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871B1 -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 Google Patents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871B1
KR102659871B1 KR1020230178157A KR20230178157A KR102659871B1 KR 102659871 B1 KR102659871 B1 KR 102659871B1 KR 1020230178157 A KR1020230178157 A KR 1020230178157A KR 20230178157 A KR20230178157 A KR 20230178157A KR 102659871 B1 KR102659871 B1 KR 10265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rilling
flipping
section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23017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conveyors moving in a horizontal or an inclined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구이 지지부의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버킷 일체형의 체인에 구이봉을 조밀하게 안착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굽기 수평구간에 조밀하게 안착되어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봉에 고기가 올려져 일면에 대한 구이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면 고기를 뒤집기 경사구간으로 이동시키면서 굽기 수평구간에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봉으로 낙하시켜 고기의 타면에 대한 구이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 이용자의 뒤집기 도구 사용없이도 고기 전체를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a portable grilling machine with a flipping function}
본 발명은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킷 일체형으로서 구이 지지부의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체인에 구이봉을 조밀하게 안착시켜, 굽기 수평구간에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봉에 올려진 고기의 일면에 대한 구이를 진행하고, 고기의 일면이 적절하게 구워지고 나면 뒤집기 경사구간으로 구이봉을 이동시키면서 굽기 수평구간에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봉으로 고기를 낙하시켜, 고기의 타면이 또한 연속적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숯불 구이판은 원형 또는 사각형태의 단순한 석쇠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석쇠를 숯불 구이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상 3∼4회 정도의 구이판 교체가 요구되고 있으며, 종래의 숯불 구이판은 잦은 교체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과 종업원에 의한 구이판 교체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많고, 또한 숯불 구이판의 늦은 교체로 인해 발생되는 고객 불만과 종업원의 증가로 인한 인건비 상승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숯불 구이판의 세척에 있어서도 별도의 종업원이 숯불 구이판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세척함에 따라 발생되는 작업의 곤란성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증가와 인건비의 상승으로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야외 바베큐 형으로 사용되는 숯불 구이판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종래의 숯불 구이판과 같이 단순한 형태로 석쇠 등이 올려져 사용되고 있으며, 이 또한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이판의 교체가 요구되고 있으나 별도의 구비가 어려워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세척에 있어서도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회전형 숯불 구이판이 개시되었지만, 이러한 회전형 숯불 구이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첫째; 구이봉이 이송시 이탈하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
둘째; 호퍼 형태로 제공되는 공급부에 수납되어 있는 많은 량의 봉들이 일정 공간내에 상호 적층되어 있는 까닭에 자중에 의해 눌리면서 하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셋째; 공급부에 수납되어 있는 구이봉이 소량인 경우 내부의 누름압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구이봉의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넷째;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이봉을 체인을 따라 단지 수평 이동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어서 공급되는 구이봉이 가열됨에 따른 봉의 표면에 고기가 눌러 붙는 현상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고기 구이를 마치고 숯불을 제거하기 위하여 체인을 따라 공급되는 구이봉들을 인위적으로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여섯째; 표면이 기름으로 오염된 구이봉이 수거함에 쌓이게 될 때 체인의 낙하지점에 인접한 위치에 집중 낙하되면서 엉키는 현상을 보이게 됨으로서 수거함의 유효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고, 인하여 수거함을 불필요하게 빈번히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등록특허공보 제10-1882623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1902741호의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출원하여 등록받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원출원인의 선등록특허들은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수평구간에 구이봉이 조밀하게 안착되어 있는 관계로, 고기의 일면에 대한 구이만 가능하고, 고기의 타면에 대한 구이를 위해서는 이용자가 집게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직접 고기를 뒤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68625호(2005.01.31.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600657호(2006.07.13.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852583호(2008.08.1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882623호(2018.08.2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902741호(2018.09.28.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이 지지부의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버킷 일체형의 체인에 구이봉을 조밀하게 안착 구성함으로써, 굽기 수평구간에 조밀하게 안착되어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봉에 고기가 올려져 일면에 대한 구이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면 고기를 뒤집기 경사구간으로 이동시킨 후 굽기 수평구간에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봉으로 고기를 낙하시켜 고기의 타면에 대한 구이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 이용자의 뒤집기 도구 사용없이도 고기 전체를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며 배면측에 봉 투입구와 봉 배출구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구이 지지부; 및, 상기 구이 지지부의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룬 것으로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회전 이동이 반복되며, 구이봉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을 가지는 체인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배면측 뒤집기 경사구간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봉 투입구를 통해 상기 버킷홈으로 상기 구이봉을 순차 공급하는 구이봉 공급부; 상기 구이 지지부의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하강 이동하는 상기 체인부의 버킷홈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구이봉이 상기 봉 배출구를 통해 낙하시, 상기 구이봉을 수거하는 수거통; 및, 상기 구이 지지부의 배면측 저부에 형성되며, 고기 구이시 상기 봉 배출구를 차단하고, 상기 구이봉을 세척시 상기 봉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구이 지지부의 상기 굽기 수평구간의 하면에는 제 1 가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이 지지부의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의 경계부위 배면측에는 제 2 가열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2 가열부는 숯불, 가스버너 및 전열히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구이 지지부는,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며 배면측에 상기 봉 투입구와 상기 봉 배출구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내측 지지부 및, 상기 내측 지지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외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한 방향이 개방된 C자형 구조물이고, 상기 내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는 연결부로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는 하부측의 제 1 및 제 2 스프로켓과 상부측의 제 3 스프로켓에 의해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이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구이 지지부는,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마주하는 한 쌍의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며 배면측에 상기 봉 투입구와 상기 봉 배출구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내측 지지부 및, 상기 내측 지지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외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항아리형 구조물이고, 상기 내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는 연결부로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는 하부측의 제 1 및 제 2 스프로켓과 상부측의 제 3 및 제 4 스프로켓에 의해 회전 이동하되, 상기 제 3 및 제 4 스프로켓 사이에 위치하는 체인부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측부를 커버하도록 확장된 직경을 가지는 제 5 스프로켓에 의해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이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구이봉 공급부는, 걸림고리와 제 1 봉 인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며,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기 위해 구이봉이 적재된 것으로서 바닥면이 경사지며 하단에 제 2 봉 인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및,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호퍼의 하단측에 상기 제 2 봉 인출구에 인접 배치되면서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봉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구이봉을 상기 제 1 봉 인출구를 통해 회전 이동하는 상기 체인부의 버킷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인출홈이 형성되는 봉 공급 휠; 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봉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판부재; 상기 차단판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이봉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차단판부재를 상기 봉 배출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레버; 및,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시 상기 차단판부재가 상기 봉 배출구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레버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에서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의 상단에는 상기 체인부에 의해 이동되는 고기가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에 유착되지 않고 상기 굽기 수평구간으로 자유 낙하시키는 차단봉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에서 상기 봉 배출구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구이봉이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외측 하부로 이동한 후 상기 굽기 수평구간으로 이동시 상기 구이봉에 묻어 있는 기름을 회수하는 기름 회수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기름 회수부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저면측에서 상기 구이봉의 하단에 삽입되는 기름회수용기; 및, 상기 기름회수용기의 상면에서 상기 구이봉의 하부면과 접촉되도록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기름접촉막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배면측에는 상기 봉 투입구를 차단 또는 고기 구이시 발생하는 열이 배면 방향으로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덮개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이봉 공급부는 상기 단열덮개가 분리시 상기 구이 지지부의 배면측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단열덮개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내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하는 제 1 덮개; 및, 상기 내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하는 제 2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측부에는 각각 구워지는 고기가 좌우로 벗어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측면가림판이 힌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체인부는 장력유지기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이 지지부의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버킷 일체형의 체인에 구이봉을 조밀하게 안착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굽기 수평구간에 조밀하게 안착되어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봉에 고기가 올려져 일면이 적절하게 구워지도록 한 후 고기를 뒤집기 경사구간으로 이동시키면서 굽기 수평구간에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봉으로 낙하시켜 고기의 타면이 또한 연속적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등 이용자의 뒤집기 도구 사용없이도 고기 전체를 골고루 익힐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이봉 공급부가 분리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이봉 공급부가 결합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이봉 공급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이봉 공급부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개폐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 개략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개폐부재의 측면도와 정면 개략도.
도 10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름 회수부의 측면도와 정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장력유지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이봉 공급부가 분리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이봉 공급부가 결합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이봉 공급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이봉 공급부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개폐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 개략도이고,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개폐부재의 측면도와 정면 개략도이며, 도 10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름 회수부의 측면도와 정면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장력유지기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일정 영역으로 왕복이동하며 고기의 한쪽면을 익히는 수평구간과, 그 일방에 한쪽면이 구워진 고기를 뒤집기할 경사구간을 가지는 고기 뒤집기 기능을 가진 구이기를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의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구이 지지부(10)와 체인부(20)를 포함하는 것이며, 여기에 구이봉 공급부(30), 수거통(미도시), 개폐부재(50), 차단봉(60), 기름 회수부(70), 덮개부재(80), 측면 가림판(90), 장력유지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이 지지부(10)는 굽기 수평구간(D1)과 뒤집기 경사구간(D2)을 가지는 좌우 한 쌍의 구조물로서, 배면측에 봉 투입구(11a)와 봉 배출구(11b)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의 하면에는 숯불, 가스버너 또는 전열히터 중 하나로 이루어진 제 1 가열부(T1)가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굽기 수평구간(D1)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D2)의 경계부위 배면측에도 숯불, 가스버너 또는 전열히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 2 가열부(T2)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에 위치하는 구이봉(1)이 구이 그릴판을 형성하면서 그 위에 고기(2)가 올려질 때 상기 고기(2)는 상기 제 1 가열부(T1)에 의해 1차 구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에서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D2)으로 1차 구워진 고기(2)가 이동할 때 상기 고기(2)는 상기 제 2 가열부(T2)에 의해 2차 구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이 지지부(10)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내측 지지부(11) 및 외측 지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지지부(11)와 상기 외측 지지부(12)가 나란하게 형성되면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 후 봉 구조물인 연결부(13)로 상,하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내측 지지부(11)에는 상기 굽기 수평구간(D1)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D2)을 가지며 배면측에 상기 봉 투입구(11a)와 상기 봉 배출구(11b)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외측 지지부(12)는 상기 내측 지지부(11)의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내측 지지부(11)와 상기 외측 지지부(12)는 동일 형상으로서 한 방향이 개방된 C자형 구조물인 것이다.
상기 체인부(20)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굽기 수평구간(D1)과 뒤집기 경사구간(D2)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룬 것으로 구동부(21)에 의해 상기 굽기 수평구간(D1)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D2)을 따라 회전 이동이 반복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구이봉(1)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2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부(20)는 하부측의 제 1 및 제 2 스프로켓(S1, S2)과 상부측의 제 3 스프로켓(S3)에 의해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켓(S1, S2) 중 어느 하나에 모터 구조물인 상기 구동부(2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21a)이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축(21a)은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스프로켓(S1) 또는 상기 제 2 스프로켓(S2)에 양단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이봉 공급부(30)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배면측 뒤집기 경사구간(D2)에 걸림 고정되면서 상기 봉 투입구(11a)를 통해 상기 버킷홈(22)으로 상기 구이봉(1)을 순차 공급하는 것으로, 이는 하우징(31), 호퍼(32), 봉 공급 휠(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1)은 걸림고리(31a)와 제 1 봉 인출구(31b)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에 포함되는 내측 지지부(11)의 배면측에는 각각 상기 구이봉 공급부(30)의 걸림 고정을 위한 고정핀(11c)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1)의 양측단에는 상기 고정핀(11c)에 걸림되는 걸림고리(31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 1 봉 인출구(31b)는 상기 호퍼(32)로부터 구이봉(1)이 하나씩 인출시 이를 상기 내측 지지부(11)에 형성되는 봉 투입구(11a)로 투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호퍼(32)는 상기 하우징(31)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면서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이봉(1)이 적재된 것으로서 바닥면이 경사지며 하단에 상기 제 1 봉 인출구(31b)와 연결되는 제 2 봉 인출구(32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봉 공급 휠(33)은 상기 하우징(31)내에서 상기 호퍼(32)의 하단측에 상기 제 2 봉 인출구(32a)에 인접 배치되면서 구동부(미도시)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순차적으로 기어 맞물림되는 동력전달기어들(G1, G2, G3)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봉 인출구(32a)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구이봉(1)을 상기 제 1 봉 인출구(31b)를 통해 회전 이동하는 상기 체인부(20)의 버킷홈(22)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인출홈(33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호퍼(32)의 제 2 봉 인출구(32a)를 통해 구이봉(1)이 하나씩 인출시 그 인출되는 구이봉(1)은 상기 인출홈(33a)에 안착된 상태에서, 축 연결되는 동력전달기어(G3)의 회전과 연동되는 상기 봉 공급 휠(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이봉(1)을 상기 하우징(31)에 형성되는 제 1 봉 인출구(31b)로 인출시키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봉 인출구(31b)에서는 상기 구이봉(1)을 상기 내측 지지부(11)에 형성되는 봉 투입구(11a)로 상기 구이봉(1)을 투입시켜, 상기 체인부(20)의 버킷홈(22)으로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거통은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뒤집기 경사구간(D2)을 따라 하강 이동하는 상기 체인부(20)의 버킷홈(22)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구이봉(1)이 상기 개폐부재(50)의 개방으로부터 상기 내측 지지부(11)에 형성되는 봉 배출구(11b)가 개방시, 상기 봉 배출구(11b)를 통해 낙하되는 상기 구이봉(1)을 수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재(50)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배면측 저부에서 고기 구이시 상기 봉 배출구(11b)를 차단하고, 상기 고기(2)에 대하 구이가 종료되면서 상기 구이봉(1)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구이봉(1)을 외부 또는 상기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봉 배출구(11b)를 개방시키는 것이며, 이는 차단판부재(51), 레버(52), 스프링(53)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부재(51)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내측 지지부(11)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봉 배출구(11b)를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52)는 상기 차단판부재(5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즉,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때 힌지(h1)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이봉(1)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차단판부재(51)를 상기 봉 배출구(11b)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53)은 상기 레버(52)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시 상기 차단판부재(51)가 상기 봉 배출구(11b)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레버(52)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상기 차단봉(60)은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에서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D2)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인부(20)에 의해 이동되는 고기(2)가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1)에 유착되지 않고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D2)에서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으로 자유 낙하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차단봉(60)은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D2)에서 구이가 이루어진 고기(2)가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1)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을 때, 상기 고기(2)를 상기 구이봉(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으로, 상기 차단봉(60)은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에 올려진 고기(2)의 량이 많을수록 뒤집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름 회수부(70)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내측 지지부(11)에서 상기 봉 배출구(11b)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구이봉(1)이 뒤집기 경사구간(D2)을 따라 외측 하부로 이동한 후 굽기 수평구간(D1)으로 이동할 때 상기 구이봉(1)에 묻어 있는 기름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기름 회수부(70)는 별도의 걸침 구조없이 상기 구이봉(1)의 하단에 삽입되는 기름회수용기(71)의 형태이며, 상기 기름회수용기(71)의 상면에 상기 구이봉(1)의 하부면과 접촉되도록 폭방향으로 기름접촉막대(72)를 부착하면서, 상기 기름접촉막대(72)에 의해 상기 구이봉(1)으로부터 회수된 기름은 상기 기름회수용기(71)로 회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열덮개(80)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내측 지지부(11) 배면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봉 투입구(11a)를 차단 또는 고기 구이시 발생하는 열이 배면 방향으로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단열덮개(80)가 분리시 상기 구이봉 공급부(30)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배면측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열덮개(80)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내측 지지부(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하는 제 1 덮개(81), 그리고 상기 내측 지지부(11)와 상기 외측 지지부(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하는 제 2 덮개(8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측면 가림판(90)은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측부에 힌지(h2)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굽기 수평구간(D1)에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1)에서 구워지는 고기(2)가 좌우로 벗어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력유지기(100)는 상기 체인부(2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그 장력 조절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장력유지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레버(101), 상기 레버(101)에 의해 상기 체인부(20)의 장력을 조절하는 가압부(102), 그리고 상기 가압부(102)의 가압 여부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되는 스프링(103)을 포함하면서, 사용자는 상기 레버(101)를 통해 상기 체인부(20)에 대한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봉 굴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봉 굴림부는 상기 체인부(20)의 버킷홈(22)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버킷홈(22)에 안착되어 상기 체인부(20)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구이봉(1)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구이봉(1)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우선 구이 지지부(10)의 배면측에서 단열덮개(80)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덮개(81, 82)를 분리시킨 후, 구이봉 공급부(30)에 포함되는 호퍼(32)의 내부에 숯불용 또는 양념없는 고기용 구이봉(1)을 다수 투입한다.
이후, 상기 구이봉 공급부(30)에 포함되는 하우징(31)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걸림고리(31a)를 상기 구이 지지부(10)에 형성되는 고정핀(11c)에 걸림시킨다.
그러면, 상기 호퍼(32)에 수용되는 구이봉(1)은 제 2 봉 인출구(32a)를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봉 공급 휠(33)로 향하게 되고, 이렇게 인출된 구이봉(1)은 봉 공급 휠(3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인출홈(33a)으로 차례로 투입되는 것이다.
이때, 동력전달기어들(G1, G2, G3)을 통해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봉 공급 휠(33)에 전달하면서 상기 봉 공급 휠(33)을 회전시키면, 상기 봉 공급 휠(33)의 인출홈(33a)에 투입된 구이봉(1)들은 하우징(31)에 형성되는 제 1 봉 인출구(31b)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구이 지지부(10)에 형성되는 봉 투입구(11a)를 통해 체인부(20)의 버킷홈(22)으로 신속하게 투입되면서, 상기 구이봉(1)은 그릴 구이판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이봉(1)의 순차적인 투입을 통해 그릴 구이판이 형성되고 이러한 그릴 구이판이 구동부(21)의 구동에 따라 체인부(20)에 의해 회전 이동할 때, 상기 구이봉 공급부(30)는 상기 구이 지지부(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배면측에 상기 단열덮개(80)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덮개(81, 82)를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측부에 힌지(h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측면가림판(90)을 회전시켜, 상기 측면가림판(90)이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양측부를 가리도록 한다.
이후, 상기 구이봉(1)에 의해 형성되는 굽기 수평구간(D1)에 고기(2)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제 1 가열부(T1) 및/또는 제 2 가열부(T2)를 가열 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구동부(21)의 정역회전 구동으로부터 체인부(20)의 전후 이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에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1) 위에 올려진 고기(2)의 일면에 대한 구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기(2)의 일면에 대한 구이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면, 상기 구동부(21)의 정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구동부(21)를 정회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기(2)가 올려진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1)은 체인부(20)의 굽기 수평구간(D1)에서 뒤집기 경사구간(D2)으로 이동한 후,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으로 낙하되며, 이에따라 상기 고기(2)의 타면이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에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구이봉(1)과 접촉하고, 이러한 접촉으로부터 상기 고기(2)의 타면에 대한 구이가 연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고기(2)의 일면이 굽기 수평구간(D1)에서 구워진 이후에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D2)으로 이동시, 상기 고기(2)는 차단봉(60)에 의해 걸림되면서,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으로 낙하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고기(2)의 타면에 대한 구이가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기(2)의 일면과 타면에 대한 구이가 연속하여 진행할 때, 상기 제 1 가열부(T1) 및/또는 제 2 가열부(T2)의 가열에 따른 열기는 단열덮개(80; 81, 82) 그리고 측면가림판(90)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기 열기에 의한 화상 등의 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굽기 수평구간(D1)에서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1)에서 고기(2)의 일면과 타면을 구울 때, 상기 고기(2)가 좌우로 벗어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가림판(90)은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1) 위에 스테이크처럼 큰 조각의 고기(2)가 올려지는 경우 그 사용이 필요없지만, 살치살과 같이 작은 조각인 경우에는 상기 구이봉(1)으로부터 벗어날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함은 물론, 열 확산을 차단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저면측에는 기름 회수부(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기(2)의 일면과 타면에 대한 구이 진행으로부터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1)의 표면에 기름이 묻어 있을 때, 상기 기름은 상기 기름 회수부(70)를 통해 회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기름 회수부(70)는 기름회수용기(71)의 상단에 돌출되게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내연성의 실리콘 레버 구조인 기름접촉막대(72)의 선단측이 상기 구이봉(1)에 접촉하는 것이므로, 상기 선단측의 접촉에 따라 상기 구이봉(1)으로부터 회수된 기름은 상기 기름회수용기(71)로 회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봉 배출구(11b)는 개폐부재(50)에 포함되는 차단판부재(51)에 의해 차단되며, 이는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1) 위에 올려진 고기(2)의 일면과 타면에 대한 구이가 진행시, 상기 구이봉(1)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상기 고기(2)에 대한 구이가 종료되면서 상기 구이봉(1)에 대한 세척이 필요로 하는 경우, 이용자는 우선 레버(52)를 개방 방향으로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차단판부재(51)가 상기 봉 배출구(11b)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봉 배출구(11b)를 통해 구이봉(1)이 하나씩 배출되면서 미도시된 수거통으로 수거되고, 이렇게 회수된 상기 구이봉(1)들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한쪽면이 구워진 고기를 뒤집기하는 경사구간이 수평구간의 양단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는 구이기를 소개하고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는, 상기 구이 지지부(10)를 굽기 수평구간(D1)과 마주하는 한 쌍의 뒤집기 경사구간(D2, D2')을 가지는 항아리형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굽기 수평구간(D1)과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D2, D2')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20')는 하부측의 제 1 및 제 2 스프로켓(S1, S2)과 상부측의 제 3 및 제 4 스프로켓(S3, S4)에 의해 회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제 3 및 제 4 스프로켓(S3, S4) 사이에 위치하는 체인부(20')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의 측부를 커버하도록 확장된 직경을 가지는 제 5 스프로켓(S5)에 의해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켓(S1, S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동부(21)의 구동축(21a)이 연결하는 한편, 봉 구조물인 연결부(13)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10)를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3 스프로켓(S3)과 상기 제 4 스프로켓(S4) 또는 제 5 스프로켓(S5)을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음식점에서 이용자(손님)가 사용하는 것이 아닌 대량의 구이를 요구하는 업소용으로, 또는 야외 캠핑장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구이봉 2; 고기
10; 구이 지지부 11, 11'; 내측 지지부
11a; 봉 투입구 11b; 봉 배출구
11c; 고정핀 12, 12'; 외측 지지부
13; 연결부 20, 20'; 체인부
21; 구동부 21a; 구동축
22; 버킷홈 30; 구이봉 공급부
31; 하우징 31a; 걸림고리
31b; 제 1 봉 인출구 32; 호퍼
32a; 제 2 봉 인출구 33; 봉 공급 휠
33a; 인출홈 40; 수거통
50; 개폐부재 51; 차단판부재
52; 레버 53; 스프링
60; 차단봉 70; 기름 회수부
71; 기름회수용기 72; 기름접촉막대
80; 단열덮개 81; 제 1 덮개
82; 제 2 덮개 90; 측면가림판
100; 장력유지기 101; 레버
102; 가압부 103; 스프링
D1; 굽기 수평구간 D2, D2'; 뒤집기 경사구간
h1, h2; 힌지 T1; 제 1 가열부
T2; 제 2 가열부 S1, S2, S3, S4, S5; 스프로켓

Claims (14)

  1. 삭제
  2.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며 배면측에 봉 투입구와 봉 배출구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구이 지지부; 및,
    상기 구이 지지부의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룬 것으로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회전 이동이 반복되며, 구이봉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을 가지는 체인부;
    상기 구이 지지부의 배면측 뒤집기 경사구간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봉 투입구를 통해 상기 버킷홈으로 상기 구이봉을 순차 공급하는 구이봉 공급부;
    상기 구이 지지부의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하강 이동하는 상기 체인부의 버킷홈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구이봉이 상기 봉 배출구를 통해 낙하시, 상기 구이봉을 수거하는 수거통; 및,
    상기 구이 지지부의 배면측 저부에 형성되며, 고기 구이시 상기 봉 배출구를 차단하고, 상기 구이봉을 세척시 상기 봉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3.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며 배면측에 봉 투입구와 봉 배출구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구이 지지부; 및,
    상기 구이 지지부의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룬 것으로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회전 이동이 반복되며, 구이봉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을 가지는 체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 지지부의 상기 굽기 수평구간의 하면에는 제 1 가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이 지지부의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의 경계부위 배면측에는 제 2 가열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가열부와 상기 제 2 가열부는 숯불,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4.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며 배면측에 봉 투입구와 봉 배출구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구이 지지부; 및,
    상기 구이 지지부의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룬 것으로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회전 이동이 반복되며, 구이봉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을 가지는 체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 지지부는,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며 배면측에 상기 봉 투입구와 상기 봉 배출구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내측 지지부 및, 상기 내측 지지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외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한 방향이 개방된 C자형 구조물이고,
    상기 내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는 연결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는 하부측의 제 1 및 제 2 스프로켓과 상부측의 제 3 스프로켓에 의해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6.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며 배면측에 봉 투입구와 봉 배출구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구이 지지부; 및,
    상기 구이 지지부의 굽기 수평구간과 뒤집기 경사구간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룬 것으로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회전 이동이 반복되며, 구이봉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정렬되는 버킷홈을 가지는 체인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 지지부는,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마주하는 한 쌍의 뒤집기 경사구간을 가지며 배면측에 상기 봉 투입구와 상기 봉 배출구가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내측 지지부 및, 상기 내측 지지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외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항아리형 구조물이고,
    상기 내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는 연결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굽기 수평구간과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에 배치되면서 폐루프를 이루는 상기 체인부는 하부측의 제 1 및 제 2 스프로켓과 상부측의 제 3 및 제 4 스프로켓에 의해 회전 이동하되, 상기 제 3 및 제 4 스프로켓 사이에 위치하는 체인부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측부를 커버하도록 확장된 직경을 가지는 제 5 스프로켓에 의해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봉 공급부는,
    걸림고리와 제 1 봉 인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며, 그릴 구이판을 형성하기 위해 구이봉이 적재된 것으로서 바닥면이 경사지며 하단에 제 2 봉 인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및,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호퍼의 하단측에 상기 제 2 봉 인출구에 인접 배치되면서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봉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구이봉을 상기 제 1 봉 인출구를 통해 회전 이동하는 상기 체인부의 버킷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인출홈이 형성되는 봉 공급 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봉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판부재;
    상기 차단판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이봉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차단판부재를 상기 봉 배출구로부터 분리시키는 레버; 및,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시 상기 차단판부재가 상기 봉 배출구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레버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에서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의 상단에는 상기 체인부에 의해 이동되는 고기가 그릴 구이판을 이루는 상기 구이봉에 유착되지 않고 상기 굽기 수평구간으로 자유 낙하시키는 차단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11.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에서 상기 봉 배출구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구이봉이 상기 뒤집기 경사구간을 따라 외측 하부로 이동한 후 상기 굽기 수평구간으로 이동시 상기 구이봉에 묻어 있는 기름을 회수하는 기름 회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회수부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저면측에서 상기 구이봉의 하단에 삽입되는 기름회수용기; 및,
    상기 기름회수용기의 상면에서 상기 구이봉의 하부면과 접촉되도록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기름접촉막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13.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구이 지지부의 측부에는 각각 구워지는 고기가 좌우로 벗어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측면가림판이 힌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14.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는 장력유지기에 의해 장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20230178157A 2023-12-08 2023-12-08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2659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8157A KR102659871B1 (ko) 2023-12-08 2023-12-08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8157A KR102659871B1 (ko) 2023-12-08 2023-12-08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871B1 true KR102659871B1 (ko) 2024-04-22

Family

ID=9088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8157A KR102659871B1 (ko) 2023-12-08 2023-12-08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8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632A (ja) * 2002-07-31 2004-02-26 Nissin Food Prod Co Ltd フライ食品の油切り搬出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468625B1 (ko) 2004-07-08 2005-01-31 주식회사 티아라 회전 숯불 구이판
KR100600657B1 (ko) 2005-09-23 2006-07-13 오상선 회전 숯불 구이판
KR100852583B1 (ko) 2007-12-27 2008-08-14 오상선 회전 숯불 구이판
KR101882623B1 (ko) 2017-09-26 2018-08-24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1902741B1 (ko) 2018-04-19 2018-09-28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632A (ja) * 2002-07-31 2004-02-26 Nissin Food Prod Co Ltd フライ食品の油切り搬出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468625B1 (ko) 2004-07-08 2005-01-31 주식회사 티아라 회전 숯불 구이판
KR100600657B1 (ko) 2005-09-23 2006-07-13 오상선 회전 숯불 구이판
KR100852583B1 (ko) 2007-12-27 2008-08-14 오상선 회전 숯불 구이판
KR101882623B1 (ko) 2017-09-26 2018-08-24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1902741B1 (ko) 2018-04-19 2018-09-28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0087B2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having removable heating plate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JP4873350B2 (ja) 回転式の炭火焼き板
KR102659871B1 (ko) 뒤집기 기능을 가진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200470999Y1 (ko)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KR100949476B1 (ko) 숯불구이기
JP6999199B2 (ja) グリル移動型ロースター
KR100732337B1 (ko) 꼬지타입 육류 구이장치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0413229Y1 (ko) 고기구이판의 자동 공급 및 회수장치
KR100852583B1 (ko) 회전 숯불 구이판
KR101882623B1 (ko)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0989184B1 (ko)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KR100916587B1 (ko)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KR100862311B1 (ko) 바비큐 장치
KR101023663B1 (ko) 자동 구이 장치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KR200196640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100938638B1 (ko) 숯불구이기
KR102202087B1 (ko) 구이용 석쇠
KR200185530Y1 (ko) 육류구이기
KR100603648B1 (ko)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KR20120007809U (ko) 회전 구이기
KR102388474B1 (ko) 접이식 휴대형 구이 장치
KR200161839Y1 (ko) 숯불을 이용한 통닭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