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66395A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66395A1
WO2021066395A1 PCT/KR2020/013020 KR2020013020W WO2021066395A1 WO 2021066395 A1 WO2021066395 A1 WO 2021066395A1 KR 2020013020 W KR2020013020 W KR 2020013020W WO 2021066395 A1 WO2021066395 A1 WO 20210663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parts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0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찬무
이상화
전지윤
이봉재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10663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66395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Definitions

  • polyester resins As engineering plastics, blends of polyester resins, polyester resins, and polycarbonate resins, respectively, exhibit useful properties and ar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clu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 the polyester resin has a problem in that the crystallization rate is slow, the mechanical strength is low, and the impact resistance is inferior.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metal bonding properties, impact resistance, and balance of properties thereof.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metal bonding properties,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ded article formed from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bout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resin including a polyester resin; About 15 to about 65 parts by weight of glass fibers; And about 0.5 to about 6 parts by weight of silica airgel, wherein the silica airgel is in the form of secondary particles formed by agglomeration of primary particles (single particles),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secondary particles measured by a particle size analyzer (D50) Is about 30 to about 90 ⁇ m, and a bulk density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895B is about 0.01 to about 0.07 g/cm 3 .
  • a particle size analyzer D50
  • the polyester resin may include one or mor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cyclohexylene terephthalate.
  • the polyester resin may include one or more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cyclohexylene terephthalate.
  • the silica aerogel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D50) of the primary particles measured by a particle size analyzer of about 10 to about 100 nm.
  • the weight ratio of the glass fiber and the silica airgel may be about 5:1 to about 60:1.
  •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a 1/8" thick specimen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of about 6 to about 15 kgf ⁇ cm/cm.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metal bonding strength measured according to ISO 19095 of about 27 to about 45 MPa.
  • thermoplastic resin (A) thermoplastic resin
  • the thermoplastic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polyester resin.
  • polyester resin alone or a blend of polyester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can be used.
  • the polyester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ester resin used in a conventional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an be used.
  • the polyester resin i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erephthalic acid (TPA), isophthalic acid (IPA), 1,2-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1,4-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 TPA terephthalic acid
  • IPA isophthalic acid
  • 1,2-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1,4-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 the polyester resin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polycyclohexylene terephthalate (PCT). ), combinations thereof, and the like can be used.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 PT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 PCT polycyclohexylene terephthalate
  • the polycarbonat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 polycarbonate resin used in a conventional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used.
  • a polycarbonate resin used in a conventional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used.
  • a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prepared by reacting diphenols (aromatic diol compounds) with a precursor such as phosgene, halogen formate, or carbonic acid diester can be used.
  • the diphenols include 4,4'-biphenol, 2,2-bis(4-hydroxyphenyl)propane, 2,4-bis(4-hydroxyphenyl)-2-methylbutane, 1 ,1-bis(4-hydroxyphenyl)cyclohexane, 2,2-bis(3-chloro-4-hydroxyphenyl)propane, 2,2-bis(3,5-dichloro-4-hydroxyphenyl) Propane, 2,2-bis(3-methyl-4-hydroxyphenyl)propane, 2,2-bis(3,5-dimethyl-4-hydroxyphenyl)propane, etc. may be exemplifi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 2,2-bis(4-hydroxyphenyl)propane 2,2-bis(3,5-dichloro-4-hydroxyphenyl)propane, 2,2-bis(3-methyl-4- Hydroxyphenyl) propane, 2,2-bis(3,5-dimethyl-4-hydroxyphenyl)propane or 1,1-bis(4-hydroxyphenyl)cyclohexane can be used, specifically, bisphenol- 2,2-bis(4-hydroxyphenyl)propane called A can be used.
  •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used having a branched chain, for example, about 0.05 to about 2 mol% of a trivalent or higher polyfunctional compound with respect to the total diphenols used for polymerization, specifically , A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prepared by adding a compound having a trivalent or higher phenol group may be used.
  •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homopolycarbonate resin, a copolycarbonate resin, or a blend thereof.
  •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replaced with an aromatic polyester-carbonate resin obtained by polymerization reaction in the presence of an ester precursor, such as a bifunctional carboxylic acid.
  • the polycarbonate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f about 20,000 to about 50,000 g/mol, for example, about 25,000 to about 40,000 g/mol.
  • M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have excellent impact resistance, fluidity (processability), and the like.
  • the thermoplastic resin (A) is about 70% by weight or more of the polyester resin (A1), for example, about 80% by weight or more, and about 30% by weight or less of the polycarbonate resin (A2), for example It may contain up to about 20% by weight. Within the above range,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have excellent impact resistance, metal bonding properties, and appearance properties.
  • the glass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iff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and a glass fiber used in a conventional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used.
  • the silica aerog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metal bonding properties and impact resistance of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 conventional silica aerogel having a form of secondary particles formed by agglomeration of primary particles (single particles) can be used,
  • the average particle size (D50) of the secondary particles measured by a particle size analyzer may be about 30 to about 90 ⁇ m, for example about 40 to about 70 ⁇ m, and
  • the bulk density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895B may be about 0.01 to about 0.07 g/cm 3 , for example, about 0.03 to about 0.07 g/cm 3 .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silica aerogel secondary particles is less than about 30 ⁇ m, there is a concern that the impac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and when it exceeds about 90 ⁇ m, the impact resistance and metal bonding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here is a risk of lowering the back.
  • the bulk density of the silica airgel is less than about 0.01 g/cm 3 , the processability and metal bonding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and when it exceeds about 0.07 g/cm 3 , the resistan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mpact property and the like may be deteriorated.
  • the silica airge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5 to about 6 parts by weight, for example, about 0.5 to about 5.5 parts by weight, based on about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 the content of the silica aerogel is less than about 0.5 parts by weight based on about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impact resistance and metal bonding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and when it exceeds about 6 parts by weight, the thermoplastic resi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impact resistance, metal bonding properties, and the like of the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 the weight ratio (B:C) of the glass fiber and the silica aerogel may be about 5: 1 to about 60:1, for example, about 5:1 to about 55:1.
  •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have excellent impact resistance, metal bonding properties, and the like.
  •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included in a conventional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the additives include impact modifiers, flame retardants, antioxidants, anti-drip agents, lubricants, release agents, nucleating agents, antistatic agents, stabilizers, pigments, dyes, mixtures thereof,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ent may be about 0.001 to about 40 parts by weight, for example, about 0.1 to about 10 parts by weight, based on about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pellet melt-extruded at about 250 to about 300° C., for example, at about 260 to about 290° C., by mixing the constituents and using a conventional twin screw extruder. I can.
  •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s a crack occurrence drop height of about 35 to about 70 cm in a 2.0 mm thick specimen measured using a 500 g weight dart based on a DuPont drop measurement method, eg For example, it may be about 35 to about 65 cm.
  •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s a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a 1/8" thick specimen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from about 6 to about 15 kgf ⁇ cm/cm, for example, from about 7 to about 14 kgf ⁇ cm May be /cm.
  •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have a metal bonding force measured according to ISO 19095 of about 27 to about 45 MPa, for example, about 27 to about 40 MPa.
  • the molded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rom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pellets, and the manufactured pellets may be manufactured into various molded products (products) through various molding methods such as injection molding, extrusion molding, vacuum molding, and casting molding. Such a molding method is well know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ince the molded article is excellent in metal bonding properties, impact resistance, and balance of properties thereof, it is useful as a material for mobile devices and tablet devices.
  • thermoplastic resin (A) thermoplastic resin
  • A2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nufacturer: SK Chemicals, product name: SKYPET 1100)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 ⁇ ] of about 0.8 dl/g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857 was used.
  • Glass fiber manufactured by Nittobo, product name: CSG 3PA-830 having a cross-sectional size of about 28 ⁇ m ⁇ about 7 ⁇ m and a length of about 3.0 mm before processing was used.
  •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unit: kgf ⁇ cm/cm): According to ASTM D256,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a 1/8" thick specimen was measured.
  • Metal bonding strength (unit: MPa): According to ISO 19095, after bonding the aluminum-based metal specimen and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specimen, the bonding strength was measured.
  • the metal specimen used a metal specimen with TRI surface treatment of Geo National Co., Ltd. was used to facilitate bonding with the resin composition specimen.
  • the metal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specimens used were 1.2 cm ⁇ 4 cm ⁇ 0.3 cm in size, and the bonding strength was measured by attaching a cross section of 1.2 cm ⁇ 0.3 cm to each other.
  • Example One 2 3 4 5 6 (A) (% by weight) (A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A2) - - - - - - (A3) - - - - - - (B) (parts by weight) 25 25 25 40 40 40 (C1) (parts by weight) One 2.5 5 One 2.5 5 (C2) (parts by weight) - - - - - - (C3) (parts by weight) - - - - - - - - -
  • Example 7 8 9 10 11 12 13 (A) (% by weight) (A1) 100 100 100 85 75 - 80 (A2) - - - - - 100 5 (A3) - - - 15 25 - 15 (B) (parts by weight) 55 55 55 40 40 40 40 (C1) (parts by weight) One 2.5 5 2.5 2.5 2.5 2.5 2.5 (C2) (parts by weight) - - - - - - - - (C3) (parts by weight) - - - - - - - - - - Cotton impact strength (cm) 47 53 60 41 43 58 51 Notch Izod impact strength (kgf ⁇ cm/cm) 11 13 14 9 10 13 12 Metal bonding strength (MPa) 33 34 34 34 34 37 38 3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약 100 중량부; 유리 섬유 약 15 내지 약 65 중량부; 및 실리카 에어로젤 약 0.5 내지 약 6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1차 입자(단일 입자)가 뭉쳐서 형성한 2차 입자의 형태이고,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30 내지 약 90 ㎛이며, ASTM D1895B에 의거하여 측정한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약 0.01 내지 약 0.07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블렌드(blend) 등은 각각 유용한 특성을 나타내어, 전기 전자 제품의 내외장재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다만,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결정화 속도가 느리고, 기계적 강도가 낮으며, 내충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무기 필러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기계적 강도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려는 시도를 많이 하였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등의 무기 필러로 강화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소재의 경우, 자동차 부품 또는 휴대폰의 하우징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소재도 내충격성 향상에 한계가 있으며, 금속 접합성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987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약 100 중량부; 유리 섬유 약 15 내지 약 65 중량부; 및 실리카 에어로젤 약 0.5 내지 약 6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1차 입자(단일 입자)가 뭉쳐서 형성한 2차 입자의 형태이고,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30 내지 약 90 ㎛이며, ASTM D1895B에 의거하여 측정한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약 0.01 내지 약 0.07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시클로헥실렌테레프탈레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테레프탈레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약 70 중량% 이상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약 30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10 내지 약 100 nm일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 및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의 중량비는 약 5 : 1 내지 약 60 : 1일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5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가 약 35 내지 약 70 cm일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약 6 내지 약 15 kgf·cm/cm일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9095에 의거하여 측정한 금속 접합력이 약 27 내지 약 45 MPa일 수 있다.
10.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수지; (B) 유리 섬유; 및 (C) 실리카 에어로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단독,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다.
(A1)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1,2-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7-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8-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3-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디메틸-1,2-나프탈레이트, 디메틸-1,5-나프탈레이트, 디메틸-1,7-나프탈레이트, 디메틸-1,7-나프탈레이트, 디메틸-1,8-나프탈레이트, 디메틸-2,3-나프탈레이트, 디메틸-2,6-나프탈레이트, 디메틸-2,7-나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레이트(aromatic dicarboxylate) 등과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환형 알킬렌 디올 등을 중축합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시클로헥실렌테레프탈레이트(PCT),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테레프탈레이트,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약 0.5 내지 약 1.5 dl/g, 예를 들면, 약 0.7 내지 약 1.3 dl/g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A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약 0.05 내지 약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20,000 내지 약 50,000 g/mol, 예를 들면, 약 25,000 내지 약 4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1) 약 7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약 80 중량% 이상,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2) 약 30 중량% 이하, 예를 들면 약 20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금속 접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유리 섬유
본 발명의 유리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등의 기계적 물성, 내충격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리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섬유 형태일 수 있고,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및/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섬유형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기계적 물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원형 단면의 유리 섬유는 단면 직경이 약 5 내지 약 20 ㎛, 가공 전 길이가 약 2 내지 약 20 mm일 수 있고, 상기 직사각형 단면의 유리 섬유는 단면의 종횡비(단면의 장경/단면의 단경)가 약 1.5 내지 약 10이고, 단경이 약 2 내지 약 10 ㎛일 수 있고, 가공 전 길이가 약 2 내지 약 20 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가공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통상의 표면 처리제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5 내지 약 65 중량부, 예를 들면 약 25 내지 약 5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약 6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외관 특성,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실리카 에어로젤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젤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1차 입자(단일 입자)가 뭉쳐서 형성한 2차 입자의 형태를 갖는 통상의 실리카 에어로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입도분석기(Beckman Coulter社,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 LS I3 320 장비)로 측정한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30 내지 약 90 ㎛, 예를 들면 약 40 내지 약 70 ㎛일 수 있고, ASTM D1895B에 의거하여 측정한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약 0.01 내지 약 0.07 g/cm3, 예를 들면 약 0.03 내지 약 0.07 g/cm3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약 30 ㎛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약 90 ㎛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의 부피 밀도가 약 0.01 g/cm3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약 0.07 g/cm3을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입도분석기(Beckman Coulter社,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 LS I3 320 장비)로 측정한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10 내지 약 100 nm, 예를 들면 약 20 내지 약 80 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금속 접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5 내지 약 6 중량부, 예를 들면 약 0.5 내지 약 5.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약 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 및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의 중량비(B:C)는 약 5 : 1 내지 약 60 : 1, 예를 들면 약 5 : 1 내지 약 55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금속 접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충격보강제, 난연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01 내지 약 40 중량부, 예를 들면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약 250 내지 약 300℃, 예를 들면 약 260 내지 약 29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5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크랙 발생 낙하 높이가 약 35 내지 약 70 cm, 예를 들면 약 35 내지 약 65 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약 6 내지 약 15 kgf·cm/cm, 예를 들면 약 7 내지 약 14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9095에 의거하여 측정한 금속 접합력이 약 27 내지 약 45 MPa, 예를 들면 약 27 내지 약 40 MPa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모바일 디바이스, 테블릿 디바이스용 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열가소성 수지
(A1)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약 1.10 dl/g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제조사: Shinkong社, 제품명: Shinite K006)를 사용하였다.
(A2)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약 0.8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제조사: SK케미칼, 제품명: SKYPET 1100)를 사용하였다.
(A3)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량평균분자량: 약 25,000 g/mol)를 사용하였다.
(B) 유리 섬유
단면 크기가 약 28 ㎛ × 약 7 ㎛이고, 가공 전 길이가 약 3.0 mm인 직사각형 단면의 유리 섬유(제조사: Nittobo社, 제품명: CSG 3PA-830)를 사용하였다.
(C) 실리카 에어로젤
(C1)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30 nm이고,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40 ㎛이며,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약 0.05 g/cm3인 실리카 에어로젤(제조사: JIOS Aerogel社, 제품명: JIOS AeroVa)을 사용하였다.
(C2)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30 nm이고,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20 ㎛이며,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약 0.03 g/cm3인 실리카 에어로젤(제조사: JIOS Aerogel社)을 사용하였다.
(C3)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30 nm이고,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100 ㎛이며,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약 0.08 g/cm3인 실리카 에어로젤(제조사: JIOS Aerogel社)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12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2, 3 및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약 26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44,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약 10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약 270℃, 금형 온도: 약 140℃)에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2, 3 및 4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면 충격강도(단위: cm):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5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2.0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를 측정하였다.
(2)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3) 금속 접합력(단위: MPa): ISO 19095에 의거하여, 알루미늄계 금속 시편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을 접합한 후 접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금속 시편은 수지 조성물 시편과 접합이 용이하도록 Geo Nation社의 TRI 표면처리가 되어있는 금속 시편을 사용하였다. 또한, 사용된 금속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은 1.2 cm × 4 cm × 0.3 cm 크기이고, 1.2 cm × 0.3 cm 단면을 서로 붙여서 접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A)(중량%) (A1) 100 100 100 100 100 100
(A2) - - - - - -
(A3) - - - - - -
(B) (중량부) 25 25 25 40 40 40
(C1) (중량부) 1 2.5 5 1 2.5 5
(C2) (중량부) - - - - - -
(C3) (중량부) - - - - - -
면 충격강도 (cm) 38 45 36 46 53 44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8 10 7 10 13 10
금속 접합력 (MPa) 29 30 27 32 34 31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실시예
7 8 9 10 11 12 13
(A)(중량%) (A1) 100 100 100 85 75 - 80
(A2) - - - - - 100 5
(A3) - - - 15 25 - 15
(B) (중량부) 55 55 55 40 40 40 40
(C1) (중량부) 1 2.5 5 2.5 2.5 2.5 2.5
(C2) (중량부) - - - - - - -
(C3) (중량부) - - - - - - -
면 충격강도 (cm) 47 53 60 41 43 58 51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11 13 14 9 10 13 12
금속 접합력 (MPa) 33 34 34 34 37 38 39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비교예
1 2 3 4 5 6
(A)(중량%) (A1) 100 100 85 85 100 100
(A2) - - - - -
(A3) - - 15 15 - -
(B) (중량부) 10 70 10 70 40 40
(C1) (중량부) 2.5 2.5 2.5 2.5 0.1 6.5
(C2) (중량부) - - - - - -
(C3) (중량부) - - - - - -
면 충격강도 (cm) 30 72 33 74 40 31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5 16 6 16 9 9
금속 접합력 (MPa) 24 25 26 26 24 30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비교예
7 8 9 10 11 12
(A)(중량%) (A1) 85 85 100 100 85 85
(A2) - - - - - -
(A3) 15 15 - - 15 15
(B) (중량부) 40 40 40 40 40 40
(C1) (중량부) 0.1 6.5 - - - -
(C2) (중량부) - - 2.5 - 2.5 -
(C3) (중량부) - - - 2.5 - 2.5
면 충격강도 (cm) 37 33 29 42 30 31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7 6 6 9 6 5
금속 접합력 (MPa) 23 32 33 23 31 25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유리 섬유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1 및 3의 경우,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유리 섬유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2 및 4의 경우,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실리카 에어로젤을 소량 적용한 비교예 5 및 7의 경우, 금속 접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실리카 에어로젤을 과량 적용한 비교예 6 및 8의 경우, 금속 접합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젤 (C1) 대신에,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인 실리카 에어로젤 (C2)를 적용한 비교예 9 및 11의 경우,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실리카 에어로젤 (C3)를 적용한 비교예 10 및 12의 경우, 금속 접합성, 또는 금속 접합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약 100 중량부;
    유리 섬유 약 15 내지 약 65 중량부; 및
    실리카 에어로젤 약 0.5 내지 약 6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1차 입자(단일 입자)가 뭉쳐서 형성한 2차 입자의 형태이고,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30 내지 약 90 ㎛이며, ASTM D1895B에 의거하여 측정한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약 0.01 내지 약 0.07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시클로헥실렌테레프탈레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데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테레프탈레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약 70 중량% 이상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약 3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약 10 내지 약 1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 및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의 중량비는 약 5 : 1 내지 약 60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5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가 약 35 내지 약 7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약 6 내지 약 15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9095에 의거하여 측정한 금속 접합력이 약 27 내지 약 45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PCT/KR2020/013020 2019-09-30 2020-09-2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10663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93A KR102393506B1 (ko) 2019-09-30 2019-09-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19-0120593 2019-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395A1 true WO2021066395A1 (ko) 2021-04-08

Family

ID=7533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020 WO2021066395A1 (ko) 2019-09-30 2020-09-2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3506B1 (ko)
WO (1) WO202106639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554A (ko) * 2013-09-26 2015-04-03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60122875A (ko) * 2015-04-14 2016-10-25 주식회사 케이씨씨 에어로젤 단열시트의 제조방법
KR20170038603A (ko) * 2015-09-30 2017-04-07 롯데첨단소재(주)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80014480A (ko) * 2016-08-01 2018-02-09 정도연 에어로겔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35153A (ko) * 2016-09-28 2018-04-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퀴논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50B1 (ko) * 2010-03-09 2013-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554A (ko) * 2013-09-26 2015-04-03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60122875A (ko) * 2015-04-14 2016-10-25 주식회사 케이씨씨 에어로젤 단열시트의 제조방법
KR20170038603A (ko) * 2015-09-30 2017-04-07 롯데첨단소재(주)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80014480A (ko) * 2016-08-01 2018-02-09 정도연 에어로겔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35153A (ko) * 2016-09-28 2018-04-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퀴논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05A (ko) 2021-04-07
KR102393506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75572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0067695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3066003A1 (ko) 대전방지 특성을 갖는 전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컴파운드 및 물품
WO2017188524A1 (ko) 대전방지용 탄소 복합재,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CN102070884B (zh) 一种阻燃玻纤增强pet/pbt合金及其制备方法
KR10094258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7057903A1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1005076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2145732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6108539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1066395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011155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0197132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1310041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3054909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1060665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9168325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1085867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2145756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4047618A2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9107919A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5046678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255659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0242228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2045616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71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71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