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10930A1 -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10930A1
WO2021210930A1 PCT/KR2021/004752 KR2021004752W WO2021210930A1 WO 2021210930 A1 WO2021210930 A1 WO 2021210930A1 KR 2021004752 W KR2021004752 W KR 2021004752W WO 2021210930 A1 WO2021210930 A1 WO 20212109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st
coupling
unit
cleaner
dus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7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현우
위재혁
박해림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789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37027A4/en
Priority to CN202180029044.5A priority patent/CN115397294B/zh
Priority to JP2022562748A priority patent/JP7459296B2/ja
Priority to AU2021257363A priority patent/AU2021257363B2/en
Priority to US17/919,378 priority patent/US20230172415A1/en
Publication of WO20212109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109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Definitions

  • a vacuum clean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sucks in small garbage or dust by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fills the dust bin in the product, and is generally called a vacuum clean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station capable of preventing dust from scattering when the dust bin is emptied, and a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station capable of improving suction power of a cleaner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 a dust bin, and a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dus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may be included, and when the dust contain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coupling part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 the dust in the dust bin can be automatically remov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 the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 first gear rot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shaft; and a second gear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meshed with the first gear.
  •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coupling surface formed at the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ound a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and an opening/closing member disposed under the body cover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surface.
  • the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 first gear rot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shaft; and a third gear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member and meshed with the first gear.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rotates in a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engaging surface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rotates in the engaging surface It can rot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ne.
  • the opening/closing member may couple the body cover to the dust container.
  • the separation unit includes a separation member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ion, and when the coupling unit rotat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 coupling lever for coupling the body cover of the cleaner to the dust container is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dust bin by being caught by the separation unit.
  •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transmission member maintains a st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lever of the cleaner, and when the coupling part rotat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the upper part of the one side of the transmission member is
  • the body cover may be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by making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member and pressing the coupling lever downwardly at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member.
  •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may include a step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paration member than an upper portion.
  •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surface that forms the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ound and to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is coupled, and when the coupling part is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the separation member may be disposed below the coupling surface have.
  •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surface that forms the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ound and to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is coupled, and a guide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surface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and the separation part It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 the dust in the dust bin may be collected into the dust storage unit by gravity.
  • the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 first gear rot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shaft; and a second gear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meshed with the first gear.
  • the coupling part rotates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 the coupling part rotates to form the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oun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first door member in FIG. 3 .
  •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one or more) of A and (and) B, C", it is combined with A,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first cleaner is coupled to a coupling part of a st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9 and 10 are operation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first cleaner is fixed to the coupling part of th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11 to 13 are operation diagrams of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cover of the firs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15 and 16 are operation diagrams of a compression unit of the firs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17 to 21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dus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station 100 may include a housing 110 .
  • the housing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station 100 .
  • a coupling part 120 for coupling the first cleaner 2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
  • the second cleaner 300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
  • a dust storage unit 130 , a first flow path 140 , a second flow path 150 , a valve 160 , and an inhaler 17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10 .
  • the housing 110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s an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housing 110 may be variously changed.
  • a predetermined angle of the coupling portion 120 formed with the ground may be between 20 and 30 degrees.
  • the predetermined angle of the coupling part 120 formed with the ground is less than 20 degrees, the static friction for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21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20 is not reached, and the dust container 215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It may not slide on 120 .
  • the coupling part 120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122 .
  • the first guide part 122 may be disposed on the housing 110 .
  • the first guide part 122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 the first guide part 122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surface 121 .
  • the first guide part 122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ound. For example, an angle formed by the first guide part 122 with the ground may be an obtuse angle.
  • the first guide part 12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215 . An out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215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part 122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which the main body 210 of the first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121 .
  • the coupling part 120 may include a second guide part 123 .
  • the second guide part 123 may be disposed on the coupling surface 121 .
  • the second guide part 12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oupling surface 121 .
  • the second guide part 123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and the second guide member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main body 210 of the first cleaner 200 .
  •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and the second guide member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battery housing 220 of the first cleaner 200 .
  • the coupling unit 120 may include a second sensor unit 125 .
  • the second sensor unit 125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10 .
  • the second sensor unit 125 may detect whether the first cleaner 200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20 .
  • the second sensor unit 125 may face the body 210 of the first cleaner 200 .
  • the second sensor unit 125 may include a non-contact sensor.
  • the second sensor unit 125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unit (IR sensor).
  • the second sensor unit 125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 the second sensor unit 125 may include a micro switch.
  • the station 10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shaft 181 .
  • the first rotation shaft 18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 the first rotation shaft 181 may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182 .
  • the first rotation shaft 181 may rotate the first gear 182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 the separation unit 128 may include a separation member 1283 .
  • the separation member 1283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ion 100 .
  • the separation member 1283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ion 100 .
  • the separation member 1283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20 .
  • the separation member 1283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20 .
  • the separation member 128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guide part 122 .
  • the separation member 1283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second guide part 122 .
  • the body cover 240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125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215 is parallel to the ground through the separation unit 128 ,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215 is moved to the dust storage unit 130 by its own weight.
  • the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 a hinge 28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tube 280 . 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sion tube 28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282 . Through this, when the main body 210 of the first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station 100 , the extension tube 280 may support the main body 210 .
  • the body 210 may include a suction unit 214 .
  • the suction part 214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main body 210 .
  • the suction part 21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inside.
  • the suction part 214 may communicate with the extension pipe 280 .
  • the suction unit 214 may suck in air containing dust.
  • the suction unit 214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20 .
  • the suction part 214 may be coupled to the third guide part 217 of the coupling part 120 .
  • the body 210 may include an exhaust cover 209 having an air outlet 212 through which air is exhausted from the intake motor 205 .
  • a HEPA filter for filtering air may be accommodated in the exhaust cover 209 .
  • a flow guide may be disposed on the discharge cover 209 . The flow guide may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212 .
  • the dust removal system 10 may include a second cleaner 300 .
  • the second cleaner 300 may mean a robot cleaner.
  • the second cleaner 300 may automatically clean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driving the area to be cleaned by itself.
  • the second vacuum cleaner 300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to an obstacle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or walls installed in the cleaning area, a left wheel for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and a right wheel.
  • the second cleaner 300 may be coupled to the station so that the dust storage space in the second cleaner 300 may be flow-path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150 of the station 100 . Dust in the second cleaner 300 may be collected into the dust storage unit 13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50 .
  • the station 100 has a sealing member ( 2142 , and an inhaler 174 that sucks dust from the dust container 215 and collects the dust into the dust storage unit 130 .
  • the suction power of the first cleaner 200 may be improved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 the dust container 215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스테이션과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먼지 제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스테이션은 먼지통과, 먼지통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는 청소기가 결합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고,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결합부;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결합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먼지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본 명세서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에 저장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
이를 위하여,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로봇 청소기의 이동의 위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는 각각 좌륜 모터와 우륜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좌륜 모터와 우륜 모터의 구동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스스로 방향을 전환하며 실내 청소를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여 사용자의 건강상 해로운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먼지통의 잔존 먼지가 제거되지 않는 경우 청소기의 흡입력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먼지통의 잔존 먼지가 제거되지 않는 경우 잔여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를 동시에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틱 청소기의 먼지통과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스테이션은 먼지통과, 먼지통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는 청소기가 결합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고,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결합부;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결합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먼지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바디 커버가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먼지통 내의 먼지는 중력에 의해 상기 먼지 저장부로 포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먼지통 내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먼지통의 하면이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바디 커버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개폐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결합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결합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스테이션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청소기의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에 결합시키는 결합 레버는 상기 분리부에 걸려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 부재와 상기 청소기의 상기 결합 레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의 일측은 상기 분리 부재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의 타측은 상기 청소기의 상기 결합 레버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타측의 하부는 상기 청소기의 상기 결합 레버의 상측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일측의 상부는 상기 분리 부재의 하부와 접촉하고,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타측은 상기 결합 레버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수직부의 하부는 상부보다 상기 분리 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먼지통의 하면이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결합면보다 아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먼지통의 하면이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연결되고 상기 먼지통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은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따라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되는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먼지통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바디 커버와, 상기 먼지통의 내부 공간을 이동하여 상기 먼지통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시키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고,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결합부와,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결합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먼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바디 커버가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먼지통 내의 먼지는 중력에 의해 상기 먼지 저장부로 포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먼지통의 하면이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바디 커버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와, 개폐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결합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결합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를 동시에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틱 청소기의 먼지통과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도 제1 도어 부재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본체가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본체가 스테이션의 결합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본체가 스테이션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바디 커버를 개폐하는 동작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압축부의 동작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롤 비닐을 접합하는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2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도 제1 도어 부재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본체가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본체가 스테이션의 결합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본체가 스테이션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바디 커버를 개폐하는 동작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압축부의 동작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롤 비닐을 접합하는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2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시스템 (10)은 스테이션(100)과, 제1 청소기(200)와, 제2 청소기(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먼지 제거 시스템(10)은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에는 제1 청소기(200)와, 제2 청소기(30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의 상부에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100)의 상부에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의 하부에는 제2 청소기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15)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제2 청소기(300)의 먼지통(미도시)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스테이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제2 청소기(30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안에는 먼지 저장부(130)와, 제1 유로(140)와, 제2 유로(150)와, 밸브(160)와, 흡입기(17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1 도어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부재(112)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어 부재(112)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결합부(120)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도어 부재(112)는 사용자가 스테이션(100)으로 접근하는 경우 열리고,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100)가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닫힐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테이션(100)의 내부에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1 센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13)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113)는 스테이션(10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13)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서부(113)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일 수 있다. 제1 센서부(113)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서부(113)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113)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제1 센서부(113)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스테이션(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제1 도어 부재(11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결합부(120)에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에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1 청소기(200)의 제1 본체(210)를 스테이션(100)에 결합시키는 경우,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부(120)에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지면과 이루는 결합부(120)의 소정의 각도는 20도와 30도 사이일 수 있다.
지면과 이루는 결합부(120)의 소정의 각도가 30도보다 큰 경우에는, 먼지통(215)의 기울어짐이 심해 중력에 의해 먼지통(215) 내의 먼지가 잔류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면과 이루는 결합부(120)의 소정의 각도가 20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먼지통(215)의 하면과 결합부(120)의 상면 사이의 정지 마찰력에 미치지 못해 먼지통(215)이 결합부(120)에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먼지통(215)의 하면은 폴리 카보네이트(PM; Poly Carbonate)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결합부(120)의 상면은 폴리 옥시 메틸렌(POM; Poly Oxy Methylene)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 옥시 메틸렌 플라스틱 재질에 대한 폴리 카보네이트 플라스틱 재질의 정지 마찰 계수는 약 0.22일 수 있다. 또한, 먼지통(215)의 하면과 결합부(120)의 상면 사이의 이물로 인해 1.5배의 보정을 가하는 경우, tanθ는 약 0.33일 수 있다. 즉, 지면과 이루는 결합부(120)의 소정의 각도가 20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먼지통(215)의 하면과 결합부(120)의 상면 사이의 정지 마찰력에 미치지 못해 먼지통(215)이 결합부(120)에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면과 이루는 결합부(120)의 소정의 각도는 23도에서 30도 사이일 수 있다. 제1 청소기(200)의 제1 본체(210)의 무게와, 평균 여성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지면과 이루는 결합부(120)의 소정의 각도가 23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결합부(120)는 결합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121)은 하우징(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면(121)에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면(121)에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에는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15)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면(121)은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면(121)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면(121)과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의 결합은 제1 청소기(200)와 스테이션(100)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물리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제1 가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하우징(110)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결합면(1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122)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는 먼지통(215)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2)에는 먼지통(215)의 외측면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제2 가이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3)는 결합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3)는 결합면(121)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3)는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의 거리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의 거리는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2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고정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4)는 결합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24)는 제2 가이드부(123)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24)는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24)는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24)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29)와, 고정 부재(129)를 구동시키는 제5 구동부(129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통(215)이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경우, 제5 구동부(1291)는 고정 부재(129)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1 청소기(200)의 제1 본체(210)를 결합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29)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00)의 제1 본체(210)의 바닥면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9)의 폭은 제1 청소기(200)의 제1 본체(210)의 폭에 대응되거나 제1 청소기(200)의 제1 본체(21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고정 부재(129)는 제2 가이드부(123)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129)는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 중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가이드부(123)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1 청소기(200)의 제1 본체(210)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5 구동부(1291)는 고정 부재(129)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결합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고정 부재(129)의 형상과 제5 구동부(1291)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제2 센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25)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부(125)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25)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25)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센서부(125)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25)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센서부(125)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개폐 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부재(126)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 부재(126)는 결합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 부재(126)는 결합면(121)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결합부(120)의 상부와 제1 유로(140) 및/또는 먼지 저장부(130)를 연통시킬 수 있다. 개폐 부재(126)는 제1 청소기(200)의 바디 커버(240)가 열리는 경우 같이 열릴 수 있다. 개폐 부재(126)는 제2 회전축(184)을 기준으로 아래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개폐 부재(126)는 제1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제2 회전축(184)을 기준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15)과 제1 유로(140)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제1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는 결합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는 결합면(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결합면(121)에 먼지통(215)이 결합되는 경우, 제1 구동부는 결합면(121)을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15) 내부의 먼지가 자중에 의해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부(120)에 먼지통(215)이 결합되는 경우, 제1 구동부는 결합부(120)를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125)에 의해 결합부(120)가 먼지통(215)에 결합됨을 감지한 경우, 제1 구동부는 결합부(120)를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킬 있다.
스테이션(100)은 제1 회전축(1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181)은 제1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81)은 제1 기어(182)와 연동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81)은 제1 기어(182)를 일 방향 또는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제1 기어(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182)는 제1 회전축(18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어(182)는 제1 회전축(181)과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다. 제1 기어(182)는 제1 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기어(182)는 제2 기어(183)와 치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기어(182)가 제1 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기어(182)는 제2 기어(18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기어(182)가 제1 구동부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기어(182)는 제2 기어(183)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기어(182)는 결합부(120)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제2 기어(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183)는 결합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기어(183)는 결합면(1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183)는 제1 기어(182)에 치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기어(182)가 제1 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기어(183)는 제1 기어(182)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결합부(1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부(120)는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3과 같이, 먼지통(215)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므로, 먼지통(215)의 내부가 스테이션(100)의 상부에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먼지통(215) 내의 먼지의 유무에 대해 육안으로 식별하기에 용이하다.
제1 기어(182)가 제1 구동부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기어(183)는 제1 기어(182)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결합부(12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부(120)는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제2 회전축(1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축(184)은 개폐 부재(126)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84)은 제3 기어(185)와 연결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제3 기어(1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어(185)는 제2 회전축(184)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기어(185)는 개폐 부재(126)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기어(185)는 제2 회전축(184)을 통해 개폐 부재(126)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기어(185)는 개폐 부재(126)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제3 기어(185)는 제1 기어(182)와 치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기어(182)가 제1 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3 기어(185)는 제1 기어(182)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 부재(126)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개폐 부재(126)는 결합면(12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182)가 제1 구동부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3 기어(185)는 제1 기어(182)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 부재(126)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개폐 부재(126)는 결합면(121)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개폐 부재(126)가 결합면(121)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개폐 부재(126)는 바디 커버(240)를 먼지통(215)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120)는 제3 가이드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127)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127)는 제2 가이드부(1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127)에는 흡입부(214)가 결합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127)의 형상은 흡입부(214)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분리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121)이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 분리부(128)는 결합면(1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부(128)는 제2 가이드부(12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리부(128)는 제2 가이드부(122)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20)에 제1 청소기(200)의 제1 본체(210)가 결합되는 경우, 분리부(128)는 바디 커버(240)를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부(128)는 분리 부재(1283)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부재(1283)은 스테이션(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 부재(1283)은 스테이션(100)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분리 부재(1283)는 결합부(1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 부재(1283)는 결합부(120)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분리 부재(1283)는 제2 가이드부(122)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 부재(1283)는 제2 가이드부(122)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전달 부재(1284)가 포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와 달리 제2 가이드부(122)와 결합 레버(241)의 사이에는 전달 부재(1284)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부(120)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청소기(200)의 결합 레버(241)는 분리 부재(1283)에 직접 걸려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디 커버(240)가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15) 내의 먼지가 먼지 저장부(130)로 이동될 수 있다.
분리부(128)는 전달 부재(128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부재(1284)는 결합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전달 부재(1284)는 결합면(121)에 형성될 수 있다. 전달 부재(1284)는 결합면(121)과 같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달 부재(1284)는 분리 부재(1283)와 제1 청소기(200)의 결합 레버(2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달 부재(1284)의 일측은 분리 부재(1283)의 아래 배치되고, 전달 부재(1284)의 타측은 결합 레버(241)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 부재(1284)의 타측은 결합 레버(24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결합부(120)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달 부재(1284)의 일측의 상부 또는 상면은 분리 부재(1283)의 하부 또는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 부재(1284)의 타측은 결합 레버(241)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바디 커버(240)를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전달 부재(1284)는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0)가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 전달 부재(1284)의 수직부는 도 13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리 부재(1283)을 결합부(120)의 결합면(121)보다 아래 배치시키므로, 스테이션(100) 내부의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달 부재(1284)의 수직부는 하부가 상부보다 분리 부재(1283)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전달 부재(1284)의 수직부의 하부 영역은 전달 부재(1284)의 수직부의 상부 영역보다 분리 부재(128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테이션(100) 내부의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리부(128)를 통해 먼지통(215)의 하면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에서 바디 커버(240)가 먼지통(125)으로부터 분리되므로, 먼지통(215) 내부가 자중에 의해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분리 부재(1283)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와 달리 분리 부재(1283)는 제2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스테이션(100)은 먼지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저장부(130)는 하우징(11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저장부(130)는 결합부(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디 커버(240)가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먼지통(215) 내의 먼지는 중력에 의해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는 제1 유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140)는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15)과 먼지 저장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유로(140)는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15)과 먼지 저장부(13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와 달리, 제1 유로(140)는 상하로 연장되는 직선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유로(140)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15) 내의 먼지가 먼지 저장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제2 유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150)는 제2 청소기(300)와 먼지 저장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유로(150)를 통해 제2 청소기(300) 내의 먼지가 먼지 저장부(150)로 이동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밸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160)는 먼지 저장부(130)와, 제1 유로(140)와, 제2 유로(1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160)는 먼지 저장부(130)와 연결되는 제1 유로(140)와 제2 유로(15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140, 150)가 개방됨으로써 발생하는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100)에 제1 청소기(200)만 결합된 경우, 밸브(160)는 제1 유로(140)와 먼지 저장부(130)를 연결시키고, 제2 유로(150)와 먼지 저장부(130)의 연결을 분리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테이션(100)에 제2 청소기(300)만 결합된 경우, 밸브(160)는 제1 유로(140)와 먼지 저장부(130)의 연결을 분리시키고, 제2 유로(150)와 먼지 저장부(1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테이션(100)에 제1 청소기(200)와 제2 청소기(300)가 모두 결합되는 경우, 밸브(160)는 제1 유로(140)와 먼지 저장부(130)를 연결시키고, 제2 유로(150)와 먼지 저장부(130)의 연결을 분리시켜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15)의 먼지를 먼저 제거할 수 있다. 이 후, 밸브(160)는 밸브(160)는 제1 유로(140)와 먼지 저장부(130)의 연결을 분리시키고, 제2 유로(150)와 먼지 저장부(130)를 연결시켜 제2 청소기(300)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제1 청소기(200)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흡입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기(170)는 먼지 저장부(1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흡입기(170)는 먼지 저장부(130)의 외부에 배치되고 먼지 저장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기(170)는 제1 유로(140)와, 제2 유로(150)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기(170)는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15) 내의 먼지와, 제2 청소기(300) 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는 결합부(120)에 배치되는 제1 충전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충전기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충전기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는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충전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전기는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2 청소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충전기는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2 청소기(300)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부(미도시)에 의하여 제1 청소기(200) 또는 제2 청소기(300)는 스테이션(1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은 측면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먼지 저장부(130)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먼지 저장부(130)를 휴지통의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먼지 저장부(130)를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먼지 제거 시스템(10)은 제1 청소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청소기(200)는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스테이션(100)에 거치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스테이션(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는 결합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의 먼지통(215) 내의 먼지는 중력에 의해 스테이션(100)의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흡입 모터(2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연장관(28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연장관(280)을 통해 청소 모듈(29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흡입 모터(205)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280)을 통해 청소 모듈(29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210)에는 청소 모듈(290)과, 연장관(280)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연장관(280)의 상부에는 힌지(282)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관(280)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282)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는 경우, 연장관(280)이 본체(210)를 지지할 수 있다.
본체(210)는 흡입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214)는 본체(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흡입부(214)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14)는 연장관(280)과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214)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부(214)는 결합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부(214)는 결합부(120)의 제3 가이드부(217)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210)는 먼지 분리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1)는 흡입부(214)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1)는 흡입부(214)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1)는 먼지통(215)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분리부(211)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싸이클론부는 먼지 분리부(211)와, 먼지통(215)의 내부 중 적어도 한곳에 배치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는 흡입부(214)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214)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싸이클론부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싸이클론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210)는 먼지통(215)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215)은 먼지 분리부(211)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통(215)은 먼지 분리부(211)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본체(210)는 흡입 모터(205)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212)를 가지는 배출 커버(209)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09)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헤파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배출 커버(209)에는 유동 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는 공기 배출구(21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핸들(216)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216)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핸들(216)은 흡입 모터(20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205)의 축은 흡입부(214)와 핸들(2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전방이란 흡입 모터(205)를 기준으로 흡입부(214)가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이란 핸들(216)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핸들(216)의 상면은 제1 청소기(200)의 상면의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216)을 파지하는 경우 제1 청소기(200)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연장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18)는 핸들(216)에서 흡입 모터(205)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18)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이동 제한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한부(217)는 핸들(216)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217)는 본체(210)와 마주보는 핸들(216)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217)는 핸들(216)의 길이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동 제한부(217)는 연장부(218)와 이격될 수 있다. 즉, 핸들(216)을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일부 손가락은 이동 제한부(217)의 상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이동 제한부(217)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 사이에 이동 제한부(217)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제1 조작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부(219)는 핸들(216)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작부(219)는 핸들(216)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조작부(219)를 통하여 제1 청소기(200)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배터리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20)에는 배터리(230)가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20)은 핸들(21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2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20)의 후면은 핸들(216)과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20)는 배터리(2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홀에 의해 열이 배터리 하우징(220)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배터리(230)의 원활한 냉각을 통해 배터리(2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20)은 하방으로 개구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20)의 수용부에는 배터리(2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연장관(28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300)은 청소 모듈(290)과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80)은 본체(210)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80)은 본체(210)의 흡입부(214)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청소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모듈(290)은 연장관(280)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청소 모듈(290)과, 연장관(280)을 지나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는 배터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30)는 제1 청소기(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230)는 배터리 하우징(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230)는 배터리 하우징(220)의 하방에서 배터리 하우징(2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배터리(230)는 제1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0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30)는 핸들(2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30)는 먼지통(21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205)와 배터리(23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배치 높이 또한 다르게 될 수 있다. 핸들(216)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05)가 핸들(216)의 전방에 배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230)가 핸들(216)의 하방에 배치되므로, 제1 청소기(200)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216)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230)가 배터리 하우징(220)에 결합된 경우, 배터리(230)의 하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배터리(230)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므로, 배터리(230)를 배터리 하우징(22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3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230)의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배터리(23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체(210)는 바디 커버(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커버(240)는 먼지통(21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 커버(240)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먼지통(215)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바디 커버(240)는 힌지부(242)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242)는 배터리 하우징(22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디 커버(240)는 결합 레버(241)를 통해 먼지통(215)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레버(241)는 본체(21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레버(241)는 먼지통(215)의 전방 측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210)는 압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250)는 먼지통(215)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부(250)는 먼지통(215)의 내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부(250)는 먼지통(215)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부(250)는 먼지통(215)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바디 커버(240)가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15)의 하부가 개방되는 경우, 압축부(250)은 먼지통(215)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먼지통(215) 내의 잔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본체(210)는 제2 조작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작부(251)는 본체(2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조작부(251)는 먼지통(215) 또는 먼지 분리부(21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작부(251)는 먼지통(215) 또는 먼지 분리부(211)의 외부에 상하로 이동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작부(251)는 압축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2 조작부(251)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부(250)도 같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부(250)와 제2 조작부(251)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조작부(25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는 제2 조작부(251)와 압축부(250)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먼지 제거 시스템(10)은 제2 청소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는 로봇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는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로봇 청소기의 이동의 위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는 스테이션에 결합되어 제2 청소기(300) 내의 먼지 저장 공간이 스테이션(100)의 제2 유로(150)와 유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청소기(300) 내의 먼지는 제2 유로(150)를 통해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테이션(100)에 접근하는 경우, 제1 도어 부재(112)는 위로 이동하고, 결합부(120)가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스테이션(100)에 접근하는지 여부는 제1 센서부(113)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로 제1 도어 부재(112)를 개폐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청소기(200)를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시키는 경우, 결합면(121)의 경사와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122, 123, 127)에 의해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안정적으로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부(120)에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124)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125)가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됨을 감지하는 경우, 제5 구동부(1291)는 고정 부재(129)를 상부로 이동시켜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된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의 바디 커버(240)가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량을 늘려, 먼지통(215)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스테이션(100)의 먼지 저장부(130)로 이동시키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5 구동부(1291)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solenoid actuator)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기력 액츄에이터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결합부(120)에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고정된 경우, 분리부(128)는 바디 커버(240)를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바디 커버(240)가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중력과 하중에 의해 먼지통(215) 내의 먼지가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될 수 있다. 이 때,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되는 먼지통(215)의 무게에 의해 개폐 부재(126)가 아래로 회전하여 먼지통(215)의 하부와 먼지 저장부(130)가 연통될 수도 있고, 개폐 부재(125)는 제1 구동부에 의해 아래로 회전하여 먼지통(215)의 하부와 먼지 저장부(130)가 연통될 있다. 이와 달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개폐 부재(126)를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결합부(120)에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고정된 경우, 제1 구동부(미도시)는 결합면(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면(121)은 지면과 수평하게 위치되므로, 먼지통(215)의 내부의 먼지가 자중에 의해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면(121)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2 구동부에 의해 바디 커버(240)를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결합면(121)이 지면과 수평하게 되는 경우 결합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분리 부재(1283) 또는 전달 부재(1284)가 결합 레버(241)와 접촉하여 바디 커버(240)를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21에서는 결합부(120)가 지면과 소정의 상태를 이룬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도 13과 같이 결합부(120)가 지면과 수평한 상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지 저장부(130)는 롤 비닐(132)을 포함할 수 있다. 롤 비닐(132)은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먼지통(215)으로부터 떨어지는 먼지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펼쳐질 수 있다.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면, 스테이션(100)은 접합부(134, 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134, 135)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부(134, 135)는 먼지 저장부(13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부(134, 135)는 먼지가 포집된 롤 비닐(132)의 상부 영역을 절단 및 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134, 135)는 롤 비닐(132)을 중앙 영역으로 모아 롤 비닐(132)의 상부 영역을 열선 접합할 수 있다. 접합부(134, 135)는 제1 접합 부재(134)와 제2 접합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 부재(134)는 제6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접합 부재(135)는 제7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를 참조하면, 조작부(251)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부(250)가 아래로 이동하여 먼지통(215) 내의 먼지를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 커버(240)가 먼지통(215)으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15) 내의 먼지가 중력에 의해 1차적으로 먼지 분리부(130)에 포집된 후, 2차적으로 압축부(250)가 먼지통(125) 내의 잔여 먼지를 먼지 분리부(130)로 포집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바디 커버(240)가 먼지통(2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부(250)가 먼지통(125)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시키고, 바디 커버(240)가 먼지통(215)에서 분리되어 먼지통(215) 내의 먼지가 먼지 분리부(130)로 포집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은 제1 유동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동부(172)는 제1 청소기(200)의 흡입부(214)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1 청소기(200)의 흡입부(214)로 유동되는 공기는 먼지통(215)의 잔여 먼지를 아래로 이동시켜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15)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제1 청소기(200)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215)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은 결합부(120)에 결합된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의 흡입부(214)를 밀폐시키는 실링 부재(2142)와, 먼지통(215)의 먼지를 흡입하여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시키는 흡입기(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15)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제1 청소기(200)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215)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은 결합부(120)에 결합된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의 흡입부(214)를 밀폐시키는 실링 부재(2142)와, 먼지통(215)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2 유동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동부(176)는 제1 유동부(172)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유동부(176)는 흡입부(214)가 아닌 먼지통(215)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1 청소기(200)의 먼지부(215)로 유입되는 공기는 먼지통(215)의 잔여 먼지를 아래로 이동시켜 먼지 저장부(130)로 포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15)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제1 청소기(200)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215)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제2 유동부(176)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1762)와, 토출부(1762)를 제1 축(1761)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제4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1762)가 제1 축(176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먼지통(215)의 다양한 영역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므로 먼지통(215) 내의 잔여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은 먼지통(215)의 내부로 이동하여 먼지통(215)의 내부의 잔여 먼지를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거부는 제1 제거 부재(1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거 부재(177)는 먼지통(215)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먼지통(215)내의 잔여 먼지를 긁어내릴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거부는 제2 제거 부재(17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거 부재(177)는 먼지통(215)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먼지통(215) 내의 잔여 먼지를 긁어내릴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15)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제1 청소기(200)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215)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은 거치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4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거치대(400)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거치대(400)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400)에는 제1 청소기(200)가 거치될 수 있다. 거치대(400)는 제1 청소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거치대(400)는 본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10)는 지지대(420)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410)은 지지대(4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410)는 지지대(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체부(410)는 지지대(4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410)에는 제1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410)는 제1 청소기(200)의 배터리(230)를 충전할 수 있다.
거치대(400)는 지지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420)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지지대(420)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420)는 본체부(41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420)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대(420)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4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체부(410)를 지지할 수 있다면 지지대(4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거치대(400)는 록킹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부(430)는 본체부(4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록킹부(430)는 제1 청소기(200)와 결합하여 제1 청소기(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록킹부(430)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록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는 상방에서 복수의 록킹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이 때, 록킹부(430)의 내측면에는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록킹부(430)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의 외측면에는 록킹부(430)의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록킹부(430)의 내ㅔ측면에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 제1 청소기(200)의 본체(210)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거치대(400)에는 여분의 청소 모듈(500)이 배치될 수 있다. 여분의 청소 모듈(500)은 거치대(4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청소기(200)는 교체 가능한 청소 모듈(290, 510, 520)을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지 않은 여분의 청소 모듈(510, 520)은 거치대(400)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하여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여분의 청소 모듈(510, 520)은 '액세서리'라 칭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는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와 제1 도어 부재(112)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를 제거하는 경우, 하우징(110)의 안에 배치되는 먼지 저장부(130)는 상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스테이션(100)을 일반 휴지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저장부(130)에 먼지가 차 있는 경우, 사용자는 손쉽게 먼지 저장부(130)를 제거 및/또는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0)은 제2 도어 부재(1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 부재(195)는 스테이션(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어 부재(195)는 먼지 저장부(130)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도어 부재(195)가 오픈되는 경우 먼지 저장부(13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스테이션(100)을 일반 휴지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저장부(130)에 먼지가 차 있는 경우, 사용자는 손쉽게 먼지 저장부(130)를 제거 및/또는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먼지통과, 먼지통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는 청소기가 결합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고,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결합부;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결합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먼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키는 스테이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하는 스테이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먼지통의 하면이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바디 커버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개폐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결합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결합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테이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에 결합시키는 스테이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스테이션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청소기의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에 결합시키는 결합 레버는 상기 분리부에 걸려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되는 스테이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 부재와 상기 청소기의 상기 결합 레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의 일측은 상기 분리 부재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의 타측은 상기 청소기의 상기 결합 레버의 위에 배치되는 스테이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타측의 하부는 상기 청소기의 상기 결합 레버의 상측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일측의 상부는 상기 분리 부재의 하부와 접촉하고,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타측은 상기 결합 레버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테이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수직부의 하부는 상부보다 상기 분리 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먼지통의 하면이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결합면보다 아래 배치되는 스테이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먼지통의 하면이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연결되고 상기 먼지통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테이션.
  16.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따라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되는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먼지통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바디 커버와, 상기 먼지통의 내부 공간을 이동하여 상기 먼지통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시키는 압축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고,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결합부와, 상기 바디 커버를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결합부의 아래에 배치되는 먼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먼지 제거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먼지통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결합부를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키는 청소기 먼지 제거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청소기 먼지 제거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하는 청소기 먼지 제거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먼지통의 하면이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바디 커버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와, 개폐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결합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결합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청소기 먼지 제거 시스템.
PCT/KR2021/004752 2020-04-17 2021-04-15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WO2021210930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789256.1A EP4137027A4 (en) 2020-04-17 2021-04-15 DUST ELIMINATION STATION AND SYSTEM INCLUDING SAME
CN202180029044.5A CN115397294B (zh) 2020-04-17 2021-04-15 站以及包括该站的灰尘去除系统
JP2022562748A JP7459296B2 (ja) 2020-04-17 2021-04-15 ステーションおよびこれを含むダスト除去システム
AU2021257363A AU2021257363B2 (en) 2020-04-17 2021-04-15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same
US17/919,378 US20230172415A1 (en) 2020-04-17 2021-04-15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879 2020-04-17
KR1020200046879A KR20210128786A (ko) 2020-04-17 2020-04-17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930A1 true WO2021210930A1 (ko) 2021-10-21

Family

ID=7808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752 WO2021210930A1 (ko) 2020-04-17 2021-04-15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172415A1 (ko)
EP (1) EP4137027A4 (ko)
JP (1) JP7459296B2 (ko)
KR (1) KR20210128786A (ko)
CN (1) CN115397294B (ko)
AU (1) AU2021257363B2 (ko)
TW (1) TWI792270B (ko)
WO (1) WO20212109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58123A1 (ko) * 2023-01-25 202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485B1 (ko) 2020-08-07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US20220287528A1 (en) * 2021-03-11 2022-09-15 Techtronic Cordless Gp Vacuum cleaner docking station
WO2023153728A1 (ko) * 2022-02-10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버 자동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충전 거치대 및 이의 청정 스테이션
KR20240126659A (ko) * 2023-02-14 202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0545A (ja) * 2012-08-02 2014-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2017189453A (ja) * 2016-04-14 2017-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ごみ回収装置、電気掃除機及び掃除機システム
JP2017537743A (ja) * 2014-12-17 2017-12-21 オマクロン・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表面クリーニング装置
KR20190099868A (ko) * 2018-02-20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19180938A1 (ja) * 2018-03-23 2019-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送風機、電気掃除機および手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382A (ja) * 2000-11-29 2002-06-07 Fujitsu Ltd Aspサービスにおけるカストマイズ方法
KR101199358B1 (ko) 2005-07-18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먼지비움장치
KR20070104989A (ko) * 2006-04-24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시스템 및 그 먼지제거 방법
KR100788791B1 (ko) * 2006-05-01 2008-01-02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청소로봇의 청소동작 제어방법
GB2478599B (en) * 2010-03-12 2014-07-16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rrangement
KR101483541B1 (ko) * 2010-07-15 2015-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DE102010038095B4 (de) * 2010-10-11 2022-07-2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ntleerungsstation für einen akkumulatorbetriebenen Elektrostaubsauger
KR101496913B1 (ko) 2010-11-03 2015-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자동배출 스테이션 및 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CA2833555C (en) * 2013-11-18 2020-03-10 Canplas Industries Ltd. Handheld vacuum cleaner and docking assembly for connecting to a central vacuum system
US9788698B2 (en) 2014-12-10 2017-10-17 Irobot Corporation Debris evacuation for cleaning robots
DE102014119191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TWI653962B (zh) * 2016-02-29 2019-03-2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JP2017158806A (ja) * 2016-03-09 2017-09-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EP3323335B1 (en) * 2016-11-17 2021-05-05 Black & Decker Inc. Cleaning device
JP2018196511A (ja) * 2017-05-23 2018-12-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JP6933924B2 (ja) * 2017-06-23 2021-09-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0545A (ja) * 2012-08-02 2014-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2017537743A (ja) * 2014-12-17 2017-12-21 オマクロン・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表面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7189453A (ja) * 2016-04-14 2017-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ごみ回収装置、電気掃除機及び掃除機システム
KR20190099868A (ko) * 2018-02-20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19180938A1 (ja) * 2018-03-23 2019-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送風機、電気掃除機および手乾燥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37027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58123A1 (ko) * 2023-01-25 202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59296B2 (ja) 2024-04-01
TWI792270B (zh) 2023-02-11
EP4137027A1 (en) 2023-02-22
AU2021257363A1 (en) 2022-12-22
KR20210128786A (ko) 2021-10-27
CN115397294B (zh) 2023-12-26
CN115397294A (zh) 2022-11-25
JP2023523581A (ja) 2023-06-06
US20230172415A1 (en) 2023-06-08
EP4137027A4 (en) 2024-05-15
AU2021257363B2 (en) 2024-02-15
TW202139906A (zh)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10930A1 (ko)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WO2021210928A1 (ko)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WO2022005013A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21215842A1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17171495A1 (ko) 청소기
WO2022124781A1 (ko) 청소기 시스템
WO2017171496A1 (ko) 청소기
WO2020184874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AU2019224777B2 (en) Cleaner
WO2020153672A1 (en) Robot cleaner
WO2022075570A1 (ko) 청소 시스템과 도킹장치
AU2020238236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WO2021066318A1 (ko) 청소기
WO2021235897A1 (ko) 청소기
WO2018062671A1 (ko) 진공 청소기
WO2021215592A1 (en) Robot cleaner
WO2022092890A1 (ko) 청소기 시스템
WO2021177572A1 (ko) 도킹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WO2022225202A1 (ko) 청소기
WO2022131481A1 (ko) 청소기
WO2023003268A1 (ko) 청소기 스테이션
WO2022124528A1 (ko) 청소기
WO2019146924A1 (ko) 청소기
WO2022075647A1 (ko) 청소기 시스템
WO2021221233A1 (en)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892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6274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892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117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257363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10415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