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435B1 -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435B1
KR101062435B1 KR1020100118774A KR20100118774A KR101062435B1 KR 101062435 B1 KR101062435 B1 KR 101062435B1 KR 1020100118774 A KR1020100118774 A KR 1020100118774A KR 20100118774 A KR20100118774 A KR 20100118774A KR 101062435 B1 KR101062435 B1 KR 101062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main body
shaft
skewer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진
Original Assignee
김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진 filed Critical 김혜진
Priority to KR102010011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에 설치되고 본체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 본체의 내부 하측에 안착되고 본체의 상부측으로 열을 공급하는 화로; 본체에 설치되고 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꼬치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꼬치를 회전시키는 구이회전부; 본체에 설치되고 꼬치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꼬치의 타단을 본체의 상부측으로 상승시키는 꼬치자동승강부; 송풍부, 구이회전부, 꼬치자동승강부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꼬치자동승강부의 누름축을 누르면 작동스위치가 눌리면서 구동모터가 구동되고 모터축이 1회전되면서 승강축이 승강되며 이에 따라 상승되는 승강축에 의해 꼬치의 손잡이 부분이 상측으로 밀리면서 본체의 상부 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누름축의 상단부를 누르는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꼬치의 손잡이 부분이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인출되므로 꼬치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기가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숯불구이기{Charcoal fire roaster}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꼬치를 숯불구이기에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고, 고기를 굽는 동안 숯불이 골고루 발화되어서 일정한 화력이 유지되며, 익은 고기를 식지 않게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늘, 버섯, 김치 등의 채소를 타지 않게 구울 수 있고, 꼬치에 꽂힌 고기를 간단히 빼내어 담을 수 있는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구이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화로가 안착되고 그 상부에 구이판을 올려놓은 후 구이물을 굽는 장치이다. 이러한 숯불구이기는 숯불에서 발생한 열이 구이판을 1차로 가열하고 가열된 구이판이 구이물을 2차로 가열하는 간접 가열 방식으로써, 열효율이 감소하여 구이물을 굽는 시간과 연료의 소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간접가열로 인해 구이물에 맞는 적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구이물의 표면은 타고 내부는 익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아울러, 구이판을 이용한 간접 가열방식은 구이물이 구이판에 눌러 붙으면서 타는 문제가 발생되며, 따라서 구이물을 한번 구운 후 다시 구울 때마다 구이판을 닦아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였다. 구이물의 일부가 구이판에 눌러 붙은 상태로 다시 구이물을 굽거나 다른 종류의 구이물을 굽게 되면 구이물 찌거기가 새로운 구이물에 달라 붙으면서 구이물 특유의 맛을 잃게 하고 건강을 해치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멈춤식 숯불구이기(등록실용신안 제20 - 394486호)와, 회전멈춤형 숯불구이기 및 그 작동조절방법(특허등록 제10-762445호)을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숯불구이기는, 본체의 하부에 화로를 안착시키고 화로의 상부에 구이물이 꽂힌 구이봉을 안착시킨 후 구동모터를 구동시켜서 구이봉을 회전시키면서 구이물을 굽는 장치이다. 또한 구이봉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속도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조절하여서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구이봉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화로와 구이봉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지 않으며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구이봉을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숯불의 화력이 비교적 셀 경우, 구이물이 타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되며, 숯불의 화력이 약할 경우, 숯불과 구이봉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구이물이 제대로 익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둘째, 구이봉을 숯불구이기에 장착시켜서 회전시키기 위해 구이봉의 단부를 회전부에 끼우게 되는데, 구이봉의 단부와 회전부 사이의 결합력이 클 경우, 구이봉을 끼우고 빼는 작업이 매우 불편해지며 구이봉의 단부와 회전부 사이의 결합력이 작을 경우, 회전부의 회전력이 구이봉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뿐 아니라 회전시 구이봉의 단부가 회전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셋째, 고기를 굽다 보면 연기와 기름이 주변으로 확산되는데, 종래의 숯불구이기에는 이러한 연기와 기름을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시킬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였다.
넷째, 고기를 굽다 보면 기름이 떨어지는데,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떨어지는 기름이 화로의 숯불 위로 떨어지면서 연기나 화재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숯불구이기(특허등록 제10-949476호)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테이블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의 내부 하측에 안착되고 본체의 상부측으로 열을 공급하는 화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화로가 안착되며 안착된 화로를 승강시키는 화로승강부; 본체의 내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화로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화로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전달되는 내통; 본체에 설치되고 내통에 연결되어서 내통이 본체의 내부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내통자동승강부; 본체에 설치되고 내통의 상부에 안착된 석쇠 또는 꼬치에 연결되어서 석쇠 또는 꼬치를 회전시키는 구이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술한 종래의 꼬치구이기는 꼬치를 숯불구이기에 장착시키고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꼬치에 고기를 끼운 후 꼬치의 일단을 숯불구이기의 지지구멍에 위치시키고 꼬치의 손잡이를 숯불구기이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숯불구이기의 결합축에 결합시켜서 장착시킨다. 꼬치의 고기가 다 익으면 꼬치의 손잡이를 결합축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꼬치의 손잡이를 상측으로 들어 올린 후 꼬치의 타단을 지지구멍으로부터 분리하여서 꼬치를 숯불구이기로부터 분리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꼬치를 숯불구이기에 설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많은 동작들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둘째, 종래의 숯불구이기에 사용되는 숯은 충분한 발화시점까지 불을 붙이는데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숯불구이기 내에는 여러 칸의 숯불들이 수납되도록 여러 칸으로 구획된 화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로에는 숯불들이 수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숯불은 칸칸이 수납된 숯들이 제대로 발화되지 못하거나 일정하게 피어오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화력을 갖는 숯들에 의해 꼬치들의 골고루 익지 못하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꼬치를 숯불구이기에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기를 굽는 동안 숯불이 골고루 발화되어서 일정한 화력이 유지되도록 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익은 고기를 식지 않게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늘, 버섯, 김치 등의 채소를 타지 않게 구울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꼬치에 꽂힌 고기를 간단히 빼내어 담을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테이블에 설치되는 본체; 본체에 설치되고 본체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 본체의 내부 하측에 안착되고 본체의 상부측으로 열을 공급하는 화로; 본체에 설치되고 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꼬치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꼬치를 회전시키는 구이회전부; 본체에 설치되고 꼬치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꼬치의 타단을 본체의 상부측으로 상승시키는 꼬치자동승강부; 송풍부, 구이회전부, 꼬치자동승강부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다른 특징은, 송풍부는, 본체에 설치되어서 공기가 본체 내부로 송풍되도록 유도하는 메인덕트와, 메인덕트에 설치되어서 외부의 공기를 메인덕트 내부로 송풍시키는 블로어와, 본체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고 메인덕트에 연결되어서 메인덕트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본체의 양측 하부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분배덕트와, 본체의 하부공간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양단부들이 분배덕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송풍구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분배덕트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송풍덕트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화로에는, 다수의 수납부들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납부들의 양단부들에는 이격된 수납부들이 고정되도록 간격유지브라켓들이 결합되어 있으며, 간격유지브라켓의 저면에는 화로를 송풍부의 송풍덕트 상부에 안착시킬 시 각각의 수납부들이 각각의 송풍덕트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안착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꼬치자동승강부는, 본체에 고정되는 설치브라켓과, 설치브라켓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설치브라켓에 승강되도록 설치되고 있고 상승시 꼬치의 손잡이 부분을 상승시키는 승강축과, 설치브라켓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모터축와 승강축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의 모터축이 1회전되면 승강축이 승강되도록 모터축의 회전동력을 수직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승강축에 전달하는 연동부와, 설치브라켓에 설치되고 구동모터가 1회전된 후 정지되도록 하는 모터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연동부는, 모터축의 단부에 고정되어서 모터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편과, 일단이 설치브라켓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구동편에 연결되어서 구동편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링크와, 일단이 구동편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링크에 연결되어서 구동편의 회전시 회동링크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제1연동링크와, 일단이 회동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축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의 회동시 승강축을 승강시키는 제2연동링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모터제어부는, 설치브라켓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 및 전원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의 구동을 단속하는 작동스위치와, 설치브라켓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의 모터축이 1회전되면 이를 감지하여서 구동모터에 전원을 차단하므로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본체에는 꼬치 타단의 손잡이가 본체에 안착되도록 안내하고 꼬치 일단이 구이회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꼬치이탈방지브라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꼬치이탈방지브라켓은,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고정편의 일단에 연장되어 있는 연장편과, 연장편의 일단에 연장되어서 꼬치의 일단이 구이회전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손잡이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지지편의 일단에 연장되어 있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진입되는 꼬치 손잡이 단부가 지지편의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본체의 상부면에는 본체의 상부를 마감하고 구워진 고기가 식지 않게 수납되도록 상판부가 구비되되, 이 상판부는, 중앙이 관통되어 있는 상판과, 상판의 양측에 결합되어서 구워진 고기가 식지 않도록 수납되며 버섯, 마늘, 김치 등의 채소를 구울 수 있도록 보온그릇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보온그릇에는, 꼬치에 끼워진 공기를 꼬치로부터 분리시키고 꼬치로부터 분리된 고기가 보온그릇의 상부공간 측으로 수납되도록 분리홈을 갖는 꼬치분리편이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특징은, 꼬치 사이의 상판부에는, 본체의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열기를 꼬치의 양측으로 유도하여서 꼬치의 고기가 입체적으로 가열되도록 열기유도체들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열기유도체는, 하부 양측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기를 꼬치의 양측으로 분산시키도록 경사진 열기분산판들이 형성되어 있고 열기분산판들의 상단부에는 양측으로 분산된 열기가 체류되도록 열기배출지연판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꼬치의 일단을 결합판의 삽입구멍에 끼우고, 꼬치의 손잡이를 꼬치이탈방지브라켓 측으로 안착시키면 손잡이의 단부가 안내편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꼬치이탈방지브라켓의 내측으로 진입되며, 진입된 꼬치의 손잡이는 꼬치이탈방지브라켓의 지지편에 지지되므로 꼬치의 일단이 구이회전부의 결합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꼬치의 일단을 삽입구멍에 끼우고 꼬치의 타단을 하측으로 내려 놓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꼬치가 구이회전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이회전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꼬치를 숯불구이기에 장착시키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장착된 상태가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꼬치구이기는, 꼬치자동승강부의 누름축을 누르면 작동스위치가 눌리면서 구동모터가 구동되고 모터축이 1회전되면서 승강축이 승강되며 이에 따라 상승되는 승강축에 의해 꼬치의 손잡이 부분이 상측으로 밀리면서 본체의 상부 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누름축의 상단부를 누르는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꼬치의 손잡이 부분이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인출되므로 꼬치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기가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의 본체에는 본체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송풍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송풍부에는 화로의 수납부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송풍덕트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화로의 수납부들이 각각의 송풍덕트들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송풍부의 블로어가 작동되면 메인덕트 및 분배덕트를 통해 송풍덕트들로 공기가 공급되고 송풍덕트들을 통해 화로의 수납부들에 공기가 송풍된다. 그러므로 화로의 수납부들에는 송풍부에 의해 일정하게 송풍이 이루어지므로 수납부들에 수납된 숯들이 골고루 발화되므로 화로 전체에서 비교적 고르게 발열되며 이에 따라 여러 꼬치에 꽂힌 고기들이 일정한 속도로 익게 된다.
본 발명의 본체 상부 양측에는 보온그릇이 결합되어 있고 꼬치에서 다익은 고기는 이 보온그릇에 수납된다. 보온그릇에는 하부의 화로에 의해 일정한 열기가 도달되며 이에 따라 보온그릇에 수납된 고기는 식지 않는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보온그릇에 마늘이나 버섯, 김치 등의 채소를 올려 놓으면 타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온그릇의 상부에는 꼬치에 끼워진 고기를 꼬치로부터 분리시키고 꼬치로부터 분리된 고기가 보온그릇의 상부공간 측으로 수납되도록 분리홈을 갖는 꼬치분리편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꼬치의 고기가 다 익으면 꼬치의 손잡이를 잡고 손잡이 부근의 꼬치를 분리홈 내에 위치시킨 후 꼬치를 꼬치분리편 반대측으로 당기면 꼬치의 고기가 꼬치로부터 분리되면서 보온그릇 상부로 수납된다. 그러므로 꼬치를 잡은 한손만으로 꼬치에 꽂힌 고기를 꼬치로부터 빼낸 후 보온그릇에 담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기를 꼬치로부터 빼내고 빼낸 고기를 보온그릇에 담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꼬치 사이의 상판부에 본체의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열기를 꼬치의 양측으로 유도하여서 꼬치의 고기가 입체적으로 가열되도록 열기유도체들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화로에서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열기가 열기유도체의 열기분산판들에 부딪히면서 꼬치들의 양측으로 분산되고 양측으로 분산된 열기는 열기배출지연판들에 부딪히면서 꼬치들의 양측 공간에 체류된다. 그러므로 꼬치의 고기가 화로에서 꼬치의 하부로 공급되는 열기와 열기유도체들에 의해 꼬치의 양측으로 유도되는 열기에 의해 입체적으로 가열되므로 고기 전체가 골고루 익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송풍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화로가 송풍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발췌 단면도
도 5는 구이회전부를 보인 개략적 발췌 정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꼬치자동승강부를 보인 발췌 사시도
도 7은 꼬치자동승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들
도 8은 꼬치이탈방지브라켓에 꼬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들
도 9는 꼬치의 고기를 보온그릇에 빼내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들
도 10은 열기유도체에 의해 화로의 열기가 꼬치의 양측으로 유도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발췌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송풍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화로가 송풍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발췌 단면도이고, 도 5는 구이회전부를 보인 개략적 발췌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6은 꼬치자동승강부를 보인 발췌 사시도이다. 도 7은 꼬치자동승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들이고, 도 8은 꼬치이탈방지브라켓에 꼬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들이며, 도 9는 꼬치의 고기를 보온그릇에 빼내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들이고, 도 10은 열기유도체에 의해 화로의 열기가 꼬치의 양측으로 유도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발췌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본체(20), 송풍부(30), 화로(40), 구이회전부(50), 꼬치자동승강부(60), 컨트롤러(80)로 이루어진다.
본체(20)는, 테이블에 설치되고, 본체(20)의 하부에는 고기를 구울때 발생되는 기름이 수납되도록 기름받이(21)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다.
송풍부(30)는, 본체(20)에 설치되고 본체(20)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공기를 송풍한다. 이러한 송풍부(30)는, 메인덕트(31), 블로어(32), 분배덕트(33), 송풍덕트(34)로 이루어진다.
메인덕트(31)는, 본체(2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서 공기가 본체(20) 내부로 송풍되도록 유도한다. 블로어(32)는, 메인덕트(31)에 설치되어서 외부의 공기를 메인덕트(31) 내부로 송풍시킨다. 분배덕트(33)는, 본체(2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고 메인덕트(31)에 연결되어서 메인덕트(31)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본체(20)의 양측 하부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송풍덕트(34)는, 본체(20)의 하부공간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양단부들이 분배덕트(33)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송풍구(35)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분배덕트(33)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배출된다.
본체(20)에는 송풍부(30)의 블로어(32)를 제어하도록 온/오프스위치(3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온/오프스위치(36)는 송풍부(30)의 블로어(32)와 전원선(81)에 연결되어 있다.
화로(40)는, 본체(20)의 내부 하측에 안착되고 본체(20)의 상부측으로 열을 공급한다.
이러한 화로(40)에는, 다수의 수납부(41)들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납부(41)들의 양단부들에는 이격된 수납부(41)들이 고정되도록 간격유지브라켓(42)들이 결합되어 있다. 간격유지브라켓(42)의 저면에는 화로(40)를 송풍부(30)의 송풍덕트(34) 상부에 안착시킬 시 각각의 수납부(41)들이 각각의 송풍덕트(34)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안착홈(43)들이 형성되어 있다.
구이회전부(50)는, 본체(20)에 설치되고 본체(20)의 상부에 안착된 꼬치(10)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꼬치(1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이회전부(50)는, 회전축(51), 구이회전모터(53), 구동축(53a), 결합판(52), 차단편(53b), 포터인터럽트의 센서(57), 시간조절스위치(58), 선택스위치(59)로 이루어진다.
회전축(51)은, 본체(20)의 전방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꼬치(10)의 일단이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축(51)에는, 꼬치(1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구멍(52a)이 형성된 결합판(52)이 구비되어 있다.
구이회전모터(53)는, 본체(20)에 설치되고 회전축(51)에 연결되어서 이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이회전모터(53)의 구동축(53a)에는 구동스프로킷(54)이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51)에는 전동스프로킷(55)이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스프로킷(54)과 전동스프로킷(55)에는 체인(56)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이회전모터(53)가 회전되면 구동스프로킷(54), 체인(56), 전동스프로킷(55)이 회전되면서 회전축(51)들을 회전시키며, 회전축(51)이 회전되면 이에 결합된 결합판(52)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결합판(52)의 삽입구멍(52a)에 삽입된 꼬치(10)가 회전된다.
차단편(53b)은, 구이회전모터(53)의 구동축(53a)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된다.
포터인터럽트의 센서(57)는, 차단편(53b)이 회전되면서 이를 지나면 감지되어서 작동되도록 본체(20)에 설치된다. 차단편(53b)이 센서(57)에 감지되면 구이회전모터(53)를 일정한 시간동안 정지시킨다.
시간조절스위치(58)는, 센서(57)에 연결되어서 센서(57)가 작동될 시 설정시간 동안 구이회전모터(53)를 온/오프시킨다.
선택스위치(59)는, 구이회전모터(53) 및 시간조절스위치(58) 사이에 연결되어서 시간조절스위치(58)를 단속한다.
꼬치자동승강부(60)는, 본체(20)에 설치되고 꼬치(10)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꼬치(10)의 타단을 본체(20)의 상부측으로 상승시킨다. 이러한 꼬치자동승강부(60)는, 설치브라켓(61), 구동모터(62), 승강축(64), 연동부(65), 모터제어부(70)로 이루어진다.
설치브라켓(61)은, 본체(20)의 외면에 고정되며 이 설치브라켓(61)에 꼬치자동승강부(60)의 부품들이 설치된다.
구동모터(62)는, 설치브라켓(61)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동력을 전달하며 이 회전동력에 의해 후술할 승강축(64)이 승강된다.
승강축(64)은, 설치브라켓(61)에 승강되도록 설치되고 있고 상승시 꼬치(10)의 손잡이(11) 부분을 상승시킨다.
연동부(65)는, 구동모터(62)의 모터축(63)와 승강축(64)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62)의 모터축(63)이 1회전되면 승강축(64)이 승강되도록 모터축(63)의 회전동력을 수직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승강축(64)에 전달한다.
이러한 연동부(65)는, 구동편(66), 회동링크(67), 제1연동링크(68), 제2연동링크(69)로 이루어진다.
구동편(66)은, 모터축(63)의 단부에 고정되어서 모터축(63)과 함께 회전된다. 회동링크(67)는, 일단이 설치브라켓(6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구동편(66)에 연결되어서 구동편(66)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연동링크(68)는, 일단이 구동편(66)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링크(67)에 연결되어서 구동편(66)의 회전시 회동링크(67)를 상하로 회동시킨다. 제2연동링크(69)는, 일단이 회동링크(67)에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축(64)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67)의 회동시 승강축(64)을 승강시킨다.
모터제어부(70)는, 설치브라켓(61)에 설치되고 구동모터(62)가 1회전된 후 정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모터제어부(70)는, 작동스위치(71)와 리미트스위치(72)로 이루어진다.
작동스위치(71)는, 설치브라켓(61)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62) 및 전원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62)의 구동을 단속한다.
작동스위치(71)의 상부측 설치브라켓(61)에는 누름축(73)이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설치브라켓(61)과 누름축(73)에는 누름축(73)을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복원스프링(7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축(73)의 상단을 누르면 복원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누름축(73)이 하강되고 이에 따라 누름축(73)의 하단부가 작동스위치(71)를 눌러서 작동시킨다. 누름축(73)에서 손을 떼면 복원스프링(74)이 복원되면서 누름축(73)을 상승시키므로 누름축(73)의 하단이 작동스위치(71)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리미트스위치(72)는, 설치브라켓(61)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62)의 모터축(63)이 1회전되면 이를 감지하여서 구동모터(62)에 전원을 차단하므로 구동모터(62)를 정지시킨다.
컨트롤러(80)는, 전원선(81)에 연결되고 송풍부(30), 구이회전부(50), 꼬치자동승강부(6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한다.
한편, 설치브라켓(61) 일측의 본체(20)에는, 꼬치(10) 타단의 손잡이(11)가 본체(20)에 안착되도록 안내하고 꼬치(10) 일단이 구이회전부(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꼬치이탈방지브라켓(9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꼬치이탈방지브라켓(90)은, 설치브라켓(61)에 고정되는 고정편(91)과, 고정편(91)의 일단에 연장되어 있는 연장편(92)과, 연장편(92)의 일단에 연장되어서 꼬치(10)의 일단이 구이회전부(5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손잡이(11)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편(93)과, 지지편(93)의 일단에 연장되어 있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진입되는 꼬치(10) 손잡이(11) 단부가 지지편(93)의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편(94)으로 이루어진다.
본체(20)의 상부면에는 본체(20)의 상부를 마감하고 구워진 고기가 식지 않게 수납되도록 상판부(100)가 구비된다.
이 상판부(100)는, 중앙이 관통되어 있고 후술할 열기유도체의 끼움돌부(112)가 삽입되도록 결합홈(102)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101)과, 상판(101)의 양측에 결합되어서 구워진 고기가 식지 않도록 수납되며 버섯, 마늘, 김치 등의 채소를 구울 수 있도록 보온그릇(103)으로 이루어진다.
보온그릇(103)에는, 꼬치(10)에 끼워진 고기를 꼬치(10)로부터 분리시키고 꼬치(10)로부터 분리된 고기가 보온그릇(103)의 상부공간 측으로 수납되도록 분리홈(105)을 갖는 꼬치분리편(104)이 돌출되어 있다.
꼬치(10) 사이의 상판부(100)에는, 본체(20)의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열기를 꼬치(10)의 양측으로 유도하여서 꼬치(10)의 고기가 입체적으로 가열되도록 열기유도체(110)들이 결합되어 있다.
이 열기유도체(110)는, 열기유도체(110)를 상판(101)에 지지하는 지지판(111)과, 지지판(111)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상판(101)의 결합홈(102)에 끼워지는 끼움돌부(112)와, 상판(10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기를 꼬치(10)의 양측으로 분산시키도록 경사진 형태의 열기분산판(113)들과, 열기분산판(113)들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양측으로 분산된 열기가 체류되도록 하는 열기배출지연판(114)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로 고기를 구울시에는 본체(20)의 상부에 꼬치(10)를 안착시키고 상판부(100)의 상판(101)에 보온그릇(103) 및 열기유도체(110)를 설치한 후 사용되지만, 숯불구이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판(101)에서 보온그릇(103) 및 열기유도체(110)를 분리한 후 상판(101)에 상부커버(120)를 덮어서 상판(101)의 관통부분을 마감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화로(40)의 수납부(41)에 숯불을 수납시킨 상태에서 화로(40)를 본체(20) 내에 안착시킨다. 화로(40)가 본체(20) 내에 삽입되면 간격유지브라켓(42)들의 안착홈(43)들이 송풍부(30)의 송풍덕트(34)의 상부에 안착된다.
화로(40)가 안착되면 송풍부(30)의 온/오프스위치(36)를 온시켜서 블로어(32)를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메인덕트(31), 분배덕트(33), 송풍덕트(34)를 통해 송풍구(35)로 배출되므로 수납부(41)의 숯들에 송풍된다.
꼬치(10)에는 구울 고기를 꽂은 후 꼬치(10)의 일단을 구이회전부(50)의 결합판(52)에 형성된 삽입구멍(52a)에 삽입시키고 꼬치(10)의 손잡이(11) 부분을 본체(20)의 상측에 안착시킨다.
꼬치(10)가 본체(20)에 장착되면 구이회전부(50)의 선택스위치(59)를 작동시켜서 구이회전모터(53)를 구동시키고, 구이회전모터(53)가 구동되면 구동축(53a), 구동스프로킷(54), 체인(56), 전동스프로킷(55)이 구동되면서 회전축(51)을 회전시키며, 회전축(51)이 회전되면 결합판(52)이 회전되면서 이에 결합된 꼬치(10)를 회전시키게 된다.
구이회전부(50)의 구동축(53a)이 회전됨에 따라 구동축(53a)과 함께 회전되는 차단편(53b)이 포퍼인터럽트의 센서(57)에 감지되면 이 센서(57)에 의해 구이회전모터(53)의 회전이 일정한 시간동안 정지된다.
구이회전부(50)가 일정한 시간동안 회전되면서 꼬치(10)의 고기가 충분히 익으면 꼬치자동승강부(60)의 누름축(73)을 눌러서 작동스위치(71)를 작동시킨다. 작동스위치(71)가 한번 눌리면 구동모터(62)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구동되고 이에 따라 모터축(63)이 1회전되면서 연동부(65)를 연동시키며 연동부(65)에 의해 승강축(64)이 승강된다.
모터축(63)이 1회전되면 연동부(65)의 구동편(66)이 1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연동링크(68)가 승강되면서 회동링크(67)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제1연동링크(68)가 회동되면 제2연동링크(69)가 승강되면서 이에 연결된 승강축(64)을 승강시키게 된다.
모터축(63)이 1회전되면 리미트스위치(72)를 누르게 되고 리미트스위치(72)가 눌리면 구동모터(62)에 전원이 차단되면서 구동모터(62)의 구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누름축(73)을 누르면 구동모터(62)가 1회전된 후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꼬치자동승강부(60)에 의해 꼬치(10)의 손잡이(11) 부분이 상승되면 작업자가 상승된 손잡이(11)를 파지하고 꼬치(10)의 일단을 결합판(52)의 삽입구멍(52a)에서 분리시킨다.
꼬치(10)가 본체(20)로부터 분리되면 손잡이(11) 부분의 꼬치(10)를 꼬치분리편(104)의 분리홈(105) 내에 위치시키고 꼬치(10)를 꼬치분리편(104) 반대측으로 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꼬치(10)에 끼인 고기가 꼬치분리편(104)에 의해 꼬치(10)로부터 빠지게 되며 꼬치(10)에서 분리된 고기는 보온그릇(103) 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꼬치(10)의 일단을 결합판(52)의 삽입구멍(52a)에 끼우고, 꼬치(10)의 손잡이(11)를 꼬치이탈방지브라켓(90) 측으로 안착시키면 손잡이(11)의 단부가 안내편(94)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꼬치이탈방지브라켓(90)의 내측으로 진입되며, 진입된 꼬치(10)의 손잡이(11)는 꼬치이탈방지브라켓(90)의 지지편(93)에 지지되므로 꼬치(10)의 일단이 구이회전부(50)의 결합판(5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꼬치(10)의 일단을 삽입구멍(52a)에 끼우고 꼬치(10)의 타단을 하측으로 내려 놓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꼬치(10)가 구이회전부(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이회전부(5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꼬치(10)를 숯불구이기에 장착시키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장착된 상태가 안정적이다.
둘째, 본 발명의 꼬치구이기는 꼬치자동승강부(60)의 누름축(73)을 누르면 작동스위치(71)가 눌리면서 구동모터(62)가 구동되고 모터축(63)이 1회전되면서 승강축(64)이 승강되며 이에 따라 상승되는 승강축(64)에 의해 꼬치(10)의 손잡이(11) 부분이 상측으로 밀리면서 본체(20)의 상부 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누름축(73)의 상단부를 누르는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꼬치(10)의 손잡이(11) 부분이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인출되므로 꼬치(10)를 본체(20)로부터 분리시키기가 매우 편리하다.
셋째, 본 발명의 본체(20)에는 본체(20)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송풍부(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송풍부(30)에는 화로(40)의 수납부(41)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송풍덕트(34)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화로(40)의 수납부(41)들이 각각의 송풍덕트(34)들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송풍부(30)의 블로어(32)가 작동되면 메인덕트(31) 및 분배덕트(33)를 통해 송풍덕트(34)들로 공기가 공급되고 송풍덕트(34)들을 통해 화로(40)의 수납부(41)들에 공기가 송풍된다.
그러므로 화로(40)의 수납부(41)들에는 송풍부(30)에 의해 일정하게 송풍이 이루어지므로 수납부(41)들에 수납된 숯들이 골고루 발화되므로 화로(40) 전체에서 비교적 고르게 발열되며 이에 따라 여러 꼬치(10)에 꽂힌 고기들이 일정한 속도로 익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의 본체(20) 상부 양측에는 보온그릇(103)이 결합되어 있고 꼬치(10)에서 다익은 고기는 이 보온그릇(103)에 수납된다.
보온그릇(103)에는 하부의 화로(40)에 의해 일정한 열기가 도달되며 이에 따라 보온그릇(103)에 수납된 고기는 식지 않는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보온그릇(103)에 마늘이나 버섯, 김치 등의 채소를 올려 놓으면 타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보온그릇(103)의 상부에는 꼬치(10)에 끼워진 고기를 꼬치(10)로부터 분리시키고 꼬치(10)로부터 분리된 고기가 보온그릇(103)의 상부공간 측으로 수납되도록 분리홈(105)을 갖는 꼬치분리편(104)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꼬치(10)의 고기가 다 익으면 꼬치(10)의 손잡이(11)를 잡고 손잡이(11) 부근의 꼬치(10)를 분리홈(105) 내에 위치시킨 후 꼬치(10)를 꼬치분리편(104) 반대측으로 당기면 꼬치(10)의 고기가 꼬치(10)로부터 분리되면서 보온그릇(103) 상부로 수납된다.
그러므로 꼬치(10)를 잡은 한 손만으로 꼬치(10)에 꽂힌 고기를 꼬치(10)로부터 빼낸 후 보온그릇(103)에 담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기를 꼬치(10)로부터 빼내고 빼낸 고기를 보온그릇(103)에 담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여섯째,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꼬치(10) 사이의 상판부(100)에 본체(20)의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열기를 꼬치(10)의 양측으로 유도하여서 꼬치(10)의 고기가 입체적으로 가열되도록 열기유도체(110)들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화로(40)에서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열기가 열기유도체(110)의 열기분산판(113)들에 부딪히면서 꼬치(10)들의 양측으로 분산되고 양측으로 분산된 열기는 열기배출지연판(114)들에 부딪히면서 꼬치(10)들의 양측 공간에 체류된다.
그러므로 꼬치(10)의 고기가 화로(40)에서 꼬치(10)의 하부로 공급되는 열기와 열기유도체(110)들에 의해 꼬치(10)의 양측으로 유도되는 열기에 의해 입체적으로 가열되므로 고기 전체가 골고루 익는다.
10 : 꼬치 11 : 손잡이
20 : 본체 21 : 기름받이
30 : 송풍부 31 : 메인덕트
32 : 블로어 33 : 분배덕트
34 : 송풍덕트 35 : 송풍구
36 : 온/오프스위치 40 : 화로
41 : 수납부 42 : 간격유지브라켓
43 : 안착홈 50 : 구이회전부
51 : 회전축 52 : 결합판
52a : 삽입구멍 53 : 구이회전모터
53a : 구동축 53b : 차단편
54 : 구동스프로킷 55 : 전동스프로킷
56 : 체인 57 : 포터인터럽트의 센서
58 : 시간조절스위치 59 : 선택스위치
60 : 꼬치자동승강부 61 : 설치브라켓
62 : 구동모터 63 : 모터축
64 : 승강축 65 : 연동부
66 : 구동편 67 : 회동링크
68 : 제1연동링크 69 : 제2연동링크
70 : 모터제어부 71 : 작동스위치
72 : 리미트스위치 73 : 누름축
74 : 복원스프링 80 : 컨트롤러
81 : 전원선 90 : 꼬치이탈방지브라켓
91 : 고정편 92 : 연장편
93 : 지지편 94 : 안내편
100 : 상판부 101 : 상판
102 : 결합홈 103 : 보온그릇
104 : 꼬치분리편 105 : 분리홈
110 : 열기유도체 111 : 지지판
112 : 끼움돌부 113 : 열기분산판
114 : 열기배출지연판 120 : 상부커버

Claims (10)

  1. 테이블에 설치되는 본체(20);
    본체(20)에 설치되고 본체(20)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30);
    본체(20)의 내부 하측에 안착되고 본체(20)의 상부측으로 열을 공급하는 화로(40);
    본체(20)에 설치되고 본체(20)의 상부에 안착된 꼬치(10)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꼬치(10)를 회전시키는 구이회전부(50);
    본체(20)에 고정되는 설치브라켓(61)과, 설치브라켓(61)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2)와, 본체(20)의 외면에 승강되도록 설치되고 있고 상승시 꼬치(10)의 손잡이(11) 부분을 상승시키는 승강축(64)과, 구동모터(62)의 모터축(63)와 승강축(64)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62)의 모터축(63)이 1회전되면 승강축(64)이 승강되도록 모터축(63)의 회전동력을 수직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승강축(64)에 전달하는 연동부(65)와, 설치브라켓(61)에 설치되고 구동모터(62)가 1회전된 후 정지되도록 하는 모터제어부(70)로 이루어져서, 꼬치(10)의 타단을 본체(20)의 상부측으로 상승시키는 꼬치자동승강부(60);
    송풍부(30), 구이회전부(50), 꼬치자동승강부(6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동부(65)는,
    모터축(63)의 단부에 고정되어서 모터축(63)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편(66)과,
    일단이 설치브라켓(61)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구동편(66)에 연결되어서 구동편(66)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링크(67)와,
    일단이 구동편(66)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링크(67)에 연결되어서 구동편(66)의 회전시 회동링크(67)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제1연동링크(68)와,
    일단이 회동링크(67)에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축(64)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67)의 회동시 승강축(64)을 승강시키는 제2연동링크(6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모터제어부(70)는,
    설치브라켓(61)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62) 및 전원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62)의 구동을 단속하는 작동스위치(71)와,
    설치브라켓(61)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62)의 모터축(63)이 1회전되면 이를 감지하여서 구동모터(62)에 전원을 차단하므로 구동모터(62)를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20)에는 꼬치(10) 타단의 손잡이(11)가 본체(20)에 안착되도록 안내하고 꼬치(10) 일단이 구이회전부(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꼬치이탈방지브라켓(9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꼬치이탈방지브라켓(90)은,
    설치브라켓(61)에 고정되는 고정편(91)과, 고정편(91)의 일단에 연장되어 있는 연장편(92)과, 연장편(92)의 일단에 연장되어서 꼬치(10)의 일단이 구이회전부(5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손잡이(11)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편(93)과, 지지편(93)의 일단에 연장되어 있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진입되는 꼬치(10) 손잡이(11) 단부가 지지편(93)의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편(9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20)의 상부면에는 본체(20)의 상부를 마감하고 구워진 고기가 식지 않게 수납되도록 상판부(100)가 구비되되,
    이 상판부(100)는,
    중앙이 관통되어 있는 상판(101)과, 상판(101)의 양측에 결합되어서 구워진 고기가 식지 않도록 수납되며 버섯, 마늘, 김치 등의 채소를 구울 수 있도록 보온그릇(103)으로 이루어지고;
    꼬치(10) 사이의 상판부(100)에는, 본체(20)의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열기를 꼬치(10)의 양측으로 유도하여서 꼬치(10)의 고기가 입체적으로 가열되도록 열기유도체(110)들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열기유도체(11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기를 꼬치(10)의 양측으로 분산시키도록 경사진 열기분산판(113)들이 형성되어 있고 열기분산판(113)들의 상단부에는 양측으로 분산된 열기가 체류되도록 열기배출지연판(1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KR1020100118774A 2010-11-26 2010-11-26 숯불구이기 KR101062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74A KR101062435B1 (ko) 2010-11-26 2010-11-26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74A KR101062435B1 (ko) 2010-11-26 2010-11-26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435B1 true KR101062435B1 (ko) 2011-09-05

Family

ID=4495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774A KR101062435B1 (ko) 2010-11-26 2010-11-26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4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851B1 (ko) 2011-12-23 2013-05-27 김옥화 테이블형 구이기
KR101371137B1 (ko) * 2013-11-14 2014-03-25 염인택 휴대용 오븐
KR101932451B1 (ko) 2018-06-22 2018-12-26 주식회사 동원하이텍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KR101949240B1 (ko) * 2018-06-22 2019-05-02 주식회사 동원하이텍 모듈 및 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화로 및 구이기용 바디
KR20190086863A (ko) * 2018-01-15 2019-07-24 김영재 다목적 구이기
CN113827113A (zh) * 2021-11-05 2021-12-24 上海玺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上下串功能的烧烤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486Y1 (ko) 2005-06-10 2005-08-31 이동조 회전멈춤식 숯불구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486Y1 (ko) 2005-06-10 2005-08-31 이동조 회전멈춤식 숯불구이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851B1 (ko) 2011-12-23 2013-05-27 김옥화 테이블형 구이기
KR101371137B1 (ko) * 2013-11-14 2014-03-25 염인택 휴대용 오븐
KR20190086863A (ko) * 2018-01-15 2019-07-24 김영재 다목적 구이기
KR102005172B1 (ko) 2018-01-15 2019-10-17 김영재 다목적 구이기
KR101932451B1 (ko) 2018-06-22 2018-12-26 주식회사 동원하이텍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KR101949240B1 (ko) * 2018-06-22 2019-05-02 주식회사 동원하이텍 모듈 및 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화로 및 구이기용 바디
CN113827113A (zh) * 2021-11-05 2021-12-24 上海玺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上下串功能的烧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435B1 (ko) 숯불구이기
KR100628997B1 (ko) 상부에 개폐식 도어가 장착된 구이기
KR102243806B1 (ko) 자동 석쇠 구이기
KR101010264B1 (ko) 구이용 조리기구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KR100644207B1 (ko) 환경친화형 다기능 숯불 구이장치
ZA200504095B (en) Barbecue (grill unit).
KR100949476B1 (ko) 숯불구이기
KR101299119B1 (ko) 기름유도용 구이판을 갖는 훈제겸용 직화 구이기
KR100853566B1 (ko) 회전식 구이 장치
KR200486690Y1 (ko) 화력 조절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
KR101334913B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KR101286792B1 (ko) 구이용 테이블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JP2011245185A (ja) 串焼き製造装置
KR100614684B1 (ko) 숯불 구이기
KR20160095553A (ko) 휴대용 바베큐 구이기
KR20100093642A (ko) 테이블 로스터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200296333Y1 (ko)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KR100916587B1 (ko)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KR101910557B1 (ko) 회전식 맥반석 구이기
KR200394355Y1 (ko)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KR100938638B1 (ko) 숯불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