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705A -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705A
KR20070072705A KR1020060000137A KR20060000137A KR20070072705A KR 20070072705 A KR20070072705 A KR 20070072705A KR 1020060000137 A KR1020060000137 A KR 1020060000137A KR 20060000137 A KR20060000137 A KR 20060000137A KR 20070072705 A KR20070072705 A KR 20070072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photocatalyst
weight
water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주
차경온
이일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6000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2705A/ko
Publication of KR2007007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1Badge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개선제 조성물은, 냄새개선제 3 내지 30 중량%; 광촉매제 0.3 내지 7 중량%; 상기 냄새개선제 및 광촉매제를 흡착되도록 하는 다공성 무기 담체 20 내지 70 중량%; 및 상기 냄새개선제 물질 및 광촉매제를 흡착시킨 다공성 무기 담체를 코팅하여 감싸는 수용성 고분자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살균 및 탈취력이 우수하며 내용물 안정성 및 향료 지속성이 우수한 냄새 개선제를 제공할 수 있다.
광촉매, 냄새, 무기 담체, 수용성 고분자, 항균, 실리카

Description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Composition of air freshener and method for producing air freshene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개선제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살균 및 탈취력이 뛰어나며 설치가 편리하고 향료의 지속성이 우수한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주거 환경 및 실내 외의 쾌적성 및 청결함을 위하여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성의 향이 주성분인 방향제 제품이나 공기 청향 제품, 그리고 세균 및 곰팡이 냄새 제거제 등의 제품으로서 오래 전부터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최근 이러한 환경정화 분야에서 매우 촉망받는 신기술로 인식되는 광촉매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광촉매는 빛을 흡수하여 에너지가 높은 상태로 되고, 그 에너지를 반응 물질에 주어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물질로서, 제형화가 힘들고 기타 유효물질과 반응을 일으켜 유효물질을 파괴하므로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 제품으로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촉매를 적용한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 제품은 순간적인 분사로 인하여 작용하므로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또한 분사 후 광촉매 물질들이 분말로 남으며 향성분, 소취성분, 방충성분 및 살충성분들과 직접 섞이면 반응을 일으켜 서로 다른 성분의 효과 발현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동시 사용이 용이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련분야에서는 전술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살균 및 탈취력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는 광촉매제로 인해 발생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부작용을 해결하고자 함에 있으며, 향료 등의 휘발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지속적인 효과를 내며 사용이 간편할 수 있는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냄새 개선제 조성물은 냄새개선제 3 내지 30 중량%; 광촉매제 0.3 내지 7 중량%; 상기 냄새개선제 및 광촉매제를 흡착되도록 하는 다공성 무기 담체 20 내지 70 중 량%; 및 상기 냄새개선제 물질 및 광촉매제를 흡착시킨 다공성 무기 담체를 코팅하여 감싸는 수용성 고분자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은, (S1)3 내지 30 중량%의 액상 향료 또는 소취제를 실리카, 벤토나이트, 셀룰로오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분말에 함침시킨 후, 분말상의 다공성 무기 담체 20 내지 70 중량%와 배합하는 단계; (S2)콜로이드상의 광촉매제 0.3 내지 7 중량%와 수용성 고분자 1 내지 20 중량%를 물에 용해시킨 후 교반하는 단계; (S3)상기 S1단계의 결과물과 상기 S2단계의 결과물을 배합하는 단계; 및 (S4)상기 S3단계의 결과물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겔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겔 방향제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개선제 조성물은 냄새개선제, 광촉매제, 다공성 무기 담체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냄새개선제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3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휘발성 냄새 개선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에 미달하면 냄새 개선 기능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시 성형물의 표면에 변형이 이루어져 제품불량을 초래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냄새 개선제는 휘발성의 액상 향료 또는 소취제가 실리카, 벤토나이트, 셀룰로 오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분말에 함침된 상태를 사용한다.
상기 광촉매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3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에 미달하면 소취, 항균 효과 발현에 미흡하며, 상한을 초과하면 첨가되는 양에 비해 발현되는 효과의 증대를 기대하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광촉매제는 소취, 향균 효과가 우수한 실리카 졸(SiO2), 티타니아 졸(TiO2) 및 징크 졸(ZnO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콜로이드상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무기 담체는 상기 냄새개선제 및 광촉매제를 흡착되도록 하며,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20 내지 7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공성 무기 담체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에 미달하면 제형화가 어려우며, 상한을 초과하면 첨가되는 양에 비례적인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다공성 무기 담체는 분말형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실리카, 제올라이트, 세라믹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무기담체들 중에서 분말상태의 제올라이트가 가장 효과가 좋은데, 담체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구성이 ANa2OㆍXAl2O3ㆍYSiO2ㆍZH2O (여기서, A, X, Y, Z는 상수이다)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상기 냄새개선제 물질 및 광촉매제를 흡착시킨 다공성 무기 담체를 코팅하여 감싸며,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에 미달하면 향 발산 억제 및 광촉매제 날림성의 억제 기능을 충분하게 수행하지 못하며, 상한을 초과하면 첨가되는 양에 대비하여 발현되는 효과의 증대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광촉매제의 날림성을 방지하며, 휘발성 냄새 개선제를 흡착시킨 다공성 무기담체로부터 향의 발산을 억제하기 위하여,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0010232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영문자 n 및 m은 30,000 내지 50,000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과 같은 수용성 고분자로는 천연 수용성 고분자와 합성 수용성 고분자가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한천, 알긴산, 전분,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등이 있다. 상기 합성 고분자로는 카보머, 소디움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타크릴산, 셀룰로오스 유도체,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등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냄새 개선제 조성물에는 살충제, 방충제 및 살균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물질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도면과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개선제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냄새 개선제와 다공성 무기 담체를 배합하는 단계(S1)과 광촉매제와 수용성고분자를 배합하는 단계(S2)를 개별적으로 진행하여, 상기 S1단계의 결과물과 상기 S2단계의 결과물을 배합한 후(S3), 그 결과물을 사출성형하여(S4), 냄새 개선제 제품을 완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S1단계에서, 분말상태의 다공성 무기담체에 분말상태의 휘발성 물질을 첨가하되, 상기 분말상태의 휘발성 냄새 개선제 성분 물질은 실리카 등의 분말에 오일형태의 휘발성 물질을 함침시키고 이를 실리콘오일로 코팅한 것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S2단계는 반드시 S1단계 이후에 진행할 필요는 없으며, 그 순서는 상호 바꾸어 진행하거나 동시에 진행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전술한 바에 따라 제조되는 냄새 개선제는 다양한 형상, 예컨대 입자형(Particle type), 비드형(Bead type), 펠렛형(Pellet type), 디스크형(Disc type), 판상형 또는 시트형(Sheet type)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는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적용되었다.
프랑스 샤라보 사에서 구입한 천연 로즈마리오일을 지름 100nm인 실리카 분말에 함침하여 실리카 오일로 코팅한 분말향료에 분말상태인 제올라이트를 혼합한 후 약 30℃의 온도에서 3 내지 4시간 교반하였다. 한편, 이와 다른 배합기에 티타늄 졸 시리즈인 콜로이드 상태의 서경화학사의 상품명 TO-SOL 제품을 화학식 1의 수용성 고분자와 물에 용해시킨 후 40℃의 온도에서 4 내지 5시간 교반하였다. 이렇게 교반한 광촉매와 수용성 고분자 혼합물을 상기 분말 실리카 분말 로즈마리 향과 제올라이트 혼합물에 첨가하여 25℃ 상온에서 10시간 교반하여 사출기에 투입하여 사출하였다. 이때 사출물의 배출 압력은 300 Pa이다. 이렇게 사출된 성형물은 표면이 균질하고 광택을 지니며 높은 강도를 가졌다.
비교예 1 내지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대비하기 위한 비교예에서는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적용되었다.
비교예 1은 프랑스 샤라보 사에서 구입한 천연 로즈마리오일을 제올라이트에 침적시킨 후 약 30℃의 온도에서 3 내지 4시간 교반하였다. 한편, 이와 다른 배합기에 티타늄 졸 시리즈인 콜로이드 상태의 서경화학사의 상품명 TO-SOL 제품을 화 학식 1의 수용성 고분자와 물에 용해시킨 후 40℃의 온도에서 4 내지 5시간 교반하였다. 이렇게 교반한 광촉매와 수용성 고분자 혼합물을 상기 분말 실리카 분말 로즈마리 향과 제올라이트 혼합물에 첨가하여 25℃ 상온에서 10시간 교반하여 사출기에 투입하여 사출하였다.
비교예 2는 프랑스 샤라보 사에서 구입한 천연 로즈마리오일, 서경화학사의 티타늄 졸 시리즈인 콜로이드 상태의 TO-SOL제품, 물을 제올라이트에 침적시킨 후 약 30℃의 온도에서 3 내지 4시간 교반 후 사출기에 투입하여 사출하였다.
비교예 3은 프랑스 샤라보사에서 구입한 천연 로즈마리오일, 에탄올, 티타늄 졸 시리즈인 콜로이드 상태의 서경화학사의 상품명 TO-SOL 제품, 계면활성제로서 한농화성상의 상품명 NP-7 및 물을 상온에서 교반하여 일반 스프레이 통에 충진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비교예(1~3)
1 2 3
로즈마리 오일 10 10 10 10
실리카 분말 10
실리카 오일 5
제올라이트 30 30 30
티타늄졸(TO-SOL) 3 3 3 3
화학식 1(수용성고분자) 1.5 1.5
40.5 55.5 57 65
에탄올 7
계면활성제(NP-7) 15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 : 항/살균 성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내용물에 대한 항/살균 성능 비교 시험하였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각 시료는 1g씩을 사용하였으며, 조건은 시편 1×1㎝로 40개/10㎖, NB(Peptone 5g, Beef Extract 3g/ℓ)배지, 초기 균수를 106/㎖, 30℃, 50 시간이었다. 실시예 1은 대장균, 녹농균, 폐렴쌍구균은 살균하였으며, 포도상구균만 0.27% 생존, 4종 혼합균은 0.067% 생존하여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1~3)
1 2 3
대장균 - - - 0.36%
녹농균 - - - 0.21%
폐렴쌍구균 - - 0.17% 0.20%
포도상구균 0.27% 0.56% 0.61% 0.87%
4종 혼합 0.067% 0.08% 0.1% 0.15%
대조균은 108/㎖ 이상 성장 하였다.
시험예 2 : 내용물 안정성 평가
실시예 1 과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에 대하여 상온 및 고온(50℃) 내용물을 10일간 보관하여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1~3)
1 2 3
상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고온(50℃) 안정 변성 변성 변성
표 3의 결과로부터 향 오일이 실리콘 처리하여 안정화되어 광촉매 물질과 직접 닿지 않으므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 조성물에 비교하여 내용물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시험예 3 : 분말 날림성 평가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에 대하여 제품 사용중 분말 날림성 평가를 실시 하였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및 비교예 들의 시료들을 각각 50ml 비이커에 50g씩 충진 하여 100℃ 오븐에 넣어 액상의 내용물을 모두 날린 후 그 잔유물을 일정 속도로 도는 팬 앞에다 설치하고 분말 날림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각각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1~3)
1 2 3
분말 날림성 날림없음 날림 없음 날림 있음 날림 있음
표 4의 결과로부터 화학식 1을 사용한 제품은 날림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화학식 1의 원료가 날림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 소취력 평가
대표적 악취물질 중에서 검지관법으로 실험이 가능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메틸메르캅탄을 악취 대상 물질로 선정하여 소취 효과를 측정하였다. 검지관법은 작업 환경 중 인체에 해로운 가스를 간이 측정하는 기구로 정밀도와 정확도에선 GC 분석에 미칠 수 없으며, ppm 미만의 미량 농도 측정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규제되는 악취의 농도가 ppm 수준의 고농도이며 실제 냉장고와 같은 작은 공간에서 악취의 제거를 실험하므로 인지농도보다 수십 수 백배 농축된 ppm 범위의 실험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에 대한 소취력을 암모니아는 가스텍 검지관 no.3La, 트리메틸아민은 no.180 그리고 메틸메르캅탄은 no.71 을 사용하여 각각의 결과를 얻어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1~3)
1 2 3
암모니아(NH3) 93.40% 89.5% 73.2% 23.5%
트리메틸아민(N(CH3)3) 95% 88.80% 74% 29.8%
메틸메르캅탄(CH3SH) 97.80% 86.7% 64% 27.6%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향 오일이 실리콘 처리하여 안정화되어 광촉매 물질과 직접 닿지 않으므로 소취력 역시 우수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시험예 5 : 방향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향기 지속성을 비교 시험하였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및 비교예 들의 시료들을 각각 25 내지 30℃의 상온에서 채광 및 통풍이 잘 되는 실내에 정치하고 5 ~ 35일 동안 후각이 잘 발달된 패널 요원 10명을 임의로 선출하여 5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관능 검사는 향이 강하다고 평가한 경우에 최대 5점을 부여하고, 향이 약하다고 평가한 경우에 최소 1점을 부여하였으며, 향의 강약에 따라 5점과 1점 사이의 중간에서 적정한 점수를 부여하여 그 평균치를 평가치로 각각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1~3)
1 2 3
7일 후 5 4 4.5 4.5
14일 후 4.5 3 3.5 3
21일 후 4 2 2.8 2
28일 후 3.5 1.3 2 1.5
35일 후 3 1.3 1.3 1.3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보통의 후각으로 느끼기에 충분한 향기가 30일 이상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살균 및 탈취력이 우수하며 내용물 안정성 및 향료 지속성이 우수한 냄새 개선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냄새개선제 3 내지 30 중량%;
    광촉매제 0.3 내지 7 중량%;
    상기 냄새개선제 및 광촉매제를 흡착되도록 하는 다공성 무기 담체 20 내지 70 중량%; 및
    상기 냄새개선제 물질 및 광촉매제를 흡착시킨 다공성 무기 담체를 코팅하여 감싸는 수용성 고분자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 개선제는 액상의 향료 또는 소취제가 실리카, 벤토나이트, 셀룰로오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분말에 함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제는 실리카 졸(SiO2), 티타니아 졸(TiO2) 및 징크 졸(ZnO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콜로이드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담체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및 세라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분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00102328-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영문자 n 및 m은 30,000 내지 50,000의 정수이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 개선제에는 살충제, 방충제 및 살균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물질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조성물.
  7. (S1)3 내지 30 중량%의 액상 향료 또는 소취제를 실리카, 벤토나이트, 셀룰로오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분말에 함침시킨 후, 분말상의 다공성 무기담체 20 내지 70 중량%와 배합하는 단계;
    (S2)콜로이드상의 광촉매제 0.3 내지 7 중량%와 수용성 고분자 1 내지 20 중량%를 물에 용해시킨 후 교반하는 단계;
    (S3)상기 S1단계의 결과물과 상기 S2단계의 결과물을 배합하는 단계; 및
    (S4)상기 S3단계의 결과물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무기담체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및 세라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에서 사용되는 광촉매제는 실리카 졸(SiO2), 티타니아 졸(TiO2) 및 징크 졸(ZnO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6000102328-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영문자 n 및 m은 30,000 내지 50,000의 정수이다.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 개선제에는 살충제, 방충제 및 살균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물질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KR1020060000137A 2006-01-02 2006-01-02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KR20070072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37A KR20070072705A (ko) 2006-01-02 2006-01-02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37A KR20070072705A (ko) 2006-01-02 2006-01-02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705A true KR20070072705A (ko) 2007-07-05

Family

ID=3850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137A KR20070072705A (ko) 2006-01-02 2006-01-02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27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31Y1 (ko) * 2008-11-13 2011-02-08 주식회사 대륙 전자접촉기
WO2020017762A1 (ko) * 2018-07-19 2020-01-23 주식회사 매스컨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31Y1 (ko) * 2008-11-13 2011-02-08 주식회사 대륙 전자접촉기
WO2020017762A1 (ko) * 2018-07-19 2020-01-23 주식회사 매스컨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9565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매스컨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423797A (zh) * 2018-07-19 2021-02-26 株式会社妈思康 固体芳香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1331402B2 (en) 2018-07-19 2022-05-17 Masscon Co., Ltd. Solid aroma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5097B1 (en) Fragrance and flavor compositions containing odor neutralizing agents
CN101455849A (zh) 空气净化剂
EP2015634A2 (en) Absorbent composition of matter for controlled release of essential oils
JP2022068309A (ja) ククルビットウリル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CN107913588A (zh) 一种垃圾除臭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144417A (zh) 多效环保除味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4703211B2 (ja) 消臭剤組成物および消臭方法
KR101605114B1 (ko) 고추냉이를 주재로 한 새집증후군 제거용 친환경 탈취제의 제조방법
EP1759716B1 (en) Composition for neutralising unpleasant odours
US7163737B2 (en) Absorbent composition of matter for odoriferouse substances and releaser of diverse active ingredients and articles incorporating same
KR20070072705A (ko) 냄새 개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냄새 개선제 제조방법
KR100456757B1 (ko) 방향 소취제 조성물
JP2014525818A (ja) カラギナンゲルの空気清浄剤
EP1552854B1 (en) Method of disinfecting, freshening and scenting the air using essential oils and/or the active principles thereof
KR20160042586A (ko)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제 제품
KR101781657B1 (ko) 식물 유래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제 조성물
JPH01129854A (ja) 衛生剤組成物
JP2012158768A (ja) 香料組成物
JP5155504B2 (ja) 据置き型消臭剤
JP3458808B2 (ja) 消臭剤
JP2007031605A (ja) 香料組成物
TW202033093A (zh) 衣料害蟲防除組成物、以及使用該組成物之衣料除臭方法及衣料防蟲除臭方法
KR102094550B1 (ko) 선택적 암모니아 소취용 향료 조성물
KR102410960B1 (ko) 방향 탈취용 조성물
KR20050087618A (ko) 소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