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637A -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 Google Patents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637A
KR20190017637A KR1020180061605A KR20180061605A KR20190017637A KR 20190017637 A KR20190017637 A KR 20190017637A KR 1020180061605 A KR1020180061605 A KR 1020180061605A KR 20180061605 A KR20180061605 A KR 20180061605A KR 20190017637 A KR20190017637 A KR 20190017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ableware
conveyor belt
rotating
discharg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프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프라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프라임
Publication of KR20190017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dishes being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s, i.e. not in dish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65G29/02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for inclined or vertical trans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4Other automatic det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6Other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7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the articles being discharged or distributed to several distinct separate conveyors or to a broader conveyor 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를 낙하하더라도 식기가 파손되지 않고, 충격 완충장치를 두어 충격을 완화하고, 다수의 식기를 식판과 동시에 분리하고, 식기끼리 접촉하더라도 충격이 적어 식기가 파손되지 않게 하며, 뒤집기 공정을 자동화를 하여 인력 절감을 할 수 있는 식기식판 뒤집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와,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와, 뒤집기구동장치와,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와,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와, 모니터 또는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Dishwashing system}
본 발명은 식기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식기(국그릇, 밥그릇, 찬그릇)가 상부에 안착된 식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서 다수의 식기들과 식판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각각 세척과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다수의 식기들과 식판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식기들이 파손되지 않고, 충격 완충장치를 두어 충격을 완화하고, 식기끼리 접촉하더라도 충격이 적어 식기가 파손되지 않게 하며, 뒤집기 공정을 자동화를 하여 인력 절감을 할 수 있는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시키는 대용량 자동 식기세척기는 호텔, 병원, 학교, 회사와 같이 주로 단체급식하는 대형식당에 설치된다.
대용량 자동 식기세척기는 많은 인원이 식사를 한 후, 퇴식투입부로부터 발생하여 퇴식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된 다수의 식기와 식판을 분리하고, 각각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식기들과 식판에 세척용수를 분사시켜주는 세척과정과 세척완료 된 식기들과 식판을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식기과 식판을 분리세척하는 식기세척자동화시스템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606호(2015.04.13. 공고)에 개시되어 있으나, 다수의 식기(국그릇, 밥그릇, 찬그릇)들이 상부에 안착된 식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에 경사를 두고 식판을 기울여, 식기들을 자유낙하되도록 중력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식기들이 낙하과정에서 식기들과 컨베이어, 및 식기와 식기 간 충돌에 의해 식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시세척기에 들어오는 식판위의 식기들에 남아있는 잔반을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애벌세척과정과, 식판과 분리되어 서로 뒤엉켜져 있는 식기들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히 뒤집는 과정에서 인력이 필요하여 작업자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1] KR 1511606 B1 (명형진) 2015.04.13.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를 낙하하더라도 식기가 파손되지 않고, 충격 완충장치를 두어 충격을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수의 식기와 식판을 식판과 분리하고, 식기끼리 접촉에 의한 충격으로 식기가 파손되지 않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뒤집기 공정을 자동화를 하여 인력을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외부의 회전동력을 받아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되, 각각의 단부가 원주 상에서 상호간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의 인접한 회전블레이드가 소정의 부채꼴 형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로 구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블레이드 일측의 외부 수단으로부터 식기 또는 식판을 순차로 공급받아, 다수의 상기 수납공간에 순차로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회전블레이드 타측 외부로 상기 식기 또는 식판을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식기식판뒤집기장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회전동력을 받아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되, 각각의 단부가 원주 상에서 상호간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의 인접한 회전블레이드가 소정의 부채꼴 형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로 구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블레이드 일측의 외부 수단으로부터, 다수의 식기들이 놓이어져 있는 식판을 순차로 공급받아, 다수의 상기 수납공간에 순차로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회전블레이드 타측 외부로 상기 식기 또는 식판을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식기식판뒤집기장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은 퇴식투입부로부터 다수의 식기가 얹져 있는 식판들을 상부에 안착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식판들을 제1컨베이어벨트로부터 무동력으로 상부에 안착이송하는 제1가이드로 구성된 제1컨베이어이송장치; 상기 식판들을 제1가이드로부터 회전축에 형성된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에 수납하여 회전운동에 의해 안착회전하다가 식판 및 식기 이송컨베이어벨트로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식기식판뒤집기장치;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장치; 상기 회전블레이드에 수납된 식판들로부터 식판을 공급받아 상부에 뒤집힌 상태로 상기 회전체의 타측 외부의 일부분에 있고,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의 외부에 근접하게 위치한 식판 가이드 또는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 상기 회전블레이드에 수납된 식판들로부터 식판을 공급받아 상부에 뒤집힌 상태로 식기세척부로 이송하는 상기 회전체의 타측 외부의 일부분에 있고,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의 외부에 근접하게 위치한 제3가이드 또는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시스템은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의 수납공간의 내측에 장방형의 밀게홀과, 상기 밀게홀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중력 또는 상기 회전체의 원심력에 의해 슬라이딩 하여 왕복하며 상기 식판 또는 식기를 밀어낼 수 있는 밀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시스템은 상기 식기 또는 식판이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위치에, 모니터 또는 물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식판 또는 식기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모두 완전 배출되었는지를 모니터링 또는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기와 식판의 자동 분리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 운전 및 분리과정 중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기 및 식판의 뒤집기를 자동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벌 세척을 마무리 세척과 연속공정으로 통합하면, 작업자 수가 3명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컨베이어를 이용해 식기 뒤집기를 하고, 식판 콘베이어가 별도로 있는 종래 시스템에 비해 컨베이어가 2개 감소하여 시스템 간단, 설치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시스템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밀게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식기세척시스템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시스템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밀게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식기세척시스템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식기 및 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식기(국그릇, 밥그릇, 찬그릇)가 상부에 안착된 식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이송장치에서 다수의 식기들과 식판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각각 세척과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다수의 식기들과 식판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식기들이 파손되지 않고, 충격 완충장치를 두어 충격을 완화하고, 식기끼리 접촉하더라도 충격이 적어 식기가 파손되지 않게 하며, 뒤집기 공정을 자동화를 하여 인력 절감을 할 수 있는 식기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식기세척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식판뒤집기장치는 외부의 회전동력을 받아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되 각각의 단부가 원주 상에서 상호간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와, 상기 2개의 인접한 회전블레이드에 소정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회전체는 상기 회전블레이드 일측의 외부 수단으로부터, 식기 또는 식판을 순차로 공급받아 다수의 상기 수납공간에 순차로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회전블레이드 타측 외부로 상기 식기 또는 식판을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거나, 다수의 식기들이 놓이어져 있는 식판을 순차로 공급받아 다수의 상기 수납공간에 순차로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회전블레이드 타측 외부로 상기 식기 또는 식판을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게 된다.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는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의 수납공간의 내측에 장방형의 밀게홀과, 상기 밀게홀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중력 또는 상기 회전체의 원심력에 의해 슬라이딩 하여 왕복하며 상기 식판 또는 식기를 밀어낼 수 있는 밀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밀게는 중앙 내측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중공홈과, 상기 중공홈에 끼워져 있고 상기 밀게홀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밀게가 슬라이딩 하여 이동할 때 상기 밀게가 일정 길이 이상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시스템은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와,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와, 뒤집기구동장치와,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와,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와, 모니터 또는 물체감지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이송장치는 상기 회전체에 식기가 놓이어져 있는 식판을 순차로 공급하는 상기 회전체 일측의 외부 수단으로서, 상기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와 상기 회전체 사이에 제1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식판을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에서 상기 회전체의 수납공간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의 컨베이어벨트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식기의 높이를 제한하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식기들이 포개어지거나 상하로 겹쳐져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가이드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식기가 재배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회전블레이드의 길이는 상기 식판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에서 상기 식판의 한 쪽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타측 외부의 일부분에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의 외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식판가이드 또는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식판이 회전하는 상기 식판의 한 쪽과 상기 식판가이드 또는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일단이 서로 만난 후에는 상기 식판 가이드 또는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일단을 따라 배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식판과 식기들은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로 각각 뒤집힌 상태로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이송한다.
또한,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타측 외부의 일부분에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의 외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를 구성하거나,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와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 사이에 식기를 안내하는 제3가이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회전체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이송한다.
또한,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는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식기의 높이를 제한하는 제4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식기들이 포개어지거나 상하로 겹쳐져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4가이드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식기가 재배열되게 한다.
상기 뒤집기구동장치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스텝 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장치로 구성하여, 상기 회전블레이드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해진 각도만큼씩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 시 상기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의 컨베이어벨트가 이동하고 상기 스텝모터의 정지 시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동작과 상기 컨베이어벨트 이동동작이 연동되게 하는 컨베이어벨트 이동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또는 물체감지센서는 상기 식기 또는 식판이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식판 또는 식기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모두 완전 배출되었는지를 모니터링 또는 감지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 또는 물체감지센서는 상기 식판 또는 식기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모두 완전 배출되었을 경우, 상기 스텝모터와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작동모터에 상기 식판 또는 식기가 모두 배출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없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텝모터 및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작동모터를 온으로 전환하여 회전동작하게 하고, 상기 식판과 식기가 배출되고 있는 중에는 상기 식판 또는 식기가 아직 상기 수납공간에 머물러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스텝모터 및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작동모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텝모터 및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의 작동모터를 오프로 전환하여 회전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식판 및 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은 퇴식투입부로부터 다수의 식기(국그릇, 밥그릇, 찬드릇)가 얹져 있는 식판들을 제1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안착이송시키고, 이와 인접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제1가이드가 상기 식판들을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로부터 상부에 안전하게 공급받아 관성과 중력의 힘으로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에 안착이송하게 된다.
즉, 상기 퇴식투입부에서 다수의 식사를 마친자나 또는 작업자가 다수의 식기를 식판에 얹져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에 놓으면 상기 식판들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제1가이드로 이송되어지고, 이어서 상기 식판들은 상기 제1가이드의 일측 상부에서 타측 하부로 관성과 중력의 힘으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여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로 순차적으로 안착이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모터제어장치로 구동되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와 회전블레이드 사이의 수납공간 내측에 식판 및 식기 밀게가 설치되어서, 상기 식판들을 수납할 때 이를 완충지지하다가 상기 식판 및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에 도달했을 때 원심력과 중력을 실어서 식판 및 식기를 뒤집혀진 상태에서 밀어서 상기 식판 및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어 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다수의 식기가 얹어 있는 식판은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로 각각 뒤집힌 상태로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이송한다.
한편, 상기 밀게는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의 수납공간의 내측에 장방형의 밀게홀에 설치되어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 중공홈과, 상기 중공홈에 끼워져 있고 상기 밀게홀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밀게가 슬라이딩 하여 이동할 때 상기 밀게가 일정 길이 이상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밀게가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과 바깥쪽 사이를 자유롭게 왕복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게는 도 4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 사이에 하나씩만 설치되어 상기 식기들만 밀어내도록 설치되거나, 두 개가 설치되어 상기 식판과 식기를 각각 별도로 밀어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뒤집기구동장치는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회전축과 상기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의 작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스텝모터와,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작동모터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제어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텝모터는 상기 회전블레이드가 일정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만큼씩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를 제어하거나 또는, 모니터 또는 감지센서로부터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제어설계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또는 감지센서는 상기 식판 및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식판 및 식기가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에서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로 완전히 이송되어진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식판 및 식기의 유무확인신호를 상기 뒤집기구동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스텝모터 또는 상기 작동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 또는 감지센서는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회전축의 회전량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의 제1가이드의 일측에 모션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제어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그 사이에 연결된 기어부 또는 밸트가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제어장치는 상기 모니터 또는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식판 및 식기의 유무확인 신호에 따라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회전축 및 상기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의 작동모터를 동시에 움직임과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뒤집기구동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의 서로 높낮이가 다른 제1가이드로부터 상기 식판들은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회전블레이드로 경사각도에 의해 관성과 중력으로 안착수납 되어진 후에, 다시 회전과 수납을 위한 정지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의 회전축 방향 안쪽에 상기 식판들을 수납하여 지지하고, 계속 회전하다가 상기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가 위치된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경사각도와 원심력과 중력의 힘으로 상기 식판들 중에서 식판 만을 밀어서 상기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의 서로 높낮이가 다른 식판가이드에 뒤집힌 상태로 이탈되어 안착이송시키고, 다시 상기 회전블레이드가 더 회전하여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가 위치된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나머지 식기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의 서로 높낮이가 다른 제3가이드에 뒤집힌 상태로 이탈되어 안착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는 회전과 정지를 반복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에 걸림장치를 더 설치하여 정해진 각도 만큼씩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블레이드에 수납된 식판들 중에서 식판을 공급받아 뒤집힌 상태로 무동력으로 안착이송시키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식판가이드와 상기 식판을 식판세척부로 이송하는 식판이송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식판가이드는 상기 식판식기뒤집기장치 방향 일측 상부에서 상기 식판이송장치 방향 일측 하부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어 관성과 중력으로 상기 식판이 미끄러져 무동력으로 이동되어지고, 상기 식판가이드의 상부측 일단에는 상기 회전블레이드에서 뒤집혀진 상기 식판의 일측 끝을 잡아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식판커팅브러쉬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판이송장치는 전력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상기 식판들이 관성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설계되어 무동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블레이드에 수납되어 남아있는 식기들을 공급받아 뒤집힌 상태로 무동력으로 안착이송시키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제3가이드와 상기 식기을 식기세척부로 이송하는 식기이송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제3가이드는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 방향 일측 상부에서 상기 식기이송장치 방향 일측 하부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어 관성과 중력으로 상기 상기 식기들이 미끄러져 무동력으로 이동되어지고, 상기 식기이송장치는 전력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상기 식기들이 관성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설계되어 무동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식판식기건조부와 애벌세척부와 식기세척과정에서 생긴 세척수와 잔반을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는 세척수잔반수집부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애벌세척부는 상기 식판 및 식기를 보다 용이하게 신속하게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외부 바깥쪽에 설치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잔반수집부는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애벌세척부에서 상기 식기식판뒤집기장치의 수납된 상기 식판 및 식기들에게 분사된 후,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식판 및 식기들이 제거된 후에 남아있는 세척수와 잔반들을 하부로 흘러보내주고 이를 배출하게 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식기와 식판의 자동 분리가 되고, 안전 운전 및 분리과정 중 파손을 방지하며, 식기 뒤집기가 자동화되며, 애벌 세척을 마무리 세척과 연속공정으로 통합하면, 작업자 수가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기식판뒤집기장치를 이용해 식판 및 식기를 동시에 뒤집기를 하고, 식판 콘베이어가 별도로 있는 종래 시스템에 비해 동력 컨베이어가 감소하여 시스템 간단, 설치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제1컨베이어이송장치
11 : 제1컨베이어벨트 12 : 제1가이드 12a : 모션세서
20 : 식기식판뒤집기장치 21 : 회전축 22 : 회전블레이드
23 : 밀게 23a : 중공홈 23b : 스토퍼
24 : 수납공간
30 : 뒤집기구동장치 31 : 스텝모터 32 : 모터제어장치
40 :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 41 : 식판가이드 42 : 식판이송장치
50 :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 51 : 제3가이드 52 : 식기이송장치
60 : 모니터 또는 물체감지센서

Claims (21)

  1. 외부의 회전동력을 받아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되, 각각의 단부가 원주 상에서 상호간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의 인접한 회전블레이드가 소정의 부채꼴 형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로 구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블레이드 일측의 외부 수단으로부터 식기 또는 식판을 순차로 공급받아, 다수의 상기 수납공간에 순차로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회전블레이드 타측 외부로 상기 식기 또는 식판을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식판뒤집기장치.
  2. 외부의 회전동력을 받아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되, 각각의 단부가 원주 상에서 상호간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의 인접한 회전블레이드가 소정의 부채꼴 형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로 구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블레이드 일측의 외부 수단으로부터, 다수의 식기들이 놓이어져 있는 식판을 순차로 공급받아, 다수의 상기 수납공간에 순차로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회전블레이드 타측 외부로 상기 식기 또는 식판을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식판뒤집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길이는 상기 식판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에서 상기 식판의 한 쪽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식판뒤집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외부의 일부분에 있고,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의 외부에 근접하게 위치한 식판 가이드 또는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 일단을 두어,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상기 식판의 한 쪽과 상기 식판가이드 또는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일단이 서로 만나게 하고, 서로 만난 후에는 상기 식판이 상기 식판 가이드 또는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의 일단을 따라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식기와 식판이 분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식판뒤집기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식기식판뒤집기장치에,
    상기 회전체에 식기가 놓이어져 있는 식판을 순차로 공급하는, 상기 회전체 일측의 외부 수단으로 제1컨베이어이송장치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와 상기 회전체 사이에 제1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식판을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에서 상기 회전체의 수납공간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의 컨베이어벨트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식기의 높이를 제한하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되, 식기들이 포개어지거나 상하로 겹쳐져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가이드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식기가 재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8.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식기식판뒤집기장치에,
    상기 타측 외부의 일부분에 있고,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의 외부에 근접하게 위치한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로부터 배출된 식기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레이드 단부와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 사이에 식기를 안내하는 제3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식기의 높이를 제한하는 제4가이드를 더 포함하되, 식기들이 포개어지거나 상하로 겹쳐져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4가이드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식기가 재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이송컨베이어벨트의 도중에 식기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외부의 회전동력은 스텝 모터의 회전동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또는 식판이 뒤집힌 상태로 전환하여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위치에, 모니터 또는 물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식판 또는 식기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모두 완전 배출되었는지를 모니터링 또는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또는 물체감지센서는, 상기 식판 또는 식기가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모두 완전 배출되었을 경우, 상기 스텝모터와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작동모터에 상기 식판 또는 식기가 모두 배출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없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텝모터 및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작동모터를 온으로 전환하여 회전동작하게 하고, 상기 식판과 식기가 배출되고 있는 중에는 상기 식판 또는 식기가 아직 상기 수납공간에 머물러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스텝모터 및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작동모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텝모터 및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의 작동모터를 오프로 전환하여 회전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식판 및 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는, 상기 회전블레이드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해진 각도만큼씩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모터제어장치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 시 제1컨베이어이송장치의 컨베이어벨트가 이동하고 상기 스텝모터의 정지 시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동작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이동동작이 연동되게 하는 컨베이어벨트 이동제어장치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의 수납공간의 내측에 장방형의 밀게홀과, 상기 밀게홀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중력 또는 상기 회전체의 원심력에 의해 슬라이딩 하여 왕복하며 상기 식판 또는 식기를 밀어낼 수 있는 밀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게는, 중앙 내측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중공홈과, 상기 중공홈에 끼워져 있고 상기 밀게홀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밀게가 슬라이딩 하여 이동할 때 상기 밀게가 일정 길이 이상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시스템.
  19. 제1 컨베이어이송장치의 컨베이어벨트로 식기가 놓이어져 있는 식판을 순차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되는 식기와 식판을 다수의 회전블레이드로 구성된 회전체의 회전블레이드의 수납공간에 순차적으로 수납하는 단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기 식기와 식판을 상기 회전체의 회전동작에 의해 뒤집는 단계;
    상기 뒤집힌 식기와 식판을 중력 또는 상기 회전체의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식판 뒤집기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되는 식판을 식판 가이드 또는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를 따라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식기와 식판이 분리 배출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식판 뒤집기 방법.
  21. 제 20항의 식기식판 뒤집기 방법에,
    상기 분리 배출된 식기를 상기 식판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이송시키는 도중에, 세척수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분사시킴으로써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 방법.
KR1020180061605A 2018-04-16 2018-05-30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Ceased KR20190017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3757 2018-04-16
KR1020180043757 2018-04-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90A Division KR102030524B1 (ko) 2019-03-05 2019-03-05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37A true KR20190017637A (ko) 2019-02-20

Family

ID=6556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605A Ceased KR20190017637A (ko) 2018-04-16 2018-05-30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33192B2 (ko)
JP (1) JP6806760B2 (ko)
KR (1) KR20190017637A (ko)
CN (1) CN10952812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99A (ko) *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프라임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시스템
KR20200145000A (ko) *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프라임 회전세척시스템
CN113173396A (zh) * 2021-04-24 2021-07-27 奥士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cb板加工用翻板机构
CN114084637A (zh) * 2021-12-21 2022-02-25 河南美之美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三聚氰胺木板生产用翻板输送装置
CN114803288A (zh) * 2022-03-21 2022-07-29 武汉理工大学 码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4307B (zh) * 2019-07-04 2020-11-03 常熟理工学院 智能自动餐盘回收车
CN110252664B (zh) * 2019-07-11 2022-02-01 重庆大学 一种餐具自动分类及清洗装置
CN111227753B (zh) * 2020-01-15 2023-02-28 佛山新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餐具自动清洗系统
DE102020202638A1 (de) * 2020-03-02 2021-09-02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Handhabungsmodul zur Beladung einer Transportvorrichtung einer Transportspülmaschine
CN111359998A (zh) * 2020-04-07 2020-07-03 山东三田临朐石油机械有限公司 油管杆环保清洗设备
KR102487426B1 (ko) * 2021-01-15 2023-01-11 최재원 식기 수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수거 시스템
CN112773297B (zh) * 2021-01-18 2023-08-04 爱克发(上海)环保清洁有限公司 一种自动收餐装置
CN215044119U (zh) * 2021-02-23 2021-12-07 武汉人天包装自动化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翻包机构
CN112918768B (zh) * 2021-03-01 2025-05-13 武汉人天包装自动化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高速分拣和翻包功能的分拣机
CN113859934B (zh) * 2021-09-02 2023-03-14 中钞印制技术研究院有限公司 翻面装置
CN114030858B (zh) * 2021-11-11 2023-06-16 浙江博太粒子加速器有限公司 自动翻转机构及辐照加速器束下传输线
CN114919973B (zh) * 2022-04-02 2023-05-23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物料转移用自动化助力装置
CN114655669A (zh) * 2022-04-28 2022-06-24 联宝(合肥)电子科技有限公司 翻转输送机构及包装箱翻转设备
WO2023224561A2 (en) * 2022-05-20 2023-11-23 Urban CoBots Pte. Ltd Automated tray return system
CN115724178A (zh) * 2022-10-18 2023-03-03 连云港富鑫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罐生产自动化输送机械
CN115553680B (zh) * 2022-10-27 2023-04-07 南京林一厨房科技有限公司 一种流水线式自动洗碗机
CN118948173B (zh) * 2024-10-14 2025-02-07 福建省蓝功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商用清洗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06B1 (ko) 2014-07-01 2015-04-13 명형진 그릇과 식판을 분리세척하는 식기세척자동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5779A (en) * 1948-03-26 1951-08-28 United States Steel Corp Drive for porcupine sheet-turnover rack with timing-adjusting means
CH575303A5 (ko) * 1975-02-26 1976-05-14 Ferag Ag
US4076113A (en) * 1976-11-24 1978-02-28 Shields Walter A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orienting and transporting articles
US4274886A (en) * 1979-07-31 1981-06-23 Noren Tore H Motor driven endless tray accumulator for dishwashing
US4676365A (en) * 1979-07-31 1987-06-30 The Stero Company Motor driven endless tray accumulator
US4286907A (en) * 1979-09-17 1981-09-01 Gloucester Engineering Co., Inc. Grid extensions on a rotary stacker
US4645400A (en) * 1983-04-21 1987-02-24 Oscar Mayer Foods Corp. Product neatening system
DE4114552A1 (de) * 1991-05-04 1992-11-05 Premark Feg Corp Vorrichtung zum zufuehren und wenden von mit geschirrteilen beladenen tabletts
NL9400542A (nl) * 1994-04-06 1995-11-01 Buhrs Zaandam Bv Omkeerinrichting alsmede een werkwijze voor het omkeren van bijvoorbeeld grafische produkten.
JP3421460B2 (ja) * 1994-12-30 2003-06-30 三井企画株式会社 網体洗浄装置
KR200149265Y1 (ko) * 1997-01-07 1999-06-15 김채진 식판으로부터의 식기 및 잔반 자동분리 장치
US6026831A (en) * 1998-11-19 2000-02-22 Insinger Machine Company Single-unit, conveyor-type washer
KR20110010991A (ko) * 2009-07-27 2011-02-08 대부인더스(주) 식판 수거 및 투입장치
WO2011042155A1 (en) * 2009-10-09 2011-04-1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Turning wheel
CN101716031B (zh) * 2009-10-29 2012-05-30 金龙 洗碗餐桌
CN101822524B (zh) * 2010-05-07 2012-07-11 俞明 用于餐具清洗设备的翻盘机构
US8573235B2 (en) * 2011-01-18 2013-11-05 Shane Y. Hong Dinnerware management system with method for cleaning dishware and dishwasher employing the same
US9125542B1 (en) * 2013-05-01 2015-09-08 Behzad Canaanie Portable dishwasher conveyor system
CN205072810U (zh) * 2015-08-25 2016-03-09 谢光明 一种全自动餐具收集清洗装置
CN107049194B (zh) * 2017-05-11 2019-07-19 广州春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磁性固定的餐具消毒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06B1 (ko) 2014-07-01 2015-04-13 명형진 그릇과 식판을 분리세척하는 식기세척자동화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99A (ko) *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프라임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시스템
KR20200145000A (ko) *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프라임 회전세척시스템
CN113173396A (zh) * 2021-04-24 2021-07-27 奥士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cb板加工用翻板机构
CN114084637A (zh) * 2021-12-21 2022-02-25 河南美之美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三聚氰胺木板生产用翻板输送装置
CN114803288A (zh) * 2022-03-21 2022-07-29 武汉理工大学 码砖装置
CN114803288B (zh) * 2022-03-21 2023-08-15 武汉理工大学 码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28123A (zh) 2019-03-29
JP6806760B2 (ja) 2021-01-06
JP2019182658A (ja) 2019-10-24
US20190315572A1 (en) 2019-10-17
CN109528123B (zh) 2021-11-09
US10633192B2 (en)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7637A (ko)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US3738465A (en) Vibrating sorter for soiled tableware
CN104274064B (zh) 自动供餐系统
US10045646B2 (en) Ordered food and drink conveying apparatus and food and drink conveying apparatus
CN110893981A (zh) 多功能自动分餐机
US20230089808A1 (en) Handling module for loading a transport device of a conveyor dishwasher
KR102030524B1 (ko)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CN211520940U (zh) 送料装置
KR20190017715A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세척시스템
JP7230359B2 (ja) 食器回収システムおよび昇降装置
KR102286532B1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시스템
JP5852025B2 (ja) 皿取出し装置
CN212630580U (zh) 一种自动化出餐装置
US3584752A (en) Tableware tray tilting and conveying means
SE537189C2 (sv) Anordning för att diska brickor.
KR20220158522A (ko) 자동화 식기 세척 시스템
JP2022150101A (ja) 食器皿洗浄装置
JP7528138B2 (ja) 洗浄システム
JPH0742376Y2 (ja) 使用済食器の搬送機構を備えた巡回搬送飲食台および使用済食器用盆の昇降制御装置
JP2017148417A (ja) 皿移送装置
JP2022161656A (ja) トレイ洗浄装置
JP7128453B2 (ja) 食器回収装置
JP2023028214A (ja) 皿積み重ね装置
US3670911A (en) Silverware loading apparatus
JP2023028213A (ja) 皿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0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5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31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3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8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5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