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40439A1 -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40439A1
WO2019240439A1 PCT/KR2019/006907 KR2019006907W WO2019240439A1 WO 2019240439 A1 WO2019240439 A1 WO 2019240439A1 KR 2019006907 W KR2019006907 W KR 2019006907W WO 2019240439 A1 WO2019240439 A1 WO 20192404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nanotube dispersion
aromatic rings
phenolic compound
carbon nano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69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현
유흥식
차진명
권계민
채현식
조동현
최상훈
최현
조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2055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JP7036948B2/ja
Priority to EP19820548.6A priority patent/EP3805154A4/en
Priority to CN202310817427.XA priority patent/CN116750753A/zh
Priority to CN201980027612.0A priority patent/CN112004776B/zh
Priority to US17/049,477 priority patent/US11542164B2/en
Publication of WO20192404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40439A1/ko
Priority to US17/993,733 priority patent/US11845655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09C1/56Treatment of carbon black ;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01B32/174Derivatisation; Solubilisation; Dispersion in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5/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02Single-walled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8Solid content in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32Specific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having a low viscosity and a small change in viscosity over tim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ing high energy density and voltage, long cycle life, and low self discharge rate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 an electrode for such a high capacity lithium secondary battery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a method for improving the electrode density to produce an electrode having a higher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 a high density electrode is formed by mold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having a size of several micrometers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by a high pressure press. During the molding process, the particles can be deformed and the space between the particles can be reduced, so that the electrolyte permeability This is easy to fall.
  •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trength is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ven when the conductive material is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undergoes a molding process, the electrolyte may easily penetrate by maintaining micropores between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and may have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thereby reducing resistance in the electrode.
  • the use of carbon nanotubes, which are fibrous carbon-based conductive materials, which can further reduce electrode resistance by form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ath in the electrode is increasing.
  • Carbon nanotubes which is a kind of fine carbon fibers, are tubular carbon fibers having a diameter of 1 ⁇ m or less, and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due to their high conductivity, tensile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due to their specific structure.
  • carbon nanotubes have low dispersibility due to strong van der Waals attraction between each other according to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gglomeration phenomenon occur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cluding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and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excellent dispersibility, low viscosity, change with time of viscosity To provide a low carbon nanotube dispers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rbon nanotube (CNT),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and an aqueous solvent, the polymer dispersing agent and an aromatic ring
  •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comprising two or more phenolic compounds in a weight ratio of 100: 1 to 100: 90.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mixture by mixing a carbon nanotube,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and an aqueous solvent; And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comprising the step of milling the mixture.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and a phenolic compound having a specific structure, so that the carbon nanotubes have excellent dispersibility, low viscosity, and little change in viscosity over time. It is advantageous for the storage and use of tube dispersions.
  •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component, or combination thereof, that is,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 means weight percent unless otherwise indicated.
  • the average particle size "D 50" means a particle size corresponding to 50% of the cumulative volume.
  • the D 50 may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 laser diffraction method.
  • the laser diffraction method can measure the particle size of several mm from the submicron region, and high reproducibility and high resolution can be obtained.
  •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measured by the BET method, and specifically, it can be calculated from the nitrogen gas adsorption amount under liquid nitrogen temperature (77K) using BELSORP-mino II manufactured by BEL Japan.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rbon nanotubes (CNT),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and an aqueous solvent, and the polymer dispersant and the aromatic ring It contains one or more phenolic compounds in a weight ratio of 100: 1 to 100: 90.
  • CNT carbon nanotubes
  • the term 'carbon nanotu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ary structure formed by gathering a unit of carbon nanotubes in whole or in part to form a bundle.
  • the unit of the carbon nanotubes has a graphite sheet having a nano size. It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diameter and has a sp 2 coupling structure.
  • the graphite surface may exhibit characteristics of a conductor or a semiconductor depending on the angle and structure of the surface.
  • Units of carbon nanotubes ar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DWCNTs)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bonds that form the walls. ,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 the units of the plurality of carbon nanotub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substantially the s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or twisted after being arranged Or an entangled, secondary shape in the form of a bundle or rope.
  • the term 'non-bundle type' or 'entangled type' refers to a form in which carbon nanotube units are entangled without a constant shape such as a bundle or a rope shape.
  • Carbon nanotubes have high conductivity, but have high cohesion due to van der Waals forces generated between carbon nanotubes.
  • the conductive material is agglomerated, the conductive path cannot be formed properly, and relatively more conductive material is used, so that the amount of the active material becomes smaller, and thus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can be lowered. Therefore, there has been a difficulty in commercializing carbon nanotubes as a conductive material.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and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viscosity of the aqueous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hanges over time. In this case, when applied to an electrode slurr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t is possible to exhibit high conductivity due to the high conductivity of the carbon nanotubes.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the preparation of the electrode slurry, the carbon nanotubes are uniformly positioned between the active materials, and the electrode slurry is coated and dried and then rolled to prepare the electrode.
  • the microcavity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s can be kept constant.
  • the carbon nanotubes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without aggregation, so that a conductive path may be sufficiently form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carbon nanotubes.
  • Carbon nanotube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carbon nanotube unit of the single-wall, double-walled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specifically may include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 the carbon nanotubes may have a specific surface area (BET) of 210 m 2 / g or less, specifically 30 m 2 / g to 200 m 2 / g, more specifically 100 m 2 / g to 200 m 2 / It may have a specific surface area (BET) of g. If the specific surface area (BET) of the carbon nanotubes satisfies the above range, the content of carbon nanotubes contained in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may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carbon nanotubes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exceeding the above range. Can be.
  • BET specific surface area
  • the average particle size D 50 of the carbon nanotubes may be, for example, 3 ⁇ m to 300 ⁇ m, specifically 10 ⁇ m to 200 ⁇ m, and more specifically 50 ⁇ m to 150 ⁇ m.
  • the particle size of each unit of the carbon nanotubes may be measured using a laser diffraction method.
  • the carbon nanotub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ductive material dispersion, specifically 3 parts by weight to 8 part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3 parts by weight to 6 parts by weight May be included.
  • Carbon nanotube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rbon nanotubes can be uniformly dispersed, it may have a higher carbon nanotube content than the conventionally used carbon nanotube dispersions such as the above range.
  •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having a low carbon nanotube content is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electrode slurry, the solids content of the prepared electrode slurry is reduced so that the thickness (wet thickness) before applying and drying the electrode slurry is thick, followed by drying.
  • the rolling rate measured after the rolling process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ratio before drying and rolling.
  • the compositions inside the slurry includ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damaged during the process,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s deteriorated.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and a phenol-based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in order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carbon nanotubes.
  •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the amine and a phenol-based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serve to increase the dispersibility of the carbon nanotubes as a dispersant, and in particular, to suppress the change of viscosity over time. It can be effective.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includes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together, it is excellent in dispersibility compared to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using only a conventional dispersant, so that the agglomeration of particles of the slurry composition It was found to be small, the sedimentation rate was small, and the adhesion with the separator substrate was also improved.
  • the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has a carbon natotube dispersion, especially water-based carbon nanotubes, due to the bulky structure generated by the two or more aromatic rings and the influence of the hydroxyl group contained in the phenol group.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scosity of the dispersion an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increase in viscosity over time.
  • the polymer dispersant when a specific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in the polymer structur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exhibit more improved viscosity improving effect and suppressing change in viscosity over time.
  • the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the amine may be one that can be dissolved in water, for example, polyvinylpyrrolidone, polyacrylic acid hydrazide, poly-N-vinyl-5-methoxazoli Poly-N-vinyl-5-methoxazolidon, N-alkyl polyimine, N-acetyl polyimine, polyacrylamide, poly-L-lysinehydro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romide (poly-L-lysine hydrobromide), benzyl-do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and polyethylenimine.
  • the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may include one or more structur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enol structure, catechol structure, galol structure and naphthol structure in one or more of the aromatic ring,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aromatic rings may include at least one structu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techol structure and galol structure.
  • the phenolic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wo hydroxyl groups are bonded to a benzene ring
  • the catechol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wo hydroxyl groups are bonded to the benzene ring
  • the galol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ree hydroxyl groups are bonded to the benzene ring.
  • the naphthol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one hydroxyl group is bonded to naphthalene.
  • the phenolic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includes the structu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omatic ring and the carbon nanotubes in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the hydrogen between -OH of the phenolic compound and the polymer dispersant By properly balancing the interaction by bonding, it is possible to exert the effect of reducing the viscosity of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the increase in viscosity due to changes over time.
  •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include bicalin, luteolin, taxoxyline, myricetin, quercetin, rutin, 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butein, and picethenol.
  • tannic acid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eferably tannic acid, quercetin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aromatic ring included in the phenolic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aromatic ring or two aromatic rings are not fused with another aromatic ring. And may not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ree or more aromatic rings are fused to each other.
  • the range of the phenolic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may exclude a structure in which three or more aromatic rings are fused in a molecular structure.
  • the structure in which the three or more aromatic rings are fused in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It may be inadequate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carbon nanotubes because it can induce agglomeration between the carbon nanotubes by exerting a strong bonding force with the carbon nanotubes more than an appropriate level.
  • the bala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omatic ring and the carbon nanotube in the above-described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the hydrogen interaction between -OH of the phenolic compound and the polymer dispersant is broken, thereby making it suitable for the carbon. It may be difficult to exert the effect of reducing the viscosity of the nanotube dispersion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viscosity with time change.
  • the phenol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is included in an appropriate weight ratio with the polymer dispersant, it is possible to exhibit both the viscosity improving effect of the dispersion and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change in viscosity over time, and the phenol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the compound and the polymer dispersant were out of a predetermined weight ratio, there was a viscosity improving effect, but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change over time of the viscosity was not sufficient.
  • the phenolic compound including the polymer dispersant and two or more aromatic rings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00: 1 to 100: 90, specifically 100: 10 to 100: 80, and more specifically 100: 20 to 100 I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70.
  • the phenolic compound including at least two of the polymer dispersant and the aromatic ring is included in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in the weight ratio, the carbon nanotubes are uniformly dispersed in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thus have a low viscosity. The viscosity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over time.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may include 11 parts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polymer dispersants and aromatic ring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 nanotubes, specifically 11 parts by weight to It may comprise 70 part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15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 the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to which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may be applied may be inhibited due to the excess dispersant, and the polymer dispersant and the phenolic compound may be It may act as an impurity within, and when included in a smaller amount than the above range may lack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viscosity and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change of viscosity over time.
  • the solvent is a dispersion medium for dispersing the carbon nanotubes, the polymer dispersant, and the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and prevents agglomeration when the carbon nanotubes in the form of powder are used immediately in preparing th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In order to pre-dispersion to supply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 the solvent is one capable of dissolving or dispersing at least a certain level of the phenolic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carbon nanotubes, a polymer dispersant and an aromatic ring.
  • the aqueous solvent may be, for example, water, and the aqueous 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may have an appropriate viscosity in view of the coating property of th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prepared us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 Carbon nanotube disper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the above components is excellent in dispersibility, the viscosity of the dispersion is low, the degree of viscosity increase over time is small.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may have a viscosity of 0.1 to 5 cps when the viscosity is measured at 25 ° C. and 1 rpm using a viscometer (manufactured by TOKI, viscometer TV-22), specifically, a viscosity of 0.1 to 4 cps Can have
  • the electrode slurry may be more smoothly prepared us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the electrode slurry includ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may have an appropriate viscosity for forming an electrode.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may be 100% or less, specifically 50% or less, more specifically 20% or less, when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is left at 25 ° C. for 1 week.
  •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material disp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preparing a mixture by mixing a carbon nanotube, a polymer dispersant,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and an aqueous solvent; And (2) milling the mixture.
  • step (1) a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carbon nanotubes, a polymer dispersant,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and an aqueous solvent.
  • the mixture preparation step may be carried out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in which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viscosity of the mixture do not change by evaporation of the aqueous solvent. For example, it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50 °C or less, more specifically 5 °C to 50 °C.
  • step (2) the mixture is dispersed to prepare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 the milling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using a ball mill, bead mill, disc mill or basket mill, high pressure homogenizer, or the like.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erformed by a milling method using a disk mill or a high pressure homogenizer.
  • the size of the beads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carbon nanotubes and the type of dispersant, specifically, the diameter of the beads is 0.1 mm to 5 mm, more specifically 0.5 Mm to 4 mm.
  • the bead mil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t a speed of 2,000 rpm to 10,000 rpm,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performed at a speed of 5,000 rpm to 9,000 rpm.
  • Milling by the high pressure homogenizer is carried out by cavitation, shear, when passing through the gap, for example by pressurizing the mixture with a plunger pump of a high pressure homogenizer and forcing it into the gap of the homogeneous valve. This is accomplished by forces such as impact and explosion.
  • the mil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persion of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specifically, may be performed for 30 minutes to 120 minutes, more specifically for 60 minutes to 90 minut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a posi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or a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specifically, may be a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 th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r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 solvent, and / or other additives as necessary, as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 cathode active materials well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for example, lithium cobalt oxide,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manganese oxide, lithium iron phosphate, lithium nickel manganese cobalt based Oxides or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LiCoO 2 , LiNiO 2 , LiMn 2 O 4 , LiCoPO 4 , LiFePO 4 and LiNiaMnbCocO 2 (0 ⁇ a ⁇ 1, 0 ⁇ b ⁇ 1, 0 ⁇ c ⁇ 1)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carbonaceous material; Metals (Me) that are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Si, Sn, Li, Zn, Mg, Cd, Ce, Ni, or Fe; Alloys composed of the metals (Me); Oxides of the metals (Me) (MeOx); And one or two or mor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plex of the metals (Me) and carbon.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60 to 98% by weight, more preferably 70 to 9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excluding the solvent, in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 the binder is a component that assists in bonding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to the current collector, and is typically added in an amount of 1 to 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 binders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 cellulose (CMC), starch, hydroxypropyl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EPDM), sulfonated EPDM, styrene-butadiene rubber, fluorine rubber, various copolymers and the like.
  • the solvent may be an organic solvent such as N-methyl pyrrolidone (NMP), dimethyl formamide (DMF), acetone, dimethyl acetamide or water, and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have.
  • NMP N-methyl pyrrolidone
  • DMF dimethyl formamide
  • acetone dimethyl acetamide or water
  •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is sufficient to dissolve and disperse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lurry and the production yield.
  • the viscosity adjusting agent may be carboxymethyl cellulose, polyacrylic acid, or the like, and the viscosity of the electrode slurry may be adjusted to facilitate the preparation of the electrode slurry and the coating process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by addition.
  • the filler is optionally used as a component for inhibiting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the filler include olefinic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rous materials such as glass fiber and carbon fiber are used
  • the positive electrode may be prepar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slurry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and rolling.
  • the cathode slurry may be cast on a separate support, and then the film obtained by peeling from the support may be manufactured by laminating o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 the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by the positive electrode slurry may vary depending on the loading amount, loading speed, etc. for applying the positive electrode slurry.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generally has a thickness of 3 ⁇ m to 500 ⁇ m.
  •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a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or aluminum or stainless steel may be used.
  • fin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o enhance the bonding force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 the negative electrode When th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is a composition of a negative electrode slurry for forming a nega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prepar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and rolling. Alternatively,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may be cast on a separate support, and then the film obtained by peeling from the support may be manufactured by laminating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by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may vary depending on the loading amount, loading speed, etc. for applying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generally has a thickness of 3 ⁇ m to 500 ⁇ m.
  •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copper,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Surface-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and the like on the surface, aluminum-cadmium alloy and the like can be used.
  • fin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to enhance the bonding for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n electrolyte solution. Since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eparator is to separat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and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the separator is used as a separator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t is desirable to be excellent.
  • a porous polymer film for example, a porous polymer film made of a polyolefin-based polymer such as ethylene homopolymer, propylene homopolymer, ethylene / butene copolymer, ethylene / hexene copolymer and ethylene / methacrylate copolymer, or the like Laminate structures of two or more layers may be used.
  • porous nonwoven fabrics such as nonwoven fabrics made of high melting point glass fiber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and the like may be used.
  • a coated separator including a ceramic component or a polymer material may be used to secure heat resistance or mechanical strength, and may be optionally used as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 the electrolyte may be an organic liquid electrolyte, an inorganic liquid electrolyte, a solid polymer electrolyte, a gel polymer electrolyte, a solid inorganic electrolyte, a molten inorganic electrolyte, or the like that can be used in manufactur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lyte may include an organic solvent and a lithium salt.
  • the organic solvent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serve as a medium through which ions involved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the battery can move.
  • the organic solvent may be an ester solvent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 -butyrolactone or ⁇ -caprolactone; Ether solvents such as dibutyl ether or tetrahydrofuran; Ketone solvents such as cyclohexanone; Arom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benzene and fluorobenzene; Dimethylcarbonate (DMC), diethylcarbonate (DEC), methylethylcarbonate (MEC), ethylmethylcarbonate (EMC), ethylene carbonate (EC), propylene carbonate, Carbonate solvents such as PC); Alcohol solvents such as ethyl alcohol and isopropyl alcohol; Nitriles such as R-CN (R is a C2 to C20 linear, branched or cyclic hydrocarbon group, which may include a
  • carbonate-based solvents are preferable, and cyclic carbonates having high ionic conductivity and high dielectric constant (for example, ethylene carbonate or propylene carbonate) that can improve the charge and discharge performance of a battery, and low viscosity linear carbonate compounds (for example, a mixture of ethyl methyl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or diethyl carbonate and the like is more preferable.
  • the cyclic carbonate and the chain carbonate may be mixed and used in a volume ratio of about 1: 1 to about 1: 9,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lyte may be excellent.
  • the lithium salt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compound capable of providing lithium ions used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lithium salt is LiPF 6 , LiClO 4 , LiAsF 6 , LiBF 4 , LiSbF 6 , LiAl0 4 , LiAlCl 4 , LiCF 3 SO 3 , LiC 4 F 9 SO 3 , LiN (C 2 F 5 SO 3 ) 2 , LiN (C 2 F 5 SO 2 ) 2 , LiN (CF 3 SO 2 ) 2 .
  • LiCl, LiI, or LiB (C 2 O 4 ) 2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ncentration of the lithium salt is preferably used within the range of 0.1 M to 2.0 M.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lithium salt is included in the above range, since the electrolyte has an appropriate conductivity and viscosity, it can exhibit excellent electrolyte performance, and lithium ions can move effectively.
  • the electrolyte includes, for example, haloalkylene carbonate-based compounds such as difluoro ethylene carbonate, pyridine, tri, etc.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battery life characteristics, reducing battery capacity, and improving discharge capacity of the battery.
  • haloalkylene carbonate-based compounds such as difluoro ethylene carbonate, pyridine, tri, etc.
  • Ethyl phosphite triethanolamine, cyclic ether, ethylene diamine, n-glyme, hexaphosphate triamide, nitrobenzene derivative, sulfur, quinone imine dye, N-substituted oxazolidinone, N, N-substituted imida
  • One or more additives such as zolidine, ethylene glycol dialkyl ether, ammonium salt, pyrrole, 2-methoxy ethanol or aluminum trichloride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wt%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olyte.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carbon nanotubes are uniformly dispersed in a negative electrode.
  • the content thereof may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arbon black, thereby stably exhibiting excellent discharge capacity and output characteristics.
  • it can be usefully used in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 computers, digital cameras, and electric vehicle fields such a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HEVs hybrid electric vehicles
  •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s a unit cell,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may be provided.
  •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is a power tool (Power Tool);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Or it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any one or more of the system for power storage.
  • Power Tool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Or it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any one or more of the system for power storage.
  •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 LG Chemical
  • 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 PVP polyvinyl pyrrolidone
  • Carbon nanotube dispersions were prepared by milling for 1 hour at 8,000 rpm using a mill (Dispermat-CC, manufactured by VMA-Getzmaan).
  •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the content of the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in Example 1 to 5.14% by weight, the content of polyvinyl pyrrolidone to 1.03%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annic acid to 0.51% by weight, In the same manner,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was prepared.
  •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polyvinyl pyrrolidone in Example 1 was 0.75 wt% and the content of tannic acid was 0.05 wt%.
  •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polyvinyl pyrrolidone was 0.45 wt% and the content of tannic acid was 0.35 wt% in Example 1.
  • Carbon nanotube dispersion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annic acid was not included in Example 1 and the polyvinyl pyrrolidone content was changed to 0.8 wt%.
  •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the content of polyvinyl pyrrolidone to 0.4 wt% and tannic acid to 0.4 wt% in Example 1, respectively. .
  •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ame amount of carboxymethyl cellulose (manufactured by Daicel) was used instead of polyvinyl pyrrolidone in Example 1.
  • the viscosity was measured at 25 ° C and 1 rpm using a viscometer (viscometer TV-22, manufactured by TOKI Corporation).
  • Examples 1 to 1 containing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two aromatic rings with the polymer dispersant compared to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of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ing only polyvinylpyrrolidone as a polymer dispersant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of 4 has a low viscosity immediately after dispersing the carbon nanotubes in an aqueous solvent, and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viscosity of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over time is effectively suppressed.
  • Comparative Example 2 includes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and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in a weight ratio of 1: 1. In this case,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the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is used. Although the initial viscosity could be lowered,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viscosity increase due to the change over time was virtually not obtained.
  • Comparative Example 3 includes carboxymethyl cellulose as a polymer dispersant in place of polyvinylpyrrolidone, and includes a polymer dispersant other than an amine together with a phenolic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the viscosity decrease and the increase in viscosity with time change were shown, but the effect was insignificant, and the sam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 dispersants and aromatic rings The difference in results was more pronounced when compared with Example 1, which included.
  •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has a low viscosity only when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in which carbon nanotubes are dispersed in an aqueous solvent contains a polymer dispersant containing an amine and a phenol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in a certain weight ratio.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viscosity with the change over time can be suppres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나노튜브(CNT),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및 수계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100:1 내지 100:9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점도가 낮고 점도의 경시 변화가 적은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관련출원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18년 06월 11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8-0066857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도가 낮고 및 점도의 경시 변화가 적은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압을 가지며, 사이클 수명이 길고,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 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이 같은 고용량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으로서, 전극 밀도를 향상시켜 단위 체적 당 에너지 밀도가 더 높은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밀도 전극은 수 ㎛ 내지 수십 ㎛의 크기를 갖는 전극 활물질 입자를 고압 프레스에 의해 성형하여 형성되는데, 성형 공정 동안, 입자들이 변형되고, 입자들 사이에 공간이 감소될 수 있어서, 전해액 침투성이 저하되기 쉽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극의 제조시 우수한 전기전도성과 강도를 갖는 도전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 활물질 사이에 위치하여 성형 공정을 거치는 경우에도, 활물질 입자들 사이의 미세기공을 유지시켜 전해액이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전극 내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전재 중에서도 전극 내 전기적 도전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전극 저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섬유형 탄소계 도전재인 탄소 나노튜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미세 탄소섬유의 일종인 탄소 나노튜브는 직경 1 ㎛ 이하 굵기의 튜브형 탄소섬유로서, 그 특이적 구조에 기인한 높은 도전성, 인장 강도 및 내열성 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 및 실용화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탄소 나노튜브는 높은 비표면적에 따라 서로 간의 강한 반데르발스 인력에 의해 분산성이 낮고, 응집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음파 처리 등의 기계적 분산 처리를 통해 탄소 나노튜브를 분산매에 분산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기계적 분산 처리 방법의 경우 초음파 조사가 종료됨과 동시에 탄소 나노튜브가 응집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탄소 나노튜브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낮은 점도를 가지며,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의 증가가 억제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분산성이 우수하고, 점도가 낮으며, 점도의 경시 변화가 적은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 나노튜브(CNT),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및 수계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100:1 내지 100:9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 나노튜브,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및 수계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밀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및 특정 구조의 페놀 화합물을 함께 포함하여, 탄소 나노튜브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낮은 점도를 가지며, 점도의 경시 변화가 적으므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저장 및 사용에 있어 유리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는 명시적인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입도 "D50"은 체적 누적량이 50%에 해당하는 입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D50은 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회절법은 일반적으로 서브미크론(submicron) 영역에서부터 수 mm 정도의 입도의 측정이 가능하며, 고 재현성 및 고 분해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표면적"은 BET법에 의해 측정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BEL Japan사의 BELSORP-mino II를 이용하여 액체 질소 온도 하(77K)에서의 질소가스 흡착량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탄소 나노튜브(CNT),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및 수계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100:1 내지 100:9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다.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이하, 본 발명의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각 성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탄소 나노튜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탄소 나노튜브'는 탄소 나노튜브의 단위체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번들형을 이루도록 집합되어 형성된 2차 구조물로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단위체는 흑연면(graphite sheet)이 나노 크기 직경의 실린더 형태를 가지며, sp2 결합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흑연면이 말리는 각도 및 구조에 따라서 도체 또는 반도체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의 단위체는 벽을 이루고 있는 결합수에 따라서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 나노튜브(DWCNT,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번들형(bundle type)'이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탄소 나노튜브의 단위체가 단위체 길이 방향의 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거나, 배열된 후 꼬여있거나 또는 뒤엉켜있는, 다발(bundle) 혹은 로프(rope) 형태의 2차 형상을 지칭한다. '비-번들형(non-bundle type) 또는 인탱글형(entangled type)'이란 탄소 나노튜브의 단위체가 다발 혹은 로프 형태와 같은 일정한 형상이 없이 뒤엉켜 있는 형태를 지칭한다.
탄소 나노튜브는 전도성은 높은 편이나, 탄소 나노튜브 간 발생하는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하여 응집성이 높다. 도전재가 응집되면, 도전 경로를 제대로 형성할 수 없고, 상대적으로 더 많은 도전재를 사용하게 되어, 활물질의 양이 적어지므로, 전극의 성능이 되려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소 나노튜브를 도전재로 상용화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므로, 수계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점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경시 변화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 슬러리에 적용시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높은 전도성에 의한 높은 전도성을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전극 슬러리의 제조에 적용하는 경우, 활물질들 사이에 균일하게 탄소 나노튜브가 위치하게 되어, 전극 슬러리를 코팅 및 건조 후 압연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도중에도 전극 활물질 간의 미세 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응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포하여 소량의 탄소 나노튜브로도 도전 경로가 충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상기 탄소 나노튜브로서 단일벽, 이중벽 및 다중벽의 탄소나노튜브 단위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210 m2/g 이하의 비표면적(BET)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 m2/g 내지 200 m2/g, 더욱 구체적으로 100 m2/g 내지 200 m2/g의 비표면적(BET)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비표면적(BET)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비표면적을 가지는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에 포함되는 탄소 나노튜브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평균 입도(D50)는, 예컨대 3 ㎛ 내지 30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 ㎛ 내지 200 ㎛, 더욱 구체적으로 50 ㎛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평균 입도를 측정하기 위해, 탄소 나노튜브 각각의 단위체의 입도는 레이저 회절 방식(laser diffration)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상기 도전재 분산액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3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3 중량부 내지 6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탄소 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와 같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에 비해 높은 탄소 나노튜브 함량을 가질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 함량이 적은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전극 슬러리의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제조된 전극 슬러리의 고형분 함량이 감소하여 상기 전극 슬러리를 도포하여 건조하기 이전의 두께(젖음 두께)가 두꺼워, 이후 건조 및 압연 처리를 거친 이후 측정되는 압연율이 높아지게 되어 건조 및 압연 전 후 두께비율의 차이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연율이 높아지게 되면, 공정 도중 양극 활물질을 비롯한 슬러리 내부의 조성물들이 손상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2)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 향상을 위하여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함께 포함한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내에서 상기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은 분산제로서 탄소 나노튜브의 분산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점도의 경시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에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함께 포함할 경우, 종래의 분산제만을 사용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에 비해 분산성이 우수하여 슬러리 조성물의 입자 뭉침이 적고, 침강 속도가 작으며, 분리막 기재와의 접착성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 화합물은 2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에 의해 발생하는 벌키(bulky)한 구조 및 페놀기에 포함된 히드록시기의 영향으로 인해 종래에 비해 탄소 나토튜브 분산액, 특히 수계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점도를 감소시키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도의 증가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방향족 고리를 1개만 포함하는 페놀 화합물들(예를 들면, 도파민, 갈산, 피로갈롤, 카테콜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분산액의 점도 개선 효과 및 점도의 경시 변화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
한편, 고분자 분산제로서는 고분자 구조 내에 아민을 함유하는 특정한 고분자 분산제가 적용될 경우에 더욱 향상된 점도 개선 효과 및 점도의 경시 변화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었다. 상기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는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아크릴산 하이드라지드(polyacrylic acid hydrazide), 폴리-N-비닐-5-메톡사졸리돈(poly-N-vinyl-5-methoxazolidon), N-알킬 폴리이민(N-alkyl polyimine), N-아세틸 폴리이민(N-acetyl polyimin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L-리신하이드로브로마이드(poly-L-lysine hydrobromide), 벤질-도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benzyl-do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및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은 상기 방향족 고리 중 1 이상에 페놀 구조, 카테콜 구조, 갈롤 구조 및 나프톨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고리 중 1 이상에 카테콜 구조 및 갈롤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페놀구조는 벤젠링에 히드록시기가 2개 결합된 구조이고, 상기 카테콜 구조는 벤젠링에 히드록시기가 2개 결합된 구조이며, 상기 갈롤 구조는 벤젠링에 히드록시기가 3개 결합된 구조이고, 상기 나프톨 구조는 나프탈렌에 히드록시기가 1개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이 상기 구조를 포함할 경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중에서 상기 방향족 고리와 탄소 나노튜브간의 상호 작용과, 상기 페놀계 화합물의 -OH와 상기 고분자 분산제간의 수소 결합에 의한 상호 작용이 적절히 균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점도 감소 및 경시 변화에 따른 점도 상승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바이칼린, 루테올린, 탁시폴린, 미리세틴, 케르세틴, 루틴,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부테인(butein), 피세아테놀 및 탄닌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닌산, 케르세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이 포함하는 상기 방향족 고리는 다른 방향족 고리와 융합(fused)되지 않은 하나의 방향족 고리 또는 2개의 방향족 고리가 서로 융합된 구조일 수 있고, 3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가 서로 융합된 구조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의 범위에는 분자 구조 내에 3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가 융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은 제외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이 분자 구조 내에 3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가 융합(fused)된 구조를 포함할 경우, 상기 3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가 융합된 구조가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내에서 탄소 나노튜브와 적정 정도 이상의 강한 결합력을 발휘하여 탄소 나노튜브 간의 응집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탄소 나노튜브의 분산성 향상에는 적절치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중에서의 상기 방향족 고리와 탄소 나노튜브간의 상호 작용과, 상기 페놀계 화합물의 -OH와 상기 고분자 분산제간의 수소 결합에 의한 상호 작용의 균형이 깨짐으로써, 적절한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점도 감소 효과 및 경시 변화에 따른 점도 상승 억제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 화합물은 상기 고분자 분산제와 적절한 중량비로 포함될 경우, 분산액의 점도 개선 효과 및 점도의 경시 변화 억제 효과를 모두 발휘할 수 있었으며,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 화합물과 상기 고분자 분산제가 소정 중량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점도 개선 효과는 있었지만 점도의 경시 변화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
상기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은 100:1 내지 100:9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0:10 내지 100:80의 중량비, 더욱 구체적으로 100:20 내지 100:7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이 상기 중량비로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에 포함될 경우, 탄소 나노튜브가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낮은 점도와 함께 시간의 경과에도 점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상기 탄소 나노튜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합계량으로 1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1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분산제 및 상기 페놀계 화합물이 상기 범위보다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과량의 분산제로 인해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이 적용될 수 있는 전극의 전도성이 저해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분산제 및 상기 페놀계 화합물이 전극 내에서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소량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분산성 향상 효과, 점도 저하 효과 및 점도의 경시 변화 억제 효과가 부족할 수 있다.
(3) 수계 용매
상기 용매는 상기 탄소 나노튜브,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매로, 분말 상태의 탄소 나노튜브를 곧바로 전극 슬러리 조성물 제조시 사용하는 경우,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분산 시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용매는 상기 탄소 나노튜브,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일정 수준 이상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계 용매는 예컨대 물일 수 있고, 상기 수계 용매는 이후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슬러리 조성물의 코팅성 등을 감안하여 전극 슬러리 조성물이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분산성이 우수하여, 분산액의 점도가 낮고,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상승 정도가 작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점도계(TOKI사제, viscometer TV-22)를 이용하여 25℃, 1 rpm에서 점도를 측정했을 때 0.1 내지 5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0.1 내지 4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이 상기 범위의 점도를 가질 경우, 이를 이용하여 보다 원활히 전극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고,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가 전극 형성을 위한 적절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이를 25℃에서 1주간 방치했을 때, 점도의 상승률이 100% 이하, 구체적으로 50%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20% 이하일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제조방법
이하,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재 분산액의 제조방법은, (1) 탄소 나노튜브, 고분자 분산제,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및 수계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밀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에서는 탄소 나노튜브, 고분자 분산제,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및 수계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 제조 단계는, 수계 용매의 증발에 의해 혼합물의 점도 등을 비롯한 물성이 변화하지 않는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분산 처리하여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한다.
상기 밀링은 볼 밀(ball mill), 비드 밀(bead mill), 디스크 밀(disc mill) 또는 바스켓 밀(basket mill), 고압 균질기(high pressure homogenizer) 등을 이용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밀 또는 고압 균질기(high pressure homogenizer)를 이용한 밀링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밀에 의한 밀링시, 비드의 크기는 카본 나노튜브의 종류와 양, 그리고 분산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비드의 직경은 0.1 ㎜ 내지 5 ㎜,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 내지 4 ㎜일 수 있다. 또, 비드 밀링 공정은 2,000 rpm 내지 10,000 rpm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000 rpm 내지 9,000 rpm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압 균질기에 의한 밀링은, 예컨대 고압균질기의 플런저 펌프(plunger pump)로 상기 혼합물 가압하고 균질용 밸브의 틈으로 이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틈을 통과할 때의 공동(cavitation), 전단(shear), 충격(impact) 및 파열(explosion) 등의 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밀링 공정은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의 분산 정도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30분 내지 120분, 보다 구체적으로는 60분 내지 9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전극 슬러리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슬러리 조성물은 양극 슬러리 조성물 또는 음극 슬러리 조성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음극 슬러리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슬러리 조성물은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전극 활물질로서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 바인더, 필요에 따라 용매 및/또는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양극 활물질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리튬코발트계 산화물, 리튬니켈계 산화물, 리튬망간계 산화물, 리튬철인산화물, 리튬 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및 LiNiaMnbCocO2 (여기서, 0<a<1, 0<b<1, 0<c< 1)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음극 활물질을 들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음극 슬러리 중 용매를 제외한 고형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N-메틸 피롤리돈(NMP), 디메틸 포름아미드(DMF), 아세톤,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등의 유기 용매 또는 물 등이 있으며,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슬러리의 도포 두께, 제조 수율을 고려하여 상기 전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를 용해 및 분산시킬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 또는 폴리아크릴산 등일 수 있으며, 첨가에 의해 상기 전극 슬러리의 제조와 상기 전극 집전체 상의 도포 공정이 용이하도록 전극 슬러리의 점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전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제;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 전극 슬러리 조성물이 양극을 형성하기 위한 양극 슬러리의 조성물인 경우, 상기 양극 슬러리의 조성물을 양극 집전체 상에 도포 후 건조 및 압연을 거쳐 양극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양극 슬러리를 별도의 지지체 상에 캐스팅한 다음, 상기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은 필름을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양극 슬러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양극 활물질 층의 두께는 상기 양극 슬러리를 도포하기 위한 로딩 양, 로딩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슬러리 조성물이 음극을 형성하기 위한 음극 슬러리의 조성물인 경우, 음극 집전체 상에 상기 음극 슬러리의 조성물을 도포 후 건조 및 압연을 거쳐 음극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음극 슬러리를 별도의 지지체 상에 캐스팅한 다음, 상기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은 필름을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슬러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음극 활물질 층의 두께는 상기 음극 슬러리를 도포하기 위한 로딩 양, 로딩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 및 전해액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 및 음극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분리막은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 리튬 이차전지에서 분리막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 저항이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내열성 또는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세라믹 성분 또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코팅된 분리막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리튬 이차 전지 제조시 사용 가능한 유기계 액체 전해질, 무기계 액체 전해질, 고체 고분자 전해질, 겔 형 고분자 전해질, 고체 무기 전해질, 용융형 무기 전해질 등일 수 있으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질은 유기 용매 및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전지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틸 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γ-부티로락톤(γ-butyrolactone),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디부틸 에테르(dibutyl ether) 또는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등의 에테르계 용매;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등의 케톤계 용매; 벤젠(benzene), 플루오로벤젠(fluorobenzene)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carbonate, DMC),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carbonate, DEC), 메틸에틸카보네이트(methylethylcarbonate, M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methylcarbonate, EMC),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등의 카보네이트계 용매;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R-CN(R은 C2 내지 C2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 구조의 탄화수소기이며, 이중결합 방향 환 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1,3-디옥솔란 등의 디옥솔란류; 또는 설포란(sulfolane)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카보네이트계 용매가 바람직하고, 전지의 충방전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높은 이온전도도 및 고유전율을 갖는 환형 카보네이트(예를 들면, 에틸렌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와, 저점도의 선형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예를 들면,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또는 디에틸카보네이트 등)의 혼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형 카보네이트와 사슬형 카보네이트는 약 1:1 내지 약 1:9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전해질의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리튬 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리튬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염은, LiPF6, LiClO4, LiAsF6, LiBF4, LiSbF6, LiAl04, LiAlCl4, LiCF3SO3, LiC4F9SO3, LiN(C2F5SO3)2, LiN(C2F5SO2)2, LiN(CF3SO2)2. LiCl, LiI, 또는 LiB(C2O4)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0.1 M 내지 2.0 M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리튬염의 농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되면, 전해질이 적절한 전도도 및 점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전해질 성능을 나타낼 수 있고, 리튬 이온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에는 상기 전해질 구성 성분들 외에도 전지의 수명특성 향상, 전지 용량 감소 억제, 전지의 방전 용량 향상 등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디플루오로 에틸렌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할로알킬렌카보네이트계 화합물,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인산 트리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또는 삼염화 알루미늄 등의 첨가제가 1종 이상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전해질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구체적으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는 음극 내에 탄소 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고, 종래의 카본블랙과 같은 도전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그 함량을 줄일 수 있어 우수한 방전 용량 및 출력 특성을 안정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등의 전기 자동차 분야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리튬 이차전지,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 셀로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은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또는 전력 저장용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대형 디바이스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비표면적 185 m2/g, 평균 입도(D50) 93 μm인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MWCNT, 엘지화학제) 4 중량%, 고분자 분산제로서 폴리비닐 피롤리돈(PVP, Zhangzhou Huafu Chemical사제) 0.6 중량%,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로서 탄닌산(시그마 알드리치사제) 0.2 중량% 및 용매로서 물을 혼합하여 200 g의 혼합물을 제조한 후, 이에 지르코니아 비드 700 g을 혼합하여 디스크 타입 밀(Dispermat-CC, VMA-Getzmaan사제)을 이용하여 8,000 rpm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밀링하여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의 함량을 5.14 중량%로,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함량을 1.03 중량%로, 탄닌산의 함량을 0.51 중량%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함량을 0.75 중량%로, 탄닌산의 함량을 0.05 중량%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함량을 0.45 중량%로, 탄닌산의 함량을 0.35 중량%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탄닌산을 포함하지 않고,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함량을 0.8 중량%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 피롤리돈의 함량을 0.4 중량%로, 탄닌산을 0.4 중량%로 각각 그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대신하여 같은 함량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Daicel사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3의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들을 25℃에서 1주일간 방치한 후의 점도를 다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점도는 점도계(viscometer TV-22, TOKI사제)를 이용하여 25℃, 1 rpm에서 측정되었다.
탄소 나노튜브의 함량 (중량%) 고분자 분산제 / 중량%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 중량% 점도
분산후 1주 경과 후
실시예 1 4 PVP 0.6 탄닌산 0.2 3.4 3.3
실시예 2 5.14 PVP 1.03 탄닌산 0.51 0.4 0.4
실시예 3 4 PVP 0.75 탄닌산 0.05 3.8 4.3
실시예 4 4 PVP 0.45 탄닌산 0.35 1.8 2.5
비교예 1 4 PVP 0.8 - 5.8 13.6
비교예 2 4 PVP 0.4 탄닌산 0.4 0.9 7.4
비교예 3 4 CMC 0.6 탄닌산 0.2 5.4 10.8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폴리비닐피롤리돈만을 고분자 분산제로서 포함하는 비교예 1의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에 비해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고분자 분산제와 함께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수계 용매에 탄소 나노튜브를 분산시킨 직후의 점도가 낮고, 특히 시간 경과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점도 상승이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2의 결과를 비교하면,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에 포함되는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의 중량비 및 총 합계량이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점도 및 점도의 경시변화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2는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와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1:1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초기 점도는 낮출 수 있었지만, 경시 변화에 따른 점도 상승 억제 효과는 사실상 얻을 수 없었다.
한편, 비교예 3은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대신하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고분자 분산제로 포함하여,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가 아닌 고분자 분산제를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과 함께 포함하고 있는데, 비교예 1의 결과에 비해서는 약간의 점도 하락 및 경시 변화에 따른 점도 상승 억제 효과를 나타냈지만 그 효과가 미미하였으며,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같은 함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과 비교시에는 그 결과의 차이가 더욱 극명하였다.
따라서, 수계 용매에 탄소 나노튜브를 분산시킨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이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일정 중량비로 포함할 경우에만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이 낮은 점도를 나타내고, 경시 변화에 따른 점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탄소 나노튜브(CNT),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및 수계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100:1 내지 100:9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210 m2/g 이하의 비표면적(BET)을 가지는,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상기 도전재 분산액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포함되는,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분산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아크릴산 하이드라지드(polyacrylic acid hydrazide), 폴리-N-비닐-5-메톡사졸리돈(poly-N-vinyl-5-methoxazolidon), N-알킬 폴리이민(N-alkyl polyimine), N-아세틸 폴리이민(N-acetyl polyimin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L-리신하이드로브로마이드(poly-L-lysine hydrobromide), 벤질-도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benzyl-do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및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은 상기 방향족 고리 중 1 이상에 페놀 구조, 카테콜 구조, 갈롤 구조, 및 나프톨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은 분자 구조 내에 3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가 융합(fused)된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은 바이칼린, 루테올린, 탁시폴린, 미리세틴, 케르세틴, 루틴, 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뷰테인(butein), 피세아테놀 및 탄닌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은 상기 탄소 나노튜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고분자 분산제 및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합계량으로 1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포함하는,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9. 제 1 항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슬러리 조성물.
  10. (1) 탄소 나노튜브, 아민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산제, 방향족 고리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및 수계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밀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의 제조방법.
PCT/KR2019/006907 2018-06-11 2019-06-07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2404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58605A JP7036948B2 (ja) 2018-06-11 2019-06-07 炭素ナノチューブ分散液及びこの製造方法
EP19820548.6A EP3805154A4 (en) 2018-06-11 2019-06-07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S AND ITS PREPARATION PROCESS
CN202310817427.XA CN116750753A (zh) 2018-06-11 2019-06-07 碳纳米管分散体及其制备方法
CN201980027612.0A CN112004776B (zh) 2018-06-11 2019-06-07 碳纳米管分散体及其制备方法
US17/049,477 US11542164B2 (en) 2018-06-11 2019-06-07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7/993,733 US11845655B2 (en) 2018-06-11 2022-11-23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857 2018-06-11
KR1020180066857A KR102482505B1 (ko) 2018-06-11 2018-06-11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049,477 A-371-Of-International US11542164B2 (en) 2018-06-11 2019-06-07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7/993,733 Continuation US11845655B2 (en) 2018-06-11 2022-11-23 Carbon nanotube disper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0439A1 true WO2019240439A1 (ko) 2019-12-19

Family

ID=6884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6907 WO2019240439A1 (ko) 2018-06-11 2019-06-07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42164B2 (ko)
EP (1) EP3805154A4 (ko)
JP (1) JP7036948B2 (ko)
KR (2) KR102482505B1 (ko)
CN (2) CN116750753A (ko)
WO (1) WO2019240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505B1 (ko) * 2018-06-11 2022-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479185B (zh) * 2020-12-03 2022-03-29 安徽大学 一种聚单宁酸氨酯稳定的碳纳米管水分散体及其制备方法
CN112724812B (zh) * 2020-12-29 2022-04-19 苏州德达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自洁韧釉漆及其制备方法
KR102394680B1 (ko) * 2021-08-13 2022-05-04 김민영 재생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23022073A1 (ja) * 2021-08-20 2023-02-23 三菱鉛筆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液、これを用いた導電ペースト、二次電池用電極ペースト、二次電池用電極、及び、二次電池
WO2023068781A1 (ko) * 2021-10-19 2023-04-27 주식회사 베터리얼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518382B1 (ko) * 2021-10-19 2023-04-06 주식회사 베터리얼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3136631A1 (ko) * 2022-01-13 2023-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번들형 탄소나노튜브
WO2023163123A1 (ja) * 2022-02-24 2023-08-31 パナソニックエナジ-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液の製造方法、二次電池の負極合剤および二次電池
KR102518417B1 (ko) * 2022-09-05 2023-04-06 주식회사 베터리얼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532086B1 (ko) * 2022-10-27 2023-05-15 주식회사 베터리얼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5709987A (zh) * 2022-11-14 2023-02-24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利用熔融混合盐分散碳纳米管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5671A (ja) * 2009-01-30 2010-09-09 Kawaken Fine Chem Co Ltd 分散安定性の高いカーボンナノ粒子水性分散液、その製造方法及びカーボンナノ粒子分散膜材
JP2015188774A (ja) * 2014-03-27 2015-11-02 大阪瓦斯株式会社 ナノカーボン用分散剤
KR20160133711A (ko) *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농도 하이브리드 탄소나노튜브/그래핀 분산액의 제조 방법
KR20180054355A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6857A (ko) 2016-12-09 2018-06-1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헨 반송 시스템, 반송 장치 및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72B1 (ko) * 2002-11-26 201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 나노튜브 미립자,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R2849437B1 (fr) * 2002-12-30 2005-03-25 Nanoledge Nanotubes de carbone
US7819938B2 (en) * 2004-12-22 2010-10-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ighly aromatic compounds and polymers as precursors to carbon nanotube and metal nanoparticle compositions in shaped solids
JPWO2006132254A1 (ja) 2005-06-07 2009-01-08 株式会社クラレ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液およびこれを用いた透明導電膜
DE102005043054A1 (de) 2005-09-09 2007-03-15 Future Carbon Gmbh Dispersio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13147087A1 (ja) 2012-03-28 2013-10-03 宇部興産株式会社 微細カーボン分散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ポリイミド-微細カーボン複合体
EP3026014A4 (en) * 2013-07-25 2017-03-29 Toray Industries, Inc. Carbon nanotube composite, semiconductor device, and sensor using same
WO2015170918A1 (ko) * 2014-05-09 2015-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래핀 피복된 다공성 실리콘-탄소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99358A1 (ko) 2015-12-10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재 분산액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
KR102482505B1 (ko) * 2018-06-11 2022-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5671A (ja) * 2009-01-30 2010-09-09 Kawaken Fine Chem Co Ltd 分散安定性の高いカーボンナノ粒子水性分散液、その製造方法及びカーボンナノ粒子分散膜材
JP2015188774A (ja) * 2014-03-27 2015-11-02 大阪瓦斯株式会社 ナノカーボン用分散剤
KR20160133711A (ko) *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농도 하이브리드 탄소나노튜브/그래핀 분산액의 제조 방법
KR20180054355A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6857A (ko) 2016-12-09 2018-06-1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헨 반송 시스템, 반송 장치 및 모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HAMADANI, YASIR A. J. ET AL.: "Stabilization and dispersion of carbon nanomaterials in aqueous solutions: A review",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vol. 156, 2 November 2015 (2015-11-02), pages 861 - 874, XP029320025, DOI: 10.1016/j.seppur.2015.11.0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04776B (zh) 2023-07-25
US20230085066A1 (en) 2023-03-16
EP3805154A4 (en) 2021-08-11
KR102482505B1 (ko) 2022-12-30
KR102519919B1 (ko) 2023-04-11
CN116750753A (zh) 2023-09-15
US20210246028A1 (en) 2021-08-12
US11542164B2 (en) 2023-01-03
JP7036948B2 (ja) 2022-03-15
JP2021520040A (ja) 2021-08-12
KR20230002198A (ko) 2023-01-05
CN112004776A (zh) 2020-11-27
US11845655B2 (en) 2023-12-19
KR20190140275A (ko) 2019-12-19
EP3805154A1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40439A1 (ko) 탄소 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3804B1 (ko)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이를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KR101773698B1 (ko)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9151833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064256A1 (ko) 유/무기 복합 다공층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2254B1 (ko) 이차전지 양극용 슬러리의 제조방법
WO2019156461A1 (ko)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8217071A1 (ko)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이와 같이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168308A1 (ko)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0162708A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174619A1 (ko) 이차전지 양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174616A1 (ko) 양극 활물질 선분산체 조성물,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133127A1 (ko) 수계 양극용 슬러리, 양극 조성물 및 이 양극 조성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WO2021066557A1 (ko)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2045852A1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9004705A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WO2020242257A1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2139563A1 (ko) 이차전지용 음극, 음극용 슬러리 및 음극의 제조 방법
WO2022103094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9160391A1 (ko)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8174538A1 (ko) 이차전지 양극용 슬러리의 제조방법
WO2020209685A1 (ko)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3080516A1 (ko) 부착 증진층이 코팅된 양극 집전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16114589A1 (ko)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3121275A1 (ko) 양극 슬러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205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5860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205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