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03440A1 - 그릴 이동형 구이기 - Google Patents

그릴 이동형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03440A1
WO2019203440A1 PCT/KR2019/002661 KR2019002661W WO2019203440A1 WO 2019203440 A1 WO2019203440 A1 WO 2019203440A1 KR 2019002661 W KR2019002661 W KR 2019002661W WO 2019203440 A1 WO2019203440 A1 WO 20192034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d
roasting
grill
chain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6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주)기찬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찬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기찬하이테크
Priority to CN201980024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004446A/zh
Priority to US17/045,576 priority patent/US11751720B2/en
Priority to JP2020556798A priority patent/JP6999199B2/ja
Publication of WO20192034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034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conveyors moving in a horizontal or an inclined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체인에 버킷홈과 봉 굴림부를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용 봉을 체인을 통해 순차 이송시 구이용 봉이 회전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고기가 구이용 봉에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하고, 순차 공급되는 구이용 봉을 안정된 위치에 정렬시켜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는 구이용 봉 사이로 고기가 낙하되는 문제를 개선함은 물론, 낙하 유도편을 통해 구이용 봉이 수거통에 낙하시 그 낙하되는 구이용 봉이 수거통 내에서 어느 한 지점에 편중되지 않고 고루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면서, 구이용 봉에 대한 공급 과정과 고기 구이 과정, 그리고 구이용 봉에 대한 수거 과정에서의 사용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그릴 이동형 구이기
본 발명은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킷 일체형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따라 전개되는 구이용 봉이 회전하면서 순차 이송하여 조밀하게 놓여지게 함으로서 하나의 그릴형 구이판이 형성되도록 하며, 구이용 봉의 공급이 시작되는 지점에 고기를 올려 놓으면 체인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버킷에 양단이 거치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이용 봉 위의 고기는 숯불 위를 서서히 지나면서 골고루 익히게 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숯불 구이판은 원형 또는 사각형태의 단순한 석쇠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석쇠를 숯불 구이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상 3∼4회 정도의 구이판 교체가 요구되고 있으며, 종래의 숯불 구이판은 잦은 교체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과 종업원에 의한 구이판 교체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많고, 또한 숯불 구이판의 늦은 교체로 인해 발생되는 고객 불만과 종업원의 증가로 인한 인건비 상승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숯불 구이판의 세척에 있어서도 별도의 종업원이 숯불 구이판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세척함에 따라 발생되는 작업의 곤란성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증가와 인건비의 상승으로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야외 바베큐 형으로 사용되는 숯불 구이판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종래의 숯불 구이판과 같이 단순한 형태로 석쇠 등이 올려져 사용되고 있으며, 이 또한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이판의 교체가 요구되고 있으나 별도의 구비가 어려워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세척에 있어서도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회전형 숯불 구이판이 개시되었지만, 이러한 회전형 숯불 구이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첫째; 구이용 봉이 이송시 이탈하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
둘째; 호퍼형태로 제공되는 공급부에 수납되어 있는 많은 량의 봉들이 일정 공간 내에 상호 적층되어 있는 까닭에 자중에 의해 눌리면서 하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셋째; 공급부에 수납되어 있는 구이용 봉이 소량인 경우 내부의 누름압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구이용 봉의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넷째;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이용 봉을 체인을 따라 단지 수평 이동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어서 공급되는 구이용 봉이 가열됨에 따른 봉의 표면에 고기가 눌러 붙는 현상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고기 구이를 마치고 숯불을 제거하기 위하여 체인을 따라 공급되는 구이용 봉들을 인위적으로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여섯째; 표면이 기름으로 오염된 구이용 봉이 수거함에 쌓이게 될 때 체인의 낙하지점에 인접한 위치에 집중 낙하되면서 엉키는 현상을 보이게 됨으로서 수거함의 유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고, 인하여 수거함을 불필요하게 빈번히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버킷 일체형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따라 전개되는 구이용 봉이 회전하면서 순차 이송하여 조밀하게 놓여지게 함으로서 하나의 그릴형 구이판이 형성되도록 하며, 구이용 봉의 공급이 시작되는 지점에 고기를 올려 놓으면 체인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버킷에 양단이 거치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이용 봉 위의 고기는 숯불 위를 서서히 지나면서 골고루 익히게 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을 따라 조밀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 공급되는 구이용 봉 상측에 상기 구이용 봉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봉 굴림부을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서, 고기와 접촉하는 상기 구이용 봉이 연속 회전하면서 고기가 구이용 봉에 붙는 것을 방지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구이용 봉의 순차 공급시 그 공급이 안정된 위치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정렬되도록 하여, 고기 구이를 위한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는 구이용 봉 사이로 고기가 낙하되고 이로인해 기름이 연소되어 유해한 가스와 발암물질을 포함하는 분진이 고기로 올라와 고기에 붙게 되면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개선한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일정의 구이가 완료되어 구이기로부터 숯불을 제거하기 위하여 체인을 따라 공급되는 구이용 봉을 각기 상부로 분리시키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용 봉 공급 억지기능을 갖춘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낙하 유도편을 통해 구이용 봉이 수거통에 낙하시 그 낙하되는 구이용 봉이 수거통 내에서 어느 한 지점에 편중되지 않고 고루게 분포되면서 수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수거함을 불필요하게 빈번하게 교체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기 위해 구이용 봉을 순차 공급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이 경사진 호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퍼의 하단에는 봉 인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봉 인출구 외측에는 상기 버킷홈에 연속적으로 적재되는 상기 구이용 봉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키게 되는 인출차단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공급부; 좌우 한 쌍으로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순차 공급되는 구이용 봉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을 가지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 이송하여 상기 구이용 봉을 순차 이송시키는 체인부; 상기 체인부의 버킷홈에 안착 정렬되는 구이용 봉이 순차 이송시, 상기 구이용 봉의 양측 단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서, 고기와 접촉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일정 속도로 연속 회전시키는 봉 굴림부; 및, 그릴 구이판 사용이 종료되는 상기 구이용 봉이 상기 체인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체인부로부터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수거하는 수거통;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인출차단부재는, 상기 봉 인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구이용 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이 형성되는 봉 공급 휠; 상기 봉 공급 휠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구이용 봉의 인출을 위해 상기 봉 공급 휠을 회전시키는 제 2 피동기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1 피동기어는 물론 상기 제 2 피동기어와 기어 맞물림되고, 상기 제 1 피동기어로부터 전달되는 제 1 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제 2 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전달기어와 상기 제 1 피동기어의 기어 맞물림 또는 그 기어 맞물림을 분리시키도록 작동하는 클러치 레버; 상기 클러치 레버에 접촉하는 구동을 통해 상기 클러치 레버를 유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클러치 레버에 미접촉시, 상기 전달기어가 상기 제 1 피동기어에 기어 맞물림되도록 상기 클러치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봉 굴림부는, 상기 체인부의 하부 양단에 형성되는 안내롤러; 상기 체인부의 하부에 구이용 봉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안내롤러에 결합되어 폐루프를 이루며 상기 구이용 봉의 하부에 밀착되는 고무링 벨트 타입의 봉 굴림링; 및, 복수를 이루는 상기 안내롤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 2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체인부의 상부에는 상기 구이용 봉에 대한 상부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상하방향 장공에 의해 밀착 조임되는 봉 이탈방지용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는 터치형 제어패널을 설치하되, 상기 제어패널에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 식사를 마친 상태를 알리고 숯불을 제거하도록 요청하는 제 1 버튼, 사용중인 불판 전체를 신속하게 교체하도록 이동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는 제 2 버튼, 그리고 일반적인 식사 모드로서 구이물이 올려진 불판이 천천히 수평이동하며 수거되도록 하는 제 3 버튼이 마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구이용 봉이 양념없는 고기 구이용으로 사용시, 고기 접촉용의 메인봉과, 상기 메인봉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봉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거치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메인봉은 상기 메인봉들 사이는 고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이 봉들 사이에 머물면서 숯불로 낙하하여 연소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1~2㎜ 범위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원형 단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메인봉은 상기 메인봉들 사이는 고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이 봉들 사이에 머물면서 숯불로 낙하하여 연소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2㎜ 이상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각형 단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제 1 모터; 상기 구동기어와 구동벨트로 연결되는 제 1 피동기어; 상기 제 1 피동기어의 일면에 고정축으로 연결되며, 폐회로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와 연결되는 제 1 체인기어; 상기 제 1 체인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구이용 봉의 공급측에 마련되는 제 2 체인기어; 및, 상기 제 2 체인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구이용 봉의 수거측에 마련되는 제 3 체인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거통에 인접하는 상기 제 3 체인기어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 1 라쳇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라쳇기어에는 상기 제 1 라쳇기어 회전시 상기 버킷홈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상기 수거통에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도록 기울임각이 변화되는 낙하유도판을 연결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낙하유도판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이고, 상기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 일단에는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라쳇기어에 맞물림 결합되는 제 2 라쳇기어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거통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낙하유도판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구이용 봉이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이 어느 한 위치에서 집중 적층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봉 정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호퍼의 내측에는 구이용 봉들이 누름압에 의해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구이용 봉들에 대한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판을 좌우 양측에 교차되게 설치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체인부는, 양단에 한 쌍의 제 1 중공홀을 천공하고 이들 한 쌍의 제 1 중공홀 중심선을 기준 폭으로 상부 연장 꺽임되는 복수의 상부안착면과, 상기 상부안착면들 사이에 구이용 봉의 양단이 안착되는 버킷홈을 형성한 단위블럭체인 제 1 체인연결편; 양단에 한쌍의 제 2 중공홀을 천공되며, 인접한 2개의 상기 제 1 체인연결편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체인연결편; 및, 상기 제 1,2 중공홀에 양단이 끼움 결합된 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이 비틀림이 억제되면서 안정된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을 결합시키는 체인결합핀; 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핀부는, 상기 제 1 중공홀에 끼워지며,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최종 리벳마감부를 마련하게 되는 제 1 핀부; 및, 상기 제 1 핀부 보다는 굵고 체인결합핀 중심부보다는 가늘게 구성되어 상기 제 1 핀부 및 체인결합핀 중심부와 단턱으로 분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체인연결편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길게 형성되는 제 2 핀부; 로 구성하여,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이 최소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마찰 간섭이 억제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버킷홈은 상기 구이용 봉의 양단 거치부 일부를 노출되도록 상기 구이용 봉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안착면의 일단에는 상기 버킷홈으로 상기 구이용 봉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안착면의 타단에는 상기 버킷홈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안착되는 상기 구이용 봉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걸림턱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송부인 체인에 버킷홈과 봉 굴림부를 구성하는 한편, 공급부와 수거통에 구이용 봉의 공급과 수거를 정렬하는 정렬부재를 구성하여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용 봉을 이송부인 체인을 통해 순차 이송시 그 구이용 봉이 회전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첫째; 이송되는 구이용 봉이 이탈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둘째; 호퍼형태로 제공되는 공급부에 수납되어 있는 많은 량의 봉들이 일정공간 내에 상호 적층되더라도 이들이 자중에 의해 순차 배출시켜, 구이용 봉들의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셋째; 순차 이송하는 구이용 봉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기 구이를 위한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는 구이용 봉 사이로 고기가 낙하되고 이로인해 기름이 연소되어 유해한 가스와 발암물질을 포함하는 분진이 고기로 올라와 고기에 붙게 되면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넷째, 고기 구이를 마치고 숯불을 제거하기 위하여 체인을 따라 공급되는 구이용 봉들이 수거통에 낙하되어 수거될 때 그 구이용 봉들이 낙하 유도편에 의해 어느 한 지점에 편중되지 않고 고루게 분포되면서 낙하되도록 하여, 체인의 낙하지점에 인접한 위치에 집중 낙하되면서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수거통의 유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수거통을 불필요하게 빈번히 교체하는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대한 전체적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체인 구조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체인 구조의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양념된 고기 구이용 봉이 체인연결편의 버킷홈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7의 (a)(b)(c)(d)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고기 구이용 봉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생고기 구이용 봉인 도 7의 (b)가 체인연결편의 버킷홈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낙하유도판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공급부인 호퍼의 봉 인출구에 인출차단부재와 봉 굴림링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전체적인 단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출차단부재에 의해 봉 인출구에서 구이용 봉의 인출이 차단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출차단부재에 의해 봉 인출구에서 구이용 봉이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체인부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봉 굴림링과 구이용 봉의 상부 이탈을 방지시키는 고정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그릴의 이동 상태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의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대한 전체적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공급부(10), 제 1 구동부(20), 좌우 한 쌍의 체인부(30), 봉 굴림부(50), 수거통(6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부(10)는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기 위한 구이용 봉(100)을 순차 공급하는 것으로, 이는 분리 이동형으로 바닥면이 경사진 호퍼로서, 하단에는 수용되는 구이용 봉(100)이 자중에 의하여 인출되도록 봉 인출구(11)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호퍼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구이용 봉(100)들에 대한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판(12)을 교차되게 설치 구성하였으며, 상기 하중분산판(12)은 구이용 봉(100)들이 누름압에 의해 정체되면서 상기 봉 인출구(11)를 통한 인출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이용 봉(100)은 양념없는 고기 구이용 또는 숯불구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구이용 봉(100)이 숯불구이용으로 사용시, 첨부된 도 8의 (a)에서와 같이 단일 직경을 가지는 봉 형상의 구조물이 적용되는 것이다.
반면, 첨부된 도 7의 (b)(c)(d)에서와 같이, 상기 구이용 봉(100')이 양념없는 고기 구이용으로 사용시, 고기 접촉용의 메인봉(101)과, 상기 메인봉(101)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봉(10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거치봉(102)으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7의 (b)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봉(101)들은 1∼2㎜ 범위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원형 단면이거나, 첨부된 도 7의 (c) 및 도 7의 (d)에서와 같이 2㎜ 이상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각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메인봉(101)을 원형 단면 또는 각형 단면으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메인봉(101)들 사이는 고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이 봉들 사이에 머물면서 숯불로 낙하하여 연소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구동부(20)는 구동기어(21a)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제 1 모터(21)와, 상기 구동기어(21a)와 구동벨트(22a)로 연결되는 제 1 피동기어(22)와, 상기 제 1 피동기어(22)의 일면에 고정축으로 연결되며 폐회로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30)가 연결되는 제 1 체인기어(23)와, 상기 제 1 체인기어(23)와 일정거리 이격되고 구이용 봉(100)의 공급측에 마련되는 제 2 체인기어(24), 그리고 상기 제 2 체인기어(24)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구이용 봉(100)의 수거측에 마련되는 제 3 체인기어(25)가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체인부(30)는 상기 구동부(20)에 포함되는 제 1,2,3 체인기어(23)(24)(25)에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2 체인기어(23)(24)로 진행하는 상기 체인부(30)는 상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안정적이면서도 순차적으로 연속 탑재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 2,3 체인기어(24)(25)로 진행하는 상기 체인부(30)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숯불의 상면을 일정속도로 지나며 고기 구이용 그릴 판부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수평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체인부(30)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 1,2 체인연결편(31)(32)과 체인결합핀(33)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 것이다.
상기 제 1 체인연결편(31)은 상면에 연장된 높이의 버킷부(4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하단의 체인결합부 양단에는 한 쌍의 제 1 중공홀(31a)을 천공하고 이들 한 쌍의 제 1 중공홀(31a) 중심선을 기준 폭으로 상부 연장 꺽임되는 복수의 상부안착면(31b)과, 상기 상부안착면(31b)들 사이에 버킷홈(41)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버킷홈(41)은 상기 구이용 봉(100)의 높이보다 낮게 설계되어 상기 구이용 봉(10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상부안착면(31b)의 일단에는 상기 버킷홈(41)으로 상기 구이용 봉(100)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4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안착면(31b)의 타단에는 상기 버킷홈(41)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안착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의 이탈을 방지시키게 되는 걸림턱(43)을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급부(10)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봉 인출구(11)로 부터 하나씩 인출되는 구이용 봉(100)의 양측 단부가 상기 버킷홈(41)에 안착될 때, 상기 경사면(42)은 상기 구이용 봉(100)의 투입을 가이드하여 중앙에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걸림턱(43)은 상기 버킷홈(41)으로 안착된 구이용 봉(100)이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체인연결편(32)은 양단에 한쌍의 제 2 중공홀(32a)을 천공되면서 상기 상기 제 1,2,3 체인기어(23)(24)(25)들이 안착되며, 복수의 상기 제 1 체인연결편(31)을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체인결합핀(33)은 상기 제 1,2 중공홀(31a)(32a)에 양단이 끼움 결합된 제 1,2 핀부(33a)(33b)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31)(32)이 비틀림이 억제되면서 안정된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31)(32)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1 핀부(33a)는 상기 제 1 중공홀(31a)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1 중공홀(31a)보다 미세하게 작은 굵기로 이루어지며,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최종 리벳마감부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핀부(33b)는 상기 제 1 핀부(33a) 보다는 굵고 체인결합핀(33)의 중심부보다는 가늘게 구성되어 상기 제 1 핀부(33a) 및 체인결합핀(33) 중심부와 단턱으로 분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중공홀(31a)의 직경보다 큰 상기 제 2 중공홀(32a)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2 중공홀(32a)보다 미세하게 작은 굵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체인연결편(32)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인결합핀(33)의 제 1,2 핀부(33a)(33b)를 통해 제 1,2 체인연결편(31)(32)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2 체인연결편(31)(32)은 최소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접촉면의 눌림 마찰에 의한 저항이 억제된 상태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봉 굴림부(50)는 상기 제 1 체인연결편(31)의 버킷홈(41)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버킷홈(41)에 안착되어 상기 체인부(30)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구이용 봉(100)을 회전시키는 고무막대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막대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체인부(30)의 수평구간 상측에 형성한 것이다.
이같은 상기 봉 굴림부(50)는, 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구이용 봉(100)의 양측 단부 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구이용 봉(100)을 일정속도로 회전시켜 주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인데, 이같이 구이용 봉(100)이 회전되면서 공급되도록 함으로 인하여, 첫째; 구이용 봉 위에 올려지는 고기가 구이용 봉의 표면에 눌러붙지 않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하고, 둘째; 숯불에 달구어진 구이용 봉의 표면이 회전에 의해 언제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써, 구이용 봉의 회전 공급은 결국 고기와 닿은 상면에서 손실된 열을 지속적으로 보전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셋째; 구이용 봉의 회전은 고기로부터 스며나와 봉의 표면에 뭍은 기름이 숯불 위로 떨어지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막아주게 된다.
상기 수거통(60)은 그릴 구이판 사용이 종료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상기 체인부(3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수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거통(60)에 인접하는 제 3 체인기어(25)에는 벨트(81)로 제 1 라쳇기어(82)가 연결되며, 상기 제 1 라쳇기어(82)에는 상기 제 1 라쳇기어(82) 회전시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상기 수거통(60)에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도록 기울임각이 변화되는 낙하유도판(83)을 연결하였다.
이러한 낙하유도판(83)은 도 9에서 보이고 있듯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 일단에는 회전축(821a)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821a)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라쳇기어(82)에 맞물림 결합되는 제 2 라쳇기어(821)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거통(60)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낙하유도판(83)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구이용 봉(100)이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어느 한 위치에서 집중 적층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봉 정렬부(91)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우선 호퍼로 이루어진 공급부(10)의 내부에 첨부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숯불 구이용 봉(100) 또는 첨부된 도 7의 (b)(c)(d)에 도시되는 것들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양념없는 고기 구이용 봉(100')을 투입한 후, 상기 공급부(10)의 상부 개구부를 덮개로 밀폐시킨다.
이후, 구동부(20)의 제 1 모터(21)를 구동시키면, 상기 제 1 모터(21)의 구동에 따라 구동기어(21a)가 회전하고, 이에 구동벨트(22a)로 연결된 제 1 피동기어(2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피동기어(22)에는 고정축으로 제 1 체인기어(2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인기어(23)보다 높은 위치에서 경사진 각도에는 제 2 체인기어(24)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 2 체인기어(24)와 일정거리 이격된 수평라인에는 제 3 체인기어(25)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 1,2,3 체인기어(23)(24)(25)에는 체인부(30)의 제 2 체인연결편(32)이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는 바, 상기 제 1 피동기어(22)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제 1,2,3 체인기어(23)(24)(25)가 연동 회전하면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체인부(3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 체인연결편(31)의 상측에 형성되는 버킷홈(41)에는 상기 공급부(10)의 봉 인출구(11)에서 인출되는 구이용 봉(100)이 하나씩 안착되어 이송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킷홈(41)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은 수평구간을 지날 때에 그 양측단이 봉 굴림부(50)에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구이용 봉(100)은 균일한 속도로 정속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이용 봉(100)이 상기 봉 굴림부(50)에 회전시 그 회전속도는 상기 체인부(30)의 회전 이동속도에 대하여 1/2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구이용 봉(100)에 닿는 고기면에 충분한 열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따라서,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이 영역에 체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이용 봉(100)이 공급되며 상면을 체우게 되는 것이며, 이로서 조밀한 간격의 봉으로 이루어지는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새로운 구이용 봉(100)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그릴 구이판 위에 고기를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구이용 봉(100)은 체인을 따라 회전 이송이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그 위에 올려진 고기는 회전하여 이동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따라 한쪽으로 옮겨지게 되는 것이므로, 충분히 익은 고기는 한쪽에 쌓이게 되는 반면, 새로이 공급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의 위에 추가로 고기를 올려 놓으면, 올려진 고기가 다시 구워지면서 이동하는 순환 과정이 반복되며, 이에따라 고기가 타는 것을 염려함이 없이 필요한 량의 고기를 올려 놓고 대화를 나누면서도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이용 봉(100)의 공급이 시작되는 지점에 고기를 올려 놓으면, 체인부(30)를 따라 버킷부(40)위에 양단이 거치된 상태로 조밀하고도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 위의 고기는 숯불 위를 서서히 지나면서 골고루 익게 되는 것인데, 이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까닭에 고기가 타지 않고 골고루 구워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기의 구이를 마치고 한쪽으로 이동한 오염된 구이용 봉(100)은 수거통(60)에 근접하게 되고, 제 3 체인기어(25)에 이를 때에 체인부(3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버킷홈(4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수거통(60)으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이때에도 공급부(10)로부터의 구이용 봉(100)에 대한 공급을 계속된다. 다시말해 숯불 위에는 구이용 봉(100)이 지속적으로 공급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식사를 모두 마치고 숯불 위에 고기가 놓여 있지 아니한 경우에도 구이용 봉(100)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숯불 위는 이동하는 구이용 봉(100)으로 가리워져 있게 된다.
따라서 고기 구이를 끝내고 숯불을 꺼내려 하거나, 숯불을 보충하여 체우기 위하여서, 또는 구이용 고기의 종류를 바꾸기 위해서 구이용 봉(100)의 종류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구이용 봉(100)의 공급을 일시 억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에도 체인부(30)를 계속하여 이동한다. 다만 체인부(30)에 구이용 봉(100)이 올려지지 않은 빈 체인부(30)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체인부(30)에 올려진 구이용 봉(100)이 수거통(60)으로 모두 수거되는 순간 그릴을 이루고 있던 구이용 봉(100)들은 체인의 수평구간 내에서 빈 상태가 되고 숯불위의 그릴이 제거된 상태, 즉 숯불의 상부를 덮고 있던 그릴이 없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앞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고기의 구이를 마치고 한쪽으로 이동한 오염된 구이용 봉(100)이 버킷홈(4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수거통(60)으로 자유 낙하되는 것인데, 이때 기름으로 오염된 구이용 봉(100)은 그 표면에 뭍은 기름 또는 양념 등의 점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무질서하게 수거통(60) 안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각기 다른 방향으로 엉키며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를 수평 정렬된 상태로 최소 낙하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수거통(62)의 상측에 낙하유도판(83)을 부가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상기 낙하유도판(83)은 물결무늬의 플레이트 구조물로 구성된다. 이는 낙하되는 오염된 구이용 봉(100)이 수평 정렬된 상태로 최소 낙하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하여 무질서한 수납에 의한 저장공간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같은 낙하유도판(83)은, 상기 수거통(60) 일측에 마련되는 제 1 라쳇기어(82)와 연계하여 기울임각이 변화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을 상기 수거통(60)에 균등 분포되게 순차적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낙하유도판(83)은 상기 제 1 라쳇기어(82)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첨부된 도 3 및 도 9에서와 같이, 회전축(821a)을 중심으로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제 2 라쳇기어(821)가 상기 제 1 라쳇기어(82)에 맞물림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울임각이 순차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기울임각의 변화를 통해 상기 버킷홈(41)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100)이 상기 수거통(60) 안에 골고루 담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거통(60)의 내부 바닥면에는 봉 정렬부(9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낙하유도판(83)에 의해 순차적으로 자유낙하되는 구이용 봉(100)은 상기 수거통(60)의 내부에서 상기 봉 정렬부(91)에 의해 어느 한 위치에서 집중 적층되는 것이 방지되는 즉, 고루게 분포되는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봉 인출구(11)에는 구이 중단시, 상기 구이용 봉(100)의 인출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20)와 연계하는 전동형의 인출차단부재(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차단부재(70)는, 상기 공급부(10)의 봉 인출구(11)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 인출구(11)를 인출되는 구이용 봉(100)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71a)이 형성되는 봉 공급 휠(71); 상기 봉 공급 휠(71)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구이용 봉(100)의 인출을 위해 상기 봉 공급 휠(71)을 회전시키는 제 2 피동기어(72);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1 피동기어(22)는 물론 상기 제 2 피동기어(72)와 기어 맞물림되고, 상기 피동기어(22)로부터 전달되는 제 1 모터(21)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제 2 피동기어(72)를 회전시키는 전달기어(73); 상기 전달기어(73)에 연결되며, 상기 전달기어(73)와 상기 제 1 피동기어(22)의 기어 맞물림 또는 그 기어 맞물림을 분리시키도록 작동하는 클러치 레버(74); 상기 클러치 레버(74)에 접촉하는 구동을 통해 상기 클러치 레버(74)를 유동시키는 액추에이터(75); 및, 상기 액추에이터(75)가 상기 클러치 레버(74)에 미접촉시, 상기 전달기어(73)가 상기 제 1 피동기어(22)에 기어 맞물림되도록 상기 클러치 레버(7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76); 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제 2 피동기어(72)에 결합되는 봉 공급 휠(71)이 공급부(10)의 봉 인출구(11)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10)의 봉 인출구(11)로부터 인출되는 구이용 봉(100)은 상기 봉 공급 휠(71)에 형성되는 인출홈(71a)으로 인출되어 안착된다.
이때, 액추에이터(75)가 화살표방향(P1)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레버(74)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클러치 레버(74)에 연결되는 전달기어(73)는 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력 전달용 제 1 피동기어(22)와 기어 맞물림되고, 이 경우 상기 전달기어(73)는 제 2 피동기어(72)와 기어 맞물림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제 1 피동기어(22)를 통해 전달되는 제 1 모터(21)의 구동력으로부터 전달기어(73)는 물론 제 2 피동기어(7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 피동기어(72)에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봉 공급 휠(71) 또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봉 공급 휠(71)에 형성되는 인출홀(71a)에 안착되는 구이용 봉(100)은 체인부(30)에 순차적으로 안착 가능하게 된다.
반면,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제 2 피동기어(72)에 결합되는 봉 공급 휠(71)이 공급부(10)의 봉 인출구(11)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10)의 봉 인출구(11)로부터 인출되는 구이용 봉(100)은 상기 봉 공급 휠(71)에 형성되는 인출홈(71a)으로 인출되어 안착된다.
이때, 액추에이터(75)가 화살표방향(P2)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레버(74)를 밀게 되면, 상기 클러치 레버(74)에 연결되는 전달기어(73)는 구동력 전달용 제 1 피동기어(22)로부터 분리되고, 이 경우 상기 전달기어(73)에는 상기 제 1 피동기어(22)를 통해 제 1 모터(21)의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며, 이에따라 전달기어(73)는 물론 제 2 피동기어(72)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면, 상기 제 2 피동기어(72)에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봉 공급 휠(71) 또한 회전하지 않게 되면서, 상기 봉 공급 휠(71)에 형성되는 인출홀(71a)에 안착된 구이용 봉(100)은 체인부(30)로의 연속적인 인출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봉 굴림부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10 및 도 13에서와 같이, 체인부(30)의 하부에 구이용 봉(10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이용 봉(100)의 하부에 밀착되는 고무링 벨트 타입의 봉 굴림링(200)을 배치하고, 상기 체인부(30)의 상부에는 상기 구이용 봉(100)에 대한 상부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상하방향 장공(301)에 의해 밀착 조임되는 봉 이탈방지용 고정브라켓(300)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체인부(30)의 하부 양단에 안내롤러(201)를 형성하고 이에 봉 굴림링(200)을 폐루프를 이루도록 연결한 상태에서, 복수를 이루는 상기 안내롤러(201) 중 어느 하나에 제 2 모터(202)를 연결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모터(202)의 구동에 따라 안내롤러(201)가 회전하여 상기 봉 굴림링(200)을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봉 굴림링(200)이 구이용 봉(100)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구이용 봉(100)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버킷홈(41)에 안착되는 구이용 봉(100)은 상기 봉 굴림링(200)에 하부가 접촉되면서, 상기 버킷홈(41)에 안착된 상기 구이용 봉(100)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체인부(30)을 따라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300)은 상하방향 장공(301)에 의해 상기 체인부(30)로 밀착 조여져 있으므로, 상기 봉 굴림링(200)의 표면이 상기 구이용 봉(100)의 하부에 충분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구이용 봉(100)이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하방향 장공(30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봉 굴림링(200)의 표면이 상기 구이용 봉(100)의 하부에 충분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고정브라켓(300)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도면상 상기 구이용 봉(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막대의 구조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양단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롤러(201)와 이들을 감싸며 폐루프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봉 굴림링(200)을 지지하게 되는 전후방향 고정판(205)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말해, 상기 봉 굴림링(200)의 표면이 상기 구이용 봉(100)의 하부에 충분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용 봉(1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막대 형태의 상기 봉 이탈방지용 고정브라켓(300)을 하부로 이동시켜 주어도 좋고, 다른 실시 형태로서 양단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롤러(201) 및 이들을 감싸며 연결되는 봉 굴림링(200)을 하나의 단위블럭으로 유지하고 있는 전후방향의 고정판(205)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주어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이같이 상기 봉 굴림링(200)의 표면이 상기 구이용 봉(100)의 하부에 충분한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봉 굴림링(200)와 닿게 되는 구이용 봉(100)들이 연속적으로 일정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하게 됨으로서, 상기 구이용 봉(100) 위에 올려지는 고기가 구이용 봉(100)의 표면에 눌러 붙지 않게 됨은 물론, 숯불에 달구어진 구이용 봉(100)의 표면이 회전에 의해 언제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면서 고기 구이에 필요로 하는 열을 보전할 수 있고, 특히 고기로부터 스며나와 상기 구이용 봉(100)의 표면에 묻은 기름이 숯불 위로 떨어지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막아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4에서와 같이 터치형 제어패널(400)을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패널(400)에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401), 식사를 마친 상태를 알리는 제 1 버튼(402), 식사중 불판 교체를 요청하기 위한 제 2 버튼(403), 그리고 식사중 불판이 천천히 교체되도록 하는 제 3 버튼(404)이 마련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전원 온/오프 스위치(401)가 온 스위칭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버튼(402)을 누르면 사용자의 식사 마침 상태가 카운터에 통보됨은 물론, 구이용 봉(100)에 대한 공급을 중단시키면서 체인부(30)의 회전을 통해 숯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이판 상부가 열리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버튼(403)을 누르면 구이용 봉(100)의 공급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체인부(30)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상기 구이용 봉(100)의 신속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 3 버튼(404)을 누르면 식사중 구이판이 천천히 교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기 위해 구이용 봉을 순차 공급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이 경사진 호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퍼의 하단에는 봉 인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봉 인출구 외측에는 버킷홈에 연속적으로 적재되는 상기 구이용 봉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키게 되는 인출차단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공급부;
    좌우 한 쌍으로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순차 공급되는 구이용 봉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을 가지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 이송하여 상기 구이용 봉을 순차 이송시키는 체인부;
    상기 체인부의 버킷홈에 안착 정렬되는 구이용 봉이 순차 이송시, 상기 구이용 봉의 양측 단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서, 고기와 접촉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일정속도로 연속 회전시키는 봉 굴림부; 및,
    그릴 구이판 사용이 종료되는 상기 구이용 봉이 상기 체인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체인부로부터 낙하시, 낙하되는 상기 구이용 봉을 수거하는 수거통; 을 포함하며,
    상기 인출차단부재는,
    상기 봉 인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구이용 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이 형성되는 봉 공급 휠;
    상기 봉 공급 휠과 일체형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구이용 봉의 인출을 위해 상기 봉 공급 휠을 회전시키는 제 2 피동기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1 피동기어는 물론 상기 제 2 피동기어와 기어 맞물림되고, 상기 제 1 피동기어로부터 전달되는 제 1 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제 2 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전달기어와 상기 제 1 피동기어의 기어 맞물림 또는 그 기어 맞물림을 분리시키도록 작동하는 클러치 레버;
    상기 클러치 레버에 접촉하는 구동을 통해 상기 클러치 레버를 유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클러치 레버에 미접촉시, 상기 전달기어가 상기 제 1 피동기어에 기어 맞물림되도록 상기 클러치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 굴림부는,
    상기 체인부의 하부 양단에 형성되는 안내롤러;
    상기 체인부의 하부에 구이용 봉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안내롤러에 결합되어 폐루프를 이루며 상기 구이용 봉의 하부에 밀착되는 고무링 벨트 타입의 봉 굴림링; 및,
    복수를 이루는 상기 안내롤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 2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의 상부에는 상기 구이용 봉에 대한 상부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상하방향 장공에 의해 밀착 조임되는 봉 이탈방지용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는 터치형 제어패널을 설치하되, 상기 제어패널에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 식사를 마친 상태를 알리고 숯불을 제거하도록 요청하는 제 1 버튼, 사용중인 불판 전체를 신속하게 교체하도록 이동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는 제 2 버튼, 그리고 일반적인 식사 모드로서 구이물이 올려진 불판이 천천히 수평이동하며 수거되도록 하는 제 3 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이동형 구이기.
PCT/KR2019/002661 2018-04-19 2019-03-07 그릴 이동형 구이기 WO201920344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24531.5A CN112004446A (zh) 2018-04-19 2019-03-07 烤架移动型烘烤器
US17/045,576 US11751720B2 (en) 2018-04-19 2019-03-07 Movable type grill roaster
JP2020556798A JP6999199B2 (ja) 2018-04-19 2019-03-07 グリル移動型ロースタ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495A KR101902741B1 (ko) 2018-04-19 2018-04-19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2018-0045495 2018-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440A1 true WO2019203440A1 (ko) 2019-10-24

Family

ID=6372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661 WO2019203440A1 (ko) 2018-04-19 2019-03-07 그릴 이동형 구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51720B2 (ko)
JP (1) JP6999199B2 (ko)
KR (1) KR101902741B1 (ko)
CN (1) CN112004446A (ko)
WO (1) WO2019203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871B1 (ko) 2023-12-08 2024-04-22 이근호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717A (ja) * 1998-05-15 1999-11-24 Ryuubi:Kk 自動焼き機
KR100630881B1 (ko) * 2006-03-14 2006-10-04 조흥율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KR100661086B1 (ko) * 2006-07-13 2006-12-22 조흥율 구이용 불판장치
KR20090112544A (ko) * 2008-04-23 2009-10-28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보온 기능을 가지는 구이 장치
KR101102693B1 (ko) * 2008-04-17 2012-01-05 양노민 자동 로스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314557A (en) * 1903-06-30 1903-08-13 Gustave Antoine Marier Improvements in Machines for the Treatment of Tobacco Leaves.
US3604336A (en) * 1968-09-16 1971-09-14 Schrybs Investment Co Inc Cooking device and the like
CN100544651C (zh) * 2004-10-27 2009-09-30 皇冠株式会社 一种烤架
WO2006099310A1 (en) * 2005-03-14 2006-09-21 Hickory Industries, Inc. Rotisserie
KR100600657B1 (ko) * 2005-09-23 2006-07-13 오상선 회전 숯불 구이판
KR100763576B1 (ko) * 2006-01-26 2007-10-04 김용민 고기구이봉의 공급 및 이송장치
KR200413229Y1 (ko) * 2006-01-26 2006-04-05 김용민 고기구이판의 자동 공급 및 회수장치
KR100818641B1 (ko) * 2006-06-03 2008-04-02 이종표 체인식 연속불판장치
KR100852583B1 (ko) * 2007-12-27 2008-08-14 오상선 회전 숯불 구이판
TR200908875T1 (tr) * 2008-11-06 2010-11-22 Jones Edward Kebap pişirici ve ızgara.
KR101730897B1 (ko) * 2012-06-29 2017-04-27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피더와 피더 제어 방법 및 전자 부품 장착 장치
EP3554271B1 (en) * 2016-12-15 2022-11-30 Henny Penny Corporation Cleated continuous conveyor fryer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717A (ja) * 1998-05-15 1999-11-24 Ryuubi:Kk 自動焼き機
KR100630881B1 (ko) * 2006-03-14 2006-10-04 조흥율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KR100661086B1 (ko) * 2006-07-13 2006-12-22 조흥율 구이용 불판장치
KR101102693B1 (ko) * 2008-04-17 2012-01-05 양노민 자동 로스터 장치
KR20090112544A (ko) * 2008-04-23 2009-10-28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보온 기능을 가지는 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04446A (zh) 2020-11-27
JP6999199B2 (ja) 2022-01-18
US20210022549A1 (en) 2021-01-28
KR101902741B1 (ko) 2018-09-28
JP2021519653A (ja) 2021-08-12
US11751720B2 (en)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1737A1 (ko)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KR100630881B1 (ko)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WO2019203440A1 (ko) 그릴 이동형 구이기
WO2012023716A2 (ko) 맥반석 김 구이기
CN206857611U (zh) 一种压面机及其物料传输清扫机构
KR100763576B1 (ko) 고기구이봉의 공급 및 이송장치
KR100817873B1 (ko) 구이용 불판장치
KR20090044190A (ko) 자동튀김장치
CN217160916U (zh) 一种用于锅巴炸制的自动出料装置
KR101882623B1 (ko) 그릴 이동형 구이기
WO2009128615A2 (ko) 자동 로스터 장치
KR102659871B1 (ko)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WO2013165073A1 (ko) 제빵용 앙금 공급장치
KR100989184B1 (ko)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KR101023663B1 (ko) 자동 구이 장치
JP3582787B2 (ja) 揚げ煎餅の製造装置
WO2019245108A1 (ko) 직화 구이 장치
WO2016052933A1 (ko) 바베큐용 화덕
WO2019203411A1 (ko)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며 기름배출이 용이한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CN219846179U (zh) 一种结构优化的自动化烧烤设备
KR100817760B1 (ko) 육류구이용 로스터의 구이판 교체방법 및 그 장치
CN215297939U (zh) 一种烤版机的印刷烤版机构
WO2017099447A1 (ko) 바비큐 장치
CN215959471U (zh) 烤架移动型烧烤机
JPH03452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887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5679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887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