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15574A1 -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15574A1
WO2021215574A1 PCT/KR2020/006658 KR2020006658W WO2021215574A1 WO 2021215574 A1 WO2021215574 A1 WO 2021215574A1 KR 2020006658 W KR2020006658 W KR 2020006658W WO 2021215574 A1 WO2021215574 A1 WO 20212155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ream
butanediol
vitamin
hair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66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승혜
박종명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920,71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65766A1/en
Priority to CN202080100039.4A priority patent/CN115427006A/zh
Priority to JP2022564284A priority patent/JP2023523421A/ja
Priority to EP20931879.9A priority patent/EP4140469A4/en
Publication of WO20212155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155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38Alcohols, e.g. oxidation products of paraf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18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polyhydri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rsant 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dispersant 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 the skin In the human body, the skin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s responsible for protecting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from various factor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 cosmetics have been used to improve and preserve skin condition, and various raw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as components of cosmetics.
  • Korean Patent No. 10-1914844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iacinamide, a ricinoleate compound, and the like
  • Korean Patent No. 10-0746058 describes a self-tan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vitamin B3 compound.
  • Korean Patent No. 10-0292143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lycolic acid and vitamin C.
  • 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researching dispersants and dispersion media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and when using a specific isomer of 2,3-butanediol, vitamin C, vitamin A, vitamin B, vitamin E, vitamin F, vitamin H containing Vitamin-based ingredients, moisturizing ingredients including allantoin and ceramide, whitening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arbutin and ethyl ascorbyl ether, wrinkle-improving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retinyl palmitate, adenosine, and polyethoxylated dretinamide, glyceryl fava , dromethrazole, benzophenone, cinoxate-containing sunscreen functional ingredients, biotin, L-menthol, zinc pyrithione, hair loss alleviation functional ingredients, ferulic acid, hexylresorcinol, antioxidant or discoloration prevention
  • a dispersant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dispersant composition.
  • a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 composition comprising the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 It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dispers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after adding 2,3-butanediol to a solvent.
  •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the dispersant composition prepar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to the cosmetic material.
  • It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2,3-butanediol to a solvent and then mixing.
  •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nd mixing the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prepar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smetic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disperse specific active ingredients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stably maintain the cosmetic composition.
  • FIG. 2 shows a dispersion mechanism showing that the dispersing force is determined by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reezing point and molecular structure of 2,3-butanediol.
  • 11 is a photograph evaluating the dispersing power of ceramides after storing the mixed solutions of Preparation Examples 21 to 24 under room temperature conditions in a solubilized skin formulation for 1 day.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invention.
  • It relates to a dispersant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 It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dispersant composition.
  • It relates to a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 It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dispers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2,3-butanediol to a solvent and then mixing.
  •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smetic composition
  • a method for producing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nd mixing the dispersant composition prepar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smetic material.
  •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2,3-butanediol to a solvent and then mixing.
  •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smetic composition
  • a method for producing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nd mixing the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prepar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smetic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2,3-butanediol to a solvent and then mixing.
  • the 2,3-butanediol may be (2R,3S)-2,3-butanediol.
  • (2R,3S)-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2,3-butanediol isomers, but a composition having the highest content of (2R,3S)-2,3-butanediol isomers include
  • (2R,3S)-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more (2R,3S)-2,3-butanediol than (2R,3R)-2,3-butanediol or , (2R,3S)-2,3-butanediol may be contained more than (2S,3S)-2,3-butanediol.
  • the (2R,3S)-2,3-butanediol is a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isomers, and the composition comprises (2R,3S)-2,3-butanediol
  • the content may be greater than the sum of other 2,3-butanediols.
  • (2R,3S)-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ixture of 2,3-butanediol isomers containing 80 wt% or more of (2R,3S)-2,3-butanediol .
  • 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a general dispersant/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 the solvent may be a synthetic solvent or a natural solvent, and may be water, an organic solvent, etc., for example, water, ethanol, alcohols containing a polyol having 2 to 8 carbon atoms, oil, and the like.
  • the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100% by weight of the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is 0.1 to 100 % by weight, preferably 0.2 to 99% by weight.
  • 2,3-butanediol the -OH group is symmetrically located at the 2nd and 3rd carbons to form a rigid structure. Accordingly, 2,3-butanediol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being crystallized at room temperature.
  • 2,3-butanediol since 2,3-butanediol is balanced with a hydrophilic hydroxyl group and a lipophilic carbon chain, it binds to a hydrophilic active substance and disperses it in an oil-soluble substance, or combines with a lipophilic active substance to form a hydrophilic substance. It serves as a dispersing agent and dispersing medium for easy dispersion.
  • the dispersant/dispersion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example, an aqueous phase, a solubilizer type, an emulsifier type, an oil dispersion formulation, and the like.
  • the dispersing age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itamin C, vitamin A, vitamin B, vitamin E, vitamin F, vitamin-based raw material including vitamin H, moisturizing raw material including allantoin and ceramide, arbutin, and ethyl ascorbyl ether wrinkle improvement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retinyl palmitate, adenosine, and polyethoxylated dretinamide, glyceryl faba, dromethrazole, benzophenone, and cinoxate, UV blocking functional ingredients, biotin, Functional ingredients for alleviating hair loss including L-menthol and zinc pyrithione, antioxidant or discoloration prevention ingredients including ferulic acid and hexylresorcinol, salicylic acid and its salts and esters, and keratin improvement including glycolic acid Raw materials, functional protein and polymer raw materials including collagen and peptides, plant extracts, fragrances, pigments, pearls, powders, titanium dioxide, hair desalting or bleaching
  • the above ingredients are ingredients that must be well dispersed when manufactured as a cosmetic. For example, in the case of allantoin, precipitation is good when the temperature is low, and thus precipitation may be a problem during the manufacture of cosmetics.
  • the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tamin-based raw material including vitamin C, vitamin A, vitamin B, vitamin E, vitamin F, and vitamin H, allantoin, a moisturizing raw material including ceramide, arbutin, ethyl ascorbyl Whitening functional raw material containing ether, wrinkle improvement functional raw material containing retinyl palmitate, adenosine, polyethoxylated dretinamide, UV blocking functional raw material containing glyceryl faba, dromethrazole, benzophenone, and cinoxate;
  • Functional ingredients for alleviating hair loss including biotin, L-menthol, zinc pyrithione, antioxidants or discoloration prevention ingredients including ferulic acid and hexylresorcinol, salicylic acid and its salts and esters, and glycolic acid Keratin improvement raw material, collagen, functional protein and polymer raw material including peptide, plant extract, fragrance, pigment, pearl, powder,
  • vitamin C vitamin A, vitamin B, vitamin E, vitamin F, vitamin-based raw material including vitamin H, moisturizing raw material including allantoin and ceramide, whitening functional raw material including arbutin and ethyl ascorbyl ether, retinyl Wrinkle improvement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palmitate, adenosine, polyethoxylated dretinamide, UV blocking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glyceryl fava, dromethrazole, benzophenone, and cinoxate, biotin, L-menthol, zinc pyrichi Contains functional ingredients for alleviating hair loss, including ferulic acid and hexylresorcinol, antioxidant or discoloration prevention ingredients, salicylic acid and its salts and esters, keratin improvement ingredients including glycolic acid, collagen, and peptide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tive ingredients such as functional protein and polymer raw materials, plant extracts, fragrances, pigments, pearls, powders, titanium dioxide, hair desalting or bleach
  • the dispersing power for one or more selected is a sample (ie, the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control) as an active ingredient (vitamin C, vitamin A, vitamin B, vitamin E, vitamin F, vitamin including vitamin H).
  • the dispersion force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Experimental Examples ⁇ 2-1> to ⁇ 4-2>.
  • Components such as plant extracts, fragrances, and pigments may include plant extracts (e.g., Centella asiatica extract, green tangerine extract, broccoli extract, calendula petal extract, etc.), pigments, dyes, etc.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
  •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perimental examples.
  •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biologically based 2,3-butanediol obtained through microbial fermentation.
  •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cillus, Enterobacter, Kleb. It can be prepared using Siella, Citrobacter, E. coli, yeast (Saccharomyces), and the like.
  •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epared using animal-derived raw materials.
  •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ixture of 2,3-butanediol isomers prepared by fermenting microorganisms, and artificially for increasing the content of specific isomers among 2,3-butanediol isomers after fermentation It is characterized by no treatment. That is,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ture of 2,3-butanediol isomers having a high (2R,3S)-2,3-butanediol content produced through microbial fermentation.
  • (2R,3S)-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2,3-butanediol isomers, but a composition having the highest content of (2R,3S)-2,3-butanediol isomers include
  • (2R,3S)-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more (2R,3S)-2,3-butanediol than (2R,3R)-2,3-butanediol or , (2R,3S)-2,3-butanediol may be contained more than (2S,3S)-2,3-butanediol.
  • the (2R,3S)-2,3-butanediol is a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isomers, and the composition comprises (2R,3S)-2,3-butanediol
  • the content may be greater than the sum of other 2,3-butanediols.
  • (2R,3S)-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ixture of 2,3-butanediol isomers containing 80 wt% or more of (2R,3S)-2,3-butanediol .
  •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through a 100% eco-friendly bio process produced through microbial fermentation using biomass as a raw material (FIG. 1). This microorganism was developed by collecting samples from nature, such as soil and farms.
  •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produced with high purity through a 'fermentation' process in which microorganisms consume and digest biomass-derived sugar.
  •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non-GMO (non-genetically modified material) biomass raw materials and microorganisms, and is produc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using only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boiling point and size in th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
  • th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for producing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filtration, ion removal (electrodialysis, ion exchange), distillation, and decolorization/deodorization (adsorption, distillation) processes.
  • ion removal electrolysis, ion exchange
  • distillation electrodialysis, ion exchange
  • decolorization/deodorization adsorption, distillation
  • the bioproces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duce a high production rate of a specific isomer.
  • Microorganisms that act as biocatalysts and enzyme proteins constituting them have more complex structures than chemical catalysts, so specific isomers can be distinguished and produced. Therefore, the content of (2R,3S)-2,3-butanediol in the isomers (2R,3S)/(2R,3R)/(2S,3S) (sequentially or meso/levo/dextro) through the bioprocess High isomer mixtures can be produced.
  • 2,3-butanediol is difficult to be used even by megatrends in the cosmetics industry, it is difficult to apply cosmetics in this technical aspect as well.
  • 2,3-butanediol produced through a bio-process it can be used as a cosmetic raw material because it is already registered as a food additive as a natural substance, and acetoin without skin irritation can be included as a by-product.
  • COSMOS Cosmetic Organic Standard
  • an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for organic cosmetics 100% bio-product certification by USDA of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animal testing without using animal-derived raw materials It has also been recognized for its eco-friendliness and safety by acquiring global eco-friendly certifications such as vegan certification.
  • the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ologically based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to the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mposed of chemically synthesized 2,3-butanediol for vitamin C, vitamin A, and vitamin C.
  • Vitamin-based ingredients including B, vitamin E, vitamin F, and vitamin H, moisturizing ingredients including allantoin and ceramide, whitening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arbutin and ethyl ascorbyl ether, retinyl palmitate, adenosine, polyethoxylated Wrinkle improvement functional ingredient containing retinamide, UV protection functional ingredient containing glyceryl faba, dromethrazole, benzophenone, and cinoxate, hair loss reducing functional ingredient containing biotin, L-menthol, zinc pyrithione, ferulic Acid and anti-oxidation or discoloration prevention raw materials including hexylresorcinol, salicylic acid and its salts and esters, keratin improvement raw materials including glycolic acid, functional protein and polymer raw materials including collagen and peptides, plant extracts, Perfume, pigment, pearl, powder, titanium dioxide, hair desalting or bleaching raw material, anti-inflammatory raw material, antioxidant raw material, acne and atopic
  • the dispersion force is determined by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reezing point and molecular structure of 2,3-butanediol.
  • 2,3-butanediol especially 2,3-butanediol with a high (2R,3S)-2,3-butanediol ratio, has a high freezing point of 13 degrees or more, but freezing well forms a specific structure. means to do It is predicted that (2R,3S)-2,3-butanediol forms a specific structure well because the -OH groups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in which the -OH groups are crossed.
  • 2,3-butanediol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of 2,3-butanediol, 2,3-butanediol easily forms a specific structure, and when a specific substance is dispersed, 2,3-butanediol effectively surrounds the substance by intermolecular interactions. expected to disperse.
  • 2,3-butanediol has better dispersing power than other polyols such as 1,3-propanediol and 1,3-butylene glycol, as well as the type of isomers of 2,3-butanediol. ,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persion power vari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nd mixing a dispersant and/or a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smetic material.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and may be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gent, oil, powder It may be formulated as a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kin care product including a softening lotion, astringent lotion, nourishing lotion, lotion, gel, cream, essence, eye essence, eye cream,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clay-type pack, and mask pack, lipstick , lip tint, lip gloss, lip pencil, eye shadow, foundation, powder, concealer, eyeliner, eye shadow, makeup products including mascara, eye remover, makeup remover, cleansing foam, cleansing cream, cleansing oil, cleansing water, hand sanitizer , hand wash, hand scrub, body wash, body scrub, shaving lotion, soap, cleaning products including wet tissues, body lotion, body oil, body mist, body essence, hand cream, foot cream, body including wax-type depilatory Care products, baby lotions, baby creams, baby cosmetics including diaper rash cream, sun cream, sun sticks, sun spray, sun care products including artificial tanning products, shampoo, conditioner, hair conditioner cream, hair styling gel, foam, hair Mousse, hair spray, styling lotion, styling cream, hair essence, hair dye, hair bleaching cream, hair
  • the cosmetic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smetic material gener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material may include purified water, ethanol, moisturizer, thickener, higher alcohol, emulsifier, auxiliary emulsifier, oil, wax, skin softener, neutralizer, antioxidant, sequestrant, preservative, whitening agent, sunscreen, wrinkle improvement agent, It may be a functional additive, a fragrance, a colorant, an extract,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tamin-based raw material including vitamin C, vitamin A, vitamin B, vitamin E, vitamin F, and vitamin H, moisturizing raw material including allantoin and ceramide, whitening functional raw material including arbutin and ethyl ascorbyl ether , retinyl palmitate, adenosine, wrinkle-improving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polyethoxylated dretinamide, UV-blocking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glyceryl faba, dromethrazole, benzophenone, and cinoxate, biotin, L-menthol, Functional ingredients for alleviating hair loss including zinc pyrithione, antioxidant or discoloration prevention ingredients including ferulic acid and hexylresorcinol, salicylic acid and its salts and esters, keratin improvement ingredients including glycolic acid, collagen,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unctional protein and polymer raw materials including peptides, plant extracts, fragrances, pigments, pearls, powders, titanium dioxide,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kin care product including a softening lotion, astringent lotion, nutrient lotion, lotion, gel, cream, essence, eye essence, eye cream,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clay-type pack, mask pack, lipstick, Makeup products including lip tint, lip gloss, lip pencil, eye shadow, foundation, powder, concealer, eyeliner, eye shadow, mascara, eye remover, makeup remover, cleansing foam, cleansing cream, cleansing oil, cleansing water, hand sanitizer, Hand wash, hand scrub, body wash, body scrub, shaving lotion, soap, cleaning products including wet wipes, body lotion, body oil, body mist, body essence, hand cream, foot cream, body care including wax-type hair removal agent product, baby lotion, baby cream, baby cosmetics including diaper rash cream, sun cream, sun stick, sun spray, sun care product including artificial tanning product, shampoo, conditioner, hair conditioner cream, hair styling gel, foam, hair mousse , hair spray, styling lotion, styling cream, hair essence, hair dye, hair bleaching cream, hair product including curl activator gel,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dispersing age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moisturizing vitamin C, vitamin A, vitamin B, vitamin E, vitamin F, vitamin-based raw material including vitamin H, allantoin, and ceramide.
  • the dispersing power for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w materials for improving sexual and atopic skin conditions is higher than that of a
  • vitamin C vitamin A, vitamin B, vitamin E, vitamin F, vitamin-based raw material including vitamin H, moisturizing raw material including allantoin and ceramide, whitening functional raw material including arbutin and ethyl ascorbyl ether, retinyl Wrinkle improvement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palmitate, adenosine, polyethoxylated dretinamide, UV blocking functional ingredients including glyceryl fava, dromethrazole, benzophenone, and cinoxate, biotin, L-menthol, zinc pyrichi Contains functional ingredients for alleviating hair loss, including ferulic acid and hexylresorcinol, antioxidant or discoloration prevention ingredients, salicylic acid and its salts and esters, keratin improvement ingredients including glycolic acid, collagen, and peptide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unctional protein and polymer raw materials, plant extracts, fragrances, pigments, pearls, powders, titanium dioxide, hair desalination or bleaching
  • the dispersion power for the above can be measured by evaluating the stabilit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such as the degree of precipit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phase separation of the oil phase and the aqueous phase, after storing the cosmetic composition at 4 ° C. or room temperature for 7 days or more, for example, 4 weeks or 8 weeks.
  • the dispersion force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Experimental Examples ⁇ 2-1> to ⁇ 4-2>.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spersant and/or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2,3-butanedi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100%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0.5 to 25% by weight, preferably 5 to 20% by weight % by weight may be included.
  •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EMALEX HC 60) was used as a solubilizer.
  • the silicone elastomer used ELASTOMER BASE which is a commercially available mixture of Cyclopentasiloxane,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Dimethicone, and Phenyl Trimethicone.
  • EMERGENT JC 500B was used as an oil phase stabilizer, which is a commercially available mixture of Cetearyl Ethylhexanoate, Bentone, and Polymethylsilsesquioxane.
  • ABIL EM 90 and KF 6017 were used as emulsifiers.
  • ABIL EM 90 is a commercial product that is a mixture of Cetyl PEG/PPG-10/a Dimethicone
  • KF 6017 i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that is PEG-10 Dimethicone.
  • KSG-16 was used as the silicone gel, and it i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that is a mixture of Dimethicone a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 Polyols were prepared as follows. (2S,3S)-2,3-butanediol has similar properties as (2R,3R)-2,3-butanediol because -OH groups ar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 Examples 1 to 6 are (2R,3S)-2,3-butanediol.
  • Comparative Example 1 is (2R,3R)-2,3-butanediol.
  • Comparative Example 2 is 1,3-but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 Comparative Example 3 is 1,3-propanediol (1,3-Propanediol).
  • Comparative Example 4 is (2R,3R)-2,3-butanediol.
  • Comparative Example 5 is 1,3-butylene glycol.
  • Comparative Example 6 is 1,3-propanediol (1,3-Propanediol).
  • Comparative Example 7 is (2R,3R)-2,3-butanediol.
  • Comparative Example 8 is 1,3-but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 Comparative Example 9 is 1,3-propanediol (1,3-Propanediol).
  • Comparative Example 10 is (2R,3R)-2,3-butanediol.
  • Comparative Example 11 is 1,3-butylene glycol.
  • Comparative Example 12 is 1,3-propanediol (1,3-Propanediol).
  • Comparative Example 13 is glycerin.
  • Comparative Example 14 is 1,3-butylene glycol.
  • Comparative Example 15 is 1,3-propanediol (1,3-Propanediol).
  • Comparative Example 16 is glycerin.
  • Comparative Example 17 is 1,3-butylene glycol.
  • Comparative Example 18 is 1,3-propanediol (1,3-Propanediol).
  • Hansen solubility parameter predicts solubility between substances by synthesizing the parameters of substances based on the principle of “Like dissolve like”.
  • dispersion-related parameters Dipole-dipole, hydrogen bond, Dispersion
  • HSPiP Haansen Solubility Parameters in Practice
  • the dispersing power was confirmed in a short time by comparing the dispersing power by measuring the precipit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polyol under the harsh refrigeration condition using the characteristic of allantoin, which precipitation occurs well when the temperature is low. Stabi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refrigeration, and a constant temperature bath (45 ⁇ C).
  • the solubility of allantoin is 0.5 g/100 mL.
  • the dispersing power of allantoin according to the polyol that is, the precipitation amount and precipitation rate was evaluated.
  • Example 1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0.02 parts by weight of EDTA-2Na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2 parts by weight of 1,2-hexanediol, 0.5 parts by weight of allatoin,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10 parts by weight were mixed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 EDTA-2Na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 1,2-hexanediol 1,2-hexanediol
  • the amount of precipitation was measured as follows. Afte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empty container, 200 g of each of the mixtures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4 were added and refrigerated for 24 hours or 7 days. After 24 hours or 7 day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dried in a constant temperature bath to completely remove the supernatant that might remain, leaving only the precipitated portion. And after drying for 12 hours, the weight was measured,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was derived as the difference value from the previously measured empty container.
  • the allantoin dispersing power was the best in Preparation Example 1, followed by Preparation Example 2, followed by Preparation Example 4 and Preparation Example 3.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spersing power to allantoin depending on the type of polyo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persing power to allantoin was excellent when the polyol of Example 1 was used (FIG. 4 and Table 1). Therefore, when the polyol of Example 1 having a high content of (2R,3S)-2,3-butanediol was u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cipitation amount and precipitation rate of allantoin decreased, so that stable dispersion was possible.
  • aqueous phase contains ultrapure water, EDTA-2Na, 1,2-hexanediol and allantoin, and the solubilized phase contains fragrance,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ethanol and polyol.
  • the aqueous phas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3 minutes.
  • the solubilized image was made transparent by heating to 45 to 50 °C while stirring, and this was slowly added to the aqueous phase while stirring, and mixed at room temperature for 2 minutes.
  • the amount of precipitation was measured as follows. Afte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empty container, 200 g of each of the mixtures of Preparation Examples 5 to 8 were added and refrigerated for 24 hours or 7 days. After 24 hours or 7 day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dried in a constant temperature bath to completely remove the supernatant that might remain, leaving only the precipitated portion. And after drying for 12 hours, the weight was measured,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was derived as the difference value from the previously measured empty container.
  • the allantoin dispersing power in the solubilized formulation was the best in Preparation Example 5, followed by Preparation Examples 6 and 8, followed by Preparation Example 7. That is, after 7 days of refrigeration, allantoin was precipitated in Preparation Examples 6, 7, and 8 except Preparation Example 5 in the solubilized formulation.
  • Preparation Example 5 had the best allantoin dispersing power in the solubilized formulation.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spersing power to allantoin in the solubilized formul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polyo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persing power to allantoin was excellent when the polyol of Example 2 was used (FIG. 5 and Table 2).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polyol of Example 2 having a high (2R,3S)-2,3-butanediol content was used, the precipitation amount and precipitation rate of allantoin decreased, enabling stable dispersion.
  • vitamin C it is a water-soluble substance that dissolves well in water, but when dissolved in water, it is oxidized and does not function properly.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vitamin C was applied to an anhydrous polyol in oil (P/O) formulation, and an ivory-colored cream was made to evaluate its dispersibility. As for vitamin C, it is important to produce a stable cosmetic without discoloration, discoloration, and phase separation rather than the problem of precipitation.
  • Oil phase 1 was prepared by mixing 1 part by weight of EMERGENT JC 500B, 1.5 parts by weight of ABIL EM 90, and 2 parts by weight of KF 6017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ELASTOMER BASE. Meanwhile, 1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 of Example 3 was used as the aqueous phase 1. And 15 parts by weight of ascorbic acid ultra-fine powder was used as the aqueous phase 2. 45 parts by weight of KSG-16 was used as oil phase 2.
  • the oil phase 1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Then, the aqueous phase 2 was added to the aqueous phase 1 (polyol) at room temperature and stirred. A mixture of aqueous phase 1 and phase 2 was slowly added to oil phase 1 under stirring to make a primary P/O emulsion. The oil phase 2 was added to the first P/O emulsion under stirring to make a homogeneous state, thereby making a second P/O emulsion. The secondary P/O emulsion was stored.
  • a non-aqueous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o water was prepared and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was evaluated to test the difference in dispersing power according to the polyol.
  • the cosmetic composition absorbs vitamin C into the silicone powder (silicone elastomer) using a dispersion medium (polyol) excluding water, and mixes the silicone powder with the pure vitamin C in the silicone powder (KSG-16) to have a creamy textur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was prepared.
  • Dispersion stability was evaluated as follows: unstable: phase separation of oil phase and water phase, discoloration and/or odor, normal: oil phase was finely separated, stability: oil phase was not separated at all.
  • Oil phase 1 was prepared by mixing 1 part by weight of EMERGENT JC 500B, 1.5 parts by weight of ABIL EM 90, and 2 parts by weight of KF 6017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ELASTOMER BASE. Meanwhile, 15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 of Example 4 was used as the aqueous phase 1. And 15 parts by weight of ascorbic acid ultra-fine powder was used as the aqueous phase 2. 45 parts by weight of KSG-16 was used as oil phase 2.
  • the oil phase 1 was heated to 80 to 90°C while stirring. Then, the aqueous phase 2 was added to the aqueous phase 1 (polyol) to prepare a mixture, and then the mixture was heated to 80 to 90°C. A mixture of the aqueous phase 1 and the aqueous phase 2 was slowly added to the heated oil phase 1 under stirring to make a primary P/O emulsion. The oil phase 2 was added to the first P/O emulsion under stirring to make a homogeneous state, thereby making a second P/O emulsion. The secondary P/O emulsion was cooled to 30° C. or lower and then stored.
  • Dispersion stability was evaluated as follows: unstable: phase separation of oil phase and water phase, discoloration and/or odor, normal: oil phase was finely separated, stability: oil phase was not separated at all.
  • 2,3-butanediol showed an effective dispersing power even in a non-heating process that saves energy while having superior dispersing power compared to other polyol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high content was judged to be particularly excellent.
  • Ceramide is an oil-soluble substance that does not dissolve in water, precipitates well when manufacturing cosmetics, and is difficult to stabilize due to gelling.
  • dispersing power according to polyols was compar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des in which precipitation occurs well. Stabi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refrigeration, and a constant temperature bath (45 ⁇ C).
  • Example 5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Example 5, 1 part by weight of ceramide was mixed, dispersed at room temperature, dissolved by heating to 85-90 ⁇ C, and then cooled to 30 ⁇ C or less.
  • the ceramide dispersing power was the most excellent in Preparation Example 17 using Example 5 with a high content of (2R,3S)-2,3-butanediol and Preparation Example 19 using 1,3-butylene glycol, Preparation Example 18 using glycerin and Preparation Example 20 using 1,3-propanediol were confirmed to have low dispersing power of ceramide. That is, Preparation Examples 17 and 19 were completely dissolved and transparent when heated, and ceramide was homogeneously precipitated upon cooling to form an opaque liquid phase (FIG. 8).
  • ⁇ Preparation Example 21>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0.02 parts by weight of EDTA-2Na and 2 parts by weight of 1,2-hexanediol were mixed to prepare an aqueous phase 1. On the other hand, 0.1 parts by weight of fragrance, 0.3 parts by weight of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and 5 parts by weight of DPG (Dipropylene Glycol) were mixed to make a solubilized image.
  • An aqueous phase 2 was prepared by mixing 10 parts by weight of the polyol of Example 6 and 1 part by weight of ceramide.
  • the aqueous phase 1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 minutes.
  • the solubilized image was made transparent by heating to 45 to 50 °C while stirring, and it was slowly added to the aqueous phase while stirring, and mixed at room temperature for 2 minutes.
  • the aqueous phase 2 was heated to 80 to 85 °C while stirring to dissolve the ceramide, and this was added to the mixed aqueous phase and the solubilized image at the same time with stirring, and mixed at room temperature for 3 minutes.
  • the ceramide dispersion power was the most excellent in Preparation Example 21 using Example 6 with a high content of (2R,3S)-2,3-butanediol and Preparation Example 23 using 1,3-butylene glycol, Preparation Examples 22 and 24 were confirmed to have low dispersing power of ceramide. That is, in Preparation Examples 21 and 23, the ceramide was homogeneously dispersed, and as a result of observation for 4 weeks, the same state was maintained even at room temperature, refrigeration (4 ⁇ C), and a thermostat (45 ⁇ C) ( FIGS. 11 and 12 ).
  • the dispersing power test of ceramide was performed by applying it to the solubilized essence formulation and O/W emulsion formulation.
  • the dispersing power was excellent, and no gelling phenomenon was observed was confirmed not t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rsant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ispersion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조성물 및 상기 분산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매 조성물 및 상기 분산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 피부는 외부환경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외부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인자로부터 인체 내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피부상태 개선 및 보존을 위하여 화장품을 사용하여 왔으며, 화장품의 성분으로써 여러 가지 원료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10-1914844호에는 나이아신 아미드, 리시놀레에이트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10-0746058호에는 비타민 B3 화합물이 포함된 셀프 태닝 화장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10-0292143호에는 글리콜산 및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화장료를 효과적으로 유통, 사용하기 위하여는 화장료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분산제 및 분산매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2,3-부탄다이올의 특정 이성질체를 이용 시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 등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분산제 조성물 및 분산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산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산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용제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분산제 조성물을 화장 재료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용제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매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분산매 조성물을 화장 재료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분산제 조성물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특정 유효 성분들을 화장료 조성물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이 생산되는 공정인 미생물 발효에 의한 100% 친환경 바이오 공정을 보여준다.
도 2는 2,3-부탄다이올의 어는점, 분자 구조와 같은 물리적 특징에 의하여 분산력이 결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산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3은 여러가지 폴리올들에 대한 Hansen solubility parameter 값들을 보여준다.
도 4는 제조예 1 내지 4의 혼합액을 수상에서 냉장 (4 ℃) 조건 하 7일 보관한 후 알란토인의 분산력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5는 제조예 5 내지 8의 혼합액을 가용화 제형에서 냉장 (4 ℃) 조건 하 7일 보관한 후 알란토인의 분산력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6은 제조예 9 내지 12의 P/O 에멀젼을 8주 보관한 후의 사진이다.
도 7은 제조예 13 내지 16의 P/O 에멀젼을 8주 보관한 후의 사진이다.
도 8은 제조예 17 내지 20의 혼합액을 실온 조건 하 1일 보관한 후 세라마이드의 분산력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9는 제조예 17 내지 20의 혼합액을 실온 조건 하 4주 보관한 후 세라마이드의 분산력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10은 제조예 17과 19의 혼합액을 항온조 (45℃) 조건 하 4주 보관한 후 세라마이드의 분산력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11은 제조예 21 내지 24의 혼합액을 가용화 스킨 제형에서 실온 조건 하 1일 보관한 후 세라마이드의 분산력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12는 제조예 21 내지 24의 혼합액을 가용화 스킨 제형에서 실온 조건 하 4주 보관한 후 세라마이드의 분산력을 평가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산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매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산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용제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분산제 조성물을 화장 재료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용제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매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분산매 조성물을 화장 재료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분산제 조성물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용제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2,3-부탄다이올은 (2R,3S)-2,3-부탄다이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2R,3S)-2,3-부탄다이올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들을 포함하되, (2R,3S)-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의 함량이 가장 높은 조성물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2R,3S)-2,3-부탄다이올은 (2R,3S)-2,3-부탄다이올을 (2R,3R)-2,3-부탄다이올보다 많이 포함하거나, (2R,3S)-2,3-부탄다이올을 (2S,3S)-2,3-부탄다이올보다 많이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R,3S)-2,3-부탄다이올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이고, 상기 조성물은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다른 2,3-부탄다이올의 합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2R,3S)-2,3-부탄다이올은 (2R,3S)-2,3-부탄다이올이 80 중량% 이상인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일반적인 분산제/분산매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용제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용제는 합성 용제 또는 천연 용제 등이 될 수 있고, 물, 유기 용제 등,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탄소수 2 내지 8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알코올류, 오일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은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며, 이때,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 100 중량% 내에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99 중량% 포함될 수 있다.
2,3-부탄다이올은 -OH기가 2번과 3번 탄소에 대칭적으로 위치해있어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2,3-부탄다이올은 상온에서 결정화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또한 2,3-부탄다이올은 친수성의 하이드록실기와 친유성의 탄소체인이 균형을 이루고있기 때문에 친수성의 유효물질과 결합하여 유용성 물질에 분산되거나, 친유성의 유효물질과 결합하여 친수성 물질에 분산이 용이하도록 분산제, 분산매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분산제/분산매는 화장료 조성물, 예컨대, 수상, 가용화제형, 유화제형, 유분산 제형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은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 등에 대하여 우수한 분산력을 제공하며, 이들 성분들을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화장료로 제조 시 분산이 잘 이루어져야 하는 성분들이다. 예컨대, 알란토인의 경우 온도가 낮은 경우 석출이 잘 되어 화장료 제조 시 석출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은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 등의 유효성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대한 분산력이 (2R,3R)-2,3-부탄다이올 또는 (2R,3R)-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가장 높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 혼합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보다 높다. 이때, 상기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 등의 유효성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대한 분산력은 시료(즉, 본 발명의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 또는 대조군)를 유효 성분(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 등)과 함께 혼합하여 수상 또는 수상 및 가용화상의 제형으로 제조하고, 4 ℃ 또는 실온에서 7일 이상, 예컨대 4주 또는 8주 보관 후 유효 성분의 석출 정도, 유상과 수상의 상 분리 등 안정도를 평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산력은 하기 실험예 <2-1> 내지 <4-2>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등의 성분들은 화장료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 (예컨대, 병풀 추출물, 청귤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카렌듈라 꽃잎 추출물 등), 안료, 염료 등을 사용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수득된 생물학적 기반의 2,3-부탄다이올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바실러스, 엔테로박터, 클렙시엘라, 시트로박터, 대장균, 효모(사카로마이세스)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동물 유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미생물을 발효하여 제조된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발효 이후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들 중 특정 이성질체의 함량 증가를 위한 인위적 처리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생산된, (2R,3S)-2,3-부탄다이올 함량이 높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2R,3S)-2,3-부탄다이올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들을 포함하되, (2R,3S)-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의 함량이 가장 높은 조성물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2R,3S)-2,3-부탄다이올은 (2R,3S)-2,3-부탄다이올을 (2R,3R)-2,3-부탄다이올보다 많이 포함하거나, (2R,3S)-2,3-부탄다이올을 (2S,3S)-2,3-부탄다이올보다 많이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R,3S)-2,3-부탄다이올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이고, 상기 조성물은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다른 2,3-부탄다이올의 합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2R,3S)-2,3-부탄다이올은 (2R,3S)-2,3-부탄다이올이 80 중량% 이상인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 혼합물일 수 있다. 화학적으로 2,3-부탄다이올을 생산하는 경우 화학적인 촉매가 이성질체를 구분하지 못하여 무작위로 이성질체가 생산되며,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과 달리 (2R,3S)-2,3-부탄다이올의 생산 비율이 낮게 된다. 일반적으로 2,3-부탄다이올을 이성질체 별로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2,3-부탄다이올을 생산하여 본 발명의 (2R,3S)-2,3-부탄다이올, 또는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높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한 미생물 발효를 통해 생산되는 100% 친환경 바이오 공정을 통해서 생산된다(도 1). 이 미생물은 토양, 농장 등 자연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미생물이 바이오매스 유래 당을 섭취하고 소화하는 ‘발효’ 과정을 통해 고순도로 분리되어 생산된다.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Non-GMO(유전자조작을 하지 않은 물질) 바이오매스 원료 및 미생물을 사용하며, 분리정제 과정에서도 끓는점, 크기 등 물리적인 특징만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을 생산 시 분리정제 공정은 여과, 이온 제거 (전기 투석, 이온교환), 증류, 탈색?탈취 (흡착, 증류)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정 중에 동물 유래의 원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해당 물질에 대해서 동물시험도 수행하지 않았다.
해당 바이오공정은 화학 공정과 다르게 특정 이성질체의 생산 비율을 높게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이오촉매 역할을 하는 미생물과 이를 이루는 효소 단백질은 화학 촉매보다 구조가 복잡하여 특정 이성질체를 구별하여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오 공정을 통해 이성질체 (2R,3S)/(2R,3R)/(2S,3S) (순서대로 또는 meso/levo/dextro) 중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높은 이성질체 혼합물을 생산할 수 있다. 화학 공정에서는 화학 촉매가 이를 구분할 수 없어 무작위로 이성질체가 선택되어 생산되어 바이오 유래 2,3-부탄다이올과 비교할 때 (2R,3S)-2,3-부탄다이올의 생산 비율이 낮다. 또한, 화학 공정으로 생산하는 경우 주원료로 석유 유래의 탄화수소를 사용하게 되고 클로로하이드린화(chlorohydrination), 가수분해 (Hydrolysis) 등의 여러 단계의 화학촉매 반응을 거쳐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butene oxide, butane, chlorohydrin, aldehyde 계열의 케미칼들이 부산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이 화장품에 적용이 되면 피부 자극이나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석유화학 유래의 2,3-부탄다이올은 화장품 업계 메가트렌드에 의해서도 사용되기 어렵지만 이러한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화장품 적용이 어렵다. 하지만, 바이오 공정을 통해 생산된 2,3-부탄다이올의 경우에는 천연 물질로 식품첨가제로 이미 등록되어있고, 피부 자극이 없는 아세토인 등이 부산물로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에 대해서 유기농 화장품 국제 인증제도인 COSMOS(Cosmetic Organic Standard) 인증, 미국 농무부 USDA의 100% 바이오 제품 인증, 동물 유래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물 실험을 실시하는 제품에 부여하는 비건(Vegan) 인증 등 글로벌 친환경 인증을 획득하여 친환경성과 안전성도 인정 받았다.
본 발명의 생물학적 기반의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2,3-부탄다이올로 이루어진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보다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 등을 화장료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도 2에 나타나듯이, 2,3-부탄다이올의 어는점, 분자 구조와 같은 물리적 특징에 의하여 분산력이 결정된다. 2,3-부탄다이올, 특히, (2R,3S)-2,3-부탄다이올 비율이 높은 2,3-부탄다이올은 어는점이 13도 이상으로 높은데 잘 언다는 것은 특정 구조체를 잘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2R,3S)- 2,3-부탄다이올의 경우 -OH기가 서로 엇갈린 대칭 구조를 갖기 때문에 특정한 구조체를 잘 형성한다고 예측된다. 이러한 2,3-부탄다이올의 특징으로 인해 2,3-부탄다이올은 특정 구조체를 형성하기 쉽고, 특정 물질 분산 시 2,3-부탄다이올이 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하여 해당 물질을 효과적으로 둘러싸 분산시키는 것으로 예상한다. 본 발명에서는 2,3-부탄다이올이 1,3-프로판다이올과 1,3-부틸렌글라이콜과 같은 다른 폴리올들보다 분산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2,3-부탄다이올의 이성질체의 종류, 조성에 따라 분산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을 화장 재료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의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젤, 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레이형 팩, 마스크팩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립틴트, 립글로스, 립 펜슬, 아이섀도우, 파운데이션, 파우더, 컨실러,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마스카라를 포함하는 메이크업제품, 아이리무버, 메이크업리무버, 클렌징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클렌징 워터, 손 소독제, 핸드워시, 핸드 스크럽, 바디 워시, 바디 스크럽, 쉐이빙 로션, 비누, 물티슈를 포함하는 세정제품,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 미스트, 바디에센스, 핸드크림, 풋크림, 왁스형 제모제을 포함하는 바디케어제품, 베이비 로션, 베이비 크림, 기저귀 발진 크림을 포함하는 유아화장품, 선크림, 선 스틱, 선 스프레이, 인공 태닝 제품을 포함하는 선케어제품,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크림, 헤어스타일링 젤, 폼, 헤어 무스, 헤어 스프레이, 스타일링 로션, 스타일링 크림, 헤어에센스, 모발 염료, 모발 탈색 크림, 컬 활성제 겔을 포함하는 헤어제품, 매니큐어, 네일폴리쉬, 큐티클 리무버, 큐티클 크림를 포함하는 네일케어제품, 치약, 구강청결제, 구강 린스, 구강 필름, 검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제품, 향수, 식물추출물, 소취제 및 지한제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화장 재료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장 재료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화장 재료는 정제수, 에탄올, 보습제, 점증제, 고급알코올, 유화제, 보조유화제, 오일, 왁스, 피부유연화제, 중화제, 산화방지제, 이온봉쇄제, 방부제, 미백제, 자외선차단제, 주름개선제, 기능성첨가물, 향료, 색소, 추출물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 등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젤, 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레이형 팩, 마스크팩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립틴트, 립글로스, 립 펜슬, 아이섀도우, 파운데이션, 파우더, 컨실러,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마스카라를 포함하는 메이크업제품, 아이리무버, 메이크업리무버, 클렌징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클렌징 워터, 손 소독제, 핸드워시, 핸드 스크럽, 바디 워시, 바디 스크럽, 쉐이빙 로션, 비누, 물티슈를 포함하는 세정제품,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 미스트, 바디에센스, 핸드크림, 풋크림, 왁스형 제모제을 포함하는 바디케어제품, 베이비 로션, 베이비 크림, 기저귀 발진 크림을 포함하는 유아화장품, 선크림, 선 스틱, 선 스프레이, 인공 태닝 제품을 포함하는 선케어제품,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크림, 헤어스타일링 젤, 폼, 헤어 무스, 헤어 스프레이, 스타일링 로션, 스타일링 크림, 헤어에센스, 모발 염료, 모발 탈색 크림, 컬 활성제 겔을 포함하는 헤어제품, 매니큐어, 네일폴리쉬, 큐티클 리무버, 큐티클 크림를 포함하는 네일케어제품, 치약, 구강청결제, 구강 린스, 구강 필름, 검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제품, 향수, 식물추출물, 소취제 및 지한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 등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대한 분산력이 (2R,3R)-2,3-부탄다이올의 이성질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높다. 이때, 상기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 등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대한 분산력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4 ℃ 또는 실온에서 7일 이상, 예컨대 4주 또는 8주 보관 후 유효 성분의 석출 정도, 유상과 수상의 상 분리 등 안정도를 평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산력은 하기 실험예 <2-1> 내지 <4-2>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분산제 및/또는 분산매 조성물을 포함하며, 이때,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내에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은 0.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가용화제로는 PEG-60 수소첨가 피마자 오일 (hydrogenated castor oil) (EMALEX HC 60)을 사용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엘라스토머 베이스(ELASTOMER BASE)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Cyclopentasiloxane,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의 혼합물인 시판 제품이다.
유상 안정화제로는 EMERGENT JC 500B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Cetearyl Ethylhexanoate, Bentone, Polymethylsilsesquioxane의 혼합물인 시판 제품이다.
유화제로는 ABIL EM 90 및 KF 6017을 사용하였다. ABIL EM 90은 Cetyl PEG/PPG-10/a Dimethicone의 혼합물인 시판 제품이고, KF 6017은 PEG-10 Dimethicone인 시판 제품이다.
실리콘 겔로는 KSG-16을 사용하였으며, Dimethicone, Dimethicone/Vinyl Dimethicone의 혼합물인 시판 제품이다.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하기와 같이 폴리올들을 준비하였다. (2S,3S)-2,3-부탄다이올은 (2R,3R)-2,3-부탄다이올과 마찬가지로 -OH기가 같은 방향에 위치하여 그 특성이 유사하다.
실시예 1 내지 6은 (2R,3S)-2,3부탄다이올이다.
비교예 1은 (2R,3R)-2,3-부탄다이올이다.
비교예 2는 1,3-부틸렌 글라이콜(1,3-Butylene glycol)이다.
비교예 3은 1,3-프로판다이올(1,3-Propanediol)이다.
비교예 4는 (2R,3R)-2,3-부탄다이올이다.
비교예 5는 1,3-부틸렌글라이콜(1,3-Butylene glycol)이다.
비교예 6은 1,3-프로판다이올(1,3-Propanediol)이다.
비교예 7은 (2R,3R)-2,3-부탄다이올이다.
비교예 8은 1,3-부틸렌글라이콜(1,3-Butylene glycol)이다.
비교예 9는 1,3-프로판다이올(1,3-Propanediol)이다.
비교예 10은 (2R,3R)-2,3-부탄다이올이다.
비교예 11은 1,3-부틸렌글라이콜(1,3-Butylene glycol)이다.
비교예 12는 1,3-프로판다이올(1,3-Propanediol)이다.
비교예 13은 글리세린(Glycerin)이다.
비교예 14는 1,3-부틸렌글라이콜(1,3-Butylene glycol) 이다.
비교예 15는 1,3-프로판다이올(1,3-Propanediol)이다.
비교예 16은 글리세린(Glycerin)이다.
비교예 17은 1,3-부틸렌글라이콜(1,3-Butylene glycol)이다.
비교예 18은 1,3-프로판다이올(1,3-Propanediol)이다.
<실험예 1> 폴리올들의 분석
분산과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서 물질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는 Hansen solubility parameter를 계산함으로써 수행하였다.
Hansen solubility parameter는 “유사한 것이 유사한 것을 녹인다 (Like dissolve like)” 원리를 기반으로 물질들의 파라미터들을 종합하여 물질 간 용해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해당 값이 가까울수록 유사하고 서로 잘 녹을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2,3-부탄다이올을 비롯한 폴리올들에 대해서 분산과 관련된 파라미터들 (Dipole-dipole, hydrogen bond, Dispersion)을 HSPiP (Hansen Solubility Parameters in Practice)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비슷한 탄소 수를 갖고, 또한 2개의 OH기를 갖는 점이 공통되는 유사한 다이올들이지만 분산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이 서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폴리올들에 따라 분산력이 다르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도 3).
<실험예 2> 알란토인에 대한 분산능 평가
알란토인은 온도가 낮을 경우 석출이 잘 일어나며, 화장료 제조 시 알란토인의 석출 여부가 문제된다. 본 발명에서는 온도가 낮을 경우 석출이 잘 일어나는 알란토인의 특성을 이용하여 가혹조건인 냉장 조건에서 폴리올에 따른 석출 양을 측정하여 분산력을 비교함으로써 단시간에 분산력을 확인하였다. 안정도 평가는 실온, 냉장, 항온조(45˚C)에서 이루어졌다.
<2-1> 알란토인 분산력 평가
알란토인의 용해도는 0.5g/100 mL이다. 본 실험에서는 폴리올에 따른 알란토인의 분산력, 즉 석출량 및 석출 속도를 평가하였다.
<제조예 1>
정제수(de-ionized wat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EDTA-2Na(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0.02 중량부, 1,2-헥산다이올(Hexanediol) 2 중량부, 알란토인(allatoin) 0.5 중량부, 실시예 1의 조성물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제조예 2>
실시예 1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3>
실시예 1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2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4>
실시예 1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3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석출량은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빈 용기의 무게를 측정한 후,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의 혼합액을 각각 200g씩 투입하여 24시간 또는 7일 간 동안 냉장 보관하였다. 24시간 또는 7일 후 상층액을 제거한 뒤, 항온조에 건조시켜 혹시 남아있을지 모를 상층액을 완전히 제거하여 석출된 부분만 남겨두었다. 그리고 12시간 건조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앞서 측정했던 빈 용기와의 차이 값으로 석출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알란토인 분산력은 제조예 1이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은 제조예 2였으며, 제조예 4 및 제조예 3의 순서였다. 그러므로 폴리올 종류에 따라 알란토인에 대한 분산력에 차이가 있으며, 실시예 1의 폴리올을 사용 시 알란토인에 대한 분산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및 표 1). 그러므로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1의 폴리올을 사용 시 알란토인의 석출량 및 석출 속도가 감소하여 안정적인 분산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CTKR2020006658-appb-img-000001
<2-2> 가용화 제형에서 알란토인의 분산력 평가
<제조예 5>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EDTA-2Na 0.02 중량부, 1,2-헥산다이올 2 중량부, 알란토인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상을 만들었다. 한편, 향료 0.1 중량부, PEG-60 수소첨가 피마자 오일 (hydrogenated castor oil) 0.3 중량부, 95% 에탄올 5 중량부 및 실시예 2의 폴리올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용화상을 만들었다. 즉, 수상은 초순수, EDTA-2Na, 1,2-헥산다이올 및 알란토인을 포함하고, 가용화상은 향료, PEG-60 수소첨가 피마자 오일, 에탄올 및 폴리올을 포함한다.
상기 수상을 실온에서 3 분 동안 교반하였다. 한편 가용화상을 교반하면서 45 내지 50 ℃로 가온하여 투명하게 하고, 이것을 교반과 동시에 수상에 천천히 투입하고, 실온에서 2 분간 믹싱(mixing)하였다.
<제조예 6>
실시예 2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4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7>
실시예 2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5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8>
실시예 2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6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석출량은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빈 용기의 무게를 측정한 후, 제조예 5 내지 제조예 8의 혼합액을 각각 200g씩 투입하여 24시간 또는 7일 간 동안 냉장 보관하였다. 24시간 또는 7일 후 상층액을 제거한 뒤, 항온조에 건조시켜 혹시 남아있을지 모를 상층액을 완전히 제거하여 석출된 부분만 남겨두었다. 그리고 12시간 건조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앞서 측정했던 빈 용기와의 차이 값으로 석출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가용화 제형에서 알란토인 분산력은 제조예 5이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은 제조예 6 및 8였으며, 제조예 7의 순서였다. 즉, 냉장 보관 7일 후 가용화 제형에서 제조예 5를 제외한 제조예 6, 7 및 8에서 알란토인이 석출되었고 그 결과, 가용화 제형에서 알란토인 분산력은 제조예 5가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폴리올 종류에 따라 가용화 제형에서 알란토인에 대한 분산력에 차이가 있으며, 실시예 2의 폴리올을 사용 시 알란토인에 대한 분산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및 표 2). 그러므로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2의 폴리올을 사용 시 알란토인의 석출량 및 석출 속도가 감소하여 안정적인 분산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CTKR2020006658-appb-img-000002
<실험예 3> 비타민 C의 분산능 평가
비타민 C의 경우 물에 용해가 잘되는 수용성물질이지만 물에 용해될 경우 산화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무수제형인 유중폴리올(Polyol in Oil(P/O))제형에 비타민 C를 적용하였고 상아색의 크림을 만들어 분산능을 평가하였다. 비타민 C는 석출에 대한 문제보다는 변색, 변취, 상분리 없이 안정된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분산력의 평가항목을 부드러운 발림성, 도포 균일성, 유화 안정성으로 설정하였다.
<3-1> 비가온 조건 하 비타민 C의 분산능 평가
<제조예 9>
엘라스토머 베이스(ELASTOMER BASE) 100 중량부에 대하여 EMERGENT JC 500B을 1 중량부, ABIL EM 90을 1.5 중량부, KF 6017을 2 중량부 혼합하여 유상1을 제조하였다. 한편 실시예 3의 폴리올 15 중량부를 수상1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스코르브산 초미세 분말(Ascorbic acid Ultra Fine Powder) 15 중량부를 수상2로 사용하였다. KSG-16을 45 중량부 이용하여 유상2로 사용하였다.
상기 유상 1을 실온 하에 교반하였다. 그리고 수상2를 수상1(폴리올)에 실온에서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교반 하에 유상1에 수상1 및 수상2의 혼합물을 천천히 투입하여 1차 P/O 에멀젼을 만들었다. 교반하에 상기 1차 P/O 에멀젼에 유상2를 투입하여 균질한 상태로 만들어 2차 P/O 에멀젼을 만들었다. 상기 2차 P/O 에멀젼을 보관하였다.
즉, 물이 포함되지 않는 비수계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형의 안정도를 평가하여 폴리올에 따른 분산력 차이를 시험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를 물을 제외한 분산매(폴리올)를 사용하여 실리콘 분체 내(실리콘 엘라스토머)에 흡수시키고, 상기 순수 비타민 C가 흡수된 실리콘 분체에 실리콘 겔(KSG-16)을 혼합하여 크리미한 질감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것이다.
<제조예 10>
실시예 3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7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9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11>
실시예 3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8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9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12>
실시예 3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9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9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예 9 내지 제조예 12의 2차 P/O 에멀젼들을 실온에서 보관한 지 1일 및 8주 후 사용감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항목별 평가는 화장품 제형 전문가 10인의 관능 평가로 10점 척도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10점: 매우 그렇다, 8점: 그렇다, 6점: 보통이다, 4점: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지 않다). 분산 안정도는 하기와 같이 평가되었다: 불안정: 유상과 수상의 상분리, 변색 및/또는 변취, 보통: 유상이 미세하게 분리됨, 안정: 유상이 전혀 분리되지 않음.
그 결과, (2R,3S)-2,3-부탄다이올 함량이 높은 실시예 3을 사용한 제조예 9의 경우 상아색의 매끄러운 크림상을 가졌으며 부드러운 발림성과 도포 균일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상 및 수상의 상 분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변색 및 변취 없이 안정적인 제형을 형성하였다. 시험 8주 후 사용감과 유화 안정도를 평가하였을 때 (2R,3S)-2,3-부탄다이올이 적용된 제조예 9의 경우 우수한 발림성과 도포 균일성을 유지하였고 안정도에도 변화가 없었지만 1,3-프로판다이올이 적용된 제조예 12의 경우 8주 후 입자가 커져 이물감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1,3-부틸렌 글라이콜이나 1,3-프로판다이올, (2R,3R)-2,3-부탄다이올과 같은 다른 폴리올을 사용할 때보다 (2R,3S)-2,3-부탄다이올을 사용할 때 비타민 C를 안정적으로 분산하고 이물감, 즉 입자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 6 및 표 3).
Figure PCTKR2020006658-appb-img-000003
<3-2> 가온 조건 하 비타민 C의 분산능 평가
<제조예 13>
엘라스토머 베이스(ELASTOMER BASE) 100 중량부에 대하여 EMERGENT JC 500B을 1 중량부, ABIL EM 90을 1.5 중량부, KF 6017을 2 중량부 혼합하여 유상1을 제조하였다. 한편 실시예 4의 폴리올 15 중량부를 수상1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스코르브산 초미세 분말(Ascorbic acid Ultra Fine Powder) 15 중량부를 수상2로 사용하였다. KSG-16을 45 중량부 이용하여 유상2로 사용하였다.
상기 유상 1을 교반하면서 80 내지 90℃로 가온하였다. 그리고 수상2를 수상1(폴리올)에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80 내지 90℃로 가온하였다. 교반 하에 가온된 유상1에 수상1 및 수상2의 혼합물을 천천히 투입하여 1차 P/O 에멀젼을 만들었다. 교반하에 상기 1차 P/O 에멀젼에 유상2를 투입하여 균질한 상태로 만들어 2차 P/O 에멀젼을 만들었다. 상기 2차 P/O 에멀젼을 30 ℃이하로 냉각시킨 후 보관하였다.
<제조예 14>
실시예 4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0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15>
실시예 4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1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16>
실시예 4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2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예 13 내지 제조예 16의 2차 P/O 에멀젼들을 실온에서 보관한 지 1일 및 8주 후 사용감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항목별 평가는 화장품 제형 전문가 10인의 관능 평가로 10점 척도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10점: 매우 그렇다, 8점: 그렇다, 6점: 보통이다, 4점: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지 않다). 분산 안정도는 하기와 같이 평가되었다: 불안정: 유상과 수상의 상분리, 변색 및/또는 변취, 보통: 유상이 미세하게 분리됨, 안정: 유상이 전혀 분리되지 않음.
그 결과, (2R,3S)-2,3-부탄다이올 함량이 높은 실시예 4을 사용한 제조예 13의 경우 상아색의 매끄러운 크림상을 가졌으며 부드러운 발림성과 도포 균일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상 및 수상의 상 분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변색 및 변취 없이 안정적인 제형을 형성하였다. 추가적으로 8주 후 사용감과 유화 안정도를 평가하였을 때 (2R,3S)-2,3-부탄다이올이 적용된 제조예 13의 경우 우수한 발림성과 도표 균일성을 유지하였고 안정도에도 변화가 없었지만 1,3-프로판다이올이 적용된 제조예 16의 경우 8주 후 입자가 커져 이물감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1,3-부틸렌 글라이콜이나 1,3-프로판다이올, (2R,3R)-2,3-부탄다이올과 같은 다른 폴리올을 사용할 때보다 (2R,3S)-2,3-부탄다이올을 사용할 때 비타민 C를 안정적으로 분산하고 이물감, 즉 입자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1,3-부틸렌 글라이콜이나 1,3-프로판다이올, (2R,3R)-2,3-부탄다이올은 적용 시 고온에서 과량의 비타민 C가 일시적으로 용해되었다가 냉각되면서 불균일하게 분산된 부분에서 응집이 일어나 입자가 커지게 되어, 도포 균일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실험예 <3-1>에서는 <3-2>과 달리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제형을 조제 시 비가온 조건, 즉 실온 조건 하 수행하였다. 그러나 평가 결과를 보면, 비타민 C 함유 제형을 제조 시 (2R,3S)-2,3-부탄다이올을 적용하였을 때 가온/비가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에너지를 절약한 공정에서도 효과적인 분산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 7 및 표 4).
보통 비타민 C를 함유한 비수계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 시, 순수 비타민 C를 가온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실리콘 분체와 혼합 교반하여 수상을 제조한다. 하지만 가온 공정은 열을 가하는 가온 과정을 거치고 나중엔 냉각하는 과정까지 추가되므로 시간과 에너지 소비가 더 크다. 그러므로 본 실험예 3에서는 통상 업계에서 실시하는 가온 공정과 비가온 공정을 실시하여 공정의 차이를 주었을 때 분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2,3-부탄다이올을 이용한 분산매/분산제 조성물은 가온 조건과 비가온 조건에서 제조한 화장료의 사용감 및 안정성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2,3-부탄다이올은 다른 폴리올들에 비해 분산력이 우수하면서 에너지를 절약한 비가온 공정에서도 효과적인 분산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높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특히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ure PCTKR2020006658-appb-img-000004
<실험예 4> 세라마이드에 대한 분산능 평가
세라마이드는 유용성물질로 물에 용해되지 않고, 화장료 제조 시 석출이 잘 일어나며 겔링현상으로 안정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석출이 잘 일어나는 세라마이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폴리올에 따른 분산력을 비교하였다. 안정도 평가는 실온, 냉장, 항온조(45˚C)에서 이루어졌다.
<4-1> 세라마이드 분산력 평가
<제조예 17>
실시예 5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세라마이드 1 중량부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분산시킨 후 85~90 ˚C까지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30 ˚C이하로 냉각하였다.
<제조예 18>
실시예 5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3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19>
실시예 5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4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20>
실시예 5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5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7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세라마이드 분산력은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5를 사용한 제조예 17과 1,3-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한 제조예 19가 가장 우수하였고, 글리세린을 사용한 제조예 18과 1,3-프로판다이올을 사용한 제조예 20은 세라마이드의 분산력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제조예 17과 19는 가온시 완전히 용해되어 투명한 상태였다가 냉각시 세라마이드가 균질하게 석출되어 불투명한 액상을 형성하였다(도 8). 4주 후 안정도를 평가하였을 때 1,3-부틸렌글라이콜이 적용된 제조예 19의 경우 흐름성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점증되었으나 이와 달리 (2R,3S)-2,3-부탄다이올이 적용된 제조예 17의 경우 제형의 흐름성을 확인되었다. 반면 글리세린이 적용된 제조예 18과 1,3-프로판다이올이 적용된 제조예 20은 가온하여도 세라마이드가 용해되지 않고 석출되었다. 석출된 세라마이드는 폴리올과 분리되어 상단으로 떠올랐으며 4주간 실온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도 9). 추가적으로 항온조 (45˚C)에서 4주간 관찰한 결과 (2R,3S)-2,3-부탄다이올이 적용된 제조예 17은 투명하게 용해되었다 (도 10). 모든 조건에서 겔링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5의 폴리올 사용 시 세라마이드를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며, 특히 항온조 (45˚C) 조건에서 분산력이 우수하여 세라마이드를 투명하게 용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2> 가용화 스킨 제형에서 세라마이드 분산력 평가
<제조예 21>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EDTA-2Na 0.02 중량부, 1,2-헥산다이올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상 1을 만들었다. 한편, 향료 0.1 중량부, PEG-60 수소첨가 피마자 오일 (hydrogenated castor oil) 0.3 중량부, DPG(Dipropylene Glycol) 5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용화상을 만들었다. 실시예 6의 폴리올 10 중량부, 세라마이드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상 2를 만들었다.
상기 수상 1을 실온에서 2 분 동안 교반하였다. 한편 가용화상을 교반하면서 45 내지 50 ℃로 가온하여 투명하게 하고, 이것을 교반과 동시에 수상에 천천히 투입하고, 실온에서 2분간 믹싱(mixing)하였다. 그리고 수상 2를 교반하면서 80 내지 85 ℃로 가온하여 세라마이드를 용해하였고, 이것을 교반과 동시에 믹싱된 수상과 가용화상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3분간 믹싱(mixing)하였다.
<제조예 22>
실시예 6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6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21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23>
실시예 6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7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21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제조예 24>
실시예 6의 폴리올 대신 비교예 18의 폴리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21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세라마이드 분산력은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6를 사용한 제조예 21과 1,3-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한 제조예 23이 가장 우수하였고, 제조예 22와 24는 세라마이드의 분산력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제조예 21과 23은 세라마이드가 균질하게 분산되었고, 4주간 관찰한 결과 실온, 냉장 (4 ˚C), 항온조 (45 ˚C)에서도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였다(도 11 및 도 12). 반면 글리세린이 사용된 제조예 22와 1,3-프로판다이올을 사용한 제조예 24의 경우 세라마이드가 석출되고 분리되어 상단으로 떠올랐으며, 4주간 실온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모든 조건에서 겔링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2R,3S)-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6의 폴리올 사용 시 세라마이드를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며, 냉장 (4 ˚C)과 항온조 (45˚C) 조건에서도 세라마이드 분산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용화 에센스 제형 및 O/W 유화 제형에 적용하여 세라마이드의 분산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2R,3S)-2,3-부탄다이올을 사용하였을 때 분산력이 우수하였으며, 겔링현상이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Claims (28)

  1.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2,3-부탄다이올은 (2R,3S)-2,3-부탄다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비타민 C, 세라마이드 또는 알란토인에 대한 분산력이 (2R,3R)-2,3-부탄다이올 또는 (2R,3R)-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다른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들의 함량보다 높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 혼합물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3-부탄다이올은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수득된 생물학적 기반의 2,3-부탄다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분산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젤, 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레이형 팩, 마스크팩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립틴트, 립글로스, 립 펜슬, 아이섀도우, 파운데이션, 파우더, 컨실러,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마스카라를 포함하는 메이크업제품, 아이리무버, 메이크업리무버, 클렌징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클렌징 워터, 손 소독제, 핸드워시, 핸드 스크럽, 바디 워시, 바디 스크럽, 쉐이빙 로션, 비누, 물티슈를 포함하는 세정제품,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 미스트, 바디에센스, 핸드크림, 풋크림, 왁스형 제모제을 포함하는 바디케어제품, 베이비 로션, 베이비 크림, 기저귀 발진 크림을 포함하는 유아화장품, 선크림, 선 스틱, 선 스프레이, 인공 태닝 제품을 포함하는 선케어제품,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크림, 헤어스타일링 젤, 폼, 헤어 무스, 헤어 스프레이, 스타일링 로션, 스타일링 크림, 헤어에센스, 모발 염료, 모발 탈색 크림, 컬 활성제 겔을 포함하는 헤어제품, 매니큐어, 네일폴리쉬, 큐티클 리무버, 큐티클 크림를 포함하는 네일케어제품, 치약, 구강청결제, 구강 린스, 구강 필름, 검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제품, 향수, 식물추출물, 소취제 및 지한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8.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매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2,3-부탄다이올은 (2R,3S)-2,3-부탄다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비타민 C, 세라마이드 또는 알란토인에 대한 분산력이 (2R,3R)-2,3-부탄다이올 또는 또는 (2R,3R)-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다른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들의 함량보다 높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의 혼합물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 조성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3-부탄다이올은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수득된 생물학적 기반의 2,3-부탄다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 조성물.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분산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젤, 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레이형 팩, 마스크팩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립틴트, 립글로스, 립 펜슬, 아이섀도우, 파운데이션, 파우더, 컨실러,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마스카라를 포함하는 메이크업제품, 아이리무버, 메이크업리무버, 클렌징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클렌징 워터, 손 소독제, 핸드워시, 핸드 스크럽, 바디 워시, 바디 스크럽, 쉐이빙 로션, 비누, 물티슈를 포함하는 세정제품,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 미스트, 바디에센스, 핸드크림, 풋크림, 왁스형 제모제을 포함하는 바디케어제품, 베이비 로션, 베이비 크림, 기저귀 발진 크림을 포함하는 유아화장품, 선크림, 선 스틱, 선 스프레이, 인공 태닝 제품을 포함하는 선케어제품,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크림, 헤어스타일링 젤, 폼, 헤어 무스, 헤어 스프레이, 스타일링 로션, 스타일링 크림, 헤어에센스, 모발 염료, 모발 탈색 크림, 컬 활성제 겔을 포함하는 헤어제품, 매니큐어, 네일폴리쉬, 큐티클 리무버, 큐티클 크림를 포함하는 네일케어제품, 치약, 구강청결제, 구강 린스, 구강 필름, 검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제품, 향수, 식물추출물, 소취제 및 지한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15. 2,3-부탄다이올을 용제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2,3-부탄다이올은 (2R,3S)-2,3-부탄다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 조성물은 비타민 C, 세라마이드 또는 알란토인에 대한 분산력이 (2R,3R)-2,3-부탄다이올 또는 (2R,3R)-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다른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들의 함량보다 높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 혼합물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2,3-부탄다이올은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수득된 생물학적 기반의 2,3-부탄다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9.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분산제 조성물을 화장 재료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젤, 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레이형 팩, 마스크팩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립틴트, 립글로스, 립 펜슬, 아이섀도우, 파운데이션, 파우더, 컨실러,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마스카라를 포함하는 메이크업제품, 아이리무버, 메이크업리무버, 클렌징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클렌징 워터, 손 소독제, 핸드워시, 핸드 스크럽, 바디 워시, 바디 스크럽, 쉐이빙 로션, 비누, 물티슈를 포함하는 세정제품,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 미스트, 바디에센스, 핸드크림, 풋크림, 왁스형 제모제을 포함하는 바디케어제품, 베이비 로션, 베이비 크림, 기저귀 발진 크림을 포함하는 유아화장품, 선크림, 선 스틱, 선 스프레이, 인공 태닝 제품을 포함하는 선케어제품,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크림, 헤어스타일링 젤, 폼, 헤어 무스, 헤어 스프레이, 스타일링 로션, 스타일링 크림, 헤어에센스, 모발 염료, 모발 탈색 크림, 컬 활성제 겔을 포함하는 헤어제품, 매니큐어, 네일폴리쉬, 큐티클 리무버, 큐티클 크림를 포함하는 네일케어제품, 치약, 구강청결제, 구강 린스, 구강 필름, 검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제품, 향수, 식물추출물, 소취제 및 지한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제조 방법.
  22. 2,3-부탄다이올을 용제에 첨가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매 조성물의 제조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2,3-부탄다이올은 (2R,3S)-2,3-부탄다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 조성물은 비타민 C, 세라마이드 또는 알란토인에 대한 분산력이 (2R,3R)-2,3-부탄다이올 또는 또는 (2R,3R)-2,3-부탄다이올의 함량이 다른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들의 함량보다 높은 2,3-부탄다이올 이성질체의 혼합물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2,3-부탄다이올은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수득된 생물학적 기반의 2,3-부탄다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6. 제 22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의 분산매 조성물을 화장 재료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C,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E, 비타민F, 비타민H를 포함하는 비타민 계열 원료, 알란토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보습 원료,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를 포함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벤조페논, 시녹세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차단 기능성 원료, 비오틴, L-멘톨, 징크 피리치온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기능성 원료, 페룰릭애씨드, 헥실레조시놀를 포함하는 산화 방지 또는 변색 방지 원료, 살리실릭애씨드와 그 염류 및 에스터, 글라이콜릭애씨드를 포함하는 각질 개선 원료,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및 고분자 원료, 식물 추출물, 향료, 안료, 펄,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모발 탈염 또는 탈색 원료, 항염 원료, 항산화 원료, 여드름성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원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젤, 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레이형 팩, 마스크팩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립틴트, 립글로스, 립 펜슬, 아이섀도우, 파운데이션, 파우더, 컨실러,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마스카라를 포함하는 메이크업제품, 아이리무버, 메이크업리무버, 클렌징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클렌징 워터, 손 소독제, 핸드워시, 핸드 스크럽, 바디 워시, 바디 스크럽, 쉐이빙 로션, 비누, 물티슈를 포함하는 세정제품,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 미스트, 바디에센스, 핸드크림, 풋크림, 왁스형 제모제을 포함하는 바디케어제품, 베이비 로션, 베이비 크림, 기저귀 발진 크림을 포함하는 유아화장품, 선크림, 선 스틱, 선 스프레이, 인공 태닝 제품을 포함하는 선케어제품,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크림, 헤어스타일링 젤, 폼, 헤어 무스, 헤어 스프레이, 스타일링 로션, 스타일링 크림, 헤어에센스, 모발 염료, 모발 탈색 크림, 컬 활성제 겔을 포함하는 헤어제품, 매니큐어, 네일폴리쉬, 큐티클 리무버, 큐티클 크림를 포함하는 네일케어제품, 치약, 구강청결제, 구강 린스, 구강 필름, 검을 포함하는 퍼스널케어제품, 향수, 식물추출물, 소취제 및 지한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제조 방법.
PCT/KR2020/006658 2020-04-22 2020-05-21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2155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20,717 US20230165766A1 (en) 2020-04-22 2020-05-21 Dispersant or dispersion media composition comprising 2,3-butanediol,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202080100039.4A CN115427006A (zh) 2020-04-22 2020-05-21 包含2,3-丁二醇的分散剂或分散介质组合物以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JP2022564284A JP2023523421A (ja) 2020-04-22 2020-05-21 2,3-ブタンジオールを含む分散剤又は分散媒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
EP20931879.9A EP4140469A4 (en) 2020-04-22 2020-05-21 DISPERSANT OR DISPERSION MEDIA COMPOSITION CONTAINING 2,3-BUTANEDIOL AND COSMETIC COMPOSITION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969 2020-04-22
KR1020200048969A KR102352050B1 (ko) 2020-04-22 2020-04-22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574A1 true WO2021215574A1 (ko) 2021-10-28

Family

ID=7826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6658 WO2021215574A1 (ko) 2020-04-22 2020-05-21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65766A1 (ko)
EP (1) EP4140469A4 (ko)
JP (1) JP2023523421A (ko)
KR (1) KR102352050B1 (ko)
CN (1) CN115427006A (ko)
WO (1) WO2021215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365B1 (ko) * 2022-09-14 2024-04-19 정종윤 새치 자연 갈변 효과를 가지는 헤어토닉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187A (en) * 1990-05-10 1993-03-23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KR100292143B1 (ko) 1998-09-02 2001-07-12 김성우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JP2002212021A (ja) * 2001-01-12 2002-07-31 Naris Cosmetics Co Ltd 化粧料
JP2004115384A (ja) * 2002-09-24 2004-04-15 Mandom Corp 毛髪処理剤
KR100746058B1 (ko) 2003-07-03 2007-08-0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수용성 비타민 b3 화합물 및 알파-하이드록시카르보닐 셀프 태닝제를 함유하는 셀프 태닝 화장 조성물
KR20160046639A (ko) * 2014-10-21 2016-04-29 (주)아모레퍼시픽 메조-2,3-부탄디올을 방부제로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56400A (ko) * 2016-11-18 2018-05-28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2,3-부탄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4844B1 (ko) 2013-10-24 2018-11-0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피부 미백 화장 조성물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0778B (zh) * 2011-09-27 2014-11-19 浙江欧诗漫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含黄春菊提取物和人参根提取物的化妆水组合物
WO2016064180A1 (ko) * 2014-10-21 2016-04-28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메조-2,3-부탄디올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90102898A (ko) * 2018-02-27 2019-09-0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2,3-부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187A (en) * 1990-05-10 1993-03-23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KR100292143B1 (ko) 1998-09-02 2001-07-12 김성우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JP2002212021A (ja) * 2001-01-12 2002-07-31 Naris Cosmetics Co Ltd 化粧料
JP2004115384A (ja) * 2002-09-24 2004-04-15 Mandom Corp 毛髪処理剤
KR100746058B1 (ko) 2003-07-03 2007-08-0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수용성 비타민 b3 화합물 및 알파-하이드록시카르보닐 셀프 태닝제를 함유하는 셀프 태닝 화장 조성물
KR101914844B1 (ko) 2013-10-24 2018-11-0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피부 미백 화장 조성물 및 방법
KR20160046639A (ko) * 2014-10-21 2016-04-29 (주)아모레퍼시픽 메조-2,3-부탄디올을 방부제로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56400A (ko) * 2016-11-18 2018-05-28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2,3-부탄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09A (ko) 2021-11-02
US20230165766A1 (en) 2023-06-01
CN115427006A (zh) 2022-12-02
KR102352050B1 (ko) 2022-01-17
EP4140469A4 (en) 2023-11-01
EP4140469A1 (en) 2023-03-01
JP2023523421A (ja)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88126A1 (ko)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7034367A2 (ko) 표면 개질용 조성물
EP1024783B1 (en) Emollient compositions based on jojoba oil
KR101139979B1 (ko) 피부 타이트닝 조성물 중의 개질 대두 단백질
WO2021034150A1 (ko)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8805A (ko)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215574A1 (ko)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04745A1 (ko) 약물이 코팅된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86640A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19240495A1 (ko) 가역적인 졸-겔 현상이 일어나는 박테리얼 셀룰로오스 겔의 용도
WO2018186644A1 (ko) 자스몬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18186643A1 (ko) 신코닌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CN107001412B (zh) N-酰基氨基-酰胺家族中的化合物、包含它们的组合物和用途
WO2022060038A1 (ko)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103194A1 (ko) 올레아놀릭산 및 살비아놀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186639A1 (ko) 요놀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12093774A2 (ko) 포스포릴콜린 단위체를 함유하는 가교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971549B2 (ja) 化粧料
JP2604782B2 (ja) 化粧料
WO2020141781A1 (ko) 흡수성 및 흡유성이 향상된 화장품용 조성물
WO2021040275A1 (ko)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및/또는 미세 먼지 차단용 세륨옥사이드 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5389A (ko)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096177A1 (ko) 에피더미디박테리움 케라티니 추출물이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 및 그의 피부상태 개선 용도
WO2024117861A1 (ko) 거미실크 단백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2761A (ko)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318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6428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318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