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154B1 -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154B1
KR100442154B1 KR10-2001-0074146A KR20010074146A KR100442154B1 KR 100442154 B1 KR100442154 B1 KR 100442154B1 KR 20010074146 A KR20010074146 A KR 20010074146A KR 100442154 B1 KR100442154 B1 KR 10044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rice
cover
mot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130A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김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근 filed Critical 김재근
Priority to KR10-2001-007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1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쌀의 보관과 공급, 급수, 세척 및 취사등의 일련의 취사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되, 각 과정을 수행하는 구성의 단순, 정확화 및 취사 완료후의 취식 용이성을 고려한 것이다. 특징적으로, 사용자 콘트롤(61)에서 몇인분의 식사량이 선택되면, 식사량에 따라 정해진 회전수로 모터(24)를 회전시켜 적량의 쌀을 세척통(31)에 낙하시키는 쌀 공급 단계와; 급수구(35)을 통하여 세척통에 물이 유입되면 정해진 회전수로 교반모터(32)를 회전시키고 그 물을 다시 배수하는 과정이 정해진 차수 만큼 반복되어 쌀 세척이 끝나면, 제2급수구(38)를 통하여 취사용 물의 공급과 동시에 세척된 쌀을 취사부(40)의 내용기(55)로 낙하시키는 세척 단계와; 회전모터(51)를 회전시켜 카바(41)를 내용기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가열판에 전원을 공급하고, 취사과정이 끝나면 다시 모터(51)를 회전시켜 카바(41)를 내용기(55)로부터 해제상태로 있게 하고, 이어서 승하강용 밸브(52)를 동작시켜 카바(41)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의 개방창(11)을 통하여 용기부(56)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취사단계가 마이콤(62)에 의하여 순서적으로 제어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Auto pressure-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동 압력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의 공급과 급수, 세척 및 취사등의 일련의 취사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쌀을 이용하여 취사하는 과정은 일정량의 쌀을 준비하고, 물로 씻은 다음, 취사 및 보온이 가능한 전열도구에 넣고 전원을 인가하여 취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과정들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몇 가지의 자동 취사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예를 들면 한국특허 등록 제180947호와 제281468호가 그것이다. 물론 이 기술들은 쌀의 적량공급, 세척 및 취사가 일련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들은 쌀의 적량공급을 위한 구성이나 쌀의 세척 및 세척후 건조에 대한 구성이 복잡하고, 나아가 취사 완료후 취식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쌀의 공급과 급수, 세척 및 취사등의 일련의 취사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되, 각 과정을 수행하는 구성의 단순, 정확화 및 취사 완료후의 취식 용이성을 고려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도면으로 a는 횡단면도, b는 종단면도.
도 2a,b는 도 1에서 개폐장치의 상세 및 작용도.
도 3a,b는 도 1에서 카바의 승하강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개방창
12. 쌀통 20. 공급부
23. 스크류 24. 모터
30. 세척부 31. 세척통
32. 모터 33. 교반기
35. 급수구 36. 배수구
37. 배출구 38. 제2급수구
40. 취사부 41. 카바
42. 유입구 43. 주름관
44. 개폐장치 49. 회전축
50. 연결편 51. 모터
52. 승하강용 밸브 53. 내압 제거용 밸브
54. 고정판 55. 내용기
56. 외용기 57. 바퀴
61. 사용자 콘트롤 62. 마이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관한 도면으로, a는 횡단면도이고, b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측에 낙하 유도로(13)를 갖는 쌀통(12)이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취사용기 출입용 개방창(11)이 형성된 중공형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부; 및 사용자 콘트롤(61)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62)으로 이루어 진다. 다시 상기 작동부는 쌀통(12)으로부터 낙하되는 쌀을 적량 이송하는 공급부(20), 공급부(20)에서 낙하된 쌀을 세척하는 세척부(30), 세척부(30)에서 물과 함께 낙하된 쌀을 취사하는 취사부(40)로 이루어 진다.
상기 공급부(20)는 쌀통(12)의 유도로(13)에 연통하는 유입구(22)를 갖는 이송관(21)과 이송관(21) 내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어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23) 및 이송관의 일측 배출구(37)를 개폐시키는 전자밸브(25)로 이루어 진다. 쌀통(12)은 쌀을 보관하기에 적당한 용량을 갖으며, 부호 14는 쌀통(12) 내에 보관되어 있는 쌀의 량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제공된다.
상기 세척부(30)는 공급부(20)로부터 낙하된 쌀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통(31)이며, 내부에는 모터(32)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기(33)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는 정/역 모터이다. 또한 세척통(31)의 일측으로는 전자밸브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급수구(35)와 배수구(36)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배출구(37)가 형성된다. 또한 통의 내부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34)가 장착된다.
한편 취사에 필요한 물을 세척용 물과 취사용 물로 구분하고 이 때 취사용 물은 상기 급수구(35) 이외에 별도의 제2급수구(38)을 통하여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용으로서 일반 상수를, 취사용으로서 정수를 각각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2급수구(38)의 필요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급수구(38)는 물 저장탱크 상측으로 연결되어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1관과, 저장탱크 하측으로 연장되고 세척통으로 연결되어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2관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하였다.
상기 취사부(40)는 용기카바(41)와 내/외용기(55,56)로 이루어 지며, 용기카바(41)와 내용기(55)는 통상의 것과 같이 약 15°정도의 회전에 의하여 착탈되는 걸림부재들(a,b)에 의하여 결합/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내용기(55)의 저면에 온도센서와 가열판이 형성된 것도 통상의 것과 같다.
상기 용기카바(41)는 주름관(43)에 의하여 상기 세척통(31)의 배출구(37)에 연통되는 중앙 유입구(42)를 갖으며, 내용기(55)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승하강하여 상기 유입구(42)를 개폐하는 개폐장치(44)가 지지체(47)에 거치되어 구비된다. 또한 그 주변에 상기 내용기(55)와 세척통(31)을 연통시키는 연결관(p)이 구비되어 취사시의 고온의 증기압력으로 세척통(31)을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름관(43)은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한 것으로, 용기카바(41)의 상승/하강 동작에 대하여 신축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상기 배출구(37)과 중앙 유입구(42)의 연통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도 3a,b 참조). 상기 개폐장치(44)는 하단부가 넓은 형태이며, 상승시에 유입구(42)의 하단을 폐쇄시킨다(도 2a,b 참조).
또한 용기 카바(41)의 상측으로는 중간 고정판(54)이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54)의 상측으로 배치되고 고정판(54)을 관통하여 카바(41)의 상면에 고정되는 카바 회전축(49), 승하강용 전자밸브(52), 내압 제거용 밸브(53) 등이 구비되고, 이 때 용기 카바(41)는 고정판(54)의 중앙부에 거치되는 회전판(48)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카바 회전축(49)은 연결편(50)에 의하여 회전모터(51)의 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회전모터(51)는 고정판(54)에 고정되지 않는다.
한편, 외용기(56)의 하단부 좌우측에는 하우징(10)에 연결되는 회전바퀴(57)가 장착되어 외용기(56)가 하우징(10)의 개방창(11)을 통하여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일련의 동작 즉, 쌀 투입부터 취사에 이르기 까지의 전과정을 순서적으로 설명한다. 장치의 초기상태에서 사용자 콘트롤(61)에 의하여 몇 인분의 '취사'가 선택되면 마이콤(62)에 의하여 공급부(20)의 동작에 의한 쌀 공급 과정, 세척부(30)에 의한 쌀 세척 과정, 취사부(40)에 의한 취사 과정이 차례로 제어되며, 취사가 끝나면 '보온'으로 자동 변환된다.
(1) 쌀 공급과정
사용자 콘트롤(61)에서 몇인분의 식사량이 선택되면, 전자밸브(25)가 개방되면서 동시에 모터(24)가 회전되고 쌀이 스크류(23)에 의해 이송 및 낙하되어 세척통(31)에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모터(24)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식사량 만큼의 쌀이 이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3인분은 15회전, 6인분은 27회전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2) 쌀 세척 과정
쌀의 유입에 연이어, 급수구(35)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척용 물이 센서(34)의동작에 의해 유입 정지되면 상기 교반 모터(32)가 회전되고 동시에 교반기(33)가 회전하면서 세척통(31) 내에 공급된 쌀이 세척된다. 이 때 상기 모터(32)의 1차분 회전수와 차수를 제어하고, 각 차수의 종료 후 배수구(36)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쌀이 적절하게 세척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3인분은 15회전씩 3차 회전과 3회 배수, 6인분은 15회전씩 4차 회전과 4회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최종 차수의 모터 회전과 배수가 이루어 진 후에는 모터의 회전과 관계없이 상기 배수구(36)는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종 배수가 이루어 진 후에 유입되는 물은 배수구(36)로 배출되는 세척용 물이 아니라 취사용 물이다.
취사용 물은 제2급수구(35)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으로 하는 경우, 전자밸브는 예를 들어 3인분은 12초, 6인분은 26초 동안 개방되도록 한다. 세척통(31)에 취사용 물이 유입되면, 모터(32)가 회전됨과 동시에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37)가 개방되면서 세척된 쌀이 물과 함께 취사부(40)로 낙하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 때, 개폐장치(44)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되어 있다.
(3) 취사 과정
유입구(42)를 통하여 모든 쌀이 내용기(55)에 투입되면, 회전모터(51)가 회전하여 카바(41)를 내용기(55)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가열판에 전원이 공급된다. 용기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개폐장치(44)가 상승하여 유입구(42)를 밀폐시킨다. 도 2(b)는 개폐장치(44)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다. 취사과정이 끝나면 내압 제거밸브(53)의 개방에 의해 내부압력이 급속하게 제거되고, 다시 모터(51)가 회전하여 카바(41)를 내용기(55)로부터 해제상태로 있게 하고, 이어서 승하강용 밸브(52)가 동작하여 카바(41)를 상승시킨다. 도 3(a),(b)는 카바(41)의 상승전/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하우징(10)의 개방창(11)을 통하여 내외용기(55,56)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내외용기(55,56)를 밀어 넣으면 카바(41)가 하강하고 모터(51)가 다시 회전하여 카바(41)를 내용기에 결합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쌀의 보관과 공급, 급수, 세척 및 취사등의 일련의 압력취사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되, 각 과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취사 완료후의 취식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 쌀통(12)과 하부 개방창(11)이 형성된 중공형 하우징(10)과;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23)에 의해 쌀통(12)으로부터 낙하되는 쌀을 적량 이송하는 공급부(20)와; 통(31)의 내부에 모터(32)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기(33)가 설치되고, 일측으로는 각각 전자밸브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급수구(35)와 배수구(36) 및 배출구(37)가 형성되어 공급부(20)로부터 낙하된 쌀을 제한된 회전수와 회수로 세척하는 세척부(30)와;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주름관(43)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37)에 연통되는 중앙 유입구(42), 내용기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승하강하여 상기 유입구(42)를 개폐하는 개폐장치(44),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일단이 카바(41)의 상면에 고정되는 카바 회전축(49), 승하강용 전자밸브(52), 내압 제거용 전자밸브(53)가 거치되는 중간 고정판(54)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49)은 연결편(50)에 의하여 회전모터(51)의 축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승하강식 용기카바(41)와, 다수의 걸림편(a,b)에 의하여 상기 카바(41)와 착탈되는 내용기(55)를 포함하는 통상의 용기부(56)로 구성되어 배출구(37)로부터 낙하된 쌀을 고온의 압력으로 취사하는 취사부(40); 및 사용자 콘트롤(61)에 의하여 상기 공급부(20), 세척부(30), 취사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62)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30)는 물 저장탱크 상측으로 연결되는 제1관과, 저장탱크 하측으로 연장되고 세척통으로 연결되어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2관으로 이루어 지는 정수 공급용 제2급수구(3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카바(41)에는 내용기(55)와 세척통(31)을 연통시키는 연결관(p)이 구비되어 취사시의 고온의 증기압력으로 세척통(31)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4. 삭제
  5. 사용자 콘트롤(61)에서 몇인분의 식사량이 선택되면, 식사량에 따라 정해진 회전수로 모터(24)를 회전시켜 적량의 쌀을 세척통(31)에 낙하시키는 쌀 공급 단계와; 급수구(35)을 통하여 세척통에 물이 유입되면 정해진 회전수로 교반모터(32)를 회전시키고 그 물을 다시 배수하는 과정이 정해진 차수 만큼 반복되어 쌀 세척이 끝나면, 제2급수구(38)를 통하여 취사용 물의 공급과 동시에 세척된 쌀을 취사부(40)의 내용기(55)로 낙하시키는 세척 단계와; 회전모터(51)를 회전시켜 카바(41)를 내용기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가열판에 전원을 공급하고, 취사과정이 끝나면 다시 모터(51)를 회전시켜 카바(41)를 내용기(55)로부터 해제상태로 있게 하고, 이어서 승하강용 밸브(52)를 동작시켜 카바(41)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의 개방창(11)을 통하여 용기부(56)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취사단계가 마이콤(62)에 의하여 순서적으로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압력취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1-0074146A 2001-11-27 2001-11-27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4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46A KR100442154B1 (ko) 2001-11-27 2001-11-27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46A KR100442154B1 (ko) 2001-11-27 2001-11-27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517U Division KR200266448Y1 (ko) 2001-11-27 2001-11-27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130A KR20030043130A (ko) 2003-06-02
KR100442154B1 true KR100442154B1 (ko) 2004-07-30

Family

ID=2957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146A KR100442154B1 (ko) 2001-11-27 2001-11-27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238B1 (ko) * 2007-07-13 2009-01-30 주식회사 큐리프 밥솥 뚜껑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무인 자동 취사장치의 본체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
KR101480825B1 (ko) * 2012-08-29 2015-01-13 최정기 세미기
CN104812275A (zh) * 2012-12-10 2015-07-29 咸龙昇 速成烹饪系统
KR101333541B1 (ko) * 2013-06-10 2013-11-28 손홍창 무인 자동 취사장치
CN106256307B (zh) * 2016-01-21 2019-09-2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
KR102422374B1 (ko) * 2021-05-06 2022-07-19 고순정 무인 취사 밥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130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1633A (en) Rotating oblique basket frier for cyclic immersion cooking
KR100633466B1 (ko)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DK158130B (da) Apparat til opsamling og maaling af legemsvaeske
KR100442154B1 (ko)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95776A (ko) 자동 취사장치
CN203802244U (zh) 食物烹煮装置
CN114745990B (zh) 全自动电饭锅装置
CN107260544A (zh) 能自动翻转落药的全自动中药煎药机
KR200266448Y1 (ko)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0234565A (ja) 水流による洗米装置付き炊飯器
KR20110129067A (ko)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KR100559075B1 (ko) 자동취사장치
KR101867860B1 (ko) 자동 취사장치
CN100356882C (zh) 烹饪和分发食品的装置
JP2008154661A (ja) 自動製パン機
CN210446658U (zh) 一种全自动沥米饭制备系统
KR100636806B1 (ko) 백반 자동 자판기 및 취사 방법
KR100444194B1 (ko)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구동 장치
KR200398809Y1 (ko)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KR20040027704A (ko) 다단 튀김기.
KR20210157015A (ko) 자동 배출형 전기 튀김기
KR0132931Y1 (ko) 곡물의 가공장치
KR20060032522A (ko) 전자동조리기 및 이를 사용한 취사방법
KR200343473Y1 (ko) 순대 증숙기
JP3327815B2 (ja) 業務用炊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