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46715A1 -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46715A1
WO2021246715A1 PCT/KR2021/006587 KR2021006587W WO2021246715A1 WO 2021246715 A1 WO2021246715 A1 WO 2021246715A1 KR 2021006587 W KR2021006587 W KR 2021006587W WO 2021246715 A1 WO2021246715 A1 WO 20212467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adhesive layer
meth
composition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65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거산
강민경
최종한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257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JP7497465B2/ja
Priority to CN202180039387.XA priority patent/CN115916917A/zh
Publication of WO20212467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46715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nd a hard coating fil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us the flex resistance of the hard coating film can be improved.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 hard coating film formed using the sam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hard coating film.
  • the hard coating film is used for the purpose of surface protection in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s, plasma displays (PD), and field emission displays (FEDs).
  •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s, plasma displays (PD), and field emission displays (FEDs).
  • EL electroluminescence
  • PD plasma displays
  • FEDs field emission displays
  • cycloolefin polymer has excellent transparency, heat resistance, dimensional stability, low hygroscopicity, low birefringence and optical isotropy, so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e material for a hard coating film.
  • the cycloolefin polymer film has a small number of polar groups on the surface of the film, so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hard coating layer is poor.
  •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07995 discloses a hard coating film manufactured by interposing an easy-to-adhesive layer containing a mixture of a polyolefin-based resin and a styrene-acrylic resin.
  • the hard coating film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xhibit sufficient adhesion between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the hard coating layer because the easy-to-adhesive layer contains a resin component and the degree of crosslinking is low, and when applied to the hard coating film, the bending resistance is poor.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capable of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the hard coating lay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d coating film having improved bending resistance by being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hard coating fil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comprising an aromatic (meth)acrylate, a photoinitiator and a solvent.
  • the aromatic (meth)acrylat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to 99.9%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transmitting resin.
  •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may be used between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the hard coating layer.
  • the easily adhesive layer is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easily adhesive layer.
  •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90% or more, and the hard coating film is folded 200,000 times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1 mm so that the hard coating layer is folded inside. Peeling of the coating layer may not occur.
  •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formed using a hard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light-transmitting resin, a photoinitiator and a solvent.
  • the light-transmitting resi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otocurable (meth)acrylate oligomer and a monomer having a (meth)acryloyl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ow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hard coating fil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the hard coating fil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ensor provided with the hard coating film.
  •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the hard coating layer, including aromatic (meth)acrylate, and thus can improve the flex resistance of the hard coating film.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comprising an aromatic (meth)acrylate, a photoinitiator, and a solvent.
  • the aromatic (meth)acrylate is a component that imparts adhesion between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the hard coating layer, and a compound containing an aromatic ring and a (meth)acrylate functional group in the molecule to be.
  • the number of (meth)acrylate functional groups in the aromatic (meth)acry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trifunctional or more. In the case of 1 to 2 functional aromatic (meth) acrylate, it is preferable to use it by mixing it with trifunctional or more functional aromatic (meth) acrylate rather than using it alone.
  • the bifunctional aromatic acrylate includes bisphenol A ethylene oxide di( meth) acrylate, bisphenol F ethylene oxide di(meth)acrylate, Miramer MU3603, etc.
  • the trifunctional aromatic (meth)acrylate includes Miramer PU370, etc., and 6 functional aromatic (meth)acrylic Miramer PU640 etc. are mentioned as a rate.
  • the aromatic (meth)acrylat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to 99.9 wt% based on 100 wt% of the total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If the content of the aromatic (meth)acrylate is less than 50% by weight, a sufficient bond cannot be formed with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thus poor adhesion may occur.
  • the photoinitiato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in the art as one capable of forming a radical by irradiation with light.
  • hydroxy ketones, amino ketones, hydrogen recovery type photoinitiators, etc. can be used.
  • the solve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in the art. Specifically, alcohol-based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butanol,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etc.), ketone-based (methyl ethyl ketone, methyl but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diethyl ketone, dipropyl ketone, cyclohexanone, etc.), acetates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normal butyl acetate, tert-butyl acetate, methyl cellosolve acetate, ethyl cellosolve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acetate, methoxybutyl acetate, methoxypentyl acetate, etc.
  • the 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9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 the content of the solvent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 viscosity is high, so workability is deteriorated, and the swelling of the base film cannot be sufficiently progressed. There is this.
  •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transmitting resin.
  • the light-transmitting resin may be a photo-curable resin
  • the photo-curable resin may include a photo-curable (meth)acrylate oligomer and/or monomer.
  • Urethane (meth)acrylate can be prepared by reacting (meth)acrylate having a hydroxyl group in a molecule and a compound having an isocyanate group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 the (meth)acrylate having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examples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isopropyl (meth)acrylate, 4-hydroxybutyl (meth)acrylate, caprolactone ring-opened hydroxy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and the like.
  • the compound having an isocyanate group examples include 1,4-diisocyanatobutane, 1,6-diisocyanatohexane, 1,8-diisocyanatooctane, 1,12-diisocyanatododecane, 1, 5-diisocyanato-2-methylpentane, trimethyl-1,6-diisocyanatohexane, 1,3-bis(isocyanatomethyl)cyclohexane, trans-1,4-cyclohexene diisocyanate, 4,4 '-methylenebis(cyclohexyl 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oluene-2,4-diisocyanate, toluene-2,6-diisocyanate, xylene-1,4-diisocyanate, tetramethylxylene-1, 3-diisocyanate, 1-chloromethyl-2,4-diisocyanato
  • the monomer those commonly use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a monomer having an unsaturated group such as a (meth)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 styryl group, and an allyl group in the molecule as a photocurable functional group is preferable, and among them, (meth) A monomer having an acryloyl group is preferred.
  • the monomer having the (meth) acryloyl group is, for example, neopentyl glycol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ic Rate, di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rimethylolethane tri(meth)acrylate , pentaglycer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 Erythritol tetra
  • the light-transmitting resin exemplified abov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photocurable (meth)acrylate oligomer and monomer.
  • the light-transmitting resin may be a compound corresponding to aliphatic (meth)acrylate among the above-described photocurable (meth)acrylate oligomers and/or monomers.
  • the light-transmitting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49.9%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 the light-transmitting resin is included in an amount of more than 49.9% by weight, the content of aromatic (meth)acrylate is relatively insufficient, so that a sufficient bond with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cannot be formed, and adhesion failure may occur.
  •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eveling agent in order to impart smoothness and coatability of the coating film during coating.
  • leveling agent commercially available silicone type leveling agents, fluorine type leveling agents, acrylic polymer type leveling agents, etc. may be used, for example, BYK-306, BYK-307, BYK-310, BYK of BYK Chem.
  • TEGO Glide 410 TEGO Glide 411, TEGO Glide 415, TEGO Glide 420, TEGO Glide 432, TEGO Glide 435, TEGO Glide 440, TEGO Glide 450, TEGO Glide 455, TEGO Rad 2100 , TEGO Rad 2200N, TEGO Rad 2250, TEGO Rad 2300, TEGO Rad 2500, 3M's FC-4430, FC-4432, etc. can be used.
  • the level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3%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etween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the hard coating layer. Sinc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romatic (meth)acrylate, it is possible to secure adhesion to the substrate due to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H group and the aromatic group on the surface of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the unreacted acrylate group participates in the UV curing reaction to secure adhesion with the hard coat layer. Accordingly, by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the hard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ard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flex resistanc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coating film formed us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 the easily-adhesive layer is formed us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adhesive layer.
  •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Tt, %) is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by measuring the incident light intensity (T 0 ) and the total light intensity (T 1 ) transmitted through the hard coating film.
  • Total light transmittance (Tt, %) (T 1 /T 0 ) ⁇ 100
  •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may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 haze meter (Murakami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Experimental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serves as a base substrate of the hard coating film, and includes a cycloolefin polymer (Cyclo Olefin Polymer, COP) and has excellent transparency.
  • a cycloolefin polymer Cyclo Olefin Polymer, COP
  • the COP is a general term for a resin prepared through polymerization of a cyclic olefin as a monomer,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 ring-opened (co)polymer of a cyclic olefin; addition polymers of cyclic olefins;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and ?-olefins such as ethylene or propylene (usually random copolymers); graft-modified products each modified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hydrides thereof.
  •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ic olefin include norbornene-based monomers.
  • the COP may be a polymer obtained by selectively hydrogenating one or more of the monomer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to 3 through a 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 the process of preparing COP from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one or more of the monomer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to 3 can be easily perform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palladium (II) acetylacetonate [Pd(acac) 2 ] and tricyclohexylphosphine are used as polymerization catalysts, and dimethylanili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dimethylanilinium tetrakiss ( pentafluorophenyl)borate] can be used to carry out the polymerization process.
  • the COP may be prepared by mixing other ring-opening polymerizable cyclic olefins other than the norbornene-based monomer without detracting fro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cyclic olefins include compounds having one reactive double bond, such as cyclopentene, cyclooctene, and 5,6-dihydrodicyclopentadiene.
  • the COP may be further hydrogenated after ring opening polymerization.
  • the hydrogenation may be carried out by reacting with hydrogen gas in the presence of a hydrogenation catalyst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 the hydrogenation rate is preferably 90% or more, more preferably 95%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99% or more.
  • a hydrogenation rate within the above range may provide excellent heat degradation resistance, light degradation resistance, and the like.
  • COP various produc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 Specific examples of the COP include trade names "ZF-16", “ZEONEX” and “ZEONOR” manufactured by ZEON CORPORATION, respectively, trade names “Arton”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trade names “TOPAS” manufactured by TICONA Corporation, and the trade name “APEL”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 Any suitable molding method may be employed as a method of forming the base film from the above COP.
  • suitable molding method include a compression molding method, a transfer molding method, an injection molding method, an extrusion molding method, a blow molding method, a powder molding method, a FRP molding method, and a casting method.
  • the extrusion molding method and the casting method are preferable because the obtained film can have improved smoothness and good optical uniformity. Molding conditions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r type of the resin used, properties desired for the optical film, and the like.
  • the thickness of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10 to 1000 ⁇ m, specifically 20 to 150 ⁇ m. If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less than 10 ⁇ m, the strength of the film is lowered and workability is deteriorated, and if it exceeds 1000 ⁇ 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parency is lowered or the weight of the hard coating film is increased.
  •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is appli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and cured to form an easily adhesive layer.
  •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ated on a substrate by appropriately using known methods such as die coater, air knife, reverse roll, spray, blade, casting, gravure, micro gravure, spin coating, etc. process) is possible.
  •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UV light may specifically be about 10 to 500 mJ/cm 2 , more specifically 50 to 400 mJ/cm 2 .
  • the thickness of the easily-adhesive layer to be formed may be specifically 0.1 to 5 ⁇ m, more specifically 0.3 to 3 ⁇ m.
  • the thickness of the easily adhesive layer is included within the above range, excellent adhesion and bending resistance can be obtained.
  •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formed using a hard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light-transmitting resin, a photoinitiator and a solvent.
  • the light-transmitting resin may be a photo-curable resin, and the photo-curable resin may include a photo-curable (meth)acrylate oligomer and/or monomer.
  • the light-transmitting resin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otocurable (meth)acrylate oligomer and a monomer having a (meth)acryloyl group in terms of adhesion to the easily adhesive layer.
  • a dendrimer compound having a (meth)acrylate end group may be used as the monomer having a (meth)acryloyl group.
  • the dendrimer compound having the (meth) acrylate end group may be used for UV curing by replacing the end of the branched structure with a (meth) acrylate group, and the center thereof is completely aliphatic and has a structural feature consisting of a tertiary ester bond. . Therefore, the dendrimer compound having the (meth) acrylate end group has a structural feature of having more functional groups compared to molecular weight with the increase of generation compared to general polyfunctional acrylate monomers, and the core portion during curing by distributing functional groups at the ends Thi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bending propert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hardness hard coating film with improved curl and flexibility.
  • the dendrimer compound having the (meth)acrylate end group may be obtained commercially or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first-generation dendrimer structure is formed by condensation reaction with dimethylolpropionic acid using a specific polyhydric alcohol as a central skeleton, and then the dimethylolpropionic acid as a branched structure is repeatedly subjected to condensation reaction to grow into a second-generation or higher structure. , it is possible to obtain a dendrimer compound highly branched and substituted with a plurality of (meth)acrylate groups at the terminal groups by condensation reaction of acrylic acid.
  • the light-transmitting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8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hard coating composition. If it is less than 1%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achieve sufficient hardness improvement, and if it exceeds 80%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curling becomes severe.
  • the photoinitiator may be the same as that us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described above.
  • the photoinitiato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1 to 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hard coating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curing rate of the composition is slow and non-curing occurs, so that mechanical properties are deteriorated, and when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s more than 10% by weight, cracks may occur in the coating film due to overcuring.
  • the solvent may be the same as that us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described above.
  • the solvent may include a fluorine-based solvent.
  • the fluorine-based solvent increases the solubility of the fluorine-based UV-cur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compou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us not only maintains the wetting properties of the prepared hard coating film and the coating film state of the film, but also enhances the fluorine-based UV-curable functional group in the coating and drying process. It may serve to form a high-concentration fluorine component layer on the surface of the prepared hard coat layer by aligning it to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layer.
  •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fluorine-based UV-cur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compound.
  • the fluorine-based UV-cur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ntains fluorine and has a UV-curable functional group as a component imparting antifouling and abrasion resistance.
  • the fluorine-based UV-cur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compound is (meth)acrylate containing a perfluoroalkyl group, (meth)acrylate containing a perfluoropolyether group, and (meth)acrylate containing a perfluorocyclic aliphatic group
  •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crylate containing a perfluoroaromatic group can be used, and in this case, it shows excellent antifouling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chemical bond with the hard coating layer to improve antifouling performance even after repeated use It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durability to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 the fluorine-based UV-cur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30% by weight, preferably 0.01 to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solid content in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 the fluorine-based UV-cur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compound is included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referable because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antifouling effect can be imparted.
  • the content of the UV-cur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compound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may be somewhat difficult to sufficiently achieve abrasion resistance or antifouling properties, an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film hardness or scratch resistance may be slightly reduced.
  •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a leveling agent, a UV stabilizer, a heat stabilizer, an antioxidant, a surfactant, a lubricant, an antifouling agent, and the like.
  • a leveling agent for example, a UV stabilizer, a heat stabilizer, an antioxidant, a surfactant, a lubricant, an antifouling agent, and the like.
  •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applying and curing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on an easily adhesiv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to form a hard coating layer.
  • the thickness of the formed hard coating layer may be specifically 2 to 30 ⁇ m, more specifically 3 to 20 ⁇ m.
  • excellent hardness and bending resistance can be obtained.
  • th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window of an image display device, particularly a flexible display device or a foldable display device.
  • th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attaching it to a polarizing plate, a touch sensor, or the like.
  •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LCDs of various driving methods such as reflective, transmissive, transflective LCD or TN type, STN type, OCB type, HAN type, VA type, IPS type, and the like.
  •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plasma displays, field emission displays, organic EL displays, inorganic EL displays, and electronic paper.
  • hexafunctional aromatic acrylate (Miwon, Miramer PU640), 5 parts by weight hexafunctional aliphatic acrylate (Miwon, Miramer PU620), 80 parts by weight methyl ethyl ketone, 0.5 parts by weight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and 0.3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 BYK UV-3530) was mixed using a stirrer and filtered using a PP material filter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 a leveling agent BYK, BYK UV-3530
  • hexafunctional aromatic acrylate (Miwon, Miramer PU640), 14.2 parts by weight hexafunctional aliphatic acrylate (Miwon, Miramer PU620), 80 parts by weight methyl ethyl ketone, 0.5 parts by weight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and 0.3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 BYK UV-3530) was blended using a stirrer and filtered using a PP filter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 a leveling agent BYK, BYK UV-3530
  • An easily adhesive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instead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1.
  • An easily adhesive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3 was used instead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1.
  • An easily adhesive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4 was used instead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n easily adhesive layer of Preparation Example 1.
  • a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easily adhesive film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used instead of the easily adhesive film prepared in Example 1 above.
  • a hard coating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easily adhesive film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was used instead of the easily adhesive film prepared in Example 1 above.
  • the evaluation result was expressed as "the number of squares that are OK after the adhesion test/100".
  •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 and haze (%) of the coating film were measured using a haze meter HM-150 manufactured by Murakami Corporation.
  • the contact angle of water was measured using KRUSS's contact angle measuring instrument DSA100. At room temperature, the amount of droplet was 3 ⁇ l.
  • the contact angle is less than 100 ⁇
  • the contact angle is less than 95 ⁇
  • the measuring part After bonding the base film to the glass using a transparent adhesive so that the coating surface is on the top, using steel wool (#0000) at a load of 500 g/cm 2 and reciprocating friction 10 times, the measuring part is transmitted and reflected by a three-wavelength lamp Thus, scratches were observed.
  • the scratch resistanc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하드코팅 필름 및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드코팅 필름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본 발명은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드코팅 필름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하드코팅 필름 및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드코팅 필름은 액정 표시장치,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의 화상표시장치에 표면 보호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차세대 표시장치로 급부상하면서, 경도(hardness)가 높고 내찰상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나 사용 중에 필름 가장자리의 컬(curl)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적당한 유연성을 갖추어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하드코팅 필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시클로올레핀 중합체(cycloolefin polymer, COP)는 투명성, 내열성, 치수 안정성, 저흡습성, 저복굴절성 및 광학적 등방성이 우수하여 하드코팅 필름의 기재로서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필름은 아크릴 필름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달리 필름 표면에 극성기의 수가 적기 때문에 기재 필름과 하드코팅층의 밀착성이 떨어진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7995호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스티렌아크릴계 수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접착 용이층을 개재하여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접착 용이층이 수지 성분을 함유하여 가교도가 떨어지므로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사이에서 충분한 밀착성을 발휘하기 어렵고 하드코팅 필름에 적용시 내굴곡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됨으로써 내굴곡성이 향상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중 고형분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투광성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
상기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이접착층, 및
상기 이접착층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으로서,
상기 이접착층이 상기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인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고, 하드코팅층면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곡률반경 1mm로 20만번 반복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접었다 편 후 하드코팅 필름의 파단이나 하드코팅층 박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투광성 수지,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윈도우를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터치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드코팅 필름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사이의 밀착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 분자 내에 아로마틱 고리(ring)와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3관능 이상이 바람직하다. 1 내지 2관능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경우에는 단독 사용보다는 3관능 이상의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1관능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페녹시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o-페닐페놀 에틸렌옥시드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비페닐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 에틸렌옥시드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 에틸렌옥시드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2관능 아로마틱 아크릴레이트로는 비스페놀A 에틸렌옥시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F 에틸렌옥시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Miramer MU3603 등을 들 수 있으며, 3관능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Miramer PU370 등을 들 수 있으며, 6관능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Miramer PU64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중 고형분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충분한 결합을 형성할 수 없어 밀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개시제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드록시케톤류, 아미노케톤류, 수소탈환형 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개시제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등이 있다. 상기 예시된 광개시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중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경화 속도가 늦고 미경화가 발생하여 코팅층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10 중량% 초과이면, 과경화로 인해 도막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아세테이트계(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노말부틸아세테이트, 터셔리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테르계(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기재 필름의 스웰링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고, 9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투광성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수지이며,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모노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광경화형 관능기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기를 분자내에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는 구체적인 예로,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투광성 수지인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광성 수지는 상술한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 중에서 알리파틱(aliphatic) (메타)아크릴레이트에 해당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중 고형분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49.9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가 49.9 중량% 초과의 양으로 포함되면 상대적으로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부족하여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충분한 결합을 형성할 수 없어 밀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코팅 시 도막의 평활성 및 코팅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레벨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시판되는 실리콘 형태의 레벨링제, 불소 형태의 레벨링제, 아크릴 고분자 형태의 레벨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비와이케이 케미사의 BYK-306, BYK-307, BYK-310, BYK-313, BYK-323, BYK-331, BYK-333, BYK-337, BYK-371, BYK-373, BYK-375, BYK-377, BYK-378, BYK-3440, BYK-3570, BYK-UV3500, BYK-UV3530, BYK-UV3570, 대구사의 TEGO Glide 410, TEGO Glide 411, TEGO Glide 415, TEGO Glide 420, TEGO Glide 432, TEGO Glide 435, TEGO Glide 440, TEGO Glide 450, TEGO Glide 455, TEGO Rad 2100, TEGO Rad 2200N, TEGO Rad 2250, TEGO Rad 2300, TEGO Rad 2500, 3M사의 FC-4430, FC-443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상기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 표면의 CH기와 아로마틱기 사이의 결합력으로 인해 기재와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하드코팅층 형성시 미반응 아크릴레이트기가 UV경화 반응에 참여하여 하드코팅층과의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사이에 적용하여 내굴곡성이 우수한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술한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
상기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이접착층, 및
상기 이접착층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으로서,
상기 이접착층이 상술한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우수한 투과율 특성과 내굴곡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고, 하드코팅층면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곡률반경 1mm로 20만번 반복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접었다 편 후 하드코팅 필름의 파단이나 하드코팅층 박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Tt, %)은 하드코팅 필름에 대한 입사광 강도(T0)와 하드코팅 필름을 투과한 전투과광 강도(T1)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다.
[수학식 1]
전광선 투과율(Tt, %) = (T1/T0)×100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예컨대 후술하는 실험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헤이즈미터(무라카미 사)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는 하드코팅 필름의 베이스 기재로서의 역할을 하며, 시클로올레핀 중합체(Cyclo Olefin Polymer, COP)를 포함하여 투명성이 우수하다.
상기 COP는 모노머로서 환상 올레핀의 중합을 통해 제조된 수지에 대한 일반 용어이며, 그 구체적인 예는 환상 올레핀의 개환 (코)폴리머; 환상 올레핀의 부가 폴리머;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의 코폴리머(통상, 랜덤 코폴리머);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 각각 변성된 그래프트 변성물; 및 그 수소화물을 포함한다. 환상 올레핀의 구체적인 예는 노보넨계 모노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COP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모노머 중 1종 이상을 고리열림 중합반응(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시키고 선택적으로 수소화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6587-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6587-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06587-appb-I00000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모노머 중 1종 이상의 고리열림 중합반응으로부터 COP를 제조하는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촉매로서 팔라듐(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Pd(acac)2]와 트리사이클로헥실포스핀을 사용하고, 조촉매로서 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dimethylanilinium tetrakiss(pentafluorophenyl)borate]를 사용하여 중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COP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으면서 노보넨계 모노머 이외의 다른 개환 중합성 환상 올레핀을 혼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환상 올레핀의 구체적인 예는 하나의 반응성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옥텐, 및 5,6-디히드로디사이클로펜타디엔 등을 포함한다.
상기 COP는 고리열림 중합반응 이후 추가적으로 수소화될 수 있다. 상기 수소화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소화 촉매의 존재 하에 수소 기체와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수소화율은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 99% 이상이다. 상기 범위 내의 수소화율은 우수한 내열 열화성(heat degradation resistance), 내광 열화성(light degradation resistance)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COP에 대해서, 각종 생성물이 시판된다. 상기 COP의 구체적인 예는 ZEON CORPORATION에 의해 각각 제조된 상품명 "ZF-16", "ZEONEX" 및 "ZEONOR", JSR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상품명 "Arton", TICONA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상품명 "TOPAS", 및 Mitsui Chemicals, Inc.에 의해 제조된 상품명 "APEL" 을 포함한다.
상기 COP로부터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임의의 적절한 성형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는 압축 몰딩법, 전사 몰딩법, 사출 몰딩법, 압출 몰딩법, 블로우 몰딩법, 파우더 몰딩법, FRP 몰딩법, 및 캐스팅법을 포함한다. 압출 몰딩법 및 캐스팅법은, 획득되는 필름이 개선된 평활성 및 양호한 광학 균일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성형 조건은 사용되는 수지의 조성물 또는 종류, 광학필름에 대해 원하는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0 내지 1000㎛,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1000㎛ 초과이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하드코팅 필름의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상술한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접착층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스핀코팅 등 공지된 방식을 적절히 사용하여, 기재에 도공(Coating Process)이 가능하다.
상기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한 후에는, 용제를 증발시켜 건조시킨 다음, UV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UV광의 조사량은 구체적으로 약 10 내지 500 mJ/㎠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400 mJ/㎠일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이접착층의 두께는 구체적으로 0.1 내지 5㎛, 보다 구체적으로 0.3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이접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밀착성과 내굴곡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투광성 수지,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수지이며,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이접착층과의 밀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적인 종류는 상술한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덴드리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덴드리머 화합물은 분지 구조의 말단이 (메타)아크릴레이트기로 치환되어 자외선 경화에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중심은 완전히 지방족이면서 3차 에스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덴드리머 화합물은 일반적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비해 세대의 증가에 따른 분자량 대비 관능기를 더 갖게 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며, 말단에 관능기가 분포함으로써 경화 시 코어 부분이 굽힘 특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컬(Curl)과 유연성이 향상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덴드리머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의 다가 알코올을 중심 골격으로 하여 디메틸올프로피온산과 축합 반응시켜 1세대 덴드리머 구조를 형성한 후, 분지 구조로서 상기 디메틸올프로피온산을 반복적으로 축합 반응시켜 2세대 이상의 구조로 성장시킨 다음, 말단기에 아크릴산을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고도로 가지화되고 그 말단이 다수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로 치환되어 있는 덴드리머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고,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컬링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상술한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경화 속도가 늦고 미경화가 발생하여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과경화로 인해 도막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상술한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로는 불소계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용제는 후술하는 불소계 UV 경화형 관능기 함유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하여 제조되는 하드코팅 필름의 웨팅성 및 필름의 도막상태를 우수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코팅 및 건조 과정에서 상기 불소계 UV경화형 관능기를 하드코트층의 표면으로 배향시켜 제조된 하드코트층 표면에 고농도의 불소성분 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용제로는 퍼플루오로헥실에틸 알코올, 퍼플루오로에테르, 퍼플루오로 헥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품으로는 3M사의 HFE-7100, HFE-7300, HFE-7500, FC-3283, FC-40, FC-770, 니카사의 C6FOH-BF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제는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5 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9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코팅막 두께 조정이 어렵고 건조얼룩이 발생하여 외관불량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은 불소계 UV 경화형 관능기 함유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UV 경화형 관능기 함유 화합물은 방오성 및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불소를 함유하며, 이와 함께 UV 경화형 관능기를 갖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불소계 UV 경화형 관능기 함유 화합물은 퍼플루오로 알킬기가 함유된 (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 폴리 에테르기가 함유된 (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 시클릭알리파틱기가 함유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퍼플루오로 아로마틱기가 함유된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우수한 방오성능을 보임과 동시에 하드코팅층과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여 반복적인 사용 후에도 방오성능을 오래도록 유지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계 UV 경화형 관능기 함유 화합물은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 중 고형분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UV 경화형 관능기 함유 화합물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내마모성 및 방오성 효과의 부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UV 경화형 관능기 함유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내마모성 또는 방오성을 충분히 도모하기 다소 어려울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필름 경도 또는 내스크래치 특성이 다소 저하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레벨링제,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이접착층 상에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스핀코팅 등 공지된 방식을 적절히 사용하여, 이접착층에 도공(Coating Process)이 가능하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을 이접착층에 도포한 후에는,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1시간 동안, 보다 구체적으로는 30초 내지 30분 동안 휘발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킨 다음, UV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UV광의 조사량은 구체적으로 약 0.01 내지 10J/㎠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2J/㎠일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구체적으로 2 내지 30㎛, 보다 구체적으로 3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우수한 경도 및 내굴곡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술한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은 화상표시장치, 특히 플렉서블 표시장치 또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윈도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은 편광판, 터치 센서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반사형, 투과형, 반투과형 LCD 또는 TN형, STN형, OCB형, HAN형, VA형, IPS형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LCD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의 각종 화상표시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19.2중량부 6관능 아로마틱 아크릴레이트(미원, Miramer PU640), 80중량부 메틸에틸케톤, 0.5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0.3중량부 레벨링제(BYK사, BYK UV-3530)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14.2중량부 6관능 아로마틱 아크릴레이트(미원, Miramer PU640), 5중량부 6관능 알리파틱 아크릴레이트(미원, Miramer PU620), 80중량부 메틸에틸케톤, 0.5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0.3중량부 레벨링제(BYK사, BYK UV-3530)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5중량부 6관능 아로마틱 아크릴레이트(미원, Miramer PU640), 14.2중량부 6관능 알리파틱 아크릴레이트(미원, Miramer PU620), 80중량부 메틸에틸케톤, 0.5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0.3중량부 레벨링제(BYK사, BYK UV-3530)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19.2중량부 6관능 알리파틱 아크릴레이트(미원, Miramer PU620), 80중량부 메틸에틸케톤, 0.5중량부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0.3중량부 레벨링제(BYK사, BYK UV-3530)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하드코팅 조성물의 제조
23중량부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Shin-Nakamura Chemical, U-6LPA), 23중량부 14관능 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키화학, VISCOAT #1000), 5중량부 불소계 용제(니카, C6FOH-BF), 4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3.5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0.5중량부 불소계 UV경화형 관능기 함유 화합물(신에츠사, KY-1203)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이접착 필름의 제조
시클로올레핀 필름(제온 사 COP, ZF-16, 40㎛)을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의 수접촉각이 65도 수준으로 조정된 필름 상에 상기 제조예 1의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 후 두께 0.5㎛가 되도록 코팅을 하고 용제를 건조한 후 질소분위기 하에서 UV 적산광량 300 mJ/㎠을 조사하여 이접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접착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대신에 제조예 2의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접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 5의 하드코팅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한 이접착 필름의 이접착층 상에 경화 후 두께 5㎛가 되도록 코팅을 하고 용제를 건조한 후 질소분위기 하에서 UV 적산광량 600 mJ/㎠을 조사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이접착 필름 대신에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이접착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접착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대신에 제조예 3의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접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이접착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대신에 제조예 4의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접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이접착 필름 대신에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이접착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이접착 필름 대신에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이접착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밀착성
코팅면이 상부로 가도록 기재 필름을 투명점착체를 이용하여 글래스에 접합한 후, 1mm 간격으로 가로 세로 100개의 정사각형 형태로 커터칼을 이용하여 코팅면에 흠집을 낸 후 니치방 테이프를 이용하여 3회 밀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는 "밀착성 테스트 후 OK인 사각형의 수/100"로 표기하였다.
(2) 전광선 투과율(Tt) 및 헤이즈
무라카미 사의 헤이즈미터 HM-150을 이용하여 코팅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3) 수접촉각
KRUSS사의 접촉각 측정기 DSA100을 이용하여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상온에서 액체 방울량은 3㎕로 하였다.
(4) 내마모성
대성정밀사의 내마모 측정장비를 통해 측정을 하였다. 코팅 표면을 내마모 테트스용 지우개와 추 500g을 이용하여 3000회 문지른 후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으로서 물의 접촉각이 100˚ 이상일 경우를 내마모성 합격기준으로 선정하였다.
<평가 기준>
○: 접촉각이 100˚ 이상
×: 접촉각이 100˚ 미만
(5) 내약품성
대성정밀사의 내마모 측정장비를 통해 측정을 하였다. 코팅 표면에 99.9% 에탄올을 적가한 후 에탄올이 떨어진 부위를 내마모 테트스용 지우개와 추 500g을 이용하여 3000회 문지른 후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평가 중 에탄올이 휘발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에탄올을 적가하며 평가하였다. 평가 완료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수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으로서 물의 접촉각이 95˚ 이상일 경우를 내약품성 합격기준으로 선정하였다.
<평가 기준>
○: 접촉각이 95˚ 이상
×: 접촉각이 95˚ 미만
(6) 내스크래치성
코팅면이 상부로 가도록 기재 필름을 투명점착체를 이용하여 글래스에 접합한 후 스틸울(#0000)을 이용하여 500g/㎠의 하중으로, 10회 왕복 마찰시킨 후 측정부를 삼파장 램프에 투과 및 반사하여 스크래치를 관찰하였다.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스크래치가 시인되지 않거나 10개 이하의 스크래치가 시인됨
×: 10개 초과의 스크래치가 시인됨
(7) 내굴곡성
하드코팅층면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곡률반경 1mm로 20만번 반복하여 필름을 접었다 펴는 테스트를 실시하여 필름의 파단 여부 및 하드코팅층의 박리 여부를 관찰하였다.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내굴곡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필름 파단 및 하드코팅층 박리 미발생
×: 필름 파단 또는 하드코팅층 박리 발생
밀착성 Tt(%) 헤이즈 (%) 수접촉각 (°)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스크래치성 내굴곡성
실시예 1 100/100 90.5 0.3 - - - - -
실시예 2 100/100 90.8 0.2 - - - - -
실시예 3 100/100 90.8 0.2 111.2
실시예 4 100/100 91.0 0.2 112.0
비교예 1 20/100 91.0 0.3 - - - - -
비교예 2 0/100 91.1 0.3 - - - - -
비교예 3 30/100 91.2 0.2 110.5 ×
비교예 4 0/100 91.2 0.2 111.3 ×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제조예 1 내지 2의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실시예 1 내지 2의 이접착 필름은 코팅면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전광선투과율(Tt) 및 헤이즈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2의 이접착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시킨 실시예 3 내지 4의 하드코팅 필름은 밀착성뿐만 아니라 수접촉각,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굴곡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제조예 3 내지 4의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비교예 1 내지 2의 이접착 필름은 코팅면의 밀착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비교예 1 내지 2의 이접착 필름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시킨 비교예 3 내지 4의 하드코팅 필름은 코팅면의 밀착성뿐만 아니라 내굴곡성도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중 고형분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투광성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와 하드코팅층 사이에 사용되는 것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5.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
    상기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이접착층, 및
    상기 이접착층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으로서,
    상기 이접착층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인 하드코팅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이고,
    하드코팅층면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곡률반경 1mm로 20만번 반복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접었다 편 후 하드코팅 필름의 파단이나 하드코팅층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하드코팅 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투광성 수지,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인 하드코팅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9. 제5항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화상표시장치.
  10. 제5항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윈도우.
  11. 제5항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편광판.
  12. 제5항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터치 센서.
PCT/KR2021/006587 2020-06-03 2021-05-27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WO202124671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74795A JP7497465B2 (ja) 2020-06-03 2021-05-27 易接着層形成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CN202180039387.XA CN115916917A (zh) 2020-06-03 2021-05-27 易粘接层形成用组合物和利用其的硬涂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51A KR20210150198A (ko) 2020-06-03 2020-06-03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2020-0067251 2020-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6715A1 true WO2021246715A1 (ko) 2021-12-09

Family

ID=7883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6587 WO2021246715A1 (ko) 2020-06-03 2021-05-27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150198A (ko)
CN (1) CN115916917A (ko)
WO (1) WO202124671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081A (ko) * 2003-01-21 2005-09-12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KR20090126904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JP2013181146A (ja) * 2012-03-02 2013-09-12 Denki Kagaku Kogyo Kk 硬化性樹脂組成物
KR20140109265A (ko) * 2013-03-04 2014-09-15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20190028648A (ko) * 2016-04-28 2019-03-19 니뽄 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하드 코팅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706A1 (ja) 2015-01-25 2016-07-28 日本製紙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081A (ko) * 2003-01-21 2005-09-12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KR20090126904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JP2013181146A (ja) * 2012-03-02 2013-09-12 Denki Kagaku Kogyo Kk 硬化性樹脂組成物
KR20140109265A (ko) * 2013-03-04 2014-09-15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20190028648A (ko) * 2016-04-28 2019-03-19 니뽄 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하드 코팅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16917A (zh) 2023-04-04
JP2023528501A (ja) 2023-07-04
KR20210150198A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524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WO2014123308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4178517A1 (ko) 폴리에스테르계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7030334A1 (ko) 잉크젯 프린트 강판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 강판 및 잉크젯 프린트 강판의 제조 방법
WO2018110830A2 (ko) 윈도우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93731A1 (ko)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WO2020149597A1 (ko) 광학 적층체
WO2017111476A1 (ko) 밀착성이 우수한 철강 소재용 잉크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프린트 강판
WO2017048079A1 (ko) 편광자 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212622A1 (ko) 플렉서블 윈도우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70253747A1 (en) Hard coating composition
WO2014092391A1 (ko) 강화유리 대체용 하드코팅필름
WO2019235769A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21246715A1 (ko)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WO2011052934A2 (ko) 투명막 형성용 잉크젯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74720A1 (ko) 광학 패턴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246716A1 (ko)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WO2019103513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9059693A2 (ko) 편광판 보호층용 무용제형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WO2021075901A1 (ko) 경화성 조성물
KR102321084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WO2021060961A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143539A1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하드코팅 필름
WO2024005452A1 (ko)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적용한 하드코팅 필름, 윈도우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22108053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177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7479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177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