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517Y1 -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517Y1
KR200415517Y1 KR2020060005203U KR20060005203U KR200415517Y1 KR 200415517 Y1 KR200415517 Y1 KR 200415517Y1 KR 2020060005203 U KR2020060005203 U KR 2020060005203U KR 20060005203 U KR20060005203 U KR 20060005203U KR 200415517 Y1 KR200415517 Y1 KR 200415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amen
case
uni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이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석 filed Critical 이우석
Priority to KR2020060005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5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코인 투입에 따른 작동명령에 따라 금속재 용기에 담긴 라면에 온수를 붓고 정해진 시간동안 열을 가하여 끓이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일련의 조리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라면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내부에서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는 저장부로부터 코인투입에 따른 동작명령에 따라 용기를 하나씩 하방으로 안전하게 인출시켜 용기 이송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는, 용기 저장부의 케이스 전방에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승강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케이스 하단 외벽에 설치되는 힌지축에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 저면 개방부를 막고 있으면서 그 선단부는 커넥터를 매개로 승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른 커넥터의 승강으로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벌어지면서 막고있던 상기 케이스 저면 개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 및 상기 스윙 플레이트와 근접한 케이스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스윙 플레이트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라면조리 자판기, 라면 용기, 용기 공급장치

Description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The vessel supply system of a noddle automatic vending machi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가 적용된 라면조리 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4a내지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나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용기 공급장치 32...승강부
34...구동부 36...스윙 플레이트
38...리미트 스위치
320...슬라이더 322...연결링크
324...커넥터 340...모터 브래킷
342...감속기구 344...구동모터
346...로터 360...스윙 플레이트바디
362...안착날개 H...힌지축
본 고안은 코인 투입에 따른 작동명령에 따라 금속재 용기에 담긴 라면에 온수를 붓고 정해진 시간동안 열을 가하여 끓이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일련의 조리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라면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본체 내부에서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는 저장부로부터 코인투입에 따른 동작명령에 따라 용기를 하나씩 하방으로 안전하게 인출시켜 용기 이송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호식품 중 하나인 라면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서 봉지라면을 비롯해 사발면, 컵라면 등 그 종류가 수도 없이 많으며, 최근 변화하는 식생활 습관 및 바쁜 현대사회에서 그 수요는 갈수록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컵라면, 사발면 등 일회용기에 포장된 라면은 끓는 물을 투입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후 시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수 있도록 되어 있어 조리가 매우 간편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뜨거운 물에 면을 살짝 익힘과 동시에 불려먹는 방식이기 때문에 라면 고유맛을 낼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어 애호가들은 이러한 일회용기 라면보다 봉지라면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봉지라면을 즐기기 위해서는 라면을 끊이기 위한 도구 예컨대 용기와 버너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취식 환경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개봉된 라면을 사각 알루미늄 용기에 넣고 케이스에 적재하여 코인 투입에 따른 작동명령에 따라 하부에서부터 하나씩 인출시켜 뜨거운 물을 공급한 후 정해진 시간동안 가열하여 끓인 라면을 즉석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라면 자동 판매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일례로서 특허등록 제10-472767호를 들수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라면 자동 판매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면에 코인기를 구비한 본체 내부에는 조리될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가 포개진 상태로 적재되는 저장부재가 구비되고, 저장부재 하단부에는 저장부재에 적재된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코인투입에 의한 작동 명령에 따라 최하단에 위치한 일회용 용기만을 낱개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 공급부가 마련되며, 용기 공급부의 하방에는 이러한 용기 공급부의 개방으로 인출되어진 일회용 용기를 가열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리 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외에 조리된 라면을 용기 이송부를 통해 건네받아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저장부재로부터 라면 용기를 낱개로 인출시키기 위한 용기 공급부의 구성부품이 많고 매우 복잡하며 장치내에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여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기술에 개시된 용기 공급부는 링크가동에 의한 용기인출 방식으로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링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품이 요구되어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절첩식 링크구동에 의해 저장부재에 적재된 수많은 라면 용기를 지지하고 있다 보니 지지강성이 취약하여 고장이 빈번히 발생되며, 특히, 적층된 용기중 최 하단의 것만 선별적으로 낙하되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오작동에 의해 복층 즉, 두 개이상의 라면 용기가 동시에 낙하되거나 하중에 밀려 용기가 일시에 하부로 낙하되는등 정확도가 떨어져 장치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 구동에 따른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의 스윙동작에 의해 본체 내부에서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는 저장부로부터 용기를 하나씩 하방으로 안전하게 인출시킬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장치내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하게 동작이 제어되어 장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전면에 코인기를 구비한 본체 내부에서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는 용기 저장부와 용기 저장부 하단부에서 저장부에 적재된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코인투입에 의한 작동 명령에 따라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부터 하나씩 인출시키는 용기 공급장치를 포함한 라면조리 자판기에 있어서, 용기 저장부의 케이스 전방에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승강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케이 스 하단 외벽에 설치되는 힌지축에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 저면 개방부를 막고 있으면서 그 선단부는 커넥터를 매개로 승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른 커넥터의 승강으로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벌어지면서 막고 있던 상기 케이스 저면 개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 및 상기 스윙 플레이트와 근접한 케이스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스윙 플레이트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강부는, 케이스 전방의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그 일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슬라이더 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부를 덮으면서 플레이트 전방에 고정되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모터 브래킷의 전방 중앙에 설치되는 감속기구와, 감속기구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모터 브래킷을 관통한 감속기구의 회전축 단부에 축설되며 상기 승강부의 연결핀이 편심결합되는 로터를 포함한다.
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는, 'ㄴ'형상으로 절곡되며 커넥와 연결을 위한 선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이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스윙 플레이트바디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바디 저면에 이러한 스윙 플레이트바디 내측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용기 저장부의 케이스에 적재된 라면 용기의 상부 테두리가 안착되는 안착날개로 구성된 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가 적용된 라면조리 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먼저 라면조리 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라면조리 자판기는 전면에 코인기(10)를 구비한 본체(1) 내부에 조리될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라면 용기가 포개진 상태로 적재되는 용기 저장부(20)가 구비되고, 용기 저장부(20) 하단부에는 저장부(20)에 적재된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코인투입에 의한 작동명령에 따라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부터 하나씩 인출시키는 용기 공급장치(30)가 마련된다. 또한 용기 공급장치(30) 하방에는 이러한 용기 공급장치(30)의 개방으로 인출되어진 일회용 용기를 가열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리 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장치(40)가 구비되며, 본체 일측의 용기 이송장치 연장선상에는 조리된 라면을 용기 이송장치를 통해 건네받아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50)가 마련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부들은 제어부 예컨대, 마이콤(미도시)에 의해서 그 동작이 일괄적으로 제어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라면조리 자판기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3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용기 공급장치(3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저장부(20)의 케이스(22) 전방에 설치되는 승강부(32)와, 상기 승강부(32)를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4)를 포함한다.
승강부(32)는 커넥터(324)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22) 저면에 마주 보면서 설치되는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36)의 선단부와 연결되며, 스윙 플레이트(36)는 상기 케이스 하단 외벽에 설치되는 힌지축(H)에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32) 승강에 따른 커넥터(324)의 승강으로 상기 힌지축(H)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막고 있던 케이스 저면 개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또한, 상기 스윙 플레이트(36)와 근접한 케이스(22) 전방 일측에는 리미트 스위치가(38) 설치되는데,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38)는 스윙 플레이트(36)의 동작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3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의 각부 구성을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승강부(32)는 케이스(22) 전방의 플레이트(31) 상에 설치되는 슬라이더(320)와, 슬라이더(320)에 그 일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322)와, 상기 슬라이더(320) 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324)를 포함한다. 슬라이더(320)는 상기 플레이트(31) 전방에 고정되는 고정레일(320a)과 이 고정레일(320a)과의 사이에 개입되는 볼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고정레일(320a)을 따라 가동되는 가동레일(320b)로 이루어지며, 연결링크(322)는 상기 가동레일(320b) 일측에 핀(P)을 통해 결합되어 이를 지점으로 회전되고, 커넥터(324)는 가동레일(320b) 하단부에 연결된다.
구동부(34)는 상기 승강부(32)를 덮으면서 플레이트(31) 전방에 고정되는 모 터 브래킷(340)과, 상기 모터 브래킷(340)의 전방 중앙에 설치되는 감속기구(342)를 구비한다. 감속기구(342) 일측에는 이러한 감속기구(34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44)가 설치되며, 모터 브래킷(340)을 관통한 상기 감속기구(342)의 회전축 단부에는 로터(346)가 축설된다. 이러한 로터(346)는 상기한 연결핀(P)을 매개로 승강부(32)의 연결링크(322)와 연결되어 링크 및 이와 연계된 가동레일(320b)을 승강시킨다. 즉, 상기 로터(346)에는 연결핀(P)이 편심결합되어 구동모터(344) 구동에 따른 로터(346)의 회전력이 상기 연결핀을 통해 연결링크(322)에 전달되는 것이다.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36)는 'ㄴ'형상으로 절곡되며 커넥터(324)와 연결을 위한 선단부에는 장공(361)이 형성되어 이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연결핀(P)을 매개로 상기 커넥터(324)와 연결되는 스윙 플레이트바디(360)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바디(360) 저면에 이러한 스윙 플레이트바디(360) 내측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용기 저장부의 케이스(22)에 적재된 라면 용기의 상단 테두리를 지지하는 안착날개(362)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바디(360)는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케이스(22) 하단의 양 측벽에 설치되는 힌지축(H)에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스(22) 내측으로 연장된 그 선단부의 장공(361)에는 연결핀(P)이 끼워져 이러한 연결핀(P)을 매개로 커넥터(32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20) 승강에 따른 커넥터(324)의 승강으로 상기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36)는 힌지축(H)을 지점으로 벌어지면서 지지하고 있던 라면용기의 지지력을 해재하게 된다.
한편, 리미트 스위치(38)는 상기 스윙 플레이트(36)와 근접한 케이스(22)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윙 플레이트(36)가 힌지축(H)을 지점으로 벌어졌을 때 스윙 플레이트(36)의 바디 상단부가 위치하는 케이스(22) 전방 일측에 이와 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32)의 구동으로 상기 스윙 플레이트(36)가 완전 개방되면 스윙 플레이트(36)의 바디(360) 상단부가 리미트 스위치(38)와 접촉되어지면서 구동모터의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라면조리 자판기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코인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4a의 파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저장부 내의 라면과 스프가 내장된 다수의 용기 중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100)는 그 상단부 테두리가 스윙 플레이트(36)의 날개 안착부(362)에 안착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본체 코인기로 코인이 투입되면 마이콤(미도시)으로부터의 작동명령에 따라 용기 저장부(20) 하단부에 구비된 용기 공급장치(30)가 작동하여 용기 저장부(20)에 포개진 상태로 적재되어있던 용기 중 최하단에 위치한 한 개의 용기(100)만이 하부로 인출되어 승강플레이트(60) 위에 놓여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코인의 투입으로 제어부 구체적으로 마이콤으로부터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구동모터(344)와 감속기구(342)가 구동되어 감속기구(342)에 축설된 로터(346)가 회전한다. 이때 로터(346)는 이에 편심결합되어 있는 연결핀(P)을 매개로 승강부의 연결링크(322)와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링크(322)는 다시 슬라이더 중 가동레일(320b)에 그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 때문에, 로터(346)의 회전 에 따라 링크(322)가 회전운동을 하면 이러한 링크(322)의 회전운동은 가동레일(320b)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가동레일(320b)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가동레일(320b)이 하강하면 가동레일(320b) 하단부에 연결된 커넥터(324) 역시 하강하여 이 커넥터(324)에 연결된 스윙 플레이트(36) 선단부를 아래로 밀어낸다. 이 때, 스윙 플레이트(36)의 타단부는 케이스 일측의 힌지축(H)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324) 하강으로 인해 그 일측 선단부가 아래로 밀려지면 힌지축(H)을 지점으로 바깥측으로 회전하면서 도 4a에서와 같이 벌어져 용기 저장부(20)에 적재되어 있던 라면 용기 중 최하단에 위치한 라면 용기(10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동시에 스윙 플레이트(36)가 완전히 개방되어지면 리미트 스위치(38)가 스위칭 ON되어 구동모터를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해 용기(10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케이스에 적재되어있던 용기 중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100)는 이미 승강되어 있는 승강플레이트(60) 상에 놓여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4b와 같이 상기 승강플레이트(60)는 적재되어 있던 라면 용기 간 테두리 이격거리(D) 만큼 일정거리 하강한 후 그 위치에서 잠시 멈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윙 플레이트(36)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면 이미 인출되어진 라면 용기(100) 위에 적재되어 있던 차순위 용기(100-1)의 상단 테두리가 스윙 플레이트(36)의 날개 안착부(362)상에 걸쳐 지지되게 된다.
상기 스윙 플레이트(36)의 복귀동작은 상기와 같이 승강플레이트(36)가 일정거리(D) 하강한 후 진행된다. 즉, 상기 승강플레이트(36)가 일정거리 하강한 뒤 멈추면 제어부의 가동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44)와 감속기구(342)가 상기한 구 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감속기구(342)에 축설된 로터(346) 역시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346)의 회전으로 연결링크(322)가 연동하여 가동레일(320b)이 승강하며, 가동레일(320b)의 승강에 따라 커넥터(324) 및 이 커넥터(324)에 연결된 스윙 플레이트(36) 선단부가 승강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고 동시에 힌지축(H)을 지점으로 회전하여 스윙 플레이트(36) 타측단은 다시 케이스 개방부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오므라짐으로써 도 4c에서와 같이 안착날개(362)상에 상기 차순위 용기(100-1)의 상단 테두리가 안착되어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스윙 플레이트(36)가 상기와 같이 차순위 용기를 완전히 지지하게 되면 제어부의 다음 동작명령에 따라 승강플레이트(60)가 완전히 하강하여 안착되어 있던 용기(100)를 다음과정인 용기 이송장치(40) 측으로 건네줌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의 동작이 마무리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저장부(20)에 적층되어 있던 용기(100)가 스윙 플레이트(36)의 스윙 동작과 이와 연계된 승강플레이트(60)의 연계동작에 따라 하방으로 낱개로 인출되어지므로, 복층 즉, 두 개이상의 라면 용기가 동시에 낙하되거나 하중에 밀려 용기가 일시에 하부로 낙하되는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인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장치내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하게 동작 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장치의 신뢰도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전면에 코인기를 구비한 본체 내부에서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는 용기 저장부, 용기 저장부 하단부에서 저장부에 적재된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코인투입에 의한 작동 명령에 따라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부터 하나씩 인출시키는 용기 공급장치, 용기 공급장치의 하방에서 이러한 용기 공급장치의 개방으로 인출되어진 일회용 용기를 가열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리 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장치, 조리된 라면을 용기 이송장치를 통해 건네받아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장치는
    용기 저장부의 케이스 전방에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승강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케이스 하단 외벽에 설치되는 힌지축에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 저면 개방부를 막고 있으면서 그 선단부는 커넥터를 매개로 승강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른 커넥터의 승강으로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벌어지면서 막고있던 상기 케이스 저면 개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마주보는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 및
    상기 스윙 플레이트와 근접한 케이스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스윙 플레이트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 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케이스 전방의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그 일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슬라이더 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케이스 전방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이 고정레일과의 사이에 개입되는 볼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레일을 따라 가동되는 가동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부를 덮으면서 플레이트 전방에 고정되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모터 브래킷의 전방 중앙에 설치되는 감속기구와;
    감속기구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모터 브래킷을 관통한 감속기구의 회전축 단부에 축설되며 상기 승강부의 연결핀이 편심결합되는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윙 플레이트는
    'ㄴ'형상으로 절곡되며 커넥터와 연결을 위한 선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이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스윙 플레이트바디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바디 저면에 이러한 스윙 플레이트바디 내측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용기 저장부의 케이스에 적재된 라면 용기의 상부 테두리가 안착되는 안착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KR2020060005203U 2006-02-24 2006-02-24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KR200415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03U KR200415517Y1 (ko) 2006-02-24 2006-02-24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03U KR200415517Y1 (ko) 2006-02-24 2006-02-24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517Y1 true KR200415517Y1 (ko) 2006-05-03

Family

ID=4176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203U KR200415517Y1 (ko) 2006-02-24 2006-02-24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51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959A (ko) * 2016-10-26 2018-05-08 이용태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20180045960A (ko) * 2016-10-26 2018-05-08 이용태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CN109064665A (zh) * 2018-07-11 2018-12-21 王晓杰 一种面条制售设备
CN110580777A (zh) * 2019-09-23 2019-12-17 无锡天任电子有限公司 一种无人售货泡面柜
CN111252290A (zh) * 2020-04-20 2020-06-09 李海铭 手套自动计数成摞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959A (ko) * 2016-10-26 2018-05-08 이용태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20180045960A (ko) * 2016-10-26 2018-05-08 이용태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KR102049058B1 (ko) * 2016-10-26 2019-11-26 이용태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102122842B1 (ko) * 2016-10-26 2020-06-16 명성이앤비 주식회사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CN109064665A (zh) * 2018-07-11 2018-12-21 王晓杰 一种面条制售设备
CN109064665B (zh) * 2018-07-11 2024-01-23 王晓杰 一种面条制售设备
CN110580777A (zh) * 2019-09-23 2019-12-17 无锡天任电子有限公司 一种无人售货泡面柜
CN111252290A (zh) * 2020-04-20 2020-06-09 李海铭 手套自动计数成摞机
CN111252290B (zh) * 2020-04-20 2024-04-12 李海铭 手套自动计数成摞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517Y1 (ko)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US8950931B2 (en) Automated mix in-cup apparatus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080092749A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noodles
KR100653237B1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WO2010003280A1 (zh) 一种快速检测胶囊重量的装置
KR102005480B1 (ko) 컵라면 자동판매기의 전자렌지 조리장치
KR200415518Y1 (ko)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KR20040516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3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CN103384487B (zh) 呈现有将咖啡包囊装载到灌注器中的选择性装载装置的咖啡机
KR101051976B1 (ko) 라면조리 판매기의 용기 이송장치
CN108065798B (zh) 一种油炸锅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290594Y1 (ko) 라면 자동 판매기
KR100472767B1 (ko) 라면 자동 판매기
KR100442154B1 (ko)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8135211U (zh) 垃圾桶自动翻盖装置及包含其的自动贩卖机
KR200405163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CN213993228U (zh) 烹饪器具
JP3975821B2 (ja) 自動炊飯器
KR20100081650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토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307117Y1 (ko)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JPH0785734B2 (ja) ロータリ式フライヤ
CN110356747A (zh) 垃圾桶自动翻盖装置及包含其的自动贩卖机
CN216602596U (zh) 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