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086B1 - 구이용 불판장치 - Google Patents

구이용 불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086B1
KR100661086B1 KR1020060065628A KR20060065628A KR100661086B1 KR 100661086 B1 KR100661086 B1 KR 100661086B1 KR 1020060065628 A KR1020060065628 A KR 1020060065628A KR 20060065628 A KR20060065628 A KR 20060065628A KR 100661086 B1 KR100661086 B1 KR 100661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rod
transfer
inner cylinder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율
Original Assignee
조흥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율 filed Critical 조흥율
Priority to KR102006006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conveyors moving in a horizontal or an inclined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용 불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중앙에 화구(2)가 마련된 본체(1)를 테이블(T) 상면으로부터 매입 설치하여서 된 구이용 불판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불판장치(100)는 본체(1)를 기준으로 좌측에 제1설치공간부(3)가 우측에 제2설치공간부(4)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공간부(3)로부터 저면 중앙에 구이봉 배출구(11a)가 마련된 외통(11)이 설치되는 한편, 외통(11) 내부에는 수개의 구이봉(B)을 담아 하부 구이봉 배출구(11a)로 구이봉을 공급하기 위한 내통(12)이 설치되며, 상기 내통(12)의 저면으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내통의 진입상태에 따라 구이봉(B)의 공급을 제어하는 게이트부재(13)가 설치되며, 상기 외통(11)의 저면을 받치며, 중앙에 상기 구이봉 배출구(11a)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구이봉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받침턱(14)이 형성된 구이봉 공급부(10)와; 상기 구이봉 공급부(10)의 받침턱(14) 하부 양측에 공급되는 구이봉(B)의 양단을 각각 연속 형성되는 나사산의 피치 사이에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1이송스크류(21)가 제1설치공간부(3) 내의 측벽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이송스크류(21)의 일단에 벨트(V)로서 연결 설치되어 이들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M1)가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스크류(21)가 설치되는 선상으로부터 본체의 상부측으로 수직 설치되어 제1이송스크류(21)로부터 구이봉(B)을 상부로 안내하는 가이드(22)가 설치된 구이봉 제1이송부(20)와; 상기 본체(1)의 개구된 상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22)로부터 안내된 구이봉(B) 양단을 각각 연속 형성 되는 나사산의 피치 사이에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2이송스크류(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제2이송스크류(31)의 일단에 벨트(V)로서 연결 설치되어 이들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M2)가 설치된 구이봉 제2이송부(30)와; 상기 본체(1)의 제2설치공간부(4) 내에 회수통(41)이 상부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스크류(31)로부터 이송되는 구이봉(B)을 회수하는 구이봉 회수부(40)와; 상기 제1구동모터(M1), 제2구동모터(M2)를 제어하는 콘트롤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테이블에 설치되어 콘트롤부를 통한 간단한 조작으로 각 낱개로 된 구이봉을 연속으로 본체 상부에 공급시켜 하나의 불판을 연속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불판교체에 따른 직원을 호출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과 육류구이로 인해 육류의 탄화정도를 감안하여 지저분한 불판형성을 이용객이 손쉽게 교체하여 양질의 육류구이를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되며, 불판형성에 따라 사용된 구이봉은 별도의 수거통을 통해 회수가 용이하여 향후 이를 한번에 회수할 수 있어 취급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구이, 불판, 교체, 구이봉, 이송, 테이블

Description

구이용 불판장치{A gridiron apparatus for roast}
도 1은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장치가 적용된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불판장치가 테이블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불판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불판장치의 구이봉 공급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이봉 공급부와 구이봉 제1이송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서 구이봉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 사시도,
도 7은 구이봉 공급부로부터 구이봉을 공급받아 일차 이송시키기 위한 구이봉 제1이송부와 이차 이송시켜 불판을 형성하는 구이봉 제2이송부의 주요부분인 이송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이송스크류의 동력전달 관계에 따른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봉 회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본체 2: 화구
10: 구이봉 공급부 20: 구이봉 제1이송부부
30: 구이봉 제2이송부 40: 구이봉 회수부
50: 콘트롤부 B: 구이봉
T: 테이블
본 발명은 구이용 불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육류를 구워먹는 이용객이 직접 테이블에 마련된 교체장치를 손쉽게 조작하여 영업소 직원의 도움없이 테이블 자체 내에서 불판을 자동으로 교체시켜 연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구이를 전문으로 영업하는 식당 등에서는 이용객들을 위한 고기구이 테이블이 취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테이블에는 육류구이를 위한 화덕과 함께 불판이 설치되며, 연기배출을 위한 덕트 시스템이 되어 있는 예가 보편적이다. 테이블로부터 육류구이를 위해 설치된 장치는 화력조절과 연기배출을 배기 팬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정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 육류구이에 적용되는 불판 중 숯불구이용 불판은, 석쇠타입으로 가로세로 정방향으로 철사나 동선을 그물모양으로 엮어놓은 형상이거나, 원형이나 사각형 테두리에 일자형의 받침봉을 일정간극을 두고 배열한 다음, 그 양단부를 테두리측에 용접하여 제작한 형태의 불판이 사용된다.
상기의 불판을 테이블 화덕에 얹혀 놓은 상태에서 육류구이를 행함에 있어, 고기의 탄화 정도에 따라 불판을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며, 이때마다 이용객은 불판교체를 영업장 직원에게 호소하여 불판을 교체하는 정도가 대부분이다.
흔히, 육류구이를 즐기는 이용객에 따라 불판의 사용횟수의 정도는 제각기 다르지만, 보통은 3~4번, 또는 그 이상의 불판을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는 불판을 갈아달라는 이용객의 호소 및 테이블에 마련된 차임벨을 이용한 관리직원을 호출하는 문제로, 영업직원이 수시로 여러 테이블을 일일이 관리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직원이 불판을 회수해 가는데 있어서도, 이용객들과 수시로 마주쳐야하고, 불판을 교체하는 과정에서도 자리를 적당히 피해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불판으로부터 탄화물이 테이블이나 기타 바닥면에 떨어져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수된 불판은 별도 장소에 쌓아 두었다가 세척하는데 있어서도 임시로 보관하기에 마땅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고, 불판의 형상에 따라 쌓아두는 정도가 일정치 않아 세척작업에 있어서도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육류를 구워먹는 이용객이 테이블에 장치한 불판장치를 손쉽게 조작하여 직원의 도움없이 테이블 자체 내에서 불판을 자동으로 교체하여 연속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중앙에 화구가 마련된 본체를 테이블 상면으로부터 매입 설치하여서 된 구이용 불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좌측에 제1설치공간부가 우측에 제2설치공간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공간부로부터 저면 중앙에 구이봉 배출구가 마련된 외통이 설치되는 한편, 외통 내부에는 수개의 구이봉을 담아 하부 구이봉 배출구로 구이봉을 공급하기 위한 내통이 설치되며, 상기 내통의 저면으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내통의 진입상태에 따라 구이봉의 공급을 제어하는 게이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외통의 저면을 받치며, 중앙에 상기 구이봉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구이봉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받침턱이 형성된 구이봉 공급부와; 상기 구이봉 공급부의 받침턱 하부 양측에 공급되는 구이봉의 양단을 각각 연속 형성되는 나사산의 피치 사이에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1이송스크류가 제1설치공간부 내의 측벽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이송스크류의 일단에 벨트로서 연결 설치되어 이들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스크류가 설치되는 선상으로부터 본체의 상부측으로 수직 설치되어 제1이송스크류로부터 구이봉을 상부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된 구이봉 제1이송부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로부터 안내된 구이봉 양단을 각각 연속 형성되는 나사산의 피치 사이에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2이송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제2이송스크류의 일단에 벨트로서 연결 설치되어 이들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가 설치된 구이봉 제2이송부와; 상기 본체 의 제2설치공간부 내에 회수통이 상부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스크류로부터 이송되는 구이봉을 회수하는 구이봉 회수부와; 상기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이용 불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판 교체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중앙에 화구(2)가 마련된 본체(1)를 테이블(T) 상면으로부터 매입 설치하여서 된 구이용 불판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불판장치(100)는 본체(1)를 기준으로 좌측에 제1설치공간부(3)가 우측에 제2설치공간부(4)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공간부(3)로부터 저면 중앙에 구이봉 배출구(11a)가 마련된 외통(11)이 설치되는 한편, 외통(11) 내부에는 수개의 구이봉(B)을 담아 하부 구이봉 배출구(11a)로 구이봉을 공급하기 위한 내통(12)이 설치되며, 상기 내통(12)의 저면으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내통의 진입상태에 따라 구이봉(B)의 공급을 제어하는 게이트부재(13)가 설치되며, 상기 외통(11)의 저면을 받치며, 중앙에 상기 구이봉 배출구(11a)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구이봉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받침턱(14)이 형성된 구이봉 공급부(10)와; 상기 구이봉 공급부(10)의 받침턱(14) 하부 양측에 공급되는 구이봉(B)의 양단을 각각 연속 형성되는 나사산의 피치 사이에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1이송스크류(21)가 제1설치공간부(3) 내의 측벽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이송스크류(21)의 일단에 벨트(V)로서 연결 설치되어 이들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M1)가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스크류(21)가 설치되는 선상으로부터 본체의 상부측으로 수직 설치되어 제1이송스크류(21)로부터 구이봉(B)을 상부로 안내하는 가이드(22)가 설치된 구이봉 제1이송부(20)와; 상기 본체(1)의 개구된 상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22)로부터 안내된 구이봉(B) 양단을 각각 연속 형성되는 나사산의 피치 사이에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2이송스크류(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제2이송스크류(31)의 일단에 벨트(V)로서 연결 설치되어 이들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M2)가 설치된 구이봉 제2이송부(30)와; 상기 본체(1)의 제2설치공간부(4) 내에 회수통(41)이 상부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스크류(31)로부터 이송되는 구이봉(B)을 회수하는 구이봉 회수부(40)와; 상기 제1구동모터(M1), 제2구동모터(M2)를 제어하는 콘트롤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이봉 공급부(10)의 내통(12)은 첨부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으로 상부에 손잡이(12a)가 마련되고 저면 양측에 V자로 천공된 가이드공(12b)이 형성된 슬라이드편(12-1)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게이트부재(13)는 슬라이드편(12-1)의 가이드공(12b)으로부터 양단이 안내되는 복수의 연결봉(13a)이 양측에 설치된 ㄷ자형의 도어(13-1)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외통(11)의 내측 하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내통(12)의 저면을 받침과 동시에 도어(13-1)를 양측으로 각각 안내 지지시키며, 상기 도어(13-1)의 개방에 따라 내통(12)으로부터 외통(11)의 저면측 구이봉 배출구(11a)로 구이봉(B)을 안내하 는 지지프레임(13-2)이 부착 설치된 구조이다.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설치공간부(3)의 외측으로부터 외통(11)과 내통(12)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이봉 감지레버(L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지레버(L1)의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SW1)가 부가 설치되어 내통(12)으로부터 구이봉(B) 유무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구이봉(B)을 상부로 안내하는 가이드(22)는 구이봉(B)을 일렬로 상승시키기 위한 폭으로 형성되되, 상부 일측에 제2이송스크류(31)측으로 구이봉을 안내하는 제1출구(2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출구(22a)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구이봉(B)을 제1출구측(22a)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편(22b)이 제1출구(22a)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외통(11)과 내통(12)을 관통하는 제2출구(22c)가 형성되어 제1출구(22a)를 지나치는 구이봉(B)은 내통(12) 내부로 리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설치공간부(4) 내에는 구이봉 회수통(41)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이봉 감지레버(L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지레버(L2)의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SW2)가 부가 설치되어 구이봉 회수통(41) 내에 소정높이로 채워지는 구이봉(B)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콘트롤부(50)는 본체(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구동모터(M1) 제2구동모터(M2)의 구동제어와 함께 리미트스위치(SW1)(SW2)의 시그널 신호를 감지시켜 표시해 줄 수 있는 버저 또는 표시램프의 구성과 전원버튼, 모터 제어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구이용 불판장치의 설치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블(T)로부터 설치된 불판장치의 사용은, 본체(1) 내부에 마련된 화구(2)의 선택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한, 테이블(T)로부터 본체(1)로부터 형성되는 제1설치공간부(3) 내에 구성된 불판 공급부(10)를 설명한다.
상기 불판 공급부(10)의 구성요소인 외통(11)은 제1설치공간부(3)에 수용시키면, 그 하부에 마련된 받침턱(14)에 외통의 저면이 받쳐진 상태로 위치되는데, 그 내부에 섭동가능하게 설치된 내통(12)에는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구이봉(B)을 수개 투입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제1설치공간부(3)에 설치된 외통(11)에 대해 그 내부의 내통(12)측 손잡이(12a)를 쥐고 그 하부방향으로 가압시켜 주면, 이때의 상기 내통(12) 저부 양측에 마련된 슬라이드편(12-1)의 V자형 가이드공(12b)으로부터 연결 설치된 게이트부재(13)가 작동된다.
상기 게이트부재(13)의 구성요소인 연결봉(13a)은 첨부된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되는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a는 내통이 가압되기 이전 상태이고, 도 6b는 가압된 상태로서 상기 내통(12)측의 슬라이드편(12-1)에 형성된 V자형의 가이드공(12b)에 양단이 걸려 지지된 연결봉(13a)은 가이드공(12b)의 확장되는 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ㄷ자형의 도어(13-1)를 양측으로 벌려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도어(13-1)의 개방은 외통(11) 내에 대응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13-2)의 내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지지되는 상태가 되며, 이때 도어(13-1) 개방상태에 따라 내통(12)에 삽입되어 있는 수개의 구이봉(B) 중 일부는 대응된 지지프레임(13-2) 사이 즉, 도어(13-1)가 개방된 사이를 따라 그 하부로 유입되어 결국 외통(11)의 저면에 형성된 구이봉 배출구(11a)측으로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외통의 구이봉 배출구(11a)로 유도된 구이봉(B)은 그 하부에 대응되게 설치된 구이봉 제1이송부(20)의 구성요소인 제1이송스크류(21)의 나사산 피치 사이에 구이봉(B)의 양단이 안내되어 배치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이봉(B)의 공급세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콘트롤부(50)의 제어를 통한 제1구동모터(M1)를 구동시키면, 벨트(V)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이송스크류(21)는 회전과 더불어 배치된 구이봉(B)을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준다(도 5참조).
여기서 제1이송스크류(21)에 의해 이송되는 구이봉(B)은 상기 제1설치공간부(3)의 일측에 수직 설치된 가이드(22)를 따라 구이봉(B)을 밀어내는 방식으로서 구이봉(B)을 상승시켜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된 구이봉(B)은 가이드(22)의 상부측에 마련된 제1출구(22a)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며, 가이드편(22b)을 따라 낙하되는 하나이상의 구이봉(B)은 본체(1) 상부측에 대응되게 설치된 구이봉 제2이송부(30) 구성요소인 제2이송스크류(31)측 초입에 나사산 피치 사이에 구이봉(B) 양단이 배치되고, 이어서 연속적인 구이봉은 대기상태가 된다.
상기 제1이송스크류(21)의 회전구동은, 제2이송스크류(31)의 회전구동 보다 빠르게 회전하여 구이봉 공급부(10)로부터 구이봉(B)의 신속한 이송이 이루어지며, 가이드(22)의 제1출구(22a)까지 이송되어 상승된 구이봉(B)은 가이드편(22b)을 따라 제2이송스크류(31)로 구이봉(B)을 낱개씩 이동시킬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편(22b)을 통한 구이봉(B)의 공급속도에 비해 가이드(B)를 따라 상승되는 구이봉(B)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어 여기서 상기 제1출구(22a)를 지나치는 구이봉(B)은 그 상부측으로 더 상승되면서 구이봉 공급부(10)의 내통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2출구로 리턴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부(50)의 제어를 통해 제2구동모터(M2)를 회전시켜주면, 벨트(V)의 연결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한 상기 제2이송스크류(31)의 회전과 더불어 구이봉(B)을 각 나사산 피치에 공급받아 도 3에서 도시된 전체 구성도에서와 같이, 일정간극으로 이송이 이루어져 본체(1)의 상부측으로부터는 하나의 불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이봉(B)의 배치로서 불판을 형성한 상태에서는 본체(1)측의 화구(2)를 통해 제원되는 화력제공으로 각종 육류구이, 조개구이 등을 즐길 수 있다.
한편, 구이를 즐기고 난 다음 구이봉(B)에는 육류구이에 따른 잔여 조미료 육즙 등이 엉겨붙어 탄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새로운 구이봉으로 교체시켜줄 필요가 있는데, 이는 콘트롤부(50)의 조작으로 하여금 상기와 같이 제1구동모터(M1), 제2구동모터(M2)를 구동하면, 제1이송스크류(21), 제2이송스크류(31)의 회전과 동 시에 구이봉(B)을 구이봉 공급부(10)측으로부터 연속 공급하여 새로운 불판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별도로 직원을 호출하지 않고서도 교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이봉(B)의 교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된 구이봉(B)은 제2이송스크류(31)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점차적으로 구이봉 회수부(40)측으로 이송되며, 이송된 구이봉은 첨부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통(41) 내부로 낙하되어 모이게 된다.
한편, 상기 회수통(41) 내부에 쌓이게 되는 구이봉이 점차적으로 그 양이 많아져 상승되는 상태에서는 회수통의 상부 측벽으로부터 설치된 감지레버(L2) 일측을 가압하게 되고, 감지레버(L2)의 회동에 의해 그 일측으로부터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SW2)를 작동시켜 구이봉(B)의 회수를 콘트롤부(50)를 통해 표시해 줌으로써, 구이봉의 회수시기를 사용자 및 관리직원이 쉽게 알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이봉 회수부(40)측으로부터는 구이봉(B)의 회수와 더불어 구이봉 공급부(10)로부터 차츰 소진되는 구이봉은 내통의 하부 측벽으로부터 설치된 감지레버(L1)를 가압하고 있던 구이봉(B)이 배출됨으로써 감지레버(L1)는 이를 감지하고, 이 감지레버의 회동에 따라 그 일측에 마련된 리미트 스위치(SW1)를 작동하여 구이봉(B)의 공급을 콘트롤부(50)를 통해 표시해줄 수 있도록 한다(도 5참조).
상기 구이봉 공급부(10)와 구이봉 회수부(40)에서 구이봉(B)의 배출과 회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각 리미트 스위치(SW1)(SW2)를 통한 시그널은 콘트롤부(50)를 통해 콘트롤부에 적용될 수 있는 버저 또는 램프의 점등으로서 그 공급과 회수시기 를 알 수 있어 구이봉의 관리가 보다 수월해 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불판장치(100)를 사용함에 있어, 화구(2)로부터 숯 용기(도면에서 생략함)의 회수시 또는 본체(1) 내부의 청소시에 있어서는 본체 상부에 배치되어 하나의 불판을 형성하는 구이봉(B)을 회수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콘트롤부(50)를 통한 제1구동모터(M1)의 구동은 정지시키고, 제2구동모터(M2)만을 회전구동시켜 줌으로써, 제2이송스크류(31)의 회전으로 본체(1) 상부에서 불판을 형성한 구이봉(B) 만이 상기 구이봉 회수부(40)측으로 회수되도록 하고, 더 이상의 구이봉(B) 공급은 제2이송스크류(31)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청소실시 및 숯 용기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이용 불판장치는 테이블에 설치되어 콘트롤부를 통한 간단한 조작으로 각 낱개로 된 구이봉을 연속으로 본체 상부에 공급시켜 하나의 불판을 연속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불판교체에 따른 직원을 호출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과 육류구이로 인해 육류의 탄화정도를 감안하여 지저분한 불판형성을 이용객이 손쉽게 교체하여 양질의 육류구이를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되며, 불판형성에 따라 사용된 구이봉은 별도의 수거통을 통해 회수가 용이하여 향후 이를 한번에 회수할 수 있어 취급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중앙에 화구(2)가 마련된 본체(1)를 테이블(T) 상면으로부터 매입 설치하여서 된 구이용 불판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불판장치(100)는 본체(1)를 기준으로 좌측에 제1설치공간부(3)가 우측에 제2설치공간부(4)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공간부(3)로부터 저면 중앙에 구이봉 배출구(11a)가 마련된 외통(11)이 설치되는 한편, 외통(11) 내부에는 수개의 구이봉(B)을 담아 하부 구이봉 배출구(11a)로 구이봉을 공급하기 위한 내통(12)이 설치되며, 상기 내통(12)의 저면으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내통의 진입상태에 따라 구이봉(B)의 공급을 제어하는 게이트부재(13)가 설치되며, 상기 외통(11)의 저면을 받치며, 중앙에 상기 구이봉 배출구(11a)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구이봉을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받침턱(14)이 형성된 구이봉 공급부(10)와;
    상기 구이봉 공급부(10)의 받침턱(14) 하부 양측에 공급되는 구이봉(B)의 양단을 각각 연속 형성되는 나사산의 피치 사이에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1이송스크류(21)가 제1설치공간부(3) 내의 측벽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이송스크류(21)의 일단에 벨트(V)로서 연결 설치되어 이들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M1)가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스크류(21)가 설치되는 선상으로부터 본체의 상부측으로 수직 설치되어 제1이송스크류(21)로부터 구이봉(B)을 상부로 안내하는 가이드(22)가 설치된 구이봉 제1이송부(20)와;
    상기 본체(1)의 개구된 상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22)로부터 안내된 구이봉(B) 양단을 각각 연속 형성되는 나사산의 피치 사이에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제2이송스크류(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제2이송스크류(31)의 일단에 벨트(V)로서 연결 설치되어 이들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M2)가 설치된 구이봉 제2이송부(30)와;
    상기 본체(1)의 제2설치공간부(4) 내에 회수통(41)이 상부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스크류(31)로부터 이송되는 구이봉(B)을 회수하는 구이봉 회수부(40)와;
    상기 제1구동모터(M1), 제2구동모터(M2)를 제어하는 콘트롤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봉 공급부(10)의 내통(12)은 상하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으로 상부에 손잡이(12a)가 마련되고 저면 양측에 V자로 천공된 가이드공(12b)이 형성된 슬라이드편(12-1)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부재(13)는 슬라이드편(12-1)의 가이드공(12b)으로부터 양단이 안내되는 복수의 연결봉(13a)이 양측에 설치된 ㄷ자형의 도어(13-1)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외통(11)의 내측 하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내통(12)의 저면을 받침과 동시에 도어(13-1)를 양측으로 각각 안내 지지시키며, 도어(13-1)의 개방에 따라 내통(12)으로부터 외통(11)의 저면측 구이봉 배출구(11a)로 구이봉(B)을 안내하는 지지프레임(13-2)이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공간부(3)의 외측으로부터 외통(11)과 내통(12)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이봉 감지레버(L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지레버(L1)의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SW1)가 부가 설치되어 내통(12)으로부터 구이봉(B) 유무를 감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구이봉(B)을 상부로 안내하는 가이드(22)는 구이봉(B)을 일렬로 상승시키기 위한 폭으로 형성되되, 상부 일측에 제2이송스크류(31)측으로 구이봉을 안내하는 제1출구(2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출구(22a)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구이봉(B)을 제1출구측(22a)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편(22b)이 제1출구(22a)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외통(11)과 내통(12)을 관통하는 제2출구(22c)가 형성되어 제1출구(22a)를 지나치는 구이봉(B)은 내통(12) 내부로 리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치공간부(4) 내에는 구이봉 회수통(41)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이봉 감지레버(L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지레버(L2)의 회 동되는 각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SW2)가 부가 설치되어 구이봉 회수통(41) 내에 소정높이로 채워지는 구이봉(B)을 감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장치.
KR1020060065628A 2006-07-13 2006-07-13 구이용 불판장치 KR100661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628A KR100661086B1 (ko) 2006-07-13 2006-07-13 구이용 불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628A KR100661086B1 (ko) 2006-07-13 2006-07-13 구이용 불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086B1 true KR100661086B1 (ko) 2006-12-22

Family

ID=3781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628A KR100661086B1 (ko) 2006-07-13 2006-07-13 구이용 불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73B1 (ko) 2006-07-25 2008-03-31 조흥율 구이용 불판장치
KR101902741B1 (ko) * 2018-04-19 2018-09-28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73B1 (ko) 2006-07-25 2008-03-31 조흥율 구이용 불판장치
KR101902741B1 (ko) * 2018-04-19 2018-09-28 이근호 그릴 이동형 구이기
WO2019203440A1 (ko) * 2018-04-19 2019-10-24 (주)기찬하이테크 그릴 이동형 구이기
US20210022549A1 (en) * 2018-04-19 2021-01-28 Kichan Hi-Tech Co., Ltd. Movable type grill roaster
US11751720B2 (en) * 2018-04-19 2023-09-12 Kichan Hi-Tech Co., Ltd. Movable type grill roa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881B1 (ko) 구이용 불판 교체장치
KR100600657B1 (ko) 회전 숯불 구이판
JP2010505583A (ja) 無人自動炊飯装置
KR100817873B1 (ko) 구이용 불판장치
CN111528680B (zh) 一种炒菜机及应用炒菜机的控制系统
US20220408972A1 (en) Automated food management system
KR100661086B1 (ko) 구이용 불판장치
JP4873350B2 (ja) 回転式の炭火焼き板
KR101371267B1 (ko) 구이판 자동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탁자
US11751720B2 (en) Movable type grill roaster
KR101102693B1 (ko) 자동 로스터 장치
KR101882623B1 (ko)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101624427B1 (ko)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모터에 의해 손쉽게 교환될 수 있는 구이 장치
KR101023663B1 (ko) 자동 구이 장치
KR100817760B1 (ko) 육류구이용 로스터의 구이판 교체방법 및 그 장치
KR102211472B1 (ko) 종이 호일을 사용하는 위생 불판
KR102458872B1 (ko) 젓가락 공급장치
KR101347695B1 (ko) 체인식 구이용 불판을 갖는 식탁
KR20220096477A (ko) 젓가락 공급장치
KR200430609Y1 (ko) 수직 양면 숯불구이용 숯통 구조
JP2008093049A (ja) 自動焼物機
KR20140063129A (ko) 구이 장치
JP2688888B2 (ja) 焼肉バキュ−ム移動機
KR20220096473A (ko) 숟가락 공급장치
JP2007205672A (ja) 厨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