 20c)를 부재 결합공간(17)에 끼워 고정하거나 세워 그 형상이 각기 다른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 개념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육부재(20)는 부재 결합홈(15)에 몸체(21)를 독립적으로 삽입시키는 것을 통하여 다른 색채를 제공해 부재 결합홈(15)과 구별되는 색채를 통하여 다양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21)가 부재 결합홈(15)에 일치된 상태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교육부재(20)의 하측에 형성된 돌부(24)를 결합홈(16)과 요철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교육부재(20)는 몸체(21)의 상측에 돌출부(22)를 형성해 교육부재(20)를 다른 상황으로 변경시키거나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 부재 분리홈(14a)을 통하여 손가락을 넣어 돌출부(22)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교육부재(20)를 부재 결합홈(15)에서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육부재(20)의 몸체(21) 상측에 새로운 몸체(21)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부(24)를 상측의 부재홈(23)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수개를 조립해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이 높이를 조절한 교육부재(20, 20a)를 그대로 보관하거나 부재 결합홈(15)에 끼워 다양한 형태의 높이를 조절해 놀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교육부재(20b, 20c)는 원형 및 사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이용해 부재 결합홈(15)의 외측에 형성되는 부재 결합공간(17)에서 공간도형을 다양하게 형성해 유아들의 인지발달과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및 사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학습교구와 교육부재를 이용해 사물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 및 공간개념, 부피 등을 사전에 습득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아들의 인지발달이 향상된 상태로 취학하게 되므로 학업생활에 적응력을 높이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학습교구 11 : 부재 삽입홈
12 : 부재 돌출부 13 : 체결홈
14, 14a : 부재 분리홈 15 : 부재 결합홈
16 : 결합홈 17 : 부재 결합공간
20, 20a, 20b, 20c : 교육부재 21 : 몸체
22 : 돌출부 23 : 부재홈
24 : 돌부

Claims (5)

  1. 부재 삽입홈(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교육부재(20)를 결합하는 부재 돌출부(12)와, 상기 부재 삽입홈(11)과 다른 면에서 부재 결합홈(15)의 외측에 부재 결합공간(17)을 갖는 학습교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재 삽입홈(11)이 형성되는 부재 돌출부(12)에 부재 분리홈(14)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 삽입홈(11)과 부재 결합홈(15)에 결합되어 숫자와 도형 및 한글을 표기하고 상측 선단에 돌출부(22)를 형성한 교육부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재 결합홈(15)이 형성되는 상측에 부재 분리홈(14a)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부재 결합공간(17)이 형성하되;
    상기 교육부재(20)는 몸체(21)의 하측에 돌부(24)가 형성되고 상측에 부재홈(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삽입홈(11)은 몸체(21)의 하측에 돌부(24)가 형성되고 상측에 부재홈(23)이 형성되는 교육부재(20)를 결합하는 내부 중앙에 체결홈(1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결합홈(15)은 몸체(21)의 하측에 돌부(24)가 형성되고 상측에 부재홈(23)이 형성되는 교육부재(20)를 결합하는 내부 중앙에 결합홈(16)이 형성되고 상측에 부재 분리홈(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부재(20)는 몸체(21)의 하측에 형성한 돌부(24)가 상측에 형성한 부재홈(23)과 결합해 다수개를 적층해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KR1020200185647A 2020-12-29 2020-12-29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KR10244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47A KR102446087B1 (ko) 2020-12-29 2020-12-29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47A KR102446087B1 (ko) 2020-12-29 2020-12-29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436A KR20220094436A (ko) 2022-07-06
KR102446087B1 true KR102446087B1 (ko) 2022-09-23

Family

ID=8239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647A KR102446087B1 (ko) 2020-12-29 2020-12-29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0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10B1 (ko) 2006-12-08 2008-07-24 유일희 다기능 모자이크 학습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2198U (ko) * 1976-03-11 1977-09-17
KR200323454Y1 (ko) * 2003-05-30 2003-08-19 이규휘 유아학습교구
KR200380462Y1 (ko) 2004-12-16 2005-03-30 김춘열 어린이 학습교구
KR200455377Y1 (ko) * 2008-11-20 2011-09-02 녹색지팡이 주식회사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KR101459693B1 (ko) 2014-05-30 2014-11-17 김영순 유아용 블록식 학습교구
KR200485339Y1 (ko) 2015-10-22 2017-12-26 주식회사 타임교육 도형이동 교육용 학습교구
KR102078091B1 (ko) * 2017-10-23 2020-02-17 오연재 놀이와 교육을 접목한 어린이용 스마트 토이
KR102497847B1 (ko) 2018-02-26 2023-02-08 주식회사 코보 전자블록에 기반한 학습교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10B1 (ko) 2006-12-08 2008-07-24 유일희 다기능 모자이크 학습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5005호(2019.5.2. 공개) 1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3454호(2003.8.19. 공고) 1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377호(2011.9.2. 공고)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436A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4476A (en) Educational methods and devices
Lockhart A mathematician's lament: How school cheats us out of our most fascinating and imaginative art form
US20130217296A1 (en) Modular toy system
US7452211B1 (en) Educational box toy and method
WO2008051046A1 (en) Assembly toy block set
US20070048693A1 (en) Educational system and tools
KR102446087B1 (ko)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KR200449274Y1 (ko) 유아용 학습 교구
Cabrera et al. The world at our fingertips
Ollerton Getting the buggers to add up 2nd edition
KR101302538B1 (ko) 언어 학습 퍼즐
CN201955955U (zh) 一种幼儿数学学具
KR102202501B1 (ko) 한글 학습장치
EP3445465B1 (en) Constructional toy
KR20100114285A (ko) 학습용 퍼즐
KR100846916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놀이 집
US6176704B1 (en) Children's learning toy
JP3114668U (ja) 図形学習補助用具
US9017077B2 (en) Block learning game
KR200295865Y1 (ko) 어린이용 학습구
KR102026835B1 (ko) 매쓰 큐브 교구
WO2023286089A1 (en) Toys and virtual game for a great learning experience, entertainment
KR200323454Y1 (ko) 유아학습교구
Koby Interview Bethany Koby
Silberfeld et al. The Early Years Foundation Stage curriculum in England: a missed opportun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