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860B1 - 밥솥 틸팅시스템 - Google Patents

밥솥 틸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860B1
KR102486860B1 KR1020220068911A KR20220068911A KR102486860B1 KR 102486860 B1 KR102486860 B1 KR 102486860B1 KR 1020220068911 A KR1020220068911 A KR 1020220068911A KR 20220068911 A KR20220068911 A KR 20220068911A KR 102486860 B1 KR102486860 B1 KR 102486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top plate
frame
fixing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디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디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디앤비
Priority to KR102022006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사가 완료된 후 일정 각도로 솥을 기립시켜 외부로 밥을 쉽게 퍼서 옮길 수 있도록 하는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밥솥 틸팅시스템{Rice cooker tilting system}
본 발명은 밥솥 틸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사가 완료된 후 일정 각도로 솥을 기립시켜 외부로 밥을 쉽게 퍼서 옮길 수 있도록 하는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대형 식당과 같은 조리실에서는 대량의 밥을 짓기 위해서 업소용 자동 취반기를 사용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밥솥을 인출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출 높이 및 밥솥의 무게로 인하여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해지게 되며, 이로 인한 부상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2273호
본 발명은 취사가 완료됨에 따라 밥솥을 기립시켜 외부로 밥을 쉽게 퍼 낼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 밥을 퍼서 옮길 수 있도록 밥이 완료된 후 일정 각도로 솥을 기립시키기 위한 밥솥 틸팅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밥솥 틸팅시스템은, 밥솥고정상판을 지지하도록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지면에서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판프레임과, 상자안착판을 지지하도록 상판프레임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판프레임의 이동시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자프레임과, 안착되는 밥솥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상판프레임에 안착 형성되는 밥솥고정상판과, 밥솥의 하부가 삽입되어 밥솥고정상판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밥솥고정상판 중앙으로 형성되는 안착홈과, 밥을 담기 위한 상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자프레임에 안착 고정되는 상자안착판과, 상판프레임과 상자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밥솥고정상판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와, 안착홈에 삽입되는 밥솥을 고정시키기 위해 밥솥고정상판 상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밥솥고정클램프와, 밥솥고정상판이 상판프레임 상에서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밥솥고정상판 일측면과 상판프레임 일측면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판경첩과, 밥솥고정상판을 상판프레임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각도 정보에 따라 기립되도록 일측이 실린더고정힌지에 의해 상판프레임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축고정힌지에 의해 밥솥고정상판 일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기립실린더와, 기립실린더의 구동시 기립실린더가 구동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기립실린더 하부 일측이 상판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실린더고정힌지와, 기립실린더의 구동시 기립실린더가 구동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기립실린더의 실린더축이 밥솥고정상판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축고정힌지와, 기립실린더의 구동시 축고정힌지가 밥솥고정상판 일측면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밥솥고정상판 일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슬라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밥솥틸팅시스템은, 일정 각도로 기립되는 밥솥 내부의 밥을 상자측에 자동으로 퍼서 배출시키기 위한 자동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배출부는, 밥솥고정상판 상면 양측으로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틀과, 회전축의 회전시 가이드틀에 간섭받지 않고 공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틀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베어링과,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틀 중앙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틀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회전모터와, 밥솥 내부의 밥을 퍼서 상자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회전축 중앙에 형성된 호퍼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호퍼와, 배출호퍼가 밥솥 내면과 접촉시 내면 굴곡에 따라 배출호퍼가 밥솥내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완충작용 발생하도록 호퍼바 상에 형성되는 완충하우징과, 밥솥고정상판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판프레임 일측방향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에 형성되는 돌기홈에 삽입되어 돌기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밥솥고정상판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판 상에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돌기홈과, 구동기어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밥솥고정상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각도기어와, 구동모터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각도기어 측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형성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판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구동모터와, 구동기어의 회전동력을 각도기어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구동기어와 각도기어 간의 연결과 구동력 제공을 위해 형성되는 구동체인과, 밥을 담는 상자가 놓여진 상자안착판 상면 중앙으로 상자에 담겨진 밥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압착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밥솥은 기립시켜 외부로 밥을 쉽게 퍼낼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자가 화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세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밥솥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밥솥틸팅시스템(100)은 외부로 밥을 퍼서 옮길 수 있도록 밥이 완료된 후 일정 각도로 솥을 기립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틸팅시스템(100)은 상판프레임(110), 상자프레임(111), 밥솥고정상판(112), 안착홈(113), 상자안착판(114), 손잡이(115), 밥솥고정클램프(116), 상판경첩(117), 기립실린더(118), 실린더고정힌지(119), 축고정힌지(120), 힌지슬라이드홈(1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프레임(110)은 밥솥고정상판(112)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프레임(110)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지면에서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자프레임(111)은 상자안착판(114)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자프레임(111)은 상판프레임(110)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판프레임(110)의 이동시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고정상판(112)은 안착되는 밥솥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밥솥고정상판(112)은 상판프레임(110)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홈(113)은 밥솥의 하부가 삽입되어 밥솥고정상판(112)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홈(113)은 밥솥고정상판(112)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자안착판(114)은 밥을 담기 위한 상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자안착판(114)은 상자프레임(111)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115)는 상판프레임(110)과 상자프레임(111)을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115)는 밥솥고정상판(112)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고정클램프(116)는 안착홈(113)에 삽입되는 밥솥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밥솥고정클램프(116)는 밥솥고정상판(112) 상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경첩(117)은 밥솥고정상판(112)이 상판프레임(110) 상에서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경첩(117)은 밥솥고정상판(112) 일측면과 상판프레임(110) 일측면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실린더(118)는 밥솥고정상판(112)을 상판프레임(110)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각도 정보에 따라 기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립실린더(118)는 일측이 실린더고정힌지(119)에 의해 상판프레임(110)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축고정힌지(120)에 의해 밥솥고정상판(112) 일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고정힌지(119)는 기립실린더(118)의 구동시 기립실린더(118)가 구동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고정힌지(119)는 기립실린더(118) 하부 일측이 상판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고정힌지(120)는 기립실린더(118)의 구동시 기립실린더(118)가 구동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고정힌지(120)는 기립실린더의 실린더축이 상판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슬라이드홈(121)은 기립실린더(118)의 구동시 축고정힌지(120)가 밥솥고정상판 일측면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슬라이드홈(121)은 밥솥고정상판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배출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배출부(200)는 밥솥 틸팅시스템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동배출부(200)는 일정 각도로 기립되는 밥솥 내부의 밥을 상자측에 자동으로 퍼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배출부(200)는 가이드틀(210), 회전베어링(211), 회전축(212), 회전모터(213), 배출호퍼(214), 완충하우징(215), 가이드판(216), 가이드돌기(217), 돌기홈(218), 각도기어(219), 구동기어(220), 구동모터(221), 구동체인(222), 압착센서(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틀(210)은 밥솥고정상판 상면 양측으로 회전축(212)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베어링(211)은 회전축(212)의 회전시 가이드틀(210)에 간섭받지 않고 공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베어링(211)은 가이드틀(210)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212)은 회전모터(213)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212)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틀(210) 중앙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모터(213)는 회전축(21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모터(213)는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틀(210)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호퍼(214)는 밥솥 내부의 밥을 퍼서 상자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호퍼(214)는 회전축(212) 중앙에 형성된 호퍼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하우징(215)은 배출호퍼(214)가 밥솥 내면과 접촉시 내면 굴곡에 따라 배출호퍼(214)가 밥솥내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하우징(215)은 완충작용 발생하도록 호퍼바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판(216)은 밥솥고정상판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판(216)은 상판프레임(110) 일측방향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217)는 가이드판(216)에 형성되는 돌기홈(218)에 삽입되어 돌기홈(218)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돌기(217)는 밥솥고정상판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홈(218)은 가이드돌기(217)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홈(218)은 가이드판(216) 상에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기어(219)는 구동기어(220)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도기어(219)는 밥솥고정상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기어(220)는 구동모터(221)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각도기어(219) 측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220)는 구동모터(221)의 모터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221)는 구동기어(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221)는 상판프레임(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체인(222)은 구동기어(220)의 회전동력을 각도기어(219)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체인(222)은 구동기어(220)와 각도기어(219) 간의 연결과 구동력 제공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센서(223)는 밥을 담는 상자가 놓여진 상자안착판(114) 상면 중앙으로 상자에 담겨진 밥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세척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세척부(300)는 밥솥 틸팅시스템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동세척부(300)는 밥솥 내면을 세척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세척부(300)는 승하강지지틀(310), 승하강홈(311), 승하강바(312), 승하강기어(313), 고정기어(314), 체인기어(315), 모터체인(316), 승하강모터(317), 각도조절부재(318), 각도조절모터(319), 롤러틀(320), 세척롤러(321), 롤러모터(322), 세척액분사관(323), 분사노즐(3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지지틀(310)은 승하강바(312)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지지틀(310)은 밥솥고정상판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홈(311)은 승하강바(312)의 양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홈(311)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지지틀(3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바(312)는 승하강홈(311)을 따라 이동되며, 각도조절모터(319)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기어(313)는 기어체인 상에 결합되어 기어체인의 회전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기어(314)는 승하강지지틀(310) 일측에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인기어(315)는 승하강지지틀(310) 타측에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체인(316)은 승하강모터(317)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력을 체인기어(315) 측으로 제공하며, 승하강모터(317)와 체인기어(315)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체인은 고정기어(314)와 체인기어(315)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모터(317)는 모터체인(316) 측으로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모터(317)는 승하강지지틀(3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18)는 승하강바(312)의 회전시 롤러틀(32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도조절부재(318)는 승하강바(312) 중앙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모터(319)는 승하강바(312)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도조절모터(319)는 승하강바(312)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지지틀(310)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틀(320)은 세척롤러(321)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틀(320)은 각도조절부재(318)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롤러(321)는 밥솥 내면과 접촉되어 회전을 통해 세척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롤러(321)는 롤러틀(32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모터(322)는 세척롤러(321)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모터(322)는 롤러틀(3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액분사관(323)은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세척액을 분사노즐(324)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액분사관(323)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지지틀(310)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324)은 세척액분사관(323)에 주입된 세척액을 밥솥 측으로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324)은 세척액분사관(32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밥솥 틸팅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밥솥고정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밥솥고정부(400)는 밥솥 틸팅시스템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밥솥고정부(400)는 밥솥고정플레이트(410)에 안착되는 밥솥을 고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고정부(400)는 밥솥고정플레이트(410)와 밥솥밀착수단(411)과 밥솥고정수단(4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밥솥고정플레이트(410)는 밥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판프레임(110) 상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밀착수단(411)은 밥솥을 양측 하부에서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해 밥솥고정플레이트(410)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밀착수단(411)은 제1부재홈(412), 제1스크류고정부재(413), 제1가압스크류(414), 제1스크류모터(415), 제1압착부재(416), 제1압착패드(417), 제1가압센서(418), 제2부재홈(419), 제2스크류고정부재(420), 제2가압스크류(421), 제2스크류모터(422), 제2압착부재(423), 제2압착패드(424), 제2가압센서(4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재홈(412)은 밥솥고정플레이트(4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크류고정부재(413)는 제1가압스크류(414)의 일측과 타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스크류고정부재(413)는 밥솥고정플레이트(410) 하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압스크류(414)는 제1압착부재(416)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가압스크류(414)는 제1스크류모터(415)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1스크류고정부재(413)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크류모터(415)는 제1가압스크류(414)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스크류모터(415)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스크류고정부재(413)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압착부재(416)는 제1부재홈(412)을 따라 이동되며, 하부가 제1가압스크류(414)에 결합되고, 상부가 밥솥 일측 하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압착패드(417)는 밥솥과 접촉시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압착패드(417)는 제1압착부재(416)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압센서(418)는 밥솥과 밀착되는 가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가압센서(418)는 제1압착부재(416) 상부 일측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부재홈(419)은 밥솥고정플레이트(410)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크류고정부재(420)는 제2가압스크류(421)의 일측과 타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스크류고정부재(420)는 밥솥고정플레이트(410) 하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가압스크류(421)는 제2압착부재(423)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가압스크류(421)는 제2스크류모터(422)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2스크류고정부재(42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크류모터(422)는 제2가압스크류(421)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스크류모터(422)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스크류고정부재(420)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압착부재(423)는 제2부재홈(419)을 따라 이동되며, 하부가 제2가압스크류(421)에 결합되고, 상부가 밥솥 타측 하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압착패드(424)는 밥솥과 접촉시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압착패드(424)는 제2압착부재(423)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가압센서(425)는 밥솥과 밀착되는 가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가압센서(425)는 제2압착부재(423) 상부 일측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고정수단(430)은 밥솥 하부를 밀착한 후 밥솥을 밥솥고정플레이트(410) 측으로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밥솥밀착수단(41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고정수단(430)은 가변바(431), 가변하우징(432), 솥고정가변틀(433), 솥고정단(434), 가변스프링(435), 스프링고정바(436)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바(431)는 가변하우징(432)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바(431)는 제1압착부재(416)와 제2압착부재(423) 상부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하우징(432)은 가변스프링(435)이 내장되며, 삽입되는 가변바(431)가 가변스프링(435)을 압축하거나 이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하우징(432)은 손고정가변틀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솥고정가변틀(433)은 가변하우징(432)을 당기고, 밥솥 상부틀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솥고정가변틀(433)은 가변하우징(432)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솥고정단(434)은 손고정가변틀에 밀착되는 밥솥 상부틀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솥고정단(434)은 손고정가변틀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스프링(435)은 솥고정가변틀(433)을 당김시 압축되고, 놓아줌에 이완되도록 가변하우징(432)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바(436)는 솥고정가변틀(433)의 당기시 가변스프링(435)을 압축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고정바(436)는 가변바(43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밥솥틸팅시스템
110 : 상판프레임 111 : 상자프레임
112 : 밥솥고정상판 113 : 안착홈
114 : 상자안착판 115 : 손잡이
116 : 밥솥고정클램프 117 : 상판경첩
118 : 기립실린더 119 : 실린더고정힌지
120 : 축고정힌지 121 : 힌지슬라이드홈
200 : 자동배출부 210 : 가이드틀
211 : 회전베어링 212 : 회전축
213 : 회전모터 214 : 배출호퍼
215 : 완충하우징 216 : 가이드판
217 : 가이드돌기 218 : 돌기홈
219 : 각도기어 220 : 구동기어
221 : 구동모터 222 : 구동체인
223 : 압착센서
300 : 자동세척부 310 : 승하강지지틀
311 : 승하강홈 312 : 승하강바
313 : 승하강기어 314 : 고정기어
315 : 체인기어 316 : 모터체인
317 : 승하강모터 318 : 각도조절부재
319 : 각도조절모터 320 : 롤러틀
321 : 세척롤러 322 : 롤러모터
323 : 세척액분사관 324 : 분사노즐
400 : 밥솥고정부 410 : 밥솥고정플레이트
411 : 밥솥밀착수단 412 : 제1부재홈
413 : 제1스크류고정부재 414 : 제1가압스크류
415 : 제1스크류모터 416 : 제1압착부재
417 : 제1압착패드 418 : 제1가압센서
419 : 제2부재홈 420 : 제2스크류고정부재
421 : 제2가압스크류 422 : 제2스크류모터
423 : 제2압착부재 424 : 제2압착패드
425 : 제2가압센서 430 : 밥솥고정수단
431 : 가변바 432 : 가변하우징
433 : 솥고정가변틀 434 : 솥고정단
435 : 가변스프링 436 : 스프링고정바

Claims (3)

  1. 밥솥을 일정 각도로 기립시키기 위한 밥솥 틸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밥솥 틸팅시스템은,
    밥솥고정상판을 지지하도록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지면에서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판프레임과,
    상자안착판을 지지하도록 상판프레임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어 상판프레임의 이동시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자프레임과,
    안착되는 밥솥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상판프레임에 안착 형성되는 밥솥고정상판과,
    밥솥의 하부가 삽입되어 밥솥고정상판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밥솥고정상판 중앙으로 형성되는 안착홈과,
    밥을 담기 위한 상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자프레임에 안착 고정되는 상자안착판과,
    상판프레임과 상자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밥솥고정상판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와,
    안착홈에 삽입되는 밥솥을 고정시키기 위해 밥솥고정상판 상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밥솥고정클램프와,
    밥솥고정상판이 상판프레임 상에서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밥솥고정상판 일측면과 상판프레임 일측면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판경첩과,
    밥솥고정상판을 상판프레임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각도 정보에 따라 기립되도록 일측이 실린더고정힌지에 의해 상판프레임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축고정힌지에 의해 밥솥고정상판 일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기립실린더와
    기립실린더의 구동시 기립실린더가 구동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기립실린더 하부 일측이 상판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실린더고정힌지와,
    기립실린더의 구동시 기립실린더가 구동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기립실린더의 실린더축이 밥솥고정상판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축고정힌지와,
    기립실린더의 구동시 축고정힌지가 밥솥고정상판 일측면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밥솥고정상판 일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슬라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틸팅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틸팅시스템은,
    일정 각도로 기립되는 밥솥 내부의 밥을 상자측에 자동으로 퍼서 배출시키기 위한 자동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배출부는,
    밥솥고정상판 상면 양측으로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틀과,
    회전축의 회전시 가이드틀에 간섭받지 않고 공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틀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베어링과,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틀 중앙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틀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회전모터와,
    밥솥 내부의 밥을 퍼서 상자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회전축 중앙에 형성된 호퍼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호퍼와,
    배출호퍼가 밥솥 내면과 접촉시 내면 굴곡에 따라 배출호퍼가 밥솥내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완충작용 발생하도록 호퍼바 상에 형성되는 완충하우징과,
    밥솥고정상판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판프레임 일측방향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에 형성되는 돌기홈에 삽입되어 돌기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밥솥고정상판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판 상에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돌기홈과,
    구동기어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밥솥고정상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각도기어와,
    구동모터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각도기어 측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형성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판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구동모터와,
    구동기어의 회전동력을 각도기어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구동기어와 각도기어 간의 연결과 구동력 제공을 위해 형성되는 구동체인과,
    밥을 담는 상자가 놓여진 상자안착판 상면 중앙으로 상자에 담겨진 밥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압착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 틸팅시스템.
KR1020220068911A 2022-06-07 2022-06-07 밥솥 틸팅시스템 KR10248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11A KR102486860B1 (ko) 2022-06-07 2022-06-07 밥솥 틸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11A KR102486860B1 (ko) 2022-06-07 2022-06-07 밥솥 틸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860B1 true KR102486860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911A KR102486860B1 (ko) 2022-06-07 2022-06-07 밥솥 틸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8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676A (ja) * 1996-05-08 1997-11-18 Fuji Seiki Kk 食材混合装置を具備する洗米炊飯装置
KR101152273B1 (ko) 2010-05-25 2012-06-08 주식회사 이너라이프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KR101888532B1 (ko) * 2017-02-25 2018-09-20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전열식 회전 국솥
KR101996206B1 (ko) * 2019-01-29 2019-07-03 김은식 식당용 대형 조리기
KR102196304B1 (ko) * 2020-11-17 2020-12-29 이철우 백반 자동 취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676A (ja) * 1996-05-08 1997-11-18 Fuji Seiki Kk 食材混合装置を具備する洗米炊飯装置
KR101152273B1 (ko) 2010-05-25 2012-06-08 주식회사 이너라이프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KR101888532B1 (ko) * 2017-02-25 2018-09-20 주식회사 지디엠인덕션 전열식 회전 국솥
KR101996206B1 (ko) * 2019-01-29 2019-07-03 김은식 식당용 대형 조리기
KR102196304B1 (ko) * 2020-11-17 2020-12-29 이철우 백반 자동 취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642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heating of food
US6410068B2 (en) Method for brewing coffee using a relocatable coffee maker
RU2568794C2 (ru)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одержащий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иведения рабоч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в планетарное движение
CN108741627B (zh) 一种电动升降台
KR102486860B1 (ko) 밥솥 틸팅시스템
CN107511350A (zh) 一种专业零件清洗箱
CN108903222A (zh) 一种清洁范围和角度均可调控的杯具内壁清理装置
CN210747170U (zh) 一种竹笋制作加工用压榨装置
CN110326975A (zh) 一种使用净菜盒的共享式自动烹饪设备
US20100107347A1 (en) Floor-cleaning machine
US4149292A (en) Automatic machine for washing open containers
CN208267011U (zh) 一种厨房用多功能环保水池
CN107334176A (zh) 一种家用鱼丸打片设备
CN209492028U (zh) 一种用于提升密炼机原料的装置
CN208342396U (zh) 一种用于灭火器生产的罐体外侧壁打磨装置
GB2408954A (en) Stirring assembly comprising a hotplate
NO782579L (no) Maskin for rensing av tepper.
CN112798952A (zh) 一种电动机检测养护装置
US3855911A (en) Centrifugal juice extractor
CN110338711A (zh) 一种家庭使用的自动扫地拖地一体机
CN215898841U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年糕捶打设备
US6077029A (en) Appliance support
CN110374701A (zh) 一种减震效果好的盘车电机装置
KR200366665Y1 (ko)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기
KR200316612Y1 (ko)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