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66488A1 -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66488A1
WO2021066488A1 PCT/KR2020/013278 KR2020013278W WO2021066488A1 WO 2021066488 A1 WO2021066488 A1 WO 2021066488A1 KR 2020013278 W KR2020013278 W KR 2020013278W WO 2021066488 A1 WO2021066488 A1 WO 20210664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olefin
based composite
carbon atoms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2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인성
이은정
박상은
김태수
이충훈
공진삼
전정호
곽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2080033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795524B/zh
Priority to US17/608,874 priority patent/US20220315747A1/en
Priority to EP20871273.7A priority patent/EP3950824A4/en
Priority to JP2022504687A priority patent/JP7462731B2/ja
Publication of WO20210664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664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20/00Metallocene catalysts
    • C08F2420/02Cp or analog bridged to a non-Cp X anionic don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08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ionising compound other than alumoxane, e.g. (C6F5)4B-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a low-density olefin-based polymer exhibiting high mechanical stiffness by introducing a high crystallinity region.
  • compositions for automobile interior and exterior parts have been used as a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impact reinforcing material and an inorganic filler based on polypropylene (PP).
  • PP polypropylene
  • an ethylene- ⁇ -olefin copolymer polymerized by applying a metallocene catalyst it was used as a material for automobil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especially bumper covers.
  • Mos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were used as EPR (Ethylene Propylene Rubber) or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was mainly used as an impact reinforcing material.
  • EPR Ethylene Propylene Rubber
  •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 an ethylene- ⁇ -olefin copolymer has begun to be used as an impact reinforcing material, and is now the mainstream. This is because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using this has balanc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elastic modulus, and flexural strength, has good moldability, and has many advantages such as low price.
  • Polyolefins such as ethylene- ⁇ -olefin copolymers synthesized by a metallocene catalyst have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good mechanical properties because their molecular structure is more uniformly controlled than that of a Ziegler-Natta catalyst.
  • Low-density ethylene elastomers polymerized by a metallocene catalyst are also relatively uniformly inserted into the polyethylene (PE) molecule than that of the Ziegler-Natta catalyst. It also has good properties.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that can exhibit remarkably improved impact strength properties with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A) polypropylene, and (B) an olefin-based polymer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following (1) to (3).
  • the melt index (Melt Index, MI, 190°C, 2.16 kg load condition) is 0.1 g/10 minutes to 10.0 g/10 minutes, and (2) The melting temperature is 20° C. to 70 when measured with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C, and (3)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recision measurement method (SSA), a high-temperature melting peak is observed at 75°C to 150°C, and the total ⁇ H(75) of the melting enthalpy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s 1.0 J/g or more.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 SS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recision measurement method
  •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olefin-based polymer that can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composite due to it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polypropylene while exhibiting high mechanical stiffness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high crystallinity region, so that no additional additives are used. It can exhibit remarkably improved impact strength properties with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without the need.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 H (75) of the melting enthalpy at 75° C. to 150° C.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precision measurement (SSA) for the polymer of Preparation Example 1.
  • SS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precision measurement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 H (75) of melting enthalpy at 75° C. to 150° C. for the polymer of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recision measurement (SSA).
  • polymer means a polymer compound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monomers of the same or different types.
  • the generic term “polymer” includes the terms “homopolymer”, “copolymer”, “terpolymer” as well as “interpolymer”.
  • the "interpolymer” refers to a polymer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monomers.
  • the generic term “interpolymer” refers not only to the term “copolymer” (usually used to refer to polymers made from two different monomers), as well as to polymers (made from three different types of monomers, typically As used) the term “terpolymer”. This includes polymers made by polymerization of four or more types of monomers.
  • polypropylene is used as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for automobiles such as automobile bumpers, and polyolefin-based polymers are used together as an impact reinforcing material to compensate for the low impact strength of polypropylene.
  • polyolefin-based polymers are used to exhibit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elastic modulus, and tensile properties according to various use environments and to have high impact strength properties.However, in this case, the problem of lowering the strength of polypropylene is rather there was.
  •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a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by using an olefin-based polymer that exhibits excellent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and can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composite due to excellent miscibility with polypropylene, it is excellent without using additional additives. It can exhibit significantly improved impact strength properties along with mechanical strength.
  •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polypropylene and (B) an olefin-based polymer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following (1) to (3).
  • the melt index (Melt Index, MI, 190°C, 2.16 kg load condition) is 0.1 g/10 minutes to 10.0 g/10 minutes, and (2) The melting temperature is 20° C. to 70 when measured with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C, and (3)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recision measurement method (SSA), a high-temperature melting peak is observed at 75°C to 150°C, and the total ⁇ H(75) of the melting enthalpy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s 1.0 J/g or more.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 SS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recision measurement method
  • the polypropylene may be specifically a polypropylene homopolymer or a copolymer of propylene and an alpha-olefin monomer, wherein the copolymer is alternating ( alternating) or random, or block copolymers.
  • the polypropylene is a compound that can be overlapped with the olefin polymer is excluded, and is a different compound from the olefin polymer.
  • the alpha-olefin-based monomer may specifically be an aliphatic olefin having 2 to 12 carbon atoms or 2 to 8 carbon atoms. More specifically, ethylene, propylene, 1-butene, 1-pentene, 3-methyl-1-butene, 1-hexene, 4-methyl-1-pentene, 3-methyl-1-pentene, 1-heptene, 1- Octene, 1-decene, 1-undecene, 1-dodecene, 1-tetradecene, 1-hexadecene, 1-itocene, 4,4-dimethyl-1-pentene, 4,4- Diethyl-1-hexene or 3,4-dimethyl-1-hexene, and the lik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 the polypropylene may be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propylene copolymer, a propylene-alpha-olefin copolymer, and a propylene-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 the coalescence can be a random or block copolymer.
  • the polypropylene has a melt index (MI) of 0.5 g/10min to 100 g/10min, measured at 230°C and a load of 2.16kg, specifically, the melt index (MI) is 1 g/10min to 90 g/ It may be 10 min, more specifically 10 g/10min to 50 g/10min. If the melt index of polypropylene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re is a concern that a problem may occur during injection molding.
  • MI melt index
  • the polypropylene has a melt index (MI) measured at 230°C and a load of 2.16 kg from 0.5 g/10min to 100 g/10min, specifically It may be an impact copolymer of 1 g/10min to 90 g/10min, and more specifically, a propylene-ethylene impact copolymer, and the impact copolymer is 50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 To 9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80% to 90% by weight may be included.
  • MI melt index
  • the impact copolymer having such physical properties is included as polypropylene in the above content range, strength properties, particularly low temperature strength properties, can be improved.
  • the above-described impact copolymer may be prepared to satisfy the above-described physical property requirements using a conventional polymer preparation reaction, or may be obtained and used commercially.
  • SEETETM M1600 manufactured by LG Chemical Co.,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 the polypropylene is specifically measured at a DSC melting point in the range of 120°C to 160°C, and a load condition of 230°C and 2.16kg according to ASTM-D 1238.
  • It may be one or more random propylene copolymers having a melt flow rate (MFR) in the range of 5 g/10min to 120 g/10min, wherein the random propylene copolymer is 75% to 9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 More specifically, it may be included in 85% by weight to 91% by weight.
  • MFR melt flow rate
  • the random propylene copolymer may be prepared to satisfy the above-described physical property requirements using a conventional polymer preparation reaction, or may be obtained and used commercially.
  • BraskemTM PP R7021-50RNA of Braskem America Inc. or FormoleneTM 7320A of Formosa Plastics Corporation of the United States may be mentioned.
  • the olefin-based polymer included in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ltra-low density, and a high crystalline region is intro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lefin-based polymer, so that the density and melt index (Melt Index, MI, 190°C) are the same. , 2.16 kg load condition), it shows higher tensile strength and tear strength.
  • the olefin-based polymer included in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a prod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olymerizing an olefin-based monomer by introducing hydrogen gas in the presence of a polymerization catalyst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input, a highly crystalline region is introduced to show excellent mechanical stiffness.
  • the melt index (MI)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catalyst used in the process of polymerizing the olefin-based polymer to the comonomer, and affects the mechanical properties, impact strength, and moldability of the olefin-based polymer.
  • the melt index is measured at 190° C., 2.16 kg load condition according to ASTM D1238 in a low density condition of 0.850 g/cc to 0.890 g/cc, and 0.1 g/10 minutes to 10 g/10 minutes And specifically, 0.3 g/10 minutes to 9 g/10 minutes, more specifically 0.4 g/10 minutes to 7 g/10 minutes.
  • the melting point (Tm) may be 20°C to 70°C, specifically 20°C to 60°C, and more specifically 25°C to 50°C.
  • the region When measuring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recision measurement (SSA), a high-temperature melting peak is found at 75°C to 150°C, and specifically, the region may be 75°C to 145°C, and more specifically 75°C to 135°C.
  • the total ⁇ H (75) of the melting enthalpy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s 1.0 J/g or more, specifically 1.0 J/g to 3.0 J/g, and more specifically 1.0 J/g to 2.0 J/g. have.
  • the melting temperature (Tm) measurement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is a temperature that is approximately 30°C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fter heating at a constant rate to a temperature approximately 30°C high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Tm).
  •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Tm melting temperature
  • Tm melting temperature
  • SS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recision measurement
  • olefin-based polymer When the olefin-based polymer is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SA), a high-temperature melting peak is identified in the temperature range, and at this time, the melting enthalpy ⁇ H (75) of the corresponding region satisfies the above range, so that a conventional olefin-based polymer Compared with, when it has the same density and melt index values, it can have higher mechanical stiffness.
  • SS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the olefin-based polymer may additionally satisfy the requirement of (4) having a density (d) of 0.850 g/cc to 0.890 g/cc, and specifically, the density may be 0.850 g/cc to 0.880 g/cc, and , More specifically, it may be 0.860 g/cc to 0.875 g/cc.
  • the density of the olefin-based polymer is affected by the type and content of monomers used in polymerizati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and the like, and in the case of a copolymer, the content of comonomers is greatly influenced.
  • the olefin-based polymer included in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lymerized using a catalyst composition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 compound having a characteristic structure, and a large amount of comonomer can be introduced. Can have.
  • the olefin-based polymer may further satisfy the requirement of (5)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0,000 g/mol to 500,000 g/mol, and specifically,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30,000 g/mol to It may be 300,000 g/mol, more specifically 50,000 g/mol to 200,000 g/mol.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s a molecular weight in terms of polystyrene analyz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 the olefin-based polymer may additionally satisfy the requirement of (6)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of 0.1 to 6.0, which is the ratio (Mw/Mn)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 M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may be specifically 1.0 to 4.0, more specifically 2.0 to 3.0.
  • the olefin-based polymer is an olefin-based monomer, specifically an alpha-olefin-based monomer, a cyclic olefin-based monomer, a diene olefin-based monomer, a triene olefin-based monomer, and a styrene-based monomer, or any one homopolymer or two It may be a copolymer of the above. More specifically, the olefin-based polymer may be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n alpha-olefin having 3 to 12 carbon atoms or a copolymer of an alpha-olefin having 3 to 10 carbon atoms.
  • the olefin-based polymer may be ethylene and propylene, ethylene and 1-butene, ethylene and 1-hexene, ethylene and 4-methyl-1-pentene, or a copolymer of ethylene and 1-octene, and more specifically As such, the olefin-based polymer may be a copolymer of ethylene and 1-butene.
  • the olefin-based polymer is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n alpha-olefin
  • the amount of the alpha-olefin is 90% by weight or less, more specifically 70% by weight or less, and even more specifically 5%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It may be weight %,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20 weight% to 50 weight %.
  • the alpha-olefin is included in the above range, it is easy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physical properties.
  • the olefin-based polymer included in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hysical properties and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s in the presence of a metallocene catalyst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transition metal compound in a single reactor. It can be prepared through a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reaction in which hydrogen gas is added and the olefinic monomer is polymerized. Accordingly, in the olefin-based polymer included in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composed of two or more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ny one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polymer in the polymer is connected in a linear manner is not formed. .
  • the olefin-based polymer contained in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tain a block copolymer, and is a random copolymer, an alternating copolymer, and a graft copolymer.
  • co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a random copolymer.
  • the amount of the hydrogen gas added may be 0.35 to 3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4 to 2 parts by weight, and more specifically 0.45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olefinic monomer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system. It can be wealth.
  • the hydrogen gas when the olefin-based polymer is polymerized by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the hydrogen gas is 0.35 to 3 kg/h, specifically 0.4 with respect to 1 kg/h of the olefin-based monomer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system. To 2 kg/h, more specifically 0.45 to 1.5 kg/h.
  • the hydrogen gas when the olefin-based polymer is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n alpha-olefin, the hydrogen gas is 0.8 to 3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9 to 2.8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ethylene,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 to 2.7 parts by weight.
  • the hydrogen gas when the olefin-based polymer is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n alpha-olefin, and is polymerized by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the hydrogen gas is 0.8 to 1 kg/h of ethylene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system. I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3 kg/h, specifically 0.9 to 2.8 kg/h, and more specifically 1 to 2.7 kg/h.
  • the olefin-based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atisfy the above-described physical properties.
  • the olefin-based copolymer contained in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polymerizing an olefin-based monomer by introducing hydrogen gas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composition for olefin polymerization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 compound of Formula 1 below. It can be obtained by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 the range of the structure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of Formula 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all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 R 1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of a Group 4 metal substituted with hydrogen, alky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lkeny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ryl, silyl, alkylaryl, arylalkyl, or hydrocarbyl A metalloid radical, wherein the two R 1 may be linked to each other by an alkylidine radical including an alky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to form a ring;
  • R 2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lkyl of 1 to 20 carbon atoms; Aryl; Alkoxy; Aryloxy; An amido radical, and two or more of R 2 may be linked to each other to form an aliphatic ring or an aromatic ring;
  • R 3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Alkyl of 1 to 20 carbon atoms; Or an aliphatic or aromatic ring including nitroge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an aryl radical, and when the number of the substituents is plural, two or more substituents among the substituents may be linked to each other to form an aliphatic or aromatic ring;
  • M is a Group 4 transition metal
  • Q 1 and Q 2 are each independently halogen; Alkyl of 1 to 20 carbon atoms; Alkenyl; Aryl; Alkylaryl; Arylalkyl; Alkyl amido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ryl amido; Or an alkylidene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 R 1 and R 2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lkyl of 1 to 20 carbon atoms; Aryl; Or it may be silyl,
  • R 3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lky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lkeny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ryl; Alkylaryl; Arylalkyl; Alkoxy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ryloxy; Or may be amido; Wherein R 6 in at least two R 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form a aliphatic or aromatic ring;
  • the Q 1 and Q 2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alogen; Alkyl of 1 to 20 carbon atoms; Alkylamidos having 1 to 20 carbon atoms; May be an arylamido,
  • M may be a Group 4 transition metal.
  •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has a narrow Cp-MN angle structurally because the metal sites are linked by a cyclopentadienyl ligand into which tetrahydroquinoline is introduced, and the monomer approaches Q 1 -MQ 2 (Q 3 -MQ 4 )
  • the angle has the feature of keeping it wide.
  • Cp, tetrahydroquinoline, nitrogen and metal sites are sequentially connected by a cyclic bond to form a more stable and rigid pentagonal ring structure.
  • hydrocarbyl group a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stated, is a carbon number consisting only of carbon and hydrogen regardless of its structure, such as alkyl, aryl, alkenyl, alkynyl, cycloalkyl, alkylaryl or arylalkyl. It means a monovalent hydrocarbon group of 1 to 20.
  • halogen as used herein means fluorine, chlorine, bromine or iodine unless otherwise stated.
  • alkyl a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stated, means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hydrocarbon moiety.
  • cycloalkyl refers to cyclic alkyl including cyclopropyl and the like unless otherwise stated.
  • alkenyl refers to a linear or branched alkenyl group unless otherwise stated.
  • the branched chain is an alky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lkeny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ryl of 6 to 20 carbon atoms; Alkylary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Or it may be an arylalky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 aryl refers to an aromatic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specifically, phenyl, naphthyl, anthryl, phenanthryl, chrysenyl, pyrenyl, anthracenyl, pyridyl, dimethyl Anilinyl, anisolyl,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alkylaryl group means an aryl group substituted by the alkyl group.
  • the arylalkyl group refers to an alkyl group substituted by the aryl group.
  • the ring refers to a monovalent aliphatic or aromatic hydrocarbon group having 5 to 20 ring atoms and including one or more hetero atoms, and may be a single ring or a condensed ring of two or more rings.
  • the heterocyclic group may or may not be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Examples of these include indoline, tetrahydroquinoline,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lkyl amino group refers to an amino group substituted by the alkyl group, and includes a dimethylamino group and a diethylamino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ryl group preferably has 6 to 20 carbon atoms, and specifically, phenyl, naphthyl, anthracenyl, pyridyl, dimethylanilinyl, anisolyl, and the like, but are limited to these examples. no.
  • silyl may be sil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alky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such as silyl, trimethylsilyl, triethylsilyl, tripropylsilyl, tributylsilyl, trihexylsilyl, triisopropylsilyl , Triisobutylsilyl, triethoxysilyl, triphenylsilyl, tris(trimethylsilyl)silyl,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und of Formula 1 may be the following Formula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of Formula 1 can introduce a large amount of alpha-olefin as well as low-density polyethylen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atalyst, it is possible to prepare a low-density polyolefin copolymer at a level of 0.850 g/cc to 0.890 g/cc. .
  •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of Formula 1 may be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as an example.
  • R 1 to R 3 , M, Q 1 and Q 2 are as defined in Formula 1.
  • Formula 1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03071, and the contents of the patent document are all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of Formula 1 may be used as a catalyst for a polymerization reaction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cocatalyst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 2, Formula 3, and Formula 4 below.
  • R 4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logen, hydrocarby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hydrocarby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substituted with halogen,
  • A is aluminum or boron
  • D is each independently ary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lky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which one or more hydrogen atoms may be substituted with a substituent, wherein the substituent is halogen, hydrocarby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lkoxy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yloxy having 6 to 20 carbon atoms,
  • H is a hydrogen atom
  • L is a neutral or cationic Lewis base
  • W is a group 13 element
  • a is an integer of 2 or more.
  •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include alkyl aluminoxanes such as methyl aluminoxane (MAO), ethyl aluminoxane, isobutyl aluminoxane, and butyl aluminoxane, and two or more of the alkyl aluminoxanes are mixed. And modified alkylaluminoxane, specifically methylaluminoxane, and modified methylaluminoxane (MMAO).
  • alkyl aluminoxanes such as methyl aluminoxane (MAO), ethyl aluminoxane, isobutyl aluminoxane, and butyl aluminoxane
  • alkyl aluminoxanes such as methyl aluminoxane (MAO), ethyl aluminoxane, isobutyl aluminoxane, and butyl aluminoxane
  •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include trimethyl aluminum, triethyl aluminum, triisobutyl aluminum, tripropyl aluminum, tributyl aluminum, dimethyl chloro aluminum, triisopropyl aluminum, tri-s-butyl aluminum, tricyclopentyl aluminum , Tripentyl aluminum, triisopentyl aluminum, trihexyl aluminum, trioctyl aluminum, ethyl dimethyl aluminum, methyl diethyl aluminum, triphenyl aluminum, tri-p-tolyl aluminum, dimethyl aluminum methoxide, dimethyl aluminum ethoxide, trimethyl Boron, triethyl boron, triisobutyl boron, tripropyl boron, tributyl boron, etc. are included, and specifically, may be selected from trimethyl aluminum, triethyl aluminum, and triisobutyl aluminum.
  •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4 include triethylammonium tetraphenylboron, tributylammonium tetraphenylboron, trimethylammonium tetraphenylboron, tripropylammonium tetraphenylboron, trimethylammonium tetra(p-tolyl)boron, trimethylammonium tetra (o,p-dimethylphenyl) boron, tributylammonium tetra (p-trifluoromethylphenyl) boron, trimethylammonium tetra (p-trifluoromethylphenyl) boron, tributylammonium tetrapentafluorophenyl boron, N,N -Diethylanilinium tetraphenyl boron, N,N-diethylanilinium tetrapentafluorophenyl boron, diethyl am
  • the catalyst composition as a first method, comprises: 1) contacting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with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or Formula 3 to obtain a mixture; And 2) add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to the mixture.
  • the catalyst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contact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with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 second method.
  • the molar ratio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d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or Formula 3 is 1/ It may be 5,000 to 1/2, specifically 1/1,000 to 1/10, and more specifically 1/500 to 1/20.
  • the molar ratio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or Formula 3 exceeds 1/2, the amount of the alkylating agent is very smal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lkylation of the metal compound does not proceed completely.
  • the molar ratio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may be 1/25 to 1, specifically 1/10 to 1, and more specifically 1/5 to May be 1.
  • the molar ratio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4 exceeds 1, the amount of the activator is relatively small, and thus the activation of the metal compound is not completely performed, and thus the activity of the resulting catalyst composition
  • the molar ratio is less than 1/25, activation of the metal compound is completely achieved, but the unit cost of the catalyst composition may not be economical or the purity of the resulting polymer may be reduced with an excess amount of the remaining activator.
  • the molar ratio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4 may be 1/10,000 to 1/10, and specifically 1/5,000 It may be to 1/100,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1/3,000 to 1/500.
  • the molar ratio exceeds 1/10, the amount of the activator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activation of the metal compound may not be completed, and thus the activity of the resulting catalyst composition may decrease, and when it is less than 1/10,000, the activation of the metal compound. Is completely achieved, but the unit cost of the catalyst composition may not be economical or the purity of the resulting polymer may be degraded with an excess amount of activator remaining.
  • a hydrocarbon solvent such as pentane, hexane, or heptane, or an aromatic solvent such as benzene or toluene may be used as the reaction solvent.
  • the catalyst composition may include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and the cocatalyst compound in a form supported on a carrier.
  • the carrier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as a carrier in a metallocene catalyst.
  • the carrier may be silica, silica-alumina or silica-magnesia,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 the carrier is silica
  • the functional groups of the silica carrier and the metallocene compound of Formula 1 chemically form bonds, there is hardly any catalyst released from the surface during the olefin polymerization process.
  • the olefin-based polymer prepared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including the silica carrier has excellent particle shape and apparent density of the polymer.
  • the carrier may be high-temperature dried silica or silica-alumina including a highly reactive siloxane group on the surface through a method such as high-temperature drying.
  • the carrier may further include an oxide, carbonate, sulfate or nitrate component such as Na 2 O, K 2 CO 3 , BaSO 4 or Mg(NO 3 ) 2.
  • an oxide, carbonate, sulfate or nitrate component such as Na 2 O, K 2 CO 3 , BaSO 4 or Mg(NO 3 ) 2.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for polymerizing the olefinic monomer may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process applied to polymerization of the olefin monomer, such as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slurry polymerization, or emulsion polymerization.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olefin monomer may be performed under an inert solvent, and examples of the inert solvent include benzene, toluene, xylene, cumene, heptane, cyclohexane, methylcyclohexane, methylcyclopentane, n-hexane, 1-hexene, 1-octene may be mentio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merization of the olefin-based polymer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about 25°C to about 500°C, specifically 80°C to 250°C, more preferably 100°C to 200°C.
  • the reaction pressure during polymerization is 1 kgf/cm 2 to 150 kgf/cm 2 , preferably 1 kgf/cm 2 to 120 kgf/cm 2 , more preferably 5 kgf/cm 2 to 100 kgf/cm 2 Can be
  • 1,2,3,4-tetrahydroquinoline 13.08 g, 98.24 mmol
  • diethyl ether 150 mL
  • the Schlenk flask was immersed in a -78°C low temperature bath made of dry ice and acetone and stirred for 30 minutes. Then, n-BuLi (39.3 mL, 2.5 M, 98.24 mmol) was injected into a syringe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nd a pale yellow slurry was formed. Then, after the flask was stirred for 2 hours, the temperature of the flask was raised to room temperature while removing the generated butane gas.
  • the flask was again immersed in a -78°C low temperature bath to lower the temperature, and then CO 2 gas was added. As the carbon dioxide gas was added, the slurry disappeared, resulting in a transparent solution.
  • the flask was connected to a bubbler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room temperature while removing carbon dioxide gas. After that, excess CO 2 gas and solvent were removed under vacuum. After the flask was transferred to a dry box, pentane was added, stirred vigorously, and filtered to obtain a white solid compound, lithium carbamate. The white solid compound is coordinated with diethyl ether. At this time, the yield is 100%.
  • the lithium carbamate compound (8.47 g, 42.60 mmol) prepared in step (i) was added to a Schlenk flask. Then, tetrahydrofuran (4.6 g, 63.9 mmol) and 45 mL of diethyl ether were sequentially added. The Schlenk flask was immersed in a -20°C low temperature bath made of acetone and a small amount of dry ice, stirred for 30 minutes, and then t-BuLi (25.1 mL, 1.7 M, 42.60 mmol) was added. At this time, the color of the reaction mixture turned red. The mixture was stirred for 6 hours while maintaining -20°C.
  • Example 1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amount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the amount of catalyst and cocatalyst,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amount of hydrogen input, and the amount of comonomer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below to carry out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A copolymer was obtained.
  • Example 1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types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the amount of the transition metal compound, the amount of the catalyst and the cocatalyst,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amount of hydrogen input, and the amount of comonomer were respectively shown in Table 1 below. It changed and the copolymerization reaction proceeded to obtain a copolymer.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were respectively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by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250
  • FIG. 1 shows a DSC graph of the polymer of Example Preparation Example 1
  • FIG. 2 shows a DSC graph of the polymer of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respectively.
  •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250
  • SSA Successessive self-nucleation/annealing
  • the heat capacity was specified while increasing the temperature to 150° C. in the last cycle. Thereafter, the enthalpy of melting at 75°C or higher was summed to obtain ⁇ H (75).
  • Fig. 3 shows the SSA graph of the polymer of Example Preparation Example 1
  • Fig. 4 shows the SSA graph of the polymer of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respectively.
  • the hardness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240 standard using TECLOCK's GC610 STAND for Durometer and Mitutoyo's Shore hardness tester Type A.
  • Example Preparation Example 1 0.862 1.20 106,000 2.01 32.1 has exist 1.04
  • Example Preparation 2 0.866 4.39 69,070 2.07 33.0 has exist 1.61
  • Example Preparation 3 0.872 1.22 99,068 2.05 45.9 has exist 1.11
  • Example Preparation Example 4 0.866 3.30 70,000 2.11 37.8 has exist 1.05
  • Example Preparation 5 0.865 5.10 75,388 2.09 37.2 has exist 1.12
  •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0.861 1.32 105,000 1.98 39.7 none 0
  •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2 0.861 1.12 102,000 2.11 28.6 has exist 0.71
  •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3 0.862 1.20 91,419 2.18 28.5 has exist 0.56
  •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4 0.862 1.23 100,423 2.185 29.9 has exist 0.61 Compar
  • Example Preparation Example 1 0.862 1.20 2.01 32.1 1.04 2.2 29.5 55.0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0.861 1.32 1.98 39.7 0 2.1 25.6 56.7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2 0.861 1.12 2.11 28.6 0.71 1.6 22.4 52.9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3 0.862 1.20 2.18 28.5 0.56 1.3 16.7 51.6
  • Figs. 1 and 2 measured by DSC show similar trends and show similar graph forms, showing a large difference. Although not confirme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high temperature region of 75° C. or higher in FIGS. 3 and 4 measured by SSA. Specifically,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peak appears at 75°C or higher, whereas the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does not appear.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2 and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3 had a peak in the corresponding region, but the size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Example Preparation Example.
  • Example 1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high-temperature melting peak measured by SSA, Example 1 had a ⁇ H (75) of 1.0. A value of J/g or more was shown, but in the comparative example, ⁇ H(75) was less than 1.0 J/g or there was no peak in the corresponding region.
  • Example Preparation Example 1 a polymer melted at a high temperature was introduced to increase mechanical stiffness, and thus it can be seen that tensile strength and tear strength were increas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 Preparation Examples 1 to 5 are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zing an olefin-based monomer while introducing hydrogen gas, and a high crystalline region was introduced to exhibit a high-temperature melting peak, and accordingly, ⁇ H (75) exhibited a value of 1.0 J/g or more. And showed high mechanical stiffness.
  • ⁇ H (75) satisfies a value of 1.0 J/g or more varies depending on whether hydrogen gas is added and the amount of addition during polymerization, and mechanical stiffness is also changed. was able to confirm.
  • the twin-screw extruder had a diameter of 25 ⁇ , a diameter-length ratio of 40, a barrel temperature of 200°C to 230°C, a screw rotation speed of 250 rpm, and an extrusion amount of 25 kr/hr.
  • a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olefin copolymer as shown in Table 4 below was used in place of the olefin copolym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t this time, in Example 5, the type of polypropylene and the ratio of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polypropylene were different.
  • Polypropylene represented by CB5290 in Table 4 below is a highly crystalline impact copolymer polypropylene (CB5290, manufactured by Daehan Emulsifier) having a melt index (230°C, 2.16kg) of 90 g/10 min.
  • a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olefin copolymer as shown in Table 4 below was used in place of the olefin copolym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t this time, in Comparative Example 7, the types of polypropylene and the ratio of the olefin copolymer and the polypropylene were different.
  • Polypropylene represented by CB5290 in Table 4 below is a highly crystalline impact copolymer polypropylene (CB5290, manufactured by Daehan Emulsifier) having a melt index (230°C, 2.16kg) of 90 g/10 min.
  •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ere prepared by injection molding at a temperature of 230°C using an injection machine, and a constant temperature After standing in a humidity room for 1 da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polymer, the melt index of the polymer, tensil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modulus, low and room temperature impact strength, and shrinkage were measured.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specimens are shown in Table 5 below.
  • the melt index (MI) of the polymer was measured by ASTM D-1238 (Condition E, 230°C, 2.16 Kg load).
  •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of the Example was at a similar level of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of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mechanical strength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has been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impact strength and room temperature impact strength.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chanical stiffness of th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was increased by including an olefin-based copolymer exhibiting high mechanical stiffness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high crystallinity reg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폴리프로필렌, 및 (1) 용융지수(Melt Index, MI, 190℃, 2.16 kg 하중 조건)가 0.1 g/10분 내지 10.0 g/10분이고, (2) 시차 주사 열량계(DSC) 측정 시 용융 온도가 20℃ 내지 70℃이고, (3)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 측정시 75℃ 내지 150℃에서 고온 용융 피크가 확인되며, 해당 영역의 용융 엔탈피의 총합 ΔH(75)가 1.0 J/g 이상인 요건을 만족하는 (B)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롄계 복합재는 우수한 충격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관련출원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19년 09월 30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9-0121151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영역이 도입되어 높은 기계적 강성을 나타내는 저밀도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여 충격강도 및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용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을 주성분으로 하여 충격 보강재와 무기충전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어 왔다.
메탈로센 촉매를 적용하여 중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개발하기 이전인 1990년대 중반까지는, 자동차 내외장재, 특히 범퍼 커버의 재료로서 대부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EPR(Ethylene Propylene Rubber)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을 충격 보강재로서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합성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등장한 이후로는 충격 보강재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을 사용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는 충격 강도, 탄성률, 굴곡강도 등의 균형 잡힌 물성을 가지고 성형성이 좋으며 가격도 저렴한 장점 등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합성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은 지글러-나타 촉매에 의한 것보다 분자구조가 균일하게 제어되기 때문에 분자량분포가 좁고 기계적 물성도 양호한 편이다.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중합된 저밀도의 에틸렌 엘라스토머도, α-올레핀 공중합 단량체가 지글러-나타 촉매에 의한 것보다 폴리에틸렌(PE) 분자 내에 비교적 균일하게 삽입되기 때문에, 저밀도의 고무 특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기계적 물성도 양호한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사용 환경에 따라 내충격성 확보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함께 현저히 개선된 충격 강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폴리프로필렌, 및 (B) 하기 (1) 내지 (3)의 요건을 만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를 제공한다.
(1) 용융지수(Melt Index, MI, 190℃, 2.16 kg 하중 조건)가 0.1 g/10분 내지 10.0 g/10분이고, (2) 시차 주사 열량계(DSC) 측정 시 용융 온도가 20℃ 내지 70℃이고, (3)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 측정시 75℃ 내지 150℃에서 고온 용융 피크가 확인되며, 해당 영역의 용융 엔탈피의 총합 ΔH(75)가 1.0 J/g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는, 고결정성 영역이 도입되어 높은 기계적 강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폴리프로필렌과의 우수한 혼화성으로 복합재 내 균일 분산이 가능한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함께 현저히 개선된 충격 강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실시 제조예 1의 중합체에 대해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용융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비교 제조예 1의 중합체에 대해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용융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 제조예 1의 중합체에 대해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으로 75℃ 내지 150℃에서의 용융 엔탈피의 총합 ΔH(75)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 제조예 1의 중합체에 대해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으로 75℃ 내지 150℃에서의 용융 엔탈피의 총합 ΔH(75)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합체"란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중합체 화합물을 의미한다. "중합체"라는 총칭은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뿐만 아니라 "혼성중합체"라는 용어를 포함한다. 또 상기 "혼성중합체"란 둘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를 의미한다. "혼성중합체"라는 총칭은 (두 가지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중합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세 가지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삼원공중합체"라는 용어를 포함한다. 이것은 네 가지 이상의 유형의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통상 자동차 범퍼 등의 자동차용 내외장재로서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프로필렌의 낮은 충격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충격 보강재로서 폴리올레핀계 중합체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다양한 사용 환경에 따른 내충격성, 탄성률 및 인장 물성 등의 특성을 나타내면서도 높은 충격 강도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저밀도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가 사용되지만, 이 경우 오히려 폴리프로필렌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의 제조시, 우수한 충격 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폴리프로필렌과의 우수한 혼화성으로 복합재 내 균일 분산이 가능한 올레핀계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함께 현저히 개선된 충격 강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는, (A) 폴리프로필렌 및 (B) 하기 (1) 내지 (3)의 요건을 충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1) 용융지수(Melt Index, MI, 190℃, 2.16 kg 하중 조건)가 0.1 g/10분 내지 10.0 g/10분이고, (2) 시차 주사 열량계(DSC) 측정 시 용융 온도가 20℃ 내지 70℃이고, (3)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 측정시 75℃ 내지 150℃에서 고온 용융 피크가 확인되며, 해당 영역의 용융 엔탈피의 총합 ΔH(75)가 1.0 J/g 이상이다.
이하 각 구성 성분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프로필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이거나, 또는 프로필렌과 알파-올레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공중합체는 교대(alternating) 또는 랜덤(random), 또는 블록(block) 공중합체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올레핀 중합체와 중첩될 수 있는 것은 배제되며, 상기 올레핀 중합체와는 상이한 화합물이다.
상기 알파-올레핀계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탄소수 2 내지 12, 또는 탄소수 2 내지 8의 지방족 올레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데센(1-decene),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아이토센, 4,4-디메틸-1-펜텐, 4,4-디에틸-1-헥센 또는 3,4-디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230℃ 및 2.16kg 하중에서 측정된 용융지수(MI)가 0.5 g/10min 내지 100 g/10min인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용융지수(MI)는 1 g/10min 내지 90 g/10min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g/10min 내지 50 g/10min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사출 성형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230℃ 및 2.16 kg 하중에서 측정된 용융지수(MI)가 0.5 g/10min 내지 100 g/10min, 구체적으로는 1 g/10min 내지 90 g/10min인 임펙트 코폴리머(impact copolymer)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에틸렌 임펙트 코폴리머일 수 있고, 상기 임펙트 코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총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내지 9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80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성을 갖는 임펙트 코폴리머를 폴리프로필렌으로서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할 경우 강도 특성, 특히 저온 강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임펙트 코폴리머는 통상의 중합체 제조 반응을 이용하여 상기한 물성적 요건을 충족하도록 제조할 수도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LG 화학사제의 SEETE™ M160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구체적으로 120℃ 내지 160℃ 범위의 DSC 융점, 및 ASTM-D 1238에 따라 23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5 g/10min 내지 120 g/10min 범위의 용융 유속(MFR)을 갖는 하나 이상의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상기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총 중량에 대하여 75 중량% 내지 97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85 중량% 내지 9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할 경우, 경도 등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통상의 중합체 제조 반응을 이용하여 상기한 물성적 요건을 충족하도록 제조할 수도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브라스켐 아메리카 인코포레이션(Braskem America Inc.)의 Braskem™ PP R7021-50RNA 또는 미국 포르모사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Formosa Plastics Corporation)의 Formolene™ 7320A 등을 들 수 있다.
(B) 올레핀계 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포함되는 올레핀계 중합체는 초저밀도이면서, 통상적인 종래의 올레핀계 중합체와 비교하여 고결정성 영역이 도입되어 동일 수준의 밀도 및 용융지수(Melt Index, MI, 190℃, 2.16 kg 하중 조건)를 가질 때, 더욱 높은 인장 강도 및 인열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포함되는 올레핀계 중합체는 중합용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수소 기체를 투입하며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중합시 수소 기체 투입에 따라 고 결정성 영역이 도입되어 우수한 기계적 강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용융지수(MI)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중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촉매의 공단량체에 대한 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으며, 올레핀계 중합체의 기계적 물성 및 충격강도, 그리고 성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용융지수는 0.850 g/cc 내지 0.890 g/cc의 저밀도 조건에서 ASTM D1238에 따라 19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것으로, 0.1 g/10분 내지 10 g/10분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0.3 g/10분 내지 9 g/10분, 더욱 구체적으로 0.4 g/10분 내지 7 g/10분일 수 있다.
시차 주사 열량계(DSC) 측정시 용융점(Tm)은 20℃ 내지 70℃이며, 구체적으로 20℃ 내지 60℃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25℃ 내지 50℃일 수 있다.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 측정시 75℃ 내지 150℃에서 고온 용융 피크가 확인되며, 구체적으로 해당 영역은 75℃ 내지 145℃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75℃ 내지 135℃일 수 있다. 이때, 해당 영역의 용융 엔탈피의 총합 ΔH(75)는 1.0 J/g 이상이며, 구체적으로 1.0 J/g 내지 3.0 J/g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0 J/g 내지 2.0 J/g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한 용융온도(Tm) 측정은 용융온도(Tm)보다 대략 30℃ 가량 높은 온도까지 일정한 속도로 가열한 후, 유리전이온도(Tg)보다 대략 30℃ 가량 낮은 온도까지 일정한 속도로 냉각하는 첫 사이클 후, 두 번째 사이클에서 표준적인 용융온도(Tm)의 피크를 얻는다. 상기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 측정은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첫 사이클 후에 용융온도(Tm)의 피크 직전의 온도까지 가열하고 냉각하는 과정을 거치고, 5℃ 정도 온도를 낮춘 온도까지 가열하고 냉각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시행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결정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Eur. Polym. J. 2015, 65, 132).
올레핀계 중합체에 고결정성 영역이 소량 도입될 경우, 일반적인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한 용융온도 측정시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상기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을 통해 고온 용융 피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 측정시 상기 온도 범위에서 고온 용융 피크가 확인되며, 이때 해당 영역의 용융 엔탈피 ΔH(75)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통상적인 종래의 올레핀계 중합체와 비교할 때 동일 수준의 밀도 및 용융지수 값을 가질 때, 더욱 높은 기계적 강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추가로 (4) 밀도(d)가 0.850 g/cc 내지 0.890 g/cc인 요건을 만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밀도는 0.850 g/cc 내지 0.880 g/cc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0.860 g/cc 내지 0.875 g/cc일 수 있다.
통상 올레핀계 중합체의 밀도는 중합시 사용되는 단량체의 종류와 함량, 중합도 등의 영향을 받으며, 공중합체의 경우 공단량체의 함량에 의한 영향이 크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포함되는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특징적 구조를 갖는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을 사용하여 중합된 것으로 많은 양의 공단량체 도입이 가능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범위의 저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추가로 (5)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g/mol 내지 500,000 g/mol인 요건을 만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중량평균분자량(Mw)은 30,000 g/mol 내지 300,000 g/mol, 더욱 구체적으로 50,000 g/mol 내지 200,000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평균 분자량(Mw)은 겔 투과형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분석되는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이다.
또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추가적으로 중량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인 (6) 분자량 분포(MW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가 0.1 내지 6.0인 요건을 만족할 수 있고, 상기 분자량 분포(MWD)는 구체적으로 1.0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2.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올레핀계 단량체, 구체적으로는 알파-올레핀계 단량체, 사이클릭 올레핀계 단량체, 디엔 올레핀계 단량체, 트리엔 올레핀계 단량체 및 스티렌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독 중합체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2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 공단량체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아이토센, 노보넨, 노보나디엔, 에틸리덴노보덴, 페닐노보덴, 비닐노보덴, 디사이클로펜타디엔, 1,4-부타디엔, 1,5-펜타디엔, 1,6-헥사디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3-클로로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에틸렌과 1-부텐, 에틸렌과 1-헥센, 에틸렌과 4-메틸-1-펜텐 또는 에틸렌과 1-옥텐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에틸렌과 1-부텐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가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일 경우 상기 알파-올레핀의 양은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해 90 중량%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70 중량% 이하,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5 중량% 내지 6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 20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이 상기 범위로 포함될 때, 전술한 물성적 특성의 구현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물성 및 구성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포함되는 올레핀계 중합체는, 단일 반응기에서 1종 이상의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 수소 기체를 투입하며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연속 용액 중합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포함되는 올레핀계 중합체는 중합체 내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중 어느 하나의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가 2개 이상 선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블록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포함되는 올레핀계 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를 포함하지 않으며, 랜덤 공중합체(random copolymer), 교호 공중합체(alternating copolymer)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graft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수소 기체의 투입량은 반응계에 투입되는 올레핀계 단량체 1 중량부에 대하여 0.35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4 내지 2 중량부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0.45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가 연속 용액 중합에 의해 중합될 경우, 상기 수소 기체는 반응계에 투입되는 올레핀계 단량체 1 kg/h에 대하여 0.35 내지 3 kg/h, 구체적으로 0.4 내지 2 kg/h, 더욱 구체적으로 0.45 내지 1.5 kg/h의 양으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가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일 경우, 상기 수소 기체는 에틸렌 1중량부에 대하여 0.8 내지 3 중량부, 구체적으로 0.9 내지 2.8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2.7 중량부의 양으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가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이고, 연속 용액 중합에 의해 중합될 경우, 상기 수소 기체는 반응계에 투입되는 에틸렌 1 kg/h에 대하여 0.8 내지 3 kg/h, 구체적으로 0.9 내지 2.8 kg/h,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2.7 kg/h의 양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수소 기체가 상기 범위의 양으로 투입되는 조건 하에서 중합이 이루어질 경우, 본 발명의 올레핀계 중합체가 전술한 바와 같은 물성을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포함되는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수소 기체를 투입하며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전이금속 화합물의 구조의 범위를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3278-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아릴, 실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또는 하이드로카르빌로 치환된 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상기 두개의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알킬리딘 라디칼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아릴; 알콕시; 아릴 옥시; 아미도 라디칼이며, 상기 R2 중에서 2개 이상은 서로 연결되어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를 포함하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이고, 상기 치환기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상기 치환기 중에서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서로 연결되어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M은 4족 전이금속이며;
Q1 및 Q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알케닐; 아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아미도; 아릴 아미도;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리덴 라디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아릴; 또는 실릴일 수 있고,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아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 아릴옥시; 또는 아미도일 수 있으며; 상기 R6 중에서 2개 이상의 R6는 서로 연결되어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Q1 및 Q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아미도; 아릴아미도일 수 있으며,
M은 4족 전이금속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은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이 도입된 시클로펜타디에닐 리간드에 의해 금속 자리가 연결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Cp-M-N 각도는 좁고, 모노머가 접근하는 Q1-M-Q2(Q3-M-Q4) 각도는 넓게 유지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고리 형태의 결합에 의해 Cp,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질소 및 금속 자리가 순서대로 연결되어 더욱 안정하고 단단한 5각형의 링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들을 메틸알루미녹산 또는 B(C6F5)3와 같은 조촉매와 반응시켜 활성화한 다음에 올레핀 중합에 적용시, 높은 중합 온도에서도 고활성, 고분자량 및 고공중합성 등의 특징을 갖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각 치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로카빌(hydrocarbyl group)'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알킬, 아릴,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알킬아릴 또는 아릴알킬 등 그 구조에 상관없이 탄소 및 수소로만 이루어진 탄소수 1 내지 20의 1가의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사이클로프로필 등을 포함한 환상 알킬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알케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케닐기을 의미한다.
상기 분지쇄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탄소수 6 내지 20인 방향족 그룹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페닐,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릴, 크라이세닐, 파이레닐, 안트라세닐, 피리딜, 디메틸아닐리닐, 아니솔릴 등이 있으나,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아릴기는 상기 알킬기에 의하여 치환된 아릴기를 의미한다.
상기 아릴알킬기는 상기 아릴기에 의하여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 고리(또는 헤테로 고리기)는 탄소수 5 내지 20개의 고리 원자를 가지며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의 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단일 고리 또는 2 이상의 고리의 축합 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테로 고리기는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인돌린,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 아미노기는 상기 알킬기에 의하여 치환된 아미노기를 의미하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등이 있으나, 이들 예로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페닐, 나프틸, 안트라세닐, 피리딜, 디메틸아닐리닐, 아니솔릴 등이 있으나,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릴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실릴일 수 있으며, 예컨대 실릴,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트리프로필실릴, 트리부틸실릴, 트리헥실실릴, 트리이소프로필실릴, 트리이소부틸실릴, 트리에톡시실릴, 트리페닐실릴, 트리스(트리메틸실릴)실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20013278-appb-I000002
이외에도, 상기 화학식 1에 정의된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전이금속 화합물은 촉매의 구조적인 특징상 저밀도의 폴리에틸렌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알파-올레핀이 도입 가능하기 때문에 0.850 g/cc 내지 0.890 g/cc 수준의 저밀도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1의 전이금속 화합물은 일례로서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20013278-appb-I000003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내지 R3, M, Q1 및 Q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1은 특허공개 제2007-0003071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의 내용은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상기 화학식 1의 전이금속 화합물은 이외에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조촉매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로, 중합 반응의 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2]
-[Al(R4)-O]a-
[화학식 3]
A(R4)3
[화학식 4]
[L-H]+[W(D)4]- 또는 [L]+[W(D)4]-
상기 화학식 2 내지 3에서,
R4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하이드로카빌, 및 할로겐으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하이드로카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A는 알루미늄 또는 보론이고,
D는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수소 원자가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이며, 이때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하이드로카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 및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옥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H는 수소원자이며,
L은 중성 또는 양이온성 루이스 염기이고,
W는 13족 원소이며,
a는 2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메틸알루미녹산(MAO), 에틸알루미녹산, 이소부틸알루미녹산, 부틸알루미녹산 등의 알킬알루미녹산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알킬알루미녹산이 2종 이상 혼합된 개질된 알킬알루미녹산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 메틸알루미녹산, 개질메틸알루미녹산(MMAO)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부틸알루미늄, 디메틸클로로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필알루미늄, 트리-s-부틸알루미늄, 트리사이클로펜틸알루미늄, 트리펜틸알루미늄, 트리이소펜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에틸디메틸알루미늄, 메틸디에틸알루미늄, 트리페닐알루미늄, 트리-p-톨릴알루미늄, 디메틸알루미늄메톡시드, 디메틸알루미늄에톡시드, 트리메틸보론, 트리에틸보론, 트리이소부틸보론, 트리프로필보론, 트리부틸보론 등이 포함되며,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에틸암모늄테트라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페닐보론, 트리메틸암모늄테트라페닐보론, 트리프로필암모늄테트라페닐보론, 트리메틸암모늄테트라(p-톨릴)보론, 트리메틸암모늄테트라(o,p-디메틸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p-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 트리메틸암모늄테트라(p-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론, N,N-디에틸아닐리늄테트라페닐보론, N,N-디에틸아닐리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론, 디에틸암모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론, 트리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론, 트리메틸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론, 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 보레이트, 트리에틸암모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암모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암모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암모늄테트라(p-톨릴)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암모늄테트라(p-톨릴)알루미늄, 트리에틸암모늄테트라(o,p-디메틸페닐)알루미늄,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p-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암모늄테트라(p-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알루미늄, 트리부틸암모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알루미늄, N,N-디에틸아닐리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N,N-디에틸아닐리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알루미늄, 디에틸암모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알루미늄, 트리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포스포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암모늄테트라(p-톨릴)보론, 트리에틸암모늄테트라(o,p-디메틸페닐)보론, 트리페닐카보늄테트라(p-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 또는 트리페닐카보늄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촉매 조성물은, 첫 번째 방법으로서 1)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에 상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접촉시켜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에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 조성물은, 두 번째 방법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에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촉매 조성물의 제조방법 중에서 첫 번째 방법의 경우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상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 비율은 1/5,000 내지 1/2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1,000 내지 1/1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500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상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 비율이 1/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킬화제의 양이 매우 작아 금속 화합물의 알킬화가 완전히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몰 비율이 1/5,000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 화합물의 알킬화는 이루어지지만, 남아있는 과량의 알킬화제와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인 활성화제 간의 부반응으로 인하여 알킬화된 금속 화합물의 활성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 비율은 1/25 내지 1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10 내지 1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5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 비율이 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활성화제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금속 화합물의 활성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해 생성되는 촉매 조성물의 활성도가 떨어질 수 있고, 몰 비율이 1/25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 화합물의 활성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만, 남아 있는 과량의 활성화제로 촉매 조성물의 단가가 경제적이지 못하거나 생성되는 고분자의 순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촉매 조성물의 제조방법 중에서 두 번째 방법의 경우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 비율은 1/10,000 내지 1/1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5,000 내지 1/10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3,000 내지 1/500일 수 있다. 상기 몰 비율이 1/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활성화제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금속 화합물의 활성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해 생성되는 촉매 조성물의 활성도가 떨어질 수 있고, 1/10,000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 화합물의 활성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만, 남아 있는 과량의 활성화제로 촉매 조성물의 단가가 경제적이지 못하거나 생성되는 고분자의 순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촉매 조성물의 제조시에 반응 용매로서 펜탄, 헥산, 헵탄 등과 같은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벤젠, 톨루엔 등과 같은 방향족계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 조성물은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과 조촉매 화합물을 담체에 담지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메탈로센계 촉매에서 담체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마그네시아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상기 담체가 실리카인 경우, 실리카 담체와 상기 화학식 1의 메탈로센 화합물의 작용기가 화학적으로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올레핀 중합과정에서 표면으로부터 유리되어 나오는 촉매가 거의 없다. 그 결과,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 공정 중 반응기 벽면이나 중합체 입자끼리 엉겨 붙는 파울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 담체를 포함하는 촉매의 존재 하에 제조되는 올레핀계 중합체는 중합체의 입자 형태 및 겉보기 밀도가 우수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고온 건조 등의 방법을 통해 표면에 반응성이 큰 실록산기를 포함하는, 고온 건조된 실리카 또는 실리카-알루미나 등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Na2O, K2CO3, BaSO4 또는 Mg(NO3)2 등과 같은 산화물, 탄산염, 황산염 또는 질산염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중합 반응은 연속식 용액 중합, 벌크 중합, 현탁 중합, 슬러리 중합, 또는 유화 중합 등 올레핀 단량체의 중합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올레핀 단량체의 중합 반응은 불활성 용매 하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불활성 용매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큐멘, 헵탄, 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펜탄, n-헥산, 1-헥센, 1-옥텐을 들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의 중합은 약 25℃ 내지 약 500℃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80℃ 내지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합시의 반응 압력은 1 kgf/cm2 내지 150 kgf/cm2, 바람직하게는 1 kgf/cm2 내지 120 kgf/cm2, 보다 바람직하게는 5 kgf/cm2 내지 100 kgf/cm2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촉매 제조예 1 : 전이금속 화합물 A의 제조
Figure PCTKR2020013278-appb-I000004
(1) 8-(2,3,4,5-테트라메틸-1,3-시클로펜타디에닐)-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8-(2,3,4,5-Tetramethyl-1,3-cyclopentadienyl)-1,2,3,4-tetrahydroquinoline)의 제조
(i) 리튬 카바메이트의 제조
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13.08 g, 98.24 mmol)과 디에틸에테르(150 mL)를 쉬렝크(shlenk) 플라스크에 넣었다. 드라이 아이스와 아세톤으로 만든 -78℃ 저온조에 상기 쉬렝크 플라스크를 담궈 3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n-BuLi(39.3 mL, 2.5 M, 98.24 mmol)을 질소 분위기 하에 주사기로 투입하였고, 연한 노란색의 슬러리가 형성되었다. 이어서, 플라스크를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생성된 부탄 가스를 제거하면서 상온으로 플라스크의 온도를 올렸다. 플라스크를 다시 -78℃ 저온조에 담가 온도를 낮춘 후 CO2 가스를 투입하였다. 이산화탄소 가스를 투입함에 따라 슬러리가 없어지면서 투명한 용액이 되었다. 플라스크를 버블러(bubbler)에 연결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제거하면서 온도를 상온으로 올렸다. 그 후에, 진공 하에서 여분의 CO2 가스와 용매를 제거하였다. 드라이박스로 플라스크를 옮긴 후 펜탄을 가하고 심하게 교반한 후 여과하여 흰색 고체 화합물인 리튬 카바메이트를 얻었다. 상기 흰색 고체 화합물은 디에틸에테르가 배위결합 되어있다. 이때 수율은 100%이다.
1H NMR(C6D6, C5D5N) : δ 1.90 (t, J = 7.2 Hz, 6H, ether), 1.50 (br s, 2H, quin-CH2), 2.34 (br s, 2H, quin-CH2), 3.25 (q, J = 7.2 Hz, 4H, ether), 3.87 (br, s, 2H, quin-CH2), 6.76 (br d, J = 5.6 Hz, 1H, quin-CH) ppm
13C NMR(C6D6) : δ 24.24, 28.54, 45.37, 65.95, 121.17, 125.34, 125.57, 142.04, 163.09(C=O) ppm
(ii) 8-(2,3,4,5-테트라메틸-1,3-시클로펜타디에닐)-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의 제조
Figure PCTKR2020013278-appb-I000005
상기 단계 (i)에서 제조된 리튬 카바메이트 화합물(8.47 g, 42.60 mmol)을 쉬렝크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어서, 테트라히드로퓨란(4.6 g, 63.9 mmol)과 디에틸에테르 45 mL를 차례로 넣었다. 아세톤과 소량의 드라이 아이스로 만든 -20℃ 저온조에 상기 쉬렝크 플라스크를 담가 30분간 교반한 후, t-BuLi(25.1 mL, 1.7 M, 42.60 mmol)을 넣었다. 이때 반응 혼합물의 색깔이 붉은색으로 변했다. -20℃를 계속 유지하면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아있는 CeCl3·2LiCl 용액(129 mL, 0.33 M, 42.60 mmol)과 테트라메틸시클로펜티논(5.89 g, 42.60 mmol)을 주사기 안에서 섞어준 다음, 질소 분위기하에서 플라스크로 투입하였다. 플라스크의 온도를 상온으로 천천히 올리다가 1시간 후에 항온조를 제거하고 온도를 상온으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상기 플라스크에 물(15 mL)을 첨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여과해서 여액을 얻었다. 그 여액을 분별 깔때기에 옮긴 후에 염산(2 N, 80 mL)을 넣어서 12분간 흔들어주었다. 그리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160 mL)를 넣어서 중화한 후에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이 유기층에 무수황산마그네슘을 넣어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그 여액을 취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v/v, 10:1) 용매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정제하여 노란색 오일을 얻었다. 수율은 40% 이었다.
1H NMR(C6D6) : δ 1.00 (br d, 3H, Cp-CH3), 1.63 - 1.73 (m, 2H, quin-CH2), 1.80 (s, 3H, Cp-CH3), 1.81 (s, 3H, Cp-CH3), 1.85 (s, 3H, Cp-CH3), 2.64 (t, J = 6.0 Hz, 2H, quin-CH2), 2.84 - 2.90 (br, 2H, quin-CH2), 3.06 (br s, 1H, Cp-H), 3.76 (br s, 1H, N-H), 6.77 (t, J = 7.2 Hz, 1H, quin-CH), 6.92 (d, J = 2.4 Hz, 1H, quin-CH), 6.94 (d, J = 2.4 Hz, 1H, quin-CH) ppm
(2)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8-일)테트라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η 5 , κ -N]티타늄 디메틸([(1,2,3,4-Tetrahydroquinolin-8-yl)tetramethylcyclopentadienyl-eta5,kapa-N]titanium dimethyl)의 제조
Figure PCTKR2020013278-appb-I000006
(i)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8-일)테트라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η 5, κ-N]디리튬 화합물의 제조
드라이 박스 안에서 상기 단계 (1)을 통하여 제조된 8-(2,3,4,5-테트라메틸-1,3-시클로펜타디에닐)-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8.07 g, 32.0 mmol)과 디에틸에테르 140 mL를 둥근 플라스크에 넣은 후, -30℃로 온도를 낮추고, n-BuLi (17.7 g, 2.5 M, 64.0 mmol)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넣었다. 온도를 상온으로 올리면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에, 디에틸에테르로 여러 번 씻어내면서 여과하여 고체를 얻었다. 진공을 걸어 남아 있는 용매를 제거하여 노란색 고체인 디리튬 화합물(9.83 g)을 얻었다. 수율은 95%였다.
1H NMR(C6D6, C5D5N) : δ 2.38 (br s, 2H, quin-CH2), 2.53 (br s, 12H, Cp-CH3), 3.48 (br s, 2H, quin-CH2), 4.19 (br s, 2H, quin-CH2), 6.77 (t, J = 6.8 Hz, 2H, quin-CH), 7.28 (br s, 1H, quin-CH), 7.75 (brs, 1H, quin-CH) ppm
(ii)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8-일)테트라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η 5,κ-N]티타늄 디메틸의 제조
드라이 박스 안에서 TiCl4·DME(4.41 g, 15.76 mmol)와 디에틸에테르(150 mL)를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30℃에서 교반하면서 MeLi(21.7 mL, 31.52 mmol, 1.4 M)을 천천히 넣었다. 15분 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단계 (i)에서 제조된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8-일)테트라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ηη 5, κ-N]디리튬 화합물(5.30 g, 15.76 mmol)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온도를 상온으로 올리면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진공을 걸어 용매를 제거하고, 펜탄에 녹인 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였다. 진공을 걸어 펜탄을 제거하면 진한 갈색의 화합물(3.70 g)이 얻어졌다. 수율은 71.3%였다.
1H NMR(C6D6) : δ 0.59 (s, 6H, Ti-CH3), 1.66 (s, 6H, Cp-CH3), 1.69 (br t, J = 6.4 Hz, 2H, quin-CH2), 2.05 (s, 6H, Cp-CH3), 2.47 (t, J = 6.0 Hz, 2H, quin-CH2), 4.53 (m, 2H, quin-CH2), 6.84 (t, J = 7.2 Hz, 1H, quin-CH), 6.93 (d, J =7.6 Hz, quin-CH), 7.01 (d, J =6.8 Hz, quin-CH) ppm
13C NMR(C6D6) : δ 12.12, 23.08, 27.30, 48.84, 51.01, 119.70, 119.96, 120.95, 126.99, 128.73, 131.67, 136.21 ppm
촉매 제조예 2 : 전이금속 화합물 B의 제조
Figure PCTKR2020013278-appb-I000007
(1) 2-메틸-7-(2,3,4,5-테트라메틸-1,3-사이클로펜타디에닐)인돌린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1)에서 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을 대신하여 2-메틸 인돌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1)과 마찬가지 방법을 통하여, 2-메틸-7-(2,3,4,5-테트라메틸-1,3-사이클로펜타디에닐)인돌린을 제조하였다. 수율은 19%였다.
1H NMR(C6D6) : δ 6.97(d, J=7.2Hz, 1H, CH), δ 6.78(d, J=8Hz, 1H, CH), δ 6.67(t, J=7.4Hz, 1H, CH), δ 3.94(m, 1H, quinoline-CH), δ 3.51(br s, 1H, NH), δ 3.24-3.08(m, 2H, quinoline-CH2, Cp-CH), δ 2.65(m, 1H, quinoline-CH2), δ 1.89(s, 3H, Cp-CH3), δ 1.84(s, 3H, Cp-CH3), δ 1.82(s, 3H, Cp-CH3), δ 1.13(d, J=6Hz, 3H, quinoline-CH3), δ 0.93(3H, Cp-CH3) ppm.
(2) [(2-메틸인돌린-7-일)테트라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에타5,카파-N]티타늄 디메틸 ([(2-Methylindolin-7-yl)tetramethylcyclopentadienyl-eta5,kapa-N]titanium dimethyl)의 제조
(i) 8-(2,3,4,5-테트라메틸-1,3-시클로펜타디에닐)-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대신에 2-메틸-7-(2,3,4,5-테트라메틸-1,3-시클로펜타디에닐)-인돌린 (2.25 g, 8.88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의 (2)(i)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통하여 0.58 당량의 디에틸 에테르가 배위된 디리튬염 화합물(화합물 4g)을 얻었다(1.37 g, 50 %).
1H NMR(Pyridine-d8): δ 7.22(br s, 1H, CH), δ 7.18(d, J=6Hz, 1H, CH), δ 6.32(t, 1H, CH), δ 4.61(brs, 1H, CH), δ 3.54(m, 1H, CH), δ 3.00(m, 1H, CH), δ 2.35-2.12(m ,13H, CH, Cp-CH3), δ 1.39(d, indoline-CH3) ppm.
(ii) 상기 (i)에서 제조한 디리튬염 화합물(화합물 4g)(1.37 g, 4.44 mmol)로 상기 제조예 1의 (2)(ii)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통하여 티타늄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C6D6): δ 7.01-6.96(m, 2H, CH), δ 6.82(t, J=7.4Hz, 1H, CH), δ
4.96(m, 1H, CH), δ 2.88(m, 1H, CH), δ 2.40(m, 1H, CH), δ 2.02(s, 3H, Cp-CH3), δ 2.01(s, 3H, Cp-CH3), δ 1.70(s, 3H, Cp-CH3), δ 1.69(s, 3H, Cp-CH3), δ 1.65(d, J=6.4Hz, 3H, indoline-CH3), δ 0.71(d, J=10Hz, 6H, TiMe2-CH3) ppm.
실시 제조예 1
1.5 L 연속 공정 반응기에 헥산 용매(5 kg/h)와 1-부텐(0.95 kg/h)을 채운 후, 반응기 상단의 온도를 140.7℃로 예열하였다.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화합물(0.06 mmol/min), 상기 촉매 제조예 2에서 얻은 전이금속 화합물 B(0.40 μmol/min), 및 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 보레이트 조촉매(1.20 μmol/min)를 동시에 반응기로 투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기 속으로 수소 기체(15 cc/min) 및 에틸렌(0.87 kg/h)을 투입하여 89 bar의 압력으로 연속 공정에서 141℃로 30분 이상 유지시켜 공중합 반응을 진행하여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후 진공 오븐에서 12시간 이상 건조한 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 제조예 2 내지 5
실시 제조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전이금속 화합물의 사용량, 촉매와 조촉매의 사용량, 그리고 반응 온도, 수소 투입량 및 공단량체의 양을 하기 표 1과 같이 각각 변경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하여 공중합체를 얻었다.
비교 제조예 1
미쓰이 가가쿠사의 DF610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비교 제조예 2 내지 4
실시 제조예 1과 동일하게 공중합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전이금속 화합물의 종류, 전이금속 화합물의 사용량, 촉매와 조촉매의 사용량, 그리고 반응 온도, 수소 투입량 및 공단량체의 양을 하기 표 1과 같이 각각 변경하여 공중합 반응을 진행하여 공중합체를 얻었다.
비교 제조예 5
미쓰이 가가쿠사의 DF710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비교 제조예 6
미쓰이 가가쿠사의 DF640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비교 제조예 7
Dow사의 EG7447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촉매 종류 촉매
사용량
(μmol
/min)
조촉매
(μmol
/min)
TiBAl
(mmol
/min)
에틸렌
(kg/h)
헥산
(Kg/h)
1-부텐
(kg/h)
수소
(cc/min)
반응 온도
(℃
실시 제조예 1 전이금속 화합물 B 0.40 1.20 0.06 0.87 5 0.95 15 141
실시 제조예 2 전이금속 화합물 B 0.60 1.80 0.05 0.87 7 0.93 32 145
실시 제조예 3 전이금속 화합물 B 0.45 1.35 0.04 0.87 7 0.75 15 145
실시 제조예 4 전이금속 화합물 B 0.74 2.22 0.05 0.87 7 0.93 25 150
실시 제조예 5 전이금속 화합물 B 0.55 1.65 0.04 0.87 7 0.84 38 148
비교 제조예 2 전이금속 화합물 B 0.78 2.34 0.06 0.87 5 1.15 - 161
비교 제조예 3 전이금속 화합물 A 0.32 0.96 0.05 0.87 5 0.62 - 145
비교 제조예 4 전이금속 화합물 B 0.50 1.50 0.06 0.87 5 1.15 10 161
추가 비교제조예
8
과대 사용
실험예 1: 올레핀계 중합체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 제조예 1 내지 5, 및 비교 제조예 1 내지 4의 공중합체에 대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1) 중합체의 밀도(Density)
ASTM D-792로 측정하였다.
2) 고분자의 용융지수(Melt Index, MI)
ASTM D-1238(조건 E, 190℃, 2.16 Kg 하중)로 측정하였다.
3) 중량평균 분자량(Mw, g/mol) 및 분자량 분포(MWD)
겔 투과 크로마토 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수 평균 분자량(Mn)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각각 측정하고,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을 수 평균 분자량으로 나누어 분자량 분포를 계산하였다.
- 컬럼: PL Olexis
- 용매: TCB(Trichlorobenzene)
- 유속: 1.0 ml/min
- 시료농도: 1.0 mg/ml
- 주입량: 200 ㎕
- 컬럼온도: 160℃
- Detector: Agilent High Temperature RI detector
- Standard: Polystyrene (3차 함수로 보정)
4) 고분자의 녹는점(Tm)
TA instrument사에서 제조한 시차 주사 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250)를 이용하여 얻었다. 즉, 온도를 150℃까지 증가시킨 후, 1분 동안 그 온도에서 유지하고 그 다음 -100℃까지 내리고, 다시 온도를 증가시켜 DSC 곡선의 꼭대기를 녹는점으로 하였다. 이때, 온도의 상승과 내림의 속도는 10℃/min 이고, 녹는점은 두 번째 온도가 상승하는 동안 얻어진다.
도 1에 실시 제조예 1의 중합체의 DSC 그래프를, 도 2에 비교 제조예 1의 중합체의 DSC 그래프를 각각 나타내었다.
5) 고분자의 고온 용융 피크 및 75℃ 이상에서의 용융 엔탈피의 총합 ΔH(75)
TA instrument사에서 제조한 시차 주사 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250)를 이용하여 SSA(Successive self-nucleation/annealing) 측정법을 이용하여 얻었다.
구체적으로, 첫 사이클에서 온도를 150℃까지 증가시킨 후, 1분 동안 그 온도에서 유지하고 그 다음 -100℃까지 냉각하였다. 두 번째 사이클에서 온도를 120℃까지 증가시킨 후, 30분 동안 그 온도에서 유지하고 그 다음 -100℃까지 냉각하였다. 세 번째 사이클에서 온도를 110℃까지 증가시킨 후, 30분 동안 그 온도에서 유지하고 그 다음 -100℃까지 냉각하였다. 이와 같이 10℃ 간격으로 온도를 올리고 -100℃까지 냉각하는 과정을 -60℃까지 반복하여 각 온도 구간별로 결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마지막 사이클에서 온도를 150℃까지 증가시키면서 열 용량을 특정하였다. 그 후, 75℃ 이상에서의 용융 엔탈피를 합하여 ΔH(75)를 구하였다.
도 3에 실시 제조예 1의 중합체의 SSA 그래프를, 도 4에 비교 제조예 1의 중합체의 SSA 그래프를 각각 나타내었다.
6) 경도 (shore A)
TECLOCK사의 GC610 STAND for Durometer와 Mitutoyo사의 쇼어 경도계 Type A를 이용하여 ASTM D2240 기준에 따라 경도를 측정하였다.
7) 중합체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
상기 실시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 내지 3의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각각 압출하여 펠렛 상으로 제조한 후 ASTM D638(50 mm/min)에 준하여 파산시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측정하였다.
밀도
(g/mL)
MI
(g/10min)
Mw
(g/mol)
MWD DSC SSA
Tm
(℃)
고온 용융 피크 유무 ΔH(75)
(J/g)
실시 제조예 1 0.862 1.20 106,000 2.01 32.1 있음 1.04
실시 제조예 2 0.866 4.39 69,070 2.07 33.0 있음 1.61
실시 제조예 3 0.872 1.22 99,068 2.05 45.9 있음 1.11
실시 제조예 4 0.866 3.30 70,000 2.11 37.8 있음 1.05
실시 제조예 5 0.865 5.10 75,388 2.09 37.2 있음 1.12
비교 제조예 1 0.861 1.32 105,000 1.98 39.7 없음 0
비교 제조예 2 0.861 1.12 102,000 2.11 28.6 있음 0.71
비교 제조예 3 0.862 1.20 91,419 2.18 28.5 있음 0.56
비교 제조예 4 0.862 1.23 100,423 2.185 29.9 있음 0.61
비교 제조예 5 0.869 1.20 92,000 2.04 49.3 없음 0
비교 제조예 6 0.865 3.40 71,000 2.04 43.8 없음 0
비교 제조예 7 0.868 5.10 76,735 2.14 44.2 없음 0.48
추가 비교 제조예 8
밀도
(g/mL)
MI
(g/10min)
MWD DSC SSA 인장강도 인열강도 경도
(Shore A)
Tm
(℃)
ΔH(75)
(J/g)
실시 제조예 1 0.862 1.20 2.01 32.1 1.04 2.2 29.5 55.0
비교 제조예 1 0.861 1.32 1.98 39.7 0 2.1 25.6 56.7
비교 제조예 2 0.861 1.12 2.11 28.6 0.71 1.6 22.4 52.9
비교 제조예 3 0.862 1.20 2.18 28.5 0.56 1.3 16.7 51.6
동등한 수준의 밀도와 MI를 갖는 실시 제조예 1의 올레핀계 중합체와 비교 제조예 1의 올레핀계 중합체을 비교했을 때, DSC로 측정한 도 1과 도 2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유사한 그래프 형태를 보여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으나, SSA로 측정한 도 3과 도 4에서는 75℃ 이상의 고온 영역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 제조예 1은 75℃ 이상에서 피크가 나타나는 반면 비교 제조예는 나타나지 않는다. 비교 제조예 2와 비교 제조예 3은 해당 영역에서 피크가 있긴 하지만 그 크기가 실시 제조예 대비 작았다.이와 같은 SSA로 측정한 고온 용융 피크의 차이로 인해 실시예 1은 ΔH(75)가 1.0 J/g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는 ΔH(75)가 1.0 J/g 미만의 값을 나타내거나 해당 영역의 피크가 없었다.
표 3을 통하여, 동등한 수준의 밀도, MI를 갖는 실시 제조예 1과 비교 제조예 1, 2, 및 3의 기계적 강도를 비교할 수 있다. 실시 제조예 1은 고온에서 용융되는 중합체가 도입되어 기계적 강성이 증가하여 비교예 1 내지 3 대비 인장 강도와 인열 강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 제조예 1 내지 5는 수소 기체를 투입하며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로서, 고결정성 영역이 도입되어 고온 용융 피크를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ΔH(75)가 1.0 J/g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기계적 강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비교 제조예 2 및 비교 제조예 4와의 비교를 통하여 중합시 수소 기체의 투입 여부 및 그 투입량에 따라 ΔH(75)가 1.0 J/g 이상의 값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달라지고, 또한 기계적 강성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의 제조
상기 실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올레핀 공중합체 20 중량부에, 용융지수(230℃, 2.16kg)가 30 g/10 min인 고결정성 임팩트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CB5230, 대한유화사제) 60 중량부 및 탈크(KCNAP-400™, 코츠사)(평균입경(D50)=11.0 ㎛)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산화방지제로서 AO1010(Irganox 1010, Ciba Specialty Chemicals) 0.1 중량부,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A0168) 0.1 중량부, 및 칼슘스테아레이트(Ca-st) 0.3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여 펠릿상의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컴파운드(compound)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이축 압출기는 직경이 25Φ, 직경과 길이의 비가 40이고, 배럴(barrel) 온도 200℃ 내지 230℃, 스크류 회전 속도 250 rpm, 압출량 25 kr/hr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의 제조
상기 실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올레핀 공중합체를 대신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5는 폴리프로필렌의 종류, 및 올레핀 공중합체와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을 달리하였다.
하기 표 4에서 CB5290으로 나타낸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230℃, 2.16kg)가 90 g/10 min인 고결정성 임팩트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CB5290, 대한유화사제)이다.
비교예 1 내지 7: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의 제조
상기 실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올레핀 공중합체를 대신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예 7은 폴리프로필렌의 종류, 및 올레핀 공중합체와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을 달리하였다.
하기 표 4에서 CB5290으로 나타낸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230℃, 2.16kg)가 90 g/10 min인 고결정성 임팩트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CB5290, 대한유화사제)이다.
올레핀계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배합비율
올레핀계 중합체
(중량%)
PP
(중량%)
탈크
(중량%)
실시예 1 실시 제조예 1 CB5230 20 60 20
실시예 2 실시 제조예 3 CB5230 20 60 20
실시예 3 실시 제조예 4 CB5230 20 60 20
실시예 4 실시 제조예 5 CB5230 20 60 20
실시예 5 실시 제조예 3 CB5290 30 50 20
비교예 1 비교 제조예 1 CB5230 20 60 20
비교예 2 비교 제조예 2 CB5230 20 60 20
비교예 3 비교 제조예 3 CB5230 20 60 20
비교예 4 비교 제조예 5 CB5230 20 60 20
비교예 5 비교 제조예 6 CB5230 20 60 20
비교예 6 비교 제조예 7 CB5230 20 60 20
비교예 7 비교 제조예 5 CB5290 30 50 20
실험예 2 :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를 사출기를 이용하여 230℃의 온도에서 사출성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고, 항온 항습실에서 1일간 방치한 후, 중합체의 비중, 고분자의 용융지수,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굴곡 탄성률, 저온 및 상온 충격 강도, 및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제작된 시편의 물성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1) 비중 (Specific gravity)
ASTM D792에 따라 측정하였다.
2) 고분자의 용융지수(Melt Index, MI)
고분자의 용융지수(Melt Index, MI)는 ASTM D-1238 (조건 E, 230℃, 2.16 Kg 하중) 로 측정하였다.
3) 인장강도, 및 굴곡 강도(Flexural strength)
INSTRON 3365 장치를 이용하여 ASTM D790에 따라 측정하였다.
4) 저온 및 상온 충격 강도
ASTM D256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상온 충격 강도는 상온(23℃) 조건하에서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고, 저온 충격 강도는 저온 챔버(-30℃)에서 12시간 이상 방치 후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비중 MI
(g/10min)
인장강도 굴곡강도 저온충격강도 상온충격강도
실시예 1 1.033 14.3 211 341 4.7 42.1
비교예 1 1.041 14.6 211 336 4.7 43.9
비교예 2 1.030 13.9 206 334 4.8 42.5
비교예 3 1.038 13.9 205 327 4.7 40.9
실시예 2 1.037 14.6 219 344 3.6 34.5
비교예 4 1.03 15.0 216 340 3.8 37.3
실시예 3 1.032 17.0 239 336 3.8 34.8
비교예 5 1.032 17.4 238 334 3.8 34.5
실시예 4 1.036 17.7 217 336 4.3 32.9
비교예 6 1.031 17.8 217 333 4.4 33.1
실시예 5 1.031 16.2 171 246 8.4 53.7
비교예 7 1.033 16.7 168 241 9.0 52.8
표 5를 참조하면, 동등한 수준의 밀도 및 MI 값을 갖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들을 비교했을 때, 실시예의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는 비교예의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에 비해 유사한 수준의 저온충격강도 및 상온충격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는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는 고결정성 영역이 도입되어 높은 기계적 강성을 나타내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의 기계적 강성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A) 폴리프로필렌, 및
    (B) 하기 (1) 내지 (3)의 요건을 만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1) 용융지수(Melt Index, MI, 190℃, 2.16 kg 하중 조건)가 0.1 g/10분 내지 10.0 g/10분이고,
    (2) 시차 주사 열량계(DSC) 측정 시 용융 온도가 20℃ 내지 70℃이고,
    (3) 시차 주사 열량계 정밀 측정법(SSA) 측정시 75℃ 내지 150℃에서 고온 용융 피크가 확인되며, 해당 영역의 용융 엔탈피의 총합 ΔH(75)가 1.0 J/g 이상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프로필렌은 230℃ 및 2.16 kg 하중에서 측정된 용융지수가 0.5 g/10min 내지 100 g/10min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프로필렌은 230℃ 및 2.16 kg 하중에서 측정된 용융지수가 0.5 g/10min 내지 100 g/10min인 임펙트 코폴리머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올레핀계 중합체는 추가로 (4) 밀도(d)가 0.850 g/cc 내지 0.890 g/cc인 요건을 만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올레핀계 중합체는 추가로 (5)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g/mol 내지 500,000 g/mol인 요건을 만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올레핀계 중합체는 추가로 (6) 분자량 분포(MWD, molecular weight density)가 0.1 내지 6.0인 요건을 만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올레핀계 중합체는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2의 알파-올레핀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올레핀 공단량체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아이토센, 노보넨, 노보나디엔, 에틸리덴노보덴, 페닐노보덴, 비닐노보덴, 디사이클로펜타디엔, 1,4-부타디엔, 1,5-펜타디엔, 1,6-헥사디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3-클로로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올레핀계 중합체는 에틸렌과, 1-헥센의 공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올레핀계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수소 기체를 투입하며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3278-appb-I0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아릴, 실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또는 하이드로카르빌로 치환된 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상기 두개의 R1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알킬리딘 라디칼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아릴; 알콕시; 아릴 옥시; 아미도 라디칼이며, 상기 R2 중에서 2개 이상은 서로 연결되어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를 포함하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이고, 상기 치환기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상기 치환기 중에서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서로 연결되어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M은 4족 전이금속이며;
    Q1 및 Q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알케닐; 아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아미도; 아릴 아미도;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리덴 라디칼이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올레핀계 중합체는 상기 올레핀 중합용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 수소 기체를 투입하여 연속 교반식 반응기(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를 이용한 연속 용액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는 상기 (B) 올레핀계 중합체를 5 중량%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는 무기충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는 (A)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함량으로 상기 무기충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충진제는 평균 입경(D50)이 1 ㎛ 내지 20 ㎛인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PCT/KR2020/013278 2019-09-30 2020-09-28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WO202106648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33032.5A CN113795524B (zh) 2019-09-30 2020-09-28 聚丙烯基复合材料
US17/608,874 US20220315747A1 (en) 2019-09-30 2020-09-28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EP20871273.7A EP3950824A4 (en) 2019-09-30 2020-09-28 POLYPROPYLENE BASED COMPOSITE MATERIAL
JP2022504687A JP7462731B2 (ja) 2019-09-30 2020-09-28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21151 2019-09-30
KR10-2019-0121151 2019-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488A1 true WO2021066488A1 (ko) 2021-04-08

Family

ID=7533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278 WO2021066488A1 (ko) 2019-09-30 2020-09-28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15747A1 (ko)
EP (1) EP3950824A4 (ko)
JP (1) JP7462731B2 (ko)
KR (1) KR102546716B1 (ko)
CN (1) CN113795524B (ko)
WO (1) WO202106648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5465B1 (en) * 1991-02-22 1997-04-16 Exxon Chemical Patents Inc. Heat sealable blend of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or plastomer with polypropylene based polymers and heat sealable film and articles made thereof
US5998039A (en) * 1994-12-06 1999-12-07 Mitsui Chemicals, Inc.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KR20040061926A (ko) * 2002-12-31 2004-07-07 대림산업 주식회사 폴리올레핀의 중합방법
KR20180051223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KR20190064337A (ko) * 2017-11-30 2019-06-1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충격강도가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7649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2B2 (ja) * 1986-07-11 1995-01-18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エチレン系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45731B2 (ja) * 1986-07-28 1994-06-15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エチ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JP3516783B2 (ja) * 1995-09-26 2004-04-05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US6777497B2 (en) * 2001-03-07 2004-08-1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injection molded article
KR20080041185A (ko) * 2005-06-24 2008-05-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충전된 tpo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자동차 물품 및 이의제조 방법
KR101126487B1 (ko) 2005-06-30 2012-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방법
US7807762B2 (en) * 2005-12-30 2010-10-05 Lg Chem, Ltd. Catalyst composition comprising Group 4 transition metal complexes and method for preparing polyolefins using the same
CA2938740C (en) * 2014-02-11 2022-06-21 Univation Technologies, Llc Producing polyolefin products
WO2016153275A1 (ko) * 2015-03-26 2016-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레핀계 중합체
KR101967775B1 (ko) * 2015-12-08 2019-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KR102086056B1 (ko) * 2016-09-23 2020-03-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JP2019116570A (ja) * 2017-12-27 2019-07-18 三菱ケミカルインフラテック株式会社 蓄熱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US20220185920A1 (en) * 2019-08-28 2022-06-16 Lg Chem, Ltd.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5465B1 (en) * 1991-02-22 1997-04-16 Exxon Chemical Patents Inc. Heat sealable blend of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or plastomer with polypropylene based polymers and heat sealable film and articles made thereof
US5998039A (en) * 1994-12-06 1999-12-07 Mitsui Chemicals, Inc.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KR20040061926A (ko) * 2002-12-31 2004-07-07 대림산업 주식회사 폴리올레핀의 중합방법
KR20180051223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KR20190064337A (ko) * 2017-11-30 2019-06-1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충격강도가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76499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 POLYM. J., vol. 65, 2015, pages 13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62731B2 (ja) 2024-04-05
EP3950824A4 (en) 2022-08-24
CN113795524B (zh) 2023-10-03
CN113795524A (zh) 2021-12-14
KR20210038370A (ko) 2021-04-07
JP2022541941A (ja) 2022-09-28
EP3950824A1 (en) 2022-02-09
US20220315747A1 (en) 2022-10-06
KR102546716B1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5050A1 (ko) 올레핀계 중합체
WO2015046932A1 (ko) 올레핀계 중합체
WO2017188602A1 (ko) 혼성 담지 메탈로센 촉매 및 이를 이용한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WO2017099491A1 (ko) 올레핀계 중합체
WO2020171631A1 (ko) 올레핀계 중합체
WO2017188569A1 (ko) 혼성 담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한 고밀도 에틸렌계 중합체 및 제조방법
WO2019132475A1 (ko) 올레핀계 중합체
WO2018021656A1 (ko) 혼성 담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한 고가공성 고밀도 에틸렌계 중합체 및 제조방법
WO2021040139A1 (ko)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40425A1 (ko)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46930A1 (ko) 촉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9117443A1 (ko) 장기 내압 특성이 우수한 에틸렌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WO2018110915A1 (ko) 혼성 담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한 고가공성 고밀도 에틸렌계 중합체 및 제조방법
WO2019212308A1 (ko)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03261A1 (ko) 전이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WO2019093630A1 (ko)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제조방법
WO2019212304A1 (ko)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32471A1 (ko) 올레핀계 중합체
WO2020101373A1 (ko) 프로필렌 중합용 담지촉매 및 이를 이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제조방법
WO2021066490A1 (ko) 올레핀계 중합체
WO2021066486A1 (ko) 올레핀계 중합체
WO2021075788A1 (ko) 올레핀 중합용 혼성 촉매의 제조방법, 올레핀 중합용 혼성 촉매 및 올레핀계 중합체
WO2019234637A1 (en) Ethylene polymer mixtur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WO2016153275A1 (ko) 올레핀계 중합체
WO2020130719A1 (ko) 폴리올레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712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712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104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0468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