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596B1 -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596B1
KR102434596B1 KR1020210140513A KR20210140513A KR102434596B1 KR 102434596 B1 KR102434596 B1 KR 102434596B1 KR 1020210140513 A KR1020210140513 A KR 1020210140513A KR 20210140513 A KR20210140513 A KR 20210140513A KR 102434596 B1 KR102434596 B1 KR 10243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bleware
rotating
rotation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순
Original Assignee
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순 filed Critical 박광순
Priority to KR102021014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596B1/ko
Priority to PCT/KR2022/016017 priority patent/WO20230688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는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식기류가 적층되는 제1 수납부, 제1 식기류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승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제1 센서부, 제1 수납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승된 제1 식기류를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제1 식기류가 배출되는 제1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AUTOMATIC CUTLERY DISPENSER}
본 발명은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숟가락, 젓가락, 나이프, 포크 등의 식기류(Cutlery)를 자동으로 인출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통은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의 식기류 등을 수납 및 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식기류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생활용품이다. 이러한 수저통은 크게 식탁 등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뚜껑이 없이 통 형상으로 형성된 세로형과 식탁 등에 눕혀 놓을 수 있도록 뚜껑이 있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가로형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저통은 식기류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분리 보관하지 않고 하나의 통에 복수개의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이 뒤섞여 담기게 되므로, 특히 대중음식점 등에서 이용되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 다른 것들까지 여러 사람이 같이 만지게 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꺼내고자 하는 식기류를 정확히 인출하기가 어렵다. 또한, 외부로부터 세균이 유입되어 숟가락들과 젓가락들이 한 번 오염되어 버리면 수저를 장기간 보관하는 동안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0-00394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수납부에 적층된 제1 식기류를 승강부를 통해 상승시키고 회동부를 통해 회동시켜 제1 식기류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제2 수납부에 적층된 제2 식기류를 회전부를 통해 회전시켜 제2 식기류를 순차적으로 한 벌씩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전염을 방지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는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식기류가 적층되는 제1 수납부, 제1 식기류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승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제1 센서부, 제1 수납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승된 제1 식기류를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제1 식기류가 배출되는 제1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는, 승강구동부, 승강구동부와 연결되고 승강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가이드부의 회전에 따라 제1 수납부의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캐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는, 회동구동부와 연결되고 회동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동축, 회동축과 연결되고 회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제1 식기류를 부착하는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는, 제1 식기류를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석부, 자석부와 이격되며 위치하고, 자석부에 제1 식기류가 부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식기류가 부착된 자석부는, 제1 배출부의 상면 아래까지 회전한다.
본체부는, 본체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부, 도어부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3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가 오픈 될 경우, 캐리지는 본체부의 하면 아래로 하강하고, 부착부는 회전하여 제1 수납부의 위로 상승할 수 있다. 제1 수납부는, 제1 수납부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체에 의해 1열 및 2열로 구분되며, 1열에 수용된 제1 식기류는 승강부를 구성하는 제1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며, 2열에 수용된 제1 식기류는 승강부를 구성하는 제2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한다.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식기류가 적층되는 제2 수납부, 제2 수납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식기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회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2 센서부, 제2 식기류가 배출되는 제2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는, 회전구동부와 연결되고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회전축과 연결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제2 식기류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는 적층된 다수의 식기류 중 다른 식기류를 접촉하지 않으면서 필요한 한 벌의 식기류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로 하는 식기류 이외의 식기류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전염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는 센서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꺼내고자 하는 식기류를 정확히 인출할 수 있으며,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외형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내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제1 수납부, 승강부, 회동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승강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회동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제1 수납부, 제1 식기류의 일 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제2 수납부, 회전부의 일 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제2 수납부, 회전부의 일 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외형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내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제1 수납부, 승강부, 회동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승강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회동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제1 수납부, 제1 식기류의 일 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제2 수납부, 회전부의 일 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의 제2 수납부, 회전부의 일 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1)는 본체부(10), 제1 수납부(20), 승강부(30), 회동부(40), 제1 배출부(50), 제2 수납부(60), 회전부(70) 및 제2 배출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1)의 외형으로, 하면(14), 측면(17), 상면(18)으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제1 수납부(20), 승강부(30), 회동부(40), 제2 수납부(60), 회전부(7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수납부(20)와 제2 수납부(60)는 하면(14)의 상부에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납부(20)에는 제1 식기류(21)가 적층될 수 있으며, 제2 수납부(60)에는 제2 식기류(61)가 적층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도어부(11), 센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11)는 본체부(10)의 측면(17)에 힌지 결합되어 본체부(10)를 개폐할 수 있다. 본체부(10)에 수용될 수 있는 제1 수납부(20) 또는 제2 수납부(60) 등은 도어부(11)를 통해 본체부(10)에 수용되거나 본체부(10) 밖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살균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본체부(10)의 내부에 수용된 제1 식기류(21) 및 제2 식기류(61)를 살균할 수 있으며 도어부(11)가 오픈될 경우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다.
센서부(12)는 비접촉 적외선 센서로 본체부(10)에 형성된 홀을 통해 표면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서부(12a)에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될 경우, 제1 식기류(21)가 제1 배출부(50)를 통해 공급될 수 있고, 제2 센서부(12b)에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될 경우, 제2 식기류(61)가 제2 배출부(8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즉,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1)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숟가락, 젓가락, 나이프, 포크 등의 식기류(Cutlery)를 자동으로 인출하여 외부로부터 세균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통하여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1)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1)는 제1 수납부(20), 승강부(30), 회동부(40), 제1 배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부(20)는 제1 식기류(21)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면(14)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1 수납부(20)는 도어부(11)(도 1에 도시, 이하 동일)를 통해 본체부(10)에 수용되거나 본체부(10) 밖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어부(11) 가 오픈될 경우, 제3 센서부(13)가 감지하여 제1 캐리지(33a)와 제2 캐리지(33b)는 하강하면서 각각 홈부(23a, 23b) 및 관통홀(15a, 15b)을 통과하여 하면(14)의 아래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 부착부(43)는 제1 수납부(20)의 위로 상승할 수 있다. 이에, 제1 수납부(20)가 간섭 없이 하면(14)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납부(20)는 하면(14)에 설치된 스토퍼(16)를 통해 하면(14)에서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16)는 제1 수납부(20)가 하면(14)에서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수납부(20)는 내부공간이 격벽체(22)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식기류(21)는 1열(24)과 2열(25)로 나누어 적층 될 수 있다. 1열(24)과 2열(25)에 적층된 제1 식기류(21)는 격벽체(22)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하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식기류(21)는 커트러리(Cutlery)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숟가락(21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21b)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21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부(30)는 제1 수납부(20)에 적층된 제1 식기류(21)를 승강시킬 수 있으며, 승강구동부(31), 가이드부(32), 캐리지(33), 동력전달부(34), 기어(35), 벨트(36), 풀리(37)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31)는 모터로, 제1 승강구동부(31a)와 제2 승강구동부(31b)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2)는 승강구동부(31)와 연결되어 승강구동부(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부(32)는 z축 방향으로 뻗으며 전체가 나사산으로 형성된 원통형 전산볼트일 수 있다. 가이드부(32)는 제1 가이드부(32a)와 제2 가이드부(3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부(32a)는 제1 승강구동부(31a)와 연결되고, 제2 가이드부(32b)는 제2 승강구동부(31b)와 연결될 수 있다.
캐리지(33)는 가이드부(32)와 연결되어 가이드부(32)의 회전에 따라 제1 수납부(20)의 내부에서 승하강 할 수 있다. 캐리지(33)는 가이드부(32)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맞물리며 가이드부(32)를 따라 승하강 할 수 있다. 캐리지(33)는 제1 식기류(21)의 하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승하강하여 제1 식기류(2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캐리지(33)는 제1 캐리지(33a)와 제2 캐리지(33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캐리지(33a)는 제1 가이드부(32a)와 연결되고, 제2 캐리지(33b)는 제2 가이드부(32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승강구동부(31a) 또는 제2 승강구동부(31b)는 센서부(12)(도 1에 도시, 이하 동일)에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될 경우,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승강구동부(31a) 또는 제2 승강구동부(31b)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 캐리지(33a)와 제2 캐리지(33b)는 상승할 수 있으며, 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하강할 수 있다.
만약, 제1 센서부(12a)에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될 경우, 제1 승강구동부(31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승강구동부(31a)와 축 연결된 제1 동력전달부(34a)가 회전하며, 제1 동력전달부(34a)와 톱니로 연결된 한 쌍의 기어(35)가 회전한다. 한 쌍의 기어(35)가 회전하면 한 쌍의 기어(35)와 축 연결된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2a)가 회전하고,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2a)에 연결된 제1 캐리지(33a)가 제1 가이드부(32a)를 따라 상승하면서 제1 수납부(20)에 수용된 1열(24)의 제1 식기류(21)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승강구동부(31b)가 일발항으로 회전하면 제2 승강구동부(31b)와 축 연결된 제2 동력전달부(34b)가 회전하고, 제2 동력전달부(34b)와 벨트(36)로 연결된 한 쌍의 풀리(37)가 회전한다. 한 쌍의 풀리(37)가 회전하면 한 쌍의 풀리(37)와 축 연결된 한 쌍의 제2 가이드부(32b)가 회전하고, 한 쌍의 제2 가이드부(32b)에 연결된 제2 캐리지(33b)가 제2 가이드부(32b)를 따라 상승하면서 제1 수납부(20)에 수용된 2열(25)의 제1 식기류(21)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동부(40)는 승강부(30)를 통해 상승된 제1 식기류(21)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회동구동부(41), 회동축(42), 부착부(43), 자석부(44), 감지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구동부(41)는 모터로, 회동축(42)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회동축(42)은 회동구동부(41)와 연결되고 회동구동부(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부착부(43)는 회동축(42)과 연결되고, 회동축(4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부착부(43)는 승강부(30)를 통해 상승된 제1 식기류(21)를 부착시킬 수 있다. 자석부(44)는 부착부(43)에 위치하고, 금속 성질의 제1 식기류(21)를 자력으로 자석부(44)의 상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자석부(44)는 제1 자석부(44a)와 제2 자석부(44b)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45)는 부착부(43)에 위치하고, 자석부(44)에 제1 식기류(21)가 부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승강부(30)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제1 식기류(21)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45)는 제1 감지부(45a)와 제2 감지부(45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캐리지(33a) 또는 제2 캐리지(33b)가 제1 수납부(20)에 수용된 1열(24) 또는 2열(25)의 제1 식기류(21)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부착부(43)는 제1 식기류(21)를 향해 회전하고, 자석부(44)에는 제1 식기류(21)가 부착된다. 1열(24)의 제1 식기류(21)는 제1 자석부(44a)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감지부(45a)는 제1 식기류(21)와 제1 자석부(44a)의 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2열(25)의 제1 식기류(21)는 제2 자석부(44b)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감지부(45b)는 제1 식기류(21)와 제2 자석부(44b)의 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식기류(21)가 부착된 자석부(44)는 제1 배출부(50)의 상면(51)의 아래로 회전되고, 제1 식기류(21)는 상면(51)과 맞닿으면서 자석부(44)에서 탈리될 수 있다. 즉, 자석부(44)가 제1 식기류(21)를 부착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제1 식기류(21)의 양단은 제1 배출부(50)의 상면(51)에 맞닿게 된다. 제1 식기류(21)의 양단이 제1 배출부(50)의 상면(51)에 맞닿은 상태에서 자석부(44)가 제1 배출부(50)의 상면(51)의 아래로 연속해서 회전하면 제1 식기류(21)는 회전하는 자석부(44)로부터 탈리된다. 탈리된 제1 식기류(21)는 상면(51)을 따라 제1 배출부(50)의 단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1)는 제2 수납부(60), 회전부(70), 제2 배출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납부(60)는 제2 식기류(61)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면(14)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2 수납부(60)는 도어부(11)를 통해 본체부(10)에 수용되거나 본체부(10) 밖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수납부(60)는 내부공간에 상호 대향하며 하향경사진 한 쌍의 유도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식기류(61)는 유도부(64)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모이고, 유도부(64)의 단부에 형성된 슬릿부(6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식기류(61)는 예를 들면, 젓가락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부(70)는 슬릿부(62)를 통해 배출된 제2 식기류(61)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구동부(71), 회전축(72), 안착부(73), 수용홈(7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71)는 모터로, 회전축(72)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회전축(72)은 회전구동부(71)와 연결되고 회전구동부(7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안착부(73)는 회전구동부(71)와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 한 쌍의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수용홈(74)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용홈(74)은 안착부(7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제1 수용홈(74a), 제2 수용홈(74b), 제3 수용홈(74c)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제2 센서부(12b)(도 1에 도시, 이하 동일)에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될 경우, 회전구동부(7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구동부(71)와 연결된 회전축(72)이 회전하면서 안착부(73)가 회전한다. 이 때, 안착부(73)는 제2 식기류(61)가 한 번만 배출될 수 있도록 1회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회 회전은, 제1 수용홈(74a)에 제2 식기류(61)가 안착한 상태에서, 안착부(73)가 경사부(63)의 상부에서 멈추는 회전일 수 있다. 이 때, 제2 식기류(61)는 경사부(63)를 따라 제2 배출부(80)의 단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센서부(12a)에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승강부(30)가 제1 수납부(20)에 적층된 제1 식기류(21)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제1 식기류(21)는 회동부(40)에 부착되어 회전하면서 제1 배출부(50)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제1 배출부(50)로 인출된 제1 식기류(21)를 꺼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부(12b)에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회전부(70)가 회전하여 안착부(73)에 안착 정렬된 제2 식기류(61)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제2 식기류(61)는 경사부(63)를 따라 제2 배출부(80)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제2 배출부(80)로 인출된 제2 식기류(61)를 꺼내 사용할 수 있다.
즉,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1)는 비접촉 적외선 센서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꺼내고자 하는 식기류를 정확히 인출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식기류를 만지는 등 위생상의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으므로 바이러스 등의 전염을 방지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본체부
11: 도어부
12: 센서부
13: 제3 센서부
14: 하면
15a: 관통홀
15b: 관통홀
16: 스토퍼
20: 제1 수납부
21: 제1 식기류
22: 격벽체
23a: 홈부
23b: 홈부
24: 1열
25: 2열
30: 승강부
31: 승강구동부
32: 가이드부
33: 캐리지
34: 동력전달부
35: 기어
36: 벨트
37: 풀리
40: 회동부
41: 회동구동부
42: 회동축
43: 부착부
44: 자석부
45: 감지부
50: 제1 배출부
51: 상면
60: 제2 수납부
61: 제2 식기류
62: 슬릿부
63: 경사부
64: 유도부
70: 회전부
71: 회전구동부
72: 회전축
73: 안착부
74: 수용홈
80: 제2 배출부

Claims (10)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식기류가 적층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식기류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수납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승된 상기 제1 식기류를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제1 식기류가 배출되는 제1 배출부
    를 포함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승강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수납부의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캐리지를 포함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회동구동부, 상기 회동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동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승강부에의해 상승된 상기 제1 식기류를 부착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 식기류를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석부, 상기 자석부와 이격되며 위치하고, 상기 자석부에 상기 제1 식기류가 부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기류가 부착된 상기 자석부는, 상기 제1 배출부의 상면 아래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3 센서부를 포함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가 오픈 될 경우, 상기 캐리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 아래로 하강하고, 상기 부착부는 회전하여 상기 제1 수납부의 위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부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체에 의해 1열 및 2열로 구분되며,
    상기 1열에 수용된 상기 제1 식기류는 상기 승강부를 구성하는 제1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2열에 수용된 상기 제1 식기류는 상기 승강부를 구성하는 제2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식기류가 적층되는 제2 수납부,
    상기 제2 수납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식기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2 센서부,
    상기 제2 식기류가 배출되는 제2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2 식기류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KR1020210140513A 2021-10-20 2021-10-20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KR102434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13A KR102434596B1 (ko) 2021-10-20 2021-10-20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PCT/KR2022/016017 WO2023068834A1 (ko) 2021-10-20 2022-10-20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13A KR102434596B1 (ko) 2021-10-20 2021-10-20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596B1 true KR102434596B1 (ko) 2022-08-19

Family

ID=8311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513A KR102434596B1 (ko) 2021-10-20 2021-10-20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4596B1 (ko)
WO (1) WO20230688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834A1 (ko) * 2021-10-20 2023-04-27 박광순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KR20240069176A (ko) 2022-11-11 2024-05-20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식기 디스펜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103Y1 (ko) * 2002-11-15 2003-04-10 (주)아로마아이씨이 라면 자동 판매기의 젓가락 자동 투출장치
KR20110051355A (ko) * 2009-11-10 2011-05-18 황정훈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KR20200039492A (ko) 2018-10-06 2020-04-16 윤민수 수저 디스펜서
KR20210047834A (ko) * 2021-04-12 2021-04-30 송봉훈 숟가락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8090B2 (en) * 2013-03-15 2015-09-22 Metro Bay Products, Inc. Electronic article dispenser
KR20170101842A (ko) * 2017-08-04 2017-09-06 이윤주 버튼식 방출기능을 가진 수저통
KR102434596B1 (ko) * 2021-10-20 2022-08-19 박광순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103Y1 (ko) * 2002-11-15 2003-04-10 (주)아로마아이씨이 라면 자동 판매기의 젓가락 자동 투출장치
KR20110051355A (ko) * 2009-11-10 2011-05-18 황정훈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KR20200039492A (ko) 2018-10-06 2020-04-16 윤민수 수저 디스펜서
KR20210047834A (ko) * 2021-04-12 2021-04-30 송봉훈 숟가락 디스펜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834A1 (ko) * 2021-10-20 2023-04-27 박광순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KR20240069176A (ko) 2022-11-11 2024-05-20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식기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834A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596B1 (ko) 자동 식기류 디스펜서
US20180237210A1 (en) Elevating lift dispenser and container
AU2020203852B2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05697A1 (en) Bottled food basket
US20040112372A1 (en) Steam cooker having a reduced size
KR101139037B1 (ko) 업소용 위생 수저통
KR102542610B1 (ko) 냉장고
JP6868241B2 (ja) 洗濯機
CN101797101A (zh) 收纳柜
JP4994130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KR200415517Y1 (ko)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KR102550714B1 (ko) 로봇 조리 시스템용 조리용기 자동공급장치
KR102235930B1 (ko)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KR200414468Y1 (ko) 승강 가능한 싱크대의 찬장
JP6767129B2 (ja) 飲食物用皿
KR102405869B1 (ko) 개별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위생 젓가락 보관함
KR20220075893A (ko) 교차오염방지형 수저보관함
CN101683237A (zh) 一种电动拉轨式蒸笼
KR102578022B1 (ko) 주방용품 살균장치
CN208909687U (zh) 具有称重功能的烹饪器具
KR20230074384A (ko) 수저머리 교차오염 방지 수저통
KR20220036708A (ko) 숟가락 공급장치
CN218402054U (zh) 壁挂式垃圾桶
CN218164827U (zh) 便携式筷盒
KR102362831B1 (ko) 위생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