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1355A -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 Google Patents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355A
KR20110051355A KR1020090107883A KR20090107883A KR20110051355A KR 20110051355 A KR20110051355 A KR 20110051355A KR 1020090107883 A KR1020090107883 A KR 1020090107883A KR 20090107883 A KR20090107883 A KR 20090107883A KR 20110051355 A KR20110051355 A KR 20110051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outlet
chopsticks
lever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훈
Original Assignee
황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훈 filed Critical 황정훈
Priority to KR102009010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1355A/ko
Publication of KR2011005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10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1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10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 A47F2001/103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for cutl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노브의 가압에 의해 각 수용부에 적층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견착레버와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견착레버와 직교되게 견착되어, 인출구를 통해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배출이 보다 안정되게 이룩되도록 구성한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수저통, 숟가락, 젓가락, 견착레버, 승강노브, 탄지레버

Description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Spoon stand with easy withdrawal structure}
본 발명은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노브의 가압에 의해 각 수용부에 적층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견착레버와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견착레버와 직교되게 견착되어, 인출구를 통해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배출이 보다 안정되게 이룩되도록 구성한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통은 숟가락 및 젓가락 등을 포함한 복수 벌의 수저를 수납·보관할 수 있는 수저수납공간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수저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생활용품이다.
이러한 수저통은 실용성을 겸비한 다양한 패턴디자인으로 여러 종류가 출시되어 있으며, 식탁 등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없이 통형으로 형성된 수저통과 식탁 등에 눕혀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있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수저통으로크게 구분된다. 통형으로 형성된 수저통은 수저를 수용하는 수저수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박스형 수저통은 수저 수납공간 내부에 별도의 받침대를 설치하여 수저를 수용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저통 대부분은 복수 벌의 수저를 수용실에 담아두고 필요시 덮개를 열고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대중음식점 등에 이용될 경우에는 여러 사람이 수저를 같이 만지게 되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한 벌의 수저만을 정확히 인출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노브의 가압에 의해 각 수용부에 적층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견착레버와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견착레버와 직교되게 견착되어, 인출구를 통해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배출이 보다 안정되게 이룩되도록 구성한 수저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은,
구획편에 의해, 숟가락 수영부와 젓가락 수용부가 구획되게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편에는, 숟가락 수용부와 연통하는 숟가락 인출구와, 젓가락 수용부와 연통하는 젓가락 인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수용부와 각 인출구 사이에는 맨 하부에 형성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견착하여 인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인출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구조는, 각 수용부에 회동구조로 축 설치되는 것으로 외경에 견착턱에 의해 구획된 지지구간과 견착구간이 형성된 견착레버와, 상기 견착레버의 편심에 링크 결속되어 승강작용에 의해 견착레버를 내측방향과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스프링에 의해 상향 지지된 승강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승강노브를 가압하면 견착레버는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착레버의 지지구간에 바닥면이 지지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은 견착구간에 이송되고, 이후 승강노브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어 승강노브가 상승하여 견착레버가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외측방향으로 선회하는 견착레버의 견착턱에 견착구간에 위치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은 외측방향으로 이송되어 인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안착된 견착레버와 인출구 사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착레버의 견착구간에 견착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외측을 내측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레버가 설치되어, 견착레버에 의해 배출되는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좌우 비틀림이 억제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의 배출경로인 인출구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를 폐쇄하려는 성향을 갖는 도어가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를 평상시에는 폐쇄하고, 인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 또는 젓가락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를 통해 배출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내벽에는 지지돌기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내벽에 안착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지지돌기에 의해 도어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각 수용부의 내벽에는 각 수용부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이들 판스프링이 숟가락과 젓가락의 각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각 수용부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숟가락과 젓가락이 항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견착레버가 수용부의 맨 하부에 형성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바닥면을 지지한 상태로 견착단을 통해 견착하여, 이들을 인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되어서, 두께가 비등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안정적인 인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탄지레버에 의해 상기 견착레버에 의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배출과정에서 숟가락 및 젓가락의 비틀림이 예방되어서 숟가락과 젓가락의 인출이 보다 안정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수용부에 수용된 숟가락과 젓가락은 판 스프링에 의한 지지에 의해 항시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인출구를 통해 인출된 숟가락과 젓가락은 도어에 형성된 지지돌기에 의해 상향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협지의 용의성과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 는 수저통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에 있어, 인출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구조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에 있어, 인출구조에 의한 숟가락과 젓가락의 인출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1)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획편(11)에 의해, 숟가락 수용부(12)와 젓가락 수용부(13)가 구획되게 형성된 케이스(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개방된 숟가락 수용부(12)와 젓가락 수용부(13)의 상부를 폐쇄하는 커버(2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수저통(1)에 각 수용부(12, 13)에 수용된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을 배출하는 인출구조(30)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용부(12, 13)에 손을 진입시켜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을 인출시키지 아니하고 인출구조(30)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이 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의 인출에 따른 편리성을 겸비하고 향상된 위생상태가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의 양편에는 숟가락 수용부(12)와 연통하는 인출구(14)와, 젓가락 수용부(13)와 연통하는 인출구(14)가 택일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 13)와 인출구(14) 사이에는 각 수용부(12, 13)에 수용된 숟가 락(100) 또는 젓가락(200)을 인출구(14)를 통해 배출하는 인출구조(30)가 각각 형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의 배출경로인 인출구(14)에는, 스프링(15a)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14)를 폐쇄하려는 성향을 갖는 도어(15)가 힌지(15b)구조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는, 기본적으로 스프링(15a)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14)를 평상시에는 폐쇄하여 이 물질이 인출구(14)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며, 인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14)를 통해 배출된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15)의 내벽에는 지지돌기(15c)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15)의 내벽에 안착된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이 지지돌기(15c)에 의해 도어(15)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를 통한 협지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하고, 또 향상된 위생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수용부(12, 13)의 내벽에는 각 수용부(12, 13)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의 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16)이 설치되어, 이들 판스프링(16)이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의 각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각 수용부(12, 13)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이 항시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숟가락 수용부(12)에는 3개의 판스프링(16)이 각각 설치되어, 이들 3개의 판스프링(16)이 숟가락(100) 두부의 3면을 지지하여 숟가락의 정위치 상태가 안정되게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젓가락 수용부(13)에는 한 쌍의 판스프링(16)을 마주보게 설치하여 이들 한 쌍의 판스프링(16)에 의해 젓가락(200)의 양단이 지지되어 위치교정이 이룩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각 수용부(12, 13)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순차적으로 인출구를 통해 인출하는 인출구조(30)는, 복수의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이 적층된 각 수용부(12, 13)의 하부에 회동구조로 축(31d) 설치되어 각 수용부(12, 13)의 맨 하부에 위치된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을 지지하는 견착레버(31)와, 상기 견착레버(31)의 편심에 링크 결속되어 승강작용을 통해 견착레버(31)를 정역 회전시키는 승강노브(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각 수용부(12, 13)의 하부에는 한 쌍의 견착레버(31)가 이격되게 배설되고, 이들 견착레버(31)의 편심은 연결핀(31e)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노브(32)의 하단과 견착레버(31)는 연결핀(31e)을 통해 연결되어서, 하나의 승강노브(32)의 승강작용에 의해 한 쌍의 견착레버(31)가 동시에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수용부(12, 13)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숟가락(100)과 젓가락(200) 중, 맨 하부에 위치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은 하부에 형성된 견착레버(31)의 외경에 지지되는데, 상기 각 견착레버(31)의 외경에는 견착턱(31a)에 의 해 구획된 지지구간(31b)과 견착구간(31c)이 형성되며, 상기 견착레버(31)와 링크 결속된 승강노브(32)는 스프링(32a)에 의해 상향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이 안착된 견착레버(31)와 인출구(14) 사이에는 각각, 스프링(33a)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착레버(31)의 견착구간(31c)에 견착된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의 외측을 내측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레버(3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견착레버(31)의 견착구간(31c)에 견착되어 인출구(14)를 통해 외측방향으로 배출되는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의 외측면이 탄지레버(33)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지지되면, 상기 견착레버(31)의 견착구간(31c)에 견착된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은 탄지레버(33)의 내측방향으로의 지지에 의해 견착단(31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인출구(14)를 통해 배출되므로, 견착레버(31)에 의한 배출과정 중에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이 비틀려져 인출구(14)를 통해 미 배출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출구조(30)를 통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인출과정은, 기본적으로 평상시 즉, 승강노브(32)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각 수용부(12, 13)의 맨 하부에 위치된 숟가락과 젓가락은 견착레버(31)의 지지구간(31b)에 지지된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노브(32)를 가압하면 견착레버(31)는 내측으로 소정각 회전하며 이때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은 견착레버(31)의 견착구간(31b)에 진입하여 견착턱(31c)에 의해 견착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숟가락(100)의 경우에는 견착레버(31)의 견착구간(31c)에 낱개가 안착되며, 젓가락의 경우 견착레버(31)의 견착구간(31c)에 한 쌍씩 안착된다.
이후, 사용자가 승강노브(32)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승강노브(32)는 상승하면서 견착레버(31)를 외측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러한 견착레버(31)의 외측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견착턱(31a)에 견착된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은 외측 일편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견착레버(31)에 형성된 견착구간(31c)에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이 지지된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선회하는 견착단(31a)이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직교방향으로 간섭하여 인출구(14)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면, 숟가락 및 젓가락의 안정된 견착을 통해 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중에 탄지레버(33)는 상기 견착구간(33a)에 안착되어 외측으로 배출되는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외측을 탄력적으로 밀착시켜, 견착레버(31)에 의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배출과정 중에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이 비틀려지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의 배출에 따른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출구조(30)를 통해 인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은 인출구(14)를 폐쇄하고 있는 도어(15)를 개방하게 되며, 이 개방된 도어(15)의 내벽에 인출구(14)를 통해 인출된 숟가락(100) 또는 젓가락(200)은 안치된다.
이때,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은 도어(15)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 기(15c)에 안착되어, 숟가락(100)의 바닥면과 젓가락(200)의 바닥면은 도어(15)의 내벽과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도어(15)의 지지돌기(15c)에 안착된 숟가락(100)과 젓가락(200)을 엄지와 집게 손가락을 통해 협지하여, 음식물을 섭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에 있어, 인출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구조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에 있어, 인출구조에 의한 숟가락과 젓가락의 인출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저통
10. 케이스 11. 구획편
12. 숟가락 수용부 13. 젓가락 수용부
14. 인출구 15. 도어
15a. 스프링 15b. 힌지
15c. 지지돌기
15. 판스프링
20. 커버 21. 승강구
30. 인출구조 31. 견착레버
31a. 견착턱 31b. 지지구간
31c. 견착구간 31d. 축
31e. 연결핀
32. 승강노브 32a. 스프링
33. 탄지레버 33a. 스프링
100. 숟가락 200. 젓가락

Claims (3)

  1. 구획편에 의해, 숟가락 수영부와 젓가락 수용부가 구획되게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편에는, 숟가락 수용부와 연통하는 숟가락 인출구와, 젓가락 수용부와 연통하는 젓가락 인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수용부와 각 인출구 사이에는 맨 하부에 형성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견착하여 인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인출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구조는, 각 수용부에 회동구조로 축 설치되는 것으로 외경에 견착턱에 의해 구획된 지지구간과 견착구간이 형성된 견착레버와, 상기 견착레버의 편심에 링크 결속되어 승강작용에 의해 견착레버를 내측방향과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스프링에 의해 상향 지지된 승강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승강노브를 가압하면 견착레버는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착레버의 지지구간에 바닥면이 지지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은 견착구간에 이송되고, 이후 승강노브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어 승강노브가 상승하여 견착레버가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외측방향으로 선회하는 견착레버의 견착턱에 견착구간에 위치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은 외측방향으로 이송되어 인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안착된 견착레버와 인출구 사 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착레버의 견착구간에 견착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외측을 내측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레버가 설치되어, 견착레버에 의해 배출되는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좌우 비틀림이 억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의 배출경로인 인출구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를 폐쇄하려는 성향을 갖는 도어가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를 평상시에는 폐쇄하고, 인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숟가락 또는 젓가락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구를 통해 배출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KR1020090107883A 2009-11-10 2009-11-10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KR20110051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83A KR20110051355A (ko) 2009-11-10 2009-11-10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83A KR20110051355A (ko) 2009-11-10 2009-11-10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355A true KR20110051355A (ko) 2011-05-18

Family

ID=4436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883A KR20110051355A (ko) 2009-11-10 2009-11-10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135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7019A (zh) * 2015-11-03 2015-12-16 陈烁 自动出筷箱
CN105167513A (zh) * 2015-10-30 2015-12-23 陈烁 手动出筷箱
KR101871185B1 (ko) * 2017-09-14 2018-06-27 봉승구 원터치 살균 수저통
KR20220036708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숟가락 공급장치
KR20220036716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젓가락 공급장치
KR20220036699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수저 자동 공급장치
KR20220096473A (ko) * 2020-12-31 2022-07-07 김명기 숟가락 공급장치
KR20220096477A (ko) * 2020-12-31 2022-07-07 김명기 젓가락 공급장치
KR102434596B1 (ko) * 2021-10-20 2022-08-19 박광순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7513A (zh) * 2015-10-30 2015-12-23 陈烁 手动出筷箱
CN105147019A (zh) * 2015-11-03 2015-12-16 陈烁 自动出筷箱
KR101871185B1 (ko) * 2017-09-14 2018-06-27 봉승구 원터치 살균 수저통
KR20220036708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숟가락 공급장치
KR20220036716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젓가락 공급장치
KR20220036699A (ko) * 2020-09-16 2022-03-23 김명기 수저 자동 공급장치
KR20220096473A (ko) * 2020-12-31 2022-07-07 김명기 숟가락 공급장치
KR20220096477A (ko) * 2020-12-31 2022-07-07 김명기 젓가락 공급장치
KR102434596B1 (ko) * 2021-10-20 2022-08-19 박광순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WO2023068834A1 (ko) * 2021-10-20 2023-04-27 박광순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1355A (ko)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WO2016155644A1 (zh) 自动餐具盒
US7185843B1 (en) Two high bathroom tissue dispenser
CN102564042B (zh) 冰箱储物盒及冰箱
KR101139037B1 (ko) 업소용 위생 수저통
CN108135435B (zh) 用于洗碗机中的扁平的清洗物的清洗物容纳器
US4972955A (en) Device in connection with a box for cutlery
KR200443510Y1 (ko) 수저 인출 장치
KR200458331Y1 (ko) 음식점 반찬 운반구
CN105167365A (zh) 抽屉式保温饭盒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CN207444613U (zh) 一种多功能竹制茶柜
CN215583343U (zh) 带有电子产品支架的餐具
US20190343308A1 (en) Tableware Organizer for Large Group Gatherings
CN218164827U (zh) 便携式筷盒
CN215015208U (zh) 一种餐边柜
US20050098197A1 (en) Table-dishwasher apparatus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by the handicapped
CN214104068U (zh) 一种手机支架餐具盒
CN219578783U (zh) 一种多功能的纸巾盒
KR102364714B1 (ko)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WO2024107160A2 (en) Handles for pots and pans
CN217390243U (zh) 一种厨房柜
CN213345175U (zh) 一种拱底子母盘
CN211882972U (zh) 一种可抽拉的餐厨用具放置柜
KR200421478Y1 (ko) 냅킨 수납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