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145B1 -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145B1
KR101876145B1 KR1020170155533A KR20170155533A KR101876145B1 KR 101876145 B1 KR101876145 B1 KR 101876145B1 KR 1020170155533 A KR1020170155533 A KR 1020170155533A KR 20170155533 A KR20170155533 A KR 20170155533A KR 101876145 B1 KR101876145 B1 KR 10187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drug
silica gel
silane compound
graf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목
김민철
강은영
Original Assignee
강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영 filed Critical 강은영
Priority to KR102017015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에 담체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약제가 담지된 담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약제가 담지된 담체에 실란 화합물과 공용매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실란 화합물로 표면이 그라프팅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실란 화합물로 표면이 그라프팅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에 계면활성제와 분산안정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에멀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젼에 합성고분자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실란 화합물로 그라프팅된 담체의 표면 상에 유기상 합성고분자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은 보다 안정적으로 약제를 담지할 수 있고, 담체의 표면 상에 치밀한 막구조를 가질 수 있어 원하는 장소와 환경에 방출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of carrier with controlled release rate of medicaments}
본 발명은 일상생활이나 산업적인 측면에서 특정의 기능을 가진 물질을 담지를 시켜 원하는 장소와 환경에 방출 시킬 수 있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제를 방출 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약제을 담체에 담지 시켜서 제조를 하고 담체에 담지된 약제가 원하는 장소와 환경에서 방출확산, 치환, 화학반응에 의해 작용을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약제를 담지 시킬 수 있는 담체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담지하여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약제가 필요한 환경과 장소에서 작용하여야 하며, 약제가 필요한 속도로 방출 확산이 되어야 하고, 약제가 방출이 종료된 다음에는 담체가 주위 환경에 오염을 유발해서는 않된다.
약제 담지용으로 사용 가능한 담체로서는 미분세공 용적이 적당한 실리카 겔(silica gel)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실리카 겔을 사용하여 약제를 담지시켜서 담체를 제조하여 사용하더라도 약제가 원하는 시간 만큼 방출속도와 시간을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약제가 담지된 담체를 치밀한 막구조를 형성 할 수 있는 물질로 그라프팅을 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약제의 방출속도와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담체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757147호(2017.07.1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를 안정적으로 담지하여 유지를 할 수 있고, 약제가 필요한 환경과 장소에서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약제가 필요한 속도로 방출 확산할 수 있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약제가 담지된 담체; 상기 담체의 표면에 실란 화합물이 그라프팅된 실란층; 및 상기 실란층 상에 도입된 고분자층을 포함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에 담체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약제가 담지된 담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약제가 담지된 담체에 실란 화합물과 공용매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실란 화합물로 표면이 그라프팅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실란 화합물로 표면이 그라프팅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에 계면활성제와 분산안정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에멀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젼에 합성고분자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실란 화합물로 그라프팅된 담체의 표면 상에 유기상 합성고분자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은 보다 안정적으로 약제를 담지할 수 있고, 담체의 표면 상에 치밀한 막구조를 가질 수 있어 원하는 장소와 환경에 방출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인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약제가 담지된 담체 상의 표면을 실란 물질로 그라프팅을 시키고, 유기상 합성고분자를 첨가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화를 시킬 경우 치밀한 막구조를 가질 수 있어 약제를 안정적으로 담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출속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약제(10)가 담지된 담체(20); 상기 담체(20)의 표면에 실란 화합물이 그라프팅된 실란층(30); 및 상기 실란층(30) 상에 도입된 고분자층(40)을 포함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담체 물질인 실리카 화합물과 그라프팅 물질인 실란 화합물이 균일한 용액 수준의 레벨에서 합성되는 메카니즘은 실란의 알콕사이드로부터 제조되어 담체 실리카와 공유결합에 의해 제조되므로 비가역적이고 영구적인 겔로서 열역학적으로 안정해야 한다.
이렇게 제조되는 담체의 전구체는 분자 구조가 치밀한 망목구조가 잘 형성 되고, 실리카 담체표면의 공극의 크기가 잘 부여되어있기 때문에 유무기 결합기를 가지고 있는 기능성 담체 물질이 균일한 상태의 하이브리드 물질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유기 작용기를 가지고 화합물과 균일하고 치밀한 이차 막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약제는 향료, 해충 기피제, 동물 기피제, 항균제, 곰팡이방지제, 농약, 비료, 살균제, 소독제, 방충제, 살충제, 제초제, 유인제, 약학제제, 또는 생리 활성 물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담체는 실리카 겔(silica gel), 알루미나(alumina), 제올라이트(zeolite), 규조토(Diatomite), 점토(clay), 활성탄(active carbon), 셀룰로오스(cellulose), 및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및 옥타데실클로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합성고분자는 에틸렌비닐공중합체, 폴리아크릴에시드, 폴리아크릴계고분자,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는 약제 10 내지 50 중량%, 담체 5 내지 40 중량%, 실란 화합물 3 내지 20 중량%, 및 합성고분자 5 내지 50 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는 고형분이 35 내지 45%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에 담체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약제가 담지된 담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약제가 담지된 담체에 실란 화합물과 공용매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실란 화합물로 표면이 그라프팅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실란 화합물로 표면이 그라프팅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에 계면활성제와 분산안정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에멀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젼에 합성고분자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실란 화합물로 그라프팅된 담체의 표면 상에 유기상 합성고분자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는 향료, 해충 기피제, 동물 기피제, 항균제, 곰팡이방지제, 농약, 비료, 살균제, 소독제, 방충제, 살충제, 제초제, 유인제, 약학제제, 또는 생리 활성 물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 중에서, 해충 기피제의 1종인 모기 기피제는 시트로넬라 에센셜오일(citronella essential oil), 쑥 추출물(Mugwort Extract), 레몬 그래스(lemon grass), 네릭산(neric acid), 시나몬 에센셜오일(cinnamon essential oil), 및 유황수와, 어성초오일(houttuynia oil), 페퍼민트오일(peppermint oil), 오렌지유(orange oil), 또는 허브오일(herb oil)로 이루어진 하나의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보조제로서 글리세린(glyceri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물질은 실리카 겔(silica gel), 알루미나(alumina), 제올라이트(zeolite), 규조토(Diatomite), 점토(clay), 활성탄(active carbon), 셀룰로오스(cellulose),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및 각종 수지에 의한 마이크로캡슐(micro capsu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담체 중에서, 물리적 강도가 강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약제 성분에 대해서 불활성이면서 부반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실리카 겔(silica gel)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실리카 겔의 경우 세공의 용적이 너무 작으면 약제의 담지량이 지극히 소량이 되어 제품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실리카 겔의 세의 용적이 매우 커서 표면의 평활성이 높게 되는 경우에는 약제 성분의 방출 속도가 빨라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약제용 담체로 사용을 할 수 있는 실리카 겔의 미분세공 용적은 5 ㎖/g 내지 3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담체의 표면과 고분자 물질과의 화학결합이 치밀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 1차적으로 담체의 표면을 그라프팅을 시켜야 한다. 이러한 그라프팅을 시킬 수 있는 물질로는 유무기 결합기를 가지고 있는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또는 옥타데실클로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담체 물질인 실리카 화합물과 그라프팅 물질인 실란 화합물이 균일한 용액 수준의 레벨에서 합성되는 메카니즘은 실란의 알콕사이드로부터 제조되어 담체 실리카와 공유결합에 의해 제조되므로 비가역적이고 영구적인 겔로서 열역학적으로 안정해야 한다.
이렇게 제조되는 담체의 전구체는 분자 구조가 치밀한 망목구조가 잘 형성 되고, 실리카 담체표면의 공극의 크기가 잘 부여되어있기 때문에 유무기 결합기를 가지고 있는 기능성 담체 물질이 균일한 상태의 하이브리드 물질로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유기 작용기를 가지고 화합물과 균일하고 치밀한 이차 막구조의 형태를 갖춘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실란 물질과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공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물질과 공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용액은 분자수준의 레벨에서 합성되어 담체와 반응 메카니즘은 실란의 알콕사이드에서 무기 작용기는 담체 실리카와 공유결합성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비가역적이고 영구적인 겔로서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게 제조를 하는데 유리하다.
이때 사용되는 실란과 공용매의 양을 조절하여 그라프팅된 담체 물질의 점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되는 공용매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둘 이상을 선택하여 5 내지 30 g을 사용을 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지방산솔비탄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 코코넛지방산디에탄올아민, 및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산안정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다당류(polysaccharide), 펙틴(pectin), 및 아라비아 껌(gum arabic)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란 화합물로 그라프팅된 담체의 표면에 유기상 합성고분자를 도입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치밀한 막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를 방출하는 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합성고분자 용액은 에틸렌비닐공중합체 용액, 폴리아크릴에시드 용액, 아크릴 에멀젼, 및 우레탄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인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합성
시트로넬라 에센셜오일(citronella essential oil) 3 g, 계피 추출물 5 g, 레몬그래스 오일 3 g, 유황수 3 g, 시나몬 에센셜오일(cinnamon essential oil) 4 g, 쑥 추출물(Mugwort Extract) 5 g, 및 오렌지유(orange oil) 4 g을 500 rpm으로 교반한 다음 글리세린(glycerin) 10 g을 첨가하고 40 ~ 50℃에서 5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기피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모기기피제 조성물에 담체인 실리카 겔 40 g을 첨가하여 모기기피제 조성물이 실리카 담체에 충분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2 ~ 3시간 동안 6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얻었다.
이후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 30 g과 공용매 15 g(이소프로필알콜 10 g,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5 g)을 첨가하고 2 ~ 3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의 표면상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grafting) 시켰다.
상기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에 계면활성제인 지방산솔비탄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 12 g 및 분산안정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 5 g을 첨가하고 1 ~ 2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여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을 제조하였다.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에 우레탄 에멀젼 61 g을 첨가하고 3 ~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담체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입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의 형태로 담체 내부에 모기기피제 유상이 존재하는 약제 제어용 담체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2>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합성
시트로넬라 에센셜오일(citronella essential oil) 3 g, 계피 추출물 5 g, 레몬그래스 오일 3 g, 유황수 3 g, 시나몬 에센셜오일(cinnamon essential oil) 4 g, 쑥 추출물(Mugwort Extract) 5 g, 및 오렌지유(orange oil) 4 g을 500 rpm으로 교반한 다음 글리세린(glycerin) 10 g을 첨가하고 500 rpm으로 40 ~ 50℃에서 교반하여 모기기피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모기기피제 조성물 용액에 실리카 겔 35 g을 첨가하여 모기기피제 조성물이 실리카 담체에 충분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2 ~ 3시간 동안 6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얻었다.
이후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 25 g과 공용매13 g(이소프로필알콜 8 g,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5 g)을 첨가하고 2 ~ 3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의 표면상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grafting) 시켰다.
상기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에 계면활성제인 지방산솔비탄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 12 g 및 분산안정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 5 g을 첨가하고 1 ~ 2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여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을 제조하였다.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에 우레탄 에멀젼 73 g을 첨가하고 3 ~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담체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입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의 형태로 담체 내부에 모기기피제 유상이 존재하는 약제 제어용 담체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3>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합성
시트로넬라 에센셜오일(citronella essential oil) 3 g, 계피 추출물 5 g, 레몬그래스 오일 3 g, 유황수 3 g, 시나몬 에센셜오일(cinnamon essential oil) 4 g, 쑥 추출물(Mugwort Extract) 5 g, 및 오렌지유(orange oil) 4 g을 500 rpm으로 교반한 다음 글리세린(glycerin) 10 g을 첨가하고 40 ~ 50℃에서 5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기피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모기기피제 조성물에 실리카 겔 30 g을 첨가하여 모기기피제 조성물이 실리카 담체에 충분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2 ~ 3시간 동안 6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얻었다.
이후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 20 g과 공용매 11 g(이소프로필알콜 7 g,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4 g)을 첨가하고 2 ~ 3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의 표면상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grafting) 시켰다.
상기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에 계면활성제인 지방산솔비탄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 12 g 및 분산안정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 5 g을 첨가하고 1 ~ 2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여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을 제조하였다.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에 우레탄 에멀젼 85 g을 첨가하고 3 ~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담체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입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의 형태로 담체 내부에 모기기피제 유상이 존재하는 약제 제어용 담체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합성
시트로넬라 에센셜오일(citronella essential oil) 3 g, 계피 추출물 5 g, 레몬그래스 오일 3 g, 유황수 3 g, 시나몬 에센셜오일(cinnamon essential oil) 4 g, 쑥 추출물(Mugwort Extract) 5 g, 및 오렌지유(orange oil) 4 g을 500 rpm으로 교반한 다음 글리세린(glycerin) 10 g을 첨가하고 500 rpm으로 40 ~ 50℃에서 5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기피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모기기피제 조성물에 담체인 실리카 겔 25 g을 첨가하여 모기기피제 조성물이 실리카 담체에 충분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2 ~ 3시간 동안 6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얻었다.
이후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 15 g과 공용매 9 g(이소프로필알콜 6 g,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3 g)을 첨가하고 2 ~ 3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의 표면상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grafting) 시켰다.
상기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에 계면활성제인 지방산솔비탄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 12 g 및 분산안정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 5 g을 첨가하고 1 ~ 2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여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을 제조하였다.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에 우레탄 에멀젼 97 g을 첨가하고 3 ~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담체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입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의 형태로 담체 내부에 모기기피제 유상이 존재하는 약제 제어용 담체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5>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합성
시트로넬라 에센셜오일(citronella essential oil) 3 g, 계피 추출물 5 g, 레몬그래스 오일 3 g, 유황수 3 g, 시나몬 에센셜오일(cinnamon essential oil) 4 g, 쑥 추출물(Mugwort Extract) 5 g, 및 오렌지유(orange oil) 4 g을 500 rpm으로 교반한 다음 글리세린(glycerin) 10 g을 첨가하고 40 ~ 50℃에서 5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기피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모기기피제 조성물 용액에 실리카 겔 20 g을 첨가하여 모기기피제 조성물이 실리카 담체에 충분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2 ~ 3시간 동안 6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얻었다.
이후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 10 g과 공용매 7 g(이소프로필알콜 5 g,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2 g)을 첨가하고 2 ~ 3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여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의 표면상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grafting) 시켰다.
상기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모기퇴치제 조성물이 담지된 담체를 포함하는 용액에 계면활성제인 지방산솔비탄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 12 g 및 분산안정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 5 g을 첨가하고 1 ~ 2시간 동안 40 ~ 50℃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여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을 제조하였다.
친수성-친유성 평형인 유탁액에 우레탄 에멀젼 109 g을 첨가하고 3 ~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트리메틸클로로실란으로 그라프팅된 담체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입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의 형태로 담체 내부에 모기기피제 유상이 존재하는 약제 제어용 담체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1> 시간 경과에 따른 약제 존재율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라 합성된 약제 제어용 담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약제 존재율을 평가하였고, 평가 조건은 하기와 같다.
현재까지 인간이 알아낸 약 200만 가지의 물질 중 40만 가지가 냄새를 가지고 있는 물질로 알려저 있다.
이러한 물질 가운데 인간의 후각을 자극하여 인간에게 자극성을 주는 물질은 기체로 상쾌감, 불쾌감, 혐오감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냄새라고 말한다.
이러한 냄새의 취기 정도는 개인별 나이, 성별, 심리적 요인, 몸의 상태, 주의 환경 등에 따라서 차이가 날수가 있기 때문에, 냄새를 느끼는 정도를 절대 농도의 수치로 나나내는 것은 한게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냄새를 측정하는 방법은 절대값으로 측정하는 이화학 측정법과, 사람 후각의 취기 농도를 측정하는 관능시험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기 기피제를 제조하고 이를 섬유에 코팅을 하여 의복으로 입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냄새 취기정도를 느끼는 상태를 감안하여 관능시험법을 사용하였다.
관능시험법은 5단계 취기강도법으로 다음 표와 같이 분류하여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7115850765-pat00001
상기 표 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라 합성된 약제 제어용 담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약제 존재율 평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고함량의 실리카 겔과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을 첨가하여 합성된 약제 제어용 담체(실시예 1)의 경우 30일이 경과하더라도 80% 이상의 모기기피제 조성물이 담체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실시예 2에서 실시예 5로 진행할수록 실리카 겔과 트리메틸클로로실란의 함량이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약제인 모기기피제 조성물이 충분히 담지될 수 없으며, 또한 그라프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약제인 모기기피제 조성물이 담체 내에 존재하는 비율이 적게됨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4)

  1. 약제가 담지된 실리카 겔(silica gel);
    상기 실리카 겔(silica gel)의 표면에 실란 화합물이 그라프팅된 실란층; 및
    상기 실란층 상에 도입된 고분자층을 포함하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 형태인,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향료, 해충 기피제, 동물 기피제, 항균제, 곰팡이방지제, 농약, 비료, 살균제, 소독제, 방충제, 살충제, 제초제, 유인제, 약학제제, 또는 생리 활성 물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란 화합물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및 옥타데실클로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층은,
    에틸렌비닐공중합체, 폴리아크릴에시드, 폴리아크릴계고분자,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는,
    약제 10 내지 50 중량%, 실리카 겔(silica gel) 5 내지 40 중량%, 실란 화합물 3 내지 20 중량%, 및 고분자 5 내지 50 중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7. 약제에 실리카 겔(silica gel)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약제가 담지된 실리카 겔(silica gel)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약제가 담지된 실리카 겔(silica gel)에 실란 화합물과 공용매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실란 화합물로 표면이 그라프팅된 실리카 겔(silica gel)을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실란 화합물로 표면이 그라프팅된 실리카 겔(silica gel)을 포함하는 용액에 계면활성제와 분산안정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에멀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젼에 합성고분자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실란 화합물로 그라프팅된 실리카 겔(silica gel)의 표면 상에 유기상 합성고분자를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향료, 해충 기피제, 동물 기피제, 항균제, 곰팡이방지제, 농약, 비료, 살균제, 소독제, 방충제, 살충제, 제초제, 유인제, 약학제제, 또는 생리 활성 물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란 화합물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및 옥타데실클로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용매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지방산솔비탄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 코코넛지방산디에탄올아민, 및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산안정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다당류(polysaccharide), 펙틴(pectin), 및 아라비아 껌(gum arabic)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분자 용액은,
    에틸렌비닐공중합체 용액, 폴리아크릴에시드 용액, 아크릴 에멀젼, 및 우레탄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KR1020170155533A 2017-11-21 2017-11-21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KR10187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33A KR101876145B1 (ko) 2017-11-21 2017-11-21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33A KR101876145B1 (ko) 2017-11-21 2017-11-21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145B1 true KR101876145B1 (ko) 2018-07-06

Family

ID=6292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533A KR101876145B1 (ko) 2017-11-21 2017-11-21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1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162A (ja) * 1989-10-06 1991-05-24 Nichiban Kenkyusho:Kk 抗菌・導電性組成物および抗菌・導電性樹脂組成物
US5413789A (en) * 1990-02-28 1995-05-09 Hagiwara Research Corp.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aluminosilicate coated silica gel
US20010034374A1 (en) * 2000-05-01 2001-10-25 Adjei Akwete L. Core formulation
KR20090034916A (ko) * 2006-06-28 2009-04-08 루사이트 인터내셔널 유케이 리미티드 중합체성 조성물
KR20090077159A (ko) * 2008-01-10 2009-07-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중공 실리카 나노입자, 그의 제조 방법, 상기를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및 약제학적 조성물
US20130230570A1 (en) * 2007-08-14 2013-09-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ollow silica nanosphe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160137109A (ko) * 2015-05-22 2016-11-3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전달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162A (ja) * 1989-10-06 1991-05-24 Nichiban Kenkyusho:Kk 抗菌・導電性組成物および抗菌・導電性樹脂組成物
US5413789A (en) * 1990-02-28 1995-05-09 Hagiwara Research Corp.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aluminosilicate coated silica gel
US20010034374A1 (en) * 2000-05-01 2001-10-25 Adjei Akwete L. Core formulation
KR20090034916A (ko) * 2006-06-28 2009-04-08 루사이트 인터내셔널 유케이 리미티드 중합체성 조성물
US20130230570A1 (en) * 2007-08-14 2013-09-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ollow silica nanosphe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090077159A (ko) * 2008-01-10 2009-07-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중공 실리카 나노입자, 그의 제조 방법, 상기를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20160137109A (ko) * 2015-05-22 2016-11-3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전달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3223C (fi) Liimakoostumuksia
KR920003330B1 (ko) 방출조절을 위해 작용성분으로 함침시킨 직물
US4931362A (en) Microcapsule and micromatrix bodies and method for their formation
KR100531060B1 (ko) 캡슐화된 생활성 조성물의 용도
AU619570B2 (en) Time release protein
CH633975A5 (de) Verfahren zur inkorporierung von wirkstoffen in siliciumdioxidhaltige traegermaterialien.
FR2558730A1 (fr) Produits thermo-vaporisables et dispositif pour sa vaporisation
JP5126752B2 (ja) 殺虫剤を含浸させた紙
KR19990087374A (ko) 비수성 서방성 해충 및 에어 케어 겔 조성물
JPH01301758A (ja) 機能性物質を有する分離粒子を含有するプラスチック材料
JP2011045878A (ja) 塩基性誘発放出マイクロカプセル
US20130202788A1 (en) Non-aqueous thixotropic fragrance gel
US4310397A (en)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CN114097777B (zh) 一种双层载药缓释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76145B1 (ko) 약제 방출속도 제어용 담체 제조방법
US6432451B1 (en) Film coated microbeads containing active compound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Massaro et al. Photostability assessment of natural pyrethrins using halloysite nanotube carrier system
JPH0775666A (ja) ゲル芳香剤
JP2005145865A (ja) 天然精油衛生害虫忌避剤およびその用途
JP3113055B2 (ja) イソチオシアン酸エステルの徐放性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060520B2 (en) Domestic animal parasite-repellent device
JP2005200315A (ja) 蒸散性殺ダニ剤
EP0293172B1 (en) Polymer particles
JPH06158552A (ja) 徐放性繊維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530165B (zh) 一种异色瓢虫引诱剂、其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