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067A -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067A
KR20110129067A KR1020100048486A KR20100048486A KR20110129067A KR 20110129067 A KR20110129067 A KR 20110129067A KR 1020100048486 A KR1020100048486 A KR 1020100048486A KR 20100048486 A KR20100048486 A KR 20100048486A KR 20110129067 A KR20110129067 A KR 20110129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unit
washing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273B1 (ko
Inventor
석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라이프
Priority to KR102010004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27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으로 쌀을 세척한 후 밥을 짓고, 밥은 푼 후에는 밥솥으로 자동으로 세척까지 수행하도록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은, 내부에 쌀이 저장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쌀냉장부와; 상기 쌀냉장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쌀냉장부로부터 공급된 쌀을 세척하는 쌀세척부와; 상기 쌀세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쌀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쌀을 수납하여 밥을 짓는 밥솥부와; 상기 밥솥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밥솥부를 세척하는 밥솥세척부와; 상기 쌀냉장부, 쌀세척부, 밥솥부 및 밥솥세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쌀냉장부, 쌀세척부, 밥솥부, 밥솥세척부 및 제어부가 내장된 외형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밥솥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쌀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쌀이 수용되는 밥솥을 구비한 밥솥본체와; 상기 밥솥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밥솥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밥솥세척부는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분리된 상기 밥솥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 AUTO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HAVING WASHING FUNCTION }
본 발명은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으로 쌀을 세척한 후 밥을 짓고, 밥은 푼 후에는 밥솥으로 자동으로 세척까지 수행하도록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쌀통에 쌀을 보관하며 취사를 하기 위해 쌀통에서 쌀을 꺼내어 사람이 직접 손으로 세척한 후 전기밥솥에 넣고 가열하여 취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맞벌이 부부나 외출 등으로 인해 제때에 밥을 할 수 없어 한꺼번에 많은 양의 밥을 해 놓고 여러 날 동안 보온시켜 먹다보니 아무리 전기밥솥의 보온기능이 뛰어나더라도 갓 지은 밥보다는 밥맛이 떨어지므로 밥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무인 자동 전기밥솥 및 기타 여러 종류의 자동 취사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 자동 전기밥솥은 밥솥에서 밥을 푼 후 사용자가 직접 밥솥을 세척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밥을 짓고 밥솥에서 밥을 푼 후 자동으로 밥솥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은, 내부에 쌀이 저장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쌀냉장부와; 상기 쌀냉장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쌀냉장부로부터 공급된 쌀을 세척하는 쌀세척부와; 상기 쌀세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쌀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쌀을 수납하여 밥을 짓는 밥솥부와; 상기 밥솥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밥솥부를 세척하는 밥솥세척부와; 상기 쌀냉장부, 쌀세척부, 밥솥부 및 밥솥세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쌀냉장부, 쌀세척부, 밥솥부, 밥솥세척부 및 제어부가 내장된 외형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밥솥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쌀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쌀이 수용되는 밥솥을 구비한 밥솥본체와; 상기 밥솥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밥솥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밥솥세척부는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분리된 상기 밥솥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을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밥솥세척부로 이동시키는 밥솥분리부와;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세척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밥솥을 세척하려 할 때, 상기 밥솥분리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상승시켜 분리시키고, 상기 세척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를 개방한 후, 상기 밥솥분리부에 의해 상기 밥솥커버를 상기 밥솥세척부에 배치하고, 상기 세척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를 폐쇄한 후, 상기 밥솥세척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세척하도록 한다.
상기 밥솥분리부는, 상기 밥솥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밥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이송부와; 상기 지지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지지승강부와; 상기 지지승강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밥솥을 세척하려 할 때, 상기 지지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밥솥에 결합되면 상기 지지승강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상승시켜 분리시키고, 상기 세척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가 개방되면 상기 지지승강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이 상기 회전부에 근접하게 하강시키며, 상기 회전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뒤집어지면 상기 지지승강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상기 밥솥세척부의 내부로 더 하강시키고, 상기 지지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밥솥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밥솥분리부를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세척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를 폐쇄되면 상기 밥솥세척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세척하도록 한다.
상기 쌀냉장부는, 하부에 위치하여 쌀이 저장된 쌀통과; 상기 쌀통의 하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쌀을 계량하여 상기 쌀통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계량부를 통해 상기 쌀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수용하는 중간보관함과; 상기 중간보관함을 상부에 위치한 상기 쌀세척부와 연통시키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쌀세척부의 내부에는 진공펌프가 구비되되,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중간보관함에 수용되어 있던 쌀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쌀세척부로 이송된다.
수돗물을 정수시키는 정수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쌀세척부에서 쌀을 세척할 때에는 상기 쌀세척부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상기 쌀세척부에서 쌀의 세척이 완료되어 상기 밥솥부에 세척된 쌀을 공급할 때에는 상기 정수기부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한다.
상기 밥솥부는, 상기 밥솥커버를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밥솥본체를 이동시키는 밥솥본체이송부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밥솥커버의 잠금레버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밥솥본체와 밥솥커버를 잠금 및 해제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밥솥커버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구동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쌀세척부에 의해 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커버를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밥솥본체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본체가 상기 쌀세척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쌀세척부에 있는 세척된 쌀이 상기 밥솥본체에 수용되면, 상기 밥솥본체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본체를 상기 밥솥커버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개폐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커버가 상기 밥솥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밥솥본체이송부는, 상기 밥솥본체를 상기 쌀세척부의 하부에서 상기 밥솥커버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부와; 상기 쌀세척부의 하부로 이동된 상기 밥솥본체를 외형본체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2이송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 따르면, 전자동으로 밥을 짓고 밥솥에서 밥을 푼 후 자동으로 밥솥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정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쌀냉장부와 쌀세척부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부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커버가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커버가 제2구동부에 의해 승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세척부와 세척커버 및 밥솥본체이송부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분리부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쌀냉장부에 쌀세척부로 쌀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서 세척된 쌀을 쌀세척부로부터 밥솥으로 배출시키는 상태의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서 밥솥커버가 밥솥본체에 결합되어 밥을 짓을 상태의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서 밥솥본체가 밥솥커버와 분리된 후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구조도,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밥솥분리부에 의해 밥솥본체로부터 밥솥을 상승시켜 분리시킨 구조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밥솥본체를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 밥솥을 하강시킨 상태의 구조도,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밥솥분리부에 의해 밥솥을 회전시킨 상태의 구조도,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밥솥을 밥솥세척부로 하강시킨 상태의 구조도,
도 17은 도 16의 상태에서 밥솥과 분리된 밥솥분리부를 상승시킨 상태의 구조도,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서 밥솥분리부를 회전시킨 상태의 구조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정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쌀냉장부와 쌀세척부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부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커버가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과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커버가 제2구동부에 의해 승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과정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세척부와 세척커버 및 밥솥본체이송부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밥솥분리부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은, 외형본체(10)와, 쌀냉장부(20), 쌀세척부(30)와, 밥솥부(40)와, 밥솥세척부(50)와, 세척커버(60)와, 밥솥분리부(70), 정수기부(80)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형본체(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쌀냉장부(20)는 내부에 쌀이 저장되는 곳으로써, 상기 외형본체(10)의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쌀냉장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통(21)과, 계량부(22)와, 중간보관함(23)과, 연결관(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쌀통(21)은 상기 외형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쌀이 저장된다.
상기 계량부(22)는 상기 쌀통(21)의 하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분수에 맞게 쌀을 계량하여 상기 쌀통(21)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계량부(22)는 본 발명과 같이 스크류형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쌀계량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중간보관함(23)은 상기 계량부(22)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계량부(22)를 통해 상기 쌀통(21)으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보관함(23)의 상부에는 상기 계량부(22)와 중간보관함(23)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도어(2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개폐도어(24)는 랙기어 및 모터에 의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중간보관함(23)의 상부를 개폐한다.
즉, 상기 계량부(22)를 통해 상기 중간보관함(23)으로 쌀이 배출되어야 할 경우에 상기 개폐도어(24)는 개방되고, 상기 계량부(22)를 통해 쌀의 계량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개폐도어(24)는 상기 중간보관함(23)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25)은 상기 중간보관함(23)을 상부에 위치한 상기 쌀세척부(30)와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쌀세척부(30)는 상기 외형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쌀냉장부(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쌀냉장부(20)로부터 공급된 쌀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쌀세척부(30)의 내부에는 진공펌프(3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진공펌프(35)의 작동에 의해 상기 중간보관함(23)에 수용되어 있던 쌀은 상기 연결관(25)을 통해 상기 쌀세척부(30)로 이송된다.
상기 진공펌프(35)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관(25) 및 중간보관함(23)은 진공이 되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도어(24)와 중간보관함(23)의 틈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중간보관함(23)에 수용되어 있던 쌀은 공기와 함께 상기 연결관(25)을 통해 상기 쌀세척부(3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쌀세척부(30)의 자세한 구조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0173호와 동일 유사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쌀세척부(30)의 하부에는 배출도어가 장착되어 상기 쌀세척부(30)의 하부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진공펌프(35)가 상기 중간보관함(23)에 수용되어 있는 쌀을 이송시키기 위해 작동될 때에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쌀세척부(30)의 하부를 폐쇄하고, 그 후 상기 쌀세척부(30)에 물이 유입되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쌀을 세척한 후, 쌀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배출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쌀세척부(30) 내부에 있는 세척된 쌀은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밥솥부(40)는 상기 쌀세척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쌀세척부(30)에 의해 세척된 쌀을 수납하여 밥을 짓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밥솥부(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본체(41)와, 밥솥커버(43)와, 개폐부(44)와, 밥솥본체이송부로 이루어진다.
도 4(a), 5(a) 및 6(a)는 상기 밥솥커버(43)가 밥솥본체(41)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 5(b) 및 6(b)는 상기 밥솥커버(43)가 밥솥본체(41)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밥솥본체(41)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쌀세척부(30)에 의해 세척된 쌀이 수용되는 밥솥(42)이 장착되어있고, 상기 밥솥(42)을 가열하는 가열부 등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밥솥본체(41)는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본체의 구조와 거의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밥솥커버(43)는 상기 밥솥본체(41)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개폐부(44)는 상기 밥솥커버(43)를 상기 밥솥본체(41)로부터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부(44)는, 제1구동부(45)와 제2구동부(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구동부(45)는 상기 밥솥커버(43)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잠금레버(43a)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밥솥본체(41)와 밥솥커버(43)를 잠금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밥솥본체(41)와 밥솥커버(43)의 잠금 및 해제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전기밥솥에서의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제1구동부(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잠금버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밥솥본체(41)와 밥솥커버(43)를 잠금 및 해제하게 된다.
상기 제2구동부(4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밥솥커버(43)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모터, 기어 및 밸트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밥솥커버(43)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밥솥본체이송부는 상기 밥솥본체(4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밥솥본체이송부는 제1이송부(48)와 제2이송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송부(48)는 상기 밥솥본체(41)를 상기 쌀세척부(30)의 하부에서 상기 밥솥커버(43)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1이송부(4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밥솥본체(41)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48a)와, 상기 이동플레이트(48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레일(48b)과, 상기 이동플레이트(48a)를 이동시키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밥솥본체(41)는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이동플레이트(48a)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48a)와 함께 상기 외형본체(10)의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쌀세척부(30)의 하부로 이동된 상기 밥솥본체(41)를 상기 외형본체(10)의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자가 상기 밥솥(42)에 있는 밥을 풀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밥솥본체(41)의 하부가 결합되는 상기 이동플레이트(48a)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밥솥본체(41)가 전후방향 즉 상기 외형본체(10)의 외부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제2레일(49)과, 상기 밥솥본체(41)가 상기 제2레일(49)을 따라 상기 외형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밥솥세척부(50)는 상기 밥솥부(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밥솥부(40) 자세하게는 상기 밥솥본체(41)로부터 분리된 상기 밥솥(42)을 세척하는 역할을 하며, 다수개의 선반(51)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밥솥세척부(50)는 종래의 공지된 식기세척기와 그 구조가 동일 유사한바,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밥솥세척부(50)는 상기 외형본체(10)의 외부로 개폐되도록 하여, 상기 밥솥(42)뿐만 아니라 다른 식기로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커버(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밥솥세척부(5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밥솥세척부(50)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척커버(60)는, 상기 밥솥세척부(50)가 세척작업을 수행하고자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밥솥세척부(50)의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밥솥(42)을 상기 밥솥세척부(50)로 이동시키거나 꺼내고자 할 때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밥솥세척부(50)의 상부를 개방한다.
상기 밥솥분리부(70)는 상기 밥솥(42)을 상기 밥솥본체(41)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밥솥세척부(5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밥솥분리부(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71)와, 지지승강부(72)와, 지지이송부(73)와, 지지부재(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71)는 상기 외형본체(10)의 내부 측벽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있다.
상기 회전부(71)는 상기 밥솥세척부(50) 및 세척커버(60)의 상부에 배치되고, 모터 등에 의해 상기 외형본체(10)의 측벽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승강부(72)는 상기 회전부(71)에 상하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74) 및 지지이송부(73)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승강부(72)는 모터, 기어, 밸트 등의 구조를 통해 상기 회전부(71)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 지지이송부(73)는 상기 지지승강부(72)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74)를 수평방향 즉 상기 밥솥(4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이송부(73)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74)를 상기 지지승강부(72)의 인출방향으로 수직방향 즉 상기 밥솥(4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74)는 상기 밥솥(4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밥솥(42)을 지지하는 것으로써, 상기 지지이송부(73)에 의해 상기 지지승강부(72)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밥솥(42)의 양측에 손잡이(42a)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42a)에 삽입공(42b)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74)를 봉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이송부(7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74)가 상기 손잡이(42a)에 형성된 삽입공(42b)에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밥솥분리부(70)는, 상기 지지이송부(73)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74)가 상기 밥솥(42)에 결합되어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승강부(72)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74)에 결합된 상기 밥솥(42)을 상기 밥솥본체(41)로부터 독립적으로 승강시켜 분리시키며, 상기 회전부(71)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74)에 결합된 상기 밥솥(42)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수기부(80)는 상기 외형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수돗물을 정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정수기부(80)는 종래의 공지된 정수기의 구조와 동일 유사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는, 쌀냉장부(20) 쌀세척부(30)와 밥솥부(40)와 밥솥세척부(50)와 세척커버(60)와 밥솥분리부(70) 와 정수기부(8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의 쌀냉장부(20)에 쌀세척부(30)로 쌀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서 세척된 쌀을 쌀세척부(30)로부터 밥솥(42)으로 배출시키는 상태의 구조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서 밥솥커버(43)가 밥솥본체(41)에 결합되어 밥을 짓을 상태의 구조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에서 밥솥본체(41)가 밥솥커버(43)와 분리된 후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구조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밥솥분리부(70)에 의해 밥솥본체(41)로부터 밥솥(42)을 상승시켜 분리시킨 구조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밥솥본체(41)를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 밥솥(42)을 하강시킨 상태의 구조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밥솥분리부(70)에 의해 밥솥(42)을 회전시킨 상태의 구조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밥솥(42)을 밥솥세척부(50)로 하강시킨 상태의 구조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상태에서 밥솥(42)과 분리된 밥솥분리부(70)를 상승시킨 상태의 구조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상태에서 밥솥분리부(70)를 회전시킨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에서는 상기 밥솥본체(41), 밥솥(42), 밥솥세척부(50) 등의 구성만 도시되어 있고, 세척커버(60) 등은 도시하지 않았다.
사용자가 외부에서 무선통신기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을 작동시킨다.
사용자가 인분수를 지정하면, 상기 계량부(22)는 그에 맞는 양의 쌀을 상기 쌀통(21)에서 하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계량부(22)의 하부를 개방하여 상기 계량부(22)를 통해 상기 쌀통(21)에서 배출된 쌀이 상기 중간보관함(23)에 수용되도록 한다.
개량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도어(24)는 상기 계량부(22)의 하부를 폐쇄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펌프(35)를 작동시킨다.
상기 진공펌프(35)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중간보관함(23)은 진공이 되어가고, 상기 개폐도어(24)와 중간보관함(23) 사이의 틈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보관함(23)에 수용된 쌀은 공기와 함께 상기 연결관(25)을 통해 상기 쌀세척부(3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중간보관함(23)의 쌀이 상기 쌀세척부(30)로 모두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펌프(35)를 정지시키고, 상기 쌀세척부(30)에 수돗물을 공급한다.
그 후, 상기 쌀세척부(30)의 내부에 배치된 날개를 회전시켜 쌀을 세척하게 된다.
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쌀을 세척한 물은 모두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정수기부(80)를 통해 정수된 물을 상기 쌀세척부(30)에 공급한다.
위와 같이 쌀을 세척할 때에는 수돗물을 사용하고, 세척이 완료된 쌀로 밥을 짓고할 때에만 정수된 물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정수된 물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수된 물이 상기 쌀세척부(30)로 공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송부(48)에 의해 상기 밥솥본체(41)를 상기 쌀세척부(30)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밥솥분리부(70)에 의해 상기 밥솥(42)을 상기 밥솥본체(41)로부터 상기 쌀세척부(30)의 하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지지이송부(73)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74)가 상기 밥솥(42)의 손잡이(42a)에 형성된 삽입공(42b)에 삽입되고, 그 후 상기 지지승강부(72)에 의해 상기 밥솥(42)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쌀세척부(30)의 하부가 개방되면, 세척된 쌀과 정수된 물이 상기 밥솥(42)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밥솥(42)에 세척된 쌀과 정수된 물이 완전히 수납되면, 상기 밥솥분리부(70)는 하강하여 상기 밥솥(42)을 상기 밥솥본체(41)에 놓는다.
그리고, 상기 밥솥본체(41)를 상기 제1이송부(48)에 의해 상기 밥솥커버(43)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그 후 상기 밥솥커버(43)가 제2구동부(46)에 의해 하강하게 되어 상기 밥솥본체(41)의 상부를 덮는다.
그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45)를 작동시켜 상기 잠금버튼을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밥솥커버(43)와 밥솥본체(41)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밥솥본체(41)에는 열이 가해져 상기 밥솥(42)의 내부에 수용된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짓게 된다.
밥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밥을 푸기 위해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구동부(45)와 제2구동부(46)에 의해 상기 밥솥커버(43)를 상기 밥솥본체(41)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상기 밥솥본체(4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48)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2이송부에 의해 상기 외형본체(10)에 형성된 개방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밥을 풀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밥솥(42)에서 밥을 푼 후, 세척하고자하는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밥솥(42)을 상기 외형본체(1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이송부(73)를 작동시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74)가 상기 밥솥(42)의 손잡이(42a)에 형성된 삽입공(42b)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그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승강부(72)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42)을 상기 밥솥본체(41)로부터 상승시켜 분리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송부(48)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밥솥본체(41)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밥솥커버(43)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세척커버(60)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5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승강부(72)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42)이 상기 회전부(71)에 근접하도록 하강시킨다.
이는 상기 회전부(71)에 의해 밥솥(42)을 회전시킬 때, 상기 지지승강부(72)가 전개되어 있으면 회전반경이 커져 상기 밥솥(42)을 회전시키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밥솥(42)을 상기 밥솥본체(4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전개된 상기 지지승강부(72)를 하강시켜 상기 밥솥(42)의 회전반경을 줄여 상기 밥솥(4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지지승강부(72)에 의해 상기 밥솥(42)이 상기 회전부(71)에 근접하도록 하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71)를 작동시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밥솥(42)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뒤집어지게 한다.
이때, 상기 밥솥(42)은 상기 지지부재(74)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향으로 낙하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승강부(72)를 작동시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밥솥(42)을 상기 밥솥세척부(50)의 내부로 더 하강시킨다.
상기 밥솥(42)이 뒤집어진 상태로 하강하여 상기 밥솥세척부(50)의 선반(51)에 닿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이송부(73)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재(74)를 상기 밥솥(42)의 손잡이(42a)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승강부(72)를 상승시켜 상기 밥솥분리부(70)의 회전반경이 작아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승강부(72)의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부(71)를 회전시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밥솥분리부(70)가 상기 밥솥세척부(5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세척커버(60)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50)의 상부를 폐쇄되면 상기 밥솥세척부(50)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42)을 세척하도록 한다.
상기 밥솥(42)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상기 밥솥분리부(70)가 작동되어, 상기 밥솥(42)을 상기 밥솥세척부(50)의 상부로 이동시키며, 그 후 다시 상기 밥솥본체(41)에 배치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으로 밥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밥솥(42)을 자동으로 세척까지 해주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인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외형본체, 11 : 개방구,
20 : 쌀냉장부, 21 : 쌀통, 22 : 계량부, 23 : 중간보관함, 24 : 개폐도어, 25 : 연결관,
30 : 쌀세척부, 35 : 진공펌프,
40 : 밥솥부, 41 : 밥솥본체, 42 : 밥솥, 42a : 손잡이, 42b : 삽입공, 43 : 밥솥커버, 43a : 잠금레버, 44 : 개폐부, 45 : 제1구동부, 46 : 제2구동부, 48 : 제1이송부, 48a : 이동플레이트, 48b : 제1레일, 49 : 제2레일,
50 : 밥솥세척부, 51 : 선반
60 : 세척커버,
70 : 밥솥분리부, 71 : 회전부, 72 : 지지승강부, 73 : 지지이송부, 74 : 지지부재,
80 : 정수기부,

Claims (7)

  1. 내부에 쌀이 저장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쌀냉장부와;
    상기 쌀냉장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쌀냉장부로부터 공급된 쌀을 세척하는 쌀세척부와;
    상기 쌀세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쌀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쌀을 수납하여 밥을 짓는 밥솥부와;
    상기 밥솥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밥솥부를 세척하는 밥솥세척부와;
    상기 쌀냉장부, 쌀세척부, 밥솥부 및 밥솥세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쌀냉장부, 쌀세척부, 밥솥부, 밥솥세척부 및 제어부가 내장된 외형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밥솥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쌀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쌀이 수용되는 밥솥을 구비한 밥솥본체와; 상기 밥솥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밥솥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밥솥세척부는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분리된 상기 밥솥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을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밥솥세척부로 이동시키는 밥솥분리부와;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세척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밥솥을 세척하려 할 때, 상기 밥솥분리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상승시켜 분리시키고, 상기 세척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를 개방한 후, 상기 밥솥분리부에 의해 상기 밥솥커버를 상기 밥솥세척부에 배치하고, 상기 세척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를 폐쇄한 후, 상기 밥솥세척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세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분리부는,
    상기 밥솥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밥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지이송부와;
    상기 지지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지지승강부와;
    상기 지지승강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밥솥을 세척하려 할 때, 상기 지지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밥솥에 결합되면 상기 지지승강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상승시켜 분리시키고, 상기 세척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가 개방되면 상기 지지승강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이 상기 회전부에 근접하게 하강시키며, 상기 회전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뒤집어지면 상기 지지승강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상기 밥솥세척부의 내부로 더 하강시키고, 상기 지지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밥솥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밥솥분리부를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세척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세척부의 상부를 폐쇄되면 상기 밥솥세척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을 세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쌀냉장부는,
    하부에 위치하여 쌀이 저장된 쌀통과;
    상기 쌀통의 하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쌀을 계량하여 상기 쌀통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계량부를 통해 상기 쌀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수용하는 중간보관함과;
    상기 중간보관함을 상부에 위치한 상기 쌀세척부와 연통시키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쌀세척부의 내부에는 진공펌프가 구비되되,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중간보관함에 수용되어 있던 쌀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쌀세척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돗물을 정수시키는 정수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쌀세척부에서 쌀을 세척할 때에는 상기 쌀세척부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상기 쌀세척부에서 쌀의 세척이 완료되어 상기 밥솥부에 세척된 쌀을 공급할 때에는 상기 정수기부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부는,
    상기 밥솥커버를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밥솥본체를 이동시키는 밥솥본체이송부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밥솥커버의 잠금레버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밥솥본체와 밥솥커버를 잠금 및 해제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밥솥커버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구동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쌀세척부에 의해 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커버를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밥솥본체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본체가 상기 쌀세척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쌀세척부에 있는 세척된 쌀이 상기 밥솥본체에 수용되면, 상기 밥솥본체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본체를 상기 밥솥커버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개폐부를 작동시켜 상기 밥솥커버가 상기 밥솥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본체이송부는,
    상기 밥솥본체를 상기 쌀세척부의 하부에서 상기 밥솥커버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부와;
    상기 쌀세척부의 하부로 이동된 상기 밥솥본체를 외형본체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2이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KR1020100048486A 2010-05-25 2010-05-25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KR10115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486A KR101152273B1 (ko) 2010-05-25 2010-05-25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486A KR101152273B1 (ko) 2010-05-25 2010-05-25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067A true KR20110129067A (ko) 2011-12-01
KR101152273B1 KR101152273B1 (ko) 2012-06-08

Family

ID=4549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486A KR101152273B1 (ko) 2010-05-25 2010-05-25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2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3583A (zh) * 2016-11-24 2017-03-08 天津工业大学 全自动智能煲饭一体机
KR20190036874A (ko) 2017-09-28 2019-04-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쌀 자동세척 밥솥 및 이를 이용하여 쌀을 취사하는 방법
CN109924856A (zh) * 2019-04-22 2019-06-25 上海驭展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电饭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898B1 (ko) 2016-04-11 2017-02-01 박창규 무선 전기 압력밥솥
KR20190056529A (ko) 2017-11-17 2019-05-27 이상엽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쌀 저장 및 자동취사와 자동세척의 기능 조절이 가능한 무인 전자동 압력밥솥
KR20200067320A (ko) 2018-12-04 2020-06-12 박상우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시킨 쌀 보관, 자동취반과 세척의 기능을 가진 자동압력밥솥
KR102486860B1 (ko) 2022-06-07 2023-01-10 주식회사 위드디앤비 밥솥 틸팅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3946A1 (ja) * 2002-09-11 2004-03-25 Nippo Co., Ltd 全自動炊飯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3583A (zh) * 2016-11-24 2017-03-08 天津工业大学 全自动智能煲饭一体机
KR20190036874A (ko) 2017-09-28 2019-04-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쌀 자동세척 밥솥 및 이를 이용하여 쌀을 취사하는 방법
CN109924856A (zh) * 2019-04-22 2019-06-25 上海驭展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电饭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273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273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CN109310262B (zh) 一种水槽式洗碗机
US9247857B2 (en) Dishwasher and a water tank adapted for a dishwasher
US9307888B2 (en) System for charging a power supply in a closure element of a household appliance
EP2374926B1 (en) Washing machine
US10004379B2 (en) Dishwasher with transforming door
US20080216667A1 (en) Brewed beverage maker
CN2933277Y (zh) 用水的家用器具
CN102892346B (zh) 带有清洁剂分配器的洗碗机
JP2001224547A (ja) 昇降式食器洗い乾燥機
CN209984046U (zh) 挂壁式锅盖组件及烹饪机
CN211093314U (zh) 一种全自动电饭锅
KR101272672B1 (ko) 포트 장착형 정수기
ITMI20112015A1 (it) Elettrodomestico multifunzionale per il lavaggio di articoli, in particolare per il lavaggio di stoviglie e/o simili articoli da cucina e/o per il lavaggio di tessuti, indumenti e simili capi di abbigliamento
JPH05253161A (ja) 食器洗浄機
CN217792553U (zh) 一种泡茶车
CN201617139U (zh) 一种全自动豆浆机
KR100920690B1 (ko) 벽걸이형 냉온수기
JP2006325782A (ja) 食器洗浄機
CN215993243U (zh) 厨房集成设备
CN114224258B (zh) 一种消毒、烘干一体式水槽
CN209984048U (zh) 锅盖组件及烹饪机
KR920005883B1 (ko) 자동 취사장치
CN107780149A (zh) 一种带水盆和储水组件的洗衣机
CN210018997U (zh) 搅拌组件及锅盖组件及烹饪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