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714Y1 -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 Google Patents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714Y1
KR200485714Y1 KR2020160002760U KR20160002760U KR200485714Y1 KR 200485714 Y1 KR200485714 Y1 KR 200485714Y1 KR 2020160002760 U KR2020160002760 U KR 2020160002760U KR 20160002760 U KR20160002760 U KR 20160002760U KR 200485714 Y1 KR200485714 Y1 KR 200485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ultiplication
numerical
plates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035U (ko
Inventor
문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임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임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임교육
Priority to KR2020160002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71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4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7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구단 곱셈판, 좌우이동판, 상하이동판 및 바닥판을 포함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곱셈판에는 구구단 결과값에 해당하는 수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9×9=81개의 숫자구멍이 곱셈판을 관통하여 바닥판이 보이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은 전술한 곱셈판과 바닥판 사이에 좌우 및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곱셈판에 형성된 9×9=81개의 숫자구멍을 수직 및 수평으로 한 줄씩 차단/개방하여 개방된 숫자구멍을 통해 바닥판이 보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숫자구멍을 끼울 수 있고 구구셈 계산값들이 각각 표기된 숫자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곱셈교육용 학습교구는 곱셈 및 구구단을 처음 배우는 초등학교 저학년에게는 구구단의 암기 및 활용을 보조할 수 있고, 암기 및 활용 과정을 통해 곱셈의 개념과 곱셈의 여러 계산법칙을 흥미있고 시각적으로 이해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Learning materials for teaching multiplication table}
본 고안은 곱셈판, 상하이동판, 좌우이동판 및 바닥판을 포함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9×9=81개의 결과값을 기재할 위치에 9×9=81개의 숫자구멍이 관통하여 바닥판이 보이도록 형성된 곱셈판, 전술한 곱셈판과 바닥판 사이에 배치되고 곱셈판에 형성된 9×9=81개의 숫자구멍을 수직 및 수평으로 한 줄씩 차단/개방하고 개방된 곱셈구멍을 통해 바닥판이 보이도록 설치되어 있는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81개의 숫자구멍에 끼울 수 있고 구구셈 결과값들이 각각 표기된 81개의 숫자기둥을 포함하는 새로운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수학은 공식만 외우면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 공부를 하다 보면 쉽게 풀리지 않아 학생들 사이에서 늘 어려운 과목으로 분류된다. 그만큼 수학은 기초적인 원리를 잘 이해한 뒤 반복적이고 꾸준한 학습을 필요로 하는 과목이다. 그 어느 때보다도 수학의 기초를 탄탄히 쌓아야 하는 초등학교 시기로서, 초등학생 각 학년별로 효과적으로 수학을 공부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위한 학습교구가 많이 알려져 있다.
초등학교 1학년의 시기는 10의 보수 이해와 18 이내의 덧, 뺄셈을 숙달하는 과정이며, 초등학교 2학년의 시기는 뺄셈의 기초를 완성하고, 구구단 활용을 통해 곱셈을 숙달시키는 과정이다. 덧·뺄셈은 충분한 반복과 연습으로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의 원리를 이해하면 큰 수의 덧·뺄셈도 거뜬히 할 수 있고, 구구단은 노래하듯이 외우면 여러 가지 계산 문제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풀어낼 수 있게 하며 생활 속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곱셈은 덧셈, 뺄셈 및 나눗셈과 함께 사칙연산의 하나이며, 교환법칙, 결합법칙, 덧셈에 대한 분배법칙을 만족한다.
이러한 곱셈의 개념은 덧셈의 반복으로 설명되고 있다. 예를 들어 3과 6의 곱(3×6, 3 곱하기 6)은 3을 6번 반복해 더한 것, 즉, 3×6 = 3 + 3 + 3 + 3 + 3 + 3 = 18와 같다 (도 1a 참조). 또, 곱셈에서 교환법칙의 개념은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예를 들면, 한 줄에 6개씩인 단위정사각형이 3줄 늘어서서 얻어진 큰 직사각형의 넓이는 18이다 (6×3 = 18). 3개씩 6줄로 늘어서도 넓이는 같다 (3×6 = 18). 이는 곱셈의 교환법칙의 반영이다 (도 1b 참조).
덧셈, 뺄셈, 곱셈 및 나눗셈과 같은 사칙계산의 교육은, 해당 계산의 개념을 그림, 교재, 교구 등을 통해 설명하고 이해시킨 후에, 해당 계산의 반복을 통해 숙달시키는 것으로 수행되고 있다.
상술한 사칙연산 중에서, 곱셈은 구구단이라는 강력하고 간편한 계산도구가 있고, 구구단의 암기를 통해 곱셈을 숙달시켜왔기 때문에, 곱셈의 개념을 교육시키고 곱셈 계산을 숙달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는 선입감 또는 착각을 주어 왔었다.
이러한 구구단은 곱셈을 숙달시키는 도구이므로, 구구단으로부터 곱셈의 개념을 유추하거나 설명하는 것은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에서는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도, 구구단을 암기하면 곱셈 개념 및/또는 곱셈 계산법칙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구구단을 암기하면 곱셈 개념 및/또는 곱셈 계산법칙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는 또 다른 선입감 또는 착각을 유발할 수 있고, 이러한 선입감과 착각은, 곱셈 개념 및/또는 곱셈 계산법칙에 대한 교육 및 이해는 구구단의 암기로 충분하다고 잘못 암시할 수 있고, 상술한 개념들을 이해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간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구구단 자체는 곱셈계산을 위한 도구이므로, 곱셈 개념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시키지 못하고 단순히 구구단을 암기하여 곱셈을 숙달시키는 방식은 기초실력 부족, 곱셈교육효과 부진 및/또는 흥미감 상실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런데, 구구단은 곱셈 교육 및 계산 숙달을 위한 매우 강력한 도구이므로, 구구단의 암기는 곱셈교육에 반드시 필요하다. 구구단의 교육을 위해 예전부터 단순한 구구단 (도 1c) 뿐만 아니라 표 형태로 만든 구구단표 (도 1d) 등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들은 구구단을 암기하고 구구단 자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재이며, 이를 통해 곱셈의 개념을 설명할 수는 없다. 따라서, 구구단의 암기 및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면서, 이러한 과정에서 곱셈의 개념 및 곱셈 계산법칙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학습교재 또는 학습교구를 개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곱셈 및 이를 위한 구구단을 처음 배우는 초등학교 저학년에게는, 오히려 구구단의 암기 및 활용을 보조할 수 있고, 암기 및 활용 과정을 통해 곱셈의 개념과 곱셈 계산법칙의 개념을 흥미있고 시각적으로 교육 및 이해시킬 수 있는 학습교재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고안은 곱셈 공부에 필수적인 구구단을 암기하고 이를 활용하여 곱셈계산을 숙달시키는 과정에서, 구구단의 암기 및 곱셈계산의 숙달을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곱셈의 개념 및 곱셈의 여러 계산법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학습교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고안자는 구구단 곱셈표가 새겨진 곱셈판을 포함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에서, 곱셈판 아래에 바닥판을 부착하고, 전술한 곱셈판에서 9×9=81개의 결과값을 기재할 위치에 9×9=81개의 숫자구멍을 곱셈판을 관통시켜 형성함으로써 숫자구멍을 통해 바닥판이 보이도록 만들고, 전술한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을 곱셈판과 바닥판 사이에 배치한 다음, 이들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켜 곱셈판에 형성된 9×9=81개의 숫자구멍을 수직 및 수평으로 한 줄씩 차단/개방하고, 개방된 곱셈구멍을 통해 바닥판이 보이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는, 곱셈 및 구구단을 처음 배우는 초등학교 2학년 수준의 학습자에게 곱셈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이해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자는 전술한 곱셈판의 숫자구멍에 삽입할 수 있고 구구단 계산값이 각각 표기된 81개의 숫자기둥을 사용하여, 곱셈 및 구구단을 처음 배우는 초등학교 2학년 수준의 학습자가 구구단 암기 및 구구단의 활용을 흥미있게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는 곱셈 및 구구단을 처음 배우는 초등학교 저학년에게는 구구단의 암기 및 활용을 보조할 수 있고, 암기 및 활용 과정을 통해 곱셈의 개념과 곱셈 계산법칙의 개념을 흥미있고 시각적으로 이해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1a는 곱셈의 개념을 덧셈의 반복으로 설명할 때 예시되는 구슬주머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곱셈의 교환법칙을 면적 개념으로 설명할 때 사용되는 도면이며, 도 1c는 구구단의 교육을 위해 예전부터 활용된 단순한 구구단 리스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d는 표 형태로 만든 구구단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고안에 따른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의 사시도 및 이의 조립예를 보여주는 투영사시도로서, 위로부터 곱셈판, 곱셈판 아래에 좌우 이동판 및 상하이동판이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곱셈판에는 1~9의 숫자가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표기된 상단 숫자행, 1~9의 숫자가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표기된 좌단 숫자열, 및 상단 숫자행의 세로와 좌단 숫자열의 가로가 교차하는 위치에는 원형 숫자구멍이 9×9=81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숫자기둥 형태의 숫자기둥이 도 2a의 곱셈판의 원형 숫자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상단에는 숫자기둥 형태의 숫자기둥의 확대 도면을 보여준다.
도 4a는 좌우 이동판 및 상하 이동판이 둘다 닫혀있는 (또는 0행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b는 좌우 이동판이 우측으로 4단까지 열려있고 상하 이동판이 아래로 6단까지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좌우 이동판이 우측으로 6단까지 열려있고 상하 이동판이 아래로 5단까지 열려있는 상태에서의 곱셈판의 평면도로서, 좌우 이동판 및 상하 이동판의 내부 배치 상태를 보여준다.
도 6a~6d는 숫자표시 곱셈판 (310), 상하이동 선택판(320) 및 좌우이동 선택판(330)을 포함하는, 또다른 형태의 곱셈교육용 학습교구의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구구단 곱셈판 및 바닥판을 포함하고, 곱셈판과 바닥판의 사이에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이 설치되어 있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 전술한 구구단 곱셈판은 1~9의 숫자가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표기된 상단 숫자행, 1~9의 숫자가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표기된 좌단 숫자열, 및 상단 숫자행의 세로와 좌단 숫자열의 가로가 교차하는 위치에 곱셈판을 관통시켜 바닥판이 보이도록 형성된 9×9=81개의 숫자구멍을 포함하며,
- 전술한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은 전술한 곱셈판과 바닥판 사이에 좌우 및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고, 곱셈판에 형성된 9×9=81개의 숫자구멍을 수직 및 수평으로 한 줄씩 차단/개방하여 개방된 곱셈구멍을 통해 바닥판이 보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전술한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은 좌우이동판-상하이동판 또는 상하이동판-좌우이동판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숫자구멍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예.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 또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상하 이동판 및 좌우 이동판은 전술한 곱셈판에 형성된 9×9=81개의 숫자구멍을 전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면 크기 및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곱셈판에 형성된 9×9=81개의 숫자구멍을 한 줄씩 또는 한 단씩 차단/개방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상하 이동판 및 좌우 이동판의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슬라이딩 수단 및 파지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곱셈판의 숫자구멍을 한 줄씩 정확하게 차단/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및/또는 한 줄씩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술한 상하 이동판 및 좌우 이동판은 곱셈판과 바닥판 사이에 배치되어 숫자구멍들을 통해 바닥판이 보이지 않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곱셈교육 시에, 임의의 곱셈 계산식(예. 6×4 또는 4×6)이 주어지면, 좌우이동판을 왼쪽으로 6칸만큼 이동시키고 상하이동판을 아래쪽으로 4칸만큼 이동시켜서 상기 곱셈 계산식의 범위 내의 숫자구멍들을 개방시켜, 곱셈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는 전술한 숫자구멍에 삽입할 수 있고 구구셈 계산값들이 각각 표기되어 있는 숫자기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전술한 숫자기둥의 윗면, 아랫면 또는 이들 둘다에 구구단 계산값이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숫자기둥의 높이는 손으로 집어 숫자구멍에 삽입 및 인출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므로, 보통 1~5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숫자기둥의 형태, 특히 단면의 형태는 숫자구멍에 삽입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숫자기둥의 단면형태는 숫자기둥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숫자기둥의 직경이 숫자구멍의 직경과 너무 유사하면 삽입 조작이 어렵게 되고, 너무 작으면 유격이 심하여 조작에 오히려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숫자기둥의 직경은 숫자구멍의 직경과 거의 유사하거나 95~8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숫자기둥은 적어도 81개이며, 윗면, 아랫면 또는 이들 둘다에 구구단 계산값이 표기되어 있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에 구구단 계산값을 표기할 수도 있다. 전술한 숫자기둥은 1~9단 계산값 9×9=81개에 대응하는 81개의 숫자기둥이 존재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1단 계산값이 표기된 숫자기둥 9개, 2단 계산값이 표기된 숫자기둥 9개, 3단 계산값이 표기된 숫자기둥 9개, 4단 계산값이 표기된 숫자기둥 9개, 5단 계산값이 표기된 숫자기둥 9개, 6단 계산값이 표기된 숫자기둥 9개, 7단 계산값이 표기된 숫자기둥 9개, 8단 계산값이 표기된 숫자기둥 9개 및 9단 계산값이 표기된 숫자기둥 9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크기 및 색상은 예시를 위해 주어진 것으로, 이러한 크기 및 색상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물론이다.
도 1a는 곱셈의 개념을 덧셈의 반복으로 설명할 때 예시되는 구슬주머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곱셈의 교환법칙을 면적 개념으로 설명할 때 사용되는 도면이며, 도 1c는 구구단의 교육을 위해 예전부터 활용된 단순한 구구단 리스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d는 표 형태로 만든 구구단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고안에 따른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이의 조립예를 보여주는 투영 사시도로서, 위로부터 곱셈판(110), 좌우 이동판(120), 상하 이동판(130) 및 바닥판(140)이 차례로 위치한다.
제일 위의 곱셈판(110)에는, 상부에는 1~9의 숫자가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표기되어 있는 상단 숫자행(111)을 포함하며, 좌측에는 1~9의 숫자가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표기되어 있는 좌단 숫자열(112)을 포함한다. 전술한 상단 숫자행(111)의 각 숫자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세로열과 전술한 좌단 숫자열(112)의 각 숫자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가로행이 각각 교차하는 위치에 숫자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숫자구멍의 개수는 (상단 숫자행의 숫자 1~9)×(좌단 숫자열의 숫자 1~9)=9×9=81개이다. 상단 숫자행과 좌단 숫자열은 서로 직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숫자구멍은 전술한 상단 숫자행(111)의 세로와 좌단 숫자열(112)의 가로가 서로 직교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윗판인 곱셈판(110) 및 밑판인 바닥판(140)은 상하좌우의 4개의 측면과 함께 6면체 형태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으며, 윗판(곱셈판)과 아랫판(바닥판) 사이에 좌우 이동판(120) 및 상하 이동판(130)을 차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6면체 케이스의 우측면에, 전술한 좌우 이동판(120)과 유사한 두께 및 폭을 갖는 이동판 출입구(142)를 뚫어 설치하고, 이를 통해 좌우 이동판(120)을 전술한 케이스 내부로 삽입하여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케이스의 상하 측면 중의 하측면에, 전술한 상하 이동판(130)과 유사한 두께 및 폭을 갖는 이동판 출입구(143)를 설치하고, 상하 이동판(130)을 전술한 케이스 내부로 삽입하여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좌우 이동판(120) 및 상하 이동판(130)이 케이스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각각의 출입구 (142, 143)의 외부로 손잡이 또는 파지부 (121, 131)가 조금 돌출되어 있도록, 케이스 내부의 구조 및/또는 이동판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판들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미닫이 방식으로 움직이면서 작동된다.
이동판에는 출입구에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스토퍼 또는 빠짐방지수단을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동판의 말단에 막대, 봉, 돌출부위와 같은 빠짐방지수단(123, 133)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또는 빠짐방지수단은 별도로 제조되어 부착되거나 이동판과 일체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곱셈판,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 아래에 바닥판을 설치하고, 바닥판에 색상을 부여하고, 이에 의해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이 개방되면 바닥판의 색상이 곱셈판의 숫자구멍을 통해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닥판(140)에는 곱셈판 및/또는 이동판의 표면 색상과는 상이한 색상을 칠하면, 이동판을 열어서 나타나는 숫자구멍의 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판을 빨간 색상으로 도포하면, 이동판에 의해 차단되거나 닫힌 숫자구멍으로는 상기 바닥판의 빨간 색상이 보이지 않지만, 이동판으로 차단되지 않거나 열린 숫자구멍으로는 바닥판의 빨간 색상이 보이게 된다.
한편, 도 2b에 있어서, 곱셈판(110) 및 바닥판(140) 사이에 2개의 중간층 (125, 135)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동판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중간층 또는 이동판 설치대 (125, 135)는 곱셈판(110) 및/또는 바닥판(140)에 각각 부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원기둥 형태의 숫자기둥(200)이 도 2a의 곱셈판의 원형 숫자구멍(113) 중의 일부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상단에는 숫자기둥의 확대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숫자기둥(200)은 적어도 81개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들의 윗면(210)에는 구구셈 결과값, 즉 곱셈 결과값(220)이 표기되어 있다. 구구단의 특성 때문에, 동일한 숫자를 표기한 숫자기둥이 기본적으로 1~2개씩 존재하는데, 몇몇 숫자들에 대해서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들면, 25가 표기된 숫자기둥은 1개 (5×5) 존재하지만, 18이 표기된 숫자기둥은 4개 (2×9, 9×2, 3×6, 6×3)가 존재한다. 또, 곱셈값(결과값)의 수치범위 등에 따라 숫자기둥의 색상 또는 형태, 또는 숫자의 색상 등을 다르게 하여 구분될 수 있도록 숫자기둥을 제조할 수 있다.
도 4a는 좌우 이동판(120) 및 상하 이동판(130)이 둘다 0단까지 열려있는 상태, 즉 둘다 닫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b는 좌우 이동판(120)이 오른쪽으로 4단까지 열려있고 상하 이동판(130)이 아래로 6단까지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a 및 4b에서 작동 순서를 통해, 곱셈을 통한 결과값의 변화추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곱셈의 개념 (즉 4×6는 4개씩 6묶음 또는 6개씩 4묶음) 및 곱셈의 교환법칙의 개념 (4×6 = 6×4)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고 이해시킬 수 있다.
도 4b에서,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에 의해 개방된 4단×6단의 개방구역 내에 포함된 숫자구멍(113)들은 바닥판(140)의 색상(빨간색)을 보여주면서 곱셈의 양적 개념(4씩 6묶음 또는 6씩 4묶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좌우이동판 및 상하이동판을 이용하면, 수치(곱셈 결과값)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곱셈의 개념 및 교환법칙의 개념을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다.
도 5는 좌우 이동판(120)이 우측으로 6단까지 열려있고 상하 이동판(130)이 아래로 5단까지 열려있는 상태에서 곱셈판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좌우 이동판 및 상하 이동판의 내부 배치 상태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곱셈판에 형성된 숫자구멍(113)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타원형, 3~10각형의 다각형 (예. 삼각형, 정방형 또는 장방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물이나 식물의 모습을 딴 도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숫자기둥은 숫자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면 단면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삽입후 요동이 없거나 표기된 숫자의 방향이 올바르게 위치할 수 있도록, 숫자구멍의 형태에 대응하여 단면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삽입기둥에 삽입되는 위치까지만 단면형태를 변화시키거나 대응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곱셈교육용 학습교구는, 구구단의 계산결과값이 학습자에게 미리 그리고 모두 주어지는 방식의 도 2d의 구구단표에서와는 다르게, 구구단의 계산 결과값을 학습자가 찾아서 하나씩 삽입하는 놀이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놀이와 같은 방식 및 학습자가 직접 행하는 방식으로 인해, 나이어린 학습자들에게 구구단 암기 및 활용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삽입된 숫자기둥들이 주는 공간적 및 시각적 효과로 인해 곱셈의 개념 및 곱셈 계산법칙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교육 및 이해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학습교구(100)의 뒷면에, 구체적으로는 바닥판(140)의 뒷면에 숫자로 표시된 곱셈판 (예. 도 1d의 구구단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전술한 숫자표시 곱셈판은 인쇄 또는 음각으로 표기할 수 있다. 숫자표시 곱셈판을 사용할 경우, 곱해야할 숫자조합을 선택하는 도구로서, 가로단 선택도구 및 세로단 선택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변법에 따르면, 숫자표시 곱셈판, 가로단 선택도구로서 상하이동 선택판(320), 및 세로단 선택도구로서 좌우이동 선택판(320)을 포함하는 또다른 형태의 곱셈교육용 학습교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6d는 상술한 변법에 따른 또다른 형태의 곱셈교육용 학습교구의 하나의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숫자표시 곱셈판 (310), 가로단 선택도구로서 사용가능한 상하이동 선택판(320), 및 세로단 선택도구로서 사용가능한 좌우이동 선택판(320)을 포함하는 구성, 이들의 형태 및 사용방법을 설명해줄 수 있다.
도 6a에는 상술한 변법에 따른 곱셈교육용 학습교구에 포함되는 숫자표시 곱셈판 (310), 상하이동 선택판(320), 및 좌우이동 선택판(330)의 조립전 형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숫자표시 곱셈판(310)의 위쪽에 놓여있는 상하이동 선택판(320)은 숫자표시 곱셈판(310)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가지고 있으며,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의 3부분으로 되어있다. 중단부는 선택된 가로단의 숫자가 보일 수 있게 개방되어 있거나 투명하게 되어 있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선택된 세로단의 위아래 단들의 숫자들이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상하이동 선택판(32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하이동 중에 곱셈판(310)을 벗어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기역자 형태로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데, 결과적으로 상하이동 선택판(320)을 측면에서 보면 디귿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는 좌우측 중의 하나 또는 상하측 중의 하나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하나의 변법에 따르면, 상하이동 선택판(320)의 상단부에는 구구단 계산값을 직접 표기할 수 있는 종이 등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좌우이동 선택판(330)은 형태 및 구조가 전술한 상하이동 선택판(320)과 유사한데, 보통 상하이동 선택판(320)을 먼저 곱셈판(310)에 설치하고, 그 위에 좌우이동 선택판(330)을 설치하므로, 가이드의 높이를 더욱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b는 곱셈판(310)에 상하이동 선택판(320)을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으로, 교육을 받는 대상자(학생)에게 상하이동 선택판(320)의 상단부의 종이에 가려진 구구단의 결과값을 기재하도록 한 다음, 상하이동 선택판을 한 칸 올리거나 내려서 곱셈판(310)의 수치와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구단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c는 곱셈판(310)에 상하이동 선택판(320) 및 좌우이동 선택판(330)을 설치하고, 상하이동 선택판(320)을 2단 위치로 이동하고 좌우이동 선택판(330)을 6단 위치로 이동하면, 그 교차하는 위치로부터 구구단 계산값 (즉, 2×6=12 또는 6×2=12)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선택판들의 좌우측에 설치된 가이드는 곱셈판(310)의 폭과 거의 일치하며, 선택판의 이동을 도와주고 다른 선택판의 이동시에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d는 곱셈판(310)에 상하이동 선택판(320)을 좌단 숫자열의 3단 위치로 이동한 다음, 좌우이동 선택판(330)을 상단 숫자행의 3단 위치로 이동하여, 교차된 위치에서의 구구단 계산값이 3×3=9인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바람직한 변법에 따르면, 도 6a~6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숫자표시 곱셈판 (310), 상하이동 선택판(320), 및 좌우이동 선택판(330)를 본 고안에 따른 곱셈교육용 학습교구의 뒷면에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교재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100 :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110 : 곱셈판
111 : 상단 숫자행 112 : 좌단 숫자열
113 : 숫자구멍
120 : 좌우 이동판 121: 좌우 이동판 파지부
125 : 좌우 이동판의 설치대
130 : 상하 이동판 131: 상하 이동판 파지부
135 : 상하 이동판의 설치대
140 : 바닥판
142 : 좌우 이동판의 출입구 143 : 상하 이동판의 출입구
200 : 숫자기둥
210 : 숫자기둥의 윗면 또는 아랫면
220 : 곱셈 결과값
310: 숫자표시 곱셈판
320: 상하이동 선택판 330: 좌우이동 선택판

Claims (8)

  1. 구구단 곱셈판, 좌우이동판, 상하이동판 및 바닥판을 포함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로서,
    - 상기 구구단 곱셈판은 1~9의 숫자가 좌에서 우로 순서대로 표기된 상단 숫자행, 1~9의 숫자가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표기된 좌단 숫자열, 및 상단 숫자행의 세로와 좌단 숫자열의 가로가 교차하는 위치에 상기 구구단 곱셈판을 관통시켜 바닥판이 보이도록 각각 형성된 9×9=81개의 숫자구멍을 포함하며,
    - 상기 좌우이동판은 상기 구구단 곱셈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이동판은 상기 구구단 곱셈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 상기 좌우이동판 및 상기 상하이동판은 상기 구구단 곱셈판에 형성된 9×9=81개의 숫자구멍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한 줄씩 차단 또는 개방하여, 개방된 숫자구멍을 통해 상기 바닥판이 보이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이동판의 이동 즉시 수평으로 한 줄씩 상기 숫자구멍의 차단 또는 개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이동판의 이동 즉시 수직으로 한 줄씩 숫자구멍의 차단 또는 개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구구단 계산값이 각각 표기되어 있는 적어도 81 개의 숫자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숫자기둥은 상기 숫자구멍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숫자기둥의 윗면, 아랫면 또는 이들 둘 다에 구구단 계산값이 표기되어 있으며,
    상기 숫자기둥은 상기 숫자기둥의 색상 또는 형태, 또는 표기된 숫자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상기 구구단 계산값의 수치범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좌우이동판 및 상기 상하이동판과는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판 및 상기 상하이동판에는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판 및 상기 상하이동판은 좌우이동판-상하이동판 또는 상하이동판-좌우이동판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구멍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의 뒷면에 숫자표시 곱셈판, 상하이동 선택판, 및 좌우이동 선택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KR2020160002760U 2016-05-20 2016-05-20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KR200485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60U KR200485714Y1 (ko) 2016-05-20 2016-05-20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60U KR200485714Y1 (ko) 2016-05-20 2016-05-20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35U KR20170004035U (ko) 2017-11-29
KR200485714Y1 true KR200485714Y1 (ko) 2018-02-12

Family

ID=6048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760U KR200485714Y1 (ko) 2016-05-20 2016-05-20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71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023B2 (ja) * 1990-08-31 1997-04-09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掛算教習具
KR100832606B1 (ko) * 2007-04-20 2008-05-27 이재엽 어린이용 수학 교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685B1 (ko) * 2010-04-26 2013-02-15 최길용 게임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023B2 (ja) * 1990-08-31 1997-04-09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掛算教習具
KR100832606B1 (ko) * 2007-04-20 2008-05-27 이재엽 어린이용 수학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35U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ggan et al. Using Manipulatives to Teach Elementary Mathematics.
CA2606743C (en) Educational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 final digit of each number in a sequence of numbers when counting in multiples using the educational device
US7614881B2 (en) Arithmetic block
US5769639A (en) Multi-educational device
US6758675B2 (en) Base ten primary teaching kit
US7914287B2 (en) System and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US6884077B2 (en) Apparatus for math calculation and instruction
CN112119439B (zh) 磁性建筑套件及教授计算和拼写的方法
KR101277012B1 (ko) 학습용 끼움 놀이판
KR200485714Y1 (ko)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US6533585B2 (en) Periodic pyramid: chemistry puzzle and teaching device
KR200363414Y1 (ko) 곱셈학습교구
JP6489395B2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US4015345A (en) Multiplication learning aid device
KR20090006130U (ko) 영어학습용 교구
JP3202206U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US3690019A (en) Number sequence teaching aid
Hughes Classroom-Ready Number Talks for Kindergarten, First and Second Grade Teachers: 1,000 Interactive Activities and Strategies that Teach Number Sense and Math Facts
Urzay García Relational Understanding as Inclusion Tool for Children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KR200380462Y1 (ko) 어린이 학습교구
Schocken et al. Using games to learn early age algebra
US20150031265A1 (en) Block Learning Game
KR102273323B1 (ko) 종합 사고력 학습도구
US20040157198A1 (en) Multiplication learning device
JP4188796B2 (ja) くり上がり、くり下がりを伴う計算を練習するための、計算練習用ボード及び計算練習用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