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693B1 - 자동 로스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로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693B1
KR101102693B1 KR1020090014945A KR20090014945A KR101102693B1 KR 101102693 B1 KR101102693 B1 KR 101102693B1 KR 1020090014945 A KR1020090014945 A KR 1020090014945A KR 20090014945 A KR20090014945 A KR 20090014945A KR 101102693 B1 KR101102693 B1 KR 10110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n
moving mechanism
roast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218A (ko
Inventor
양노민
Original Assignee
양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노민 filed Critical 양노민
Priority to KR102009001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693B1/ko
Priority to PCT/KR2009/001736 priority patent/WO2009128615A2/ko
Publication of KR2009011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로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불판유닛; 상기 불판유닛의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불판유닛을 병렬로 위치시켜 로스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또는 정지되는 이동기구; 상기 로스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불판유닛이 상기 이동기구 상에 안착되게 상기 불판유닛을 하나씩 상기 이동기구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로스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기구를 따라 이동된 불판유닛을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 또는 정지 및 상기 공급부에서의 불판유닛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불판을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사업주가 별도의 불판 교환을 위한 서비스 인원을 배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불판 교환을 위해 서비스 인원의 도움을 요청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업주 입장에서는 인건비가 절감되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불판, 로스터, 고기, 체인, 스크류

Description

자동 로스터 장치{AN AUTO ROASTER}
본 발명은 자동 로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스터에서 종래의 불판(석쇠) 방식이 아닌 일정길이와 굵기로 형성된 쇠막대기 형태의 불판유닛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불판유닛이 교환될 수 있는 자동 로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을 때에는 식사 중 여러번 불판을 교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고기를 판매하는 사업주 입장에서는 불판 교체를 위한 서비스 인원을 배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불판 세척을 위한 인원을 추가로 배치하여야 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서비스 인원이 불판을 교체하여 줄 때까지 기다려야만 했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서비스 인원의 배치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하고, 불판의 구조상 세척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불판 세척을 위한 인원에 대한 인건비가 증가되어 사업주에게 경제상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불판을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불판 교체시마다 서비스 인원을 요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불판을 교체할 수 있는 자동 로스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하면서도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불판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불판유닛에 대한 세척이 용이한 자동 로스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자동 로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불판유닛; 상기 불판유닛의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불판유닛을 병렬로 위치시켜 로스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또는 정지되는 이동기구; 상기 로스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불판유닛이 상기 이동기구 상에 안착되게 상기 불판유닛을 하나씩 상기 이동기구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로스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기구를 따라 이동된 불판유닛을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 또는 정지 및 상기 공급부에서의 불판유닛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불판유닛을 하나씩 인출하고 상기 회수부에서 상기 불판유닛을 자유낙하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면서 돌출된 걸이부를 구비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기구의 상단에는 상기 로스터의 일측에서 타측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기구와 동기화되어 이동 또는 정지되면서 상기 이동기구 상에서 상기 걸이부에 안착된 불판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기구가 더 구비된다.
삭제
삭제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공급부에는, 상기 불판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불판유닛을 하나씩 배출하는 배출공과,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된 불판유닛이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포획될 수 있도록 상기 불판유닛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후진 구동되어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동선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이동기구는, 직각방향으로 상기 불판유닛이 안착될 수 있는 나선홈을 구비한 스크류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6발명은, 제5발명에서, 상기 공급부에는, 상기 불판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불판유닛을 하나씩 배출하는 배출공과,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이동기구의 나선홈으로 상기 불판유닛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불판을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사업주가 별도의 불판 교환을 위한 서비스 인원을 배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불판 교환을 위해 서비스 인원의 도움을 요청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업주 입장에서는 인건비가 절감되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하면서도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불판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불판유닛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여 불판 세척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서 덮개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수부에서의 불판유닛의 회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는 크게 불판유닛(10), 이동기구(20), 이동제한기구(30), 공급부(40), 회수부(50) 및 제어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불판유닛(10)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불판유닛(10)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판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불판유닛(10)의 상부에는 고기가 얹혀지고, 하부로는 숯불 등의 가열수단이 위치되므로, 상기 불판유닛(10)은 열전달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열에 강한 소재, 예를 들면,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기구(20)는 상기 불판유닛(10) 상에 고기를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상기 불판유닛(10)의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불판유닛(10)에 올려진 고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기구(20)에는 상기 불판유닛(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이동기구(20)는 상기 불판유닛(10)의 양단을 지지한 상태로 로스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기구(20)가 구동축(21)의 구동기어(21a)와 종동축(23)의 종동기어(23a) 간에 걸쳐져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21)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이동기구(20)는 상기 로스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할 때 일측에서는 상기 불판유닛(10)을 상기 이동기구(20) 상에 올려놓고 타측에서는 상기 불판유닛(10)을 상기 이동기구(20)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기구(20)를 이루는 체인(2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이부(27)가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걸이부(27)는, 이하에서 설명될 공급부(40)에서 상기 불판유닛(10)을 하나씩 인출하고 회수부(50)에서 상기 불판유닛(10)을 자유낙하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면서 돌출되게 상기 체인(25) 상에 마련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27)는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기구(20) 상에 올려진 불판유닛(10)은 상기 걸이부(27)의 개방된 일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불판유닛(10) 상에 고기를 구을 때 불판유닛(10)이 움직이면, 불편할 뿐 아니라, 심한 경우 불판유닛(10)이 이동기구(20)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기구(20)에 올려진 불판유닛(10)의 상단에서 상기 불판유닛(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이동제한기구(30)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제한기구(30)는, 상기 이동기구(20)의 상단에서 상기 로스터의 일측에서 타측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이동기구(20)와 동기화되어 이동 또는 정지되면서 상기 이동기구(20) 상에서 상기 걸이부(27)에 안착된 불판유 닛(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이동제한기구(30)도, 상기 이동기구(20)와 마찬가지로, 구동축(31)의 구동기어(31a)와 종동축(33)의 종동기어(33a) 간에 걸쳐져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체인(35)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31)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이동기구(20)의 구동축(21)을 함께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제한기구(30)의 회전방향은 상기 이동기구(20)의 회전방향과는 반대이고, 상기 이동제한기구(30)에는 상기 걸이부(27)의 개방된 일방을 차단할 수 있는 돌기(37)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동제한기구(3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인(3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불판유닛(10)의 이동을 제한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재질 및 구조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37)는 상기 걸이부(27)에 안착된 불판유닛(1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게 상기 이동제한기구(30)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급부(40)는 상기 로스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불판유닛(10)이 상기 이동기구(20) 상에 안착되게 상기 불판유닛(10)을 하나씩 상기 이동기구(2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공급부(40)에는 다수개의 불판유닛(10)이 보관된다. 상기 공급부(40)에 대한 불판유닛(10)의 공급은 상기 공급부(40)에 마련된 뚜껑(41)을 열고 수용부(43)에 상기 불판유닛(10)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3)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43)에 수용된 불판유닛(10)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유닛(10)의 크기에 대응되게 관통된 배출 공(45)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43)는, 상기 배출공(45)으로 상기 불판유닛(10)이 하나씩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공(45)을 향해 경사진 저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43)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공(45)으로 배출된 불판유닛(10)을 상기 이동기구(20)의 이동동선 상에 위치시켜 상기 이동기구(20)가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기구(20)의 걸이부(27)에 의해 불판유닛(10)이 하나씩 포획될 수 있도록 상기 불판유닛(10)의 중단을 지지하는 제공부(47)가 구비된다(도 5 참조).
이때 상기 제공부(47)는 상기 이동기구(20)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동기구(20)에 대한 불판유닛(10)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불판유닛(10)이 상기 이동기구(20)의 이동동선에서 선택적으로 벗어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공부(47)는 제어부(60)에 의해 전후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공부(47)가 제어부(60)에 의해 후진되면, 상기 불판유닛(10)은 상기 이동기구(20)의 이동동선에서 벗어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공(45)을 차단하게 되므로, 상기 배출공(45)을 통한 불판유닛(10)의 배출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제공부(47)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구조로는 다양한 형태가 채택될 수 있고, 그 구조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응용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회수부(50)는 상기 로스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기구(20)를 따라 이동된 불판유닛(10)을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수부(50)에는 상기 이동기구(20)의 이동동선을 향해 돌출되는 회수가이드(53)가 마련되고, 상기 회수가이 드(53)에 의해 상기 이동기구(20) 상의 불판유닛(10)은 회수가이드(53)를 따라 자유낙하하면서 상기 회수부(50)에 투입된다. 이때 상기 회수가이드(53)는 상기 제공부(47)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기구(2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기구(20) 사이에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부(50)에도 공급부(40)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수부(50)에 투입된 불판유닛(10)을 회수할 수 있는 뚜껑(5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수부(50)가 로스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51)을 통해 상기 불판유닛(10)을 회수할 수도 있지만, 회수부(50) 전체가 상기 로스터로부터 해체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수부(50)를 상기 로스터로부터 해체한 상태에서 뚜껑(51)을 열어 불판유닛(10)을 회수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상기 이동기구(20)와 이동제한기구(30)의 이동 또는 정지 및 상기 공급부(40)에서의 불판유닛(10)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이동기구(20) 및 이동제한기구(30)의 구동축(21, 31)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기구(20)와 이동제한기구(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거나 정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공급부(40)의 제공부(47)를 전후진 구동하여 상기 불판유닛(10)이 상기 이동기구(20)의 이동동선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는 로스터 상에서 상기와 같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예를 들면, '이동', '정지', '숯불 투입'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이동'이란, 이동 기구(20) 및 이동제한기구(30)가 회전되고 제공부(47)에 의해 배출공(45)이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에서 '정지'란, 이동기구(20) 및 이동제한기구(30)가 정지되게 하고, 상기에서 '숯불 투입'이란, 숯불 등의 가열수단을 로스터의 중앙에 장착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로스터의 개방 부위(덮개판(70)의 관통 부위)에서 불판유닛(10)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기구(20) 및 이동제한기구(30)가 회전되고 제공부(47)에 의해 배출공(45)이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 장치에는 전기나 가스를 이용한 가열수단을 사용한다면, 가열수단의 장착 또는 교체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어부(60)에서 '숯불 투입'을 위한 버튼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급부(40)의 수용부(43)에 불판유닛(10)을 충분한 개수로 투입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60)의 '이동' 버튼(61)을 누르면, 이동기구(20)와 이동제한기구(30)가 회전하고, 공급부(40)의 제공부(47)가 전진하면서 상기 수용부(43)에 보관된 불판유닛(10)이 하나씩 배출공(45)으로 배출되어 제공부(47)에 얹혀진다.
이때 상기 제공부(47)는 상기 이동기구(20)의 이동동선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기구(20)의 걸이부(27)는 이동하면서 상기 제공부(47)에 얹혀진 불판유닛(10)을 하나씩 포획한다.
제공부(47)에서 하나의 불판유닛(10)이 포획되면 상기 배출공(45)으로부터 다른 불판유닛(10)이 배출되므로, 이동기구(20)는 이동하면서 각 걸이부(27)에는 불판유닛(10)이 하나씩 안착된 상태로 된다.
상기 걸이부(27)에 포획된 불판유닛(10)은 상기 이동기구(20)가 로스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이동기구(20)의 상단에서 상기 이동기구(20)와 동기화되어 구동되는 이동제한기구(3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이동제한기구(30)의 돌기(37)가 상기 걸이부(27)의 개방 부위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불판유닛(10)의 이동은 제한된다.
이때 상기 돌기(37)가 탄성 변형되는 소재로 마련되면 상기 돌기(37)는 상기 불판유닛(10)을 탄성 변형되면서 가압하여 불판유닛(10)이 안정된 상태로 상기 이동기구(20)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기구(20)에 병렬로 배치되는 불판유닛(10)이 로스터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배치되면, 상기 이동기구(20) 및 이동제한기구(30)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60)의 '정지' 버튼(63)을 누른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불판유닛(10) 위에 고기를 올려놓고 가열수단에 의해 고기를 구울 수 있다.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불판유닛(10)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제어부(60)의 '이동' 버튼(61)을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이동기구(20)와 이동제한기구(30)는 다시 작동을 개시하여 로스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동기구(20)의 일단에서는 상기 걸이부(27)가 상기 공급부(40)로부터 불판유닛(10)을 하나씩 포획하면서 상승하고, 타단에서는 상기 이동기구(20)가 하강하고 이동제한기구(30)는 상승하면서 상기 걸이부(27)에 대한 이동제한기구(30)의 접촉이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걸이부(27)에 안착되어 있던 불판유닛(10)이 자유낙하하면서 걸이부(27)로부터 이탈한다.
이렇게 걸이부(27)로부터 이탈되는 불판유닛(10)은 회수부(50)의 회수가이드(53)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회수부(50) 내로 투입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덮개판(70)의 관통 부위에서 이전의 불판유닛(10)이 새로운 불판유닛(10)으로 모두 교체되면, 상기 제어부(60)의 '정지' 버튼(63)을 눌러 이동기구(20)와 이동제한기구(3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불판유닛(10)이 덮개판(70)의 관통 부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숯불 등의 가열수단을 로스터에 장착하거나 교체할 경우에는, 상기 덮개판(70)의 관통 부위가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의 '숯불투입' 버튼(65)을 누르면, 이동기구(20)와 이동제한기구(30)는 회전하고 제공부(47)는 후진하여 배출공(45)을 폐쇄한다. 따라서 이동기구(20) 상에 올려진 불판유닛(10)은 회수부(50)에서 계속적으로 회수되지만, 제공부(47)가 후진하면서 배출공(45)을 폐쇄하여 더 이상의 불판유닛(10)의 공급은 차단되므로, 덮개판(70)의 관통 부위는 개방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렇게 덮개판(70)의 관통 부위에서 불판유닛(10)의 회수가 마무리되면, 상기 제어부(60)의 '정지' 버튼(63)을 눌러 이동기구(20)와 이동제한기구(30)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로스터의 중앙에 숯불 등의 가열수단을 장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공급부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서는, 불판유닛(10)의 단면이 원형이 아니라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불판유닛(10)의 저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7)의 양단에서 지지되고, 상기 불판유닛(10)의 일면은 걸이부(27)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불판유닛(10)은 걸이부(27)의 형상에 의해 전후 및 상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본 변형예에서는 별도의 이동제한기구 없이도 불판유닛(10)의 이동제한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불판유닛(10)이 이동기구(20)의 걸이부(27)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유닛(10)이 공급될 때 걸이부(27)가 불판유닛(10)의 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불판유닛(10)이 걸이부(27)에 포획되고, 이 상태에서 이동기구(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걸이부(27) 사이에 끼게 되므로 가능한 것이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실시예에서 로스터의 덮개판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급부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기구(20)가 일정 간격으로 나선홈(29)이 형성된 스크류바(2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나선홈(29)에는 불판유닛(10)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불판유닛(10)이 서로 평행한 이동기구(20)의 나선홈에 상기 이동기구(20)와 직각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판유닛(10)의 양단을 지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기구(2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불판유닛(10)이 나선홈(29)을 따라 로스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홈(29)에는 공급부(40)에서 공급되는 불판유닛(10)이 상기 나선홈(29)으로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불판유닛(10)을 가이드하는 진입가이드(29a)가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선홈(29)에 안착된 불판유닛(10)의 상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동제한기구(3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이동제한기구(30)는 제1실시예에서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제한기구(30)에 형성된 돌기(37)가 나선홈(29)에 안착된 불판유닛(1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부(40)가 이동기구(2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된 다. 이는 이동기구(20)가 스크류바(28)로 이루어져 있어 공급부(40)에서 불판유닛(10)을 상기 이동기구(20)의 측부로는 공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급부(40)는, 불판유닛(10)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43)와, 상기 수용부(43)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43)에 수용된 불판유닛(10)을 하나씩 배출하는 배출공(45)과, 상기 수용부(43)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공(45)을 통하여 상기 이동기구(20)의 나선홈(29)으로 상기 불판유닛(10)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공부(4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공부(47)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공(45)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서 덮개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회수부에서의 불판유닛의 회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스터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공급부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제2실시예에서 로스터의 덮개판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급부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불판유닛 20 : 이동기구
30 : 이동제한기구 40 : 공급부
50 : 회수부 60 : 제어부
70 : 덮개판

Claims (6)

  1.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불판유닛;
    상기 불판유닛의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불판유닛을 병렬로 위치시켜 로스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또는 정지되는 이동기구;
    상기 로스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불판유닛이 상기 이동기구 상에 안착되게 상기 불판유닛을 하나씩 상기 이동기구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로스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기구를 따라 이동된 불판유닛을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 또는 정지 및 상기 공급부에서의 불판유닛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불판유닛을 하나씩 인출하고 상기 회수부에서 상기 불판유닛을 자유낙하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면서 돌출된 걸이부를 구비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기구의 상단에는 상기 로스터의 일측에서 타측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이동기구와 동기화되어 이동 또는 정지되면서 상기 이동기구 상에서 상기 걸이부에 안착된 불판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기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로스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에는, 상기 불판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불판유닛을 하나씩 배출하는 배출공과,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된 불판유닛이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포획될 수 있도록 상기 불판유닛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후진 구동되어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동선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로스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직각방향으로 상기 불판유닛이 안착될 수 있는 나선홈을 구비한 스크류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로스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에는, 상기 불판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불판유닛을 하나씩 배출하는 배출공과,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이동기구의 나선홈으로 상기 불판유닛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로스터 장치.
KR1020090014945A 2008-04-17 2009-02-23 자동 로스터 장치 KR10110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945A KR101102693B1 (ko) 2008-04-17 2009-02-23 자동 로스터 장치
PCT/KR2009/001736 WO2009128615A2 (ko) 2008-04-17 2009-04-03 자동 로스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54 2008-04-17
KR1020090014945A KR101102693B1 (ko) 2008-04-17 2009-02-23 자동 로스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18A KR20090110218A (ko) 2009-10-21
KR101102693B1 true KR101102693B1 (ko) 2012-01-05

Family

ID=4153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945A KR101102693B1 (ko) 2008-04-17 2009-02-23 자동 로스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6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182B1 (ko) 2017-06-05 2018-05-14 소치재 고기구이장치를 갖는 테이블
KR101882623B1 (ko) * 2017-09-26 2018-08-24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1902741B1 (ko) * 2018-04-19 2018-09-28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47Y1 (ko) 2000-02-25 2000-12-15 김석기 이동식 숯불 구이판
KR20020008347A (ko) * 2000-07-22 2002-01-30 정기웅 틈입형 광고 방법
KR100630881B1 (ko) * 2006-03-14 2006-10-04 조흥율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KR20070001027A (ko) * 2006-01-26 2007-01-03 김용민 고기구이봉의 공급 및 이송장치
KR20070115541A (ko) * 2006-06-03 2007-12-06 이종표 체인식 연속불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47Y1 (ko) 2000-02-25 2000-12-15 김석기 이동식 숯불 구이판
KR20020008347A (ko) * 2000-07-22 2002-01-30 정기웅 틈입형 광고 방법
KR20070001027A (ko) * 2006-01-26 2007-01-03 김용민 고기구이봉의 공급 및 이송장치
KR100630881B1 (ko) * 2006-03-14 2006-10-04 조흥율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KR20070115541A (ko) * 2006-06-03 2007-12-06 이종표 체인식 연속불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182B1 (ko) 2017-06-05 2018-05-14 소치재 고기구이장치를 갖는 테이블
KR101882623B1 (ko) * 2017-09-26 2018-08-24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1902741B1 (ko) * 2018-04-19 2018-09-28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WO2019203440A1 (ko) * 2018-04-19 2019-10-24 (주)기찬하이테크 그릴 이동형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18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4094A (en) Intermittent automatic grill for hamburger patties
KR101102693B1 (ko) 자동 로스터 장치
KR100600657B1 (ko) 회전 숯불 구이판
JP4061120B2 (ja) フードプロセッサ用機械式安全装置
US7913415B2 (en) Device for drying laundry by means of a current of air
KR100630881B1 (ko)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WO2003107285A1 (e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noodles
JP4873350B2 (ja) 回転式の炭火焼き板
KR100468625B1 (ko) 회전 숯불 구이판
US20100307475A1 (en) Dual ignition safe charcoal starter
KR100852583B1 (ko) 회전 숯불 구이판
CN102018456A (zh) 带有枢转侧门的烤面包器
CN201469040U (zh) 一种新型的烧烤设备
KR100989184B1 (ko)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WO2009128615A2 (ko) 자동 로스터 장치
KR20070115541A (ko) 체인식 연속불판장치
KR20190134273A (ko) 스틱 교체가 용이한 구이판
KR100661086B1 (ko) 구이용 불판장치
KR101902741B1 (ko)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20040024396A (ko) 제빵기
KR200227114Y1 (ko) 자동 오징어 전기구이 장치
DE212005000017U1 (de) Mittel zur Inbetriebnahme eines automatischen Toasters
CN217245599U (zh) 一种中药饮片加工用炒药机
KR102659871B1 (ko)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1280192B1 (ko) 이송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