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638B1 -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638B1
KR100938638B1 KR1020090106935A KR20090106935A KR100938638B1 KR 100938638 B1 KR100938638 B1 KR 100938638B1 KR 1020090106935 A KR1020090106935 A KR 1020090106935A KR 20090106935 A KR20090106935 A KR 20090106935A KR 100938638 B1 KR100938638 B1 KR 10093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etachable
inner cylinder
main body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혜
Original Assignee
박민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혜 filed Critical 박민혜
Priority to KR102009010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설치되고 내통이 상승 완료되면 내통의 착탈구멍에 결합되어서 상승된 내통을 지지하고 내통이 하강 완료되면 내통의 착탈구멍에 결합되면서 하강된 내통을 지지하는 착탈부; 본체에 설치되고 착탈부에 연결되며 착탈부가 내통의 착탈구멍에 착탈되도록 하는 작동부; 본체에 설치되고 착탈부 및 작동부에 연결되며 작동부를 좌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부가 내통의 착탈구멍으로부터 분리되고 작동부를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부가 내통의 착탈구멍에 결합되도록 하는 연동부; 본체에 설치되고 내통이 하강되면 이에 의해 연동되면서 좌측방향으로 회전된 작동부가 우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서 착탈부가 내통의 착탈구멍에 결합되도록 하며 하강된 내통이 착탈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해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꼬치나 석쇠가 숯불구이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로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내통을 수동으로 승강시켜서 내통 상부의 구이판과 화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화로승강부, 내통, 착탈부, 연동부, 작동부, 해제부, 구이회전부

Description

숯불구이기{Charcoal fire roaster}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꼬치나 석쇠가 숯불구이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로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내통을 수동으로 승강시켜서 내통 상부의 구이판과 화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구이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화로가 안착되고 그 상부에 구이판을 올려놓은 후 구이물을 굽는 장치이다. 이러한 숯불구이기는 숯불에서 발생한 열이 구이판을 1차로 가열하고 가열된 구이판이 구이물을 2차로 가열하는 간접 가열 방식으로써, 열효율이 감소하여 구이물을 굽는 시간과 연료의 소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간접가열로 인해 구이물에 맞는 적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구이물의 표면은 타고 내부는 익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아울러, 구이판을 이용한 간접 가열방식은 구이물이 구이판에 눌러 붙으면서 타는 문제가 발생되며, 따라서 구이물을 한번 구운 후 다시 구울 때마다 구이판을 닦아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였다. 구이물의 일부가 구이판에 눌러 붙은 상태로 다시 구이물을 굽거나 다른 종류의 구이물을 굽게 되면 구이물 찌거기가 새로운 구이물에 달라 붙으면서 구이물 특유의 맛을 잃게 하고 건강을 해치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멈춤식 숯불구이기(등록실용신안 제20 - 394486호)와, 회전멈춤형 숯불구이기 및 그 작동조절방법(특허등록 제10-762445호)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숯불구이기는, 본체의 하부에 화로를 안착시키고 화로의 상부에 구이물이 꽂힌 구이봉을 안착시킨 후 구동모터를 구동시켜서 구이봉을 회전시키면서 구이물을 굽는 장치이다. 또한 구이봉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속도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조절하여서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구이봉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화로와 구이봉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지 않으며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구이봉을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숯불의 화력이 비교적 셀 경우, 구이물이 타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되며, 숯불의 화력이 약할 경우, 숯불과 구이봉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구이물이 제대로 익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둘째, 고기를 굽다 보면 연기와 기름이 주변으로 확산되는데, 종래의 숯불구이기에는 이러한 연기와 기름을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킬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였다.
셋째, 고기를 굽다 보면 기름이 떨어지는데,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떨어지는 기름이 화로의 숯불 위로 떨어지면서 연기나 화재의 원인이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꼬치나 석쇠가 숯불구이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로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통을 수동으로 승강시켜서 내통 상부의 구이판과 화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테이블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의 내부 하측에 안착되고 본체의 상부측으로 열을 공급하는 화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화로가 안착되며 안착된 화로를 승강시키는 화로승강부; 본체의 내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화로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화로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전달되는 내통; 본체에 설치되고 내통이 상승 완료되면 내통의 착탈구멍에 결합되면서 상승된 내통을 지지하고 내통이 하강 완료되면 내통의 착탈구멍에 결합되면서 하강된 내통을 지지하는 착탈부; 본체에 설치되고 착탈부에 연결되며 착탈부가 내통의 착탈구멍에 착탈되도록 하는 작동부; 본체에 설치되고 착탈부 및 작동부에 연결되며 작동부를 좌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부가 내통의 착탈구멍으로부터 분리되고 작동부를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부가 내통의 착탈구멍에 결합되도록 하는 연동부; 본체에 설치되고 내통이 하강되면 이에 의해 연동되면서 좌측방향으로 회전된 작동부가 우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서 착탈부가 내통의 착탈구멍 에 결합되도록 하며 하강된 내통이 착탈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해제부; 본체에 설치되고 내통의 상부에 안착된 석쇠 또는 꼬치에 연결되어서 석쇠 또는 꼬치를 회전시키는 구이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다른 특징은, 화로승강부는, 양단이 본체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1회전축과 제1회전축의 회전시 화로의 하부 일측을 상측으로 밀어서 들어 올리도록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와, 양단이 본체의 하부 타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2회전축과 제2회전축의 회전시 화로의 하부 타측을 상측으로 밀어서 들어 올리도록 제2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2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와, 제1받침대의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서 이를 회전시키는 레버와, 일단이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서 레버의 회전시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링크와, 일단이 제2받침대의 제2회전축에 고정되어서 제2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링크와, 일단이 제1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링크에 연결되어서 레버를 회전시켜서 제1링크가 회전되면 이에 의해 연동되면서 제2링크를 회전시키는 제3링크와, 제1회전축에 인접한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서 레버의 회전시 그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한쌍의 스토퍼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착탈부는, 본체의 양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제1착탈링크 및 제2착탈링크와, 제1착탈링크 및 제2착탈링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착탈링크 및 제2착탈링크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되면서 내통의 착탈구멍에 착탈되는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작동부는, 일단이 연동부의 회전블 록에 연결되어서 회전블록과 함께 회전되고 타단이 결합브라켓의 작동구멍을 통과한 후 본체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후방레버와, 본체의 일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본체의 전방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기도록 설치되는 전방레버와, 본체의 후방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전방레버의 대응 단부에 연결되는 회동링크와, 일단이 후방레버의 중간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편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후방레버와 전방레버가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연동부는, 중앙부분이 제1착탈링크 및 제2착탈링크의 일단들에 각각 고정되어서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을 회전시키는 제1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와, 일단이 제1연동링크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연동링크의 하단에 연결되어서 제2연동링크 및 제2연동링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링크와, 본체에 설치되고 일측에 작동부의 수평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작동구멍이 형성되며 작동구멍의 일단에 지지홈이 형성된 결합브라켓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축으로 결합브라켓 상에 설치되는 회전블록과, 일단이 회전블록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연결편과, 일단이 연결편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연동링크의 하단에 연결되며 작동부가 좌측으로 회전되면 제1연동링크를 탄력적으로 당기고 작동부가 우측으로 회전되면 제1연동링크에 가해진 탄력을 해제시키는 제1압축코일스프링과, 일단이 제2연결링크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에 연결되어서 작동부의 회전상태와 무관하게 제2연동링크를 탄력적으로 당기며 제1압축코일스프링보다 작은 탄력을 갖는 제2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 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해제부는,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동편과, 중간 부분이 회동편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일단이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서 내통이 하강되면 내통의 저면에 의해 눌리면서 회동편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타단이 결합브라켓의 지지홈에 위치되어서 회동편을 중심으로 회전될 시 후방레버를 지지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제링크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화로가 본체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화로승강부에 의해 승강된다. 따라서 내통의 상부에 장착된 꼬치 또는 석쇠와 숯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이물을 최적의 상태로 구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내통이 착탈부, 연동부, 작동부, 해제부에 의해 본체 내에서 수동으로 승강된다. 따라서 꼬치나 석쇠를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에는 내통을 수동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다가, 꼬치나 석쇠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통을 본체의 내측으로 하강시키므로 내통이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꼬치나 석쇠 대신에 내통 상부에 구이판을 올려 놓고 사용할 경우, 내통을 수동으로 승강시켜서 내통 상부에 안착되는 구이판과 화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구이판에 안착된 고기를 익힐 때에는 내통을 수동으 로 하강시켜서 충분한 화력이 구이판에 도달되도록 하고 고기가 충분히 익은 후에는 내통을 수동으로 상승시켜서 고기가 타지 않고 보온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숯불구이기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숯불구이기의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4는 화로가 화로승강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화로가 화로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화로승강부를 발췌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구이회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평면도이고, 도 8은 내통이 하강된 상태에서의 착탈부, 연동부 작동부, 해제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9는 내통이 상승되어서 내통의 착탈구멍으로부터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이 벗어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내통이 상승 완료되어서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이 하측의 착탈구멍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1은 전방레버가 당겨지거나 후방레버가 왼쪽으로 회전되어서 제1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제1연동링크가 당겨진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12는 내통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서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이 내통의 착탈구멍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본체(10), 화로(20), 화로승강부(30), 내통(40), 착탈부(50), 연동부(70), 작동부(60), 해제부(80), 구이회전부(90)로 이루 어진다.
본체(10)는, 테이블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에는, 후술할 내통(40) 내부의 연기나 비산되는 기름이 유입되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측에 배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기구(11)는 배기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기팬이 구동되면 배기구(11) 내의 공기가 흡입되어서 외부로 배출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기름이 수납되도록 기름받이(12)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다.
본체(10)의 전방 하측에는 후술할 화로승강부(30)의 위치조절핀(34)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다수의 위치조절구멍(13)들이 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화로(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안착되고 본체(10)의 상부측으로 열을 공급한다. 이러한 화로(20)는, 숯불이 수납되는 다수의 숯불수납칸(21)들이 등간격으로 구획되어 있고, 숯불수납칸(21)들 사이에는 낙하되는 기름이 숯불에 닿지 않고 기름받이(12)로 낙하되도록 기름배출칸(22)들이 구획되어 있다.
화로승강부(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화로(20)가 안착되며 안착된 화로(20)를 승강시킨다. 이러한 화로승강부(30)는, 제1받침대(31), 제2받침대(32), 레버(33), 링크들, 스토퍼(38)로 이루어진다.
제1받침대(31)는, 양단이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1회전축(31a)과, 제1회전축(31a)의 회전시 화로(20)의 하부 일측을 상측으로 밀어서 들어 올리도록 제1회전축(31a)에 연결되어 있는 제1지지브라켓(31b)으로 이루어진다.
제2받침대(32)는, 양단이 본체(10)의 하부 타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2회전축(32a)과, 제2회전축(32a)의 회전시 화로(20)의 하부 타측을 상측으로 밀어서 들어 올리도록 제2회전축(32a)에 연결되어 있는 제2지지브라켓(32b)으로 이루어진다.
레버(33)는, 제1받침대(31)의 제1회전축(31a)에 연결되어서 제1받침대(31)가 제1회전축(31a)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레버(33)의 일측에는 위치조절핀(34)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조절핀(34)은 다수의 위치조절구멍(13)들 중 대응되는 하나의 위치조절구멍(13)에 삽입되어서 회전된 레버(3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링크들은 제1링크(35), 제2링크(36), 제3링크(37)로 이루어진다. 제1링크(35)는, 일단이 제1회전축(31a)에 연결되어서 레버(33)의 회전시 제1회전축(31a)과 함께 회전된다. 제2링크(36)는, 일단이 제2받침대(32)의 제2회전축(32a)에 고정되어서 제2회전축(32a)과 함께 회전된다. 제3링크(37)는, 일단이 제1링크(35)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링크(36)에 연결되어서 레버(33)를 회전시켜서 제1링크(35)가 회전되면 이에 의해 연동되면서 제2링크(36)를 회전시킨다.
스토퍼(38)는, 제1회전축(31a)에 인접한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최외측 의 위치조절구멍(13)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서 레버(33)의 회전시 그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내통(4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화로(20)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화로(20)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전달된다.
이러한 내통(40)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꼬치(2) 또는 석쇠(1)를 내통(40)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도록 그 전방에 개방된 작업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40)의 양측 및 후방의 내부에는 본체(10)의 배기구(11)에 연결되도록 흡입덕트(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및 후방의 내측면 둘레에는 내통(40) 내부의 연기 및 비산되는 기름이 흡입덕트(41) 측으로 흡입되도록 다수의 흡입구(42)들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40)의 후방 내측면에는 석쇠(1) 또는 꼬치(2)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지지구멍(43)들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40)의 양측면에는 하측의 착탈구멍(44)들과 상측의 착탈구멍(44)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의 착탈구멍(44)들은 내통(40)이 상승될 시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에 지지되며 상측의 착탈구멍(44)들은 내통(40)이 하강될 시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에 지지된다.
내통(4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3)와 판형태의 구이판(4)이 순차적으로 안착된다. 칸막이(3)는 숯불의 화력이 내통(40)의 흡입덕 트(41)로 곧바로 유입되지 않고 구이판(4)의 중앙측으로 모이도록 한다. 판형태의 구이판(4)은 숯불의 화력이 내통(40)의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석쇠(1)나 꼬치(2)를 이용하여서 익힌 고기가 올려진다. 따라서 판형태의 구이판(4)에 의해 열효율이 증가된다. 또한 구이판(4) 상의 고기는 모두 섭취할 때까지 구이판(4)에 의해 보온이 유지되므로 맛있는 상태로 고기를 섭취할 수 있다.
한편, 판형태의 구이판(4) 대신에 철망형태의 구이판(5)을 올려 놓을 수 있다. 철망 형태의 구이판(5)은 고기를 석쇠(1)나 꼬치(2)로 굽지 않고 직접 구울때 사용된다.
착탈부(50)는, 본체(10)에 설치되고 내통(40)이 상승 완료되면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결합되면서 상승된 내통(40)을 지지하고 내통(40)이 하강 완료되면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결합되면서 하강된 내통(40)을 지지한다.
이러한 착탈부(50)는,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와,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으로 이루어진다.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는, 본체(10)의 양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된다.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은,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되면서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착탈된다.
작동부(60)는, 본체(10)에 설치되고 착탈부(50)에 연결되며 착탈부(50)가 내 통(40)의 착탈구멍(44)에 착탈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부(60)는, 후방레버(61), 전방레버(62), 회동링크(63), 연결바(64)로 이루어진다.
후방레버(61)는, 일단이 연동부(70)의 회전블록(75)에 연결되어서 회전블록(75)과 함께 회전되고 타단이 결합브라켓(74)의 작동구멍(74c')을 통과한 후 본체(10)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레버(62)는, 본체(10)의 일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본체(10)의 전방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기도록 설치된다. 회동링크(63)는, 본체(10)의 후방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전방레버(62)의 대응 단부에 연결된다. 연결바(64)는, 일단이 후방레버(61)의 중간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편(82)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후방레버(61)와 전방레버(62)가 서로 연동되도록 한다.
연동부(70)는, 본체(10)에 설치되고 착탈부(50) 및 작동부(60)에 연결되며 작동부(60)를 좌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부(50)가 내통(40)의 착탈구멍(44)으로부터 분리되고 작동부(60)를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부(50)가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동부(70)는, 제1연동링크(71) 및 제2연동링크(72), 연결링크(73), 결합브라켓(74), 회전블록(75), 연결편(77), 제1압축코일스프링(78) 및 제2압축코일스프링(79)으로 이루어진다.
제1연동링크(71) 및 제2연동링크(72)는, 중앙부분이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의 일단들에 각각 고정되어서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을 회전시킨다. 연결링크(73)는, 일단이 제1연동링크(71)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연 동링크(72)의 하단에 연결되어서 제2연동링크(72) 및 제2연동링크(7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도록 한다.
결합브라켓(74)은,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74a)와, 고정부(74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회전블록(75)이 설치되는 설치부(74b)와, 설치부(74b)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결합부(74c)로 이루어진다. 결합부(74c)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작동구멍(74c')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구멍(74c')의 일측 하부에는 후방레버(61)가 안착되도록 지지홈(74c")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블록(75)은, 일측이 결합브라켓(74)의 설치부(74b)에 힌지축(76)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힌지축(76)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연결편(77)은, 일단이 회전블록(75)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된다.
제1압축코일스프링(78)은, 일단이 연결편(77)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연동링크(71)의 하단에 연결되며 작동부(60)가 좌측으로 회전되면 제1연동링크(71)를 탄력적으로 당기고 작동부(60)가 우측으로 회전되면 제1연동링크(71)에 가해진 탄력을 해제시킨다.
제2압축코일스프링(79)은, 일단이 연결링크(73)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10)에 연결되어서 작동부(60)의 회전상태와 무관하게 제2연동링크(72)를 탄력적으로 당기며 제1압축코일스프링(78)보다 작은 탄력을 갖는 제2압축코일스프링(79)으로 이루어진다.
해제부(80)는, 본체(10)에 설치되고 내통(40)이 하강되면 이에 의해 연동되 면서 좌측방향으로 회전된 작동부(60)가 우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서 착탈부(50)가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결합되도록 하며 하강된 내통(40)이 착탈부(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해제부(80)는, 고정브라켓(81), 회동편(82), 해제링크(83)로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81)은, 본체(10)에 고정된다. 회동편(82)은, 고정브라켓(81)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해제링크(83)는, 중간 부분이 회동편(82)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일단의 누름단부(83b)는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서 내통(40)이 하강되면 내통(40)의 저면에 의해 눌리면서 회동편(8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타단의 해제단부(83a)는 결합브라켓(74)의 지지홈(74c")에 위치되어서 회동편(82)을 중심으로 회전될 시 후방레버(61)를 지지홈(74c")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구이회전부(9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설치되고 내통(40)의 상부에 안착된 석쇠(1) 또는 꼬치(2)에 연결되어서 석쇠(1) 또는 꼬치(2)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이회전부(90)는, 결합축(91), 구동모터(94), 차단편(99), 포터인터럽트의 센서(100), 시간조절스위치(101), 선택스위치(102)로 이루어진다.
결합축(91)은, 본체(10)의 전방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석쇠(1)의 일단 또는 꼬치(2)의 일단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축(91)에는, 꼬치(2)의 단부나 석쇠(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구멍(9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모터(94)는, 본체(10)에 설치되고 결합축(91)에 연결되어서 이를 회전시 킨다. 이러한 구동모터(94)에는 구동기어(96)가 연결되고 구동기어(96)에는 체인(98)에 의해 다수의 전동기어(97)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전동기어(97)들에는 결합축(91)들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94)가 회전되면 구동기어(96) 및 전동기어(97)들이 회전되면서 결합축(91)들을 회전시킨다.
차단편(99)은, 구동모터(94)의 모터축(95)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된다.
포터인터럽트의 센서(100)는, 차단편(99)이 회전되면서 이를 지나면 감지되어서 작동되도록 본체(10)에 설치된다. 차단편(99)이 센서(100)에 감지되면 구동모터(94)를 일정한 시간동안 정지시킨다.
시간조절스위치(101)는, 센서(100)에 연결되어서 센서(100)가 작동될 시 설정시간 동안 구동모터(94)를 온/오프시킨다.
선택스위치(102)는, 구동모터(94) 및 시간조절스위치(101) 사이에 연결되어서 시간조절스위치(101)를 단속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숯불구이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석쇠(1)나 꼬치(2)를 이용하여서 고기를 구울 경우
먼저 화로(20)의 숯불수납칸(21)에 숯불을 수납시킨 상태에서 화로(20)를 본체(10) 내에 안착시킨다. 화로(20)가 본체(10) 내에 삽입되면 그 하부가 화로승강부(30)에 안착된다.
화로(20)가 안착되면 도 9와 같이 내통(40) 상부의 손잡이(45)를 잡고 내통 을 상측으로 들어 올린다. 내통(40)이 상승됨에 따라 내통(40)의 착탈구멍(44)들 중 상측의 착탈구멍(44)들이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의 일측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들을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들을 회전시킨다. 이때 연결링크(73)는 오른쪽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제2압축코일스프링(79)을 인장시킨다.
내통(40)이 계속 상승되어서 하측의 착탈구멍(44)들이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에 대향되면 도 10과 같이 제2압축코일스프링(79)의 복원력에 의해 제2연동링크(72)가 당겨지게 되고, 연결링크(73)가 왼쪽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이 하측의 착탈구멍(4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승된 내통(40)은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이 하측의 착탈구멍(44)들에 삽입되면서 상승된 상태가 지지된다.
내통(40)이 상승되어서 그 전방이 본체(10)의 전방측으로 개방되면 석쇠(1) 또는 꼬치(2)를 장착시킨다. 먼저 석쇠(1)나 꼬치(2)의 단부를 구이회전부(90)의 결합축(91)에 밀어 끼운다. 석쇠(1)나 꼬치(2)의 일단이 결합축(91)에 결합되면 그 타단을 내통(40)의 지지구멍(43)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석쇠(1)나 꼬치(2)가 장착되면 내통(40)의 상부에 칸막이(3)와 판형태의 구이판(4)을 순차적으로 안착시킨다.
그리고 구이회전부(90)의 구동모터(94)를 구동시켜서 석쇠(1) 또는 꼬치(2)를 회전시킨다. 구동모터(94)가 구동되면 구동기어(96)가 회전되면서 체인(98)으로 연결된 전동기어(97)들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결합축(91)들이 회전된다.
결합축(91)들이 회전됨에 따라 석쇠(1) 또는 꼬치(2)가 이와 함께 회전되는 바, 결합축(91)과 함께 회전되는 차단편(99)이 포터인터럽트의 센서(100)에 감지되면 이 센서(100)에 의해 구동모터(94)의 회전이 일정한 시간동안 정지된다.
구동모터(94)가 센서(100)에 의해 일정한 시간동안 정지되어 있는 동안 석쇠(1)는 45°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가 되며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은 45°기울어진 석쇠(1)를 따라 흐른 후 하측으로 떨어진다. 이때 석쇠(1)의 하부는 화로(20)의 기름배출칸(22) 상부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기름은 숯불수납칸(21) 측으로 떨어지지 않고 기름배출칸(22) 측으로만 떨어진다.
구이회전부(90)가 일정한 시간동안 회전되면서 석쇠(1) 또는 꼬치(2)의 고기가 충분히 익으면 석쇠(1) 또는 꼬치(2)로부터 분리시키며, 석쇠(1) 또는 꼬치(2)를 내통(4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잘 익은 고기는 석쇠(1) 또는 꼬치(2)로부터 분리하여서 판형태의 구이판(4) 상부에 올려 놓으므로 고기의 보온을 유지시킨다.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경우
숯불의 화력이 약하여 고기가 제대로 익지 않을 경우나 숯불의 화력이 너무 세서 고기가 탈 경우, 화로(2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숯불과 석쇠(1) 또는 꼬치(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먼저, 화로승강부(30)의 레버(33)를 본체(10)의 전방 측으로 당기면 위치조절핀(34)이 위치조절구멍(1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33)는 제1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3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링크(35), 제2링크(36), 제3링크(37)가 연동되면서 제2회전축(32a)이 제1회전축(31a)의 반대반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레버(33)를 회전시키면 제1받침대(31)의 제1회전축(31a)과 제2받침대(32)의 제2회전축(32a)이 동시에 회전되며 제1지지브라켓(31b) 및 제2지지브라켓(32b)을 상측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눕히게 된다.
따라서 제1지지브라켓(31b) 및 제2지지브라켓(32b)의 상부에 안착된 화로(20)가 상측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제1지지브라켓(31b) 및 제2지지브라켓(32b)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거나 하강된다.
여기서, 위치조절구멍(13)들은 제1회전축(31a)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고 레버(33)의 위치조절핀(34)은 다수의 위치조절구멍(13)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구멍(13)에 삽입 가능하다. 따라서 레버(33)의 각도를 조절한 후 위치조절핀(34)을 대응되는 위치조절구멍(13)에 삽입시키면 조정된 레버(33)의 각도가 고정된다. 따라서 화로(20)의 높낮이를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철망 형태의 구이판(5)으로 고기를 구울 경우
먼저, 상승된 상태의 내통(40)을 하강시키기 위해 도 11과 같이 후방레버(61)를 좌측으로 회전시키거나 전방레버(62)를 전방측으로 당겨서 후방레버(61)가 작동구멍(74c')의 왼쪽으로 이동된 후 지지홈(74c")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후방레버(61)가 좌측으로 회전되면 회전블록(75)이 힌지축(7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압축코일스프링(78)을 인장시키며 이에 따라 연결링크(73)는 그 탄력에 의해 우측으로 당겨지려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통(40)을 하강시키기 위해 도 12와 같이 내통(40)을 손잡이(45)를 잡고 내통(40)을 상측으로 약간 들어 올린다. 이와 같이 하면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을 누르고 있던 내통(40) 하측의 착탈구멍(44)들이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들이 내통(40)의 착탈구멍(44)으로부터 해제된 상태가 되면 제1압축코일스프링(78)의 탄력에 의해 연결링크(73)가 우측으로 당겨지며 이에 따라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이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와 함께 외측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착탈구멍(44)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도 12와 같은 상태는 내통(40)이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으로부터 완전히 해제되고 작업자의 힘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들고 있던 내통(40)을 하측으로 내려 놓을 수 있다.
내통(40)이 하강되면 내통(40)의 저면이 해제링크(83)의 누름단부(83b)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해제링크(83)가 회동편(8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단의 해제단부(83a)가 후방레버(61)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서 지지홈(74c")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후방레버(61)가 지지홈(74c")으로부터 분리되면 인장된 제1압축코일스프링(78)이 복원되면서 후방레버(61)를 우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면서 그 탄력이 해제된다.
여기서, 제1압축코일스프링(78)의 탄력은 제2압축코일스프링(79)의 탄력보다 더 크며 제2압축코일스프링(79)은 후방레버(61)이 회동상태와 무관하게 인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1압축코일스프링(78)의 탄력이 해제되면 인장된 상태의 제2압축코일스프링(79)이 제2연동링크(72)를 당겨서 연결링크(73)를 왼쪽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므로 내통(40)이 완전히 하강되면 도 8과 같이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이 내통(40)의 착탈구멍(44)들 중 상측의 착탈구멍(44)들에 지지되면서 하강된 상태의 내통(40)을 지지하게 된다.
내통(40)의 하강이 완료되면 본체(10) 내부에 화로(20)를 안착시키고 내통(40)의 상부에 칸막이(3) 및 철망 형태의 구이판(5)을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며, 구이판(5)의 상부에 고기를 올려 놓고 굽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로(20)가 본체(10)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화로승강부(30)에 의해 승강된다. 따라서 내통(40)의 상부에 장착된 꼬치(2) 또는 석쇠(1)와 숯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이물을 최적의 상태로 구울 수 있다.
둘째, 내통(40)이 본체(10)내에서 수동으로 승강된다. 따라서 꼬치(2)나 석쇠(1)를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에는 내통(40)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다가, 꼬치(2)나 석쇠(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통(40)을 본체(10)의 내측으로 하강시키므로 내통(40)이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셋째, 꼬치(2)나 석쇠(1) 대신에 내통(40) 상부에 철망형태의 구이판(5)을 올려 놓고 사용할 경우, 내통(40)을 승강시켜서 내통(40) 상부에 안착되는 구이판(5)과 화로(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구이판(5)에 안착된 고기를 익힐 때에는 내통(40)을 적절히 하강시켜서 충분한 화력이 구이판(5)에 도달되도록 하고 고기가 충분히 익은 후에는 내통(40)을 적절히 상승시켜서 고기가 타지 않고 보온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내통(40) 둘레에는 연기나 비산되는 기름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덕트(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흡입덕트(41)는 본체(10)의 배기구(1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팬(미도시)이 구동되어서 배기구(11) 및 흡입덕트(41)에 진공이 발생되면 내통(40) 내부의 연기 및 기름이 흡입구(42)를 통해 흡입덕트(41)로 유입되며 배기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를 실내로 확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섯째, 화로(20)는 숯불수납칸(21)과 기름배출칸(22)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석쇠(1)가 구이회전부(90)의 결합축(91)에 의해 45°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정지되면 석쇠(1)를 따라 흐르는 기름이 화로(20)의 기름배출칸(22) 측으로 낙하된다. 따라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고 기름배출칸(22) 측으로 떨어져서 기름받이(12)에 수납되므로 떨어지는 기름에 의한 발화 및 연기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숯불구이기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숯불구이기의 개략적 배면도
도 4는 화로가 화로승강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5는 화로가 화로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6은 화로승강부를 발췌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구이회전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평면도
도 8은 내통이 하강된 상태에서의 착탈부, 연동부 작동부, 해제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내통이 상승되어서 내통의 착탈구멍으로부터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이 벗어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10은 내통이 상승 완료되어서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이 하측의 착탈구멍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11은 전방레버가 당겨지거나 후방레버가 왼쪽으로 회전되어서 제1압축코일스프링에 의헤 제1연동링크가 당겨진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12는 내통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서 제1착탈편 및 제2착탈편이 내통의 착탈구멍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석쇠 2 : 꼬치
3 : 칸막이 4,5 : 구이판
10 : 본체 11 : 배기구
12 : 기름받이 13 : 위치조절구멍
20 : 화로 21 : 숯불수납칸
22 : 기름배출칸 30 : 화로승강부
31 : 제1받침대 31a : 제1회전축
31b : 제1지지브라켓 32 : 제2받침대
32a : 제2회전축 32b : 제2지지브라켓
33 : 레버 34 : 위치조절핀
35 : 제1링크 36 : 제2링크
37 : 제3링크 38 : 스토퍼
40 : 내통 41 : 흡입덕트
42 : 흡입구 43 : 지지구멍
44 : 착탈구멍 45 : 손잡이
50 : 착탈부 51 : 제1착탈링크
52 : 제2착탈링크 53 : 제1착탈편
54 : 제2착탈편 60 : 작동부
61 : 후방레버 62 : 전방레버
63 : 회동링크 64 : 연결바
70 : 연동부 71 : 제1연동링크
72 : 제2연동링크 73 : 연결링크
74 : 결합브라켓 74a : 고정부
74b : 설치부 74c : 결합부
74c' : 작동구멍 74c" : 지지홈
75 : 회전블록 76 : 힌지축
77 : 연결편 78 : 제1압축코일스프링
79 : 제2압축코일스프링 80 : 해제부
81 : 고정브라켓 82 : 회동편
83 : 해제링크 83a : 해제단부
83b : 누름단부 90 : 구이회전부
91 : 결합축 91a : 삽입구멍
94 : 구동모터 95 : 모터축
96 : 구동기어 97 : 전동기어
98 : 체인 99 : 차단편
100 : 포터인터럽트의 센서
101 : 시간조절스위치 102 : 선택스위치

Claims (6)

  1. 테이블에 설치되는 본체(10);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안착되고 본체(10)의 상부측으로 열을 공급하는 화로(20);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화로(20)가 안착되며 안착된 화로(20)를 승강시키는 화로승강부(30);
    본체(10)의 내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화로(20)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화로(20)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전달되는 내통(40);
    본체(10)에 설치되고 내통(40)이 상승 완료되면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결합되면서 상승된 내통(40)을 지지하고 내통(40)이 하강 완료되면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결합되면서 하강된 내통(40)을 지지하는 착탈부(50);
    본체(10)에 설치되고 착탈부(50)에 연결되며 착탈부(50)가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착탈되도록 하는 작동부(60);
    본체(10)에 설치되고 착탈부(50) 및 작동부(60)에 연결되며 작동부(60)를 좌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부(50)가 내통(40)의 착탈구멍(44)으로부터 분리되고 작동부(60)를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부(50)가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결합되도록 하는 연동부(70);
    본체(10)에 설치되고 내통(40)이 하강되면 이에 의해 연동되면서 좌측방향으로 회전된 작동부(60)가 우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서 착탈부(50)가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결합되도록 하며 하강된 내통(40)이 착탈부(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해제부(80);
    본체(10)에 설치되고 내통(40)의 상부에 안착된 석쇠(1) 또는 꼬치(2)에 연결되어서 석쇠(1) 또는 꼬치(2)를 회전시키는 구이회전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화로승강부(30)는,
    양단이 본체(10)의 하부 일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1회전축(31a)과 제1회전축(31a)의 회전시 화로(20)의 하부 일측을 상측으로 밀어서 들어 올리도록 제1회전축(31a)에 연결되어 있는 제1지지브라켓(31b)으로 이루어진 제1받침대(31)와,
    양단이 본체(10)의 하부 타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2회전축(32a)과 제2회전축(32a)의 회전시 화로(20)의 하부 타측을 상측으로 밀어서 들어 올리도록 제2회전축(32a)에 연결되어 있는 제2지지브라켓(32b)으로 이루어진 제2받침대(32)와,
    제1받침대(31)의 제1회전축(31a)에 연결되어서 이를 회전시키는 레버(33)와,
    일단이 제1회전축(31a)에 연결되어서 레버(33)의 회전시 제1회전축(31a)과 함께 회전되는 제1링크(35)와,
    일단이 제2받침대(32)의 제2회전축(32a)에 고정되어서 제2회전축(32a)과 함께 회전되는 제2링크(36)와,
    일단이 제1링크(35)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링크(36)에 연결되어서 레버(33)를 회전시켜서 제1링크(35)가 회전되면 이에 의해 연동되면서 제2링크(36)를 회전시키는 제3링크(37)와,
    제1회전축(31a)에 인접한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되어서 레버(33)의 회전시 그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한쌍의 스토퍼(38)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착탈부(50)는,
    본체(10)의 양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와,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되면서 내통(40)의 착탈구멍(44)에 착탈되는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4. 제1항에 있어서, 작동부(60)는,
    일단이 연동부(70)의 회전블록(75)에 연결되어서 회전블록(75)과 함께 회전되고 타단이 결합브라켓(74)의 작동구멍(74c')을 통과한 후 본체(10)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후방레버(61)와, 본체(10)의 일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본체(10)의 전방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기도록 설치되는 전방레버(62)와, 본체(10)의 후방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전방레 버(62)의 대응 단부에 연결되는 회동링크(63)와, 일단이 후방레버(61)의 중간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편(82)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후방레버(61)와 전방레버(62)가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바(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5. 제1항에 있어서, 연동부(70)는,
    중앙부분이 제1착탈링크(51) 및 제2착탈링크(52)의 일단들에 각각 고정되어서 제1착탈편(53) 및 제2착탈편(54)을 회전시키는 제1연동링크(71) 및 제2연동링크(72)와, 일단이 제1연동링크(71)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연동링크(72)의 하단에 연결되어서 제2연동링크(72) 및 제2연동링크(7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링크(73)와, 본체(10)에 설치되고 일측에 작동부(60)의 수평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작동구멍(74c')이 형성되며 작동구멍(74c')의 일단에 지지홈(74c")이 형성된 결합브라켓(74)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축(76)으로 결합브라켓(74) 상에 설치되는 회전블록(75)과, 일단이 회전블록(75)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연결편(77)과, 일단이 연결편(77)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연동링크(71)의 하단에 연결되며 작동부(60)가 좌측으로 회전되면 제1연동링크(71)를 탄력적으로 당기고 작동부(60)가 우측으로 회전되면 제1연동링크(71)에 가해진 탄력을 해제시키는 제1압축코일스프링(78)과, 일단이 제2연결링크(73)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10)에 연결되어서 작동부(60)의 회전상태와 무관하게 제2연동링크(72)를 탄력적으로 당기며 제1압축코일스프링(78)보다 작은 탄력을 갖는 제2압축코일스프링(7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6. 제1항에 있어서, 해제부(80)는,
    본체(1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81)과, 고정브라켓(81)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동편(82)과, 중간 부분이 회동편(82)에 고정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고 일단이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서 내통(40)이 하강되면 내통(40)의 저면에 의해 눌리면서 회동편(8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타단이 결합브라켓(74)의 지지홈(74c")에 위치되어서 회동편(82)을 중심으로 회전될 시 후방레버(61)를 지지홈(74c")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제링크(8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KR1020090106935A 2009-11-06 2009-11-06 숯불구이기 KR10093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35A KR100938638B1 (ko) 2009-11-06 2009-11-06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35A KR100938638B1 (ko) 2009-11-06 2009-11-06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638B1 true KR100938638B1 (ko) 2010-01-27

Family

ID=4181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935A KR100938638B1 (ko) 2009-11-06 2009-11-06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5854A (zh) * 2015-12-25 2016-05-25 张文丰 防转动层叠式烧烤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04Y1 (ko) 2003-07-23 2003-10-23 양정우 숯불통이 승강하는 숯불구이기
KR200443822Y1 (ko) 2007-11-01 2009-03-16 김종호 꼬치 구이기
KR20090097996A (ko) * 2008-03-13 2009-09-17 강금주 승강식 구이판을 가진 구이기
KR20090009912U (ko) * 2008-03-27 2009-10-01 김향금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고기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04Y1 (ko) 2003-07-23 2003-10-23 양정우 숯불통이 승강하는 숯불구이기
KR200443822Y1 (ko) 2007-11-01 2009-03-16 김종호 꼬치 구이기
KR20090097996A (ko) * 2008-03-13 2009-09-17 강금주 승강식 구이판을 가진 구이기
KR20090009912U (ko) * 2008-03-27 2009-10-01 김향금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고기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5854A (zh) * 2015-12-25 2016-05-25 张文丰 防转动层叠式烧烤炉
CN105595854B (zh) * 2015-12-25 2018-08-17 芜湖航天特种电缆厂股份有限公司 防转动层叠式烧烤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KR101010264B1 (ko) 구이용 조리기구
KR100949476B1 (ko) 숯불구이기
KR101062435B1 (ko) 숯불구이기
KR100489006B1 (ko) 석쇠 그릴 장치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0881495B1 (ko) 이동식 구이용 황토 가마
KR100853566B1 (ko) 회전식 구이 장치
KR100938638B1 (ko) 숯불구이기
KR101334913B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TWM513657U (zh) 窯烤裝置之改良結構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KR101606651B1 (ko) 전기 회전구이기
KR200394486Y1 (ko) 회전멈춤식 숯불구이기
KR102467135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0614684B1 (ko) 숯불 구이기
CN211795973U (zh) 一种新型烧烤机
CN209863479U (zh) 一种多层无烟自动旋转烧烤炉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100916587B1 (ko)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CN210185386U (zh) 一种燃气烧烤炉
CN210492345U (zh) 一种节能烤鸭炉
CN110693340A (zh) 一种全自动烧烤机
KR100549808B1 (ko) 전동식 구이판
KR100603648B1 (ko) 직화겸용 회전 분리식 숯불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