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741U - 위생 수저통 - Google Patents

위생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741U
KR20110005741U KR2020090015693U KR20090015693U KR20110005741U KR 20110005741 U KR20110005741 U KR 20110005741U KR 2020090015693 U KR2020090015693 U KR 2020090015693U KR 20090015693 U KR20090015693 U KR 20090015693U KR 20110005741 U KR20110005741 U KR 201100057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hopsticks
spoons
spoon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지
한솔희
Original Assignee
김은지
한솔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지, 한솔희 filed Critical 김은지
Priority to KR2020090015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741U/ko
Publication of KR20110005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83Containers comprising an internal rotating wing for expell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UV 램프를 통해 수저를 살균시키며, 손잡이 형태의 회전 롤러를 구비한 이송부를 통해 수저가 밖으로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위생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투입하기 위한 개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 일측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젓가락 또는 숟가락 낙하 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하측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로부터 가이드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안착시키며, 케이스 양측으로 손잡이 형태의 회전 롤러를 구비하여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안착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일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케이스의 천장면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살균시키는 UV 램프; 상기 젓가락 또는 숟가락이 하나씩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천장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방지턱; 및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취합하는 취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저, 위생, 회전

Description

위생 수저통{HEGIENE SPOON AND CHOPSTICKS STAND}
본 고안은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UV 램프를 통해 수저를 살균시키며, 손잡이 형태의 회전 롤러를 구비한 이송부를 통해 수저가 밖으로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위생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웰빙(Well-Being) 시대라 할 만큼 많은 사람들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well-being 중 하나의 요소인 위생도 더욱 중시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식당 위생 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그리 좋지 않다. 한남대 설문조사 결과 학생식당 청결만족도에서 만족이 42.5%, 불만족이 57.5%로 집계되었고, 공주교대의 연구 자료 중 식당청결 만족도가 41%로 불만족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소비자 보호원에서 식당 500여점을 조사한 결과 냉장고, 행주, 도마, 수저통 바닥의 96%에서 대장균이 검출된 것으로 보아 실제로도 식당 청결상태가 좋지 않으며 그 중 식기류에 대한 청결상태에 소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여름철에 유행하는 식중독은 식당 위생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만드는 데 식당 여러 부분 중에서도 수저는 손때가 유독 많이 타고 먼지가 많이 앉아 사용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UV 램프를 통해 수저를 살균시키며, 손잡이 형태의 회전 롤러를 구비한 이송부를 통해 수저가 밖으로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위생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투입하기 위한 개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 일측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젓가락 또는 숟가락 낙하 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하측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로부터 가이드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안착시키며, 케이스 양측으로 손잡이 형태의 회전 롤러를 구비하여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안착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일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케이스의 천장면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살균시키는 UV 램프; 상기 젓가락 또는 숟가락이 하나씩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천장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방지턱; 및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취합하는 취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사각 형상 또는 역 L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로부터 가이 드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 내측에는 젓가락 또는 숟가락에 묻어있는 물기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최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홀로부터 떨어지는 물기를 받아내는 물받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지턱은, 상기 케이스의 천장면과 이송부 사이에서, 천장면으로부터 단일의 젓가락 또는 숟가락만이 통과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는, 광촉매제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저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어 세균의 2차 감염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저의 살균, 건조, 보관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이송부 안착홈의 크기를 달리하여 포크, 나이프 등의 다른 식기류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수저통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통과 숟가락통을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일예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통에 관한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통의 이송부에 관한 구성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통과 숟가락통이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일예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통에 관한 구성도이며,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통의 이송부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생 수저통은 젓가락통(100) 및 숟가락통(200)으로 대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젓가락통(100)과 숟가락통(200)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 가능하다.
먼저, 젓가락통(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통(100)은 케이스(110), 경사부(120), 이송부(130), UV 램프(140), 방지턱(150), 취합부(160) 및 물받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10)는 사각 형상으로서,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젓가 락 또는 숟가락을 투입하기 위한 개폐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2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공간 일측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젓가락(10) 낙하 시, 젓가락(10)을 하측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이송부(130)는 상기 경사부(120)로부터 가이드된 젓가락(10)을 안착시키며, 케이스(110) 양측으로 손잡이 형태의 회전 롤러(131)를 구비하여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안착된 젓가락(10)을 일측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이송부(13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120)로부터 가이드된 젓가락(1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132) 내측에는 젓가락(10)에 묻어있는 물기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133)이 형성되어 있다.
UV 램프(140)는 상기 케이스(110)의 천장면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젓가락(10)을 살균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UV 램프(140)의 위치를 케이스 천장면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고안이 그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지턱(150)은 젓가락(10)이 하나씩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 천장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방지턱(150)은 케이스(110) 천장면과 이송부(130) 사이에서, 천장면으로부터 단일의 젓가락(10)만이 통과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취합부(160)는 상기 이송부(130)를 통해 이송되는 젓가락(10)을 취합하며, 물받이부(170)는 상기 케이스(100)의 최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130)의 홀(133)로부터 떨어지는 물기를 받아낸다.
다음으로, 숟가락통(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숟가락통(200)은 케이스(210), 경사부(220), 이송부(230), UV 램프(240), 방지턱(250) 및 취합부(260)를 포함하되,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젓가락통(100)의 구성과 동일하며, 숟가락통(200)은 사각 형상인 젓가락통(100)와 결합되는 구조적 변경에 의해 구성된 것이라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숟가락통(200)을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인 젓가락통(100)과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역 L 자 형상인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고안이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숟가락통(200)은 케이스(210), 경사부(220), 이송부(230), UV 램프(240), 방지턱(250), 취합부(260) 및 물받이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210)는 역 L 자 형상으로서,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투입하기 위한 개폐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220)는 상기 케이스(210) 내부공간 일측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10) 내부로 숟가락(20) 낙하 시, 숟가락(20)을 하측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이송부(230)는 상기 경사부(220)로부터 가이드된 숟가락(20)을 안착시키며, 케이스(210) 양측으로 손잡이 형태의 회전 롤러(231)를 구비하여 일측방향으로 회 전됨으로써, 안착된 숟가락(20)을 일측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이송부(23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220)로부터 가이드된 숟가락(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232) 내측에는 숟가락(20)에 묻어있는 물기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233)이 형성되어 있다.
UV 램프(240)는 상기 케이스(210)의 천장면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숟가락(20)을 살균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UV 램프(240)의 위치를 케이스 천장면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고안이 그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지턱(250)은 숟가락(20)이 하나씩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10) 천장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방지턱(250)은 케이스(210) 천장면과 이송부(230) 사이에서, 천장면으로부터 단일의 숟가락(20)만이 통과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취합부(260)는 상기 이송부(230)를 통해 이송되는 숟가락(20)을 취합하며, 물받이부(270)는 상기 케이스(100)의 최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230)의 홀(233)로부터 떨어지는 물기를 받아낸다.
한편, 젓가락통(100) 및 숟가락통(200)의 케이스의 표면에는 광촉매제(향균활성치 2.0 log 이상)가 처리되어 있다. 이는, UV 램프로 살균되지 않은 곳의 세균까지 파괴시킴으로써,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 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통과 숟가락통을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통에 관한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통의 이송부에 관한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통과 숟가락통이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통에 관한 구성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숟가락통의 이송부에 관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젓가락통 200: 숟가락통
110,210: 케이스 120,220: 경사부
130,230: 이송부 140,240: UV 램프
150,250: 방지턱 160,260: 취합부
170,270: 물받이부 111,211: 개폐부

Claims (6)

  1. 위생 수저통에 있어서,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투입하기 위한 개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 일측에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젓가락 또는 숟가락 낙하 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하측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로부터 가이드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안착시키며, 케이스 양측으로 손잡이 형태의 회전 롤러를 구비하여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안착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일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케이스의 천장면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살균시키는 UV 램프;
    상기 젓가락 또는 숟가락이 하나씩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천장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방지턱; 및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취합하는 취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사각 형상 또는 역 L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로부터 가이드된 젓가락 또는 숟가락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 내측에는 젓가락 또는 숟가락에 묻어있는 물기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최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홀로부터 떨어지는 물기를 받아내는 물받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케이스의 천장면과 이송부 사이에서, 천장면으로부터 단일의 젓가락 또 는 숟가락만이 통과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는, 광촉매제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
KR2020090015693U 2009-12-03 2009-12-03 위생 수저통 KR201100057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93U KR20110005741U (ko) 2009-12-03 2009-12-03 위생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93U KR20110005741U (ko) 2009-12-03 2009-12-03 위생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41U true KR20110005741U (ko) 2011-06-10

Family

ID=4929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693U KR20110005741U (ko) 2009-12-03 2009-12-03 위생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741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708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숟가락 공급장치
KR20220036699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수저 자동 공급장치
KR20220036716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젓가락 공급장치
KR20220096477A (ko) * 2020-12-31 2022-07-07 김명기 젓가락 공급장치
KR20220096473A (ko) * 2020-12-31 2022-07-07 김명기 숟가락 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708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숟가락 공급장치
KR20220036699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수저 자동 공급장치
KR20220036716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젓가락 공급장치
KR20220096477A (ko) * 2020-12-31 2022-07-07 김명기 젓가락 공급장치
KR20220096473A (ko) * 2020-12-31 2022-07-07 김명기 숟가락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5741U (ko) 위생 수저통
US20180288966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Food Products
US20150143703A1 (en) Flatware and silverware design
US7530329B1 (en) Detachable assembly for holding foodstuff therein
KR20160124439A (ko) 도마가 내장된 싱크대
US20060118560A1 (en) Water shedding designs for receptacle bottoms
KR20130135811A (ko) 수저통의 내부 커버
KR20100008478U (ko) 수저 살균소독기
KR20200039492A (ko) 수저 디스펜서
KR101028302B1 (ko) 칼꽂이
JP2019088607A (ja) ハイブリッドまな板
KR20090001290U (ko) 물컵
KR200429635Y1 (ko) 주방 식기 건조대 위생 배수 물받이
KR101129899B1 (ko) 살균장치 일체형 양면 도마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KR20100111577A (ko) 살균 및 자정기능을 갖는 컵세트
KR200388627Y1 (ko) 식사용 도구 수납함
CN201308351Y (zh) 具有杀菌功能的自动筷子盒
KR200190170Y1 (ko) 위생팩을 내장한 생수통
CN201286578Y (zh) 茶具盒
KR20060119178A (ko) 수저통
JP5944048B2 (ja) 衛生的なコップ
KR20180066794A (ko) 애완동물용 식기
KR200271336Y1 (ko) 위생 수저통
KR200495751Y1 (ko) 이중 수납식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