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454Y1 - 유아학습교구 - Google Patents

유아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454Y1
KR200323454Y1 KR20-2003-0017074U KR20030017074U KR200323454Y1 KR 200323454 Y1 KR200323454 Y1 KR 200323454Y1 KR 20030017074 U KR20030017074 U KR 20030017074U KR 200323454 Y1 KR200323454 Y1 KR 200323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teaching
infants
precinct
par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휘
Original Assignee
이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휘 filed Critical 이규휘
Priority to KR20-2003-0017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학습 교구에 관한 것으로, 교구몸체(10)의 일면에는 교육부재(20)를 수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조합할 수 있는 안착홈(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며, 다른 일면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교육부재(21)를 끼움 고정하여 세울 수 있는 결합홈(1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숫자, 도형, 사칙연산, 사물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 등과 같은 학습내용을 교구몸체(10)의 일면 및 다른 일면에 형성된 안착홈(11)과 결합홈(12)에 각각 교육부재(20)(21)를 수용시키거나, 끼움 고정하여 세우는 것을 통해 숙지시키게 되므로써, 유아들이 지루해 하지 않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어 교육효과가 극대화되게 된다.
그러므로, 유아들의 균등한 인지발달을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취학 후 학업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유아학습교구{Teaching Tools for Infants}
본 고안은 유아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유아들이 지루해 하지 않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게 하여 교육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학습교구는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도구로, 여러 가지 모양의 교구를 이용하여 토막 쌓기, 퍼즐 맞추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심신의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들의 논리 사고력, 공간 사고력, 수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유아학습교구를 선택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교구를 주로 사용하는 유아들이 이 교구의 사용에 흥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오락적인 기능이 포함된 유아학습교구도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오락적 기능이 포함된 유아학습교구로는 게임학습교구와 과학학습교구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서 어린 유아들의 이해력, 사고력, 공동체 의식, 과학적 탐구와 분석, 관찰력 등을 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아학습교구를 통하여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취학 전에 가정에서 효과적으로 숙지시킬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아학습교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교구를 끼워 맞추거나, 그것을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학습내용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그 형태가 단순하고, 조합할 수 있는 내용이 한정되어있어 이를 사용하는 유아들이 쉽게 지루해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순 조합에 의한 끼워 맞춤 및 분해 또는 토막 쌓기 등은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유아들이 쉽게 지루해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반감되고 있었으며, 그 조합되어 나타나는 형태도 정확하지 않아 자칫 잘못된 인지발달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락적인 기능이 포함된 유아학습교구를 빈번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자칫 흥미위주로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 유아의 인지발달에 불균형이 발생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사물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유아학습교구를 세워야 하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가정에서 상기 유아학습교구를 세우기가 용이하지 않아 이러한 사물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이 쉽게 향상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결국, 유아들의 인지발달을 고르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유아학습교구를 여러 벌 구입하여야 하나, 이 경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될 수 있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하나의 교구를 통하여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지루해 하지 않고, 재미있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아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아들의 균등한 인지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유아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아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교육부재의 수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면에 형성된 안착홈을 통한 교육부재의 조합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한 교육부재의 끼움 고정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교구몸체 11 - 안착홈
12 - 결합홈 13 - 끼움통로
20, 21, 22 - 교육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구몸체의 일면에는 교육부재를 수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조합할 수 있는 안착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며, 다른 일면에는 상기 교육부재를 끼움 고정하여 세울 수 있는 결합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숫자, 도형, 사칙연산, 사물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 등과 같은 학습내용을 교구몸체의 일면 및 다른 일면에 형성된 안착홈과 결합홈에 각각 교육부재를 수용시키거나, 끼움 고정하여 세우는 것을 통해 숙지시키게 되므로써, 유아들이 지루해 하지 않고, 재미있게 숙지할 수 있어 교육효과가 극대화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다수의 교육부재를 수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할 수 있도록 교구몸체의 상면에 안착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저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교구몸체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하여 교육부재를 끼움 고정하여 세운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교육부재의 수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학습에 필요한 기호, 숫자, 문자를 나타내기 위하여 교육부재가 안착홈에 수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면에 형성된 안착홈을 통한 교육부재의 조합상태를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으로, 교육부재를 통하여 나타낼 수 있는 학습내용의 실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한 교육부재의 끼움 고정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교구몸체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교육부재가 끼움 고정되어 세워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유아학습용 교구몸체(10)의 일면에는 유아의 학습에 사용되는 교육부재(20)를 수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조합할 수 있는 안착홈(11)이 상기 교구몸체(10)의 내측으로 파여져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안착홈(11)이 형성된 상기 교구몸체(10)의 다른 일면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교육부재(21)를 끼움 고정하여 세울 수 있는 결합홈(1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며, 이 결합홈(12)과 결합홈(12) 사이에는 원형으로 구성된 교육부재(22)를 끼워 설치하거나 또는 좌, 우 및 전, 후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끼움통로(13)가 소정의 깊이를 갖고 파여지게 형성된다.
이 끼움통로(13)의 폭은 교육부재(22)의 두께와 상응하는 크기로 다소 헐거운 상태로 교육부재(22)를 끼워서 설치하거나 약간의 힘을 주어 통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설계, 제작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11)과 결합홈(12)이 각각 일면 및 다른 일면에 형성된 교구몸체(10)의 형상을 본 고안에서는 사각으로 형성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또한, 상기 안착홈(11)에 수용되는 교육부재(20)는 학습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교육부재(20)를 안착홈(11)에 용이하게 안착 내지 분리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교구몸체(10)의 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된 안착홈(11)에 교육부재(20)를 용이하게 수용시켜 숫자, 도형, 사칙연산 등과 같은 학습내용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형상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교구몸체(10)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2)에 끼움 고정되어 세워지는 교육부재(21)는 그 끼움 고정되어 세워진 상태가 흔들림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1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미취학 유아들이 교구몸체(10)를 일면에 형성된 안착홈(11)이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다수의교육부재(20)를 상기 안착홈(11)에 수용하여 숫자, 도형, 사칙연산 등과 같은 여러가지 모양을 나타내는 놀이를 수행하게 되면, 이 놀이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 유아들은 주의력, 관찰력, 수 개념 등이 발달되게 된다.
이는, 나타내고자 하는 숫자 및 도형에 해당되는 안착홈(11)에 교육부재(20)를 정확히 수용시켜야 그 형상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주위가 산만한 유아의 경우 이러한 놀이방법을 통하여 주의력과 집중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11)에 교육부재(20)가 수용되어 정확한 형상을 나타내게 되므로, 유아는 숫자, 도형, 사칙연산, 공간도형 등과 같은 교육부재(20)의 조합을 통하여 배울 수 있는 학습내용에 대한 올바른 판단 및 그 이해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유아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착홈(11)에 수용되어 여러 가지 모양으로 조합되는 교육부재(20)가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게 되면, 복잡한 사물의 형상을 파악하는 사고 추리력 및 구성력 등이 향상될 수 있어 그 학습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교구몸체(10)를 다른 일면에 형성된 결합홈(12)이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서로 다른 높이의 교육부재(21)를 끼움 고정하여 세우는 놀이를 수행하게 되면, 유아는 사물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 및 입체가 점유하는 공간 부분의 크기인 부피에 대한 개념을 숙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부재(21)를 세울 수 있도록 끼움 고정하는 결합홈(12)과결합홈(12) 사이에 형성된 끼움통로(13)를 통해서는 예로서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구성된 교육부재(22)를 결합시켜 공간도형을 제작하고 이해하거나 좌, 우 또는 전, 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물의 형상에 대한 이해력 및 그 형상에 따른 움직임의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높이의 교육부재(21)를 결합홈(12)에 끼움 고정하여 세우거나, 그 형상이 각각 다른 교육부재(22)를 끼움통로(22)에 결합시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서는 수 개념을 숙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유아학습교구(1)를 이용한 놀이수행을 통해서 미취학 유아들이 취학 후 느낄 수 있는 혼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안착홈(11)에 교육부재(20)를 수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나타내는 과정을 통해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및 사물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결합홈(12)에 끼움 고정되어 세워지는 서로 다른 높이의 교육부재(21)를 통해서는 사물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 및 공간개념, 부피 등을 사전에 습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아들의 인지발달이 향상된 상태로 취학하게 되므로, 학업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유아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숫자, 도형, 사칙연산 등과 같은 학습내용을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게 되므로써, 유아들의 균등한 인지발달을 도모할 수 있어 취학 후 느낄 수 있는 혼동을방지함과 아울러, 학업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타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교구몸체(10)의 일면에는 교육부재(20)를 수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조합할 수 있는 안착홈(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게 형성되며, 다른 일면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교육부재(21)를 끼움 고정하여 세울 수 있는 결합홈(1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고, 그 배면에는 결합홈(12) 사이로 교육부재(21)를 끼워 설치하기 위한 끼움통로(13)가 파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학습 교구.
KR20-2003-0017074U 2003-05-30 2003-05-30 유아학습교구 KR200323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74U KR200323454Y1 (ko) 2003-05-30 2003-05-30 유아학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74U KR200323454Y1 (ko) 2003-05-30 2003-05-30 유아학습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454Y1 true KR200323454Y1 (ko) 2003-08-19

Family

ID=4933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074U KR200323454Y1 (ko) 2003-05-30 2003-05-30 유아학습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4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436A (ko) * 2020-12-29 2022-07-0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436A (ko) * 2020-12-29 2022-07-0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ad et al. Play and Cognitive Development: Formal Operational Perspective of Piaget's Theory.
Freiman Problems to discover and to boost mathematical talent in early grades: A challenging situations approach
Schwartz Teaching young children mathematics
US5620324A (en) Educational kit including separable alphanumeric symbols
US6599131B2 (en) Modular educational and/or recreational apparatus to vary learning levels
KR20110048824A (ko) 아동을 위한 한글 학습교구
KR200323454Y1 (ko) 유아학습교구
Kim et al. A study to empower children to design movable tactile picture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KR20170068884A (ko) 영어교육용 자석블록
KR200468095Y1 (ko) 유아용 학습 교구
KR200449274Y1 (ko) 유아용 학습 교구
KR200397005Y1 (ko) 유아용 학습 완구
KR101663076B1 (ko) 체험학습도구
Smith Use of the mid-lecture break in chemistry teaching: A survey and some suggestions
KR200358266Y1 (ko) 곱셈표 놀이 기구
KR200363366Y1 (ko) 유아용 학습교구
PLaY Making room for diverse cultural expressions of play in the retheorization of play activities
JP5087227B2 (ja) 算数教育用教具、及びこれを用いた算数教育方法
KR200260817Y1 (ko) 유아교육용 조립학습교구
KR102446087B1 (ko)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CN214633991U (zh) 一种小黄人计数玩具
KR200465040Y1 (ko) 분수 학습 교구
KR20210060928A (ko)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KR200411235Y1 (ko) 시계 학습교구
Silverman et al. Advice to Parents: In Search of the Perfec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