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17762A1 -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17762A1
WO2020017762A1 PCT/KR2019/007116 KR2019007116W WO2020017762A1 WO 2020017762 A1 WO2020017762 A1 WO 2020017762A1 KR 2019007116 W KR2019007116 W KR 2019007116W WO 2020017762 A1 WO2020017762 A1 WO 20200177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gel matrix
porous particles
composition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1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용의
정민영
이창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스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스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스컨
Priority to CN201980047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423797B/zh
Priority to US17/252,984 priority patent/US11331402B2/en
Publication of WO20200177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177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8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ir treatin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perfume composition having a high fragrance loading rate.
  • the solid fragrance which can delay or stop aging in order to achieve the desired fragrance at the time of steering, and can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supported fragrance while improving the retention of fragrance and the persistence of fragrance. It relates to a composition.
  • Fragrances can change the emotions of animals, including humans, and can be used in aromatherapy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mind and body, accompanied by a sense of security, pleasure, tension, arousal and meditation.
  • Aromas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incense, scented candles, diffusers, etc.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specialty stores that commercialize them, such as processing containers or fragrances into the shape of animals, food, and characters, are increasing. It is a trend.
  • the fragrance composition is a method of replenishing a bottle of aromatic substances, such as oil, using a diffuser, spraying or dripping aromatic substances on gypsum, or dropping or mixing a small amount of aromatic substances on a solidified support such as candles. Releases fragrance into the air.
  • the method of replenishing the bottle with oil may cause loss of oil due to impact and breakage of the bottle, and the use of gypsum may cause powder blowing, and the scented candles need to be ignited, causing fire. have.
  • they have a problem in that the degree of volatilization of the fragrance components are different, so that the initial odor does not last long and can be easily changed by the volatilization of the highly volatile fragrance component.
  • a method of spraying or dropping an aromatic substance such as a solid fragrance composed of gypsum only has a low content of the aromatic substance, which quickly dissipates the fragrance, resulting in inconvenient use of spraying or dropping repeatedly.
  • aging means a process in which the fragrance of the mixed spices is constantly changing, and it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can not be stopped artificially, although it varies from flavor to flavor, it takes about 1 to 3 months on average. That is, it takes a lot of time to steer the desired aroma.
  • the gel fragrance and the solid fragrance of the related art have a problem that the supporting ratio of the fragrance is low, the initial strength of the fragrance is weak, and the use time is extremely short.
  • Attempts have been made to microencapsulate or incense the porous materials by coating liquid aromatic materials with polymers in order to improve the control and persistence of the fragrance release rate, rate and persistence, and to facilitate the release of fragrance in various environments.
  •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commercialization stage is not met.
  • It provides a solid perfume composition
  • a solid perfume composition comprising 0.001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superabsorbent res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gel matrix and the porous particles.
  • micro-sized pores are formed by the gel matrix, and macropores larger than the micro-sized pores are form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 the weight ratio of the gel matrix and the porous particles may be 1: 0.1 to 1:30.
  • the porous particles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zeolite, activated carbon and acrylic resin particles.
  • the gel matrix may compris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ar, gypsum, silicone rubber, carrageenan, gellan gum and gelatin.
  • the super absorbent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ic acid-starch graft copolymer, polyacrylic acid-polyvinyl alcohol graft copolymer, CMC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 PVA (polyvinyl alcohol) polym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 the weight ratio of the gel matrix and the porous particles may be 1: 0.1 to 1: 3.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rous particles may be 1 to 100um.
  • the nanopores of the porous particles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 to 100nm.
  • the micro-sized pores formed by the gel matrix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0.1 to 100um.
  • the macropores form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50 to 500um.
  • perfume may be contained in the voids.
  •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perfume composition comprising 0.001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el matrix and the porous particles.
  • the supporting ratio of the perfume according to Equation 1 may be 100 to 500%.
  • % Supported (Maximum Supported Flavor Weight (g) / Supported Weight (g)) x 100.
  • the solid fragranc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pporting ratio of the fragrance, and to selectively support and maintain the fragrance that can be obtained during the aging process of the fragrance fragrance, and maintain the fragrance at the beginning of the support. It can be made and the odor persistence of a certain intens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human hazards by improving the powder blowing phenomenon, and to improve the high temperature stability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mposition.
  • Figure 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icture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 FIG. 3 is a photograph of observation of the reflection mode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 1.
  • the fragrance can control the mood and emotion of animals and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from daily necessities to medical treatment.
  • the flavor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volatile component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erfume.
  •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volatile components during long time release is different, there is a tendency to smell different from the initial.
  • there is a phenomenon degradation, aging
  • a composition capable of increasing the supporting ratio of the fragrance and emitting a fragrance at a constant strength there is a composition capable of increasing the supporting ratio of the fragrance and emitting a fragrance at a constant strength.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 a composi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in addition, to solve the disadvantages such as powder (powder),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to provide a solid fragrance composition that can freely form the shape when processing the product.
  • matrix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nchor” or “binder”, for example as a material with a fibrous structure, present in the space between particles. It may mean a material capable of forming voids.
  • fragmen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romatic substan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il, a hydrophilic solu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 SAP superabsorbent polymer
  • SAM Super Absorbency Material
  • AGM Absorbent Gel Material
  • the expression “to” is used as an expression including a corresponding numerical valu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expression “1 to 2” means not only including 1 and 2, but also including all values between 1 and 2.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ous particle having a plurality of nano pores, a gel matrix, a super absorbent resin and a perfume contained in the nano pores of the porous particles,
  • micro-sized voids are formed by the gel matrix, and macropores larger than the micro-sized pores are form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 the fragrance When supporting fragrances using only porous particles or microparticles, the fragrance may be completely released after the fragrance is emitted, which may cause disadvantages such as human hazards. Therefore, the gel matrix may be used to improve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s and freely process shapes. And a super absorbent polymer was used to further improve the loading rate.
  • the weight ratio of the porous particles and the gel matrix may affect the loading rate and the molding stability. Specifically,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gel matrix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content ratio of the porous particles, which is the main substance on which the fragrance is supported, may be lowered, and the supporting ratio may be lowered. Since it is difficult to bond, powder blowing may occur. 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ight ratio of the gel matrix and the porous particles is 1: 0.1 to 1:30, for example 1: 0.4 to 1:30, for example 1: 0.4 to 1: 3, for example For example 1: 3 to 1:30, for example 1: 4 to 1:20, for example 1: 3 to 1:19, for example 1: 9.
  • 0.001 to 20 parts by weight for example 0.1 to 20 parts by weight, for example 0.5 to 10 parts by weight.
  • the porous particles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zeolite, activated carbon and acrylic resin particles.
  • the acrylic resin particles may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 the porous particles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humans and the environment, and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arriers. Porous particles have a very large surface area by the formation of nano pores and form a three-dimensional skeleton structure, so that the fragrance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modification of fragrance.
  • the porous particles as a main component to support the fragrance it may play a role of preventing the modification of the fragrance by slowly releasing the supported fragrance.
  • the average diameter of the nanopores of the particles for effectively supporting, preventing emission and deodorant denaturation may be, for example, 1 to 100 nm, for example, 10 to 100 nm, for example, 20 to 50 nm,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iameter).
  • the porosity of the porous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70% or more, for example 80% or more, for example 90% or more, in order to improve the loading rate.
  • the supporting ratio of such porous particles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for example, may have a supporting ratio of 100 to 500%, for example 200 to 500%.
  • the carrier weight refers to the sum of the weights of the porous particles, the gel matrix, and the super absorbent polymer.
  • the gel matrix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ar, gypsum, silicon rubber, carrageenan, gellan gum and gelatin.
  • the gel matrix is a substance which forms voids of a certain size as water evaporates and forms a network structure, and may be replaced or added as long as i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 the weight ratio of the gel matrix and the porous particles may be 1: 0.1 to 1: 3, for example 1: 0.1 to 1: 2. .
  • the gel matrix can, for example, have a fibrous structure, serves to stably bond porous particles, and has a feature in that a plurality of micro-sized pores are formed between the structures intertwined with the particles.
  • the micro-size pore average diameter of the gel matrix may be, for example, 0.1 to 100 ⁇ m, for example, 0.5 to 50 ⁇ m, for example, 1 to 20 ⁇ m, and having such pore size, fixation and flavoring of porous particles It can serve as a supporting and emitting channel of.
  • the micro-sized pores formed by the gel matrix mean micropores formed by the gel matrix material in the process of binding the porous particles.
  • the super absorbent polymer may be classified into starch, cellulose, and synthetic resins according to raw materials.
  • the synthetic resins may be polyacrylic acid salt, polyvinyl alcohol, or polyacrylic.
  • Amide (polyacrylamide), polyoxyethylene (polyoxy ethylene) can be classified into.
  • the cellulose-based polymer may include, for example, CMC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
  • the super absorbent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ic acid-starch graft copolymer, polyacrylic acid-polyvinyl alcohol graft copolymer, CMC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 PVA (polyvinyl alcohol) polymer It may comprise one or mor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polyacrylic acid-starch graft copolymer, a polyacrylic acid-polyvinyl alcohol graft copolymer.
  •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a material that can absorb about 100 to 1000 times of moisture, for example, and plays a role in forming macro pores in the gel matrix due to volume shrinkage in the process of absorbing moisture and drying. Can be.
  • the pores are formed between the gel matrix structure and as shown in FIG. 2, may exhibit a shape in which superabsorbent resin particles are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macro pores. These pores have an average diameter of 50 to 500um, for example, and serve as a space for storing the fragranc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upporting ratio and serving as a release channel of the fragrance.
  • the macropore form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has a high supporting ratio and a release channel as the composition of the gel matrix is higher than that of the porous microparticles. Can help.
  • the fragrance may include, for example, aromatic essential oil or essential oil (essential oil), for example, may include an extract with a water-soluble solvent.
  • essential oils include lavender, grapefruit, geranium, cinnamon, tea tree, cedarwood, orange, eucalyptus, bergamot, lemon, lime, mandarin, myrrh ( myrrh, neroli, niaolili, peppermint, pine, rosemary, chamomile, ylang-ylang, neem, frankincence, benzoin, helicris Helichrysum), phytoncide, rosewood, sandalwood, and the like, may include oils obtained from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fragrance may be diluted with a carrier oil, a solvent and the like.
  • Carrier oils include, for example, grapeseed, evening primrose, rosehip, macadamia nut, borage, safflower, sesame, St. Jhon's wort,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weet almonds, avocados, apricot kernels, olives, wheatgerm, calendula, carrot, coconut, hazelnuts, jojoba, basil and almonds Oils obtained from.
  • the fragrance may further include a solvent and an additive, and the solvent may include ethanol, water, glycerin, silicone oil, and the like, and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colorants.
  • the fragr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in fragrance substance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if it is a general vegetable oil, may be includ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if it is a solvent and additives generally used in other steering.
  • the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fragranc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fragranc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ight ratio of the gel matrix and the porous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1: 0.1 to 1:30, for example 1: 0.1 to 1:20, for example, 1: 3 to 1:30.
  • the solid fragranc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porous particles are distributed in the gel matrix structure as shown in FIG. 1.
  •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fragrance is improved by the sustained release of the fragrance. The deterioration of initial odor can be prevented.
  • a solid fragrance composi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 porous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 to 15 ⁇ m was used, and as a super absorbent polymer, sodium polyacrylate (sodium polyacrylate, crosslinking compound, powder form, and sigma aldrich) was used.
  • sodium polyacrylate sodium polyacrylate, crosslinking compound, powder form, and sigma aldrich
  • the porous particles were placed in a 70 ml vial, agar, superabsorbent resin, and 50 g purified water were added and stirred.
  • the temperature of the vial was raised to 100 ° C., stirred for 30 minutes, poured into a mold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at least 1 hour.
  • the molded product was solidified, it was removed from the mold and dried in an oven at 70 ° C. for 5 hours or more, and in this embodiment for 10 hours to remove moisture to prepare a molded carrier.
  • the prepared carrier it is preferable to add the prepared carrier to a container containing lavender essential oil and to support it for 10 hours or more,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left for 24 hours to sufficiently support the fragrance.
  • porous particles were placed in a 70 ml vial, gypsum (calcium sulfate, dihydrate, powder form, Sigma Aldrich), superabsorbent resin, and 10 g purified water were added and stirred. Then, the mixture is poured into a mold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at least 1 hour, and when the molded product is solidified, the mold is eliminated and dried in a 70 ° C. oven for at least 5 hours and dried in this embodiment for 10 hours to remove moisture.
  • the carrier was prepared.
  • the perfume was sup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porous particles were placed in a 70 ml vial, and 5 g of a room temperature curable silicone rubber solution (KE-3420, Shin-Etsu Silicone) was mixed uniformly. After absorbing 10 g of purified water into 0.1 g of the super absorbent polymer, the super absorbent polymer containing the purified water is introduced into a vial in which the porous particles and the silicone rubber solution are mixed. After the mixture is stirred well, it is poured into a mold of a certain shape and cured at room temperature. When the molded product is solidified, it is removed from the mold and dried in an oven at 70 ° C. for at least 5 hours, and dried for 10 hours in this embodiment to remove moisture. Prepared carrier was prepared. In addition, the perfume was suppo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a room temperature curable silicone rubber solution KE-3420, Shin-Etsu Silicone
  • Example 1 A photograph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f the composition is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macropor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0 ⁇ m are form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SAP) between the gel matrix structure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are present in the surface portion of the void form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 SAP superabsorbent polymer
  • Example 1 the photograph of the reflection mode observed with the microscope (BX53M / Olympus) with respect to Example 1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relatively large macro pores formed by SAP and relatively small micro size pores exist between the silica particles.
  • a solid fragrance composi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2.
  •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for includ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 a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for includ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 each composition was taken from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amount of the perfume supported on the weight of the carrier (porous particles, gel matrix, and super absorbent polymer) was measured.
  • % Supported (Maximum Supported Flavor Weight (g) / Supported Weight (g)) x 100.
  • the supporting ratio is 100% or more.
  • the supporting ratio according to all the example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a conventional solid fragrance composition, increased up to 16 times or more.
  • each composition was taken in a glass petri dish after taking a sample amount based on 0.5 g of fragrance in order to match the amount of the fragrance. After the sample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5 days, an initial odor retention was evaluated by an odor trained panel.
  • each composition was taken in a 70 ml vial after taking a sample amount based on 0.5 g of fragrance in order to equalize the content of the fragrance.
  • the sample was put in a vial in a 1 L beaker, fille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purified water, and heated to 50 ° C. on a hot plate. When the set temperature was reached, the samples were collected in a 1 L tedlar bag at predetermined times while the lid was left open. The collected samples were evaluated for fragrance persistence by a fragrance trained panel.
  • Example 6 in the persistence of the fragranc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s excellent. In particular, the initial odor intensity and the scent persistence of Example 5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3 was excellent. This is a result of confirming that the macro voids generated by the superabsorbent polymer in the case of a high density gel matrix, such as silicone rubber, have a great effect on improving the initial odor strength and the fragrance persistence.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has a low support rate of the fragrance, while the initial fragrance intensity and the fragrance persistence are sharply lowered, 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ate, initial fragrance maintena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ion that significantly improves the fragrance persistence and at the same time satisfies both high temperature stability and shape retention properties.
  • the solid fragrance with improved usability and stability can be processed into a desired shape and easily applied to various fiel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료의 담지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조향 향료의 숙성 과정 중에 수득할 수 있는 향취의 선택적인 담지가 가능하며, 담지 초기의 향취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일정한 강도의 향취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체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분체(powder) 날림 현상을 개선시킴으로써 인체 유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고온 안정성을 향상시켜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높은 향료 담지율을 가지는 고체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조향시 특정 단계에서 원하는 향을 구현하기 위하여 숙성을 지연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고, 담지된 향취(香臭)의 변질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향의 유지성 및 발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체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분체(powder) 날림 현상을 억제시킨 고체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체 방향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기는 사람을 비롯한 동물의 감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안심감, 쾌감, 긴장감, 각성감, 명상감 등을 동반하여 심신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아로마 테라피(aromatherapy) 요법에 사용되기도 한다. 향, 향초, 디퓨저 등의 형태로 향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향료를 담는 용기 또는 향초를 동물, 음식, 캐릭터 등의 모양으로 가공시키는 등 이를 상업화하는 전문 매장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 조성물은 오일과 같은 방향성 물질을 병에 보충시키고 디퓨저를 사용하는 방법, 석고 등에 방향성 물질을 분무하거나 적하시키는 방법, 향초 등 고체화된 담지체에 방향성 물질을 적하하거나 소량 혼합하는 방법 등으로 향을 공기 중으로 발산시킨다.
그러나, 병에 오일을 보충시키는 방법은 충격에 의한 오일의 손실 및 병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석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루 날림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향초는 발화가 필요하므로 화재의 우려가 있다. 또한, 이들은 공통적으로 향 성분들의 휘발 정도가 각기 달라서 휘발성이 높은 향 성분의 우선 휘발에 의하여 초기 취가 오래 가지 않고 쉽게 변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석고만으로 이루어진 고체 방향제 등에 방향성 물질을 분무하거나 적하시키는 방법은 방향성 물질의 함량이 낮아서 향이 빨리 소멸되어 사용 시간이 매우 짧고 또, 반복적으로 분무나 적하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향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향을 구현하기 위해(조향): (1) 선택한 여러 가지 향료를 원하는 비율로 섞는 단계, (2) 섞은 향료를 숙성(에이징)시키는 단계, (3) 숙성(에이징) 후 향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거치며, 숙성 후 향 테스트에서 원하는 향을 구현하지 못하면 상기 3단계를 원하는 향이 구현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이때, 숙성은 섞은 향료들의 향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인위적으로 멈출 수가 없는 자연 현상으로서 향료마다 상이하기는 하지만 평균적으로 1 내지 3달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즉, 원하는 향을 조향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숙성 시, 특정 시점의 향을 구현하기를 원한다고 해도 숙성은 멈출 수 없는 자연현상인 관계로 그 원하는 향을 제품으로 구현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겔(gel) 방향제 및 고체 방향제의 경우에는 향료의 담지율이 낮아 향의 초기 강도가 약하고, 사용 시간이 극히 짧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향 방출 농도, 속도의 조절 및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환경에서 향을 용이하게 발산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액체 상태의 방향성 물질을 폴리머로 코팅하여 마이크로 캡슐화하거나 다공성 물질에 향을 담지시키려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제품화 단계의 개발 완성도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1) 조향시 특정 단계에서 원하는 향을 구현하기 위해서 숙성을 지연시키거나 정지시키고, (2) 액상 향료의 향 변성 및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고, (3) 고체방향제의 향 방출량 및 발산 시간 지속성 개선 등의 기술 개발이 향 관련 제품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향료 담지율을 가지며,
조향시 특정 단계에서 원하는 향을 구현하기 위하여 숙성을 지연시키거나 정지시키고,
담지 향취의 유지성 및 발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분체(powder) 날림 현상을 억제시킨 고체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나노 기공을 구비한 다공성 입자, 젤 매트릭스, 고흡수성 수지 및
상기 다공성 입자의 기공에 함유된 향료를 포함하고,
상기 젤 매트릭스 및 상기 다공성 입자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흡수성 수지를 0.001 내지 20중량부 포함하는, 고체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젤 매트릭스에 의해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흡수성 수지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보다 큰 매크로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젤 매트릭스와 상기 다공성 입자의 중량비는 1:0.1 내지 1:30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입자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활성탄 및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젤 매트릭스는 한천, 석고, 실리콘 고무, 카라기난, 젤란검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폴리아크릴산-전분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폴리비닐알코올 그래프트 공중합체, CMC(carboxymethyl cellulose)계 고분자, PVA(polyvinyl alcohol)계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젤 매트릭스가 석고, 실리콘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경우, 상기 젤 매트릭스와 상기 다공성 입자의 중량비가 1:0.1 내지 1:3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입자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100um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입자의 나노 기공은 평균 지름이 1 내지 100nm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젤 매트릭스가 형성하는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은 평균 지름이 0.1 내지 100um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흡수성 수지가 형성하는 매크로 공극은 평균 지름이 50 내지 500u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에 향료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1) 다공성 입자 및 젤 매트릭스를 혼합하는 단계;
2) 고흡수성 수지 및 물을 혼합하여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의 혼합물에 상기 2)의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4) 상기 3)의 혼합물을 주형에 주입하고 경화시켜 성형하는 단계;
5) 상기 4)의 성형물을 건조시켜 고흡수성 수지의 수분 제거에 의한 공극이 형성된 담지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6) 상기 5)의 담지체에 향료를 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젤 매트릭스 및 상기 다공성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흡수성 수지를 0.001 내지 20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수학식 1에 따른 향료의 담지율이 100 내지 500%일 수 있다.
[수학식 1]
담지율(%) = (최대 담지 향료 중량(g) / 담지체 중량(g)) x 100.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향료의 담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향 향료의 숙성 과정 중에 수득할 수 있는 향취의 선택적인 담지 및 유지가 가능하며, 담지 초기의 향취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일정한 강도의 향취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체(powder) 날림 현상을 개선시킴으로써 인체 유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고온 안정성을 향상시켜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조성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반사모드 관찰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향기는 동물의 기분과 감정을 조절할 수 있어 일상 생활용품부터 의학적 치료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향은 향료의 휘발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방출 시 휘발성분의 조성비가 달라지므로 초기와는 다른 향취를 풍기는 경향이 있다. 특히, 천연 향료의 경우 여러 종류의 향을 조향하여 사용하는데, 조향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향료의 조성비 변화에 의하여 향취가 변성되는 현상(숙성, 에이징)이 있다. 숙성 과정 중의 천연 향을 향취의 변화 없이 담지시키고 담지 초기 향취를 유지시키면서 일정한 강도의 향취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향료의 담지율을 높이고 일정한 강도로 향취를 발산시킬 수 있는 조성물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분체(powder) 날림 등의 단점을 보완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가공 시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시킬 수 있는 고체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매트릭스(matrix)"는 "앵커(anchor)" 또는 "바인더(binder)"와 혼용하여 기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섬유질 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입자 간의 공간에 존재하며 공극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향료"는 "방향성 물질"과 혼용하여 기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오일, 친수성 용액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에서에 사용되는 용어 "고흡수성 수지(superabsorbent polymer, SAP)"는 "초흡수성 수지", "Super Absorbency Material(SAM)" 및 "Absorbent Gel Material(AGM)"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내지"라는 표현은 해당 수치를 포함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 내지 2"라는 표현은 1 및 2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1과 2 사이의 수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나노 기공을 구비한 다공성 입자, 젤 매트릭스, 고흡수성 수지 및 상기 다공성 입자의 나노 기공에 함유된 향료를 포함하고,
상기 젤 매트릭스에 의해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흡수성 수지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보다 큰 매크로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고체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공성 입자 또는 마이크로 입자만을 사용하여 향료를 담지시킬 경우에는 향이 완전히 발산된 후 분체(powder) 날림 등으로 인하여 인체 유해성 등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형상을 자유롭게 가공하기 위하여 젤 매트릭스를 사용하였으며 담지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다공성 입자 및 상기 젤 매트릭스의 중량비는 담지율 및 성형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젤 매트릭스의 중량비가 지나치게 증가할 경우 향료가 담지되는 주요 물질인 다공성 입자의 함량비가 낮아져 담지율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젤 매트릭스의 중량비가 지나치게 감소할 경우에는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를 안정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곤란하므로 분체 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젤 매트릭스와 상기 다공성 입자의 중량비는 1:0.1 내지 1:30, 예를 들어 1:0.4 내지 1:30, 예를 들어 1:0.4 내지 1:3, 예를 들어 1:3 내지 1:30, 예를 들어 1:4 내지 1:20, 예를 들어 1:3 내지 1:19, 예를 들어 1:9일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매크로 기공이 충분하게 형성되기 어렵고, 그 함량이 지나치게 증가할 경우 성형물 형태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젤 매트릭스 및 상기 다공성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1 내지 20중량부, 예를 들어 0.1 내지 20중량부, 예를 들어 0.5 내지 1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입자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활성탄 및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methacrylate): PMMA)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입자로는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가의 담지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공성 입자는 나노(nano) 기공의 형성에 의하여 표면적이 매우 크고, 3차원의 골격구조를 형성하므로 향료를 향취의 변성 없이 안정적으로 담지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입자는 향료를 담지하는 주성분으로, 담지된 향료를 서서히 방출시킴으로써 향취의 변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효과적인 담지, 방출 및 향취 변성 방지를 위한 입자의 나노 기공의 평균 지름은 예를 들어, 1 내지 100nm, 예를 들어 10 내지 100nm, 예를 들어 20 내지 50nm일 수 있으며, 평균 입경(지름)은 1 내지 100um, 예를 들어 10 내지 100um일 수 있다. 또한, 담지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공성 입자의 기공율은 예를 들어 70% 이상, 예를 들어 80% 이상, 예를 들어 90%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다공성 입자의 담지율은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0 내지 500%, 예를 들어 200 내지 500%의 담지율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1]
담지율(%) = (최대 담지 향료 중량(g) / 담지체 중량(g)) x 100
수학식 1에서 상기 담지체 중량은 다공성 입자, 젤 매트릭스 및 고흡수성 수지 중량의 합계를 의미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젤 매트릭스(gel matrix)는 한천, 석고,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젤 매트릭스는 물이 증발하면서 일정 크기의 공극을 형성하고 네트워크 구조체를 형성하는 물질로, 인체에 무해한 것이라면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젤 매트릭스가 석고, 실리콘 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경우, 젤 매트릭스와 다공성 입자의 중량비가 1:0.1 내지 1:3, 예를 들어 1:0.1 내지 1:2일 수 있다.
젤 매트릭스는 예를 들어 섬유질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공성 입자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입자와 얽혀 있는 구조 사이에 다수의 마이크로(micro) 크기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젤 매트릭스의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 평균 지름은 예를 들어, 0.1 내지 100um, 예를 들어 0.5 내지 50um, 예를 들어 1 내지 20um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공극 크기를 가짐으로써, 다공성 입자의 고정, 향료의 담지 및 방출 채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젤 매트릭스를 포함함으로써 향료가 완전히 발산된 후에도 다공성 입자의 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조성물 형상의 자유로운 성형이 가능하다. 상기 젤 매트릭스가 형성하는 수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은 젤 매트릭스 물질이 다공성 입자를 바인딩(binding)하는 과정에서 형성하는 미세 공극을 의미한다.
고흡수성 수지는 원료에 따라 전분(starch)계, 셀룰로스(cellulose)계, 합성수지계로 구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합성수지계는 폴리아크릴산염(poly acrylicacid salt),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옥시에틸렌(polyoxy ethylene) 계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전분 또는 셀룰로스에 아크릴로나이트릴을 그래프트 혼성 중합시킨 중합체, 아크릴산과 비닐알콜의 블록 혼성중합체, 폴리비닐알콜과 폴리옥시에틸렌 등을 가교시킨 고분자, 폴리아크릴산-전분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폴리비닐알코올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스계 고분자로 예를 들어, CMC(carboxymethyl cellulose)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폴리아크릴산-전분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폴리비닐알코올 그래프트 공중합체, CMC(carboxymethyl cellulose)계 고분자, PVA(polyvinyl alcohol)계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전분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폴리비닐알코올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고흡수성 수지는 예를 들어 100 내지 1000배 정도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건조되는 과정에서의 부피 수축으로 인하여 젤 매트릭스에 매크로(macro) 공극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공극은 젤 매트릭스 구조 사이에 형성되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크로 공극의 표면에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공극은 예를 들어 평균 지름 50 내지 500um의 크기를 가지며, 향료를 저장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므로 담지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료의 방출 채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석고나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와 같은 젤 매트릭스를 사용할 경우,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 대비 젤 매트릭스의 조성비가 높기 때문에 고흡수성 수지가 형성하는 매크로 공극이 향료의 높은 담지율과 방출 채널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향료는 예를 들어, 방향 정유 또는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용성 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에센셜 오일 종류의 예로는, 라벤더, 그레이프프룻(grapefruit), 제라늄(geranium), 계피잎, 티트리, 시더우드, 오렌지, 유칼립투스(eucalyptus), 베르가못(bergamot), 레몬, 라임, 만다린, 몰약(myrrh), 네롤리(neroli), 니아울리(niaouli), 페퍼민트, 파인(pine), 로즈마리, 캐모마일, 일랑일랑, 님(neem), 프랑킨센스(frankincence), 벤조인(benzoin), 헬리크리섬(Helichrysum), 피톤치드, 로즈우드(rosewood), 샌달우드(sandalwood)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는 캐리어 오일, 용매 등에 희석될 수 있다. 캐리어 오일은 예를 들어, 그레이프시드(grapeseed), 달맞이꽃, 로즈힙, 마카데미아넛, 보리지(borage), 사플라워(safflower), 세서미(sesame), 세인트존스워트 오일(St.Jhon's wort), 스위트아몬드, 아보카도, 아프리코트카넬(apricot kernel), 올리브, 위트점(wheatgerm), 카렌듈라(calendula), 캐롯(carrot), 코코넛, 헤이즐넛, 호호바(jojoba), 바질, 아몬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득되는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는 용매 및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용매로는 에탄올(ethanol), 물, 글리세린(glycerin), 실리콘 오일(silicon oi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색소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향료는 상기에 기술된 주요 발향 물질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인 식물성 오일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포함할 수 있고, 기타 조향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 및 첨가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체 방향제 조성물 제조방법은
1) 다공성 입자 및 젤 매트릭스를 혼합하는 단계;
2) 고흡수성 수지 및 물을 혼합하여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의 혼합물에 상기 2)의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4) 상기 3)의 혼합물을 주형에 주입하고 경화시켜 성형하는 단계;
5) 상기 4)의 성형물을 건조시켜 고흡수성 수지의 수분 제거에 의한 공극이 형성된 담지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6) 상기 5)의 담지체에 향료를 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젤 매트릭스 및 상기 다공성 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흡수성 수지를 0.001 내지 2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젤 매트릭스와 상기 다공성 입자의 중량비는 예를 들어, 1:0.1 내지 1:30, 예를 들어 1:0.1 내지 1:20, 예를 들어 1:3 내지 1:3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른 본 발명의 고체 방향제 조성물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젤 매트릭스 구조물에 다공성 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입자의 나노 기공 및 젤 매트릭스 구조물의 마이크로 공극 및 고흡수성 수지로 인한 매크로 공극에 향료를 담지시킴으로써 향료의 담지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취의 서방형 발산으로 향기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초기취의 변질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5
표 1과 같은 조성에 따라 고체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공성 입자로는 평균 입경 5 내지 15um의 다공성 실리카를 사용하였고, 고흡수성 수지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가교결합 화합물, 파우더 형태, 시그마 알드리치)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01
실시예 1 내지 3
다공성 입자를 70ml 바이알(vial)에 넣고, 한천, 고흡수성 수지 및 50g 정제수를 투입 후 교반하였다. 상기 바이알의 온도를 100℃로 상승시켜 30분 동안 교반시킨 뒤, 일정한 모양의 몰드에 부어 상온에서 1시간 이상 두었다. 성형물이 응고되면 몰드에서 탈락시켜 70℃ 오븐에서 5시간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10시간 동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성형된 담지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담지체를 라벤더 에센셜 오일(Lavender essential oil)이 포함되어 있는 용기에 투입하여 10시간 이상 담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24시간 동안 놓아두어 향료를 충분히 담지시켰다.
실시예 4
다공성 입자를 70ml 바이알(vial)에 넣고, 석고(황산칼슘, 이수화물, 파우더 형태, 시그마 알드리치), 고흡수성 수지 및 10g 정제수를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의 몰드에 부어 상온에서 1시간 이상 놓아둔 뒤, 성형물이 응고되면 몰드에서 탈락시켜 70℃ 오븐에서 5시간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10시간 동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성형된 담지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향료를 담지시켰다.
실시예 5
다공성 입자를 70ml 바이알(vial)에 넣고, 상온 경화성 실리콘 고무 용액(KE-3420, 한국신에츠실리콘) 5g을 넣어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고흡수성 수지 0.1g에 정제수 10g을 흡수시킨 후, 정제수가 흡수된 고흡수성 수지를 다공성 입자와 실리콘 러버 용액이 혼합된 바이알에 투입한다. 이 혼합액을 잘 교반시킨 뒤, 일정한 모양의 몰드에 부어 상온에서 경화시킨 후, 성형물이 응고되면 몰드에서 탈락시켜 70℃ 오븐에서 5시간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10시간 동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성형된 담지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향료를 담지시켰다.
실시예 1 조성물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젤 매트릭스 구조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SAP)에 의하여 지름이 100um 정도인 매크로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고흡수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공극의 표면부에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대하여 현미경(BX53M / 올림푸스)으로 관찰한 반사모드의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SAP에 의하여 형성된 상대적으로 큰 매크로 공극과, 실리카 입자 간 사이의 상대적으로 작은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3
표 2와 같은 조성에 따라 고체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02
비교예 1
라벤더 에센셜 오일 2g을 밀폐형 고압 바이알에 투입하였다. 상기 바이알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Dupont, Elvax) 펠렛 8g을 투입하고, 온도 40℃ 및 압력 40cmHg를 유지시키면서 150rpm의 속도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양을 변경하여 상기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라벤더 에센셜 오일이 EVA 펠렛 속으로 완전히 함침되었을 때의 최대량을 담지율로 정의하였다.
비교예 2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향료 담지율 측정
향료의 담지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각각의 조성물을 취하여 담지체(다공성 입자, 젤 매트릭스 및 고흡수성 수지) 중량 대비 담지된 향료의 양을 측정하였다.
담지율은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담지율(%) = (최대 담지 향료 중량(g) / 담지체 중량(g)) x 100.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0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모두 담지율이 100%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고체 방향제 조성물인 비교예 1 대비 모든 실시예에 따른 담지율이 증가하였으며, 최대 16배 이상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 대비 실시예 4의 담지율이 2.4배 증가하였으며, 비교예 3 대비 실시예 5의 담지율이 2.5배 증가한 것으로 보아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함에 따른 담지율 증대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초기 향취 유지도 및 발향 지속성 평가
각각의 조성물에 따른 초기 향취의 변질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 4와 같은 기준에 따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은 향료의 함량을 동일량으로 맞추기 위하여 향료 0.5g을 기준으로 하여 샘플 양을 취한 후 유리 페트리 디쉬(glass petri dish)에 넣었다. 상기 샘플은 상온에서 15일 동안 보관된 후, 냄새 훈련이 된 패널에 의하여 초기 향취 유지 정도 평가가 실시되었다.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04
또한, 발향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 5와 같은 기준에 따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은 향료의 함량을 동일량으로 맞추기 위하여 향료 0.5g을 기준으로 하여 샘플 양을 취한 후, 70ml 바이알(vial)에 넣었다. 1L 비커에 상기 샘플을 바이알 채로 넣고, 적당량의 정제수를 채운 뒤, 핫 플레이트(hot plate) 상에서 50℃로 설정하여 승온시켰다.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샘플의 뚜껑을 열고 방치시키면서 정해진 시간 별로 1L 테들러백(tedlar bag)에 샘플을 포집하였다. 포집된 샘플은 향 훈련이 된 패널에 의하여 발향 지속성 평가가 실시되었다.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05
초기 향취 유지도 및 발향 지속성 평가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06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향기의 지속성에 있어서, 비교예 대비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결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교예 3 대비 실시예 5의 초기 발향 강도 및 향의 지속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실리콘 고무와 같이 조밀도가 높은 젤 매트릭스의 경우 고흡수성 수지로 인하여 생성되는 매크로 공극이 초기 발향 강도 및 향 지속성을 개선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실험예 3: 고온 안정성 평가
각각의 조성물에 대한 향료의 함량을 동일량으로 맞추기 위하여 향료 0.5g을 기준으로 하여 샘플 양을 취하여 70ml 바이알에 옮겼다. 상기 각각의 샘플에 대하여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에서 50, 70 및 90℃의 온도 별로 표 7과 같은 조건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07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08
실험예 4: 형상 제어 및 유지 평가
각각의 조성물에 대한 형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체 날림과 성형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은 향료의 함량을 동일량으로 맞추기 위하여 향료 0.5g을 기준으로 하여 샘플 양을 취하여 70ml 바이알에 옮겼다. 상기 샘플을 컨벡션 오븐에서 90℃ 조건으로 1일 동안 향료가 충분히 제거될 때까지 놓아두었다. 향료가 제거된 각각의 샘플에 대하여 표 9와 같은 기준으로 분체 날림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09
Figure PCTKR2019007116-appb-img-000010
상기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조성물은 향료의 담지율이 낮고, 초기 발향 강도 및 발향 지속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지율, 초기 향취 유지도, 향 지속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온 안정성 및 형상 유지도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활용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고체 방향제를 요구되는 형상으로 가공시켜 다양한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복수개의 나노 기공을 구비한 다공성 입자, 젤 매트릭스, 고흡수성 수지 및
    상기 다공성 입자의 나노 기공에 함유된 향료를 포함하고,
    상기 젤 매트릭스 및 상기 다공성 입자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함량이 0.001 내지 20중량부이며,
    상기 젤 매트릭스에 의해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흡수성 수지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공극보다 큰 매크로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고체 방향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 매트릭스와 상기 다공성 입자의 중량비가 1:0.1 내지 1:30인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입자가 실리카, 제올라이트, 활성탄 및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 매트릭스가 한천, 석고, 실리콘 고무, 카라기난, 젤란검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가 폴리아크릴산-전분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폴리비닐알코올 그래프트 공중합체, CMC(carboxymethyl cellulose)계 고분자, PVA(polyvinyl alcohol)계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젤 매트릭스와 상기 다공성 입자의 중량비가 1:0.1 내지 1:3이고,
    상기 젤 매트릭스가 석고, 실리콘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입자의 평균 입경이 1 내지 100um인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입자의 나노 기공은 평균 지름이 1 내지 100nm인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 매트릭스가 형성하는 마이크로 크기 공극의 평균 지름이 0.1 내지 100um인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가 형성하는 매크로 공극은 평균 지름이 50 내지 500um인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공극 및 매크로 공극에 향료가 함유된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12. 1) 다공성 입자 및 젤 매트릭스를 혼합하는 단계;
    2) 고흡수성 수지 및 물을 혼합하여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의 혼합물에 상기 2)의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4) 상기 3)의 혼합물을 주형에 주입하고 경화시켜 성형하는 단계;
    5) 상기 4)의 성형물을 건조시켜 고흡수성 수지의 수분 제거에 의한 공극이 형성된 담지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6) 상기 5)의 담지체에 향료를 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젤 매트릭스 및 상기 다공성 입자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흡수성 수지를 0.001 내지 20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수학식 1에 따른 향료의 담지율이 100 내지 500%인 것인, 고체 방향제 조성물 제조방법:
    [수학식 1]
    담지율(%) = (최대 담지 향료 중량(g) / 담지체 중량(g)) x 100.
PCT/KR2019/007116 2018-07-19 2019-06-13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01776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47389.6A CN112423797B (zh) 2018-07-19 2019-06-13 固体芳香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7/252,984 US11331402B2 (en) 2018-07-19 2019-06-13 Solid aroma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096A KR102081320B1 (ko) 2018-07-19 2018-07-19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0084096 2018-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762A1 true WO2020017762A1 (ko) 2020-01-23

Family

ID=6916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116 WO2020017762A1 (ko) 2018-07-19 2019-06-13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31402B2 (ko)
KR (1) KR102081320B1 (ko)
CN (1) CN112423797B (ko)
WO (1) WO20200177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712A (ko) * 1997-12-30 1999-07-15 권혁철 젤형 방향제 조성물
KR20000026387A (ko) * 1998-10-20 2000-05-15 차동천 시트형 향 발산 점착제의 제조방법
KR20030043303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 소취제 조성물
KR20060046962A (ko) * 2004-11-12 2006-05-18 (주)엠포엠 기능성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72705A (ko) * 2006-01-02 2007-07-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909B1 (ko) * 1990-11-09 1993-09-17 주식회사 럭키 발향담체 조성물
JP4035663B2 (ja) * 1992-07-31 2008-01-23 小林製薬株式会社 ゲル状芳香剤組成物
US5723420A (en) * 1996-03-04 1998-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bar compositions which contain a fragrance-releasing complex for improved fragrance delivery
DE10126966A1 (de) * 2001-06-01 2002-12-12 Henkel Kgaa System zur Freisetzung von Aktivstoffen und Wirkstoffen
US20030216488A1 (en) 2002-04-18 2003-1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a dispersant and microcapsules containing an active material
JP3874715B2 (ja) * 2002-11-13 2007-01-31 明 伴野 香り発生器および香り発生装置
KR20040041128A (ko) * 2004-04-23 2004-05-14 오성근 중공 또는 다공성 실리카 입자 내부에 방향성 물질을함유시켜 고분자 물질에 분산시킨 수지 조성물과 이들을응용한 제품
CN1968743A (zh) * 2004-06-15 2007-05-23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面发光器件、使用它的过滤器、光学辅助型陶瓷过滤器
JP2009090262A (ja) * 2007-10-12 2009-04-30 Panasonic Corp 吸着剤成型体
CN101485974A (zh) * 2009-02-23 2009-07-22 东南大学 纳米二氧化钛在载体材料表面的负载方法
WO2010103856A1 (ja) * 2009-03-12 2010-09-16 三井化学株式会社 新規な金属酸化物多孔質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KR101150517B1 (ko) * 2011-09-08 2012-05-31 (주)금강페이버 기능성 수지칩 및 기능성 수지칩 제조방법
KR101375125B1 (ko) * 2012-12-28 2014-03-1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향발생 세라믹스를 이용한 카트리지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712A (ko) * 1997-12-30 1999-07-15 권혁철 젤형 방향제 조성물
KR20000026387A (ko) * 1998-10-20 2000-05-15 차동천 시트형 향 발산 점착제의 제조방법
KR20030043303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 소취제 조성물
KR20060046962A (ko) * 2004-11-12 2006-05-18 (주)엠포엠 기능성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72705A (ko) * 2006-01-02 2007-07-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565A (ko) 2020-01-30
KR102081320B1 (ko) 2020-02-26
US20210113731A1 (en) 2021-04-22
CN112423797A (zh) 2021-02-26
US11331402B2 (en) 2022-05-17
CN112423797B (zh)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04832A1 (ko)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7862894B2 (en) Materi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RU2009147167A (ru) Сигаретный фильтр, содержащий раститель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игарета
JP2017518873A5 (ko)
WO2020017762A1 (ko)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HUP0004405A2 (hu) Polietilénglikol mátrixszemcsék zsíros, olajos vagy ragacsos gyógyszerhatóanyagokhoz
JP2007526343A (ja) 揮発性物質含有組成物
HUP0100303A2 (hu) Porózus hidroxiapatit részecskék mint gyógyszerhatóanyag hordozók
KR100837793B1 (ko)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는 복합 방향제 조성물
JP7301451B2 (ja) 高耐熱性芳香剤組成物
DE60130653D1 (de) Riechstoff-zusammensetzungen
WO2015080334A1 (ko) 온도에 따라 변색되며 열경화가 가능한 공작용 고무찰흙
JP2000070352A (ja) ゲル状芳香剤
JP3734202B2 (ja) 蒸散用吸液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99533B1 (ko) 수용성 발포 고체 방향제
JP2009074226A (ja) 多孔質成形体用収縮性繊維
JPS63139557A (ja) 芳香放散物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S58112542A (ja) 芳香又は消臭剤用担体
EP379335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honey bee parasitic mite infestation
TWI677519B (zh) 消臭纖維及其製造方法
JPH09276384A (ja) 芳香・消臭剤製品
KR102085771B1 (ko) 고기능성의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JPH0724767B2 (ja) 植物の乾燥方法
JPH10179707A (ja) 芳香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
JPH042258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369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369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8/07/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369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