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355Y1 -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355Y1
KR200394355Y1 KR20-2005-0016720U KR20050016720U KR200394355Y1 KR 200394355 Y1 KR200394355 Y1 KR 200394355Y1 KR 20050016720 U KR20050016720 U KR 20050016720U KR 200394355 Y1 KR200394355 Y1 KR 200394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rod
transfer
roas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조
Original Assignee
이동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조 filed Critical 이동조
Priority to KR20-2005-0016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3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13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박스형태로 형성된 몸체(111)의 상부를 일정넓이로 개구된 공간형태의 복수의 가열공간(112)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가스조절레버(114)에서 조절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면서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열공간(112)에 열을 가하는 가열버너(113)를 형성하고, 가열공간(112)의 일측으로 구이봉(10)의 손잡이가 삽입되도록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된 구이봉삽입구(115)를 형성하며, 가열공간(112)의 하부에 구이물의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118)를 형성하여 구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10)와, 상기 가열부(110)의 몸체(111)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22)와 속도조절레버(123)로 속도가 조절되는 구동모터(121)를 형성하고, 구동모터(121)의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구(124)를 결합시키며, 동력전환구(124)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막대형상의 연결봉(126)과 체결수단(127)으로 결합하여 좌우로 구동하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의 연결봉(126)에 일측이 결합하고 가열부(110)의 몸체(111)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32)의 외측에 메인베어링(133)으로 결합하여 구동모터(121)의 구동으로 좌우로 구동하는 메인구동부(131)를 형성하고, 메인구동부(131)의 양단부에 상부로 돌출된 스프링지지구(134)를 형성하여 복수로 형성된 스프링(135)의 일측단부를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좌우로 구동하는 좌우구동부(130)와, 상기 좌우구동부(130)의 스프링(135)의 타측단부를 중앙에서 고정하도록 이송스프링지지구(144)를 중앙에 구비하여 메인구동부(131)의 상부로 가열부(110)의 몸체(111)에 고정된 이송지지브라켓(143)에 이송베어링(142)으로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하는 이송구(141)를 형성하고, 이송구(141)의 일측 상부에 돌출된 핀 형상의 연동핀(145)을 형성하며, 이송구(141)의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정해진 거리만큼만 좌우 운동하도록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46)를 형성하여 이송하다가 일정범위가 되면 멈춤동작을 실시하는 이송멈춤부(140)와, 상기 가열부(110)의 가열공간(112)의 내측으로 구이봉(10)이 삽입되는 통공형태의 구이봉삽입공(152)을 복수로 형성하여 삽입결합하는 회전구(151)의 타단측으로 이송멈춤부(140)의 상부에 회전스프라켓(153)을 형성하여 체인(154)으로 연결하고, 체인(154)의 하부에 연동핀(145)으로 결합되어 이송멈춤부(140)의 이송구(141)의 이송과 멈춤에 따라 체인(154)으로 연결된 회전구(151)의 회전과 멈춤동작을 반복실시하는 회전부(150)와, 상기 가열부(110)의 구이봉삽입구(115)에 하부로 작동구(165)를 형성하여 측부에 돌출형성된 조작구(161)를 조작하면 상승하여 구이봉(10)을 상부로 탈착하는 구이봉탈착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Rotation and Stop Type Gas Roaster}
본 고안은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봉에 각종 구이물을 삽입고정하여 가열버너에서 가열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회전구에 구이봉을 삽입한 상태로 구이봉탈착부에 삽입시켜 가열버너로 구이물을 가열하면서 구동부의 구동모터를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속도조절레버로 속도를 조절하면서 회전시키면 동력전환구에서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구이봉을 회전하도록 회전부의 연동봉으로 연결된 체인을 구동하여 회전하고, 일정각도 회전하면 스토퍼로 정지된 상태로 연결된 복수로 좌우 결합형성된 스프링의 장력으로 일정 기간 멈추었다가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여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 다시 회전하여 회전과 멈춤동작으로 되풀이하여 구이봉에 구이물을 골고루 익히면서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회전속도를 구동모터의 속도에 따라 제어하면서 회전시키고 구이물이 다 익혀지면 작동구를 상부로 밀어서 원터치로 구이봉을 탈착하여 구이물을 골고루 익히면서 간편하게 탈착시키는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가스 구이기는 가스를 공급하여 가열되는 가열버너를 이용하여 구이물을 굽는 구이기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이기는 가스버너의 상부에 구이판을 안치한 상태에서 일정온도가 되면 구이물을 구이판에 올려놓고 사용자가 익는 상태에 따라 구이물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취식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이판을 이용한 구이물 취식방법은 구이판을 가열한 상태로 구이물에 이차적으로 가열하는 간접 가열 방식으로 열효율이 감소하여 구이물의 굽는 시간과 연료의 소비가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판 위에서 구이물을 익히기 위해서 일정한 형태로 절단 가공하여 구이물의 원형을 보존할 수 없고 간접가열로 인해 구이물에 맞는 적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어려움에 따라 구이물의 표면은 타고 내부는 익지 않아 구이물의 맛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고기의 경우 육즙을 보존하여 고기의 참맛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하고 생선이나 야채와 같은 경우에는 식용류나 여타 기름을 사용하여 튀김형태가 아닌 바로 열을 가열하여 굽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이판을 이용하는 간접 가열방식으로는 양질의 맛을 유지하면서 충분히 구이물을 가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구이판을 이용하여 구이물을 간접가열 함에 따라 구이판의 청결상태와 종류에 따라 구이물의 맛과 영양이 달라지며 구이판이 오염되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구이판을 사용하여 구이물을 굽는 경우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취식할 수 있으므로 취식자의 건강에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가열버너의 중앙에 회전되도록 긴 막대기 형상에 구이물을 끼워서 구이물을 회전하면서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회전식 구이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는 실용신안출원번호 제 20-2000-30656호에서 개시된 바 이를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싱(10);
조리하고자 하는 고기를 끼워서 지지하고, 한쪽 선단은 상기 케이싱(10)의 한쪽 측벽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꼬치봉 홀더(14)에 끼워져 지지되고, 다른 쪽 선단은 케이싱(10)의 다른 쪽 측벽에 상단이 개방된 꼬치봉 걸이홈(12)에 끼워져 양단이 지지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꼬치봉(20);
상기 인접하는 2개의 꼬치봉(20)들 사이마다 그 아래쪽에서 이들 꼬치봉(2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측벽에 복수개의 노즐(40a)이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관(40);
상기 인접하는 2개의 노즐관(40)의 한쪽 선단들을 서로 연통시키며, 아울러 가스공급관(43)과 연통된 연결관(41);
상기 노즐관(40)의 노즐(40a)에 근접하게 상기 케이싱(10)의 일측 내측벽에 설치되어 점화스위치(45)의 작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불꽃을 일으켜 노즐관(40)의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구(44);
상기 연결관(41)마다 설치되어 상기 점화스위치(45)에 작동에 의해 연결관(41)의 내부통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
상기 노즐관(4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노즐관(40)의 부근온도가 소정의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를 닫힘위치로 절환시키는 착화감지센서(47):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에서 분기되어 선단이 상기 점화구(44)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점화스위치(45)가 작동시마다 소정량의 가스를 점화구(44)쪽으로 공급하는 파이롯가스관(46);
상기 복수개의 꼬치봉(20)들마다 피동스프라켓(33)을 결합하고, 이들 피동스프라켓(33)들을 1개의 무한궤도형 체인(34)으로 연결하여 이들 스프라켓(34)들을 1개의 구동모터(31)의 구동스프라켓(32)로써 회전연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30)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기술의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는 가스의 불꽃을 조절하여 가열되는 온도를 간편하게 조정하면서 사용하는 것으로, 가스 화력의 특성상 화력의 조절이 원활하여 일정한 온도로 막대형상의 구이물을 회전구동수단으로 회전하면서 구이물을 가열하는 익히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열온도만을 조절하면 일정속도로 계속해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구이물의 외측은 일정하게 익혀지지만 계속회전됨에 따라 내측으로 열기의 전달이 원활하지 못하고, 구이봉에 끼워진 단부로 열이 집중되어 구이물이 타고 내부가 잘 익지 않아 양질의 맛을 추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는 가스로 일정하게 온도가 조절되어 각종 육류, 생선 및 야채 등을 익히도록 구성하였으나, 수분의 함량과 지방에 분포에 따라 익는 시간과 방법이 다르고, 양념을 바르거나 소금을 뿌리는 등의 조리방법에 따라 가스버너의 온도 조절만으로 양질의 맛을 추구하기 힘들고 양념에 따라 구이물의 표면을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는 꼬치가 삽입되는 부위에 홈이 형성되어 기름이 내부로 끼어서 청소가 어려워 위생관리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는 무한궤도형 체인을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구이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복수로 형성된 피동스프라켓을 회전함에 따라 체인의 계속된 구동으로 발생되는 부하에 따른 고장이 자주 발생하여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구이물이 적재된 구이봉의 상단에 복수의 통공형태의 구이봉삽입공을 형성하고 외측단부 측으로 회전스프라켓을 형성한 회전구를 복수로 형성하여 체인으로 결합한 상태로 체인과 연동핀으로 결합된 좌우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체인을 일측으로 이송하다가 양측으로 스프링이 결합된 체인을 이송하는 이송구가 스토퍼에 의해 회전을 멈추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공간으로 이송을 하고, 좌우구동부에 의해 구동방향이 전환되면 이송부가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연동핀으로 결합된 체인을 구동하여 회전구에 결합된 구이봉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일정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반대측 스토퍼에 도달하면 반대측에 형성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를 이송하는 동작을 반복시켜 상하향식으로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면서 구이봉에 안치된 구이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구이봉의 끝단에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멈춤 시에 구이물의 내부로 열기가 충분히 전달되어 익힌후에 회전하여 다른면을 계속 구워주는 것으로 구이물의 내외를 골고루 익혀 양질의 맛을 추구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에 형성된 구이봉의 일단을 회전과 멈춤동작을 반복하는 회전멈춤부에 결합시키고 타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삽입하도록 형성된 구이봉삽입구의 측면에 막대형상의 조작구를 형성하고 조작구의 하부에 좌우회동링크에 형성된 연결링크로 구이봉삽입구에 삽입되는 구이봉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작동구와 상하이송링크를 연결하여 구이봉을 삽입하여 구이물을 가열시킨 뜨거운 구이봉을 일측에 형성된 조작구를 가열부 측으로 밀면 연결링크로 연결된 좌우회동링크와 상하이송링크가 연동하면서 작동구를 상승시켜 상부에 형성된 구이봉을 상부로 밀어서 원터치로 탈착시킴에 따라 가열된 구이물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인출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최소화 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봉을 일정각도로 회전멈춤 동작을 반복시키는 체인을 구동하는 좌우구동부의 메인구동부와 좌우로 구동하도록 동력전환부가 설치된 구동모터를 연결봉으로 연결하여 회전력을 동력전환부로 좌우회전동력으로 전환시켜 이송하는 구동모터를 외부 일측에 형성된 속도조절레버로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육류의 경우에는 소, 돼지, 닭 등의 고기의 질과 지방의 함량이 다른 고기의 종류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하면서 회전과 멈춤을 반복시켜 골고루 익으면서 고기의 참맛을 추구하도록 하며, 야채와 생선의 경우에도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면서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골고루 익히도록 형성하고, 가스조절레버에 의해 가열버너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면서 회전되는 속도를 조절시켜 구이물의 종류 뿐만 아니라, 조리형태에 따라 양념을 바르거나 소금 등의 첨가물을 첨가하게 되어도 타지 않고 적당한 온도에서 내부까지 충분히 구워서 구이물의 종류와 조리방법을 다양화 하면서 양질의 맛을 추구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좌우이송부를 좌우로 이송하면 스토퍼로 일정거리 이송하는 이송구와 연동핀으로 연동되는 체인으로 회전구와 결합된 회전스프라켓을 회전하여 구이물이 형성된 구이봉의 회전멈춤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스토퍼의 일정 거리만큼 체인이 이송함에 따라 일정회전 반경내부에서 체인이 구동함에 따라 부하를 최소화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물을 가열하도록 상부에 개구된 복수의 가열공간에 중앙상부 측으로 판형상으로 힌지회전하는 열유도판을 형성하여 가열공간 측으로 회전하여 개구된 상부의 면적을 축소시키면 구이봉이 회전되는 내측으로 열을 집중시켜서 가열을 가속화 시키고, 열유도판을 가열 공간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가열공간을 확대시키면 상부로 열을 유도하여 상부에 가열판 등의 간접가열도구를 가열하도록 형성하여 연료를 절감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하여 범용성을 확대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기가 설치되는 식탁이나 테이블에 구이판의 열기가 도달되지 않도록 경사턱을 형성하여 다른 접시나 이물질이 근접되는 것을 막아 열기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 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버너에서 발생되는 열기의 내부에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육류조직의 콜레스테롤이 감소되도록 분해하고, 노폐물을 감소시켜 육질을 알카리성으로 바뀌주며, 열을 골고루 전달하여 고기를 부드럽게 하여 양질의 맛을 추구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는 박스형태로 형성된 몸체의 상부를 일정넓이로 개구된 공간형태의 복수의 가열공간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가스조절레버에서 조절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면서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열공간에 열을 가하는 가열버너를 형성하고, 공간의 일측으로 구이봉의 손잡이가 삽입되도록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된 구이봉삽입구를 형성하며, 가열공간의 하부에 구이물의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를 형성하여 구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몸체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와 속도조절레버로 속도가 조절되는 구동모터를 형성하고,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구 결합시키며, 동력전환구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막대형상의 연결봉과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좌우로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연결봉에 일측이 결합하고 가열부의 몸체에 결합된 지지브라켓의 외측에 메인베어링으로 결합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좌우로 구동하는 메인구동부를 형성하고, 메인구동부의 양단부에 상부로 돌출된 스프링지지구를 형성하여 복수로 형성된 스프링의 일측단부를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좌우로 구동하는 좌우구동부와, 상기 좌우구동부의 스프링의 타측단부를 중앙에서 고정하도록 이송스프링지지구를 중앙에 구비하여 메인구동부의 상부에 몸체에 고정된 이송지지브라켓에 이송베어링으로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하는 이송구를 형성하고, 이송구의 일측상부에 돌출된 핀 형상의 연동핀을 형성하며, 이송구의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정해진 거리만큼만 좌우 운동하도록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이송하다가 일정범위가 되면 멈춤동작을 실시하는 이송멈춤부와, 상기 가열부의 가열공간의 내측으로 구이봉이 삽입되는 통공형태의 구이봉삽입공을 복수로 형성하여 삽입결합하는 회전구의 타단측으로 이송멈춤부의 상부에 회전스프라켓을 형성하여 체인으로 연결하고, 체인의 하부에 연동핀으로 결합되어 이송멈춤부의 이송구의 이송과 멈춤에 따라 체인으로 연결된 회전구의 회전과 멈춤동작을 반복실시하는 회전부와, 상기 가열부의 구이봉삽입구에 하부에 작동구를 형성하여 측부에 돌출형성된 조작구를 조작하면 상승하여 구이봉을 상부로 탈착하는 구이봉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가열공간 사이로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판형태의 열유도판을 형성하여 가열공간 측으로 회전하여 가열공간의 개구부의 면적을 축소하면 가열공간 내부의 열이 집산되도록 형성하고, 가열공간 사이측으로 회전하면 가열공간의 면적이 확대되면서 외측으로 열이 발산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는 몸체의 상부 외측으로 일정 경사의 경사턱을 형성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에 구동 측으로 장공형태로 작용점의 변화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장공을 형성하여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변환하는 동력전환구의 작용점의 위치를 변화시켜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에 복수로 형성된 회전스프라켓을 체인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체인의 일측으로 스프라켓 형상의 텐션스프라켓을 형성하여 체인의 텐션을 유지하면서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구이봉탈착부는 조작구의 하부에 좌우로 회동되도록 좌우회동링크를 결합형성하고, 가열부의 구이봉삽입구 하부에 형성된 작동구의 하부에 상하로 이송하는 상하이송링크를 결합형성하여 연결링크로 좌우회동링크와 상하이송링크를 결합시켜 구이봉삽입구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구를 가열공간 측으로 밀면 연동하면서 작동구가 상승하여 구이봉을 상부로 탈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일측 스톱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타측 스톱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좌우구동부와 이송멈춤부를 확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구이봉탈착부를 확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100)는 상부를 복수로 개구하여 내부에 가열버너(113)로 가열하는 가열부(110)와, 상기 가열부(110)의 일측으로 전원스위치(122)와 속도가 조절되는 구동모터(121)를 형성하여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전환시켜 구동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와 연결되어 좌우로 구동하면서 좌우측으로 복수의 스프링(135)을 고정 형성한 좌우구동부(130)와, 상기 좌우구동부(130)의 상부에 연동되도록 형성하되 일정구간을 좌우로 이송하도록 스토퍼(146)를 형성하고 중앙으로 스프링(135)과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스토퍼(146)로 정지된 구간을 스프링(135)에 탄성으로 발생된 구간을 주행하여 이송과 멈춤을 반복해서 동작하는 이송멈춤부(140)와, 상기 이송멈춤부(140)와 연동하도록 결합하여 구이봉(10)의 일측을 고정시켜 이송멈춤부(140)의 좌우이송과 멈춤에 따라 구이봉(10)이 회전 및 멈춤동작을 반복하도록 연동하는 회전부(150)와, 상기 가열부(110)에 삽입되는 구이봉(10)의 하측으로 조작에 의해 상부로 탈착되도록 형성한 구이봉탈착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열부(110)는 박스형태로 형성된 몸체(111)의 상부를 일정넓이로 개구된 공간형태의 복수의 가열공간(112)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가스조절레버(114)에서 조절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면서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열공간(112)에 열을 가하는 가열버너(113)를 형성하고, 가열공간(112)의 일측으로 구이봉(10)의 손잡이가 삽입되도록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된 구이봉삽입구(115)를 형성하며, 가열공간(112)의 하부에 구이물의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118)를 형성하여 구이물을 가열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가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가열공간(112) 사이로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판형태의 열유도판(116)을 형성하여 가열공간(112) 측으로 회전하여 가열공간(112)의 개구부의 면적을 축소하면 가열공간(112) 내부의 열이 집산되도록 형성하고, 복수의 가열공간(112) 사이 측으로 회전하면 가열공간(112)의 면적이 확대되면서 외측으로 열이 발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부(110)는 몸체(111)의 상부 외측으로 일정 경사의 경사턱(117)을 형성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120)는 가열부(110)의 몸체(111)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22)와 속도조절레버(123)로 속도가 조절되는 구동모터(121)를 형성하고, 구동모터(121)의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구(124)를 결합시키며, 동력전환구(124)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막대형상의 연결봉(126)과 체결수단(127)으로 결합하여 좌우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구동부(120)의 구동모터(121)에 구동 측으로 장공형태로 작용점에 변화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장공(125)을 형성하여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변환하는 동력전환구(124)의 작용점의 위치를 변화시켜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구동부(130)는 구동부(120)의 연결봉(126)에 일측이 결합하고 가열부(110)의 몸체(111)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32)의 외측에 메인베어링(133)으로 결합하여 구동모터(121)의 구동으로 좌우로 구동하는 메인구동부(131)를 형성하고, 메인구동부(131)의 양단부에 상부로 돌출된 스프링지지구(134)를 형성하여 복수로 형성된 스프링(135)의 일측단부를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좌우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멈춤부(140)는 좌우구동부(130)의 스프링(135)의 타측단부를 중앙에서 고정하도록 이송스프링지지구(144)를 중앙에 구비하여 메인구동부(131)의 상부로 가열부(110)의 몸체(111)에 고정된 이송지지브라켓(143)에 이송베어링(142)으로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하는 이송구(141)를 형성하고, 이송구(141)의 일측 상부에 돌출된 핀 형상의 연동핀(145)을 형성하며, 이송구(141)의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정해진 거리만큼만 좌우 운동하도록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46)를 형성하여 이송하다가 일정범위가 되면 멈춤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부(150)는 가열부(110)의 가열공간(112)의 내측으로 구이봉(10)이 삽입되는 통공형태의 구이봉삽입공(152)을 복수로 형성하여 삽입결합하는 회전구(151)의 타단측으로 이송멈춤부(140)의 상부에 회전스프라켓(153)을 형성하여 체인(154)으로 연결하고, 체인(154)의 하부에 연동핀(145)을 결합되어 이송멈춤부(140)의 이송구(141)의 이송과 멈춤에 따라 체인(154)으로 연결된 회전구(151)의 회전과 멈춤동작을 반복실시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회전부(150)에 복수로 형성된 회전스프라켓(153)을 체인(154)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체인(154)의 일측으로 스프라켓 형상의 텐션스프라켓(155)을 형성하여 체인(154)의 텐션을 유지하면서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이봉탈착부(160)는 가열부(110)의 구이봉삽입구(115)에 하부로 작동구(165)를 형성하여 측부에 돌출형성된 조작구(161)를 조작하면 상승하여 구이봉(10)을 상부로 탈착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구이봉탈착부(160)는 조작구(161)의 하부에 좌우로 회동되도록 좌우회동링크(162)를 결합형성하고, 가열부(110)의 구이봉삽입구(115) 하부에 형성된 작동구(165)의 하부에 상하로 이송하는 상하이송링크(164)를 결합형성하여 연결링크(163)로 좌우회동링크(162)와 상하이송링크(164)를 결합시켜 구이봉삽입구(115)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구(161)를 가열공간(112) 측으로 밀면 연동하면서 작동구(165)가 상승하여 구이봉(10)을 상부로 탈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박스형태의 몸체(111)의 상부에 복수로 개구되도록 형성한 가열공간(112)을 형성하고, 각 가열공간(112)의 내측으로 중앙에 이격거리를 형성하여 하부에 형성된 기름받이(118)에 기름이 열기에 닿지 않도록 경사지게 가열버너(113)를 형성하고, 가열버너(113)의 일측으로 가스조절레버(114)로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하면서 열원을 공급하도록 설치하며, 가열공간(112)의 일측으로 구이봉(10)의 손잡이부분이 삽입되는 손잡이 형상의 구이봉삽입구(115)를 형성하여 구이봉(10)의 손잡이부분을 삽입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가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가열공간(112) 사이로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판형태의 열유도판(116)을 형성하여 가열공간(112)의 내측으로 구이물이 장착된 구이봉(10)을 삽입한 상태에서 빠른 가열을 위해서 상부 개구 측에 면적을 축소시켜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집중적으로 구이물을 가열시키고, 상부에 구이판과 같은 이차 가열수단을 이용하거나, 가열온도가 너무 집중되어 상부로의 열을 발산할 때에는 복수의 가열공간(112) 사이 측으로 열유도판(116)을 회전시켜 가열공간(112)의 상부 개구측에 면적이 확대되면서 외측으로 열기를 발산하도록 한다.
또한, 가열부(110)는 몸체(111)의 상부 외측으로 일정 경사의 경사턱(117)을 형성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도달되지 않도록 한다. .
이렇게, 형성된 가열부(110)의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22)와 하부에 형성된 구동모터(121)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구동하는 속도조절레버(123)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전원을 공급하면서 구동모터(121)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구이 작업을 실시하고, 구동모터(121)의 구동 측으로 형성된 속도조절장공(125)에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구(124)를 속도에 맞도록 작용점의 위치를 보면서 결합하고, 동력전환구(124)에 긴 막대형상의 연결봉(126)을 좌우구동부(130)의 메인구동부(131) 일측으로 연동되도록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부(110)에 구동부(120)가 설치된 상태에서 가열부(110)의 몸체(111)에 고정된 지지브라켓(132)에 좌우로 이송되도록 메인베어링(133)에 외측으로 결합시킨 메인구동부(131)의 일측으로 연결봉(126)을 결합하고, 메인구동부(131)의 양측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135)에 일측을 결합한 상태로 중앙에서 연동되도록 몸체(111)에 형성된 이송지지브라켓(143)에 이송베어링(142)으로 결합된 이송구(141)에 스프링(135)의 타측을 결합시킴으로써, 스프링(135)의 양단 외측부는 메인구동부(131)을 결합하고 중앙측으로 이송구(141)의 이송스프링지지구(144)에 결합시키며, 이송구(141)의 상부 측으로 핀 형상의 연동핀(145)을 형성하고, 이송구(141)의 좌우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스토퍼(139)를 돌출 형성한다.
이렇게, 가열부(110)의 일측으로 이송멈춤부(140)를 설치한 상태에서 구이봉(10)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구이봉삽입공(152)을 형성한 회전구(151)에 타측으로 회전스프라켓(153)을 형성하고, 복수의 회전스프라켓(153)을 체인(154)으로 연결하되 일측으로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스프라켓(155)을 형성하고, 체인(154)의 하부에 형성된 이송구(141)와 연동하도록 연동핀(145)을 체인(154)에 삽입결합하여 이송구(141)가 이송과 멈춤 동작을 반복하면 연동되는 회전구(151)가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도록 형성하며, 구이봉(10)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결합되는 측으로 조작에 의해 상부로 탈착되는 구이봉탈착부(160)를 형성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구이기(100)를 식탁이나 테이블 등에 몸체(111) 외측으로 일정한 경사가 형성된 경사턱(117)이 돌출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구이봉(10)에 구이물을 꽂고 손잡이 타측의 구이봉(10)을 회전부(150)의 구이봉삽입공(152) 측으로 삽입 결합시키고 구이봉(10)의 손잡이 부분을 가열부(110)의 구이봉삽입구(115)에 삽입시켜 안치한다.
이렇게, 구이봉(10)이 안치된 상태에서 가스조절레버(114)의 조작으로 가열버너(113)를 구이물에 종류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면서 작동하여 구이물에 열기를 가한다.
상기와 같이, 구이물을 굽다가 사용자가 회전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전원스위치(122)를 온 시킨 상태에서 속도조절레버(123)에서 속도를 올리면 구동모터(121)가 회전하면서 결합된 동력전환구(124)가 회전하고, 동력전환구(124)는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전환시켜 연결봉(126)으로 좌우구동부(130)를 좌우로 이송시킨다.
이때, 구동모터(121)의 구동 측에 형성된 속도조절장공(125)에 동력전환구(124)의 속도조절에 따라 작용점의 위치를 지정하도록 고정한다.
이렇게, 좌우로 이송력을 동력전환구(124)에서 발생시키면 연결봉(126)으로 연결된 메인구동부(131)가 지지브라켓(132)과 메인베어링(133)으로 지지되면서 좌우로 이송되고, 메인구동부(131)와 스프링(135)으로 연결되어 중앙에 형성된 이송멈춤부(140)의 이송구(141)가 연동하면서 구동되면 이송구(141)와 연동핀(145)으로 연결된 체인(154)이 구동하면서 회전스프라켓(153)이 구비된 회전구(151)를 회전시키며, 회전구(151)에 삽입결합된 구이봉(10)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구동부(131)가 일측방향으로 계속 구동하다가 상부의 스프링(135)으로 연결된 이송구(141)가 일정한 회전각도 이상의 회전제한을 위해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스토퍼(146)에 안치되면서 정지하고, 스토퍼(146)로 이송구(141)가 정지된 상태에서 메인구동부(131)가 스프링(135)의 탄성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계속 진행하여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여 진행하면 같은 동작을 반복시켜 메인구동부(131)와 연동하는 이송구(141)의 이송과 스토퍼(146)에 의한 정지동작에 따라 체인(154)을 구동하여 회전구(151)를 회전 및 정지하는 동작을 반복시켜 구이물을 골고루 익히도록 한다.
이렇게, 구이물이 완전히 익었다고 판단되면, 구이봉(10)이 삽입된 가열부(110)의 구이봉삽입구(115)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구(161)를 가열공간 측으로 밀면 조작구(161)와 연동되는 좌우회동링크(162)가 가열공간(112)의 반대측으로 회동되면서 연결링크(163)로 연결된 상하이송링크(164)를 상부로 작동하여 상부에 형성된 작동구(165)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구이봉(10)의 손잡이 부분을 상부로 밀어 탈착시켜서 손으로 파지하여 구이봉(10)이 결합된 회전부(150)의 구이봉삽입공(152)에서 구이봉(10)을 이탈시켜서 원터치로 안전하게 구이봉(10)을 구이기(100)에서 제거하여 구이봉(10)에서 회전멈춤을 반복하면서 알맞은 온도로 내부에서 표면까지 알맞게 구이된 구이물을 취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는 구이물이 적재된 구이봉의 상단에 복수의 통공형태의 구이봉삽입공을 형성하고 외측단부 측으로 회전스프라켓을 형성한 회전구를 복수로 형성하여 체인으로 결합한 상태로 체인과 연동핀으로 결합된 좌우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체인을 일측으로 이송하다가 양측으로 스프링이 결합된 체인을 이송하는 이송구가 스토퍼에 의해 회전을 멈추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공간으로 이송을 하고, 좌우구동부에 의해 구동방향이 전환되면 이송부가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연동핀으로 결합된 체인을 구동하여 회전구에 결합된 구이봉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일정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반대측 스토퍼에 도달하면 반대측에 형성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를 이송하는 동작을 반복시켜 상하향식으로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면서 구이봉에 안치된 구이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구이봉의 끝단에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멈춤 시에 구이물의 내부로 열기가 충분히 전달되어 익힌후에 회전하여 다른면을 계속 구워주는 것으로 구이물의 내외를 골고루 익혀 양질의 맛을 추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는 상부에 형성된 구이봉의 일단을 회전과 멈춤동작을 반복하는 회전멈춤부에 결합시키고 타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삽입하도록 형성된 구이봉삽입구의 측면에 막대형상의 조작구를 형성하고 조작구의 하부에 좌우회동링크에 형성된 연결링크로 구이봉삽입구에 삽입되는 구이봉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작동구와 상하이송링크를 연결하여 구이봉을 삽입하여 구이물을 가열시킨 뜨거운 구이봉을 일측에 형성된 조작구를 가열부 측으로 밀면 연결링크로 연결된 좌우회동링크와 상하이송링크가 연동하면서 작동구를 상승시켜 상부에 형성된 구이봉을 상부로 밀어서 원터치로 탈착시킴에 따라 가열된 구이물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인출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최소화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는 구이봉을 일정각도로 회전멈춤 동작을 반복시키는 체인을 구동하는 좌우구동부의 메인구동부와 좌우로 구동하도록 동력전환부가 설치된 구동모터를 연결봉으로 연결하여 회전력을 동력전환부로 좌우회전동력으로 전환시켜 이송하는 구동모터를 외부 일측에 형성된 속도조절레버로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육류의 경우에는 소, 돼지, 닭 등의 고기의 질과 지방의 함량이 다른 고기의 종류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하면서 회전과 멈춤을 반복시켜 골고루 익으면서 고기의 참맛을 추구하도록 하며, 야채와 생선의 경우에도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면서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골고루 익히도록 형성하고, 가스조절레버에 의해 가열버너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면서 회전되는 속도를 조절시켜 구이물의 종류 뿐만 아니라, 조리형태에 따라 양념을 바르거나 소금 등의 첨가물을 첨가하게 되어도 타지 않고 적당한 온도에서 내부까지 충분히 구워서 구이물의 종류와 조리방법을 다양화 하면서 양질의 맛을 추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는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좌우이송부를 좌우로 이송하면 스토퍼로 일정거리 이송하는 이송구와 연동핀으로 연동되는 체인으로 회전구와 결합된 회전스프라켓을 회전하여 구이물이 형성된 구이봉의 회전멈춤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스토퍼의 일정 거리만큼 체인이 이송함에 따라 일정회전 반경내부에서 체인이 구동함에 따라 부하를 최소화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는 구이물을 가열하도록 상부에 개구된 복수의 가열공간에 중앙상부 측으로 판형상으로 힌지회전하는 열유도판을 형성하여 가열공간 측으로 회전하여 개구된 상부의 면적을 축소시키면 구이봉이 회전되는 내측으로 열을 집중시켜서 가열을 가속화 시키고, 열유도판을 가열 공간의 내측으로 회전시켜 가열공간을 확대시키면 상부로 열을 유도하여 상부에 가열판 등의 간접가열도구를 가열하도록 형성하여 연료를 절감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하여 범용성을 확대시키는데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는 구이기가 설치되는 식탁이나 테이블에 구이판의 열기가 도달되지 않도록 경사턱을 형성하여 다른 접시나 이물질이 근접되는 것을 막아 열기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는 가스버너에서 발생되는 열기의 내부에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육류조직의 콜레스테롤이 감소되도록 분해하고, 노폐물을 감소시켜 육질을 알카리성으로 바뀌주며, 열을 골고루 전달하여 고기를 부드럽게 하여 양질의 맛을 추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가스버너식 회전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가스버너식 회전구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일측 스톱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타측 스톱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좌우구동부와 이송멈춤부를 확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의 구이봉탈착부를 확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이봉 100 : 구이기
110 : 가열부 111 : 몸체
112 : 가열공간 113 : 가열버너
114 : 가스조절레버 115 : 구이봉삽입구
116 : 열유도판 117 : 경사턱
118 : 기름받이 120 : 구동부
121 : 구동모터 122 : 전원스위치
123 : 속도조절레버 124 : 동력전환구
125 : 속도조절장공 126 : 연결봉
127 : 체결수단 130 : 좌우구동부
131 : 메인구동부 132 : 지지브라켓
133 : 메인베어링 134 : 스프링지지구
135 : 스프링 140 : 이송멈춤부
141 : 이송구 142 : 이송베어링
143 : 이송지지브라켓 144 : 이송스프링지지구
145 : 연동핀 146 : 스토퍼
150 : 회전부 151 : 회전구
152 : 구이봉삽입공 153 : 회전스프라켓
154 : 체인 155 : 텐션스프라켓
160 : 구이봉탈착부 161 : 조작구
162 : 좌우회동링크 163 : 연결링크
164 : 상하이송링크 165 : 작동구

Claims (6)

  1. 박스형태로 형성된 몸체(111)의 상부를 일정넓이로 개구된 공간형태의 복수의 가열공간(112)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가스조절레버(114)에서 조절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면서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열공간(112)에 열을 가하는 가열버너(113)를 형성하고, 가열공간(112)의 일측으로 구이봉(10)의 손잡이가 삽입되도록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된 구이봉삽입구(115)를 형성하며, 가열공간(112)의 하부에 구이물의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118)를 형성하여 구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10)와,
    상기 가열부(110)의 몸체(111)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22)와 속도조절레버(123)로 속도가 조절되는 구동모터(121)를 형성하고, 구동모터(121)의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구(124)를 결합시키며, 동력전환구(124)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막대형상의 연결봉(126)과 체결수단(127)으로 결합하여 좌우로 구동하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의 연결봉(126)에 일측이 결합하고 가열부(110)의 몸체(111)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32)의 외측에 메인베어링(133)으로 결합하여 구동모터(121)의 구동으로 좌우로 구동하는 메인구동부(131)를 형성하고, 메인구동부(131)의 양단부에 상부로 돌출된 스프링지지구(134)를 형성하여 복수로 형성된 스프링(135)의 일측단부를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좌우로 구동하는 좌우구동부(130)와,
    상기 좌우구동부(130)의 스프링(135)의 타측단부를 중앙에서 고정하도록 이송스프링지지구(144)를 중앙에 구비하여 메인구동부(131)의 상부로 가열부(110)의 몸체(111)에 고정된 이송지지브라켓(143)에 이송베어링(142)으로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하는 이송구(141)를 형성하고, 이송구(141)의 일측 상부에 돌출된 핀 형상의 연동핀(145)을 형성하며, 이송구(141)의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정해진 거리만큼만 좌우 운동하도록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46)를 형성하여 이송하다가 일정범위가 되면 멈춤동작을 실시하는 이송멈춤부(140)와,
    상기 가열부(110)의 가열공간(112)의 내측으로 구이봉(10)이 삽입되는 통공형태의 구이봉삽입공(152)을 복수로 형성하여 삽입결합하는 회전구(151)의 타단측으로 이송멈춤부(140)의 상부에 회전스프라켓(153)을 형성하여 체인(154)으로 연결하고, 체인(154)의 하부에 연동핀(145)으로 결합되어 이송멈춤부(140)의 이송구(141)의 이송과 멈춤에 따라 체인(154)으로 연결된 회전구(151)의 회전과 멈춤동작을 반복실시하는 회전부(150)와,
    상기 가열부(110)의 구이봉삽입구(115)에 하부로 작동구(165)를 형성하여 측부에 돌출형성된 조작구(161)를 조작하면 상승하여 구이봉(10)을 상부로 탈착하는 구이봉탈착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가열공간(112) 사이로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판형태의 열유도판(116)을 형성하여 가열공간(112) 측으로 회전하여 가열공간(112)의 개구부의 면적을 축소하면 가열공간(112) 내부의 열이 집산되도록 형성하고, 복수의 가열공간(112) 사이 측으로 회전하면 가열공간(112)의 면적이 확대되면서 외측으로 열이 발산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10)는 몸체(111)의 상부 외측으로 일정 경사의 경사턱(117)을 형성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20)의 구동모터(121)에 구동 측으로 장공형태로 작용점의 변화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장공(125)을 형성하여 회전동력을 좌우이송동력으로 변환하는 동력전환구(124)의 작용점의 위치를 변화시켜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50)에 복수로 형성된 회전스프라켓(153)을 체인(154)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체인(154)의 일측으로 스프라켓 형상의 텐션스프라켓(155)을 형성하여 체인(154)의 텐션을 유지하면서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봉탈착부(160)는 조작구(161)의 하부에 좌우로 회동되도록 좌우회동링크(162)를 결합형성하고, 가열부(110)의 구이봉삽입구(115) 하부에 형성된 작동구(165)의 하부에 상하로 이송하는 상하이송링크(164)를 결합형성하여 연결링크(163)로 좌우회동링크(162)와 상하이송링크(164)를 결합시켜 구이봉삽입구(115)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구(161)를 가열공간(112) 측으로 밀면 연동하면서 작동구(165)가 상승하여 구이봉(10)을 상부로 탈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KR20-2005-0016720U 2005-06-10 2005-06-10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KR200394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20U KR200394355Y1 (ko) 2005-06-10 2005-06-10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20U KR200394355Y1 (ko) 2005-06-10 2005-06-10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355Y1 true KR200394355Y1 (ko) 2005-09-01

Family

ID=4369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720U KR200394355Y1 (ko) 2005-06-10 2005-06-10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3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42B1 (ko) * 2007-02-16 2008-03-31 송해용 회전구이의 구이봉제거장치
KR101660647B1 (ko) 2015-07-24 2016-10-10 박인희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CN108548386A (zh) * 2018-05-08 2018-09-18 重庆凯益特种气体有限公司 气瓶内烘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42B1 (ko) * 2007-02-16 2008-03-31 송해용 회전구이의 구이봉제거장치
KR101660647B1 (ko) 2015-07-24 2016-10-10 박인희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CN108548386A (zh) * 2018-05-08 2018-09-18 重庆凯益特种气体有限公司 气瓶内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3098B1 (en) Automatic broiler for variable batch cooking
EP1885188B1 (en) Automatic broiler for variable batch cooking
KR100660364B1 (ko) 고기구이용 오븐
WO2006057939A3 (en) Oscillating hot dog grill
KR200394355Y1 (ko) 회전멈춤식 가스구이기
KR200415670Y1 (ko) 김 구이장치
KR200223262Y1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KR101062435B1 (ko) 숯불구이기
KR200394486Y1 (ko) 회전멈춤식 숯불구이기
KR100597544B1 (ko) 황토 터널 구이기
KR100644207B1 (ko) 환경친화형 다기능 숯불 구이장치
KR100762445B1 (ko) 회전멈춤형 숯불구이기 및 그 작동조절방법
KR102261778B1 (ko) 확장 사용이 가능한 가열장치
KR200336264Y1 (ko) 꼬치구이기
KR200353156Y1 (ko) 바비큐 구이기
KR200405803Y1 (ko) 환경친화형 다기능 숯불 구이장치
KR200448049Y1 (ko) 구이용 전열조리장치
KR100760814B1 (ko) 꼬지 타입 육류 구이장치
KR200411289Y1 (ko) 바비큐 구이기
KR200433811Y1 (ko) 회전멈춤형 숯불구이기
KR101953255B1 (ko) 유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CN204120848U (zh) 多功能烤肉器
JP5325310B2 (ja) 加熱調理装置
KR102181486B1 (ko) 구이판 승강 및 양방향 조리 구조를 갖는 구이기가 장착된 구이 테이블
KR100641702B1 (ko) 바비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