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928A -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 Google Patents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928A
KR20210060928A KR1020190148503A KR20190148503A KR20210060928A KR 20210060928 A KR20210060928 A KR 20210060928A KR 1020190148503 A KR1020190148503 A KR 1020190148503A KR 20190148503 A KR20190148503 A KR 20190148503A KR 20210060928 A KR20210060928 A KR 20210060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asic frame
children
mathematics
inf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섭
Original Assignee
김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섭 filed Critical 김정섭
Priority to KR1020190148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928A/ko
Publication of KR2021006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및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기둥과 고리구, 수막대판과 숫자카드, 및 2색블록 등의 보조교구를 활용하여, 시각 및 감각을 통하여 수학개념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교육용 보조교구를 올려놓거나 끼워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구조로서 사각형의 기본틀을 마련하고, 상기 기본틀의 평면에 가로줄 및 세로줄이 교차하도록 장홈을 격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장홈에 의해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되는 랜드부를 형성하되 가로 및 세로로 나열하여 적어도 10칸씩 나열하고, 상기 장홈의 교차 지점에 기둥홈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틀의 저면에 가로 및 세로로 적어도 10칸씩 나열된 블록요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Math educational tools for toddlers and kids}
본 발명은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기둥과 고리구, 수막대판과 숫자카드, 및 2색블록 등의 보조교구를 활용하여, 시각 및 감각을 통하여 수학개념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 및 유아용 교육 도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교육학적으로 조기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유아기나 취학 전 어린이의 수학적인 개념교육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학적인 요구를 감안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여러 가지의 교구를 사용하여 유아 및 어린이에게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것들은 주로 간단하고 단조로운 교구를 사용하므로 수학적인 개념을 교육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수학 교육용 교구는 맞추기 또는 숫자 익히기 등의 어느 하나의 목적에만 치중하여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금까지의 수학 교육용 교구는 하나의 기본판에서 종합적이고 다양하게 수학의 개념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 제안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아 및 취학 전 어린이의 교육을 위하여, 수기동과 고리구, 수막대판과 숫자카드, 및 2색블록 등의 다양한 보조교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및 감각을 통하여 종합적인 수학개념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본틀의 평면과 저면 양쪽에서 모두 보조교구를 활용하여 수학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는 바둑판 모양의 기본틀의 평면과 저면에, 각각 장홈, 기둥홈, 랜드부 및 블록요홈을 형성하고, 다양한 보조교구를 활용하여 유아 및 취학 전 어린이에게 수학적 기초능력을 함양은 물론, 더하기와 빼기 그리고 곱하기와 나누기 등의 수학적 연산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학의 개념을 감각적으로 익힐 수 있고, 사물의 관찰과 위치개념학습은 물론, 같은 것과 다른 것들의 분류할 수 있는 시각적 및 감각적인 종합 수학개념 교육을 실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의 평면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사용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면 사용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교육용 보조교구를 올려놓거나 끼워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구조로서 사각형의 기본틀을 마련하고, 상기 기본틀의 평면에 가로줄 및 세로줄이 교차하도록 장홈을 격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장홈에 의해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되는 랜드부를 형성하되 가로 및 세로로 나열하여 적어도 10칸씩 나열하고, 상기 장홈의 교차 지점에 기둥홈을 형성하며, 상기 기본틀의 저면에 가로 및 세로로 적어도 10칸씩 나열된 블록요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본틀과 함께 활용하는 보조교구로서, 상기 랜드부에 올려지거나 장홈에 끼워 고정되는 것으로 1부터 10까지의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된 수막대판과; 상기 랜드부에 올려지거나 장홈에 끼워 고정되는 것으로 1부터 10까지의 각각 다른 숫자나 기호가 표시된 숫자카드와; 상기 기둥홈에 끼워 고정되는 것으로 1부터 10까지의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된 수기둥과; 상기 수기둥에 끼워 결합되는 것이며 다색으로 형성된 고리구; 그리고 상기 블록요홈에 끼워 놓을 수 있고 평면과 저면이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어 뒤집기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2색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의 베이스구조로서, 기본틀(1)의 평면 쪽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틀(1)은 사각형이며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평면에 격자형으로 장홈(3)을 형성하여 바둑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장홈(3)은 평면에 가로줄 및 세로줄이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홈(3)에 의해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되어 랜드부(5)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랜드부(5)는 가로 및 세로로 나열하여 1부터 10까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10칸씩 나열되어서 전체적으로 100까지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랜드부(5)는 가로 및 세로로 20칸씩을 나열하여 전체적으로 400까지의 수를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장홈(3)이 교차하는 지점 즉, 랜드부(5)의 모서리 부분에는 원형의 기둥홈(7)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본틀(1)을 이용하여 수학 개념 교육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기본틀(1)과 함께 활용하는 보조교구로서, 상기 랜드부(7)에 올려지거나 장홈(3)에 끼워 고정되고 1부터 10까지의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된 수막대판(9)과, 상기 랜드부(7)에 올려지거나
장홈(3)에 끼워 고정되는 것으로 1부터 10까지의 각각 다른 숫자나 +, -, = 등의 수학 기호가 표시된 숫자카드(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 사용 예로서, 숫자카드(11)는 기본틀(1)의 랜드부(7)에 1부터 10까지 숫자를 나타내도록 순차 나열할 수 있고, 그 숫자에 맞는 수막대판(9)을 선택하여 위아래로 배치함으로써 수학적인 개념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2칸짜리와 3칸짜리의 수막대판(9)을 나열하고 그 아래쪽에 '2+3=5'라는 숫자카드(11)를 놓거나, 5칸짜리와 1칸짜리 수막대판(9)을 장홈(3)에 끼우고 그 아래쪽에 '5+1=6'이라는 숫자카드(11)를 배치함으로써, 수학의 더하기 개념을 교육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6칸짜리 수막대판(9)을 위에 놓고 아래에 4칸짜리와 2칸짜리 수막대판(9)을 놓은 상태에서, 4칸 또는 2칸짜리 수막대판(9)을 제거하여 수학의 빼기 개념을 교육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10칸짜리 수막대판(9)을 랜드부(5)에 올려놓고, 그 아래쪽에 2칸, 3칸 및 5칸짜리 수막대판(9)을 나열함으로써, 여럿의 숫자의 합에 의해 10의 숫자가 되는 개념을 교육할 수 있고, 2줄을 모두 합하면 20의 숫자가 되는 연산 개념 교육도 병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수막대판(9)과 숫자카드(11)는 랜드부(5)에 수평으로 올려 놓거나, 장홈(3)에 끼움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활용은 사용자에 따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틀(1)과 함께 활용하는 보조교구로서, 상기 기둥홈(7)에 끼워 고정되는 것으로 1부터 10까지의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된 수기둥(13)과, 상기 수기둥(13)에 끼워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정 크기이고 다색으로 형성된 고리구(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 사용 예로서, 상기 수기둥(13)은 기본틀(1)의 기둥홈(7)에 각각 다른 길이를 갖는 여러 개의 것을 끼워 고정 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길이에 맞는 수만큼 고리구(15)를 하나씩 끼우면서 숫자의 개념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수기둥(13)에 고리구(15)를 하나 끼우면 1인 것을 알 수 있고, 두 개 끼우면 2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세 개 끼우면 3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리구(15)는 각각 다른 색으로 형성되어, 수기둥(13)에 고리구(15)를 끼운 상태에서 아래 또는 위에 있는 고리구(15)가 무슨 색인가를 학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수 개념과 함께 공간 개념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본틀(1)의 랜드부(5) 및 장홈(3)에 버스, 집, 나무 등의 형상교구 올려놓거나 끼워놓아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집 뒤에는 무엇이 있나요?" 또는 "집 앞에는 무엇이 있나요?" 하는 식의 공간 감각적인 교육 및 분류 개념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형상교구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체, 비행기, 물고기, 통, 동식물, 울타리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하여, 공간 감각적인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의 베이스구조이며, 기본틀(1)의 저면 쪽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틀(1)의 저면에는 가로 및 세로로 적어도 10칸씩 나열하여 1부터 10까지를 나타낼 수 있고, 전체적으로 100까지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 블록요홈(17)을 형성한다. 상기 블록요홈(17)은 가로 및 세로로 20칸씩을 나열하여 전체적으로 400까지의 수를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블록요홈(17)은 사각요홈(17a) 및 원형요홈(17b)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테두리쪽에 사각요홈(17a)을 형성하고 내측에 원형요홈(17b)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본틀(1) 저면 구조를 이용하여 수학 개념 교육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 5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본 발명은 블록요홈(17)과 함께 활용하는 보조교구로서, 상기 블록요홈(17)에 삽입될 수 있고 평면과 저면이 각각 다른 색상으로 형성된 2색블록(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사용 예로서, 2색블록(11)은 바둑판의 격자 모양으로 된 블록요홈(17)을 이용하여 오목게임, 뒤집기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록요홈(17)에 2색블록(11)을 혼합하여 올려놓고, 같은 색의 2색블록(11)을 빼면서 수학의 원리 및 감각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틀(1)은 교구함(21)의 상부에 덮여져 포장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교구함(21)에는 고정턱(21a)을 형성하고 기본틀(1)의 테두리에는 걸림대(1a)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교구함(21)에는 돌기(21b)를 형성하고 기본틀(1)의 해당 위치에는 홈(1a)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어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교구함(21)의 내부에는 다수 칸막이를 형성하고, 여기에 상술한 다양한 보조교구를 수납하여 정리할 수 있으며, 판매시 포장을 더욱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를 가진 것이며,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하여 심도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Claims (4)

  1. 교육용 보조교구를 올려놓거나 끼워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사각형의 기본틀;
    상기 기본틀의 평면에 가로줄 및 세로줄이 교차하도록 격자형으로 형성된 장홈;
    상기 장홈에 의해 가로 및 세로로 나열하여 바둑판 모양으로 형성된 랜드부;
    상기 장홈의 교차 지점에 형성된 기둥홈; 그리고 상기 기본틀의 저면에 가로 및 세로로 나열하여 형성된 블록요홈을 포함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랜드부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10칸씩 나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수학 교구.
  3.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요홈은 사각요홈 및 원형요홈을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10칸씩 나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랜드부에 올려지거나 장홈에 끼워 고정되는 것으로 1부터 10까지의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된 수막대판;
    상기 랜드부에 올려지거나 장홈에 끼워 고정되는 것으로 1부터 10까지의 각각 다른 숫자나 기호가 표시된 숫자카드;
    상기 기둥홈에 끼워 고정되는 것으로 1부터 10까지의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된 수기둥;
    상기 수기둥에 끼워 결합되는 것이며 다색으로 형성된 고리구; 그리고
    상기 블록요홈에 끼워 놓을 수 있고 평면과 저면이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어 뒤집기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2색블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KR1020190148503A 2019-11-19 2019-11-19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KR20210060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03A KR20210060928A (ko) 2019-11-19 2019-11-19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03A KR20210060928A (ko) 2019-11-19 2019-11-19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928A true KR20210060928A (ko) 2021-05-27

Family

ID=7613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503A KR20210060928A (ko) 2019-11-19 2019-11-19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9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ttista The importance of spatial structuring in geometric reasoning
US5108291A (en) Supplementary teaching instruments
KR101904387B1 (ko) 일차식의 계산방법 학습용 보드게임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
US5683252A (en) Multi-functional game and learning device
KR101598428B1 (ko) 수학교습도구
KR100832606B1 (ko) 어린이용 수학 교구
KR200468095Y1 (ko) 유아용 학습 교구
KR20210060928A (ko) 유아 및 어린이용 수학 교육 도구
KR20210026023A (ko) 수학 교육용 어린이 교구
US3672072A (en) Educational device
US20140272829A1 (en) Educational toy number stacking blocks
US6533585B2 (en) Periodic pyramid: chemistry puzzle and teaching device
KR200358266Y1 (ko) 곱셈표 놀이 기구
US3827160A (en) Educational device
CN206115804U (zh) 用于培养空间感知能力的数学教具
KR200260799Y1 (ko) 유아 수학 교육용 교구
KR20080035533A (ko) 임의의 진법을 계산할 수 있는 셈판 및 그 학습방법
US9017077B2 (en) Block learning game
KR20200129685A (ko) 문제해결을 입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학습교구
KR200485714Y1 (ko)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Brown Integrating manipulatives and computers in problem-solving experiences
KR20180000257U (ko) 가르기/모으기 구슬상자를 사용한 덧셈, 뺄셈 교육용 학습교재
Whitin et al. Building squares and discovering patterns
KR200323454Y1 (ko) 유아학습교구
JPS606852Y2 (ja) 文字遊び教習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