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477A - 젓가락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젓가락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6477A KR20220096477A KR1020200188950A KR20200188950A KR20220096477A KR 20220096477 A KR20220096477 A KR 20220096477A KR 1020200188950 A KR1020200188950 A KR 1020200188950A KR 20200188950 A KR20200188950 A KR 20200188950A KR 20220096477 A KR20220096477 A KR 202200964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opstick
- chopsticks
- fixed frame
- unit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21170 buffe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5721 COVID-19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528 Coronaviridae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202 Orthocoronavirinae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232 sneez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2 viral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47G21/145—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ja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젓가락이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 보관부와, 상기 젓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을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젓가락 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젓가락이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 보관부와, 상기 젓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을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젓가락 인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젓가락은 숟가락, 포크 등과 함께 음식을 섭취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젓가락은 일반 가정의 경우, 하나의 수납통에 담아 사용하기도 하지만, 방문객이 많은 음식점의 경우 각각 별도의 수납통에 분리하여 수납한다.
이러한 젓가락 수납통은 식탁 등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단부가 위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세워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없이 통형으로 형성된 개방형 수납통과 식탁 등에 눕혀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있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폐쇄형 수납통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수납통은 내부에 수납된 젓가락을 꺼내기 위해, 손가락으로 상기 수납통 내의 젓가락을 뒤적거려야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상기 수납통 내의 젓가락을 꺼내는 과정에서 여러 개의 젓가락을 만지게 되므로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현재까지 국내에서 22,000명 이상의 누적 확진자와 350명 이상의 누적 사망자가 발생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 19'라 한다)의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침방울)은 물론,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대중음식점 등에서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통의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10호에는 수저 인출 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젓가락이 배출되는 제1 출구를 가지는 젓가락 수납부; 숟가락이 배출되는 제2 출구를 가지는 숟가락 수납부; 상기 제1 및 제2 출구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구로 배출된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아 지지하며, 사용자에 의해 일단부가 눌리면 기울어지면서 지지하던 젓가락과 숟가락을 상기 일단부 측으로 미끄러뜨리는 작동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출구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개방하고 있다가 상기 작동판이 눌리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각각 폐쇄하여 수납된 젓가락과 숟가락의 추가적인 배출을 막는 젓가락 인출기 및 숟가락 인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작동판을 누름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을 편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사용자가 작동판을 눌러야만 숫가락과 젓가락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작동판 부분에서 오염이 발생되거나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있고, 작동판의 누름에 의해 수저 한 벌이 정확이 인출되지 못할 경우, 불필요하게 수저가 낭비되거나 추가로 인출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다시 수납부로 넣게 될 경우 여전히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개수가 많지 않으므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비교적 대규모의 식당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캠을 이용한 왕복운동에 의해 젓가락을 일정 간격으로 정확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젓가락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젓가락이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 보관부와, 상기 젓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 내측에 구비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을 하부로 공급하는 젓가락 공급부 및 상기 젓가락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 내측에 구비되어 젓가락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젓가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젓가락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젓가락 보관부는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내측에 수용된 젓가락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 내측면과 지지플레이트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는 젓가락 배출부의 구동에 의해 승강 구동하는 승강수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은 전방 단부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의 양 측면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후방 단부는 젓가락 배출부에 연결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상단부가 관통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젓가락 공급부는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을 하나씩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통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어 이동통로를 통한 젓가락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는 타원 형상 또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으로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젓가락 배출부는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에 결합되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왕복 운동하여 젓가락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젓가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왕복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복운동부는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동부재의 전방 구동시 젓가락을 가압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구동부재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해 구동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 전면에는 젓가락 배출부의 구동에 의해 젓가락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에는 젓가락 배출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개방되고, 자중에 의해 배출통로를 폐쇄시키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배출부의 구동에 의해 배출되는 젓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3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심캠을 이용한 왕복운동에 의해 젓가락을 일정 간격으로 정확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공급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배출부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배출부의 구동에 따른 작동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공급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배출부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배출부의 구동에 따른 작동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공급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배출부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배출부의 구동에 따른 작동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0), 젓가락 보관부(200), 젓가락 공급부(300) 및 젓가락 배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지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10)를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젓가락 보관부(200), 젓가락 공급부(300) 및 젓가락 배출부(400)가 구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지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젓가락 공급장치(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에 젓가락 보관부(200), 젓가락 공급부(300) 및 젓가락 배출부(400)가 구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설치프레임(120)으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하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후술할 컨베이어 수단(500)이 고정프레임(100)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0) 또는 지지프레임(110)은 지면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지면이 아닌 다른 테이블이나 기타 구조물의 상부, 즉 지지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전면에는 다수의 제1관통공(12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관통공(122)은 후술할 젓가락 공급부(300)를 구성하는 가이드롤러(340)의 회전이 고정프레임(100)의 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통로(310)를 통한 젓가락(20)의 공급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전면에는 젓가락 배출부(400)의 구동에 의해 젓가락 공급부(300)에 의해 공급되는 젓가락(20)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124)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통로(124)의 높이는 젓가락(2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젓가락(20)들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통로(124)에는 개폐도어(12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개폐도어(126)는 젓가락 배출부(400)에 의한 가압이 있는 경우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도어(126)는 그 상단부가 고정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후술할 젓가락 배출부(400)의 전방 구동에 의해 배출통로(124)에 위치된 젓가락(20)이 가압되는 경우에만 개폐도어(126)가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 즉 전방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되고, 젓가락(20)의 배출이 완료되어 젓가락 배출부(400)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도어(126)의 자중에 의해 개폐도어(126)가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내측, 즉 후방으로 회동하여 배출통로(124)를 다시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126)는 다수 개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으나, 후술할 이동통로(310)에 적층되어 있는 젓가락(20)들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젓가락 배출부(400)로부터의 가압력이 없는 경우에도 개폐도어(126)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배출통로(124)를 전체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하나의 개폐도어(126)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통로(124)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100)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갖는 가이드부재(128)가 설치되어 배출통로(124)를 통해 배출되는 젓가락(20)을 후술할 컨베이어 수단(500)의 상부로 안전하게 투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젓가락 보관부(200)는 고정프레임(10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다수의 젓가락(20)들을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하여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폭, 즉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는 젓가락(2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젓가락(20)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젓가락 보관부(200)는 지지플레이트(210)와 배출구(2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210)는 고정프레임(100)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젓가락 보관부(200)가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갖는 편심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플레이트(210)는 고정프레임(100)의 상부 내측에 전방을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이 전방 하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의 전방 단부는 고정프레임(100)의 전단부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지지플레이트(210)와 고정프레임(100)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이 젓가락 보관부(200)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의 배출구(220)가 된다.
즉, 상기 배출구(220)는 젓가락 보관부(200)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을 젓가락 공급부(3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220)의 넓이, 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은 젓가락(20) 1개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젓가락(20)이 한꺼번에 배출구(220)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긴 관통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의 하부로부터 관통홀(2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승강수단(23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승강수단(230)은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젓가락(20)들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배출구(220) 방향으로의 공급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승강수단(230)은 회동플레이트(232)와 승강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회동플레이트(232)는 전방 단부가 지지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100)의 양 측면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후방 단부는 젓가락 배출부(400)에 연결 설치되어 젓가락 배출부(400)의 구동에 의해 고정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된 전방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구성이고, 상기 승강부재(234)는 회동플레이트(232)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동플레이트(232)의 회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승강부재(234)의 상단부는 지지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홀(21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후방 단부 하면은 후술할 젓가락 배출부(400)의 편심캠(430)에 의해 지지되어, 편심캠(430)의 회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회동에 의해 지지플레이트(210)의 관통홀(212) 내측으로 삽입되는 승강부재(234)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지지플레이트(210)의 관통홀(212) 상부에 위치되는 젓가락(20)들을 전방을 향해 주기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배출구(220) 방향으로의 젓가락(20) 공급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양측 단부 내측면에는 지지브라켓(236)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브라켓(236)은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된 상태의 회동플레이트(232)의 양측 단부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플레이트(232)의 회동에 의한 승강부재(234)의 상,하 이동은 수직 방향이 아닌 원호 형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승강부재(234)의 상단면에는 회동플레이트(232)의 후방 단부가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210)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절단면(23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단면(234a)은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212)을 통해 지지플레이트(210) 상의 젓가락(20)이 배출되지 않아야 하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212)을 일정 간격으로 두 개 이상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재(234) 또한 관통홀(212)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젓가락 공급부(300)는 젓가락 보관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젓가락 보관부(200)로부터 배출되는 젓가락(20)들을 하부, 즉 배출통로(124) 방향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젓가락 보관부(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100) 전방 내측에 설치되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로(310), 제1모터(320), 제1구동축(330) 및 가이드롤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통로(310)는 젓가락 보관부(200)의 하단, 즉 배출구(22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젓가락 보관부(200)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는 젓가락(20)을 하나씩 하부, 즉 배출통로(124)를 향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이동통로(310)는 고정프레임(100)의 전단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배출구(220)와 배출통로(124)의 사이에 수직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로(310)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 또한 배출구(220)와 마찬가지로 젓가락(20) 1개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젓가락(20)이 한꺼번에 이동통로(310)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모터(320)는 고정프레임(100)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가이드롤러(3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구동축(330)은 제1모터(320)에 연결 설치되어 제1모터(32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가이드롤러(3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구동축(330)의 일측 단부는 제1모터(320)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프레임(100)의 타측 단부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가이드롤러(340)는 제1구동축(330)에 축설되어 이동통로(310)를 통해 젓가락(20)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종단면은 통상의 원형이 아닌 타원 형상 또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340)는 좌,우 방향의 폭이 상,하 방향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하여 가이드롤러(340)가 상,하 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이동통로(310)가 개방되어 젓가락(20)이 이동통로(310)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제1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롤러(340)가 좌,우 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롤러(340)에 의해 이동통로(310)가 차단되어 젓가락(20)이 이동통로(310)를 통해 하부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340)의 원활한 회전 구동을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전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의 하부, 즉 상기 배출구(220) 주변에는 상기 가이드롤러(340)가 통과되는 제2관통공(2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드롤러(340)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로(310)가 개방됨과 동시에 가이드롤러(340)의 상단 일측 모서리 부분이 제2관통공(214)을 통해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부로 돌출되어 배출구(220) 주변으로 젓가락(20)이 급격히 모여드는 것을 어느 정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롤러(34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이동통로(310)의 개방 및 폐쇄와 배출구(220)를 향한 젓가락(20)의 이동 제한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배출통로(124)를 향한 젓가락(20)의 이동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음은 물론, 후술할 젓가락 배출부(400)의 구동 속도에 맞추어 젓가락(2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340)가 이동통로(310)의 일측만을 차단할 경우, 젓가락(20)이 가이드롤러(340)를 타고 회전하면서 이동통로(31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로(310)를 통한 젓가락(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롤러(340)가 젓가락(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가이드롤러(340)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롤러(340)의 회전 구동을 위해 고정프레임(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122) 또한 길게 형성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젓가락(20)이 제1관통공(12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34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다수 개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제1관통공(122)을 통한 젓가락(20)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젓가락(20)의 상단, 중단, 하단을 각각 제한할 수 있도록 3개의 가이드롤러(34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젓가락 배출부(400)는 젓가락 보관부(200) 및 젓가락 공급부(3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젓가락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젓가락(20)을 고정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모터(410), 제2구동축(420), 편심캠(430) 및 왕복운동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모터(410)는 고정프레임(100)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젓가락 배출부(4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구동축(420)은 제2모터(410)에 연결 설치되어 제2모터(41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편심캠(43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모터(410)는 지지면 상에 설치되는 별도의 마운트 또는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운트 또는 프레임은 상기 제1모터(320)와 제2모터(410)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축(420)의 일측 단부는 제2모터(410)의 모터축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프레임(100)의 타측 단부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편심캠(430)은 제2구동축(420)에 결합되어 제2구동축(420)의 회전력을 후술할 왕복운동부(440)로 전달하여 왕복운동부(44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두 개 이상의 편심캠(43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편심캠(430)은 그 전방 단부 외측면이 후술할 왕복운동부(440)의 구동부재(442)와 맞닿도록 하여 제2구동축(420)에 축결합되는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구동축(420)의 회전에 의해 제2구동축(420)과 편심캠(430)의 전단부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재(442)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축(420)과 편심캠(430)의 전단부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경우에는 구동부재(442)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편심캠(4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젓가락 보관부(200)의 승강수단(230)을 승강시키는 역할도 하게 되는데, 제2구동축(420)의 회전에 의해 승강수단(230)의 회동플레이트(232)가 지지되는 편심캠(430)의 상단 외측면과 제2구동축(420)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경우, 회동플레이트(232)의 후방 단부가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되어 승강부재(234)는 지지플레이트(210)의 관통홀(212) 내측에 위치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구동축(420)의 회전에 의해 편심캠(430)의 상단 외측면과 제2구동축(420)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회동플레이트(232)의 후방 단부 높이가 점점 높아지면서 승강부재(234)의 높이 또한 높아지게 되어 관통홀(212)을 통해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부로 돌출된다.
다음, 상기 왕복운동부(440)는 상기 편심캠(430)의 회전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젓가락 공급부(300)를 통해 공급되는 젓가락(20)을 고정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부재(442), 가압부재(444) 및 탄성부재(44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재(442)는 편심캠(430)의 전단부 외주면과 맞닿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편심캠(430)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편심캠(430)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442)의 설치를 위해 별도의 고정마운트(442a)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상기 고정마운트(442a)는 후술할 가압부재(444)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편심캠(430)의 회전에 의해 구동부재(442)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가압부재(444) 또한 구동부재(442)와 함께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다음, 상기 가압부재(444)는 구동부재(442)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동부재(442)의 전방 구동시 젓가락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젓가락(20)을 가압하여 고정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압부재(444)의 일측 단부, 즉 후방 단부는 구동부재(442)의 하단 또는 고정마운트(442a)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 단부, 즉 전방 단부는 이동통로(310)의 하부에 위치되는 배출통로(124)의 후방에 위치되어 구동부재(442)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압부재(444)의 전단부가 이동통로(310)를 통해 하부로 공급된 젓가락(20)의 후방을 가압함으로써 젓가락(20)을 배출통로(124)를 통해 고정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탄성부재(446)는 구동부재(442) 또는 고정마운트(442a)에 연결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해 구동부재(442)를 후방, 즉 편심캠(43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성부재(446)의 일측 단부는 고정프레임(100)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는 별도의 고정구(448)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구동부재(442) 또는 고정마운트(442a)에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제2구동축(420)의 회전에 의해 제2구동축(420)과 편심캠(430)의 전단부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경우 편심캠(430)의 전단부와 맞닿도록 설치된 구동부재(442)는 탄성부재(446)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 즉 편심캠(4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10)는 컨베이어 수단(500)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5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3모터(51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컨베이어 수단(500)은 젓가락 배출부(400)의 구동에 의해 배출통로(124) 및 가이드부재(128)를 통해 고정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젓가락(20)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100)의 하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모터(510)는 컨베이어 수단(500)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컨베이어 수단(5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 수단(500)은 제3구동축(520)과, 종동축(530), 제1 및 제2롤러(540,550), 컨베이어 벨트(560) 및 컨베이어 지지프레임(57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3구동축(520)은 제3모터(510)의 모터축에 연결 설치되어 제3모터(51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56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종동축(530)은 제2구동축(420)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56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롤러(540,550)는 각각 제3구동축(520)과 종동축(530)에 결합되어 그 외주면에 컨베이어 벨트(560)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560)는 제1 및 제2롤러(540,550)의 사이에 권취되어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에 의해 상부로 투하되는 젓가락(20)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570)은 컨베이어 수단(500)이 지지면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수단(500)은 이미 다양한 물품을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3모터(510)를 구동시키면, 제3구동축(520) 및 그 외측에 결합된 제1롤러(54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구동축(520) 및 제1롤러(540)의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560)가 회전하면서 그 상부로 투하되는 젓가락(20)을 연속적으로 사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10)는 제1 내지 제3모터(320,410,5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내지 제3모터(320,410,510)의 구동 여부 및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10)가 설치되는 식당 등의 사용자 수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모터(320,410,510)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젓가락(20)이 공급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모터(320,410)는 두 싸이클(cycle) 단위로 작동하고, 상기 제3모터(510)는 한 싸이클 단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젓가락 공급부(300) 및 젓가락 배출부(400)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모터(320,410)의 구동에 의해 두 개, 즉 한 쌍의 젓가락(20)을 컨베이어 수단(500) 상부로 투하시킨 후, 투하된 한 쌍의 젓가락(20) 단위로 컨베이어 수단(500)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560)에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컨베이어 벨트(560) 상의 특정 위치, 즉 사용자가 공급된 젓가락(20)을 집어갈 수 있는 위치에서의 젓가락(20)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젓가락(20)이 감지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모터(320,410,510)는 작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젓가락(20)을 들어올려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젓가락(2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제1 및 제2모터(320,410)는 두 싸이클(cycle) 단위로 작동하고, 상기 제3모터(510)는 한 싸이클 단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공급장치(10)에 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젓가락(20)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20)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심캠(430)을 이용한 왕복운동에 의해 젓가락(20)을 일정 간격으로 정확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한 쌍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 젓가락 공급장치
20 : 젓가락
100 : 고정프레임 110 : 지지프레임
120 : 설치프레임 122 : 제1관통공
124 : 배출통로 126 : 개폐도어
128 : 가이드부재 200 : 젓가락 보관부
210 : 지지플레이트 212 : 관통홀
214 : 제2관통공 220 : 배출구
230 : 승강수단 232 : 회동플레이트
234 : 승강부재 234a : 절단면
236 : 지지브라켓 300 : 젓가락 공급부
310 : 이동통로 320 : 제1모터
330 : 제1구동축 340 : 가이드롤러
400 : 젓가락 배출부 410 : 제2모터
420 : 제2구동축 430 : 편심캠
440 : 왕복운동부 442 : 구동부재
442a : 고정마운트 444 : 가압부재
446 : 탄성부재 448 : 고정구
500 : 컨베이어 수단 510 : 제3모터
520 : 제3구동축 530 : 종동축
540 : 제1롤러 550 : 제2롤러
560 : 컨베이어 벨트 570 : 컨베이어 지지프레임
100 : 고정프레임 110 : 지지프레임
120 : 설치프레임 122 : 제1관통공
124 : 배출통로 126 : 개폐도어
128 : 가이드부재 200 : 젓가락 보관부
210 : 지지플레이트 212 : 관통홀
214 : 제2관통공 220 : 배출구
230 : 승강수단 232 : 회동플레이트
234 : 승강부재 234a : 절단면
236 : 지지브라켓 300 : 젓가락 공급부
310 : 이동통로 320 : 제1모터
330 : 제1구동축 340 : 가이드롤러
400 : 젓가락 배출부 410 : 제2모터
420 : 제2구동축 430 : 편심캠
440 : 왕복운동부 442 : 구동부재
442a : 고정마운트 444 : 가압부재
446 : 탄성부재 448 : 고정구
500 : 컨베이어 수단 510 : 제3모터
520 : 제3구동축 530 : 종동축
540 : 제1롤러 550 : 제2롤러
560 : 컨베이어 벨트 570 : 컨베이어 지지프레임
Claims (10)
- 지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젓가락이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 보관부와,
상기 젓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 내측에 구비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을 하부로 공급하는 젓가락 공급부 및
상기 젓가락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 내측에 구비되어 젓가락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젓가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젓가락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보관부는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내측에 수용된 젓가락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 내측면과 지지플레이트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는 젓가락 배출부의 구동에 의해 승강 구동하는 승강수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전방 단부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의 양 측면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후방 단부는 젓가락 배출부에 연결 설치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상단부가 관통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공급부는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을 하나씩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통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어 이동통로를 통한 젓가락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타원 형상 또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으로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배출부는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에 결합되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왕복 운동하여 젓가락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젓가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왕복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부는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동부재의 전방 구동시 젓가락을 가압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구동부재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해 구동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 전면에는 젓가락 배출부의 구동에 의해 젓가락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에는 젓가락 배출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개방되고, 자중에 의해 배출통로를 폐쇄시키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배출부의 구동에 의해 배출되는 젓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3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8950A KR102660051B1 (ko) | 2020-12-31 | 2020-12-31 | 젓가락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8950A KR102660051B1 (ko) | 2020-12-31 | 2020-12-31 | 젓가락 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6477A true KR20220096477A (ko) | 2022-07-07 |
KR102660051B1 KR102660051B1 (ko) | 2024-04-22 |
Family
ID=8239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8950A KR102660051B1 (ko) | 2020-12-31 | 2020-12-31 | 젓가락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005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510Y1 (ko) | 2007-06-14 | 2009-02-19 | 윤주복 | 수저 인출 장치 |
KR20110051355A (ko) * | 2009-11-10 | 2011-05-18 | 황정훈 |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
KR20110005741U (ko) * | 2009-12-03 | 2011-06-10 | 김은지 | 위생 수저통 |
KR20180064209A (ko) * | 2016-12-05 | 2018-06-14 | 이병훈 | 정량 배출장치 |
-
2020
- 2020-12-31 KR KR1020200188950A patent/KR1026600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510Y1 (ko) | 2007-06-14 | 2009-02-19 | 윤주복 | 수저 인출 장치 |
KR20110051355A (ko) * | 2009-11-10 | 2011-05-18 | 황정훈 |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
KR20110005741U (ko) * | 2009-12-03 | 2011-06-10 | 김은지 | 위생 수저통 |
KR20180064209A (ko) * | 2016-12-05 | 2018-06-14 | 이병훈 | 정량 배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0051B1 (ko) | 2024-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64751B2 (en) | Vertical storage and distribution device and drug dispenser | |
KR20190017637A (ko) |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 |
US602390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a napkin around an eating utensil | |
US20060032191A1 (en) | Automatic utensil wrapping machine | |
CN111557598A (zh) | 一种自动化餐饮设备 | |
TWM568458U (zh) | 爆米花販賣機之商品輸送及微波系統 | |
US11503924B2 (en) | Cutlery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 |
CN211520940U (zh) | 送料装置 | |
KR20220096477A (ko) | 젓가락 공급장치 | |
KR101338288B1 (ko) | 가동력을 감소시킨 오버턴 도어 패널을 갖는 판매기 | |
KR102458872B1 (ko) | 젓가락 공급장치 | |
JPH0439214A (ja) | スライスされた肉の搬送および収納装置 | |
JP2020006042A (ja) | 食器回収システムおよび昇降装置 | |
KR200443510Y1 (ko) | 수저 인출 장치 | |
KR102458867B1 (ko) | 수저 자동 공급장치 | |
KR102660050B1 (ko) | 숟가락 공급장치 | |
KR102458869B1 (ko) | 숟가락 공급장치 | |
CN109846299B (zh) | 一种整套餐具自动发放装置 | |
CN210592606U (zh) | 一种食品打包装置 | |
KR100661086B1 (ko) | 구이용 불판장치 | |
US6349815B1 (en) | In-line stacker machine for stacking cookies | |
KR101528368B1 (ko) |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 |
CN210913936U (zh) | 发盘机 | |
CN112607183B (zh) | 一种餐具的自动投放装置 | |
CN221766119U (zh) | 一种多加热模块的食品制熟售卖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