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930B1 -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930B1
KR102235930B1 KR1020200099665A KR20200099665A KR102235930B1 KR 102235930 B1 KR102235930 B1 KR 102235930B1 KR 1020200099665 A KR1020200099665 A KR 1020200099665A KR 20200099665 A KR20200099665 A KR 20200099665A KR 102235930 B1 KR102235930 B1 KR 102235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storage
cam
tak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국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글로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글로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글로벌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99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3/02Single-track cams for single-revolution cycles; Camshafts with such ca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대중의 음식을 취급하는 음식점의 식탁에 비치된 수저 보관용 보관취출통의 외관에 설치된 취출버튼을 손가락을 이용한 누름 방식을 통해 보관취출통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저가 보관취출통으로부터 취출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spoon of untact way}
본 발명은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음식점, 호텔뷔페, 분식점 등과 같은 음식을 취급하는 장소의 개별 식탁에 비치되어 손님들이 저마다 수저를 손으로 꺼낼 필요없이 수저의 보관취출통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거나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수저를 취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관계로, 코로나와 같은 각종 바이러스균이 수저에 묻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위생적인 수저 사용이 가능한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음식점, 호텔뷔페, 분식점 등과 같은 음식을 취급하는 장소에서는 개별 식탁마다 수저통들이 비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저통들은 대부분 수저를 보관하는 보관통과 보관통의 상부를 덮고 있는 덮개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별 식탁마다 비치된 수저통들은 보관통과 덮개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개별 식탁에 앉은 손님들은 저마다 자신의 수저를 꺼내기 위해 덮개판을 개방한 다음 보관통에 보관되고 있는 다수의 수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저를 골라 꺼내고 있다.
이처럼, 손님들이 자신의 수저를 고르기 위해 다수의 수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저를 고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손이 다수의 수저들과 접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코로나 바이러스균이 보관통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에 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수저통은 수저들을 보관하기에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비생위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나, 현대 사회에서는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들이 창궐하는 시대이기 때문에, 손님들 중 예컨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감염자 손님이 보관통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을 손으로 만지며 본인의 수저를 고른다면, 본인이 고른 수저 이외에도 보관통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수저들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고, 이를 모르는 비감염자 손님들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묻은 수저를 이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감염이 폭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공중의 음식을 취급하는 장소에 마련된 개별 식탁에는 손으로 다수의 수저들과 접촉할 수 없는 바이러스 차단용 비접촉식 수저통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001 : 등록특허 제10-1379496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중의 음식을 취급하는 장소에 마련된 개별 식탁에 비치되거나 어느 특정한 곳에 비치되어 손님 개개인 자신의 수저 사용이 필요할 경우 수저의 보관취출통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거나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수저를 취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중의 음식을 취급하는 음식점의 식탁에 비치된 수저 보관용 보관취출통의 외관에 설치된 취출버튼을 손가락을 이용한 누름 방식을 통해 보관취출통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저가 보관취출통으로부터 취출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보관취출통은, 내부의 상측 부위에서 하부 부위를 향해 수저들이 보관될 수 있게 형성된 보관공간부의 하단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막의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막의 미닫이식 개폐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캠, 및 상기 캠과 연결되어 상기 캠의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캠은 원통캠이고, 상기 원통캠에 연결된 종동절은 상기 개폐막의 양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관공간부의 하부에서 수직한 구조로 설치되어 승강의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랙, 및 상기 랙의 일측단과 타측단에서 치차되어 회전 방식으로 수저를 취출로의 방향으로 투하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보관공간부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수저 취출을 위해 상기 보관취출통의 하부 부위에 형성된 취출로, 및 상기 취출로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취출로로부터 취출되는 수저를 받게 되는 받이부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대중의 음식을 취급하는 음식점의 식탁에 비치된 수저 보관용 보관취출통의 외관에 설치된 열감지창을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방식을 통해 보관취출통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저가 보관취출통으로부터 취출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보관취출통은, 상기 열감지창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감지창에서부터 전달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내부의 상측 부위에서 하부 부위를 향해 수저의 숟가락들과 젓가락들이 각각 따로 구획되어 보관될 수 있게 복수개로 형성된 제1,2 보관공간부의 하단 출구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막들의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막들의 미닫이식 개폐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캠, 및 상기 캠과 연결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지시하는 전기 인가에 따라 상기 캠의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캠은 판캠이고, 상기 판캠에 연결된 종동절들은 상기 개폐막들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관공간부의 하부에서 수직한 구조로 설치되어 승강의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랙, 및 상기 랙의 일측단과 타측단에서 치차되어 회전 방식으로 수저를 취출로의 방향으로 투하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제1,2 보관공간부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수저 취출을 위해 상기 보관취출통의 하부 부위에 형성된 취출로, 및 상기 취출로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취출로로부터 취출되는 수저를 받게 되는 받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출로를 개폐하는 도어는 웜과 웜기어 구조의 연결을 통해 동작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공중의 음식을 취급하는 장소에 마련된 개별 식탁에 비치된 보관취출통에 설치된 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열감지창을 손가락으로 터치함에 따라 보관취출통으로부터 수저가 취출될 수 있고, 이렇게 취출된 수저를 손님들이 집어 음식 섭취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관취출통속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의 바이러스 접촉이 방지되어, 식당의 식탁에 비치된 수저를 매개로 한 바이러스성 감염 전파가 원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음식점 식당의 식탁에 비치된 보관취출통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은 바이러스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는 관계로, 보관취출통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의 위생적 관리가 편리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대한 전체 외관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덮개판(101)이 보관취출통(100)에서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입체 도면이다.
도 3은 도 1과 2에 도시된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의 내부 구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취출통(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도면을 참고한 것으로 보관공간부(110)의 제1,2 보관공간부(111)(112) 하단 출구를 개폐막(120)(121)이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도면을 참고한 것으로 피니언기어(161)(162)의 회전을 통해 제1,2 보관공간부(111)(112) 하단 출구에서 떨어진 수저(10)의 숟가락(11)과 젓가락(12)이 취출로(103)를 향해 취출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대한 전체 외관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의 내부 구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취출통(200)의 단면을 도시하되, 보관공간부(210)의 제1,2 보관공간부(211)(212) 하단 출구 중 제1 보관공간부(211)의 하단 출구는 개폐막(220)이 개방하고 있는 한편, 제2 보관공간부(212)의 하단 출구는 개폐막(221)이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의 내부 구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취출통(200)의 단면을 도시하되, 보관공간부(210)의 제1,2 보관공간부(211)(212) 하단 출구 중 제1 보관공간부(211)의 하단 출구는 개폐막(220)이 폐쇄하고 있는 한편, 제2 보관공간부(212)의 하단 출구는 개폐막(221)이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도면을 참고한 것으로 제1 보관공간부(211)의 하단 출구로부터 떨어지는 숟가락(11)이 피니언기어(261)의 회전을 통해 취출로(203)를 향해 취출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참고한 것으로 제2 보관공간부(212)의 하단 출구로부터 떨어지는 젓가락(12)이 피니언기어(262)의 회전을 통해 취출로(203)를 향해 취출되고 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유첨된 도면들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첨부된 관계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첨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는, 도면 1 내지 도면 5를 참고할 수 있으며, 특히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10)들이 보관되고 있는 보관취출통(100)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보관취출통(100)의 상단에는 수저(10)들이 투입될 수 있는 덮개판(101)이 도 2와 같이 힌지로 연결되어 젖힘 구조로 상기 보관취출통(10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101)이 젖혀지면서 상기 보관취출통(100)의 내부가 개방되면, 보관 가능한 수저(10)의 숟가락(11)들과 젓가락(12)들은 상기 보관취출통(100)의 내부 상측에서 하부 방향으로 설치된 도 3에서와 같은 보관공간부(110)의 제1 보관공간부(111)와 제2 보관공간부(112)의 각각에 적재하는 방식으로 넣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보관취출통(100)의 어느 한 부위에는 수저(10)의 숟가락(11)과 젓가락(12)이 외부로 취출되기 위한 취출버튼(102)이 도 1과 같이 누름식으로 구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회전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관취출통(100)의 하부에는 수저(10)들이 취출되기 위한 취출로(10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취출로(103)의 하부에는 취출되는 수저(10)들을 받기 위한 받이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취출버튼(102)은 손가락으로 이용하여 누를 수 있는데, 이러한 취출버튼(102)의 누름 과정에서 스위치 접점이 발생되면서 후술될 실린더(150)에 대한 전기가 인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 공급을 위한 별도의 충전배터리도 상기 보관취출통(100)의 내부 어느 한 곳에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관취출통(100)의 내부를 살펴보면, 도면 3 내지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취출통(100)의 내부 상측 부위에 수저(10)들이 보관될 수 있는 보관공간부(110)가 구성될 수 있되, 이러한 상기 보관공간부(110)는 숟가락(11)들이 적재되기 위한 제1 보관공간부(111)와 젓가락(12)들이 적재되기 위한 제2 보관공간부(112)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는 구획벽(113)을 통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10)는 수저(10)들 중 자중에 의해 개별 수저(10)가 취출되기 용이한 역삼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역삼각형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보관공간부(110)의 하단에는 수저(10)가 취출되기 위한 개폐막(120)(121)이 미닫이 방식의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개폐막(120)(121)에 대한 개폐 동작은 상기 개폐막(120)(121)의 양측에 설치된 캠(130)(131)과 상기 캠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140)(141)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캠(130)(131)은 예컨대 원통캠(cylindrical cam)을 이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원통캠에 연결된 종동절(130a)(131a)이 상기 개폐막(120)(121)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개폐막(120)(121)이 상기 원통캠의 회전으로 종동절(130a)(131a)이 수평으로 전후퇴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종동절(130a)(131a)과 연결된 상기의 개폐막(120)(121)이 상기 보관공간부(110)의 개별 제1 보관공간부(111) 및 제2 보관공간부(112) 하단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캠(130)(131)에 대한 동작은 후술될 랙(160)의 상단에 탑재된 무게감지센서(170)에서 감지한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를 상기 전동모터(140)(141)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무게감지센서(170)는 특정 범위의 무게 임계치가 세팅되어 있는 관계로, 보관공간부(110)의 하단 출구로 떨어진 수저(10)들의 총 무게가 상기 무게 임계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170)는 떨어진 수저(10)들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를 상기 전동모터(140)(141)에 인가함에 따라, 상기 캠(130)(131)의 회전 동작으로 상기 개폐막(120)(121)이 상기 보관공간부(110)의 제1,2 보관공간부(111)(112) 하단 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수저(10)들이 상기 무게감지센서(170)의 방향으로 떨어져 부족분의 수저(10)들이 보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무게감지센서(170) 주변의 공간에 보충된 수저(10)들이 취출로(103)로 취출되는 공급량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무게감지센서(170) 주변의 공간에 보충된 수저(10)들이 부족할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170)는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를 상기 전동모터(140)(141)에 인가하여 상기 캠(130)(131)의 회전 동작에 따른 상기 개폐막(120)(121)을 개방시키는 방식으로 부족분의 수저(10)들을 다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170) 주변의 공간에 떨어진 수저(10)들 중 하나의 숟가락(11)과 하나의 젓가락(12)이 각각 대칭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기어(161)(162)에 형성된 숟가락 안착홈(161a)과 젖가락 안착홈(162a)에 안착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취출버튼(102)이 눌러지게 되면, 상기 보관취출통(100)의 내부 하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150)가 구동되면서 로드에 결합된 랙(160)이 소정의 길이구간만큼 승강되는 동시 상기 랙(160)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치차된 상기의 피니언기어(161)(162)들은 상기 랙(160)의 승강 구간만큼 회전되는데, 이때 예컨대 상기 피니언기어(16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16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피니언기어(161)(162)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숟가락 안착홈(161a)과 젖가락 안착홈(162a)에 각각 안착된 숟가락(11)과 젓가락(12)이 취출격벽(103c)을 기준으로 제1취출벽(103a)과 제2취출벽(103b)의 사이 취출공간으로 떨어지면서, 숟가락(11)은 취출격벽(103c)을 타고 미끌어지면서 취출로(103)로 취출되어 받이부(104)에 도착하게 되고, 젓가락(12)은 제2취출벽(103b)을 타고 미끌어지면서 취출로(103)로 취출되어 받이부(104)에 도착하게 된다.
따라서, 손님들은 받이부(104)에 취출된 수저(10)만 손으로 집어 사용하는 관계로, 상기 보관공간부(110)의 내부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10)들은 위생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는, 도면 6 내지 도면 10를 참고할 수 있으며, 보관취출통(200)의 외관에 설치된 열감지창(202a)을 손가락으로 터치함에 따라, 그 내부에 설치된 열감지센선서(202)가 열 감지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를 후술될 실린더(250)에 인가함으로써, 실린더(250)의 구동으로 수저(10)의 숟가락(11)과 젓가락(12)이 취출로(203)로부터 취출되어 받이부(204)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보관취출통(200) 역시도 상술된 제1 실시예의 보관취출통(100)에 구성된 덮개판(101), 취출로(103), 받이부(104)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되, 부호만 달리 기재될뿐이다. 즉, 덮개판(201), 취출로(203), 받이부(20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된 제1 실시예의 보관취출통(100)에서 상세히 설명된 관계로, 이들 덮개판(201), 취출로(203), 받이부(204)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보관취출통(200)의 어느 한 부위에는 수저(10)의 취출을 위해 열감지센서(202)가 도 6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열감지센서(202)는 손가락이 도 5의 열감지창(202a) 터치시 손가락의 접촉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열 감지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에 근거하여 후술될 실린더(250)에 전기가 인가됨으로써, 개별 개폐막(220)(221)이 상기 보관공간부(210)의 상기 제1 보관공간부(211)와 상기 제2 보관공간부(212) 하단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상기의 열감지센서(202)는 상술된 제1 실시예의 보관취출통(100)에 설치된 취툴버튼(102)을 대체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열감지창(202a)은 열감지필름 타입의 열감지스티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보관취출통(200)의 내부를 살펴보면, 도면 6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취출통(200)의 내부 상측 부위에 수저(10)의 숟가락(11)들과 젓가락(12)들이 각각 구획되어 보관될 수 있는 복수개의 보관공간부(210)가 구성될 수 있되, 이러한 상기 보관공간부(210)는 숟가락(11)들을 보관하기 위한 제1 보관공간부(211)와 젓가락(12)들을 보관하기 위한 제2 보관공간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보관공간부(211)와 상기 제2 보관공간부(212)는 그 사이가 구획될 수 있도록 경계벽(213)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 보관공간부(211)와 상기 제2 보관공간부(212) 역시도 숟가락(11)과 젓가락(12)이 자중에 의해 취출되기 용이한 역삼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되, 이러한 역삼각형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보관공간부(210)의 상기 제1 보관공간부(211)와 상기 제2 보관공간부(212) 하단에는 수저(10)의 숟가락(11)과 젓가락(12)이 취출되기 위한 개별 개폐막(220)(221)이 미닫이 방식의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개폐막(220)(221)에 대한 개폐 동작은 상기 개폐막(220)(221)의 일측에 설치 구비된 캠(230)과 상기 캠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24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캠(230)은 예컨대 판캠(plate cam)을 이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판캠에 연결된 종동절(231)(232)이 상기 개폐막(220)(221)의 일측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개폐막(220)(221)이 상기 판캠의 회전으로 종동절(231)(232)이 수평으로각각 교번되며 전후퇴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종동절(231)(232)과 연결된 상기의 개폐막(220)(221)이 상기 보관공간부(210)의 상기 제1 보관공간부(211)와 상기 제2 보관공간부(212) 하단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캠(230)은 판캠(plate cam)이 이용되는 관계로, 종돌절(231)(232)과 연결된 개별 개폐막(220)(221)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보관공간부(211)와 상기 제2 보관공간부(212)의 하단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적인 개방 혹은 폐쇄는 제어부에 세팅된 제어데이터를 근거로 한 전동모터(240)의 전동축 회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개폐막(220)(221)의 선택적인 개방 혹은 폐쇄는 숟가락(11)과 젓가락(12) 모두를 취출하거나 숟가락(11)과 젓가락(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취출하기에 적합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캠(230)은 판캠(plate cam)인 관계로 하나의 단품으로도 개별 개폐막(220)(221)을 교번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상기 캠(131)에 대한 동작은 후술될 랙(260)의 상단에 탑재된 무게감지센서(270)에서 감지한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를 단품의 상기 전동모터(240)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무게감지센서(270)는 특정 범위의 무게 임계치가 세팅되어 있는 관계로, 보관공간부(210)의 하단 출구로 떨어진 수저(10)들의 총 무게가 상기 무게 임계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270)는 떨어진 수저(10)들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를 단품의 상기 전동모터(240)에 인가함에 따라, 상기 캠(230)의 회전 동작으로 상기 개폐막(220)(221)이 상기 보관공간부(210)의 제1,2 보관공간부(211)(212) 하단 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수저(10)들이 상기 무게감지센서(270)의 방향으로 떨어져 부족분의 수저(10)들이 보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무게감지센서(270) 주변의 공간에 보충된 수저(10)들이 취출로(203)로 취출되는 공급량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무게감지센서(270) 주변의 공간에 보충된 수저(10)들이 부족할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270)는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를 단품의 상기 전동모터(240)에 인가하여 상기 캠(230)의 회전 동작에 따른 상기 개폐막(220)(221)을 개방시키는 방식으로 부족분의 수저(10)들을 다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270) 주변의 공간에 떨어진 수저(10)들 중 하나의 숟가락(11)과 하나의 젓가락(12)이 각각 대칭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기어(261)(262)에 형성된 숟가락 안착홈(부호미표기)과 젖가락 안착홈(부호미표기)에 안착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열감지센서(202)가 손가락의 열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보관취출통(200)의 내부 하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250)가 구동되면서 로드에 결합된 랙(260)이 소정의 길이구간만큼 승강되는 동시 상기 랙(260)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치차된 상기의 피니언기어(261)(262)들은 상기 랙(260)의 승강 구간만큼 회전되는데, 이때 예컨대 상기 피니언기어(26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26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피니언기어(261)(262)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숟가락 안착홈(부호미표기)과 젖가락 안착홈(부호미표기)에 각각 안착된 숟가락(11)과 젓가락(12)이 취출격벽(203c)을 기준으로 제1취출벽(203a)과 제2취출벽(203b)의 사이 취출공간으로 떨어지면서, 숟가락(11)은 취출격벽(203c)을 타고 미끌어지면서 취출로(203)로 취출되어 받이부(204)에 도착하게 되고, 젓가락(12)은 제2취출벽(203b)을 타고 미끌어지면서 취출로(203)로 취출되어 받이부(204)에 도착하게 된다.
따라서, 손님들은 받이부(204)에 취출된 수저(10)만 손으로 집어 사용하는 관계로, 상기 보관공간부(210)의 내부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10)들은 위생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캠(230)은 판캠(plate cam)이 이용되는 관계로, 종돌절(231)(232)과 연결된 개별 개폐막(220)(221)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보관공간부(211)와 상기 제2 보관공간부(212)의 하단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적인 개방 혹은 폐쇄는 제어부에 세팅된 제어데이터를 근거로 한 전동모터(240)의 전동축 회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개폐막(220)(221)의 선택적인 개방 혹은 폐쇄는 숟가락(11)과 젓가락(12) 모두를 취출하거나 숟가락(11)과 젓가락(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취출하기에 적합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관취출통(200)의 외관에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부를 통한 전동모터(240)의 전동축 회전 제어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버튼들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옵션버튼은 예컨대 모두개방, 혹은 숟가락개방, 혹은 젓가락개방과 같은 세 타입의 옵션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모두개방이 선택될 경우, 제어부에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에 세팅된 제어데이터에 근거하여 전동모터(240)의 전동축이 개별 상기 개폐막(220)(221)이 상기 제1 보관공간부(211)와 상기 제2 보관공간부(212)의 하단 출구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자면 전동모터(240)의 전동축이 판캠(plate cam)을 90°로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예컨대 상기 개폐막(220)(221) 중 상기 개폐막(220)만 개방되게 하기 위해서는 도 7과 같이 전동모터(240)의 전동축이 판캠(plate cam)을 180°로 회전시키면 되고, 예컨대 상기 개폐막(220)(221) 중 상기 개폐막(221)만 개방되게 하기 위해서는 도 8과 같이 전동모터(240)의 전동축이 판캠(plate cam)을 360°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러한 상기 판캠(plate cam)은 경사진 면 구조를 갖는 관계로 판캠(plate cam)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보관공간부(211)와 상기 제2 보관공간부(212)의 하단 출구를 모두 개방하거나 일부만 선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캠(230)인 판캠(plate cam)을 회전시키는 상기 전동모터(240)의 전동축에 대한 세밀한 회전은 제어부에서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부는 상기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예컨대 MCU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에 대한 제3 실시예는 상술된 제1,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되, 취출로(103)(203)의 인접한 지점에 취출로(103)(203)를 폐쇄할 수 있는 별도의 도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의 도어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숟가락(11)과 젓가락(12)은 무거운 하중력에 따른 자중에 의해 받이부(104)(204)에서 튕겨나갈 수 있는 관계로, 상기의 도어가 숟가락(11)과 젓가락(12)의 하중력을 상쇄하여 받이부(104)(204)로부터 튕겨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은 웜과 웜기어의 연결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웜과 웜기어는 상기 도어의 인접 위치 그러니까 보관취출통(100)(200)의 내부 하부에서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웜과 윔기어의 수동 조작을 위하여 보관취출통(100)(200)의 외관 하부에 웜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별도의 회전구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웜에는 토션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관계로 도어 개방을 위해 웜이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토션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으로 원위치 복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웜의 원위치 복귀에 따라 취출로(103)(203)를 개방하고 있는 상기 도어도 원위치 복귀되면서 상기 취출로(103)(203)를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도어 및 웜과 웜기어는 설명으로도 충분한 숙지가 가능하여 도면에 미도시되었음을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제1,2 실시예의 보관취출통(100)(200)의 내부에는 수저(10)에 대한 위생 관리를 위해 별도의 살균램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살균램프는 예컨대 자외선(UV)램프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살균램프는 덮개판(201)(201)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저(10)
숟가락(11) 젓가락(12)
보관취출통(100)(200) 덮개판(101)(201)
취출버튼(102)
열감지센서(202) 열감지창(202a)
취출로(103)(203)
제1취출벽(103a)(203a) 제2취출벽(103b)(203b)
취출격벽(103c)(203c)
받이부(104)(204) 보관공간부(110)(210)
제1 보관공간부(111)(211) 제2 보관공간부(112)(212)
개폐막(120)(121)(220)(221)
캠(130)(131)(230)
원통하우징(230a)
종돌절(130a)(131a)(231)(232) 전동모터(140)(141)(240)
승강수단(150)(250)
랙(160)(260) 피니언기어(161)(162)(261)(262)
숟가락 안착홈(161a) 젓가락 안착홈(162a)
무게감지센서(170)(270)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대중의 음식을 취급하는 음식점의 식탁에 비치된 수저 보관용 보관취출통의 외관에 설치된 취출버튼을 손가락을 이용한 누름 방식을 통해 보관취출통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저가 보관취출통으로부터 취출되고, 상기 보관취출통은, 내부의 상측 부위에서 하부 부위를 향해 수저들이 보관될 수 있게 형성된 보관공간부의 하단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막의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막의 미닫이식 개폐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캠, 및 상기 캠과 연결되어 상기 캠의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캠은 원통캠이고, 상기 원통캠에 연결된 종동절은 상기 개폐막의 양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관공간부의 하부에서 수직한 구조로 설치되어 승강의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랙, 및 상기 랙의 일측단과 타측단에서 치차되어 회전 방식으로 수저를 취출로의 방향으로 투하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공간부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수저 취출을 위해 상기 보관취출통의 하부 부위에 형성된 취출로, 및 상기 취출로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취출로로부터 취출되는 수저를 받게 되는 받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캠은 상기 랙의 상단에 탑재된 무게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가 상기 전동모터에 인가되는 방식으로 동작되고; 상기 보관공간부의 하단 출구로 떨어진 수저들의 총 무게가 무게 임계치에 미치지 못할 때에,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떨어진 수저들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를 상기 전동모터에 인가함에 따라, 상기 캠의 회전 동작으로 상기 개폐막이 상기 보관공간부의 제1,2 보관공간부 하단 출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수저들이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방향으로 떨어져 부족분의 수저들이 보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대중의 음식을 취급하는 음식점의 식탁에 비치된 수저 보관용 보관취출통의 외관에 설치된 열감지창을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방식을 통해 보관취출통에 보관되고 있는 수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저가 보관취출통으로부터 취출되고, 상기 보관취출통은, 상기 열감지창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감지창에서부터 전달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내부의 상측 부위에서 하부 부위를 향해 수저의 숟가락들과 젓가락들이 각각 따로 구획되어 보관될 수 있게 복수개로 형성된 제1,2 보관공간부의 하단 출구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막들의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막들의 미닫이식 개폐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캠, 및 상기 캠과 연결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지시하는 전기 인가에 따라 상기 캠의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캠은 판캠이고, 상기 판캠에 연결된 종동절들은 상기 개폐막들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관공간부의 하부에서 수직한 구조로 설치되어 승강의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랙, 및 상기 랙의 일측단과 타측단에서 치차되어 회전 방식으로 수저를 취출로의 방향으로 투하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2 보관공간부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수저 취출을 위해 상기 보관취출통의 하부 부위에 형성된 취출로, 및 상기 취출로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취출로로부터 취출되는 수저를 받게 되는 받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취출로를 개폐하는 도어는 웜과 웜기어 구조의 연결을 통해 동작되되,
    상기 캠은 상기 랙의 상단에 탑재된 무게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가 상기 전동모터에 인가되는 방식으로 동작되고; 상기 보관공간부의 하단 출구로 떨어진 수저들의 총 무게가 무게 임계치에 미치지 못할 때에,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떨어진 수저들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에 근거한 전기신호를 상기 전동모터에 인가함에 따라, 상기 캠의 회전 동작으로 상기 개폐막이 상기 보관공간부의 제1,2 보관공간부 하단 출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수저들이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방향으로 떨어져 부족분의 수저들이 보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KR1020200099665A 2020-08-10 2020-08-10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KR102235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665A KR102235930B1 (ko) 2020-08-10 2020-08-10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665A KR102235930B1 (ko) 2020-08-10 2020-08-10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930B1 true KR102235930B1 (ko) 2021-04-05

Family

ID=7546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665A KR102235930B1 (ko) 2020-08-10 2020-08-10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17B1 (ko) * 2021-04-01 2021-10-18 박상기 수저 한 벌 자동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96B1 (ko) 2014-02-14 2014-04-04 황규희 스트로우의 살균이 가능한 디스펜서
KR101871185B1 (ko) * 2017-09-14 2018-06-27 봉승구 원터치 살균 수저통
KR102056145B1 (ko) * 2017-11-29 2019-12-16 봉승구 주문 결제 기능을 가지는 식사도구 살균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96B1 (ko) 2014-02-14 2014-04-04 황규희 스트로우의 살균이 가능한 디스펜서
KR101871185B1 (ko) * 2017-09-14 2018-06-27 봉승구 원터치 살균 수저통
KR102056145B1 (ko) * 2017-11-29 2019-12-16 봉승구 주문 결제 기능을 가지는 식사도구 살균 보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17B1 (ko) * 2021-04-01 2021-10-18 박상기 수저 한 벌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456B2 (en) Automated hygienic utensil dispenser
EP2366313B1 (en) Cutlery utensil dispenser
CA2668309C (en) Cutlery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cutlery
EP1268327B1 (en) Cutlery utensil dispenser
CN102804235B (zh) 自动售货机
KR102235930B1 (ko) 비접촉식 수저 취출 장치
US20150321841A1 (en) Trash receptacle with a bag dispensing storage compartment
KR101871185B1 (ko) 원터치 살균 수저통
KR101103291B1 (ko) 식품 자판기
KR101139037B1 (ko) 업소용 위생 수저통
CN104627483A (zh) 一种投递结构及快递柜
WO2013044576A1 (zh) 一种瓶体结构
US20090113926A1 (en) Refrigerator
KR200458331Y1 (ko) 음식점 반찬 운반구
US20220227568A1 (en) Glove Dispenser Assembly
CN201631725U (zh) 一种组合式餐具消毒柜
KR102405869B1 (ko) 개별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위생 젓가락 보관함
CN213641216U (zh) 一种便于进行分类放置的医疗护士用医用盒
US20140097188A1 (en) "Pill caddy" "container caddy"
CN216535522U (zh) 老年人用医疗护理药箱
KR200256620Y1 (ko) 건어포 자동판매기
US2260563A (en) Ice cream dispensing cabinet
KR102336364B1 (ko) 개별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위생 숟가락 보관함
KR20110080358A (ko) 김치냉장고의 냉기커버 구조
KR102458872B1 (ko) 젓가락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