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93731A1 -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93731A1
WO2019093731A1 PCT/KR2018/013354 KR2018013354W WO2019093731A1 WO 2019093731 A1 WO2019093731 A1 WO 2019093731A1 KR 2018013354 W KR2018013354 W KR 2018013354W WO 2019093731 A1 WO2019093731 A1 WO 20190937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mol
coating layer
urethan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33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환
이슬
김장순
서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880072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344368B/zh
Priority to US16/762,337 priority patent/US11339288B2/en
Priority to JP2020525919A priority patent/JP7039102B2/ja
Publication of WO20190937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937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2Polyurethanes from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active hydrogen,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n isocyanat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8G18/246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lso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5036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N-C=O groups
    • C08G18/5039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N-C=O groups containing 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66Polymers of amides or imides from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9D1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2Polyurethanes from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active hydrogen,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n isocyanat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ting layer comprising a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a cured product thereof.
  • Deco film an interior finishing material, is attached to a target product and is used to produce a high quality product, to protect the product, or to make a product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 a deco film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 dresser, a sink or a table, and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washing machine, a refrigerator, an audio or a television.
  • various patterns such as a wooden pattern, a hairline pattern, and an SUS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decolorized film.
  • the specification intends to provide a coating layer comprising a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a cured product thereof.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derived from a first urethane prepolymer having an isocyanate terminal group and an acrylamide containing a polar group;
  • an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derived from acrylamide and a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isocyanate terminal group and an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ating layer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coating layer compris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is easy to adhere to the curved article and provides a decoy film that can maintain its shape for a long time even after it is attached to the curved article can do.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an provide a coating layer inhibited from being deformed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 a decoupling film comprising a coating layer is excellent in adherence to an article having a curvature, and can maintain its shape for a long time even after it is attached to an article having a curvature.
  • a decoy film including a coating layer can maintain its shape even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2T bend adhesion test method of a coating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2T bend adhesion test method of a coating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a) is a photograph of a high-temperature bending adhesion test of a decoupling film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t is a photograph.
  • unit “parts by weight” can refer to the ratio of weight between components.
  • (meth) acrylate is used to refer to both acrylate and methacrylate.
  • a prepolymer may mean a polymer that has undergone some degree of polymerization between the compounds, and does not reach a fully polymerized state, and may mean a polymer capable of further polymerization.
  • the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the compounds may mean a form in which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ceeds between the compounds to form the skeleton of the polymer, for example, a main chain or a side chain.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ny compound can be calculated using the molecular weight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compound. Specifically, 10 ml of a glass bottle was charged with tetrahydrofuran (THF) and a sample to prepare a sample sample having a compound concentration of 1 wt%, and a standard sample (polystyrene, polystryere) and a sample sample were placed in a filter Is injected into a GPC injector and the elution time of the sample sample is compared with a calibration curve of a standard sample to obtain a molecular weight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compound.
  • Infinity II 1260 (Agilient) can be used as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flow rate can be set to 1.00 mL / min and the column temperature to 40.0 ° C.
  • the viscosity of the compound may be a value measured with a Brookfield viscometer at a temperature of 25 ⁇ .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e composition of a photocurable composition which is easy to adhere to a curved object and which can form a coating layer of a decocked film capable of maintaining the shape attached to the article for a long period of time.
  • the composition of a photocurable composition capable of realizing a coating layer which is not generated has been disclosed and a coating layer containing a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as described below has been develope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derived from a first urethane prepolymer having an isocyanate terminal group and an acrylamide containing a polar group;
  • an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derived from acrylamide and a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isocyanate terminal group and an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 the coating layer compris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is easy to adhere to the curved article and provides a decoy film that can maintain its shape for a long time even after it is attached to the curved article can do.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an provide a coating layer inhibited from being deformed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may be derived from a first urethane prepolymer having an isocyanate terminal group and a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That is,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may be formed through a polymerization reaction between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and the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Specifically, the reaction between the isocyanate group located at the terminal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and the polar group of the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proceeds to form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More specifically, the polar group of each of the two acrylamides may react with isocyanate groups respectively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to form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can easily realize a coating lay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 the polar group of the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forming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 a hydroxyl group (-OH)
  • acrylamide containing a hydroxyl group as a polar group can be used.
  • Acrylamide containing a hydroxy group by a polar group can react with an isocyanate group located at the terminal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to form a urethane bond.
  •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has high polarity, has a high curing rate to UV, and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may have excellent adhesion to the adherend.
  • the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may not contain a carboxyl group. That is, the acrylamide may not contain a carboxyl group as a polar group.
  • the carboxyl group contained in the acrylamide may not be easily reacted with the isocyanate group located at the terminal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and thus it may not be easy to form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 the carboxyl groups remaining in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formed from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acrylamide the problem that the heat-resistant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is reduced may occur.
  •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can be easily formed using acrylamide containing no carboxyl group as a polar group. 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curable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a coating layer excellent in heat-resistant adhesion.
  • the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may contain an alkyl group having 4 or less carbon atoms.
  • the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may contain at least one alkyl group of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and a butyl group.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less carbon atoms and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derived from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can realize a coating layer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substrate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at is, the decoy film including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an maintain its shape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 the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forming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methylacrylamide, hydroxyethyl acrylamide, hydroxypropylacrylamide, and hydroxybutylacrylamide .
  •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 A is derived from a diisocyanate compound
  • B 1 is derived from a polycarbonate diol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from 200 g / mol to 700 g / mol,
  • n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10 or less.
  • the first urethane polymer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formed through a polymerization reaction between the diisocyanate compound and the polycarbonate diol. Specifically, as the reaction between the isocyanate group of the diisocyanate compound and the hydroxyl group of the polycarbonate diol progresses, a urethane bond is formed and a first urethane prepolymer having isocyanate groups at both ends may be formed.
  • a in Formula 1 is derived from the diisocyanate compound, and B 1 may be derived from the polycarbonate diol.
  • a in Formula 1 is derived from the skeleton of the diisocyanate compound excluding the isocyanate functional group
  • B 1 in Formula 1 may be derived from the skeleton of the polycarbonate diol except for the hydroxy functional group.
  •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May contain from 1 to 10 polymerized units of the structure. Specifically,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May contain 1 to 6, 3 to 6, or 5 to 10 polymerized units of the structure.
  •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polymerization units in the structure to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possible to form a first urethane prepolymer having an appropriat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Specifically,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 g / mol to 6,000 g / mol.
  •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derived from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having the above-mentione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the polar group-containing acrylami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curable composition capable of realizing a coating lay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is less than 2,000 g / mol, the elongation of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be reduced.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is more than 6,000 g / mol, the viscosi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is not easily controlled, and the coating property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is deteriorated, and the surface state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roblem of inferiority may occur.
  •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can be prepared by using an additive other than the diisocyanate compound and the polycarbonate diol.
  • a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may be added.
  •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formed using the viscosity modifying monomer may have an appropriate viscosity.
  • the viscosity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may be 7,000 cPs or more and 9,000 cPs or less.
  •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having the above-mentioned range of viscosity can easily carry ou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ith the acrylamide containing the polar group.
  • the viscosity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can be measured with a Brookfield viscometer at a temperature of 25 ⁇ , a rotational speed of 10 rpm, and a 52 nd spindle.
  • the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bornyl acrylate (IBOA), isobornyl methacrylate (IBOMA),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rimethylcyclohexyl acrylate (TMCHA).
  • IBOA isobornyl acrylate
  • IBOMA isobornyl methacrylate
  • CHMA cyclohexyl methacrylate
  • TMCHA trimethylcyclohexyl acrylate
  • the diisocyanate compound is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 (isocyanatomethyl) cyclohexane, 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tolu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Diisocyanate,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and tetramethyl xylene diisocyanate.
  • the kind of the diisocyanate compound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diol forming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may be 200 g / mol or more and 700 g / mol or less.
  • the polycarbonate diol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 g / mol or more and 600 g / mol or less, 350 g / mol or more and 550 g / mol or less, 400 g / mol or more and 500 g / Less than 400 g / mol, or from 450 g / mol to less than 600 g / mol.
  • the polycarbonate diol may be a polyalkylene carbonate diol.
  • the polycarbonate dio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carbonate diol, polytrimethylene carbonate diol, polytetramethylene carbonate diol, poly 1,2-propylene carbonate diol, poly 1,2-butylene carbonate diol, poly 1,3- Propylene carbonate diol, poly 1,3-butylene carbonate diol, poly 1,4-pentylene carbonate diol, poly 1,5-pentylene
  • a polyalkylene carbonate diol derived from at least one of carbonate diol, poly 2,3-pentylene carbonate diol, poly 2,4-pentylene carbonate diol, poly 1,6-hexylene carbonate diol and poly neopentyl carbonate diol, 1 or more.
  •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be derived from a second urethane prepolymer having an isocyanate terminal group and a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That is,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can be formed through a polymerization reaction between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and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Specifically, the reaction may proceed between the isocyanate group located at the terminal of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and the polar group of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to form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ore specifically, each polar group of the two (meth) acrylates may react with an isocyanate group respectively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to form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can realize a film having excellent adhesiveness to an article having a bending proper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ending adhesion property).
  • the coating layer compris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have excellent elongation.
  • the polar group of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forming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 a hydroxyl group (-OH)
  • (meth) acrylate containing a hydroxyl group as a polar group can be used.
  • (Meth) acrylate containing a hydroxyl group by a polar group may react with an isocyanate group located at the terminal of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to form a urethane bond.
  •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has higher polarity than general acrylate oligomers and has a faster curing rate to UV.
  •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has excellent adhesion to the substrate .
  •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ay not contain a carboxyl group. That is, the (meth) acrylate may not contain a carboxyl group as a polar group.
  • (Meth) acrylate containing no carboxyl group as a polar group can be used to easily form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Further, a problem that the heat resistant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is reduced may be caused by the carboxyl groups remaining i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formed from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ay contain an alkyl group having 4 or less carbon atoms.
  •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ay contain at least one alkyl group of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and a butyl group.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having a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a (meth) acrylate containing a polar group having 4 or less carbon atoms and a second urethane prepolymer can provide a coating layer having excellent elongation. That is, even when the decoy film including the coating layer and the substrate is attached to an article having a curvature, the coating layer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substr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forming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methyl (meth) acrylate, hydroxyethyl (meth) 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and hydroxybutyl (meth) acrylate.
  •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2).
  • A is derived from a diisocyanate compound
  • B 2 is derived from a polycarbonate diol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from 1,000 g / mol to 3,000 g / mol,
  • n is an integer of 3 or more and 10 or less.
  •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be formed through polymerization between the diisocyanate compound and the polycarbonate diol. Specifically, the reaction between the isocyanate group of the diisocyanate compound and the hydroxyl group of the polycarbonate diol proceeds to form a urethane bond, and a second urethane prepolymer having isocyanate groups at both terminals may be formed.
  • a in Formula 2 may be derived from the diisocyanate compound, and B 2 may be derived from the polycarbonate diol.
  • a of Formula 2 is derived from the skeleton of the diisocyanate compound excluding the isocyanate functional group
  • B 2 of Formula 2 may be derived from the skeleton of the polycarbonate diol excluding the hydroxy functional group.
  •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2) And may contain from 3 to 10 polymerized units of the structure.
  •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The polymerized units of the structure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5 or more and 10 or less, or 3 or more and 8 or less.
  •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polymerization units in the structure to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possible to form a second urethane prepolymer having an appropriat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9,500 g / mol to 11,000 g / mol.
  •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derived from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having the above-mentione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curable composition capable of realizing a coating layer excellent in bending adhesion .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be reduced.
  •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can be prepared by using an additive other than the diisocyanate compound and the polycarbonate diol.
  • a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may be added.
  •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formed using the viscosity modifying monomer may have an appropriate viscosity.
  • the viscosity of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may be 45,000 cPs or more and 55,000 cPs or less.
  •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having the viscosity in the above-mentioned range can easily carry ou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ith the (meth) acrylate containing the polar group.
  • the viscosity of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can be measured with a Brookfield viscometer at a temperature of 25 ⁇ , a rotational speed of 10 rpm, and a 52 nd spindle.
  • the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bornyl acrylate (IBOA), isobornyl methacrylate (IBOMA),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rimethylcyclohexyl acrylate (TMCHA).
  • IBOA isobornyl acrylate
  • IBOMA isobornyl methacrylate
  • CHMA cyclohexyl methacrylate
  • TMCHA trimethylcyclohexyl acrylate
  • the diisocyanate compound is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 (isocyanatomethyl) cyclohexane, 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tolu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Diisocyanate,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and tetramethyl xylene diisocyanate.
  • the kind of the diisocyanate compound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 the diisocyanate compound used for preparing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diisocyanate compound used for preparing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diol forming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may be 1,000 g / mol to 3,000 g / mol or less.
  • the polycarbonate diol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300 g / mol to 2,800 g / mol, 1,500 g / mol to 2,500 g / mol, 2,000 g / mol to 2,200 g / mol, 1,200 g / mol or more Mol or less, 1,500 g / mol or less, 1,800 g / mol or more and 2,000 g / mol or less, 2,100 g / mol or more and 2,500 g / mol or less, or 2,800 g / mol or more and 3,000 g / mol or less.
  • the number-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diol forming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is less than 1,000 g / mol, the elongation of the coating layer may be reduced.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diol is more than 3,000 g / mol, the polycarbonate diol itself may be crystallized, making it difficult to prepare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 the polycarbonate diol may be a polyalkylene carbonate diol.
  • the polycarbonate dio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carbonate diol, polytrimethylene carbonate diol, polytetramethylene carbonate diol, poly 1,2-propylene carbonate diol, poly 1,2-butylene carbonate diol, poly 1,3- Propylene carbonate diol, poly 1,3-butylene carbonate diol, poly 1,4-pentylene carbonate diol, poly 1,5-pentylene
  • a polyalkylene carbonate diol derived from at least one of carbonate diol, poly 2,3-pentylene carbonate diol, poly 2,4-pentylene carbonate diol, poly 1,6-hexylene carbonate diol and poly neopentyl carbonate diol, 1 or more.
  •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may be derived from the acrylamide and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That is,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can be formed through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acrylamide and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Specifically, the reaction proceeds between the carbon-carbon double bond contained in the acrylamide and the carbon-carbon double bond in the (meth) acrylate containing the polar group to form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may have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3).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can realize a coating lay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even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 the polar group of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forming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From the viewpoint of reactivity with acrylamide, (meth) acrylate containing a hydroxyl group as a polar group can be used.
  •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ay not contain a carboxyl group. That is, the (meth) acrylate may not contain a carboxyl group as a polar group.
  • the carboxyl group contained in the (meth) acrylate is poor in reactivity with the acrylamide, so that it may not be easy to form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ay contain an alkyl group having 4 or less carbon atoms.
  •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ay contain at least one alkyl group of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and a butyl group.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derived from acrylamide and a (meth) acrylate containing a polar group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less carbon atoms can provide a coating lay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t high temperatures.
  • the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forming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methyl (meth) acrylate, hydroxyethyl (meth) acrylate, ) Acrylate, and hydroxybutyl (meth) acrylate.
  • the acrylamide is at least one of dimethyl acrylamide, ethyl methylacrylamide, diethylacrylamide, ethylpropylacrylamide, dipropylacrylamide, butylpropylacrylamide, and dibutyl acrylamide.
  •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can be prepared using an additive in addition to acrylamide and a polar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 the additive may comprise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wherein the molecular weight regulato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decane thiol, 2-mercaptoethanol, lauryl mercaptan, glycidyl mercaptan, 2-ethylhexyl thioglycolate, and alpha Methylstyrene dimer.
  • the above-mentioned molecular weight modifier for preparing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to be formed, An acrylic polymer can be produced.
  • the viscosity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at a temperature of 25 ⁇ and a 52 nd spindle may be 500 cPs or more and 1,000 cPs or less.
  •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may be manufactured into a solventless syrup type having a solid content of 15% or more and 20% or less.
  • the coating proper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can be improved.
  • the stability of the photocuring reaction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an be improved.
  • the polarity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can be controlled.
  •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contained in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an be more easily mixed and the photocuring reaction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can do.
  •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may be 1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is 2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40 parts by weight or less, 2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35 parts by weight or less, 1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5 parts by weight or less, and 30 parts by weight or less, Or more and 40 weight parts or less, or 45 weight parts or more and 50 weight parts or less.
  • a coating lay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can be produced. Also,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contained in the photo-curing composition to the above-described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ating layer capable of maintaining excellent adhesion even under high humidity conditions. If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urable composition,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to the base material und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is lowered. If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exceeds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urable composition, the elongation of the coating layer may be lowered.
  •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be 1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be 1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3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35 parts by weight or less, or 4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contained in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to the above-described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ating layer having an improved elongation and excellent bendability. Further,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to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coating layer having excellent flexural adhesion.
  •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bending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is lowered.
  • the coating layer may have low durability against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 the content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may be 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9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is 3 parts by weight or more and 7 parts by weight or less, 4.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6 parts by weight or less, 3.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 parts by weight or less, Parts by weight or more and 7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durability of the coating layer at high temperature conditions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contained in the photo-curing composition to the above-mentioned range, A coating layer excellent in durabilit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can be easily produced.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may be 2,000 g / mol to 5,000 g / mol or less.
  •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500 g / mol to 4,000 g / mol, 3,000 g / mol to 3,500 g / mol, 2,000 g / mol to 3,500 g / mol, mol or more and 5,000 g / mol or less.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is less than 2,000 g / mol, the elongation of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is reduced, and cracks are generated at the time of high temperature exposure.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is more than 5,000 g / mol, the coating proper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be 10,000 g / mol or more and 15,000 g / mol or less.
  •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1,000 g / mol to 14,500 g / mol, 12,000 g / mol to 13,000 g / mol, 10,000 g / mol to 13,000 g / mol, mol or more and 15,000 g / mol or less.
  • 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less than 10,000 g / mol, the elongation of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be reduced.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more than 15,000 g / mol, the viscosi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be increased to lower the coating property, and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lm can be reduced.
  •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g / mol to 10,000 g / mol. Specifically,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g / mol to 8,000 g / mol, 6,500 g / mol to 7,000 g / mol, 5,500 g / mol to 6,500 g / mol, mol or more and 8,000 g / mol or less, or 8,500 g / mol or more and 9,500 g / mol or less.
  • the durability of the coating layer at high temperature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more than 10,000 g / mol, the compatibility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with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and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rapidly lowered,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apply the composition uniformly.
  • the viscosity of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at a temperature of 25 ⁇ , a rotational speed of 10 rpm and a 52 nd spindle may be 10,000 cPs or more and 15,000 cPs or less.
  • the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may have a viscosity of 11,000 cPs or more and 14,000 cPs or less, 12,000 cPs or more and 13,000 cPs or less, 11,000 cPs or more and 13,000 cPs or less, or 13,500 cPs or more and 15,000 cPs or less.
  • the viscosity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at a temperature of 25 ⁇ , a rotational speed of 10 rpm, and a 52 nd spindle may be 50,000 cPs or more and 80,000 cPs or less.
  • the viscosity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be 55,000 cPs or more and 75,000 cPs or less, 60,000 cPs or more and 70,000 cPs or less, or 65,000 cPs or more and 80,000 cPs or less.
  • the coating proper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an be improved, and the photocuring proper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The reac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n additiv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viscosity modifying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 an additiv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viscosity modifying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 the content of the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may be 2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4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may be 25 to 35 parts by weight, 20 to 30 parts by weight, or 35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viscosi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contained in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to the above range to improve the coating property to the substrate.
  • the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tri / tetraacrylate (PETA), tripropylene glycoldiacrylate (TPGDA), hexanediol diacrylate diacrylate, HDDA) and butanediol diacrylate (BDDA).
  • PETA pentaerythritol tri / tetraacrylate
  • TPGDA tripropylene glycoldiacrylate
  • HDDA hexanediol diacrylate diacrylate
  • BDDA butanediol diacrylate
  • the viscosi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as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at a temperature of 25 ⁇ and on a 52 nd spindle may be from 300 cPs to 1,300 cPs.
  • the viscosi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be 300 cPs or more and 500 cPs or less, 600 cPs or more and 1,000 cPs or less, or 1,100 cPs or more and 1,250 cPs or less.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having the viscosity in the above-mentioned range can be excellent in coating property to a substrate.
  •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as an additive in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be 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photocuring reaction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y adjusting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contained in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to the above-described range.
  • a structure known as the photoinitiator can be used.
  • at least one of HP-8 (Miwon Specialty), CP-4 (Miwon Specialty), Irgacure # 1173 (BASF) and Irgacure # 184 (BASF) may be used as the photoinitiator.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contain other additives besides the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and the photoinitiator.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include other additives that can improve the substrate adhesion of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other additives contained in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be 0.1 part by weight or more and 1 part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additives capable of improving the substrate adhesion of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poxy silane, acrylate silane and aminosilane, but the kind of the other additives is not limited thereto.
  • KBM403 Shin-Etsu
  • KBM5103 Shin-Etsu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ating layer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may have excellent flexural adhesion. Further, the coating layer may have excellent durability even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on a substrate and photo-cure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to form a coating layer on the substrate. That is, the coating layer may be provided on a substrate without a bonding film or an adhesive.
  • the photo-UV light having a wavelength value of less than or equal to apply the curable composition, and more than 300 nm 400 nm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J / cm 2 to 1.5 J / cm 2 to lighten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 the Erricson cofiguring value of the coating layer measured according to ISO 1520 in an atmosphere of 85 ⁇ , 85 RH% and 72 hours can satisfy a value of 10 mm or more. That is,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humidity bending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can satisfy the Ericson capping value of 10 mm or more measured according to ISO 1520.
  • the measurement of Erricson's cofing number of the coating layer was performed by coating a photocurable composition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23 ⁇ m and curing it to prepare a film having a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 ⁇ m on the PET substrate do.
  • the film was cut to a size of 20 cm in length and 20 cm in length to prepare a sample.
  • the coating layer of the sample was placed on a steel plate having a width of 20 cm, a length of 20 cm and a thickness of 0.5 mm on a hot- ) To prepare a test sample.
  • the center portion of the test sample wa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from the steel plate at a punching speed of 1 mm / min to 3 mm / min through a test method conforming to ISO 1520,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test sample in a cup shape that is more warped. Thereafter, the deformed sample was stored in an atmosphere of 85 ° C and 85% RH for 72 hours, and then the PET substrate of the sample was cross-cut to confirm the Erikson's cuffing value at which the PET base material and the coating layer of the sample did not fall off.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humidity bending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 the Erricson cupping value may mean the height of the curved central portion of the test sample with respect to a parallel line between both ends of the test sample.
  • a BYK mechanical capping tester or TQC SP4400 can be used as the above-mentioned capping tester, and a 5 mm thick polyvinyl chloride (PVC) sheet instead of the 0.5 mm thick steel sheet is used to measur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 ≪ / RTI >
  • the high temperature, high-humidity bending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may be 10 mm or more Erickson's coplanar value according to ISO 1520.
  • the test sample containing the coating layer was deformed into a cup shape having an Erickson cupping value of 10 mm or more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en the deformed test sample was stored in an atmosphere of 85 ° C and 85% RH for 72 hours Even when cross-cut, the coating layer contained in the test sample and the PET substrate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adhesive force can be maintained.
  •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ing composition can have a high adhesion to the substrate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 the coating layer may be a decoration layer for a deco film. That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And a coating layer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provided on the substrate.
  • the shape of the decoupled film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after it is attached to an article having a curvature. Specifically, even after a lapse of a long time after attaching the deco film to an article having a curvature,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 film may not be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 the decoupled film can maintain its shape even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Specifically, even when the decor film is allowed to stan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after the decor film is adhered to the article,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r film may not be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ecoy film comprising a coating lay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substrate can be produced by applying and photo-curing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 known processes may be us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processes such as an inkjet printing process, a dispensing process, a silk screen process, a spray coating process, a spin coating process, a knife coating process, a dip coater coating process, a Meyer bar coating process, a gravure coating process, A roll-to-roll offset coating process, a micro gravure coating process, or the like.
  • the substrate is an optically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light transmittance may be 90% or more.
  • the substrate is glass, 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er ether ketone, polycarbonate.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polyolefin, polymethacry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may be 20 ⁇ or more and 50 ⁇ or less.
  • a decoupling film comprising a bas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in the above-mentioned range can be excellent in durability.
  • a photo-curable composition is applied onto a substrate in the form of a sheet and photo-cured to produce a deco film having a coating layer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 a roll-to-roll method can be used to continuously apply and cure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on a base material which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duce a decoupled film.
  • the coating layer included in the deco film may be a decorative layer.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is appli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to form various decorative patterns on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then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is cured, .
  • a roll-to-roll method is used to offset-coat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on one side of a substrat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cure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thereby forming a decoy film Can be prepared.
  • metal sensitivity may be realized on the decolor film by performing tin (Sn) deposition and / or aluminum (Al) deposition on the coating layer on which the hairline pattern is formed.
  •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may be 10 ⁇ m or more and 20 ⁇ m or less. Deco-films containing a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in the above-mentioned range can be excellent in durability. Further, the decoy film including the coating layer may have excellent adhesion to a bent article.
  • the mixture was then kept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50 °C, catalyst D beutil dilaurate (dibutyltin dilaurate; DBTDL) by putting the 40ppm and induce an exothermic reaction, IPDI- (IPDI-T5650E) a first urethane prepolymer represented by the 4 .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urethane prepolymer prepared was about 2,800 g / mol, a temperature of 25 ⁇ , a rotation speed of 10 rpm, and a viscosity of about 8,100 cPs as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on a 52 nd spindle.
  • HEAA hydroxyethyl acrylamide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epared urethane acrylamide oligomer was about 3,100 g / mol, a temperature of 25 ⁇ , a rotation speed of 10 rpm, and a viscosity of about 13,000 cPs as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on a 52 nd spindle.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urethane prepolymer prepared was about 10,000 g / mol, a temperature of 25 ⁇ , a rotation speed of 10 rpm, and a viscosity of about 50,000 cPs as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on a 52nd spindle.
  • HEMA hydroxyethyl methacrylate
  • a 5-liter 2L reactor was charged with 1440 g of dimethylacrylamide (DMAA, Kohjin) as acrylamide, 160 g of Hydroxyl Ethyl Methacrylate (HEMA, Japan Catalyst) as a polar group-containing (meth) 4.8 g of normal dodecane thiol (n-DDM, Atopina) was added, and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60 ⁇ for 1 hour by substituting nitrogen. Thereafter,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which is an azo type thermal initiator, was added dropwise at a temperature of 20 ppm at an elevated temperature to prepare an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 AIBN 2,2'-azo-bisisobutyronitrile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epared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was about 7,000 g / mol, a temperature of 25 ° C, a rotation speed of 20 rpm, and a viscosity of about 900 cPs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at 52 spindle.
  • Pentaerythritol tri / tetraacrylate (M340, Milwaukin Specialty Co.) and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M220, Milwaukin Specialty Co., Ltd.) were prepared as the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and HP-8 (Miwon Specialty) was prepared as a photoinitiator.
  • KBM403 (Shin-Etsu) was prepared as another additive.
  •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and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3 were mixed with the viscosity controlling monomer, photoinitiator and additives to prepare a photocurable composition .
  •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30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30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acrylic polymer is 5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 the content is 5 parts by weight, the M220 content is 25 parts by weight, the photoinitiator content is 4.5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s 0.5 part by weight.
  • the viscosity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as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at a temperature of 25 ⁇ , a rotational speed of 10 rpm and a 52 nd spindle is 620 cPs.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applied to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3 ⁇ ⁇ to a thickness of about 15 ⁇ ⁇ . Thereafter,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was cured by irradiating with a light quantity of about 1.2 J / cm 2 using a UV lamp having a wavelength of 340 nm to form a decolorized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5 ⁇ m on one side of the PET substrate A film was prepared.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a decoy film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ing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cut to a width of 20 cm and a length of 20 cm to prepare a sample. Thereafter, the sample was stored at a room temperature of 25 DEG C for 72 hours,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a 100-mesh grid was cut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of the sample using a crosscutter as a cutting guide in accordance with ASTM D3359 Next, the cross - cut method of removing the lattice with Nichiban Tape was carried out to test the adhesion of the deco film at room temperature.
  • a decoy film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ing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cut to a width of 20 cm and a length of 20 cm to prepare a sample. Thereafter, the sample was stored for 72 hours under the conditions of 85 ° C and 85% RH wet heat,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subjected to the high temperature adhesion test of the deco film through the same crosscut method as the above room temperature adhesion test.
  • Table 2 The results of the high-temperature adhesion test are shown in Table 2 below.
  • 5B means that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 film has excellent adhesion to the substrate
  • 0B means that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 film has poor adhesion to the substrate
  • 0B to 5B is the evaluation The same evaluation method as the sex test was used.
  • a decoy film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ing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cut to a width of 20 cm and a length of 20 cm to prepare a sample. Thereafter, an experiment of flexural adhesion at room temperature wa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method.
  • a PET sample of the prepared decoy film sample was attached on a steel plate of 20 cm in length, 20 cm in length and 0.5 mm in thickness to prepare a test sample. Subsequently, the center portion of the test sample wa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from the steel plate at a punching speed of 2 mm / min, based on DIN EN ISO 1520, using a capping tester (TQC SP4400). The center portion of the test sample was pressed until the test sample was deformed into a cup shape having a height of 10 mm.
  • test sample deformed into a cup shape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of 25 ⁇ for 72 hours, and then subjected to a cross-cut method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adhesion test at room temperature to conduct a bending adhesion test at room temperature.
  • Table 2 The results of the test for adhesion at room temperature are shown in Table 2 below.
  • 5B means that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 film has excellent adhesion to the substrate
  • 0B means that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 film has poor adhesion to the substrate
  • 0B to 5B is the evaluation The same evaluation method as the sex test was used.
  • a decoy film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ing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cut to a width of 20 cm and a length of 20 cm to prepare a sample. Thereafter, the high temperature bending adhesion test of the deco film wa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method.
  • An iron plate having a width of 20 cm, a length of 20 cm and a thickness of 0.5 mm was prepared and a coating layer of the sample was adhered to a steel plate using a thermosetting adhesive adhesive (KCC) to prepare a test sample. Subsequently, a center portion of the test sample was pressed at a punching speed of 2 mm / min in the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from the steel plate using a capping tester (TQC SP4400) and according to ISO 1520. [ The center portion of the test sample was pressed until the test sample was deformed into a cup shape of a predetermined height.
  • KCC thermosetting adhesive adhesive
  • a test sample deformed into a cup shape was stored at 75 ° C and 85% RH for 72 hours, cross-cut the coating layer of the sample, and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 film fell off with the PET substrate Respectively.
  • the high-temperature bending adhesion test was carried out with different cup height (Erickson cupping value) of the test sample, and the experiment was repeated to find the height at which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upled film peeled from the PET substrate.
  • the results of the high-temperature flexural adhesion test are shown in Table 2 below.
  • the Erickson cupping value in Table 2 below means the height at which the Ericsson test sample was deformed until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upled film peeled off from the PET substrate while the high temperature flexural adhesion test was being conducted.
  • a decoy film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ing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cut to a width of 20 cm and a length of 5 cm to prepare a sample.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2T bend adhesion test method of a coating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2T bend adhesion test method of a coating layer containing a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2T bending adhesion test of the coating layer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arried out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when a PET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15 ⁇ and a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 ⁇ is bent with a gap of 2 T (2 mm) as shown in Fig. 1, The case where the PET substrate was peeled off or the case where no breakage occurred in the coating layer was evaluated in good condition, and the case where the coating layer was peeled or peeled was evaluated as insufficien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the decoy film containing the cured product of the photo-curing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cut to a width of 10 cm and a length of 10 cm to prepare a sample. Subsequently, the coating layer of the decolor film was irradiated for 72 hours with Q-UV (UV340, Q-lab), and the color difference change of the coating layer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CM5 Spectrophotometer, Konica Minolta). The chromaticity change of the coating layer can be measured through the ⁇ E value, which is the degree of change of the color of the coating layer after 72 hours from the initial color of the coating lay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Q-UV UV340, Q-lab
  • CM5 Spectrophotometer Konica Minolta
  • the photo-curing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applied on a release film and another release film was laminated on the photo-curing composition.
  • the two release films were removed from the coating layer, and the coating layer was cut to a width of 12 cm and a length of 2.54 cm to prepare a sample.
  • the sample was pulled at a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A instrument, and the tensil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sample until fracture were measured.
  • Table 2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4 At room temperature adhesion 5B 5B 5B 5B 3B 5B High temperature adhesion 5B 5B 5B 5B 5B 4B 5B Flexibility at room temperature 5B 5B 5B 4B 2B 5B 4B High temperature flexural adhesion (Erickson capping value, mm) 11.5 (good) 10.9 (Good) 11 (Good) 6 (poor) 4 (Poor) 3 (Poor) 6.2 (Poor) 2T flexural adhesion Good Good Good Good Inadequate Good Inadequate Q-UV result ( ⁇ E) 0.45 0.51 0.33 0.21 0.71 0.37 1.11 (Poor) Tensile strength (gf) 1820 1620 1364 1050 1400 900 2100 Toughness (gf * mm) 3163 6236 11500 2320 819 2130 950
  • the decoupling films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dhered to the substrate without dropping off even when Erickson's coiling value was 10 mm or more.
  • the decoy fil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peeled off from the base material even when Erickson's coiling value was 10 mm or les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eco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bending adhesion and excellent in adhesion even under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conditions.
  • FIG. 2 (a) is a photograph of a high-temperature bending adhesion test of a decoupling film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t is a photograph.
  • FIGS. 2A and 2B are photographs of a high-temperature flexural adhesion test of a decoupled film when the Erricson's coiling value is 10 mm.
  • the decoy film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 coating layer adhered to the substrate when the Erricson's coiling value was 10 mm.
  • the decoy film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dropped out of the coating layer when the Erikson's coiling value was 10 mm.
  • the decoupling films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excellent toughness compared to the decoupling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o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elongation. 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coupling film can have high toughness and elongation, it can be excellent in adhesion to a bent arti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 및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래된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 및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아크릴아미드 및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본 명세서는 2017년 11월 10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7-0149538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 마감재인 데코 필름은 대상 제품에 부착되어, 제품의 품질을 고품위로 연출하거나, 제품을 보호하거나 또는 자연 친화적인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데코 필름은 장롱, 싱크대 또는 탁자와 같은 각종 가구 및 세탁기, 냉장고, 오디오 또는 텔레비전과 같은 전자제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품의 미적인 측면에서, 데코 필름에 나무무늬 모양, 헤어라인 패턴, SUS 무늬 등의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최근, 굴곡을 가지는 다양한 가구 및 전자제품 등이 등장하며, 굴곡진 제품에 부착되는 데코 필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데코 필름의 기재로 투명성을 가지는 유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굴곡이 있는 유리면에 직접 데코레이션 패턴을 인쇄할 경우 불량율이 높기 때문에, 최근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등의 플라스틱 기재 상에 투명 필름으로 메탈감성 및 다양한 무늬를 연출한 데코 필름이 출시되고 있다.
다만, 굴곡진 제품에 데코 필름을 부착하고 오래지나지 않아, 플라스틱 기재로부터 투명 필름이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데코 필름이 부착된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플라스틱 기재로부터 투명 필름이 탈락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굴곡진 제품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고, 굴곡진 제품에 부착된 후에도 데코 필름의 투명 필름이 기재로부터 박리되지 않으며, 고온 및 고습 등의 가혹한 조건에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데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는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 및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래된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 및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아크릴아미드 및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은 굴곡이 있는 물품에 대한 부착이 용이하며, 굴곡이 있는 물품에 부착된 후에도 그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데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고온의 환경에서 변형되는 것이 억제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은 굴곡이 있는 물품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며, 굴곡이 있는 물품에 부착된 후에도 그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은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2T 굴곡 부착성 실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코 필름의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수행한 것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b는 비교예 2에 따른 데코 필름의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수행한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프리폴리머(prepolymer)는 화합물 간에 어느 정도의 중합이 일어난 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완전히 중합된 상태에는 이르지 않고, 추가적인 중합이 가능한 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화합물들로부터 유래되는 중합단위는 화합물간에 중합 반응이 진행되어 그 중합체의 골격, 예를 들면, 주쇄 또는 측쇄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수평균분자량”은 그 화합물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 ml의 유리병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와 화합물을 넣어 화합물의 농도가 1 wt%인 샘플 시료를 준비하고, 표준 시료(폴리스티렌, polystryere)와 샘플 시료를 필터(포어 크기가 0.45 mm)를 통해 여과시킨 후, GPC 인젝터(injector)에 주입하여, 샘플 시료의 용리(elution) 시간을 표준 시료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곡선과 비교하여 화합물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측정 기기로 Infinity II 1260(Agilient 社)를 이용할 수 있고, 유속은 1.00 mL/min, 컬럼 온도는 40.0 ℃로 설정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화합물의 점도는 25 ℃의 온도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굴곡이 있는 대상 물품에 대한 부착이 용이하고, 물품에 부착된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데코 필름의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조성을 밝혀내었으며, 고온 및 고습의 환경에서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조성을 밝혀내어, 하기와 같은 광경화성 조성물 및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 및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래된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 및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아크릴아미드 및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은 굴곡이 있는 물품에 대한 부착이 용이하며, 굴곡이 있는 물품에 부착된 후에도 그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데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고온의 환경에서 변형되는 것이 억제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상기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의 중합 반응을 통해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에 위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의 극성기 간에 반응이 진행되어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두개의 아크릴아미드 각각의 극성기는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양 말단에 각각 위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각각 반응하여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은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상기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의 극성기는 히드록시기(-O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에 위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중합 반응성 측면에서, 히드록시기를 극성기로 함유하는 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극성기로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아미드는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에 위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는 극성이 높아, UV에 대한 경화 속도가 빠르며,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은 피착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는 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아미드는 극성기로 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아미드에 함유된 카복실기는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에 위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성이 좋지 않아,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로부터 형성된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에 잔존하는 카복실기에 의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내열 부착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카복실기를 극성기로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아미드를 이용하여,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열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는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부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와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로부터 유래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고온 환경에서도 기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은 고온 조건에서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상기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는 히드록시 메틸 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 프로필 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 부틸 아크릴아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고,
B1은 수평균분자량이 200 g/mol 이상 700 g/mol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디올로부터 유래되고,
n은 1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간의 중합 반응을 통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우레탄 폴리머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히드록시기 간에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우레탄(urethane) 결합이 형성되며,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A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B1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A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제외한 골격으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기 화학식 1의 B1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에서 히드록시 관능기를 제외한 골격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02
구조의 중합단위를 1 이상 10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03
구조의 중합단위를 1 이상 6 이하, 3 이상 6 이하, 또는 5 이상 10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포함되는 상기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04
구조의 중합단위의 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2,000 g/mol 이상 6,000 g/mol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중량평균분자량를 가지는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상기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래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사용함으로써,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g/mol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신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6,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코팅성이 저하되고, 높은 극성으로 인하여 도포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표면 상태가 열등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이외에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 점도 조절용 모노머를 첨가할 수 있다. 점도 조절용 모노머를 사용하여 형성된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점도는 7,000 cPs 이상 9,000 cPs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점도를 가지는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상기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와 용이하게 중합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점도는 25 ℃의 온도, 1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도 조절용 모노머는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IBOA),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isobornyl methacrylate, IBOMA),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yclohexyl methacrylate, CHMA) 및 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trimethylcyclohexyl acrylate, TMCH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산,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사이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테트라메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종류를 전술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형성하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수량평균분자량은 200 g/mol 이상 700 g/mol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수량평균분자량은 300 g/mol 이상 600 g/mol 이하, 350 g/mol 이상 550 g/mol 이하, 400 g/mol 이상 500 g/mol 이하, 250 g/mol 이상 400 g/mol 이하, 또는 450 g/mol 이상 6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수량평균분자량의 범위를 가지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을 사용함으로써,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은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디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은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2-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2-부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3-부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2,3-부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2-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3-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4-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5-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2,3-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2,4-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6-헥실렌카보네이트 디올 및 폴리네오펜틸카보네이트 디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래된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디올을 1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간의 중합 반응을 통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에 위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극성기 간에 반응이 진행되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두개의 (메트)아크릴레이트 각각의 극성기는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양 말단에 각각 위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각각 반응하여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은 굴곡이 있는 물품에 대한 부착성(이하, 굴곡 부착성이라 함)이 우수한 필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은 우수한 신율을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극성기는 히드록시기(-O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에 위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중합 반응성 측면에서, 히드록시기를 극성기로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극성기로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에 위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일반적인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보다 극성이 높아, UV에 대한 경화 속도가 빠르며,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은 기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극성기로 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카복실기를 극성기로 함유하지 않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잔존하는 카복실기에 의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내열 부착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부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로부터 유래된 중합단위를 갖는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신율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코팅층 및 기재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이 굴곡이 있는 물품에 부착된 경우에도, 상기 코팅층은 기재에 부착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히드록시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고,
B2는 수평균분자량이 1,000 g/mol 이상 3,000 g/mol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디올로부터 유래되고,
n은 3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간의 중합 반응을 통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히드록시기 간에 반응이 진행되어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며,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A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B2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의 A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제외한 골격으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기 화학식 2의 B2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에서 히드록시 관능기를 제외한 골격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06
구조의 중합단위를 3 이상 10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07
구조의 중합단위를 5 이상 10 이하, 또는 3 이상 8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포함되는 상기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08
구조의 중합단위의 수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9,500 g/mol 이상 11,000 g/mol 이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중량평균분자량를 가지는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함으로써, 굴곡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인장강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이외에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 점도 조절용 모노머를 첨가할 수 있다. 점도 조절용 모노머를 사용하여 형성된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점도는 45,000 cPs 이상 55,000 cPs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점도를 가지는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용이하게 중합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점도는 25 ℃의 온도, 1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도 조절용 모노머는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IBOA),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isobornyl methacrylate, IBOMA),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yclohexyl methacrylate, CHMA) 및 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trimethylcyclohexyl acrylate, TMCH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산,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사이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테트라메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종류를 전술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형성하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수평균분자량은 1,000 g/mol 이상 3,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수평균분자량은 1,300 g/mol 이상 2,800 g/mol 이하, 1,500 g/mol 이상 2,500 g/mol 이하, 2,000 g/mol 이상 2,200 g/mol 이하, 1,200 g/mol 이상 1,500 g/mol 이하, 1,800 g/mol 이상 2,000 g/mol 이하, 2,100 g/mol 이상 2,500 g/mol 이하, 또는 2,800 g/mol 이상 3,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수평균분자량의 범위를 가지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을 사용함으로써, 향상된 신율을 보유하는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형성하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수평균분자량이 1,000 g/mol 미만인 경우, 제조되는 코팅층의 신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수평균분자량이 3,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자체가 결정화되어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은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디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은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2-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2-부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3-부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2,3-부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2-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3-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4-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5-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2,3-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2,4-펜틸렌카보네이트 디올, 폴리1,6-헥실렌카보네이트 디올 및 폴리네오펜틸카보네이트 디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래된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디올을 1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 아크릴아미드 및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아미드와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반응을 통해,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아미드에 함유된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 간에 반응이 진행되어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09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은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극성기는 히드록시기(-O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아미드와의 반응성 측면에서 히드록시기를 극성기로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극성기로 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에 함유된 카복실기는 상기 아크릴아미드와 반응성이 좋지 않아,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부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래된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고온에서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상기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히드록시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아미드는 디메틸 아크릴아미드, 에틸 메틸 아크릴아미드, 디에틸 아크릴아미드, 에틸 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디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부틸 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디부틸 아크릴아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아크릴아미드 및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에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도데케인 싸이올(dodecane thiol), 2-머캅토에탄올, 라우릴 머캅탄, 글리시딜 머캅탄, 2-에틸헥실티오글리콜레이트 및 알파메틸스틸렌다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고, 적절한 점도를 가지는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5 ℃의 온도,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점도는 500 cPs 이상 1,000 cPs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는 고형분이 15% 이상 20% 이하인 무용제 시럽 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점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코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 반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보다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고,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 반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또는 45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고온 조건에서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고습 조건에서도 우수한 부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함량이 상기 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의 코팅층의 기재에 대한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함량이 상기 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팅층의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 또는 4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신율이 향상되어 굴곡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굴곡 부착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굴곡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팅층의 고온 및 고습 조건에 대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이상 9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또는 6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코팅층의 고온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굴곡 부착성이 우수하며,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 g/mol 이상 5,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500 g/mol 이상 4,000 g/mol 이하, 3,000 g/mol 이상 3,500 g/mol 이하, 2,000 g/mol 이상 3,500 g/mol 이하, 또는 4,000 g/mol 이상 5,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 내구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g/mol 미만인 경우,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신율이 감소되어 고온 노출 시에 크랙(crack)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g/mol 이상 15,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1,000 g/mol 이상 14,500 g/mol 이하, 12,000 g/mol 이상 13,000 g/mol 이하, 10,000 g/mol 이상 13,000 g/mol 이하, 또는 13,500 g/mol 이상 15,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굴곡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g/mol 미만인 경우,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신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인장강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g/mol 이상 1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6,000 g/mol 이상 8,000 g/mol 이하, 6,500 g/mol 이상 7,000 g/mol 이하, 5,500 g/mol 이상 6,500 g/mol 이하, 7,000 g/mol 이상 8,000 g/mol 이하, 또는 8,500 g/mol 이상 9,5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코팅층의 고온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및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의 상용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광경화성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25 ℃의 온도, 1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점도는 10,000 cPs 이상 15,000 cPs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점도는 11,000 cPs 이상 14,000 cPs 이하, 12,000 cPs 이상 13,000 cPs 이하, 11,000 cPs 이상 13,000 cPs 이하, 또는 13,500 cPs 이상 15,000 cPs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25 ℃의 온도, 1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점도는 50,000 cPs 이상 80,000 cPs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점도는 55,000 cPs 이상 75,000 cPs 이하, 60,000 cPs 이상 70,000 cPs 이하, 또는 65,000 cPs 이상 80,000 cPs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및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점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코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 반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점도 조절용 모노머 및 광개시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첨가제로 점도 조절용 모노머를 첨가하여,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점도 조절용 모노머를 첨가하여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기재에 대한 코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도 조절용 모노머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도 조절용 모노머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또는 3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점도 조절용 모노머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를 제어하여 기재에 대한 코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도 조절용 모노머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tetraacrylate; PETA), 트리프로필렌 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 glycoldiacrylate, TPGDA),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exanediol diacrylate, HDDA) 및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butanediol diacrylate, BDD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25 ℃의 온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는 300 cPs 이상 1,300 cPs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는 300 cPs 이상 500 cPs 이하, 600 cPs 이상 1,000 cPs 이하, 또는 1,100 cPs 이상 1,250 cPs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점도를 가지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기재에 대한 코팅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첨가제로 포함되는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 반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 공지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개시제로 HP-8(미원스페셜티 社), CP-4(미원스페셜티 社), Irgacure#1173(BASF 社) 및 Irgacure#184(BASF 社)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점도 조절용 모노머 및 광개시제 이외에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의 기재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기타 첨가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의 기재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의 기재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첨가제는 에폭시 실란, 아크릴레이트 실란, 아미노 실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기타 첨가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에폭시 실란 첨가제로 KBM403(신에츠 社)을 사용할 수 있고, 아크릴레이트 실란 첨가제로 KBM5103(신에츠 社)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은 굴곡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기재 상에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기재 상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코팅층은 접합 필름 또는 접착제 없이 기재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의 일면 상에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300 nm 이상 400 nm 이하의 파장 값을 가지는 UV 램프를 사용하여, 1.0 J/cm2 내지 1.5 J/cm2의 광량으로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85 ℃, 85 RH% 및 72 시간 분위기에서, ISO 1520에 준하여 측정된 상기 코팅층의 에릭슨 커핑 수치는 10 mm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즉, 상기 코팅층의 고온, 고습 굴곡 부착력은 ISO 1520에 준하여 측정된 10 mm 이상의 에릭슨 커핑 수치를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의 에릭슨 커핑 수치의 측정은 23 ㎛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기재 상에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PET 기재 상에 15 ㎛ 두께의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을 가로 20 cm, 세로 20 cm의 크기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고, 가로 20 cm, 세로 20 cm, 두께 0.5mm의 철판 상에 상기 샘플의 코팅층을 열경화 소부성 접착제(KCC 社)를 사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시험 샘플을 제조한다. 이후, ISO 1520에 준하는 시험법을 통하여, 커핑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 샘플의 중앙부를 1 mm/min 내지 3 mm/min의 펀치속도로, 상기 철판에서 상기 코팅층 방향으로 가압하여, 중앙부가 양 말단보다 휘어진 형태의 컵모양으로 상기 시험 샘플에 변형을 가한다. 이후, 변형된 샘플을 85 ℃ 및 85 RH% 분위기에서 72 시간 동안 보관한 후, 샘플의 PET 기재를 크로스 컷하여, 샘플의 PET 기재와 코팅층이 탈락되지 않는 에릭슨 커핑 수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상기 코팅층의 고온, 고습 굴곡 부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릭슨 커핑 수치는 상기 시험 샘플의 양 말단을 이은 평행선에 대한, 상기 시험 샘플의 휘어진 중앙부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핑 시험기로 BYK 기계적 커핑 시험기 또는 TQC SP4400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0.5 mm 두께의 철판 대신 5 mm 두께의 폴리염화비닐(PVC)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코팅층의 고온, 고습 굴곡 부착력을 측정 시험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의 고온, 고습 굴곡 부착력은 ISO 1520에 준한 에릭슨 커핑 수치가 10 m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상기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험 샘플을 에릭슨 커핑 수치가 10 mm 이상인 컵모양으로 변형을 가한 후, 변형된 시험 샘플을 85 ℃ 및 85 RH% 분위기에서 72 시간 동안 보관한 후 크로스 컷하여도, 시험 샘플에 포함된 코팅층과 PET 기재가 서로 탈락되지 않고,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은 기재에 대한 고온, 고습 굴곡 부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데코 필름용 장식층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되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데코 필름은 굴곡이 있는 물품에 부착된 후에도 그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굴곡이 있는 물품에 상기 데코 필름을 부착한 후, 장기간이 지난 후에도, 상기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상기 기재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데코 필름은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에 상기 데코 필름이 부착된 후, 고온 및 고습 조건에 방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상기 기재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상기 데코 필름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기재의 일면 상에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경화시킴으로써, 기재의 일면 상에 구비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기재의 일면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젯 프린팅 공정, 디스펜싱 공정, 실크 스크린 공정, 스프레이 코팅 공정, 스핀 코팅 공정, 나이프 코팅 공정, 딥코터 코팅 공정, 메이어바 코팅 공정, 그라비아 코팅 공정, 오프셋 코팅 공정, 그라비아 오프셋 코팅 공정, 롤투롤 오프셋 코팅 공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공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기재로, 광투과도가 90%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재는 유리,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올레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의 두께는 20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기재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은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시트 형태의 기재 상에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경화시켜, 기재의 일면 상에 코팅층이 구비된 데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재 상에 연속적으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데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데코 필름에 포함되는 상기 코팅층은 장식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의 일면 상에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상에 다양한 장식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장식 패턴이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 롤투롤 방식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기재의 일면 상에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오프셋 코팅을 하고,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헤어라인 패턴이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헤어라인 패턴이 형성된 코팅층 상에 주석(Sn) 증착 및/또는 알루미늄(Al) 증착을 함으로써, 상기 데코 필름에 메탈 감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 ㎛ 이상 20 ㎛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은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은 굴곡 있는 물품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제조
5구 2L반응기에, 점도 조절용 모노머로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IBOA, 신나까무라 社) 450g,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 아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Evonik 社) 386g 및 폴리카보네이트 디올로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디올(T5650E, Asahikasei chemical 社) 433g을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T5650E의 수평균분자량은 약 500 g/mol이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50 ℃로 승온 유지 후, 촉매로 디브틸주석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DBTDL) 40ppm을 투입하고 발열 반응을 유도하여, IPDI-(T5650E-IPDI)4로 표시되는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2,800 g/mol, 25 ℃의 온도, 1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는 약 8,100 cPs이였다.
이어서, 제조된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로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아마이드(Hydroxyl Ethyl AcrylAmide; HEAA, Kohjin 社) 230g을 60 ℃에서 10g/min의 속도로 적하 반응시켜, HEAA-IPDI-(T5650E-IPDI)4-HEAA로 표시되는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3,100g/mol, 25 ℃의 온도, 1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는 약 13,000 cPs이였다.
제조예 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5구 2L반응기에, 점도 조절용 모노머로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IBOA, 신나까무라 社) 450g,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 아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Evonik 社) 168g 및 폴리카보네이트 디올로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디올(T5652, Asahikasei chemical 社) 758g을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T5652의 수평균분자량은 약 2,000 g/mol이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60 ℃로 승온 유지 후, 촉매로 디브틸주석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DBTDL) 40ppm을 투입하고 발열 반응을 유도하여, IPDI-(T5652-IPDI)5로 표시되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10,000 g/mol, 25 ℃의 온도, 1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는 약 50,000 cPs이였다.
이어서, 제조된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l Ethyl AcrylAmide; HEMA, 일본 촉매 社) 123g을 60 ℃에서 적하 반응시켜, HEMA-IPDI-(T5652-IPDI)5-HEMA로 표시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12,800g/mol, 25 ℃의 온도, 1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는 65,000 cPs이였다.
제조예 3: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5구 2L반응기에, 아크릴아미드로 디메틸아크릴아미드(dimethylacrylamide; DMAA, Kohjin 社) 1440g,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l Ethyl MethAcrylate; HEMA, 일본 촉매 社) 160g, 첨가제로 노르말 도데케인 싸이올(normal dodecane thiol; n-DDM, Atopina 社) 4.8g을 투입하고, 60℃에서 1시간 동안 질소 치환하며 승온 유지하였다. 이후, 아조계열의 열 개시제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2,2'-azo- bisisobutyronitrile; AIBN)을 20ppm 동온에서 적하하여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7,000 g/mol, 25 ℃의 온도, 2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는 약 900 cPs이였다.
광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점도 조절용 모노머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테트라아크릴레이트(M340, 미원스페셜티 社), 트리프로필렌 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M220, 미원스페셜티 社)를 준비하고, 광개시제로 HP-8(미원스페셜티 社)를 준비하고, 기타 첨가제로 KBM403(신에츠 社)를 준비하였다. 이후, 제조예1에서 준비된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제조예 2에서 준비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조예 3에서 준비된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와 상기 점도 조절용 모노머,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함량은 30 중량부,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30 중량부,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량은 5 중량부, 상기 M340의 함량은 5 중량부, 상기 M220의 함량은 25 중량부,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4.5 중량부,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0.5 중량부이다. 25 ℃의 온도, 10 rpm의 회전속도 및 52번 스핀들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는 620 cPs이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중량부) 30 50 10 32.5 60 - 30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중량부) 30 10 50 32.5 - 60 20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중량부) 5 5 5 - 5 5 10
M340(중량부) 5 5 5 5 5 5 5
M220(중량부) 25 25 25 25 25 25 25
HP-8(중량부) 4.5 4.5 4.5 4.5 4.5 4.5 4.5
KBM403(중량부) 0.5 0.5 0.5 0.5 0.5 0.5 0.5
점도(cPs) 620 300 1,250 820 430 1,550 501
데코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을 23 ㎛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기재 상에 약 15 ㎛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이후, 340 nm의 파장 값을 가지는 UV 램프를 이용하여 약 1.2 J/cm2의 광량으로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PET 기재의 일면 상에 약 15 ㎛의 두께를 갖는 코팅층이 형성된 데코 필름을 제조하였다.
데코 필름의 물성 실험
상온 부착성 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가로 20 cm, 세로 20 cm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샘플을 25 ℃의 상온에서 72 시간 동안 보관하고, 실온에 30 분 방치 후, ASTM D3359에 맞추어 크로스컷터(Crosscutter)를 커팅가이드로 이용하여, 샘플의 코팅층 표면에 100칸의 격자를 칼질한 다음 Nichiban Tape로 격자를 제거하는 크로스 컷 방법을 통해 데코 필름의 상온 부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상온 부착성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5B는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기재에 대하여 부착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고, 0B는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기재에 대하여 부착성이 열등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격자가 제거된 면적이 0%일 경우 5B로 평가하였고, 격자가 제거된 면적이 0% 초과 5% 미만일 경우 4B로 평가하였고, 격자가 제거된 면적이 5% 이상 15% 미만일 경우 3B로 평가하였고, 격자가 제거된 면적이 15% 이상 35% 미만일 경우 2B로 평가하였고, 격자가 제거된 면적이 35% 이상 65% 미만일 경우 1B로 평가하였고, 격자가 제거된 면적이 65% 이상일 경우 0B로 평가하였으며, 0B로 평가되는 것은 코팅층의 기재에 대한 부착성이 전혀 나오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온 부착성 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가로 20 cm, 세로 20 cm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샘플을 85 ℃ 및 85 RH% 습열 조건에서 72 시간 동안 보관하고, 실온에 30 분 방치 후, 상기 상온 부착성 실험과 동일한 크로스 컷 방법을 통해 데코 필름의 고온 부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고온 부착성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5B는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기재에 대하여 부착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고, 0B는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기재에 대하여 부착성이 열등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0B 내지 5B의 평가는 상기 상온 부착성 실험과 동일한 평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온 굴곡 부착성 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가로 20 cm, 세로 20 cm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데코 필름의 상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준비된 데코 필름 샘플의 PET기재를 가로 20 cm, 세로 20 cm, 두께 0.5mm의 철판 상에 부착하여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DIN EN ISO 1520에 근거하고, 커핑 시험기(TQC SP4400)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 샘플의 중앙부를 2 mm/min의 펀치속도로, 상기 철판에서 상기 코팅층 방향으로 가압하였다. 10 mm 높이의 컵모양으로 시험 샘플이 변형될 때까지, 시험 샘플의 중앙부를 가압하였다.
이후, 컵모양으로 변형된 시험 샘플을 25 ℃의 상온에서 72 시간 동안 보관한 후, 상기 상온 부착성 실험과 동일한 크로스 컷 방법을 통해 데코 필름의 상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온 굴곡 부착성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5B는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기재에 대하여 부착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고, 0B는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기재에 대하여 부착성이 열등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0B 내지 5B의 평가는 상기 상온 부착성 실험과 동일한 평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가로 20 cm, 세로 20 cm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데코 필름의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로 20 cm, 세로 20 cm, 두께 0.5mm의 철판을 준비하고, 열경화 소부성 접착제(KCC 社)를 사용하여 상기 샘플의 코팅층을 철판 상에 부착하여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커핑 시험기(TQC SP4400)를 이용하고 ISO 1520에 준하여, 상기 시험 샘플의 중앙부를 2 mm/min의 펀치속도로, 상기 철판에서 상기 코팅층 방향으로 가압하였다. 소정 높이의 컵모양으로 상기 시험 샘플이 변형될 때까지, 시험 샘플의 중앙부를 가압하였다.
이후, 컵모양으로 변형된 시험 샘플을 75 ℃ 및 85 RH% 조건에서 72 시간 동안 보관한 후, 샘플의 코팅층을 크로스 컷하고,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PET 기재와 탈락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때, 시험 샘플의 컵모양의 높이(에릭슨 커핑 수치)를 달리하며,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상기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PET 기재로부터 박리되는 높이를 찾기 위해 상기 실험을 반복하여 진행하였다.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에릭슨 커핑 수치는 상기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진행하면서, 상기 데코 필름의 코팅층이 상기 PET 기재로부터 박리되기 전까지의 에릭슨 시험 샘플이 변형된 높이를 의미한다.
2T 굴곡 부착성 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가로 20 cm, 세로 5 cm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2T 굴곡 부착성 실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난 방법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2T 굴곡 부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15 ㎛의 두께의 코팅층이 구비된 15 ㎛의 두께를 가지는 PET 기재를 도 1과 같이 2T(2mm)간격을 두고 구부렸을 때, 도 1에 표시된 (가) 및 (나) 부분에서 코팅층이 PET 기재로부터 박리되거나, 코팅층에 터짐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를 양호로 평가하고, 코팅층이 박리되거나 터짐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흡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Q-UV 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데코 필름을 가로 10 cm, 세로 10 cm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Q-UV(UV340, Q-lab 社)를 데코 필름의 코팅층에 72 시간 동안 조사하고, 분광광도계(CM5 Spectrophotometer, Konica Minolta 社)를 이용하여, 코팅층의 색차 변화를 측정하였다. 코팅층의 색차 변화는 코팅층의 초기 색 대비 72 시간 후의 코팅층의 색이 변한 정도인 ΔE 값을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및 인성 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을 이형필름 상에 도포하고, 광경화성 조성물 상에 다른 이형필름을 적층한 후, 340 nm의 파장 값을 가지는 UV 램프를 이용하여 약 1.5 J/cm2의 광량으로 조사하여 두께 15 ㎛인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코팅층에서 2개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코팅층을 가로 12 cm, 세로 2.54 cm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후, TA기기를 이용하여 300 mm/min 속도로 샘플을 당기며 샘플의 파단시까지의 인장강도 및 인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상온 부착성 5B 5B 5B 5B 5B 3B 5B
고온 부착성 5B 5B 5B 5B 5B 4B 5B
상온 굴곡부착성 5B 5B 5B 4B 2B 5B 4B
고온 굴곡 부착성(에릭슨 커핑 수치, mm) 11.5(양호) 10.9(양호) 11(양호) 6(미흡) 4(미흡) 3(미흡) 6.2(미흡)
2T 굴곡 부착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미흡 양호 미흡
Q-UV 결과(ΔE) 0.45 0.51 0.33 0.21 0.71 0.37 1.11(미흡)
인장강도(gf) 1820 1620 1364 1050 1400 900 2100
인성(gf*mm) 3163 6236 11500 2320 819 2130 950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데코 필름은 에릭슨 커핑 수치가 10 mm 이상인 경우에도, 코팅층이 기재와 탈락 없이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른 데코 필름은 에릭슨 커핑 수치가 10 mm 이하인 경우에도, 코팅층이 기재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데코 필름은 굴곡 부착성이 우수하며, 고온 및 고습 조건에서도 부착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코 필름의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수행한 것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b는 비교예 2에 따른 데코 필름의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수행한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는 에릭슨 커핑 수치가 10 mm일 때의 데코 필름의 고온 굴곡 부착성 실험을 수행한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코 필름은 에릭슨 커핑 수치가 10 mm인 경우에, 코팅층이 기재에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2b를 참고하면, 비교예 2에 따른 데코 필름은 에릭슨 커핑 수치가 10 mm인 경우에, 코팅층이 기재와 탈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데코 필름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른 데코 필름 대비, 우수한 인성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코 필름은 높은 신율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데코 필름은 높은 인성 및 신율을 보유할 수 있는 바, 굴곡 있는 물품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데코 필름은 상온 및 고온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부착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 및 극성기 함유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래된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 및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아크릴아미드 및 극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된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고,
    B1은 수평균분자량이 200 g/mol 이상 700 g/mol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디올로부터 유래되고,
    n은 1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13354-appb-I000011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고,
    B2는 수평균분자량이 1,000 g/mol 이상 3,000 g/mol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 디올로부터 유래되고,
    n은 3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인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인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이상 9 중량부 이하인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 g/mol 이상 5,000 g/mol 이하인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g/mol 이상 15,000 g/mol 이하인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기 함유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g/mol 이상 10,000 g/mol 이하인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점도 조절용 모노머 및 광개시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용 모노머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인 것인 광경화성 조성물.
  12. 청구항 1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85 ℃, 85 RH% 및 72 시간 분위기에서, ISO 1520에 준하여 측정된 상기 코팅층의 에릭슨 커핑 수치는 10 mm 이상을 만족하는 것인 코팅층.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데코 필름용 장식층인 것인 코팅층.
PCT/KR2018/013354 2017-11-10 2018-11-06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WO201909373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72615.1A CN111344368B (zh) 2017-11-10 2018-11-06 可光固化组合物和包含其固化产物的涂层
US16/762,337 US11339288B2 (en) 2017-11-10 2018-11-06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coating layer including cured product thereof
JP2020525919A JP7039102B2 (ja) 2017-11-10 2018-11-06 光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を含むコーティング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38 2017-11-10
KR1020170149538A KR102225825B1 (ko) 2017-11-10 2017-11-10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731A1 true WO2019093731A1 (ko) 2019-05-16

Family

ID=6643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3354 WO2019093731A1 (ko) 2017-11-10 2018-11-06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39288B2 (ko)
JP (1) JP7039102B2 (ko)
KR (1) KR102225825B1 (ko)
CN (1) CN111344368B (ko)
TW (1) TWI687447B (ko)
WO (1) WO20190937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4102A4 (en) * 2020-07-22 2023-11-22 LG Chem, Ltd. PHOTOCUREABLE COMPOSITION, COATING LAYER WITH HARDENED PRODUCT THEREOF AND SUBSTRATE FOR SEMICONDUCTOR PROCES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1474B2 (ja) 2019-04-26 2023-09-27 Kjケミカルズ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WO2022191147A1 (ja) 2021-03-11 2022-09-15 Kj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組成物、該コーティング組成物からなる粘着性又は非粘着性コート層、及びこれらのコート層を備える積層体
CN115487362B (zh) * 2022-09-21 2023-07-04 上海康德莱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用于导管、导丝的紫外固化超亲水超润滑双层涂层体系
CN115806652A (zh) * 2022-12-14 2023-03-17 合肥安利聚氨酯新材料有限公司 一种低碳环保型聚氨酯树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781A (ja) * 2003-05-27 2004-12-16 San Nopco Ltd 放射線硬化性組成物
JP2007070618A (ja) * 2005-08-09 2007-03-2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光硬化性組成物
KR20140000628A (ko) * 2012-06-25 2014-01-0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용 수지 조성물 및 점착제
KR20150097937A (ko) * 2014-02-19 2015-08-27 (주)엘지하우시스 투습도가 낮은 점착제 조성물
KR20170001806A (ko) * 2015-06-25 2017-01-05 (주)엘지하우시스 장식 패널용 접착제 조성물, 장식 패널용 점착 시트, 장식 패널 및 장식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425B2 (ja) * 1987-09-16 1996-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H059242A (ja) * 1991-06-28 1993-01-19 Fujikura Ltd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なる光フアイバ用被覆材料
JPH1081062A (ja) * 1996-09-06 1998-03-31 Nitto Chem Ind Co Ltd 被記録材用組成物および被記録材
US6470128B1 (en) 2001-03-30 2002-10-22 Alcatel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for optical fiber for a fast cure and with improved adhesion to glass
JP2008045032A (ja) 2006-08-16 2008-02-28 Showa Denko Kk 熱硬化性樹脂組成物、オーバーコート剤および、保護膜
JP5049620B2 (ja) * 2007-03-20 2012-10-1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US20090123746A1 (en) * 2007-11-12 2009-05-14 Lintec Corporation Adhesive sheet
JP5260169B2 (ja) * 2008-07-29 2013-08-14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金属表面用被覆材組成物及び積層樹脂成型品
JP4983935B2 (ja) 2010-01-29 2012-07-25 横浜ゴム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293914B1 (ko) * 2010-02-18 2013-08-07 (주)덕산테코피아 도전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전자소자
EP3459987B1 (en) * 2010-04-14 2022-11-0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olycarbonate diol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and polyurethane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polymer composition both formed using same
KR101009998B1 (ko) 2010-04-20 2011-01-21 한서포리머주식회사 수용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제조방법
CN103249797B (zh) 2010-12-10 2015-11-25 日立化成株式会社 光学用粘附材料树脂组合物、使用了该组合物的光学用粘附材料片材及图像显示装置
KR101798089B1 (ko) 2011-01-13 2017-11-15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라디칼 경화성 핫 멜트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체
ES2750379T3 (es) * 2012-03-27 2020-03-25 Covestro Deutschland Ag Uso de resinas de poliuretano curables con radiación UV para la fabricación de láminas solares
KR101924553B1 (ko) * 2015-09-15 2018-12-03 케이제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우레탄변성 (메타)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CN107236107B (zh) * 2016-03-28 2020-12-01 旭化成株式会社 氨基甲酸酯(甲基)丙烯酸酯和固化性组合物
KR20170116290A (ko) * 2016-04-08 2017-10-19 주식회사 잉크테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잉크 프린팅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781A (ja) * 2003-05-27 2004-12-16 San Nopco Ltd 放射線硬化性組成物
JP2007070618A (ja) * 2005-08-09 2007-03-2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光硬化性組成物
KR20140000628A (ko) * 2012-06-25 2014-01-0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용 수지 조성물 및 점착제
KR20150097937A (ko) * 2014-02-19 2015-08-27 (주)엘지하우시스 투습도가 낮은 점착제 조성물
KR20170001806A (ko) * 2015-06-25 2017-01-05 (주)엘지하우시스 장식 패널용 접착제 조성물, 장식 패널용 점착 시트, 장식 패널 및 장식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4102A4 (en) * 2020-07-22 2023-11-22 LG Chem, Ltd. PHOTOCUREABLE COMPOSITION, COATING LAYER WITH HARDENED PRODUCT THEREOF AND SUBSTRATE FOR SEMICONDUCTOR PRO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44368A (zh) 2020-06-26
CN111344368B (zh) 2022-05-13
JP2021502445A (ja) 2021-01-28
US20200339809A1 (en) 2020-10-29
KR102225825B1 (ko) 2021-03-10
TWI687447B (zh) 2020-03-11
JP7039102B2 (ja) 2022-03-22
US11339288B2 (en) 2022-05-24
KR20190053544A (ko) 2019-05-20
TW201922830A (zh) 201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93731A1 (ko)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WO2013085132A1 (ko)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45548A1 (ko) 다층구조를 가지는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WO2014163352A1 (en) Polyimide cover substrate
WO2012111963A2 (ko) 기재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0024563A2 (ko) 광중합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광섬유
WO2017171489A1 (ko) 배리어 필름의 제조 방법
WO2013012273A2 (ko) 터치 패널
WO2020149597A1 (ko) 광학 적층체
WO2018159923A1 (ko) 윈도우 필름,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9013366A1 (ko) 폴더블 표시 장치용 윈도우 필름 및 표시 장치
WO2017078488A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WO2015174720A1 (ko) 광학 패턴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108676A1 (ko) 하드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코팅층으로 포함하는 하드 코팅 필름
WO2012002706A2 (en) Protective film
WO2022019677A1 (ko) 광경화형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및 반도체 공정용 기재
WO2021075901A1 (ko) 경화성 조성물
WO2021060961A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32924A1 (ko) 봉지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봉지화된 장치
WO2015141899A1 (ko) 하드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WO2014104639A1 (ko) 광학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21112322A1 (ko) 점착 필름
WO2021075899A1 (ko) 경화성 조성물
WO2017183940A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WO2021112296A1 (ko) 이중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65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2591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65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